맨위로가기

맹산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맹산군은 고구려 시대 맹주, 고려 시대 철성현 등으로 불리다가 조선 시대에 맹산현으로 설치된 지역이다. 1895년 군으로 개편되었으며, 1945년 광복 당시 8개 면을 관할했다. 이후 행정구역 개편을 거쳐 현재는 1읍 24리로 구성되어 있다. 지리적으로는 산악 지형과 분지를 이루며, 전형적인 대륙성 기후를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평안남도의 군 - 양덕군
    양덕군은 평안남도에 위치한 산지가 많은 고원 지대의 군으로, 고려 시대 양덕현을 기원으로 하며 평라선 양덕역과 양덕온천문화휴양지가 있다.
  • 평안남도의 군 - 대동군
    대동군은 평안남도 남서부에 위치하며 평양직할시 등과 접하고, 일제강점기에 신설되어 행정 구역 변동을 겪었으며, 현재 1읍, 1구, 21리로 구성되고 교통망을 갖추고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평안북도
    평안북도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서북부에 위치하며, 신의주를 도청 소재지로 하여 3개의 시와 22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있고, 압록강과 청천강을 주요 하천으로 하며 대륙성 기후를 보이는 도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창성군
    창성군은 북한 평안북도 북서부에 위치하며 압록강을 경계로 중국과 접하고 험준한 산악 지형과 대륙성 기후를 가진 군으로, 1952년 행정 구역 개편 이후 농업, 잠업, 광업 등을 주요 산업으로 한다.
맹산군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한글 표기맹산군
한자 표기孟山郡
로마자 표기Maengsan-gun
McCune-Reischauer 표기Maengsan-gun
위치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안남도
행정 구역
종류
구성1읍, 24리
통계 정보
면적723.13km²
인구 (2008년)48,155명
인구 밀도 (2008년)66.59명/km²

2. 역사

본래 고구려의 영토였던 이 지역은 당나라가 평양에 안동도호부를 설치하고 고구려 땅에 42주제를 실시했을 때 맹주(孟州)가 되었다. 당나라가 물러간 후에는 통일신라의 영역 밖에 있었으며 여진족이 넘나드는 가운데 황폐해졌다.

이후 고려북진정책으로 고려의 영토가 되어 안북부(安北府)에 속했으나, 해당 지역에는 여전히 여진족이 살고 있었다. 거란이 침략했다가 철수한 후 고려가 강동 6주를 얻었을 때 이들은 몰아내어지고, 지금의 안주시 동면 맹주리 지역에 맹주가 설치되었다. 몽골 제국의 침략으로 인적이 드물어지자 1261년 안주현(安州縣)의 속현으로 편입되었고, 1270년에는 원나라가 설치한 동녕부에 속하기도 했다가 다시 고려의 영향력 아래로 들어가 철성현(鐵城縣)이라 불렸다.[4]

조선 건국 후 1400년(정종 2년) 안주에 합병되었다. 1413년(태종 13년)에 평안도가 설치되었을 때 다시 안주에서 분리되어 맹산현(孟山縣)이 설치되었다. 1414년 덕주(德州)와 합해 맹덕현(孟德縣)을 설치했다가 이듬해에 다시 분할해 맹산현이라 하고 현감을 두었다.

1895년, 이십삼부제 실시에 따라 군으로 개편되었다. 1903년, 순천군 관할의 5개 면이 맹산군으로 편입되었다. 1914년 일제강점기 초기 행정구역 개편으로 하위 행정구역이 총 8개 면으로 통합되었다.[3]

2. 1. 고대

본래 고구려의 영토였으며, 당시에는 패수현, 철옹성, 철성진 등의 이름으로 불렸다. 당나라가 평양에 안동도호부를 설치하고 고구려 땅을 다스릴 때 이 지역은 맹주(孟州)가 되었다. 당나라가 물러간 후에는 통일신라의 영역 밖에 있었으며, 여진족이 활동하면서 점차 황폐해졌다.

이후 고려의 북진정책으로 고려 영토가 되어 안북부(安北府)에 속하게 되었으나, 여전히 여진족이 거주하고 있었다. 거란이 침략했다가 물러가고 고려가 강동 6주를 얻었을 때, 이 지역의 여진족은 쫓겨났고 현재의 안주시 동면 맹주리에 맹주가 설치되었다. (다른 기록에 따르면 고려 초기에는 철옹현이었고, 1019년에 맹주가 되었다고도 한다.)

몽골 제국의 침략으로 인구가 줄어들자 1261년에는 안주현의 속현으로 편입되었다. 1270년에는 원나라가 설치한 동녕부에 속하기도 했으나, 다시 고려의 영향력 아래로 돌아와 철성현(鐵城縣)이라 불렸다.[4] 1390년에는 맹주현이 설치되었다.

2. 2. 고려 시대

고려 초기 북진정책으로 고려의 영토가 되어 안북부(安北府)에 속했으나, 해당 지역에는 여전히 여진족이 살고 있었다. 일부 기록에는 고려 초기에 이곳을 철옹현이라 불렀다는 내용도 있다. 이후 거란의 침입과 철수 과정에서 고려가 강동 6주를 획득하며 여진족을 몰아냈고, 1019년에는 현재의 안주군 동면 맹주리 지역에 맹주(孟州)를 설치하였다.

몽골 제국의 침략으로 인구가 감소하자 1261년 안주현(安州縣)의 속현으로 편입되었으며, 1270년에는 원나라가 세운 동녕부에 속하기도 했다. 이후 다시 고려의 영향권으로 돌아와 철성현(鐵城縣)으로 불렸다.[4] 고려 말기인 1390년에는 맹주현이 설치되었는데, 그 이전까지 은주안주의 행정 구역에 속하기도 하였다.

2. 3. 조선 시대

조선 건국 후, 1400년(정종 2년)에는 안주에 합병되었다. 이후 1413년(태종 13년) 평안도가 설치되면서 다시 안주에서 분리되어 맹산현(孟山縣)이 되었다. 1414년에는 덕주(德州)와 합쳐져 맹덕현(孟德縣)이 설치되었으나, 이듬해인 1415년에 다시 분할되어 맹산현이 되었고 현감이 파견되었다.[4]

1895년(고종 32년), 이십삼부제 실시에 따라 군으로 승격되어 맹산군이 되었다. 당시 읍내면(邑內面), 외남면(外南面), 내남면(內南面), 원면(元面), 동면(東面), 지성면(智城面), 덕림면(德林面), 애전면(藹田面)의 8개 면을 관할했다. 1903년에는 순천군 소속이었던 뇌봉면(雷封面), 인화면(仁化面), 학천면(鶴泉面), 옥정면(玉井面), 광천면(廣泉面)의 5개 면이 맹산군으로 편입되어 총 13개 면을 관할하게 되었다. 1914년 일제강점기 초기 행정구역 개편 때 하위 행정구역이 8개 면으로 통합되었으며, 군청 소재지는 맹산면 수정리로 정해졌다.[3]

2. 4. 일제강점기

1908년, 순천군의 뢰상면(雷上面), 인화면(仁化面), 학천면(鶴泉面), 옥정면(玉井面), 광천면(廣泉面)이 맹산군에 편입되었다.[2]

1914년 4월 1일, 일제강점기 부군면 통폐합에 따라 하위 행정구역이 군내면(郡內面), 동면(東面), 원남면(元南面), 지덕면(智德面), 애전면(藹田面), 봉인면(奉仁面), 학천면(鶴泉面), 옥천면(玉泉面)의 8개 면으로 통합 및 개편되었다.[3][2] 당시 군청 소재지는 군내면 수정리였다.[3]

1929년, 군내면이 맹산면(孟山面)으로 이름을 바꾸었다.[2]

1945년 8월 15일 광복 당시, 맹산군은 맹산면, 원남면, 동면, 지덕면, 애전면, 봉인면, 학천면, 옥천면의 8개 면 체제를 유지하고 있었다.[2]

2. 5. 광복 이후

1952년 12월, 북한의 군면리 통폐합 정책에 따라 행정구역이 개편되었다.[2] 기존 맹산군의 옥천면(玉泉面), 봉인면(封仁面), 학천면(鶴川面)이 북창군으로 분리되었다. 남은 맹산면(孟山面), 원남면(元南面), 동면(東面), 지덕면(智徳面), 애전면(藹田面)에 함경남도 영흥군 횡천면 일부가 통합되어 새로운 맹산군이 재편되었다. 이때 맹산군은 1읍(맹산읍) 26리(대흥리, 중흥리, 향교리, 장동리, 송광리, 매향리, 정평리, 수전리, 신상리, 주포리, 기양리, 인흥리, 시억리, 평지리, 목장리, 방목리, 지성리, 신흥리, 룡암리, 송산리, 광화리, 은포리, 장현리, 풍림리, 유승리, 령운리)로 구성되었다.

이후 몇 차례의 행정구역 조정이 있었다.

  • 1953년 12월: 일부 리의 경계가 조정되었다. 인흥리 일부가 시억리에, 목장리 일부가 중흥리에, 유승리 일부가 령운리에, 장현리 일부가 유승리에 각각 편입되었다. (1읍 26리 유지)
  • 1967년 10월: 리 통폐합이 이루어져 1읍 24리가 되었다. 방목리와 목장리가 합병되어 양산리가 신설되었고, 장현리는 폐지되어 은포리와 유승리에 분할 편입되었다.
  • 1981년 10월: 향교리가 새마을리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읍 24리 유지)

3. 지리

동북부는 높은 산악지대이지만 서쪽으로 갈수록 지세가 낮아져 분지를 이룬다. 분지 안으로는 좁고 긴 평야가 이어져 있다. 동부 중흥리 일대에는 높이 600m 이상의 고위평탄면이 형성되어 있다.

군 면적의 약 86%가 산림으로 이루어져 있어 임산자원이 풍부하다.

3. 1. 인접 행정 구역

4. 기후

연평균기온은 7.9°C이며, 연강수량은 1237mm에 이르러 다우지역에 속하고, 우량의 대부분이 거의 7∼9월에 집중된다. 전형적인 대륙성 기후로, 평균기온이 1월에 -12°C, 8월에 24.3°C로 약 36°C 이상의 큰 연교차를 보인다.

5. 행정 구역

현재 맹산군은 1개의 과 24개의 로 구성되어 있다.

행정구역명(한글)행정구역명(한자)
맹산읍孟山邑
새마을리
장동리長洞里
송산리松山里
광화리廣和里
양산리羊山里
은포리隱浦里
풍림리豊林里
유승리遊勝里
송광리松廣里
매향리梅香里
정평리貞坪里
수전리水田里
신상리新上里
주포리朱浦里
기양리岐陽里
인흥리仁興里
시억리柴億里
대흥리大興里
평지리坪地里
지성리智城里
신흥리新興里
룡암리龍巖里
령운리嶺雲里
중흥리中興里


참조

[1] 간행물 Korean Central Bureau of Statistics: 2008 Population Census http://unstats.un.or[...] 2010-03-31
[2] 웹사이트 평안남도 맹산군 역사 http://www.cybernk.n[...]
[3] 간행물 2008년 인구 조사 http://unstats.un.or[...] 조선중앙통계국 2009
[4] 웹사이트 맹산군(孟山郡)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