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메디이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디이블은 1998년 출시된 플레이스테이션용 액션 어드벤처 게임이다. 플레이어는 주인공 서 대니얼 포르테스크 경이 되어 다양한 무기와 체력 시스템, 영혼의 성배 수집 등을 활용하여 게임을 진행한다. 줄거리는 사악한 마법사 자록의 부활과 갈로미어 왕국을 구하기 위한 댄의 여정을 담고 있다. 이 게임은 개발 당시 독특한 분위기와 유머, 음악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2005년 PSP로 리메이크되었고, 2019년에는 플레이스테이션 4로 동명의 리메이크작이 출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세기를 배경으로 한 비디오 게임 - 단테스 인페르노 (비디오 게임)
    단테스 인페르노는 비세랄 게임즈에서 개발하고 일렉트로닉 아츠에서 배급한 2010년 액션 어드벤처 게임으로, 단테 알리기에리의 신곡 중 지옥편을 각색하여 템플 기사단원 단테가 살해당한 연인의 영혼을 찾아 지옥의 아홉 개의 원을 탐험하며 낫과 성십자가를 사용해 '면죄'와 '처벌' 시스템으로 캐릭터를 강화하고 플랫폼 요소와 퍼즐을 풀어나가는 게임이다.
  • 14세기를 배경으로 한 비디오 게임 - 플래그 테일: 레퀴엠
    《플래그 테일: 레퀴엠》은 아미시아 드 룬이 되어 쥐 떼와 적대적인 인간에 맞서 싸우며 휴고의 마큘라를 치료하기 위해 남쪽으로 향하는 2022년 액션 어드벤처 게임으로, 전투, 잠입, 퍼즐 풀이, 스킬 개발, 장비 업그레이드 등의 특징을 가진다.
  • 스코틀랜드를 배경으로 한 비디오 게임 - 호그와트 레거시
    호그와트 레거시는 1890년대 호그와트를 배경으로 고대 마법을 다루는 5학년 학생이 되어 마법을 배우고 전투하며 고블린 반란 등 주요 사건을 겪는 3인칭 액션 롤플레잉 게임이다.
  • 스코틀랜드를 배경으로 한 비디오 게임 - 드라이브클럽
    드라이브클럽은 에볼루션 스튜디오에서 개발하고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에서 배급한 레이싱 게임으로, 클럽 시스템을 통해 전 세계를 배경으로 다른 플레이어들과 경쟁하고 협력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플레이스테이션 VR 버전과 독립형 확장팩도 출시되었으나 현재는 판매 및 온라인 서비스가 중단되었다.
  • 플레이스테이션 (콘솔) 전용 게임 - 성전사 단바인
    《성전사 단바인》은 1983년 일본에서 방영된 로봇 애니메이션으로, 중세 판타지 세계관과 곤충형 메카닉을 결합하여 오라력과 오라 머신을 활용한 전투를 그린다.
  • 플레이스테이션 (콘솔) 전용 게임 - 삼국무쌍
    삼국무쌍은 코에이 테크모 게임즈에서 개발한 삼국 시대 배경의 1대1 액션 격투 게임으로, 무기 전투와 독특한 방어 시스템, 다양한 시간대 배경, 16명의 플레이어블 캐릭터, 일본 전국 시대 인물 등장 등의 특징을 가지며, 액션과 역사적 배경의 결합, 독특한 시스템으로 호평을 받았으나 배경에 대한 비판도 존재하고 일본과 해외 게임 명칭이 다른 게임이다.
메디이블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유럽판 표지
유럽판 표지
장르액션 어드벤처
핵 앤 슬래시
모드싱글 플레이어
개발
개발사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유럽
유통
배급사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제작진
디렉터크리스 소렐
프로듀서크리스 소렐
디자이너제이슨 윌슨
작가제이슨 윌슨
마틴 폰드
작곡가앤드루 바나바스
폴 아놀드
시리즈
시리즈MediEvil
플랫폼
플랫폼플레이스테이션
출시
유럽1998년 10월 9일
북미1998년 10월 21일
일본1999년 6월 17일
일본 (게임 아카이브)2007년 11월 28일 (PS3/PSP/PS Vita)

2. 게임플레이

첫 번째 레벨


이 게임은 여러 레벨에서 진행되며, 각 레벨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특정 목표를 달성해야 한다. 게임을 진행하면서 댄은 두 종류의 가고일 머리를 만날 수 있다. 녹색 머리 가고일은 댄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파란색 머리 가고일은 댄이 찾은 보물을 사용하여 서비스나 탄약을 구매할 수 있게 해준다.

2. 1. 무기와 장비

서 대니얼 포르테스크는 검, 몽둥이와 같은 근접 무기와 석궁과 같은 원거리 무기를 사용할 수 있다.[35] 많은 무기는 강력한 공격을 위해 충전할 수 있으며, 몽둥이와 같은 일부 무기는 접근할 수 없는 지역에 접근하는 데 사용된다. 아이템을 소지하지 않은 경우, 댄은 팔을 떼어내 근접 및 원거리 공격에 모두 사용할 수 있다.[2] 댄은 방어를 위해 무기와 함께 방패를 장착할 수 있지만, 각 방패는 내구도가 제한되어 있으므로 신중하게 사용해야 한다.

2. 2. 체력 시스템

다니엘의 체력은 체력 바로 표시되며, 공격을 받거나 익사, 높은 곳에서 떨어지면 줄어든다. 다니엘의 체력이 모두 소진되면 게임이 종료된다.[35] 다니엘은 생명의 물약을 모아 최대 체력을 늘릴 수 있으며, 생명의 물약은 체력이 0이 되면 자동으로 체력 바를 채워준다. 또한 게임 곳곳에 숨겨진 생명의 병과 생명의 샘을 통해 체력을 회복하고 빈 생명의 물약을 채울 수 있다.[3]

2. 3. 영혼의 성배

각 레벨에는 숨겨진 영혼의 성배가 있으며, 플레이어가 충분한 수의 적을 처치하면 얻을 수 있다(일부 성배는 다른 방법으로 얻을 수 있다). 특정 적은 영혼이 없으므로 계산되지 않으며, '잠자는 마을'과 '유령의 폐허' 레벨에는 죽이면 성배 획득률을 감소시키는 '착한 영혼'을 가진 NPC가 포함되어 있다.[35] 플레이어가 성배를 가지고 레벨을 완료하면 댄은 영웅의 전당으로 이동하여 영웅과 대화하고 무기와 같은 보상을 받을 수 있다. 모든 성배를 가지고 게임을 완료하면 진정한 엔딩이 공개된다.[35]

3. 줄거리

1286년, 사악한 마법사 자록이 언데드 군대를 이끌고 갈로미어 왕국을 침략하려 했다.[5] 전설에 따르면, 다니엘 포르테스크 경이 왕의 군대를 이끌고 자록을 물리쳤다고 알려졌지만,[4][5] 사실 댄은 전투 시작과 동시에 화살에 맞아 허무하게 죽었다.[5] 왕은 이 사실을 숨기고 댄을 "갈로미어의 영웅"으로 칭송했다.[5]

100년 후, 자록은 다시 나타나 갈로미어에 영원한 밤을 드리우고, 언데드 군대를 깨우는 마법을 걸었다.[4] 이 과정에서 자록은 자신도 모르게 댄을 해골로 부활시켰다.[4] 댄은 이 기회를 통해 자록을 물리치고 진정한 영웅이 되기 위한 모험을 시작한다.[6]

댄은 갈로미어 전역을 여행하며 자록의 군대와 싸우고, 자록의 은신처에 도착한다. 댄은 성배를 통해 얻은 옛 동료들의 영혼을 이용해 자록의 근위병과 싸우고, 자록의 부관인 카독 경을 물리친다.[6][7] 자록은 괴물로 변신하지만, 댄은 결국 그를 물리친다.[7] 자록이 죽으면서 그의 마법은 풀리고, 댄은 다시 영원한 잠에 빠진다.[8][9] 모든 성배를 수집했다면, 댄은 영웅의 전당으로 승천한다.[10]

3. 1. 등장인물

다니엘 포르테스크 경 (Sir Daniel Fortesque): 게임의 주인공이다. 과거 전투에서 처음 발사된 화살에 맞아 비겁하게 죽었지만,[5] 해골로 부활하여 진정한 영웅이 되고자 한다.[6]

자록 (Zarok): 게임의 최종 보스이다. 사악한 마법사로, 언데드 군대를 이끌고 갈로미어 왕국을 지배하려 한다.[5]

카독 경 (Lord Kardok): 자록의 부관이다.[7] 과거 갈로미어 전투에서 댄의 부관인 캐니 팀의 석궁에 눈을 맞아 죽었다.[7]

4. 개발

''메디이블''은 1995년 말 밀레니엄 인터랙티브(Millennium Interactive)에서 개발을 시작했다.[11] 초기 가제는 '데드 맨 댄(Dead Man Dan)'으로, 캡콤의 ''고스트 & 고블린''과 팀 버튼의 ''크리스마스 악몽''을 결합한 게임으로 기획되었다.[12] 이후 개발 과정에서 젤다의 전설과 같은 롤플레잉 게임 요소가 추가되었다.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SCE)가 개발에 참여하면서 플레이스테이션 독점 게임으로 출시되었다.

원래 콘셉트에는 시간이나 예산 제약으로 인해 제거된 레벨과 아이디어가 많았다. 그중 하나로 플레이어가 다니엘의 두개골에 사는 벌레를 조종하는 플랫폼 지향적인 섹션이 있었으나, 콘셉트 아트와 별도 레벨 제작에도 불구하고 게임에는 구현되지 않았다.[15]

폴 다로우가 자록의 목소리를 연기했다.

4. 1. 개발 비화

''메디이블'' 개발은 1995년 말, 독립 개발사 밀레니엄 인터랙티브(Millennium Interactive) 캠브리지 지부에서 시작되었다.[11] ''제임스 폰드''(James Pond) 시리즈로 알려진 크리스 소렐이 ''메디이블''의 오리지널 컨셉을 만들고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를 맡았다. 소렐은 ''제임스 폰드 3''(James Pond 3)를 완성한 후 밀레니엄에 합류하여 시각적인 부분에서 협업을 원했다. 게임 디자이너이자 작가인 제이슨 윌슨이 소렐과 함께 ''메디이블'' 작업을 시작했다.[11]

소렐에 따르면, 초기 디자인 제안은 '''데드 맨 댄''''(Dead Man Dan)이라는 가제로, 캡콤의 ''고스트 & 고블린''(Ghost'n Goblins)과 팀 버튼의 ''크리스마스 악몽''(The Nightmare Before Christmas) 미술 스타일을 결합한 게임이었다.[12] 개발 중 수석 아티스트 윌슨은 게임을 아케이드 스타일에서 벗어나 ''젤다'' 역할 수행 게임에 가깝게 만들었다. 밀레니엄 인터랙티브는 주요 퍼블리싱 계약을 위해 윈도우 95(Windows)와 세가 새턴을 포함한 여러 플랫폼에서 작업을 시작했고,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에 데모를 제공했다. 소니는 ''메디이블''을 플레이스테이션 독점 게임으로 계약했다. 데모 제작에는 각 플랫폼마다 프로그래머가 한 명씩 있었다.[11] 밀레니엄은 재정적 어려움으로 세가, 마이크로소프트 등 퍼블리셔를 빠르게 확보하려 했다.[11]

개발자들은 독특한 주인공을 원했고, 소렐은 수석 작가 마틴 폰드와 함께 주인공 댄서 다니엘 포르테스큐 경의 배경 이야기를 만들었다. 폰드는 다니엘 경이 실패한 허영심 많은 인물이며, 환생이 속죄의 기회라는 아이디어를 냈다.[12][14]

1997년, 프로젝트 승인 6개월 후,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유럽은 밀레니엄 인터랙티브 개발 팀을 인수하여 캠브리지의 두 번째 개발 부서로 통합했다.[12][11] 이는 재정적 부담을 덜었지만, 3D 게임 제작 경험 부족 문제는 여전했다.[14]

소렐은 ''메디이블''이 "산더미 같은 도전 과제"였다고 회고했다. 당시 많은 개발자처럼 3D 게임에 익숙하지 않았고, 일부 팀원은 밤샘 작업을 했다.[14] 그는 "거대한 학습 프로젝트"였다고 묘사했다.[11] 캠브리지 팀은 ''슈퍼 마리오 64'', ''크래시 밴디쿳'' 등 성공적인 플랫폼 게임 베타 버전을 플레이하며 3D 액션 게임 개발 노하우를 습득했다.[12][14]

소니는 ''메디이블''의 플레이스테이션 아날로그 컨트롤러 지원을 요청했고, 소렐은 이를 "운 좋은 사건"이라 묘사했다. 이를 통해 게임 내 유동성과 직관성이 높아졌다. 카메라 및 캐릭터 제어 등 새로운 개념은 많은 단점을 보였고, 팀은 여러 접근 방식을 시도했다. ''메디이블''은 밸런스를 위해 아날로그 및 디지털 카메라 제어를 모두 지원하기로 결정했다.[14] 소렐은 스플라인 카메라 뷰가 첫 시도였지만, 탐험 느낌을 위한 자유가 부족하여 자유형 카메라 뷰로 변경했다고 말했다.[19]

유머는 게임을 이끌었다. 농담은 팀 운영 방식의 반영이었다. 소렐은 유머가 "우연한 사고"였고 적절할 때만 사용했다고 설명했다. 윌슨은 팀이 "젊고 어리석었"고 공포 영화와 코미디를 좋아했으며, 유머는 "우리 성격의 자연스러운 연장"이라고 말했다.[11]

4. 2. 음악

게임의 오리지널 사운드트랙은 "Bob & Barn"으로 더 잘 알려진 음악 듀오인 폴 아놀드와 앤드루 바나바스가 작곡했다. SCE Cambridge는 대니 엘프만에게 ''비틀쥬스'', ''크리스마스 악몽'', ''배트맨 2''와 유사한 영향을 받은 스코어를 작곡하도록 지시했다.[16] 음악은 전자 신시사이저를 사용하여 전체 오케스트라와 오르간을 시뮬레이션하여 만들어졌다.[17]

5. 마케팅 및 출시

마케팅 캠페인 기간 동안 팀은 사진 촬영을 위해 묘지에 자주 가야 했다. 보통은 문제없이 촬영이 진행되었지만, 한 번은 목사가 교회 부지에서 촬영하는 이유를 묻자, 교회에 대한 다큐멘터리를 촬영하는 학생이라고 거짓말을 했다.[14] 마케팅 캠페인에는 소니 케임브리지 스튜디오의 유머도 포함되었다.[19]

''메디이블''은 1998년 10월 북미와 유럽에서 처음 출시되었다.[20] 1999년 6월 17일 일본에서는 ''MediEvil: Yomigaetta Gallowmere no Yūsha''MediEvil: Yomigaetta Gallowmere no Yūsha|메디이블 ~ 되살아난 갈로미어의 용자 ~일본어라는 제목으로 출시되었다.[21] 일본 관객들은 해골이 주인공이라는 설정을 낯설어하여 포테스큐 캐릭터는 인기가 없었다.[14]

이 게임은 나중에 C-12: 파이널 레지스탕스와 함께 2003년 5월 9일에 2디스크 팩으로 출시되었다.[22] 2007년에는 플레이스테이션 네트워크를 통해 다시 출시되었다.[23] 2011년에는 안드로이드 버전으로 출시되었으나, 소니 엑스페리아 플레이와 같은 플레이스테이션 인증 기기에서만 플레이할 수 있다.[24][25]

6. 평가

이 게임은 출시 당시 비평가들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GameRankings에서 80%의 종합 점수를 받았으며[30], 많은 비평가들은 할로윈 분위기를 칭찬했다.[31][2] IGN의 크리스 로퍼는 게임의 유머 감각과 독특한 연출을 칭찬했지만, "엉성한" 조작과 일관성 없는 레벨 디자인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보였다. 특히 PSP 리메이크와 비교했을 때 게임의 그래픽이 시간이 지나면서 긍정적으로 평가받지 못했다고 지적했는데, PSP 리메이크는 더 나은 그래픽과 게임플레이를 제공했다.[31] Game Revolution 또한 유머를 칭찬했지만, 게임이 너무 단순하고 "마스터하기 쉽다"고 비판하며, 그래픽과 게임플레이가 ''반조-카주이''보다 약간 열등하다고 언급했다.[32]

''Edge''는 이 게임이 "어떤 면에서는 잘 만들어졌지만, 다른 면에서는 미개발되었다"고 평가했다. "독창적인" 느낌은 칭찬받았지만, 많은 레벨이 미로 탐색의 단순한 경우로 느껴졌다.[26] ''컴퓨터 앤 비디오 게임스''는 게임의 반복성을 비판했지만, "보기 좋고 플레이도 괜찮다"고 말했다.[27] ''Next Generation''은 어두운 유머를 좋아했지만, 카메라에 대해 불만을 표하며 캐릭터를 부드럽게 따라가지 못한다고 말했다. 결론은 ''메디이블''이 이미 이루어진 것을 반복하는 것에 불과하다는 것이었다.[28] ''Joystick''는 ''메디이블''이 플레이어에게 새로운 변덕이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33]

음악과 분위기는 게임에서 가장 칭찬받는 측면이었다. 많은 리뷰어들은 시각 효과가 팀 버튼의 ''크리스마스 악몽''과 유사하다고 비교했으며, GameSpot의 조 피엘더는 ''메디이블''의 독창적인 외모와 독특한 퍼즐의 수를 높이 평가했지만, 카메라 워크를 비판하며 "더 촘촘한 카메라 컨트롤"이 필요했을 것이라고 요약했다.[34] IGN의 랜디 넬슨은 이 게임을 캡콤의 ''고스트 & 고블린''에 대한 오마주로 간주하며, 게임이 다른 게임에서 너무 많은 영감을 얻었고 "독특함"을 만들기 위한 혁신이 충분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넬슨은 게임의 환경을 칭찬했지만, 게임플레이는 "무분별한 핵 앤 슬래시 난투극"에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했다.[35]

''메디이블''은 2nd Annual Interactive Achievement Awards에서 인터랙티브 예술 과학 아카데미에 의해 "올해의 콘솔 어드벤처 게임" 및 "올해의 콘솔 게임" 부문 후보로 선정되었다.[36]

안드로이드 버전은 Know Your Mobile의 데이미언 맥퍼란에 의해 "다소 비싸다"고 묘사되었지만, 그는 유머와 콘텐츠의 양을 칭찬하며, 이는 이 게임을 다른 안드로이드 3D 액션 게임과 차별화하는 요소라고 말했다.[25]

7. 판매량

이 게임은 1999년 "플레이스테이션 플래티넘" 타이틀로 재출시되었으며, 이는 유럽에서 최소 40만 부 이상 판매되었음을 의미한다.[37]

8. 리메이크

2005년 플레이스테이션 포터블로 ''메디이블: 리서렉션''이라는 제목의 리메이크작이 출시되었다. 원작과 게임 플레이는 비슷하지만, 몇 가지 추가적인 미니 게임과 줄거리 요소가 있다.[38]

2019년에는 플레이스테이션 4용 리메이크가 출시되었다. 이 게임은 미국의 스튜디오 Other Ocean Emeryville에서 개발했다. 1998년 오리지널 게임은 특별한 목표를 완수하면 리메이크에서 잠금 해제할 수 있다.[38] 2000년에는 속편 2편인 ''MediEvil 2''가 발매되었다.[39]

참조

[1] 웹사이트 Sony Ships Spooky Halloween Treat http://www.psxnation[...] 1998-10-21
[2] 웹사이트 MediEvil review and overlook http://www.gamershel[...] GamersHell 2015-04-26
[3] 웹사이트 MediEvil overview http://uk.ign.com/ga[...] IGN 2015-04-26
[4] 문서 Strategy Guide
[5] 서적 MediEvil PlayStation Manual Sony 1998
[6] 문서 Strategy Guide
[7] 문서 Strategy Guide
[8] 비디오 게임 MediEvil Sony 1998
[9] 비디오 게임 MediEvil Sony 1998
[10] 문서 Strategy Guide
[11] 웹사이트 Behind the scenes of MediEvil https://www.gamestm.[...] 2015
[12] 웹사이트 Behind the Classics: MediEvil http://blog.us.plays[...] PlayStation US 2012-09-07
[13] 웹사이트 Postcard from GDC Europe 2005: Postmortem: SCEE's WipEout Pure http://www.gamasutra[...] UBM 2005-09-07
[14] 간행물 The Making Of: MediEvil http://www.meanmachi[...] Imagine Publishing
[15] 웹사이트 MediEvil developers Q&A http://www.sirdaniel[...] ProBoards
[16] 웹사이트 Interview with composer Paul Arnold http://www.gsoundtra[...] GSoundtracks
[17] 웹사이트 Sumthing Else Music Works Announces Release Of The Original Soundtrack CD For The PSP video game MediEvil Resurrection http://www.gamesindu[...] Gamer Network 2006-01-31
[18] 웹사이트 MediEvil Resurrection Original Soundtrack Album http://www.bobandbar[...] Bob and Barn
[19] 서적 Retro Volume 8 Imagine Publishing 2015
[20] 웹사이트 PlayStation - News http://www.scea.com/[...] 2001-12-30
[21] 간행물 メディーバル 〜甦ったガロメアの勇者〜 まとめ [PS] https://www.famitsu.[...] Enterbrain
[22] 웹사이트 MediEvil / C-12: Final Resistance http://www.gamespot.[...] CBS Interactive Inc.
[23] 웹사이트 Downloaded PSone games finally available for play on the PS3 https://arstechnica.[...] Condé Nast 2007-05-04
[24] 웹사이트 MediEvil™ https://play.google.[...]
[25] 웹사이트 MediEvil review [Xperia Play] http://www.knowyourm[...] Dennis Publishing 2011-05-19
[26] 간행물 MediEvil Future plc 1998-11
[27] 간행물 MediEvil https://archive.org/[...] EMAP 1998-11
[28] 간행물 MediEvil https://archive.org/[...] Imagine Media 1998-12
[29] 간행물 Medievil 1998-11
[30] 웹사이트 GameRankings score http://www.gameranki[...] GameRankings
[31] 웹사이트 MediEvil review http://uk.ign.com/ar[...] IGN 2007-04-09
[32] 웹사이트 MediEvil review (GameRevolution) http://www.gamerevol[...] CraveOnline
[33] 간행물 Medievil [sic] 1998-10
[34] 웹사이트 MediEvil Review http://www.gamespot.[...] GameSpot 1998-10-23
[35] 웹사이트 MediEvil – IGN http://uk.ign.com/ar[...] IGN 1998-10-22
[36] 웹사이트 Second Interactive Achievement Awards - Console http://www.interacti[...] Academy of Interactive Arts & Sciences 2022-12-28
[37] 웹사이트 MediEvil (Platinum) (EU, 1999) https://www.gamerank[...] 2018-10-04
[38] 웹사이트 PlayStation Blogcast 311: No Bones About It https://blog.us.play[...] 2018-10-25
[39] Youtube MediEvil 3: Fate’s Arrow [PS2 – Cancelled Pitch] - Unseen 64 https://www.unseen64[...]
[40] 서적 電撃王 メディアワークス 1999-06-01
[41] 웹인용 GameRankings score http://www.gameranki[...] GameRankings 2015-04-24
[42] 웹인용 MediEvil review (GameRevolution) http://www.gamerevol[...] CraveOnline 2015-04-23
[43] 웹인용 MediEvil Review http://www.gamespot.[...] GameSpot 1998-10-23
[44] 웹인용 MediEvil – IGN http://uk.ign.com/ar[...] IGN 1998-10-22
[45] 웹인용 MediEvil review http://uk.ign.com/ar[...] IGN 2007-04-09
[46] 간행물 MediEvil 퓨처 (기업) 1998-11
[47] 간행물 MediEvil https://archive.org/[...] EMAP 2017-08-22
[48] 간행물 MediEvil https://archive.org/[...] Imagine Media 2017-08-22
[49] 간행물 Medievil 1998-11
[50] 웹인용 MediEvil review [Xperia Play] http://www.knowyourm[...] Dennis Publishing 2017-09-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