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메리트 훈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리트 훈장은 영국에서 수여되는 훈장으로, 군주가 직접 선정하며 군사, 예술, 문학,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특별한 공헌을 한 사람에게 수여된다. 1902년 에드워드 7세에 의해 제정되었으며, 24명의 정원과 외국인 명예 회원으로 제한된다. 훈장은 금색 왕관과 붉은 십자가가 있는 배지로 구성되며, 군사 공로자에게는 검 두 자루가 추가된다. 메리트 훈장은 대영 제국 훈장 나이트 그랜드 크로스 다음 서열이며, 수여자는 이름 뒤에 'OM'을 붙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드워드 7세 - 샌드링엄 하우스
    샌드링엄 하우스는 잉글랜드 노퍽에 위치한 왕실 저택으로, 1771년 시작되어 1862년 왕세자 에드워드 7세가 매입하여 왕실 별장으로 사용되었으며, 2022년 찰스 3세에게 상속되었고, 1977년부터 대중에게 개방되어 박물관으로 운영되고 있다.
  • 에드워드 7세 - 덴마크의 알렉산드라
    덴마크의 알렉산드라는 덴마크 크리스티안 9세의 딸로 태어나 웨일스 공 알베르트 에드워드와 결혼하여 웨일스 공녀가 되었고, 이후 영국 왕비로서 자선 활동과 사회 공헌에 헌신하며 패션 아이콘으로도 큰 영향을 미쳤다.
  • 영국의 훈장 - 바스 훈장
    바스 훈장은 1399년 기원을 둔 영국의 기사 작위 훈장으로, '입욕 기사'에서 유래, 1725년 재창설 후 3등급 체계로 개편되어 군인과 문민, 여성에게 수여되며 고위 공무원 및 장교, 외국 원수에게 수여되고 웨스트민스터 사원에 문장이 전시된다.
  • 영국의 훈장 - 가터 훈장
    가터 훈장은 1348년 에드워드 3세가 창설한 영국의 최고 훈장으로, "악의적으로 생각하는 자에게 수치가 있으리라!"라는 모토를 가지며 국왕, 왕족, 외국 군주, 24명의 기사와 여성 동료로 구성되고, 가터, 황금 목걸이와 휘장, 대수장, 훈장 등으로 이루어져 매년 6월 윈저 성에서 서임식과 연례 예배가 거행된다.
  • 메리트 훈장 - 버트런드 러셀
    버트런드 러셀은 20세기 분석철학의 기초를 다지고 수학의 논리적 환원을 시도한 영국의 철학자, 논리학자, 수학자, 역사가, 사회 비평가, 정치 운동가로, 평화 운동에 참여했으며 노벨 문학상을 수상하여 여러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 메리트 훈장 - 앤드루 커닝엄
    앤드루 브라운 커닝엄은 영국의 해군 제독으로,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활약하며 특히 제2차 세계 대전 중 지중해 함대 사령관으로서 혁혁한 공을 세웠고, 해군 원수로 진급 후 제1해군경 겸 해군참모총장으로서 영국 해군을 이끌었다.
메리트 훈장
개요
훈장의 배지 및 리본 (여성 수령자용)
훈장의 배지 및 리본 (여성 수령자용)
종류공로 훈장
수여 대상영연방 왕국의 모든 생존 시민
수여 조건국왕의 뜻에 따라
모토"For Merit" (공훈을 위하여)
수립일1902년 6월 26일
제정자에드워드 7세
주권자찰스 3세
서기관 겸 등록관로빈 얀브린 남작
등급회원 (OM)
서열국가에 따라 다름
훈장의 약장
상세 정보
수여 대상군사적 공훈, 문화 진흥, 공공 복지에 기여한 영연방 왕국의 모든 시민 및 외국인
정원24명 (외국인 수상자는 정원 외)

2. 역사

조지 3세는 1773년경 예술가와 작가를 위한 기사 작위 훈장인 "미네르바 훈장" 설립을 구상했으나, 지식인 사회 내 논쟁으로 인해 포기했다.[4] 1789년에 재검토되었지만 실현되지 않았다.[5] 1805년 트라팔가르 해전 이후 찰스 미들턴, 제1대 바람 경과 윌리엄 피트가 공로훈장 설립을 논의했으나 역시 무산되었다.[6]

빅토리아 여왕과 알버트 공 부부는 프로이센의 ''Pour le Mérite'' 훈장을 참고하여 예술, 문학, 과학 등 공공 서비스 외 분야의 업적을 기리는 새로운 훈장의 필요성을 느꼈다.[6] 1844년 알버트 공은 로버트 필 경과 이 문제를 논의했다.[8] 1888년 로버트 가스코인-세실, 제3대 솔즈베리 후작 수상이 과학 및 예술 공로훈장 초안을 제안했으나, 프레데릭 레이턴의 반대로 무산되었다.[9]

1902년 에드워드 7세가 "해군과 육군에서 특별히 공로가 있는 봉사를 했거나 예술, 문학, 과학 발전에 특별히 공로가 있는 봉사를 한 사람"을 인정하기 위해 공로훈장을 설립했다.[11] 군인들을 위한 분과를 포함하여 훈장의 모든 현대적인 측면은 그의 지휘하에 확립되었다.[3]

초기에는 수상자 선정에 대한 로비 시도가 있었으나, 왕실은 정보를 보호했다.[3] 1931년 웨스트민스터 법령 이후에도 영국 연방 왕국들에 개방된 훈장으로 유지되었고,[12] 1935년 왕립 공군 구성원이 포함되었으며, 1969년에는 영연방 구성원에게도 명예 수상이 가능하도록 확대되었다.

플로렌스 나이팅게일은 1907년 이 훈장을 받은 첫 여성이었다. 러디어드 키플링, A. E. 하우스먼, 조지 버나드 쇼 등은 수상을 거부했다. 에든버러 공작 필립은 1968년 47세의 나이로 훈장을 받아 최연소 수훈자로 기록되었다.[3]

로빈 이임스는 2023년 5월 6일 찰스 3세와 카밀라의 즉위식에서 훈장을 대표했다.[13]

2. 1. 설립 배경

1773년경, 조지 3세는 24명의 저명한 예술가와 작가로 구성원을 제한하는 "미네르바 훈장"이라는 기사 작위 훈장 설립을 고려했다.[4] 기사들은 ''KM''이라는 훈장 후 약자를 사용하고, 가슴에 미네르바 이미지가 있는 은색 아홉 꼭지 별과 오른쪽 어깨에서 가슴을 가로지르는 "밀짚색" 리본을 착용할 예정이었다.[4] 훈장의 모토는 라틴어로 ''"Omnia posthabita scientiae"''('모든 것은 과학 다음이다')였다.[4] 그러나 왕의 제안이 공개되자 지식인 사회 내에서 누가 새로운 훈장을 받을 자격이 있는지에 대한 논쟁이 격렬해져 조지 3세는 결국 이 생각을 포기했다.[4] 1789년에 잠시 재고려했는데, 2월 6일 그는 훈장 디자인을 개정하여 가슴 별에 16개의 꼭지를 만들고, 모토를 라틴어로 "학문은 인격을 향상시킨다"로 바꾸고, 저명한 과학자들을 포함시키기로 했다.[5]

1805년 트라팔가르 해전 이후, 해군성 장관 찰스 미들턴, 제1대 바람 경과 윌리엄 피트는 공로훈장 설립에 관해 서신을 교환했지만, 아무런 결실을 맺지 못했다.[6]

이후 빅토리아 여왕, 그녀의 궁정 신하들, 그리고 정치인들은[7] 프로이센의 훈장인 ''Pour le Mérite''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훈장이 예술, 음악, 문학, 산업, 과학 등 공공 서비스 이외의 분야에서 이루어진 업적에 대해 기존의 훈장 제도가 제공하는 인정이 부족한 점을 보완할 것이라고 생각했다.[6] 빅토리아의 남편인 알버트 공은 이 문제에 관심을 가졌고, 그의 일기에 1844년 1월 16일에 "문민 공로훈장 설립에 대한 아이디어"를 논의하기 위해 로버트 필 경을 만났고, 3일 후 여왕과 이 문제에 대해 협의했다는 기록이 있다.[8]

당시에는 아무런 결실을 맺지 못했지만, 그 개념은 사라지지 않았고, 40년 이상이 지난 1888년 1월 5일, 수상 로버트 가스코인-세실, 제3대 솔즈베리 후작은 당시 미망인이 된 여왕에게 과학과 예술 공로훈장에 대한 헌장 초안을 제출했는데, 이는 두 개의 기사 작위 분과로 나뉜 한 등급으로 구성되었다. 과학 공로 기사를 위한 과학 공로훈장(훈장 후 약자 ''KMS'')과 예술 공로 기사를 위한 예술 공로훈장(훈장 후 약자 ''KMA'')이었다. 그러나 프레데릭 레이턴, 왕립 예술 아카데미 회장은 주로 선정 과정 때문에 새로운 훈장에 반대했다.[9]

에드워드 7세, 공로훈장 창설자


결국 빅토리아의 아들 에드워드 7세가 1902년 6월 26일(원래 그의 즉위식이 예정되었던 날짜[10])에 "우리 해군과 육군에서 특별히 공로가 있는 봉사를 했거나 예술, 문학, 과학 발전에 특별히 공로가 있는 봉사를 한 사람"을 인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공로훈장을 설립했다.[11] 군인들을 위한 분과를 포함하여 훈장의 모든 현대적인 측면은 그의 지휘하에 확립되었다.[3]

2. 2. 에드워드 7세의 제정

에드워드 7세는 1902년 6월 26일에 "해군과 육군에서 특별히 공로가 있는 봉사를 했거나 예술, 문학, 과학 발전에 특별히 공로가 있는 봉사를 한 사람"을 인정하기 위해 메리트 훈장을 설립했다.[11] 군인을 위한 분과를 포함한 훈장의 모든 현대적인 측면은 그의 지휘하에 확립되었다.[3]

이 훈장은 프로이센 왕국의 푸르르 메리트 훈장을 본떠 만들어졌다. 푸르르 메리트 훈장에는 군사 부문의 “전공장”(Militärklasse)과 예술·문화 부문의 “과학예술장”(Wissenschaften und Künste)이 있었지만, 메리트 훈장은 배지 디자인에 차이가 있지만 같은 훈장으로 여겨진다. “공공 복지에 대한 공헌” 부문이 추가되어 정치인도 수여 대상이 되었다.

메리트 훈장은 중수장 형태를 취한 단일 등급의 훈장이다. 배지는 금색 왕관과 붉은 십자가로 장식되어 있다. 군사 공로자에게는 중앙에 교차된 검 두 자루의 무늬를 넣은 기장을 주어 다른 공로자와 구별한다. 리본(綬)의 색깔은 빨강과 파랑이며, 남성은 이 綬에 꿰어 목에 걸고, 여성은 나비 매듭의 綬를 왼쪽 어깨에 붙인다.

2. 3. 발전 과정

1773년경, 조지 3세는 24명의 저명한 예술가와 작가로 구성원을 제한하는 기사 작위 훈장인 "미네르바 훈장" 설립을 고려했다.[4] 기사들은 ''KM''이라는 훈장 후 약자를 사용하고, 가슴에 미네르바 이미지가 있는 은색 아홉 꼭지 별과 오른쪽 어깨에서 가슴을 가로지르는 "밀짚색" 리본을 착용했다.[4] 훈장의 모토는 라틴어로 ''"Omnia posthabita scientiae"''('모든 것은 과학 다음이다')였다. 그러나 왕의 제안이 공개되자 지식인 사회 내에서 누가 새로운 훈장을 받을 자격이 있는지에 대한 논쟁이 치열해져 조지 3세는 결국 그 생각을 포기했다.[4] 1789년에 잠시 재고려했는데, 2월 6일 그는 훈장 디자인을 개정하여 가슴 별에 16개의 꼭지를 만들고, 모토를 라틴어로 "학문은 인격을 향상시킨다"로 바꾸고, 저명한 과학자들을 포함시키기로 했다.[5] 1805년 트라팔가르 해전 이후, 해군성 장관 찰스 미들턴, 제1대 바람 경과 윌리엄 피트는 공로훈장 설립에 관해 서신을 교환했지만, 아무런 결실을 맺지 못했다.[6]

이후 빅토리아 여왕, 그녀의 궁정 신하들, 그리고 정치인들은[7] 프로이센의 훈장인 ''Pour le Mérite''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훈장이 예술, 음악, 문학, 산업, 과학 등 공공 서비스 이외의 분야에서 이루어진 업적에 대해 기존의 훈장 제도가 제공하는 인정이 부족한 점을 보완할 것이라고 생각했다.[6] 빅토리아의 남편인 알버트 공은 이 문제에 관심을 가졌고, 그의 일기에 1844년 1월 16일에 "문민 공로훈장 설립에 대한 아이디어"를 논의하기 위해 로버트 필 경을 만났고, 3일 후 여왕과 이 문제에 대해 협의했다는 기록이 있다.[8]

당시에는 아무런 결실을 맺지 못했지만, 그 개념은 사라지지 않았고, 40년 이상이 지난 1888년 1월 5일, 수상 로버트 가스코인-세실, 제3대 솔즈베리 후작은 당시 미망인이 된 여왕에게 과학과 예술 공로훈장에 대한 헌장 초안을 제출했는데, 이는 두 개의 기사 작위 분과로 나뉜 한 등급으로 구성되었다. 과학 공로 기사를 위한 과학 공로훈장(훈장 후 약자 ''KMS'')과 예술 공로 기사를 위한 예술 공로훈장(훈장 후 약자 ''KMA'')이었다. 그러나 프레데릭 레이턴, 왕립 예술 아카데미 회장은 주로 선정 과정 때문에 새로운 훈장에 반대했다.[9]

결국 빅토리아의 아들 에드워드 7세가 1902년 6월 26일(원래 그의 즉위식이 예정되었던 날짜[10])에 "우리 해군과 육군에서 특별히 공로가 있는 봉사를 했거나 예술, 문학, 과학 발전에 특별히 공로가 있는 봉사를 한 사람"을 인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공로훈장을 설립했다.[11] 군인들을 위한 분과를 포함하여 훈장의 모든 현대적인 측면은 그의 지휘하에 확립되었다.[3]

처음부터 수상들은 후보를 제안하거나 로비를 통해 군주가 임명에 대한 결정에 영향을 미치려고 시도했다. 그러나 왕실은 잠재적인 이름에 대한 정보를 완강하게 보호했다.[3] 1931년 웨스트민스터 법령이 발효되고 영국 연방의 영국령이 영국과 동등한 지위를 가진 제국 내의 독립국이 된 후에도 공로훈장은 이러한 모든 왕국에 개방된 훈장으로 남아 있었고, 많은 국가에서 새롭게 발전하는 국가 훈장 제도의 일부가 되었다.[12] 1935년 훈장 규정이 개정되어 왕립 공군 구성원이 포함되었고, 1969년 명예 수상자의 정의가 왕국이 아닌 영연방 구성원을 포함하도록 확장되었다.

이 훈장은 항상 여성에게 개방되어 있었으며, 플로렌스 나이팅게일이 1907년에 이 훈장을 받은 첫 여성이었다. 러디어드 키플링, A. E. 하우스먼, 조지 버나드 쇼를 포함한 여러 사람들이 공로훈장 수여를 거부했다. 에든버러 공작 필립은 1968년 47세의 나이에 엘리자베스 2세 여왕으로부터 받았으므로 공로훈장을 받은 사람 중 가장 젊은 사람으로 남아 있다.[3]

로빈 이임스, 이임스 남작은 2023년 5월 6일 찰스 3세와 카밀라의 즉위식에서 훈장을 대표했다.[13]

3. 수여 기준 및 절차

메리트 훈장은 1902년 에드워드 7세 시대에 프로이센 왕국의 푸르르 메리트 훈장을 본떠 제정되었다. 푸르르 메리트 훈장은 군사 부문의 “전공장”(Militärklasse)과 예술·문화 부문의 “과학예술장”(Wissenschaften und Künste)으로 나뉘었으나, 메리트 훈장은 배지 디자인에 차이가 있지만 같은 훈장으로 여겨진다. 메리트 훈장에는 “공공 복지에 대한 공헌” 부문이 추가되어 정치인도 수여 대상이 되었다.

형식은 푸르르 메리트 훈장이나 일본의 문화훈장과 마찬가지로, 중수장 형태의 단일 등급 훈장이다. 배지는 금색 왕관과 붉은 십자가로 장식되어 있으며, 군사 공로자에게는 중앙에 교차된 검 두 자루의 무늬를 넣은 기장이 추가되어 구별된다. 리본(綬)의 색깔은 빨강과 파랑이며, 남성은 綬에 꿰어 목에 걸고, 여성은 나비 매듭 모양의 綬를 왼쪽 어깨에 붙인다.

메리트 훈장은 대영제국 훈장 나이트 그랜드 크로스와 세인트 마이클 세인트 조지 훈장 나이트 그랜드 크로스 사이에 위치한다. 가터 훈장이나 씨슬 훈장은 신분, 대영제국 훈장은 지위나 직책이 기준인 반면, 메리트 훈장은 개인의 공적을 기준으로 한다. 또한 수여 결정권이 군주에게 있으며 영국 내각의 자문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점도 다른 훈장과 구별된다.

문화 및 공공 복지 부문(정치인) 공로자에게는 군사 부문이 없는 컴패니언스 오브 오너 훈장이 메리트 훈장 바로 아래에 위치한다.

공공 복지 부문에서는 수상이 퇴임하면 관례적으로 메리트 훈장을 받았으며, 수상 경험자가 가터 훈장을 받기 위한 조건으로 여겨지기도 했다. 존 메이저는 퇴임 시 컴패니언스 오브 오너 훈장을 받았으나, 메리트 훈장은 받지 못했다.

3. 1. 수여 대상

공동체 왕국의 모든 국민은 메리트 훈장 수여 대상이 된다.[2] 명예 수여자를 제외하고, 훈장은 언제나 24명의 생존자만이 받을 수 있다.[3] 새로운 회원은 현재 찰스 3세인 왕국 국왕이 비서관의 도움을 받아 직접 선발한다.[3] 이 훈장은 "지구상에서 받을 수 있는 가장 권위 있는 영예"라고 묘사되기도 한다.[14]

제한된 회원 수 내에는 고유 휘장을 가진 지정된 군 부문이 있다. 현재는 인원이 없으며, 마지막으로 이 영예를 받은 사람은 마운트배튼 백작이다.[3]

군공 메리트 훈장을 받은 라이프가드 정장 차림의 마운트배튼 백작


명예 회원들은 수적 제한은 없지만, 임명은 드물다. 찰스 국왕이 이끄는 국가가 아닌 영연방 국가의 개인은 외국인으로 간주되므로, 넬슨 만델라(남아프리카 공화국)와 테레사 수녀(인도)와 같이 명예 회원 자격만 부여된다.[1]

메리트 훈장을 받은 야마가타 아리토모(山縣有朋)


도로시 호지킨의 여성 민간인용 메리트 훈장(왕립협회에 전시)


메리트 훈장 수여자는 'OM'이라는 이름 뒤에 붙이는 약자를 사용할 자격이 있으며 훈장의 훈장을 받는다.

마지막 명예 회원인 넬슨 만델라가 2013년 12월 사망한 이후로 메리트 훈장의 명예 회원은 없었다.[18]

이 훈장은 개인의 공적이 기준이기 때문에 다른 훈장과 비교해 왕족 수상자가 적다. 또한 수여 결정권이 군주에게 있으며 영국 내각의 자문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영연방 왕국에서 작위를 인정하지 않는 국가에서는 이를 최고 훈장으로 하는 경우도 있다.

영국의 훈장은 종류에 따라 수여 기준과 대상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프랑스레지옹 도뇌르 훈장처럼 하위 훈장부터 순차적으로 훈위가 올라가는 것이 아니다.

3. 2. 정원 및 선정

공동체 왕국의 모든 국민은 메리트 훈장 수여 대상이 된다.[2] 명예 수여자를 제외하고는 언제든지 24명의 생존자만 훈장을 받을 수 있으며, 새로운 회원은 현재 찰스 3세인 국왕이 비서관의 도움을 받아 직접 선발한다.[3] 따라서 이 훈장은 "아마도 지구상에서 받을 수 있는 가장 권위 있는 영예일 것"이라고 묘사되었다.[14]

제한된 회원 수 내에는 고유 휘장을 가진 지정된 군 부문이 있다. 폐지되지는 않았지만 현재는 인원이 없으며, 마지막으로 이 영예를 받은 사람은 마운트배튼 백작 루이스 마운트배튼이다.[3]

명예 회원들은 또 다른 그룹을 구성하며, 수적 제한은 없지만 그러한 임명은 드물다. 찰스 국왕이 이끄는 국가가 아닌 영연방 국가의 개인은 외국인으로 간주되므로, 넬슨 만델라(남아프리카 공화국)와 테레사 수녀(인도)와 같이 명예 회원 자격만 부여된다.[1]

메리트 훈장 수여자는 'OM'이라는 이름 뒤에 붙이는 약자를 사용할 자격이 있으며 훈장의 훈장을 받는다.

구분번호이름주요 업적수여 연도현재 나이
1노먼 포스터건축가, 프리츠커상 수상자(포스터 앤 파트너스)1997
2로저 펜로즈수학 물리학자, 노벨상 수상자(펜로즈 타일링)2000
3톰 스토파드극작가2000
4데이비드 애튼버러텔레비전 방송인, 환경 운동가2005
5로빈 이임스아일랜드 대주교(아일랜드의 최고 사제), 암 대주교(아마의 대주교 (아일랜드 교회))2007
6팀 버너스-리월드 와이드 웹 발명가, 월드 와이드 웹 재단 설립자, 월드 와이드 웹 컨소시엄 소장2007
7마틴 리스왕립 천문학자, 왕립 학회 회장2007
8장 크레티앵캐나다 총리2009
9닐 맥그리거미술사학자, 대영박물관 관장2010
10데이비드 호크니화가2012
11존 하워드오스트레일리아 총리2012
12사이먼 래틀지휘자2014
13마그디 야쿠브심장흉부외과 의사2014
14아라 다르지외과의사2016
15앤 돌링기계 공학자2016
16제임스 다이슨발명가, 산업 디자이너2016
17엘리자베스 애니온우간호사2022
18플로엘라 벤자민방송인2022
19마가렛 맥밀란작가, 토론토 트리니티 칼리지 학장2022
20데이비드 아자예건축가2022
21폴 너스유전학자,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2022
22벤키 라마크리슈난구조 생물학자, 노벨 화학상 수상자2022
23공석
24공석



서열은 대영제국 훈장 나이트 그랜드 크로스와 세인트 마이클 세인트 조지 훈장 나이트 그랜드 크로스 사이에 위치하지만, 수여 기준을 비교해 보면 가터 훈장이나 씨슬 훈장은 신분, 대영제국 훈장은 지위나 직책인 데 반해, 이 훈장은 개인의 공적이 기준이다. 따라서 다른 훈장과 비교해 왕족 수상자가 적다. 또한 수여 결정권이 군주에게 있으며 영국 내각의 자문을 필요로 하지 않는 점도 다른 많은 훈장과 다른 점이다. 그리고 세인트 마이클 세인트 조지 훈장 이하의 나이트 그랜드 크로스 훈장이나 나이트 커맨더 훈장보다 상위에 있으면서 기사 작위를 받지 않기 때문에 영연방 왕국에서 작위를 인정하지 않는 국가에서는 이를 최고 훈장으로 하는 경우도 있다.

영국의 훈장은 종류에 따라 수여 기준과 대상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프랑스레지옹 도뇌르 훈장처럼 하위 훈장부터 순차적으로 훈위가 올라가는 것이 아니라, 어떤 종류와 등급의 훈장을 받을지는 개인의 경력에 따라 다르다. 따라서 종류가 다르면 서열이 낮은 훈장을 나중에 받는 것도 드물지 않으며, 예를 들어, 마운트배튼 백작 루이스 마운트배튼은 대영제국 훈장 나이트 그랜드 크로스보다 나중에 이 훈장을 받았다. 반면, 군인이 아닌 사람은 메리트 훈장을 받더라도 대영제국 훈장(군인·관료)을 거의 받지 못하며, 세인트 마이클 세인트 조지 훈장(외교관·행정관)이나 왕립 빅토리아 훈장(왕족·왕실 관계 공직)과 중복되는 경우도 없다.

3. 3. 훈장의 형태 및 착용

훈장은 금으로 된 왕관에 붉은색 유약을 입힌 팔꽃십자(cross pattée)가 매달린 배지로 구성되며, 그 중앙에는 청색 유약 원판이 있고 월계수 화관으로 둘러싸여 있다.[15] 배지 중앙 원판의 앞면에는 금색 글씨로 "FOR MERIT"라고 쓰여 있으며, 뒷면에는 재위 중인 국왕의 휘장이 금색으로 새겨져 있다. 군인에게 수여되는 훈장은 중앙 원판 뒤에 십자로 교차된 검이 추가로 장식되어 구분된다.[2]

엘리자베스 2세 재위(1952~2022) 기간에 수여된 훈장 뒷면


공로훈장의 휘장은 빨간색과 파란색 두 줄무늬로 나뉘어져 있다. 목걸이 휘장은 폭이 50mm이고, 가슴에 다는 리본은 영국 군인 또는 민간인이 착용하는 표준 크기인 32mm이다.[16] 남성은 목걸이에 배지를 착용하고, 여성은 왼쪽 어깨에 리본으로 만든 활 모양으로 배지를 착용하며, 부관(Aide-de-camp)은 견장(aiguillette)에 훈장을 착용할 수 있다.[15]

4. 주요 수훈자

메리트 훈장은 군사, 문화, 공공복지 부문을 통틀어 국왕과 24명으로 인원이 제한되지만, 외국인에게는 정원 외로 수여된다. 1907년 플로렌스 나이팅게일이 여성으로서는 처음으로 이 훈장을 받았다.[28]

번호국적성명(직업 등)서훈일사망일회원 종류비고
4존 윌리엄 스트럿 (제3대 레이리 남작, 물리학자)1902년 6월 26일1919년 6월 30일
5윌리엄 톰슨 (초대 켈빈 남작, 물리학자)1902년 6월 26일1907년 12월 17일
6조세프 리스터 (초대 리스터 남작, 외과의)1902년 6월 26일1912년 2월 10일
8존 몰리 (초대 블랙번의 몰리 자작, 정치가)1902년 6월 26일1923년 9월 23일
9윌리엄 에드워드 하트폴 레키 (역사학자)1902년 6월 26일1903년 10월 22일
11윌리엄 허긴스 (천문학자)1902년 6월 26일1910년 5월 12일
15리처드 클래버하우스 제브 (고전학자)1905년 6월 30일1905년 12월 9일
22에블린 베어링 (초대 크로머 백작, 이집트 총독)1906년 6월 29일1917년 1월 29일
23제임스 브라이스 (초대 브라이스 자작, 법률가, 정치가)1907년 2월 11일1922년 1월 22일
24조셉 돌턴 후커 (식물학자)1907년 6월 30일1911년 12월 10일
26헨리 잭슨 (고전학자)1908년 6월 26일1921년 9월 25일
27알프레드 러셀 월리스 (자연 과학자)1908년 6월 26일1913년 11월 7일
28윌리엄 크룩스 (화학자, 물리학자)1910년 7월 8일1919년 4월 4일
30조지 오토 트레벨리언 (제2대 준남작, 역사가)1911년 6월 19일1928년 8월 17일
33조셉 존 톰슨 (물리학자)1912년 3월 15일1940년 8월 30일
34아치볼드 게이키 (지질학자)1914년 1월 1일1924년 11월 10일
36리처드 홀데인 (초대 홀데인 자작, 정치가)1915년 5월 26일1928년 8월 19일
39아서 밸푸어 (초대 밸푸어 백작, 총리)1916년 6월 3일1930년 3월 19일
44데이비드 로이드 조지 (초대 도아이포의 로이드 조지 백작, 총리)1919년 8월 5일1945년 3월 26일
46프랜시스 허버트 브래들리 (철학자)1924년 6월 3일1924년 9월 18일
47찰스 셰링턴 (생리학자)1924년 6월 3일1952년 3월 4일
48제임스 프레이저 (사회인류학자)1925년 1월 1일1941년 5월 7일
49 / 얼네스트 러더퍼드 (물리학자)1925년 1월 1일1937년 10월 19일
50찰스 알저넌 파슨스 (기술자)1927년 6월 3일1931년 2월 11일
51조지 아브라함 그리어슨 (언어학자)1928년 6월 4일1941년 3월 9일
54 / 사뮤엘 알렉산더 (철학자)1930년 6월 3일1938년 9월 13일
56G. M. 트레벨리언 (역사가)1930년 6월 3일1962년 7월 21일
59헨리 브래그 (물리학자)1931년 6월 3일1942년 3월 10일
60J. W. 맥케일 (저술가)1935년 1월 1일1945년 12월 13일
63프레데릭 호프킨스 (생리학자)1935년 6월 3일1947년 5월 16일
65허버트 피셔 (역사가, 정치가)1937년 2월 1일1940년 4월 18일
66로버트 베이든-파웰 (보이스카우트 연맹 총장)1937년 5월 11일1941년 1월 8일
67아서 에딩턴 (천체물리학자)1938년 6월 9일1944년 11월 22일
69제임스 진스 (물리학자, 천문학자, 수학자)1939년 1월 2일1946년 9월 16일
71 / 길버트 머레이 (고전학자)1941년 1월 1일1957년 5월 20일
74에드가 어드리안 (전기생리학자)1942년 6월 11일1977년 8월 4일
75윌리엄 홀즈워스 (법학자)1943년 1월 1일1944년 1월 2일
77시드니 웹 (초대 패스필드 남작, 정치가)1944년 6월 8일1947년 10월 13일
78헨리 할릿 데일 (뇌과학자)1944년 6월 8일1968년 7월 23일
80 / 알프레드 노스 화이트헤드 (수학자, 철학자)1945년 1월 1일1947년 12월 30일
82윈스턴 처칠 (총리)1946년 1월 1일1965년 1월 24일
86에드워드 우드 (초대 할리팩스 백작, 정치가)1946년 6월 13일1959년 12월 23일
87얀 스마츠 (남아프리카 연방 총리)1947년 1월 1일1950년 9월 11일
88존 와이너트 (주 영국 미국 대사)1947년 1월 1일1947년 11월 3일명예 회원
89윌리엄 라이언 맥켄지 킹 (캐나다 총리)1947년 11월 17일1950년 7월 22일
91로버트 로빈슨 (화학자)1949년 6월 9일1975년 2월 8일
92버트런드 러셀 (제3대 러셀 백작, 수학자, 철학자)1949년 6월 9일1970년 2월 2일
93알렉산더 캐드건 (외무차관)1951년 1월 1일1968년 7월 9일
95조지 에드워드 무어 (철학자)1951년 6월 7일1958년 10월 24일
96클레멘트 애틀리 (초대 애틀리 백작, 총리)1951년 11월 5일1967년 10월 8일
97 / 와일더 펜필드 (신경외과의)1953년 1월 1일1976년 4월 5일
99알베르트 슈바이처 (신학자, 철학자, 의사)1955년 2월 25일1965년 9월 4일명예 회원
100말콤 헤일리 (초대 헤일리 남작, 영국령 인도 제국 행정관)1956년 5월 31일1969년 6월 1일
101존 콕크로프트 (물리학자)1957년 1월 1일1967년 9월 18일
102존 앤더슨 (초대 웨벌리 자작, 정치가)1957년 12월 8일1958년 1월 4일
103프랭크 맥퍼런 버넷 (바이러스학자)1958년 6월 12일1985년 8월 31일
104허버트 새뮤얼 (정치가)1958년 11월 21일1963년 2월 2일
106시릴 힌셀우드 (물리화학자)1960년 4월 23일1967년 10월 9일
108제프리 드 해빌랜드 (항공 기술자)1962년 11월 23일1965년 5월 21일
110오웬 딕슨 (오스트레일리아의 판사)1963년 5월 29일1972년 7월 7일
111사르베팔리 라다크리슈난 (인도의 대통령, 철학자)1963년 6월 12일명예 회원


4. 1. 군사 부문

메리트 훈장은 군사, 문화, 공공복지 모든 부문을 합쳐 국왕과 24명으로 정원이 제한되어 있지만, 외국인에게는 정원 외로 수여된다. 군사 부문에서는 해군 원수 루이스 마운트배튼 백작의 서훈이 마지막이었다.[28]

번호국적성명(직업 등)서훈일사망일비고
1 / 프레데릭 로버츠 (초대 로버츠 백작, 육군 군인)1902년 6월 26일1914년 11월 14일
2가넷 울즐리 (초대 울즐리 자작, 육군 군인)1902년 6월 26일1913년 3월 25일
3호레이쇼 허버트 키치너 (초대 키치너 백작, 육군 군인)1902년 6월 26일1916년 6월 5일
7헨리 케펠 (해군 군인)1902년 6월 26일1904년 1월 17일
10에드워드 호버트 시모어 (해군 군인)1902년 6월 26일1929년 3월 2일
13조지 화이트 (육군 군인)1905년 6월 30일1912년 6월 24일
14존 아버스노트 피셔 (해군 군인)1905년 6월 30일1920년 7월 10일
19야마가타 아리토모 ((일본총리, 육군 군인)1906년 2월 21일1922년 2월 1일명예 회원
20오야마 이와오 (일본 육군 군인)1906년 2월 21일1916년 12월 10일명예 회원
21도고 헤이하치로 (일본 해군 군인)1906년 2월 21일1934년 5월 30일명예 회원
32아서 나이베트 윌슨 (해군 군인)1912년 3월 8일1921년 5월 25일
35존 프렌치 (이프르 백작, 육군 군인)1914년 12월 3일1925년 5월 22일
38존 제리코 (초대 제리코 백작, 해군 군인)1916년 5월 31일1935년 11월 20일
40페르디낭 포슈 (프랑스육군 군인)1918년 11월 29일1929년 3월 20일명예 회원
41데이비드 비티 (초대 비티 백작, 해군 군인)1919년 6월 3일1936년 3월 11일
42더글러스 헤이그 (초대 헤이그 백작, 육군 군인)1919년 6월 3일1928년 1월 29일
43조제프 조프르 (프랑스 육군 군인)1919년 6월 26일1931년 1월 3일명예 회원
57찰스 매든 (초대 준남작·해군 군인)1931년 1월 1일1935년 6월 5일
64필립 체트우드 (초대 체트우드 남작, 육군 군인)1936년 1월 1일1950년 7월 6일
68알프레드 챗필드 (해군 군인)1939년 1월 2일1967년 11월 15일
70 / 시릴 뉴올 (초대 뉴올 남작, 공군 군인)1940년 10월 29일1963년 11월 30일
76더들리 파운드 (해군 군인)1943년 9월 3일1943년 10월 21일
81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미국의 대통령, 육군 군인)1945년 6월 12일1969년 3월 28일명예 회원
83찰스 포털 (초대 헌거포드의 포털 자작, 공군 군인)1946년 1월 1일1971년 4월 22일
84앨런 브룩 (초대 앨런브룩 자작, 육군 군인)1946년 6월 13일1963년 6월 17일
85앤드루 커닝햄 (초대 하인드호프의 커닝햄 자작, 해군 군인)1946년 6월 13일1963년 6월 12일
94휴 트렌차드 (초대 트렌차드 자작, 공군 군인)1951년 1월 1일1956년 2월 10일
105해롤드 알렉산더 (초대 투니스의 알렉산더 백작, 육군 군인)1960년 4월 23일1969년 6월 16일


4. 2. 과학 부문

메리트 훈장은 과학, 군사, 문화, 공공복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이룬 인물에게 수여되는 영국의 훈장이다. 과학 부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인물들이 메리트 훈장을 받았다.

국적성명(직업)서훈일비고
존 윌리엄 스트럿 (물리학자)1902년 6월 26일
윌리엄 톰슨 (물리학자)1902년 6월 26일
조세프 리스터 (외과의)1902년 6월 26일
윌리엄 허긴스 (천문학자)1902년 6월 26일
Richard Claverhouse Jebb|리처드 클래버하우스 제브영어 (고전학자)1905년 6월 30일
조셉 돌턴 후커 (식물학자)1907년 6월 30일
Henry Jackson|헨리 잭슨영어 (고전학자)1908년 6월 26일
알프레드 러셀 월리스 (자연 과학자)1908년 6월 26일
윌리엄 크룩스 (화학자, 물리학자)1910년 7월 8일
조셉 존 톰슨 (물리학자)1912년 3월 15일
아치볼드 게이키 (지질학자)1914년 1월 1일
프랜시스 허버트 브래들리 (철학자)1924년 6월 3일
찰스 셰링턴 (생리학자)1924년 6월 3일
제임스 프레이저 (사회인류학자)1925년 1월 1일
/ 얼네스트 러더퍼드 (물리학자)1925년 1월 1일
찰스 알저넌 파슨스 (기술자)1927년 6월 3일
조지 아브라함 그리어슨 (언어학자)1928년 6월 4일
/ 사뮤엘 알렉산더 (철학자)1930년 6월 3일
몽태규 로즈 제임스 (고문서학자, 소설가)1930년 6월 3일
헨리 브래그 (물리학자)1931년 6월 3일
프레데릭 호프킨스 (생리학자)1935년 6월 3일
아서 에딩턴 (천체물리학자)1938년 6월 9일
제임스 진스 (물리학자, 천문학자, 수학자)1939년 1월 2일
/ 길버트 머레이 (고전학자)1941년 1월 1일
에드가 어드리안 (전기생리학자)1942년 6월 11일
윌리엄 홀즈워스 (법학자)1943년 1월 1일
헨리 할릿 데일 (뇌과학자)1944년 6월 8일
/ 알프레드 노스 화이트헤드 (수학자, 철학자)1945년 1월 1일
로버트 로빈슨 (화학자)1949년 6월 9일
버트런드 러셀 (수학자, 철학자)1949년 6월 9일
조지 에드워드 무어 (철학자)1951년 6월 7일
/ 와일더 펜필드 (신경외과의)1953년 1월 1일
알베르트 슈바이처 (신학자, 철학자, 의사)1955년 2월 25일명예 회원
존 콕크로프트 (물리학자)1957년 1월 1일
프랭크 맥퍼런 버넷 (바이러스학자)1958년 6월 12일
시릴 힌셀우드 (물리화학자)1960년 4월 23일
Owen Dixon|오웬 딕슨영어 (판사)1963년 5월 29일
사르베팔리 라다크리슈난 (철학자)1963년 6월 12일명예 회원


4. 3. 예술 및 문화 부문

메리트 훈장은 예술 및 문화 부문에서 뛰어난 업적을 이룬 인물에게 수여되는 영국의 훈장이다. 1902년 에드워드 7세에 의해 제정되었으며, 군사 부문과 함께 문화 부문에서도 수여자가 선정된다. 여성에게도 개방되어 있어, 1907년 플로렌스 나이팅게일이 여성 최초로 이 훈장을 받았다.[28]

다음은 예술 및 문화 부문에서 메리트 훈장을 수여받은 인물들의 일부 목록이다.

번호국적성명(직업 등)서훈일사망일비고
12조지 프레데릭 와츠 (화가)1902년 6월 26일1904년 7월 1일
16 / 로렌스 알마-타데마 (화가)1905년 6월 30일1912년 6월 25일
17조지 메러디스 (소설가)1905년 6월 30일1909년 5월 18일
18윌리엄 홀먼 헌트 (화가)1905년 6월 30일1910년 9월 7일
25
/
플로렌스 나이팅게일 (간호사)1907년 5월 12일1910년 8월 13일
29토마스 하디 (시인, 작가)1910년 7월 8일1928년 1월 11일
31에드워드 엘가 (작곡가)1911년 6월 19일1934년 2월 23일
37 / 헨리 제임스 (작가)1916년 1월 1일1916년 2월 28일
45제임스 매슈 배리 (작가)1922년 1월 2일1937년 6월 19일
52로버트 브리지스 (영국 계관시인)1929년 6월 3일1930년 4월 21일
53존 골즈워디 (작가)1929년 6월 3일1933년 1월 31일
55몽태규 로즈 제임스 (고문서학자, 소설가)1930년 6월 3일1936년 6월 12일
58필립 윌슨 스티어 (화가)1931년 1월 1일1942년 3월 18일
61존 메이스필드 (작가)1935년 6월 3일1967년 5월 12일
62랄프 본 윌리엄스 (작곡가)1935년 6월 3일1958년 8월 26일
72에드윈 라첸스 (건축가)1942년 1월 1일1944년 1월 1일
73어거스터스 존 (화가)1942년 6월 11일1961년 10월 31일
79자일스 길버트 스콧 (건축가)1944년 6월 8일1960년 2월 8일
90 / T. S. 엘리엇 (작가)1948년 1월 1일1965년 1월 4일
98월터 더 라 메어 (작가)1953년 6월 1일1956년 6월 22일
107그레이엄 서덜랜드 (예술가)1960년 4월 23일1980년 2월 17일
109 / 바질 스펜스 (건축가)1962년 11월 23일1976년 11월 19일


4. 4. 공공 복지 부문

메리트 훈장은 군사, 문화, 공공복지 모든 부문을 합쳐 국왕과 24명으로 제한되어 있으며, 외국인에게는 정원 외로 수여된다. 현재의 훈장 수여자는 모두 문화 부문 또는 공공복지 부문에서 선정되었다.[28]

이 훈장은 제정 당시부터 여성에게도 개방되어 1907년플로렌스 나이팅게일이 여성으로서는 처음으로 수상하였다.

4. 5. 한국 관련 수훈자 (명예 회원)

메리트 훈장은 군사, 문화, 공공복지 부문을 통틀어 국왕과 24명으로 인원이 제한되지만, 외국인에게는 정원 외 명예 회원 자격으로 수여할 수 있다. 현재까지 한국 국적자 중 메리트 훈장을 수훈한 사람은 없지만, 과거 일제강점기에 일본인 자격으로 수훈한 사례는 있다.

번호국적성명(직업 등)서훈일사망일회원 종류비고
19야마가타 아리토모 (일본총리, 육군 군인)[28]1906년 2월 21일1922년 2월 1일명예 회원
20오야마 이와오 (일본 육군 군인)[28]1906년 2월 21일1916년 12월 10일명예 회원
21도고 헤이하치로 (일본 해군 군인)[28]1906년 2월 21일1934년 5월 30일명예 회원


5. 다른 훈장과의 관계

메리트 훈장은 15개국 시민에게 수여되며, 각국은 서훈, 훈장, 훈표에 대한 자체 시스템을 가지고 있어 훈장의 서열은 국가마다 다르다. 영국에서는 메리트 훈장 수여자 명칭이 대영제국 훈장 기사 대십자 훈장 수훈자 명칭 다음에 오지만, 훈장 자체는 영국의 서열에서 어떤 위치도 부여받지 않는다. 그러나 스탠리 마틴은 저서 "메리트 훈장 1902-2002: 100년의 비할 데 없는 영예"에서 메리트 훈장이 영국 훈장 제도의 정점이라고 평가했다.[3] 캐나다의 경우 2010년 12월까지 캐나다 훈장 서열에 포함되지 않았지만,[19] 캐나다 훈장 전문가이자 노바스코샤 부총독의 비서인 크리스토퍼 매크리리는 메리트 훈장이 캐나다인이 받을 수 있는 최고의 민간 공로 훈장이라고 언급했다.[20][21]

일부 국가의 서열은 다음과 같다.

국가앞선 훈장뒤이은 훈장
오스트레일리아
착용 순서[22]
가터 훈장 (KT/LT)오스트레일리아 훈장 (AK/AD)
캐나다
착용 순서[23]
용기 훈장 (CV)캐나다 훈장 (CC)
뉴질랜드
착용 순서[24]
대영제국 훈장 (GCB)뉴질랜드 훈장 (ONZ)[25]
영국대영제국 훈장 (GCB)준남작 훈장 (Bt)[27]



영국 훈장은 종류에 따라 수여 기준과 대상이 다르다. 프랑스레지옹 도뇌르 훈장처럼 하위 훈장부터 순차적으로 훈위가 올라가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경력에 따라 다른 종류와 등급의 훈장을 받는다. 따라서 종류가 다르면 서열이 낮은 훈장을 나중에 받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마운트배튼 백작은 대영제국 훈장 나이트 그랜드 크로스보다 나중에 메리트 훈장을 받았다.

메리트 훈장은 가터 훈장, 씨슬 훈장과 달리 개인의 공적을 기준으로 수여되므로 왕족 수상자가 적다. 또한, 군주가 수여 결정권을 가지며 내각의 자문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점이 다른 훈장과 구별된다. 영연방 왕국에서 작위를 인정하지 않는 국가에서는 메리트 훈장을 최고 훈장으로 간주하기도 한다. 군인이 아닌 사람이 메리트 훈장을 받더라도 대영제국 훈장(군인·관료), 세인트 마이클 세인트 조지 훈장(외교관·행정관), 왕립 빅토리아 훈장(왕족·왕실 관계 공직)을 중복해서 받는 경우는 거의 없다.

5. 1. 컴패니언스 오브 오너 훈장

컴패니언스 오브 오너 훈장(Companions of Honour)은 군사 부문을 제외하면 메리트 훈장(Order of Merit)과 수여 기준이 비슷하며 정원은 65명이다. 이 훈장은 문화 및 공공 복지 부문(정치인) 공로자에게 수여되며, 대영 제국 훈장(Order of the British Empire) 나이트 그랜드 크로스와 바스 훈장(Order of the Bath) 나이트 커맨더 사이에 위치한다. 문화 부문 공로자는 대부분 컴패니언스 오브 오너 훈장을 받은 후 메리트 훈장을 받는다.

공공 복지 부문에서는 퇴임하는 수상에게 관례적으로 메리트 훈장을 수여하고, 수상 경험자는 가터 훈장(Order of the Garter)을 받기 위한 훈장으로 여겼다. 수상을 제외한 각료 경험자에게는 컴패니언스 오브 오너 훈장을 수여한다. 퇴직 시 이 훈장을 받은 수상은 원만하게 물러나지 못한 경우가 많아 그러한 관계가 추측되기도 한다. 존 메이저(John Major)는 퇴직 시 이 훈장을 받았으나 메리트 훈장은 받지 못했다.

참조

[1] 웹사이트 Order of Merit http://www.royal.gov[...] Royal Household 2009-07-28
[2] 웹사이트 Order of Merit https://www.gg.ca/en[...] 2024-08-03
[3] 간행물 Book review: The Order of Merit 1902–2002: One Hundred Years of Matchless Honour http://www.monarchis[...] Monarchist League of Canada 2007-06-01
[4] 서적 Public and Private Life of His Late Excellent and Most Gracious Majesty George The Third https://books.google[...] Thomas Kelly 2021-11-27
[5] 서적 The Last King of America: The Misunderstood Reign of George III Viking 2021-01-01
[6] 서적 2007-01-01
[7] 서적 2007-01-01
[8] 서적 2007-01-01
[9] 서적 2007-01-01
[10] 서적 2007-01-01
[11] 서적 The Order of Merit: One Hundred Years of Matchless Honour I.B. Tauris & Co. Ltd. 2016-09-24
[12] 서적 The Canadian Honours System Dundurn Press
[13] 뉴스 Coronation order of service in full https://www.bbc.co.u[...] BBC News 2023-05-06
[14] 뉴스 Order Worthy? https://nationalpost[...] 2009-07-29
[15] 웹사이트 For Children > Medals and Uniforms > Medals > Picture 4: The Order of Merit http://www.princeofw[...] Clarence House 2009-07-29
[16] 웹사이트 British Order of Merit: Collingwood Ltd https://www.national[...] 2024-08-03
[17] 서적 2007-01-01
[18] 웹사이트 What is the Order of Merit? https://www.thegazet[...] 2022-01-12
[19] 간행물 Order of Merit (O.M.) Order https://web.archive.[...] Queen's Printer for Canada 2010-12-10
[20] 서적 The Order of Canada: Its Origins, History and Development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1] 뉴스 Chrétien 'thrilled' by rare honour from Queen https://www.theglobe[...] 2019-06-01
[22] 간행물 ''Commonwealth of Australia Gazette'' 2007-09-28
[23] 웹사이트 Order of Precedence https://www.gg.ca/en[...] Queen's Printer for Canada 2017-04-18
[24] 웹사이트 Order of Wear: Orders, Decorations and Medals in New Zealand https://dpmc.govt.nz[...] Department of the Prime Minister and Cabinet of New Zealand 2024-05-03
[25] 웹사이트 The Wearing of Medals in New Zealand Table – A guide to the correct order of wear http://medals.nzdf.m[...] 2019-06-01
[26] 웹사이트 Page 325 {{!}} Supplement 62529, 11 January 2019 {{!}} London Gazette {{!}} The Gazette https://www.thegazet[...] 2024-10-22
[27] 간행물 London Gazette 2003-03-17
[28] 뉴스 Central Chancery of of the Orders of Knighthood https://www.thegazet[...] The Gazette 2024-02-07
[29] 웹사이트 New Appointments to the Order of Merit https://www.royal.uk[...] 영국 왕실 2022-11-11
[30] 간행물 Order of Merit for Sir Paul Nurse: correction https://wikipedialib[...] 2023-06-01
[31] 웹인용 The Queen and the UK > Queen and Honours > Order of Merit http://www.royal.gov[...] Queen's Printer 2009-07-28
[32] 웹인용 It's an Honour > Orders > Order of Merit Queen's Printer for Canad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