멘셰비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멘셰비키는 1903년 러시아 사회 민주 노동당의 분열로 인해 생겨난 사회 민주주의 정치 세력이다. 당내에서 블라디미르 레닌의 볼셰비키와 대립하며, 당원 자격과 혁명 노선에 대한 이견을 보였다. 멘셰비키는 러시아가 사회주의를 실현하기에는 충분히 발전하지 않았다고 보았으며, 부르주아 민주주의 세력과의 협력을 옹호했다. 1917년 2월 혁명 이후 러시아 임시 정부를 지지했으나, 10월 혁명 이후 볼셰비키에 의해 전복되었다. 이후 멘셰비키는 불법화되었으며, 일부는 망명하여 활동을 이어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03년 설립된 정당 - 볼셰비키
볼셰비키는 1903년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에서 레닌을 중심으로 시작되어 멘셰비키와 대립하며 러시아 혁명을 주도, 프롤레타리아 독재를 실현하고 소비에트 연방을 수립한 정치 세력이다. - 1903년 설립된 정당 - 알자스-로렌 지역당
알자스-로렌 지역당에 대한 정보는 아직 제공되지 않았다. - 정통마르크스주의자 - 카를 카우츠키
카를 카우츠키는 독일 사회민주당의 이론적 토대를 구축하고 사회주의 운동 발전에 기여한 정통 마르크스주의 이론가로, 〈새시대〉 편집을 통해 마르크스주의를 전파했으나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전쟁 지지와 로자 룩셈부르크, 레닌에 대한 비판으로 한계를 드러냈다는 평가도 받는다. - 정통마르크스주의자 - 대니얼 더리온
대니얼 더리온은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미국의 사회주의 운동가, 이론가, 혁명가로서, 사회주의 노동당에서 영향력을 확대하며 당의 이론적 노선을 주도했고, 산업별 노조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사회주의와 노동 운동에 대한 자신의 사상을 널리 알렸다. - 멘셰비키 - 레프 트로츠키
레프 트로츠키는 러시아 혁명과 내전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붉은 군대를 창설한 혁명가이자 마르크스주의 이론가였으나, 스탈린과의 권력 투쟁에서 패배하여 망명 중 암살당했으며, 그의 영구혁명론은 사회주의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멘셰비키 - 조지아 민주공화국
조지아 민주공화국은 1918년에 수립되어 1921년 붉은 군대의 침공으로 멸망한, 멘셰비키가 주도한 코카서스 지역의 독립 국가였다.
멘셰비키 - [정당]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명칭 | 멘셰비키 |
로마자 표기 | Men'sheviki |
원어 명칭 | меньшевики́ |
원어 | 러시아어 |
이전 명칭 | 소프트 |
개요 | |
결성 | 1903년 |
해산 | 1921년 |
주요 인물 | 율리 마르토프 파벨 악셀로드 알렉산드르 포트레소프 알렉산드르 마르티노프 (이후 볼셰비키) 표도르 단 이라클리 체레텔리 레온 트로츠키 (이후 볼셰비키) 노에 조르다니아 |
모체 조직 |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
이념 및 정치적 입장 | |
이념 | 정통 마르크스주의 합법투쟁론 (1917년 3월 ~ 1918년 1월) 수정주의적 마르크스주의 (1918년 1월 ~ ) 대중정당 |
관련 정보 | |
국가 두마 (1917년) | 의석 수: 17석 총 의석 수: 767석 |
2. 분열의 역사
1903년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제2차 대회에서 당 구성에 대한 의견 차이로 볼셰비키와 멘셰비키가 분열되었다.[8] 멘셰비키는 소 부르주아적인 인텔리, 파업 참여자, 시위 운동가 등에게도 입당을 허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는데, 이는 당원 자격을 엄격하게 규정하려던 레닌의 볼셰비키와 대립하는 주장이었다.
1905년 피의 일요일 사건 이후, 러시아 제국은 의회를 설치하고 선거를 허용했다. 그러나 투표권은 25세 이상 민간인 남성에게만 주어졌고, 병사와 여성은 제외되었다. 1906년 첫 총선에서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은 10석을 얻었으나, 의회 보이콧을 선언했다. 1907년 제2차 총선에서는 65석을 얻었지만, 니콜라이 2세는 6월 쿠데타를 통해 의회를 해산하고 선거 제도를 수정했다. 이 수정된 제도는 좌익 세력에게 불리하게 작용하여, 같은 해 10월 선거에서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은 19석을 얻는 데 그쳤다.[18]
이후 멘셰비키는 입헌민주당(카데트)과의 제휴를 중심으로 당론을 정하고, 당내에는 개량주의적 경향이 확산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초기에는 일부 우익만이 전쟁을 지지(조국방위주의)했으나, 2월 혁명 이후에는 대부분이 전쟁 지지로 돌아섰다. 1917년 4월, 레닌의 귀국 후 그의 정치 활동을 방해하려는 시도를 했으나 실패했다. 멘셰비키 우익은 사회혁명당과 함께 임시정부에 참여하여 카데트와 연립정부를 구성하고, 볼셰비키의 급진 노선에 반대하며 비합법적 혁명 운동 중단을 주장했다.
1917년 10월 혁명으로 볼셰비키 정권이 들어서자, 멘셰비키 우익은 러시아 백군에 가담하는 등 반혁명 운동을 전개했다. 러시아 내전에서 볼셰비키가 승리하자 이들 대다수는 서구로 망명하여 반볼셰비키 구호를 내걸었다. 한편, 멘셰비키 좌익 일부는 1918년 러시아 공산당에 입당하여 볼셰비키 독주를 견제하려 했으나, 1926년을 기점으로 완전히 소멸하였다.
2. 1. 1903년: 제2차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대회
1903년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제2차 대회에서 당원 자격 문제를 둘러싸고 블라디미르 레닌과 율리우스 마르토프 사이에 의견 대립이 발생했다.[8]- 레닌은 당원을 '당 조직 중 하나에 소속된 사람'으로 규정하여, 소규모 직업 혁명가 중심의 당을 주장했다.
- 마르토프는 당원을 '당 조직의 지도 하에 활동하는 사람'으로 규정하여, 폭넓은 참여를 보장하는 대규모 당을 지지했다.
이러한 차이는 볼셰비키와 멘셰비키 분파의 핵심적인 철학 차이를 나타냈다. 레닌은 소수의 직업 혁명가들이 비당원 지지자, 후원자들과 함께 당을 이끌어야 한다고 주장한 반면, 마르토프는 다양한 배경을 가진 많은 활동가들이 참여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고 생각했다.
표결 결과, 마르토프의 제안이 다수(28표 대 23표)의 지지를 얻었다.[8] 그러나 유대인 분트 대표 5명을 포함한 7명의 대표가 연방주의 제안 부결에 항의하며 회의장을 떠났다.[8] 이로 인해 레닌 지지파가 근소한 차이로 다수를 차지하게 되었고, 이는 중앙 위원회를 비롯한 당 중앙 기구 구성에 반영되었다. '볼셰비키(다수파)'와 '멘셰비키(소수파)'라는 명칭도 여기서 유래했다.
일각에서는 레닌이 의도적으로 일부 대표들을 자극하여 퇴장시킴으로써 다수파를 확보했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 그러나 분트의 제안에 대한 투표에서는 볼셰비키와 멘셰비키 모두 반대(41표 대 5표)하여 연합 전선을 형성했다.[9] 당 대회 이후에도 멘셰비키는 일반 사회 민주주의자들 사이에서 상당한 지지를 얻으며, 사실상 독자적인 당 조직을 구축해 나갔다.
이스크라 편집 위원 구성에 대한 논쟁도 있었다. 레닌은 기존 편집 위원이었던 베라 자술리치, 파벨 악셀로드 등을 해임할 것을 제안했고, 소수파가 된 반대파는 이에 반발하여 새로운 편집국과 당 중앙위원회에 자신들의 후보를 추천하지 않았다. 이후 볼셰비키와 멘셰비키는 별도의 회의를 개최하며 서로를 비난하는 데 몰두했다.
2. 2. 1906년 ~ 1916년: 재통합과 갈등
1906년 러시아 사회 민주 노동당 제4차 대회에서 멘셰비키와 볼셰비키는 형식적으로 다시 통합되었다.[10] 하지만, 두 파벌은 동맹 및 전략 문제에서 의견 차이를 보였다. 멘셰비키는 입헌 민주당과 같은 자유주의 부르주아 민주당과의 협력을 주장했지만, 볼셰비키는 입헌 민주당이 혁명에 소극적이라고 판단하여 사회주의 혁명당과 같은 급진 사회주의 정당 및 농민 대표와의 동맹을 선호했다.두 파벌은 러시아가 사회주의를 실현할 만큼 발전하지 않았다는 점에는 동의했다. 따라서 차르 체제를 전복하는 혁명은 부르주아 민주 혁명이 될 것이라고 보았다. 그러나 1905년 이후, 멘셰비키는 자유주의 세력과의 협력을 더욱 강조했다. 반면 볼셰비키는 프롤레타리아 독재와 농민을 통해 부르주아 혁명을 완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의견 차이로 인해 멘셰비키는 합법적인 방법과 노동 조합 활동을 옹호한 반면, 볼셰비키는 무력 폭력을 선호했다. 1905년 혁명 실패 이후, 일부 멘셰비키는 당을 떠나 합법적인 반대 단체에 합류했다. 1908년 레닌은 이들을 "청산주의자"라고 비판했다.
2. 3. 1912년 ~ 1914년: 최종 분열
러시아 사회 민주 노동당은 1912년에 최종적으로 분열되어, 레닌이 이끄는 볼셰비키는 러시아 사회 민주 노동당(볼셰비키)를 창당했고, 멘셰비키는 러시아 사회 민주 노동당(멘셰비키)를 구성했다.[1] 1917년 제1차 세계 대전 중에 멘셰비키는 다시 분열되었다.[1] 대다수의 멘셰비키는 전쟁에 반대했지만, 일부는 "국가 방위"를 명분으로 전쟁을 지지했다.[1]2. 4. 1917년: 러시아 혁명
1917년 2월 혁명으로 로마노프 왕조가 무너지자, 이락클리 체레텔리가 이끄는 멘셰비키 지도부는 정부에게 "합병 없는 공정한 평화"를 요구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혁명 수호"라는 명분 아래 전쟁을 계속하는 것을 지지했다.[17] 사회혁명당과 함께 멘셰비키는 1917년 대부분의 기간 동안 수도 페트로그라드 소비에트를 포함한 소비에트 조직을 이끌었다.군주제가 사라지자 많은 사회민주주의자들은 멘셰비키와 볼셰비키 사이의 이전의 전술적 차이는 이제 과거의 일이라고 생각했고, 많은 지역 당 조직들이 통합되었다. 볼셰비키 지도자 레프 카메네프, 이오시프 스탈린, 마트베이 무라노프가 1917년 3월 초 시베리아 유형에서 페트로그라드로 돌아와 볼셰비키 당의 지도부를 맡았을 때, 전국적으로 볼셰비키와 멘셰비키의 완전한 재통합을 추진하기 시작했고, 멘셰비키 지도자들도 이를 고려할 의향을 보였다. 그러나 레닌과 그의 부관 그리고리 지노비예프가 4월 3일 스위스 망명에서 러시아로 돌아와 1917년 4월 말까지 볼셰비키 당을 장악하고 더 급진적인 방향으로 이끌었다. 그들은 즉각적인 혁명과 모든 권력을 소비에트로 넘길 것을 요구했고, 이는 재통합을 불가능하게 만들었다.[17]
1917년 3월에서 4월에 걸쳐 멘셰비키 지도부는 새로 구성된 자유주의 러시아 임시 정부를 조건부로 지지했다. 합병 문제를 놓고 5월 2일 첫 번째 임시 정부가 무너지자, 체레텔리는 멘셰비키를 설득하여 "혁명 구원"을 위해 정부를 강화하고 사회혁명당, 자유주의 입헌민주당과 사회주의-자유주의 연합을 맺도록 했고, 5월 17일에 이를 실현했다. 5월 초 마르토프가 유럽 망명에서 돌아오자 당의 좌파는 5월 9일 혁명 이후 첫 당 회의에서 체레텔리가 이끄는 당 다수파에 도전했지만 우파가 44 대 11로 승리했다. 그 후 멘셰비키는 10월 혁명으로 볼셰비키에게 권력을 빼앗길 때까지 적어도 한 명의 대표를 러시아 임시 정부에 파견했다.
1917년 2월 혁명이 일어나 페트로그라드에 소비에트가 다시 세워졌을 때, 멘셰비키가 다수였고, 그루지야 멘셰비키인 니콜라이 체이체가 소비에트 의장이었다. 이들은 정부에 대한 '합법적 반대파'를 만들어 노동자 다수의 지지를 얻었다.
그러나 혁명이 진행되면서 조직의 느슨함이 문제가 되어 통일된 정책을 내놓을 수 없었다. 러시아가 전쟁을 계속할지, 레닌을 독일의 스파이로 볼 것인지에 대한 문제에서도 마르토프가 이끄는 '국제주의자'와 '사회 애국주의자'인 이라클리 체레텔리 파가 갈라졌다.
1917년 10월 25일 볼셰비키가 중심이 되어 페트로그라드 소비에트가 임시 정부를 무너뜨린 직후 열린 회의에서, 마르토프는 볼셰비키의 '순수 군사 음모'를 비난했다. 이에 트로츠키는 "너희들은 불쌍한 고립된 개인들이다. 너희들은 파산자다. 너희들의 역할은 끝났다. 너희들은 지금부터 역사 쓰레기통으로 가라."라고 반박했다. 트로츠키의 답변에 멘셰비키들은 표결도 기다리지 않고 퇴장했다.
1918년 1월 제헌 의회에서 체레텔리는 멘셰비키를 옹호하며, '후진국에 사회주의 경제를 도입하려는 나로드니키적 시도'를 언급했다. 한편, 그 해 5월에 마르토프는 반혁명에 대한 볼셰비키의 투쟁에 단결하겠다고 선언했다. 이처럼 10월 혁명의 정당성에 대해서도 멘셰비키의 의견은 통일되지 않았다.
3. 1917년 혁명 이후
1917년 11월 러시아 제헌 의회 선거에서 멘셰비키는 볼셰비키의 23%, 사회혁명당의 37%에 비해 3.2%의 득표율을 얻는 데 그쳤다. 전국 득표율은 3.3%에 불과했지만, 자캅카스 지역에서는 30.2%를 얻었으며, 특히 조지아에서는 75%의 압도적인 지지를 받았다.[11]
러시아 내전 시기 멘셰비키는 분열되었다. 당내 우익은 백군에 가담하여 볼셰비키에 대한 투쟁을 지지했고, 좌익은 내전에서 좌익을 지지했다. 그러나 율리 마르토프가 이끄는 좌익 멘셰비키 파벌은 당의 우익과의 결별을 거부했고, 이로 인해 그들의 언론은 때때로 금지되기도 했다.[12]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일부 반전 멘셰비키들은 '멘셰비키-인터내셔널리스트' 그룹을 결성하여 노바야 시즈니 신문을 중심으로 활동했다. 이들은 메즈라이온치 형성에도 참여했으며, 1917년 7월 러시아 사건 이후 독일과의 전쟁 지속을 지지하는 멘셰비키 다수와 결별했다. 1920년부터 우익 멘셰비키-인터내셔널리스트는 망명하여 반볼셰비키 활동을 추구했다.[13]
조지아 민주 공화국은 멘셰비키의 주요 거점이었다. 1919년 2월 14일 의회 선거에서 81.5%의 득표율을 얻어 노에 조르다니아가 총리가 되었다. 노에 라미슈빌리, 에브게니 게게치코리, 아카키 체헨켈리, 니콜라이 체이체, 알렉산드르 롬타티제 등이 주요 인물이었다. 1921년 볼셰비키의 조지아 점령 이후 많은 조지아 멘셰비키는 프랑스로 망명하여 레빌쉬르오르주에 망명 조지아 민주 공화국 정부를 설립했다. 1930년, 라미슈빌리는 파리에서 소련 스파이에 의해 암살되었다.
크론슈타트 봉기 이후 멘셰비키 활동은 불법화되었다. 많은 저명한 멘셰비키들이 국외로 망명했으며, 마르토프는 독일로 건너가 '소셜리스트 메신저' 신문을 창간했으나 1923년 사망했다. 1931년 멘셰비키 재판은 스탈린에 의한 대숙청의 초기 단계였다. '메신저'는 멘셰비키 중심을 따라 베를린에서 파리로, 1939년에는 뉴욕으로 옮겨졌으며 1965년까지 발행되었다.[14]
4. 사상 및 이론
멘셰비키는 카를 마르크스의 단계론을 소극적이고 숙명론적으로 해석하여, 2월 혁명 이후 자본주의가 발전하면 자연스럽게 사회주의 혁명이 일어날 것이라고 믿었다. 이러한 소극적인 혁명관은 러시아 공화국 임시정부의 사회주의자 탄압에도 불구하고 계속되었고, 결국 혁명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19]
블라디미르 레닌은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계급투쟁 의식이 높아져 러시아에도 영향을 주었기 때문에, 초기 자본주의 상태인 러시아에서도 사회주의 국가를 세울 수 있다고 주장했지만, 멘셰비키는 이에 반대했다. 또한 멘셰비키는 농민의 혁명성을 부정했으며, 멘셰비키 내 우익 계파는 전쟁 중단에도 반대했다.[20]
1917년 2월 혁명 이전에는 카를 카우츠키 류의 교조적 경제주의 노선과 유사했으나, 이후에는 독일사회민주당의 수정주의에 영향을 받아 '헌법 내 노동운동'을 지향했다. 이러한 수정주의는 10월 혁명 당시 부르주아 민주주의로 돌아갈 것을 주장한 것에서 극명하게 드러났다.[21] 또한, 오스트리아 사회민주당의 윤리적 사회주의(Ethischer Sozialismusde)의 영향도 받았는데, 멘셰비키 이론가인 파벨 유시케비치(Павел Юшкевич, 1873 - 1945)는 마르크스주의 변증법에서 칸트주의로 돌아갈 것을 주장하였다.
4. 1. 교조적 경제주의
카를 마르크스의 단계론을 소극적·숙명론적으로 해석하여 2월 혁명이 성공한 시점에서, 혁명적 당이 부르주아의 공세에 대비하지 않아도 자본주의가 발전하면서 시간이 지나면 저절로 사회주의 혁명이 발생할 것이라고 믿었다. 이러한 멘셰비키의 소극적인 혁명관은 러시아 공화국 임시정부에 의한 사회주의자 탄압이 실제로 시작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계속 이어졌으며, 결국 혁명의 방해 세력으로 작용했다.[19]이들과 경쟁 관계에 있었던 블라디미르 레닌은 제1차 세계 대전의 영향으로 전 세계적으로 계급투쟁 의식이 높아져 러시아에도 영향을 주었기 때문에, 초기 자본주의 상태인 러시아에서도 바로 사회주의 국가를 세울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멘셰비키는 이 주장에 반대했다. 또한, 멘셰비키는 농민의 혁명성을 부정했으며, 멘셰비키 내 우익 계파는 전쟁 중단에도 반대했다.[20]
4. 2. 수정주의
1917년 2월 혁명 이전 멘셰비키의 주요 테제는 카를 카우츠키 류의 교조적 경제주의 노선과 유사했으나, 이후에는 독일사회민주당의 수정주의에 영향받았으며, '헌법 내 노동운동'을 지향했다. 이러한 수정주의 기조는 갈수록 심화됐는데, 10월 혁명 당시 부르주아 민주주의 상태로의 회귀를 주장했다는 점에서 극명하게 드러났다.[21] 또한, 오스트리아 사회민주당의 이론적 기조인 윤리적 사회주의(Ethischer Sozialismusde)의 영향도 받았는데, 멘셰비키 인식론 이론가인 파벨 유시케비치(Павел Юшкевич, 1873 - 1945)는 마르크스주의 변증법에서 칸트주의로의 회귀를 주장하였다.5. 역대 선거 결과
년도 | 의석 수 | 득표수 | 득표율 | 참여 여부 |
---|---|---|---|---|
1906년 | - | 알려지지 않음 | 불참 (볼셰비키와 합동) | |
1907년 2월 | - | 알려지지 않음 | 참여 (볼셰비키와 합동) | |
1907년 10월 | - | 알려지지 않음 | 참여 (볼셰비키와 합동) | |
1912년 | - | 알려지지 않음 | 참여 (볼셰비키와 분리) | |
1917년 | 1,144,000 | 2.6% | 의회 해산 |
참조
[1]
간행물
Bulgaria Joins the Great Wars
https://archive.org/[...]
National Alumni
1920
[2]
서적
Lenin
https://archive.org/[...]
E. P. Dutton
1922
[3]
서적
The Mensheviks After October
Cornell University Press
1991
[4]
서적
The Mensheviks in the Revolution of 1917
Slavica Publishers
1983
[5]
서적
The Trial of the Mensheviks: The verdict and sentence passed on the participants in the counter-revolutionary organization of the Mensheviks
Centrizdai
1931
[6]
서적
Lenin and the Mensheviks: The persecution of Socialists Under Bolshevism
Gower Publishing
1987
[7]
서적
The Mensheviks in the Russian Revolution
Cornell University Press
1976
[8]
서적
Second Congress of the League of Russian Revolutionary Social-Democracy Abroad
https://www.marxists[...]
1903
[9]
서적
The Politics of Futility; The General Jewish Workers Bund of Poland, 1917–1943
Cornell University Press
1967
[10]
웹사이트
Lenin: 1906/ucong: Statement in Support of Muratov's (Morozov's) Amendment Concerning a Parliamentary Social-Democratic Group
https://www.marxists[...]
2016-01-16
[11]
서적
The Election to the Russian Constituent Assembly of 1917
Harvard University Press
1950
[12]
뉴스
What is to be done: The Menshevik Programme July 1919
http://spiritofcontr[...]
2012-08-11
[13]
학술
Mensheviks Wage the Cold War
1995-01-01
[14]
서적
Geschichte der sozialistischen arbeiter-internationale: 1923–1940
https://books.google[...]
Dtv Verlagsgesellschaft
1985
[15]
웹사이트
メンシェヴィキとは
https://kotobank.jp/[...]
2022-02-01
[16]
서적
Февральская революция
http://you1917-91.na[...]
Русский путь
1997
[17]
뉴스
Russia
The Times
1907-03-02
[18]
문서
State Duma
Отечественная история с древнейших времён до 1917 года Great Russian Encyclopedia
1994
[19]
서적
Russian Revolution: A Very Short Introduction
박종철출판사
2007
[20]
웹사이트
Menshevik
https://www.marxists[...]
2013-10-09
[21]
서적
Russian Revolution: A Very Short Introduction
박종철출판사
2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