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백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백군은 러시아 내전 시기 볼셰비키에 대항하여 싸운 다양한 세력의 느슨한 연합으로, 왕당파, 제정주의자, 반공주의자 등 여러 이념과 목표를 가진 집단으로 구성되었다. 이들은 러시아 제국의 해체를 반대하고 소수 민족의 분리 독립에 반대하는 입장을 보였으며, 붉은 군대와 주로 전투를 벌였다. 영국, 프랑스, 미국 등 연합국의 지원을 받았으나, 군사적, 이념적 분열과 적군의 결의로 인해 패배했다. 내전 이후 백군은 해외로 망명하여 반공산주의 활동을 지속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러시아 보호군에 참여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의 반혁명가 - 알렉산드르 콜차크
알렉산드르 콜차크는 러시아 제국의 해군 장교이자 북극 탐험가로, 러시아 혁명 이후 백군을 이끌고 볼셰비키에 대항했으나 처형되었으며, 군사적 업적과 가혹한 통치로 기억되는 인물이다. - 러시아의 반혁명가 - 러시아 연대주의자 인민노동연맹
러시아 연대주의자 인민노동연맹은 1930년에 결성된 반공주의 단체로, 소련의 전체주의 체제를 비판하며 자유롭고 번영하는 러시아를 건설하고 개인의 자유와 사회적 책임을 조화시키는 연대주의 이념을 추구했으나, 일부로부터 전체주의적 경향과 민족주의적 성향에 대한 비판을 받았다. - 러시아 백군 - 체코슬로바키아 군단
체코슬로바키아 군단은 제1차 세계 대전 중 연합국 편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 맞서 싸웠으며, 러시아, 프랑스, 이탈리아 등지에서 활동하며 체코슬로바키아 독립에 기여했다. - 러시아 백군 - 남러시아군
남러시아군은 러시아 내전 중 백군에 속한 의용군과 돈군이 연합하여 결성되었으나, 안톤 데니킨 장군의 지휘 아래 모스크바 공세 실패 후 괴멸되었고 잔존 병력은 러시아군으로 재편되었다. - 러시아 국민주의 - 러시아화
러시아화는 러시아의 영향력을 확대하는 과정으로, 역사적으로 러시아 제국과 소련 시대를 거치며 소수 민족 문화 약화 시도와 러시아어 보급 등의 형태로 나타났고, 소련 붕괴 이후에도 러시아 연방 내에서 지속되며 논쟁을 야기한다. - 러시아 국민주의 - 지정학의 기초
《지정학의 기초》는 알렉산드르 두긴의 저서로, 러시아 중심의 유라시아 질서 구축과 미국의 영향력 약화를 위한 지정학적 전략과 미래 구상을 담고 있으며, 러시아의 합병 및 동맹, 특수부대 주도 체제 전복, 자원 압박 외교 등을 옹호하며 러시아 대외 정책에 영향을 미치고, 우크라이나 침략적 태도를 보여 국제 사회의 우려를 낳고 있다.
러시아 백군 | |
---|---|
개요 | |
이름 | 백색 운동 |
로마자 표기 | Beloye dvizheniye |
이전 표기 | Bѣлое движеніе |
지지자 명칭 | Beliye |
관련 명칭 | Belaya armiya (백군) Belaya gvardiya (백위대) Beloye delo |
존속 기간 | 1917년 – 1923년 |
전신 | 러시아 제국군 |
후신 | 백계 러시아인 |
주요 지도자 | 알렉산드르 콜차크 (사형) 라브르 코르닐로프 (전사) 안톤 데니킨 |
기타 지도자 | 미하일 알렉세예프 (자연사) 표트르 브란겔 니콜라이 유데니치 그리고리 세묘노프 (사형) 표트르 크라스노프 세르게이 마르코프 (전사) 아나톨리 페페랴예프 (사형) 파벨 베르몬트-아발로프 미하일 디테리흐스 로만 폰 웅게른-슈테른베르크 (사형) |
국가 | 러시아 국가 |
연합 | 임시 전러시아 정부 러시아 정부 (1918년~1919년) |
군대 | 자원군 백색 반군 자바이칼 백색 운동 우랄군 투르케스탄군 극동군 북부군 브란겔 군 캅카스 군 돈 군 서러시아 자원군 러시아 남부군 북서군 |
이념 | 반공주의 비결정론 러시아 민족주의 보수주의 자유주의 파시즘 군주제 기타 다양한 이념 |
정치적 성향 | 빅텐트 우익 ~ 극우 |
슬로건 | 하나이고 불가분한 러시아 |
범죄 행위 | 백색 테러 포그롬 (1918년~1920년) |
규모 | 340만 명 (최대) |
지원 세력 | |
연합국 간섭 | 영국 미국 일본 중국 프랑스 체코슬로바키아 캐나다 폴란드 에스토니아 그리스 이탈리아 루마니아 세르비아 세르비아-크로아티아-슬로베니아 왕국 |
동맹국 간섭 | 독일 우크라이나 돈 공화국 쿠반 인민 공화국 발트 지방 방위군 핀란드 백군 |
기타 지원 | 알라시 자치국 몽골 |
적대 세력 | |
볼셰비키 및 소비에트 공화국 | 러시아 SFSR 극동 공화국 우크라이나 SSR 소련 라트비아 SSR 에스토니아 노동 코뮌 몽골 인민당 중국 공산주의자 핀란드 적군 |
분리주의자 | 우크라이나 조지아 리투아니아 라트비아 |
기타 세력 | 마흐노프시치나 녹군 좌익 사회혁명당 우익 사회혁명당 및 멘셰비키 (1918년 이후) |
주요 전쟁 | |
관련 전쟁 | 러시아 내전 우크라이나 독립 전쟁 리투아니아 독립 전쟁 라트비아 독립 전쟁 에스토니아 독립 전쟁 소치 분쟁 몽골 혁명 |
2. 조직과 이념
백군은 단일 조직이 아니라 다양한 이념과 목표를 가진 세력들의 느슨한 연합이었다. 대부분의 백군 지휘관들은 명확한 이념을 가지지 않았는데, 코르닐로프나 데니킨 같은 러시아 제국 장군 출신도 제정 부활을 원한 것은 아니었다. 브랑겔은 제정을 선호하면서도 민주 공화정을 수용하는 입장이었다.
백색 운동에는 왕당파도 있었는데, 미하일 디테리흐스는 극동에서 니콜라이 2세의 동생 니콜라이 로마노프 대공을 차르로 옹립하기도 했다. 이러한 이념들은 내전에서 패배 후 해외로 망명한 반볼셰비키 러시아인들의 정치 이념이 되었으며, 대표적인 인물로 이반 일리인이 있다.
백군은 러시아 제국의 해체를 반대하고 소수민족의 분리독립을 불허했다. 또한, 서구식 자유주의자들뿐만 아니라 사회혁명당, 멘셰비키 등 비볼셰비키 사회주의자들의 일부 지지도 받았다. 그러나 사회혁명당은 상황에 따라 적군을 지지하기도 했다.
백군은 귀족, 카자크, 농민 등 다양한 계층에서 병사를 충원했다.
백군은 10월 혁명을 뒤집고 제헌 의회를 소집하는 것을 목표로 했으며, 자신들이 통제하는 영토에서 소련 조직과 관리들을 제거하려 했다.[29]
백군은 일반적으로 통일된 다민족 러시아를 믿었고, 분리주의자들에게 반대했다.[30]
백군은 반유대주의적 경향을 보이기도 했다. 자원군 선전 부서인 ОСВАГ|OSVAGru는 시온 의정서를 재발행하고, 유대인에 대한 적대감을 드러냈다. 데니킨의 군대가 포그롬을 일으키고 유대인을 박해했지만, 데니킨은 이를 제대로 막지 못했다.[31] 윈스턴 처칠은 데니킨에게 이러한 문제에 대해 경고하기도 했다.[32]
백군은 반볼셰비키, 반공산주의자였고 애국심이 있었지만, 통일된 이념이나 주요 지도자는 없었다.[33] 알렉산드르 콜차크 제독이 임시 국가 원수 직위를 맡았지만, 그의 정부는 오래가지 못했다.[34]
백군은 외교 정책에서도 통일된 입장을 보이지 못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독일 제국과의 관계 설정 등에서 의견이 갈렸다. 데니킨과 같은 백군 지도자들은 러시아인 스스로 정부를 수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콜차크는 임시 정부를 수립했지만, 곧 붕괴되었다.[5]
세묘노프나 웅게른슈테른베르크와 같은 군벌들은 독자적인 세력을 구축하기도 했다. 백군은 통일된 정치적 신념을 갖지 못했으며, 군주주의자, 공화주의자, 우익, 카데트 등 다양한 구성원들이 존재했다.[35] 코르닐로프와 데니킨은 군주주의자가 아니었지만, 브랑겔은 군주주의자였다.
볼셰비키와 달리 백군은 단일 이념, 방법론, 정치적 목표를 공유하지 않았다. 이들은 서로 다른 의제와 방법을 가진 보수적인 장군들이 이끌었고, 대부분 서로 상당히 독립적으로 운영되었으며, 조정이나 응집력이 거의 없었다. 이러한 차이점과 분열은 백군이 내전에서 패배하는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36][37]
남러시아의 의용군은 가장 크고 두드러진 백군 세력이었다.[38] 1918년 1월 작게 시작했지만, 쿠반 코사크와 농민, 코사크의 징집으로 빠르게 성장했다. 1918년 2월 말, 얼음 행진을 통해 쿠반으로 이동했고, 병력은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1919년에는 돈 코사크가 합류했고, 5월과 10월 사이에는 병력이 크게 증가했다.[38] 백군의 사병은 코사크, 귀족, 농민 등 다양한 계층으로 구성되었다.
백군은 흑해 함대 등 다양한 해상 세력을 보유했다. 또한, 슬라보-영국 항공대(S.B.A.C.)와 같은 항공 세력도 있었으며, 러시아의 에이스 알렉산드르 카자코프가 이 부대에서 활동했다.[39]
백군 지도자와 초기 구성원은 주로 장교 출신이었다.[40] 알렉세예프 장군, 데니킨 장군, 코르닐로프 장군 등이 대표적이다.
백군 장군들은 행정 능력이 부족했다. 그들은 종종 "혁명 이전의 관료"나 "군주주의적 성향을 가진 장교"를 활용했다.[41]
백군은 종종 무법천지였고 혼란스러웠다.[28] 백군 통제 지역에는 여러 종류의 통화가 존재했고, 환율도 불안정했다. 주요 통화인 의용군의 루블은 금 보증이 없었다.[42]
2. 1. 백색의 의미
백색이라는 명칭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지닌다.[27]# 볼셰비키 정부를 지지하는 붉은 군대인 "적색"과의 정치적 대비.
# 절대 군주제에 대한 역사적 언급으로, 특히 러시아 최초의 차르인 이반 3세(1462–1505년 재위)를 떠올리게 하는데, 당시 일부는 모스크바의 통치자를 ''Albus Rex'' ("백색 왕")라고 불렀다.
# 일부 백군 병사들이 착용한 러시아 제국의 흰색 제복.

백색파의 의미는 다양하게 해석되는데, 첫째로 적색파(볼셰비키 공산주의자와 붉은 군대)와 정반대 세력이라는 것을 말한다.[28] 둘째로, 백색은 왕당파를 지칭한다. 역사적으로 통일된 러시아의 첫 번째 군주인 이반 3세는 라틴어로 ''Albus Rex'' 즉 "하얀 짜르"라고 불렸다.[29] 또한 하얀색은 프랑스 부르봉 왕조 상징색이기도 하였다. 셋째로, 백군의 병사들은 전통적인 러시아군의 하얀색 제복을 착용하였다.
3. 주요 인물
백군의 주요 지도자들은 다음과 같다.
- 미하일 알렉세예프
- 안톤 데니킨
- 미하일 디테리흐스
- 알렉산드르 두토프
- 알렉세이 칼레딘
- 블라디미르 카펠
- 알렉산드르 콜차크
- 라브르 코르닐로프
- 표트르 크라스노프
- 알렉산드르 쿠테포프
- 예브게니 밀러
- 그리고리 세묘노프
- 로만 폰 웅게른슈테른베르크
- 표트르 니콜라예비치 브랑겔
- 세르게이 보이체호프스키
- 니콜라이 유데니치
- 보리스 안넨코프









4. 러시아 내전
백군은 주로 붉은 군대와 싸웠지만, 이들과 별개의 세력도 내전에 존재하였다. 녹색 군대와 검은 군대는 적군이나 백군과 독립적으로 존재하면서 이들과 때로는 대립하거나 교전하기도 했다.[28]
협상국(영국, 프랑스, 미국, 일본 제국)과 동맹국 (독일 제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오스만 제국, 불가리아 왕국)은 세계 최초로 수립된 공산정부를 전복시키기 위해 백군을 물적으로 지원하거나 직접 군대를 파견하여 돕기도 했다. 그러나 이는 오히려 붉은군대가 백군을 "외세의 꼭두각시"로 선전할 수 있는 구실이 되었다. 그리하여 붉은군대가 오히려 러시아의 진정한 수호자로 일반 시민들에게 부각되는 계기가 되었고, 붉은군대의 지지도도 높아져서 오히려 내전에서 승리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36][37]
백군과 적군은 1917년 11월부터 1921년까지 러시아 내전을 벌였으며, 고립된 전투는 1923년 6월까지 러시아 극동에서 계속되었다. 백군은 일본 제국, 영국, 프랑스 제3 공화국, 그리스 왕국, 이탈리아 왕국, 미국과 같은 연합군(삼국 협상)과 (때로는) 독일 제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과 같은 동맹국 세력의 지원을 받아 시베리아, 우크라이나, 크림 반도에서 전투를 벌였다. 그들은 군사적, 이념적 분열과 적군의 결의와 증가하는 단결로 인해 적군에게 패배했다.
백군은 세 개의 주요 전역에서 활동했다.
- 남부 전선: 1917년 11월 15일(구력) 미하일 알렉세예프 장군의 지휘 하에 남부에서 조직을 시작했다. 1918년 6월 23일, 의용군은 표트르 크라스노프의 지원을 받아 제2차 쿠반 작전을 시작했다. 1919년 데니킨 장군의 모스크바 공격이 실패한 후, 남러시아 무장군은 후퇴했다.
- 동부 전선: 1918년 봄, 육군 장교들과 우익 사회주의 세력 간의 비밀 운동으로 시작되었다. 알렉산드르 콜차크 제독은 동부 백군과 임시 러시아 정부를 이끌었다.
- 북부 전선: 니콜라이 유데니치, 예브게니 밀러, 아나톨리 리벤이 지휘한 북러시아 백군은 데니킨 장군의 남러시아군보다 조율이 덜 되었다.
백군은 러시아 제국 구 영토 각지에서 설립되었다. 백군의 내역은 구 러시아 제국군, 백군파 코사크 군으로 구성되었으며, 공화제파가 많았다. 일반적으로 러시아의 우익으로 여겨지지만, 좌익도 포함되었다. 이전에는 볼셰비키 계열의 공산주의자 이외에는 모두 백군으로 묶이는 경향이 있었지만, 이는 소련에 의한 선전이었으며, 오늘날에는 모든 반 소비에트 세력이 백군으로 불리는 것은 아니다.
백군 지도자에는 안톤 데니킨, 알렉산드르 콜차크, 그리고리 세묘노프 등이 있다.
4. 1. 핀란드 내전
2월 혁명 이후 러시아 서부의 핀란드,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는 독립을 선언했지만, 상당수의 공산주의자 또는 러시아 군대가 주둔하고 있었다. 이후 내전이 발발했고, 반공산주의 측은 백군이라고 불렸다. 예를 들어 핀란드에서는 백위대가 이끄는 핀란드 백군(Valkoinen Armeijafi)이 소비에트 러시아가 지원하는 적위대와 싸웠다. 그러나 이들은 민족주의자들이었기에, 그들의 목표는 러시아 백군과는 상당히 달랐다. 예를 들어, 러시아 백군 장군들은 핀란드의 독립을 명시적으로 지지하지 않았다. 러시아 백군의 패배로 이 분쟁은 무의미해졌다. 이들 국가는 독립을 유지했고, 비공산주의 정부에 의해 통치되었다.[1]5. 내전 이후
러시아 내전에서 패배한 백군 병사들과 지지자들은 해외로 망명하여 베오그라드, 베를린, 파리, 하얼빈, 이스탄불, 상하이 등지에 모여 백계 러시아인 공동체를 형성했다.[43] 이들은 제2차 세계 대전 (1939–1945)까지 군사 및 문화 네트워크를 유지했으며, 하얼빈과 상하이 러시아인이 대표적인 예이다.[43] 이후 많은 백계 러시아인 반공산주의 활동가들은 미국으로 이주하여 활동했다.[43]
1920년대와 1930년대에 백색 운동은 러시아 외부에서 러시아 전군 연합, 러시아 진실 형제단, 러시아 연대주의 민족 연합 등의 조직을 결성하여 소련 정부를 무너뜨리기 위한 게릴라전을 펼쳤다.[43] 러시아 연대주의 민족 연합은 1930년 유고슬라비아 베오그라드에서 젊은 백색 망명자들이 창설한 극우 반공산주의 조직이었다. 한편, 일부 백색 망명자들은 "소련 애국자"로 불리며 친소련 성향을 보였고, 믈라도로시, 유라시아주의자, 스메노베호프치와 같은 조직을 결성하기도 했다.[43]
러시아 생도 군단은 소련 정부로부터 러시아를 되찾기 위한 군사 작전("봄의 작전")을 재개할 차세대 반공산주의자들을 준비시키기 위해 설립되었다.[43] 많은 생도들이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러시아 보호군에서 자원하여 싸웠으며, 일부 백색 러시아인들은 러시아 해방 운동에 참여했다.[43]
전쟁 후, 적극적인 반소련 전투는 거의 러시아 연대주의 민족 연합에 의해 지속되었다.[43] 다른 조직들은 해산되거나, 청소년 교육에 집중하기 시작했다.[43] 러시아 해외 스카우트와 같은 청소년 조직들은 아이들에게 소비에트 이전 러시아 문화와 유산을 교육하는 것을 장려했다. 일부는 1920년대에 알바니아의 조그 1세를 지원했으며, 소수는 스페인 내전 동안 국민파와 함께 독립적으로 복무했다.[43] 백색 러시아인들은 또한 소련의 신장 침공과 1937년 신장 이슬람 반란 동안 소련 붉은 군대와 함께 복무했다.[43]
6. 평가 및 논란
백군은 10월 혁명에 반대해 등장했지만, 몇 가지 부정적인 평가와 논란에 직면했다.
우선, 백군은 반유대주의적 경향을 보였다. 자원군 선전 부서 ОСВАГ|OSVAG (OSVedomitelnoe AGentstvo)ru는 유대인에 대한 적대감을 드러냈고, 안톤 데니킨 장군의 군대는 포그롬을 일으켜 유대인을 박해했다.[31][32]
또한 백군은 통일된 이념이나 지도자가 없었고, 외교 정책에서도 의견이 갈렸다.[33] 알렉산드르 콜차크 제독이 임시 정부를 수립했지만 곧 붕괴되었고,[5] 그리고리 세묘노프, 로만 폰 웅게른슈테른베르크와 같은 일부 군벌들은 독자적인 행동을 했다.[35] 이러한 분열은 결국 러시아 내전 패배의 한 원인이 되었다.[36][37]
6. 1. 부정적 평가
백군 운동은 10월 혁명에 반대하며 등장한 세력으로, 볼셰비키에 의해 해산된 제헌 의회를 다시 소집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28] 이들은 민족주의적 성향을 보이며, 정치적 지방주의와 분리주의를 거부하고 통일된 다민족 러시아를 지향했다.[30]그러나 백군은 반유대주의적 경향을 보였다. 자원군 선전 부서인 ОСВАГ|OSVAG (OSVedomitelnoe AGentstvo)ru는 유대인에 대한 적대감을 드러내며 ''시온 의정서''를 재발행하기도 했다.[31] 안톤 데니킨 장군의 군대는 포그롬을 일으키고 유대인을 박해했으며, 이러한 행위는 윈스턴 처칠의 경고를 받기도 했다.[32]
또한 백군은 통일된 이념이나 지도자가 없었고, 외교 정책에 있어서도 의견이 분분했다.[33] 알렉산드르 콜차크 제독이 임시 정부를 수립했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붕괴되었다.[5] 그리고리 세묘노프, 로만 폰 웅게른슈테른베르크와 같은 일부 군벌들은 독자적인 행동을 하기도 했다.[35]
이러한 백군의 분열과 이념적 통일성 부족은 결국 러시아 내전에서 패배하는 원인 중 하나로 작용했다.[36][37]
참조
[1]
서적
The Russian Civil War
2008
[2]
웹사이트
The White Guard
https://bigenc.ru/do[...]
The Great Russian Encyclopedia
2005
[3]
웹사이트
The White armies
https://alphahistory[...]
2019-08-15
[4]
웹사이트
ETIS - Rets.: Reigo Rosenthal, Loodearmee, Tallinn: Argo, 2006
https://www.etis.ee/[...]
2019-01-10
[5]
웹사이트
Предисловие // Красный террор в годы Гражданской войны: По материалам Особой следственной комиссии по расследованию злодеяний большевиков.
http://swolkov.org/d[...]
London
1992
[6]
서적
Советская Россия: Проблемы социально-экономического и политического развития
https://tstu.ru/educ[...]
Издательство ТГТУ
2005
[7]
서적
The White Movement and the National Question in Russia: a collective monograph
Saratov State University Publishing House
2009
[8]
학술지
The All-Russian Fascist Party
https://www.jstor.or[...]
1966
[9]
웹사이트
White Army of Russia | History, Significance & Composition
https://study.com/ac[...]
2023-04-14
[10]
서적
White Crimea, 1920: Memoirs and documents
Moscow
1990
[11]
웹사이트
Первая лекция историка К. М. Александрова о Гражданской войне. Часть первая.
http://www.belrussia[...]
2010-01-05
[12]
서적
The People in Arms: Military Myth and National Mobilization Since the French Revolutio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11-02
[13]
서적
The White Russian Army in Exile 1920-1941
https://academic.oup[...]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14]
웹사이트
In the Wake of Empire
https://www.hoover.o[...]
[15]
서적
Revolutions and Counter-Revolutions: 1917 and Its Aftermath from a Global Perspective
Campus Verlag
2017
[16]
웹사이트
YIVO Russian Civil War
https://yivoencyclop[...]
[17]
서적
China inside out: contemporary Chinese nationalism and transnationalism
https://books.google[...]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18]
서적
The Soviet High Command: A Military-political History, 1918-1941: A Military Political History, 1918-1941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07-04
[19]
웹사이트
Великая Российская революция. 10 вопросов
https://historyrussi[...]
[20]
서적
Russia in Revolution: An Empire in Crisis, 1890 to 1928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7
[21]
서적
1918 год. Революция, кровью омытая
[22]
서적
Red Advance, White Defeat: Civil War in South Russia 1919–1920
New Acdemia+ORM
[23]
웹사이트
Великая Российская революция. 10 вопросов
https://historyrussi[...]
[24]
서적
Russian Jews Between the Reds and the Whites, 1917-1920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5]
웹사이트
https://www.cambridg[...]
[26]
서적
Schriften zur Geistesgeschichte des östlichen Europa
Otto Harrassowitz Verlag
2002
[27]
서적
Schriften zur Geistesgeschichte des östlichen Europa
Otto Harrassowitz Verlag
2002
[28]
학술지
White Propaganda Efforts in the South during the Russian Civil War, 1918–19 (The Alekseev-Denikin Period)
1992-10
[29]
학술지
White Administration and White Terror (The Denikin Period)
1993-07
[30]
학술지
White Propaganda Efforts
[31]
서적
Approaches to Auschwitz: The Legacy of the Holocaust
SCM
1987
[32]
서적
Churchill and the Jews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33]
학술지
White Propaganda Efforts
[34]
웹사이트
Первая лекция историка К. М. Александрова о Гражданской войне. Часть первая.
http://www.belrussia[...]
2010-01-18
[35]
서적
Civil War
[36]
웹사이트
Двухнедѣльный военный и военно-морской журналъ «Часовой»: органъ связи русскаго воинства за рубежомъ подъ ред. В. В. Орѣхова и Евгенія Тарусскаго, — Paris, 1 мая 1932. — № 79
https://elan-kazak.r[...]
2010-12-17
[37]
서적
Белое движение
Большая Российская энциклопедия
[38]
서적
Civil War
[39]
학술지
The R.A.F. in Russia
https://books.google[...]
1919
[40]
서적
Civil War
[41]
서적
White Administration and White Terror
[42]
서적
Civil War
[43]
학술지
'Iron Cross of the Wrangel's Army': Russian Emigrants as Interpreters in the Wehrmacht
http://www.tandfonli[...]
20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