멜포메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멜포메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비극의 여신으로, 아홉 뮤즈 중 하나이다. '춤과 노래로 축하하다'를 의미하는 고대 그리스어에서 이름이 유래되었으며, 제우스와 므네모시네의 딸로 묘사된다. 멜포메네는 비극 가면, 부스킨, 리라 등을 지닌 모습으로 묘사되며, 시인들의 애도 노래를 부르는 존재로 여겨진다. 고대 시에서 멜포메네를 기원하는 것은 상서로운 일로 여겨졌으며, 미술 작품과 대중문화에서도 묘사된다. 또한, 소행성 18 멜포메네는 이 여신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예술의 신 - 토트
토트는 고대 이집트 신화에서 지혜, 마법, 달, 문자, 계산 등을 관장하는 신으로, 신들의 서기관이자 상형문자 발명가이며, 저승 세계의 심판에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다재다능한 존재이다. - 예술의 신 - 테르프시코레
테르프시코레는 그리스 신화에서 춤과 합창을 관장하는 무사이자 제우스와 므네모쉬네의 딸이며, 리라를 들고 춤추는 모습으로 묘사되고 세이렌을 낳았다는 설도 있다. - 무사 (신화) - 테르프시코레
테르프시코레는 그리스 신화에서 춤과 합창을 관장하는 무사이자 제우스와 므네모쉬네의 딸이며, 리라를 들고 춤추는 모습으로 묘사되고 세이렌을 낳았다는 설도 있다. - 무사 (신화) - 클리오
클리오는 그리스 신화에서 역사와 서사시를 관장하는 여신으로, 이름은 그리스어에서 유래했으며, 양피지 두루마리, 나팔 등으로 묘사되고, 여러 신화에서 다양한 왕과의 사이에서 히아킨토스를 낳았다고 전해지며, 현대에는 다양한 브랜드와 학술 단체의 이름에 사용된다. - 고대 그리스의 음악 - 아폴론
아폴론은 그리스·로마 신화에서 빛, 음악, 예술, 치유, 궁술, 예언 등 다양한 영역을 관장하는 중요한 신으로, 제우스와 레토의 아들이며 포이보스라고도 불린다. - 고대 그리스의 음악 - 하프
하프는 기원전부터 다양한 형태로 세계 각지에서 발전해 온 현악기로, 중세와 르네상스 시대 유럽에서 인기를 얻었으며 18세기 페달 하프 발명 후 오케스트라와 실내악에서 널리 쓰이고 아일랜드 등 여러 문화권에서 상징으로 여겨진다.
멜포메네 | |
---|---|
기본 정보 | |
![]() | |
역할 | 비극과 합창의 여신 |
상징 | 비극 가면 |
소속 | 무사 |
거주지 | 올림포스 산 |
가족 관계 | |
부모 | 제우스와 므네모시네 |
자매 | 에우테르페, 폴리힘니아, 우라니아, 클리오, 에라토, 탈리아, 테르프시코레, 칼리오페와 여러 이복 남매 |
배우자 | 아켈로스 |
자녀 | 세이렌 |
이름 정보 | |
그리스어 | Μελπομένη |
그리스어 음역 | Melpomenē |
의미 | '노래하다' 또는 '멜로디가 있는 자' |
로마자 표기 | Melpomeni |
2. 어원
멜포메네의 이름은 '춤과 노래로 축하하다'를 의미하는 고대 그리스어 동사 '멜포'(μέλπω) 또는 그 굴절형인 '멜포마이'(μέλπομαι)에서 유래되었다.[2] 옥스퍼드 영어 사전은 '멜페인'(μέλπειν, 노래하다)을 어원으로 제시한다.[3] ("가수"라는 의미를 내포함[1])
멜포메네는 아홉 무사 중 하나로, 비극의 여신이다.[4][5] 헤시오도스, 아폴로도로스, 디오도로스 시켈로스는 모두 멜포메네가 제우스와 므네모시네의 딸이라고 기록하고 있다.[4] 그녀는 칼리오페, 클리오, 에라토, 에우테르페, 폴리히엠니아, 테르프시코레, 탈리아, 우라니아와 자매 관계이다.[4]
고대 그리스 및 라틴 시에서 호라티우스(기원전 8년 사망) 이후, 멜포메네를 기원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상서로운 일이었다.[8] 호라티우스는 시 3.30에서 멜포메네를 기원하며 자신의 시를 어떤 왕의 묘보다 위대한 기념비라고 묘사했다. 시인은 멜포메네에게 그를 월계관으로 씌우고 계관 시인으로 만들어 달라고 요청한다.[9]
3. 신화
아폴로도로스, 리코프론, 가이우스 율리우스 히기누스는 멜포메네가 세이렌의 어머니라고 언급했지만,[4] 일부 고대 작가들은 다른 인물을 세이렌의 어머니로 지목하기도 했다.[6]
멜포메네는 유명 인사, 특히 시인들이 죽은 후 애도의 노래를 부르는 것으로 묘사된다.[7]
4. 도상 및 묘사
멜포메네는 비극 가면, 부스킨, 리라, 두루마리, 잎사귀 왕관 등을 지닌 모습으로 묘사된다.[7] 단검과 잔을 함께 묘사하기도 한다. 풍자 작가 앤서니 파스킨은 멜포메네를 "살인을 사랑하는" 존재로 묘사했다.[5]
도상학자 체사레 리파는 자신의 저서 《도상학(Iconologia)》 영어판에서 멜포메네를 "상복을 입은 숙녀로, 오른손에 피 묻은 단검을 들고 있으며, 뒤에는 금색 천으로 된 의복과 다양한 귀중한 보석이 땅에 놓여 있고, ''코투르니''를 신었다"라고 묘사했다. 또 다른 묘사에서는 "진지한 모습으로, 영웅적인 복장을 하고, 머리를 아름답게 장식하고 있으며, 한 손에는 잔을, 다른 손에는 단검을 들고 있으며, 발치에는 왕관과 홀이 있으며, 고대 비극 배우들이 사용했던 부스킨을 신었다. 진지한 모습과 영웅적인 복장은 비극이 유명한 업적과 역사를 나타낸다는 것을 의미한다"라고 묘사한다.[5]
5. 기원 및 활용
5. 1. 시각 예술
최초로 발견된 베르길리우스의 초상화는 1세기경의 모자이크로, 멜포메네와 역사 담당 여신인 클리오 사이에 베르길리우스를 묘사하고 있다. 신학자 루이스 A. 루프레히트는 이를 역사 기록과 비극 소설의 유사점에 대한 논평으로 해석했다.[10]
2018년 데카폴리스에서 고대 로마 목욕탕을 발굴하던 중, 뮤즈 여신들의 조각상 6점이 거의 완벽한 형태로 발견되었다. 멜포메네의 조각상은 높이 62cm로 펜텔리 대리석으로 제작되었다. 머리는 유실되었지만, 허벅지에 놓인 비극 가면으로 식별할 수 있었다.[11]
비극 여배우 세라 시돈스는 1780년대와 1790년대에 멜포메네로 묘사된 여러 그림의 모델이 되었다. 1784년 조슈아 레이놀즈의 그림 ''비극의 뮤즈로서의 세라 시돈스''는 시돈스와 레이놀즈의 경력에서 모두 중요한 작품으로 인정받고 있다.[5]
6. 대중문화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서사시에서는 아름다운 서정시를 창작하기 위해 멜포메네에게 기원하는 전통이 있었다. 멜포메네는 조지 필의 시 "오이노네의 탄식" 첫 구절과 존 키츠의 시 "이자벨라, 바실 단지" LVI 연에서 언급된다. 덴마크 록 밴드 캐시미어의 2003년 앨범 《Zitilites》에는 멜포메네라는 제목의 음악이 수록되어 있다. 월트 디즈니 픽쳐스의 영화 《헤라클레스》에 멜포메네가 등장하며, 미국에서는 뮤지컬 배우 쉐릴 프리먼이, 한국에서는 뮤지컬 배우 최정원이 목소리 연기를 맡았다. 비디오 게임 《데드 오어 얼라이브 2》에서 캐릭터 헬레나 더글라스의 전투 테마 제목은 "Blazed up Melpomene"이다. 마리 테스타의 브로드웨이 뮤지컬 《제너두》에서 멜포메네가 묘사된다. 롤플레잉 게임 《뱀파이어 : 마스쿼레이드》에서 불협화음의 딸이 사용하는 기술 중에 멜포미니(Melpominée)가 있다.
7. 갤러리
8. 과학
소행성 18 멜포메네는 1852년 영국의 영국 왕립 천문대장인 조지 비델 에어리에 의해 이 여신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2] 그는 비극을 나타내는 이름을 선택했는데, 이는 그의 딸 엘리자베스가 이 소행성이 발견된 날 사망했고, 또한 앞서 사망한 아들의 13주년이 되는 날이었기 때문이다.[12]
참조
[1]
서적
The Origins of English Words: A Discursive Dictionary of Indo-European Roots
https://books.googl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1-07-01
[2]
서적
Etymological and Pronouncing Dictionary of Difficult Words
https://books.google[...]
Ward, Lock, & Co.
[3]
OED
melpomenish
[4]
웹사이트
Melpomene
https://www.theoi.co[...]
2023-09-20
[5]
논문
Picturing Tragedy: Mrs. Siddons as the Tragic Muse Revisited
https://www.jstor.or[...]
2000
[6]
웹사이트
Sirens (Seirenes)
https://www.theoi.co[...]
2023-09-20
[7]
서적
Encyclopedia of Ancient Deiti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8]
서적
Encyclopedia of Modern Greek Literature
Greenwood Publishing Group
[9]
서적
Selected Papers on Ancient Literature and its Reception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GmbH & Co KG
[10]
논문
Clio and Melpomene: In Defense of the Historical Novel
https://www.jstor.or[...]
1997
[11]
논문
The muses and other statues of the Eastern Roman Baths of Gerasa, Jordan (2018 Campaign): Form and provenance
https://linkinghub.e[...]
2021
[12]
서적
Dictionary of Minor Planet Names
https://link.spring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13]
문서
ヘーシオドス、76行-79行
[14]
문서
ヘーシオドス、915行-917行
[15]
문서
アポロドーロス、1巻3・1
[16]
문서
アポロドーロス、1巻3・4
[17]
문서
"[[エウリーピデース]]『[[レソス (エウリピデス)|レーソス]]』347行への古註(ワルター・F・オットー、p.1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