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모르그 가의 살인 사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르그 가의 살인 사건"은 에드거 앨런 포의 단편 소설로, 탐정 C. 오귀스트 뒤팽이 파리에서 발생한 이중 살인 사건을 해결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뒤팽은 사건 현장의 단서를 통해 범인이 오랑우탄임을 밝혀내고, 최초의 탐정 소설로 평가받는다. 이 작품은 추리 소설 장르의 확립에 기여했으며, 셜록 홈즈, 에르큘 포와로 등 후대 탐정 소설에 큰 영향을 미쳤다. 또한, 밀실 살인, 도시와 범죄, 분석적 추론 등의 요소를 포함하며, 여러 영화, 비디오 게임, TV 시리즈 등으로 각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41년 단편소설 - 올레 루코예
    올레 루코예는 죽음을 형상화하여 어린 얄마르에게 삶의 긍정적인 측면과 고통스러운 측면을 동시에 보여주는 이야기 속 인물이다.
  • 미국의 단편소설 - 고자질하는 심장
    에드거 앨런 포의 단편 소설 《고자질하는 심장》은 '독수리 같은' 눈을 가진 노인을 살해한 익명의 화자가 죄책감으로 자멸하는 과정을 1인칭 시점으로 서술하며, 죄책감, 광기, 인간 심리의 어두운 면을 탐구하는 작품이다.
  • 미국의 단편소설 - 구명정 (소설)
    스티븐 크레인의 단편 소설 《구명정》은 작가의 난파 사고 경험을 바탕으로 네 명의 생존자가 구명정에서 겪는 고립, 인간과 자연의 관계, 연대 의식을 그린 자연주의 문학 대표작이다.
  • 미국의 추리 소설 - 천사와 악마
    댄 브라운의 소설 《천사와 악마》는 로버트 랭던 교수가 CERN 과학자와 함께 일루미나티의 바티칸 파괴 음모를 막기 위해 로마에서 추격전을 벌이는 이야기로, 과학과 종교의 충돌을 다루지만 역사적·과학적 사실과 차이가 있으며, 동명의 영화로도 제작되었다.
  • 미국의 추리 소설 - 깊은 잠
    《깊은 잠》은 레이먼드 챈들러의 하드보일드 탐정 소설로, 사립 탐정 필립 말로가 부유한 가문의 사건들을 해결하며 부패한 사회를 드러내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영화로도 제작되었다.
모르그 가의 살인 사건 - [서적]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제목모르그 가의 살인 사건
원제The Murders in the Rue Morgue
"모르그 가의 살인" 초고
저자에드거 앨런 포
언어영어
장르단편 소설
추리 소설
발표 형태잡지 게재
초출『그레이엄즈 매거진』 1841년 4월호
간행1843년
수록『에드거 A. 포의 이야기집』 1845년 6월
출판 정보
발표 매체『그레이엄즈 매거진』
출판사(정보 없음)
발표일1841년 4월
기타
시리즈(정보 없음)
번역가아이바에 코무라
사사키 나오지로
이전 작품(정보 없음)
다음 작품마리 로제의 수수께끼
위키소스테일즈 (포)/모르그 가의 살인

2. 줄거리

파리에 체류 중인 이름 없는 화자는 몽마르뜨의 한 도서관에서 몰락한 귀족 가문 출신이지만 비범한 관찰력과 분석력을 지닌 C. 오귀스트 뒤팽을 만나 친구가 된다. 두 사람은 파리 외곽의 낡은 저택에서 함께 살며 외부와의 접촉을 끊고 밤에만 외출하는 은둔 생활을 한다. 어느 날 밤 뒤팽은 화자가 속으로 생각하고 있던 특정 배우에 대한 생각을 정확히 맞추며 그의 뛰어난 분석 능력을 보여준다.

그러던 중 두 사람은 '모르그 가'라는 (가상의) 거리의 한 아파트 4층에서 레스파네 부인과 딸 카미유 모녀가 끔찍하게 살해당했다는 신문 기사를 접한다. 어머니 레스파네 부인은 목이 거의 잘려 머리가 몸에서 떨어질 정도로 심하게 훼손된 채 뒷마당에서 발견되었고, 딸 카미유는 목이 졸려 굴뚝 안에 거꾸로 박혀 있었다. 시신을 꺼내려면 여러 남자가 힘을 합쳐야 할 정도였다. 방은 안에서 잠겨 있었고, 바닥에는 피 묻은 면도칼과 정체불명의 회색 털뭉치, 그리고 가져가지 않은 금화 자루들이 발견되었다.

사건 당시 현장 근처의 증인들은 두 개의 목소리를 들었다고 증언했다. 하나는 프랑스어를 쓰는 남성의 목소리였으나, 다른 하나는 매우 높고 거친 소리로, 증인들마다 스페인어, 이탈리아어, 프랑스어 등 서로 다른 언어 같다고 진술했으나 누구도 정확히 어떤 언어인지 알지 못했다.

경찰은 사건 전날 모녀에게 금화를 배달했던 은행원 아돌프 르 봉을 뚜렷한 증거 없이 체포한다. 과거 르 봉에게 도움을 받은 적이 있던 뒤팽은 이 기묘한 사건에 흥미를 느끼고 경찰 청장 G.에게 사건 조사를 돕겠다고 제안하여 현장 조사를 허가받는다.

다니엘 비에르쥬의 "모르그 가의 살인 사건" 삽화, 1870


뒤팽은 현장을 면밀히 조사한다. 그는 금화가 그대로 남겨진 점을 들어 강도 목적의 범행이 아니라고 판단한다. 또한 딸 카미유의 시신을 좁은 굴뚝에 밀어 넣으려면 인간 이상의 힘이 필요하다고 추론한다. 뒤팽은 방이 안에서 잠겨 있었지만, 뒷 창문 중 하나가 못으로 고정된 것처럼 보였으나 실제로는 못이 부러져 있어 열 수 있었음을 발견한다. 창문 근처의 피뢰침을 이용하면 외부에서 침입하고 도주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추론한다. 이 초인적인 힘과 민첩성, 증인들이 공통적으로 묘사하지 못한 기이한 목소리, 그리고 현장에서 발견된 인간의 것이 아닌 독특한 털뭉치를 종합하여, 뒤팽은 범인이 사람이 아닌 오랑우탄이라고 결론 내린다.

선원에게 살해자에 대해 묻는 뒤팽. 바이엄 쇼의 삽화, 1909년


뒤팽은 신문에 '포획된 오랑우탄을 찾아가라'는 광고를 내고, 얼마 지나지 않아 한 선원이 뒤팽의 집을 찾아온다. 선원은 뒤팽에게 모든 사실을 털어놓는다. 그는 보르네오에서 오랑우탄을 잡아 파리로 데려왔으나 제대로 통제하지 못했다. 어느 날 밤, 오랑우탄은 선원이 면도하는 것을 흉내 내려 면도칼을 들고 달아났고, 모르그 가의 아파트까지 도망쳐 피뢰침을 타고 레스파네 모녀의 방으로 침입했다. 오랑우탄은 레스파네 부인의 머리카락을 잡고 면도칼을 휘두르며 이발사를 흉내 냈고, 부인이 비명을 지르자 격분하여 잔혹하게 살해했다. 딸 카미유 역시 목 졸라 살해했다. 뒤늦게 오랑우탄을 쫓아 피뢰침을 타고 올라온 선원의 프랑스어 외침과 오랑우탄의 괴성이 바로 증인들이 들었던 두 개의 목소리였다. 주인의 처벌을 두려워한 오랑우탄은 어머니의 시체를 창밖으로 던지고 딸의 시신을 굴뚝에 숨긴 뒤 달아났다.

선원의 자백으로 아돌프 르 봉은 풀려난다. 경찰 청장 G.는 뒤팽의 추리에 당혹스러워하며 사람들이 남의 일에 참견한다고 비꼬는 투로 말을 남긴다. 뒤팽은 G.가 "심오하기보다는 교활하다"고 평가하면서도, 장 자크 루소의 말을 인용하여 "있는 것을 부정하고 없는 것을 설명하는" 그의 능력(de nier ce qui est, et d'expliquer ce qui n'est pas프랑스어)은 인정한다고 화자에게 말한다. 선원은 이후 오랑우탄을 팔아넘긴다.

3. 등장인물

이 이야기의 주요 등장인물은 다음과 같다.


  • C. 오귀스트 뒤팽: 몰락한 귀족 가문 출신으로, 뛰어난 관찰력과 분석적 추론 능력을 지닌 인물이다. 사건 해결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 '나': 작품의 화자로, 뒤팽의 친구이자 그의 활동을 기록하는 인물이다. 이름은 명시되지 않는다.
  • 선원: 사건의 발단이 된 오랑우탄의 주인이다. 보르네오에서 오랑우탄을 데려왔으며, 뒤팽의 추리에 의해 사건의 전말을 밝히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3. 1. 오귀스트 뒤팽

C. 오귀스트 뒤팽은 몰락한 귀족 가문 출신으로, 파리의 몽마르뜨에 있는 한 도서관에서 '나'(화자)와 처음 만난다. 그는 폭넓은 독서량과 뛰어난 관찰력, 그리고 날카로운 분석적 추론 능력을 지녔다. 화자는 뒤팽의 비범함에 매료되어 파리 변두리의 낡은 저택에서 함께 살기로 한다. 이들은 외부와의 접촉을 끊고 은둔하며, 주로 밤에만 활동한다.[7] 어느 날 밤, 뒤팽은 화자가 아무 말도 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생각을 정확히 읽어내며 자신의 분석 능력을 보여준다.

뒤팽은 직업적인 탐정이 아니며, 금전적인 보상에는 전혀 관심이 없다. 그가 모르그 가의 엽기적인 이중 살인 사건에 뛰어든 것은 순전히 지적인 호기심과 진실을 밝히려는 열망 때문이었다. 또한, 사건의 용의자로 억울하게 체포된 은행원 아돌프 르 봉이 과거 자신에게 도움을 준 적이 있기에, 그의 무죄를 증명하고자 하는 마음도 있었다.[4] 뒤팽은 경찰 청장 'G-'에게 접근하여 사건 조사에 대한 협조를 얻어낸다.

뒤팽은 사건 현장을 면밀히 조사하고 증인들의 증언을 분석한다. 그는 여러 증인이 들었다는 두 번째 목소리의 언어가 제각각이라는 점에 주목하여, 그것이 인간의 목소리가 아닐 것이라고 추론한다. 또한, 방이 안에서 잠겨 있었고 금품이 그대로 남아있다는 점, 그리고 카미유의 시신을 좁은 굴뚝에 밀어 넣는 데 필요한 초인적인 힘 등을 근거로 강도 살인 가능성을 배제한다. 그는 범인이 피뢰침을 타고 창문을 통해 침입했으며, 현장에서 발견된 기묘한 털 뭉치를 단서로 범인이 오랑우탄이라고 결론짓는다.

뒤팽은 신문에 오랑우탄을 잃어버린 사람을 찾는 광고를 내고, 곧 한 선원이 찾아온다. 선원은 보르네오에서 잡은 오랑우탄이 면도칼을 들고 탈출하여 우발적으로 살인을 저질렀으며, 자신이 그 뒤를 쫓았다고 자백한다. 증인들이 들었던 두 개의 목소리는 바로 선원의 프랑스어와 오랑우탄의 알아들을 수 없는 소리였던 것이다. 선원의 자백으로 르 봉은 풀려나고 사건은 해결된다.[5] 뒤팽은 선원이 제안한 금전적 보상을 거절한다.[4]

사건 해결 후, 뒤팽은 경찰 청장 G-에 대해 de nier ce qui est, et d'expliquer ce qui n'est pas|있는 것을 부인하고, 없는 것을 설명하는 것프랑스어("심오하기에는 다소 교활하다")이라고 평가하며, 그의 수사 방식이 피상적임을 지적한다. 이는 경찰의 한계를 보여주는 동시에 뒤팽의 뛰어난 분석력을 더욱 돋보이게 한다.[19]

뒤팽 캐릭터는 아서 코난 도일셜록 홈즈나 아가사 크리스티의 에르큘 포와로와 같은 후대의 수많은 명탐정 캐릭터의 원형이 되었다.[17] 그는 괴짜이지만 천재적인 탐정, 사건을 기록하는 가까운 친구(화자), 그리고 다소 무능하게 그려지는 경찰이라는 탐정 소설의 전형적인 요소들을 확립했다.[19] 또한, 탐정이 사건의 전말을 밝힌 뒤 추리 과정을 설명하는 서술 방식[20]과 밀실 살인 사건이라는 장르적 장치를 처음 선보인 것으로 평가받는다.[22] 뒤팽의 이름은 프랑스의 범죄자이자 탐정이었던 외젠 프랑수아 비도크의 회고록에 등장하는 인물에서 영감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지만, 이야기 자체의 유사성은 거의 없다.[30][31] 뒤팽 자신은 비도크를 "훌륭한 추측가"일 뿐이라고 평가절하한다.[32]

3. 2. '나'

작품의 화자로, 이름은 명시되지 않는다. 그는 파리에 장기 체류하던 중 몽마르뜨의 한 도서관에서 몰락한 귀족 가문 출신의 C. 오귀스트 뒤팽을 만나게 된다. 화자는 뒤팽의 폭넓은 독서 범위와 날카로운 분석력에 깊은 인상을 받고, 그와 함께 파리의 변두리에 있는 낡고 외딴 저택에서 은둔 생활을 시작한다. 이들은 외부와의 접촉을 최소화하고, 낮에는 창문을 닫고 독서와 사색에 몰두하며 밤에만 외출하는 생활을 공유한다.

어느 날 밤 산책 중에 뒤팽은 화자가 침묵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생각의 흐름을 정확히 읽어내며 특정 배우에 대해 생각하고 있었음을 지적한다. 화자는 뒤팽이 자신의 이전 발언과 행동에서 단서를 수집하여 논리적으로 추론해내는 과정에 감탄하며 그의 비범한 분석 능력을 처음으로 목격한다.

화자는 뒤팽의 친구이자 조력자로서, 모르그 가에서 발생한 끔찍한 이중 살인 사건을 신문을 통해 함께 접한다. 마담 레스파니에와 그녀의 딸 카미유가 밀실 상태의 방에서 잔혹하게 살해된 이 기괴한 사건에 뒤팽이 흥미를 보이자, 화자는 뒤팽과 함께 사건 현장을 방문하고 그의 조사를 돕는다. 그는 뒤팽이 현장의 사소한 단서들(창문의 못, 굴뚝의 구조, 바닥에 남겨진 머리카락 등)을 통해 사건의 진상을 파헤치는 과정을 가장 가까이에서 지켜보며 기록하는 역할을 한다.

화자는 뒤팽처럼 초인적인 추리력을 발휘하지는 못하지만, 그의 설명을 통해 사건의 전말을 이해하고 독자에게 전달하는 중요한 매개체 역할을 한다. 뒤팽이 범인이 인간이 아닌 오랑우탄이라는 결론에 도달하고, 광고를 통해 보르네오에서 온 선원을 찾아내 자백을 받아내는 과정을 모두 지켜본다.

사건 해결 후, 화자는 뒤팽이 경찰 청장 G–를 두고 "심오하기에는 다소 교활하다"고 평가하며, 그의 수사 방식에 대해 de nier ce qui est, et d'expliquer ce qui n'est pas|드 니에 스 키 에, 에 덱스플리케 스 키 네 파fra("있는 것을 부인하고, 없는 것을 설명하는 것" - 장 자크 루소의 ''줄리, 또는 신 엘로이즈''에서 인용)라고 비평하는 것을 듣는다. 이처럼 화자는 뒤팽의 천재성을 부각시키고 그의 추리 과정을 독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작품에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인물이다.

3. 3. 선원

선원은 모르그 가의 살인 사건에 등장하는 오랑우탄의 주인이다. 그는 희귀 동물인 오랑우탄을 이용해 돈을 벌기 위한 목적으로 보르네오에서 오랑우탄을 잡아 파리로 데려왔다. 그러나 선원은 오랑우탄을 제대로 통제하지 못했고, 결국 오랑우탄이 탈출하여 모르그 가에서 끔찍한 살인 사건을 저지르게 된다.

사건의 진상을 파악한 뒤팽은 오랑우탄을 포획했다는 내용의 신문 광고를 내어 주인을 유인한다. 이 광고를 보고 찾아온 선원은 뒤팽에게 사건의 전말, 즉 자신의 오랑우탄이 탈출하여 범행을 저질렀다는 사실을 자백한다.

4. 작품 분석



는 친구에게 보낸 편지에서 "모르그 가의 살인 사건"의 주제가 "살인자를 탐지하는 데 있어서 독창성을 발휘하는 것"이라고 밝혔다.[3] 뒤팽은 직업적인 탐정이 아니며, 개인적인 즐거움과 진실 추구를 위해 사건을 조사한다.[4] 범인이 인간이 아닌 오랑우탄으로 밝혀지면서, 동물이나 그 소유자 모두에게 법적 책임을 묻기 어려운 방식으로 범죄가 해결되는 독특한 결말을 보여준다.[5] 이 이야기는 지성과 완력의 대결이라는 근본적인 은유를 담고 있으며,[8] 포가 자주 사용한 주제, 즉 그가 "세상에서 가장 시적인 주제"라고 불렀던 아름다운 여성의 죽음을 다루고 있다.[9][10]

4. 1. 추리 소설의 효시

오브리 비어즐리의 "모르그 가의 살인 사건" 삽화, 1895


의 전기 작가 제프리 마이어스는 "모르그 가의 살인 사건"이 "세계 문학의 역사를 바꿨다"고 평가하며 그 중요성을 강조했다.[2] 이 작품은 종종 최초의 탐정 소설로 여겨지며, 주인공 뒤팽은 아서 코난 도일셜록 홈즈나 아가사 크리스티의 에르큘 포와로 같은 후대의 수많은 명탐정 캐릭터들의 원형이 되었다. 추리 소설은 단순한 미스터리 소설과 달리, 사건 해결 과정에서의 분석을 중시하는 특징을 가지는데, 포는 이러한 장르를 개척한 인물로 평가받는다.[17] 그의 공로는 미국 추리 작가 협회가 매년 뛰어난 추리 작품에 수여하는 에드거상의 이름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18]

"모르그 가의 살인 사건"은 이후 미스터리 소설에서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여러 문학적 장치들을 처음 선보였다. 대표적인 예로는 다소 괴짜이지만 뛰어난 추리력을 가진 탐정, 그의 능력에 미치지 못하는 평범하거나 다소 얼빠진 경찰, 그리고 탐정의 가까운 친구가 사건을 기록하는 1인칭 시점 서술 방식 등이 있다.[19] 포는 경찰을 탐정의 능력을 돋보이게 하기 위한 대립 인물처럼 다소 비판적으로 묘사하기도 했다.[19] 또한, 탐정이 사건의 진상을 밝힌 뒤, 그 결론에 도달하기까지의 논리적인 추리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는 서술 기법도 포가 처음 시도한 것이다.[20] 이 작품은 문학사상 최초로 밀실 살인 사건을 다룬 소설이기도 하다.[22] 다만, 후대의 많은 추리 소설과 달리, 독자가 모든 단서를 가지고 범인을 추리하기는 어렵다는 특징이 있다. 대부분의 독자는 오랑우탄을 용의선상에 올리기 어렵기 때문이다.[21]

분석이나 추리를 중요한 요소로 다룬 소설은 포 이전에도 존재했다. 예를 들어 E.T.A. 호프만의 『스퀴데리 양』(Das Fräulein von Scuderi|다스 프로일라인 폰 스쿠데리de, 1819년)은 종종 포 이전의 추리 소설로 언급되기도 한다.[52] 그러나 오늘날 우리가 아는 추리 소설 또는 탐정 소설(포 자신은 "추리 이야기(tales of ratiocination)"라고 불렀다)의 기본적인 틀을 만든 것은 "모르그 가의 살인 사건"과 그 뒤를 잇는 포의 작품들이다. 일본의 추리 소설가 에도가와 란포는 포의 필명에서 자신의 이름을 따왔는데, 그는 만약 포가 탐정 소설을 창조하지 않았다면 "아마 도일은 태어나지 않았을 것이고, 따라서 체스터턴도 없었을 것이며, 그 이후의 훌륭한 작가들도 탐정 소설을 쓰지 않았거나, 썼더라도 예를 들어 디킨스 등의 작품과는 전혀 다른 형태가 되었을 것"이라고 말하며 포의 선구적인 역할을 높이 평가했다.[53]

"모르그 가의 살인 사건"은 명탐정이라는 인물 유형을 창조한 것을 시작으로, 이후 추리 소설의 전형적인 공식들을 다수 포함하고 있다. 포가 만들어낸 "천재적인 탐정"은 셜록 홈즈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크로프츠가 평범한 인물의 꾸준한 수사를 강조하는 새로운 유형의 탐정을 제시하기 전까지 약 80년간 탐정의 대표적인 모습으로 자리 잡았다.[54] 또한, 명탐정의 활약을 기록하고 독자에게 전달하는 평범한 친구나 조력자(왓슨 박사처럼) 역시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매김했다.[54] 명탐정의 능력을 부각시키기 위해 경찰을 다소 무능하거나 어리석게 묘사하는 관행 또한 이 작품에서 시작되었다.[55] 사건의 시작 부분에서 기이하고 불가사의한 분위기를 조성하고, 결말에서 예상치 못한 진실을 밝히는 구성, 독자에게 단서를 미리 제공하여 함께 추리하도록 유도하는 "독자에의 도전" 원칙, 밀실 살인과 같은 불가능 범죄와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기발한 "트릭", 그리고 마지막 장면에서 탐정이 모든 추리 과정을 설명하며 사건을 해결하는 방식 등은 모두 "모르그 가의 살인 사건"에서 그 원형을 찾아볼 수 있다.[56] 물론, 독자가 진범(오랑우탄)을 용의자로 떠올리기 어렵다는 점이나, 밀실 상황에 대한 설명이 다소 부족하다는 점 등은 현대 추리 소설의 엄격한 규칙과는 다소 차이가 있다는 지적도 있다.[57][58] 하지만 추리 소설이라는 장르 자체가 이 작품을 기반으로 발전했기 때문에, 후대의 기준으로 이를 비판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볼 수 있다.

"모르그 가의 살인 사건"이 처음 발표되었을 때, 이 작품과 작가는 그 참신함으로 인해 많은 찬사를 받았다.[9][59] 펜실베이니아의 ''인콰이어러(Inquirer)'' 신문은 당시 "이 작품은 포 씨의 재능을 증명한다...그 독창적인 필력과 기술에는 견줄 데가 없다"라고 기록했다.[22][51] 그러나, 포 자신은 필립 펜들턴 쿡에게 보낸 편지에서, 자신의 업적을 낮게 평가하고 있다.[23] 그는 다음과 같이 적었다.

> 이러한 추리 이야기는, 그 인기의 대부분을 그것이 참신한 형식이라는 점에 힘입고 있습니다. 저는 이것들에 교묘함이 없다고 말하려는 것은 아닙니다―하지만, 독자는 이러한 작품이 실제보다 더 교묘하다고 생각하는 것입니다―이러한 작품이 취하고 있는 수법과, 그 수법의 겉모습 때문에. 예를 들어 "모르그 가의 살인 사건"인데, 도대체 이 안에서 얽혀 있는 실을 풀어내는 솜씨의 어디에 교묘함이 있습니까...이 실은 분명하게, 풀어질 것을 의식하고 얽혀 있다는 데?[3][60]

4. 2. 분석적 추론



에드거 앨런 포는 친구에게 보낸 편지에서 이 작품의 주제가 "살인자를 탐지하는 데 있어서 독창성을 발휘하는 것"이라고 밝혔다.[3] 주인공 C. 오귀스트 뒤팽은 직업적인 탐정이 아니며, 개인적인 즐거움과 진실 추구를 위해, 그리고 억울하게 용의자로 지목된 아돌프 르 봉의 무죄를 증명하고자 사건을 조사한다. 그는 금전적 보상을 바라지 않으며, 실제로 오랑우탄 주인이 제안한 보상도 거절한다.[4]

뒤팽이 사용하는 방법은 '추론(ratiocination)'으로, 이는 단순한 관찰을 넘어선 분석적 사고 능력을 의미한다. 포는 카드 게임에 비유하여 "얻어진 정보의 정도는 추론의 타당성에 달려있는 것이 아니라 관찰의 질에 달려있다"고 설명하며, 관찰의 중요성을 강조한다.[11][12] 뒤팽은 화자가 속으로 배우 샹틸리를 생각하고 있다는 것을 정확히 맞추는 모습을 보여주며 자신의 추론 능력을 증명한다.[13][14]

뒤팽은 모르그 가의 살인 사건 해결에 이 분석적 추론 능력을 적용한다. 그는 경찰의 피상적인 수사 방식을 비판하며, 사건 현장과 주변을 면밀히 조사한다. 뒤팽은 다음과 같은 단서들을 종합하여 추리한다.

  • 증언의 모순: 여러 증인이 들었다는 기이한 목소리에 대한 엇갈리는 증언 (각자 다른 외국어로 인식).
  • 현장 상황: 외부 침입이 불가능해 보이는 밀실 구조, 방 안의 극심한 파괴 상태, 금품은 그대로 남아있는 점.
  • 시신의 상태: 인간의 소행으로 보기 어려운 잔혹함과 초인적인 힘의 흔적 (굴뚝에 거꾸로 박힌 시신, 목이 거의 잘려나간 시신).
  • 물리적 증거: 창문이 실제로는 잠겨있지 않았다는 사실(부러진 못), 외부 피뢰침을 이용한 침입 가능성, 현장에서 발견된 인간의 것이 아닌 털.


이러한 단서들과 조르주 퀴비에 같은 동물학자의 저술에서 얻은 오랑우탄 지식을 결합하여[15], 뒤팽은 범인이 인간이 아닌 오랑우탄이라고 결론 내린다. 그는 신문 광고를 통해 오랑우탄의 주인인 선원을 찾아내고, 선원은 보르네오에서 데려온 오랑우탄이 면도칼을 들고 도망쳐 우발적으로 살인을 저질렀다고 자백한다. 진범이 밝혀져 사건은 해결되지만, 오랑우탄이나 주인에게 법적 책임을 묻기는 어렵게 된다.[5] 아서 홉슨 퀸과 같은 학자는 후대의 탐정 소설이라면 체포된 르 봉을 미끼로 활용했을 수 있다고 지적하지만, 포는 그러한 장치를 사용하지 않았다.[6]

이 이야기는 지성(뒤팽의 분석적 추론)과 완력(오랑우탄의 폭력성, 주인의 학대)의 대결이라는 은유적 구조를 보여준다.[8] 또한, 뒤팽의 추론 과정은 독서와 문자의 중요성을 강조하는데, 그는 신문 기사를 통해 사건에 흥미를 느끼고 동물학 서적을 통해 결정적인 단서를 얻는다. 포는 독자가 스스로 단서를 읽고 뒤팽의 추론 과정을 따라가도록 유도하며 지적인 참여를 이끌어낸다.[15]

4. 3. 밀실 살인

''에드거 앨런 포의 산문 로맨스'', No. I, 윌리엄 H. 그레이엄, 필라델피아, 1843. 이 작품은 밀실 살인 장르의 효시로 평가받는다.


'밀실 살인'이라는 추리 소설의 하위 장르를 개척한 것으로 평가받는[35] 이 작품은 에드거 앨런 포가 1838년부터 1844년까지 여러 곳에서 거주했던 필라델피아에서 집필했다.[33][34] 포는 원래 제목을 "트리아농 바 거리의 살인 사건"(The Murders in the Rue Trianon-Bas프랑스어)으로 하려 했으나, '모르그(Morgue, 시체 공시소)'라는 단어를 사용하여 죽음과의 연관성을 더 강조하고자 제목을 변경했다.[35]

이 소설은 포가 편집자로 일하던 1841년 4월 ''그레이엄스 매거진''에 처음 발표되었으며, 당시로서는 상당히 높은 금액인 56USD(1841년 기준)[36]의 원고료를 받았다. 이는 1845년 발표된 그의 유명한 시 "갈가마귀"의 원고료 9USD(1845년 기준)[36]와 비교해 보면 파격적인 대우였다. 1843년, 포는 자신의 단편들을 모아 ''에드거 앨런 포의 산문 로맨스''라는 제목의 소책자 시리즈 출간을 기획했다. 그 첫 권으로 "모르그 가의 살인 사건"과 풍자 소설 "다 써버린 사람"을 묶어 출판했으며, 가격은 12.5센트였다.[37] 이 소책자 버전에는 ''그레이엄스 매거진'' 판본과 비교하여 52곳의 수정이 있었는데, 특히 경찰 경감에 대한 묘사가 "너무나 꾀가 많아 예리하다"에서 "너무나 꾀가 많아 통찰력이 없다"로 변경되었다.[38] 이후 "모르그 가의 살인 사건"은 와일리 & 퍼트넘 출판사에서 간행된 포의 단편집 ''테일즈''에도 수록되었으나, 포 본인이 직접 작품 선정에 관여하지는 않았다.[39]

밀실 살인의 수수께끼를 해결하는 탐정 C. 오귀스트 뒤팽은 이후 포의 다른 작품에도 등장한다. "마리 로제 사건"(1842-1843년 연재)은 "모르그 가의 살인 사건의 속편"이라는 부제가 붙었지만, 뒤팽과 파리라는 배경 외에는 직접적인 연관성은 적다.[40] 뒤팽은 "도난당한 편지"(1844)에도 다시 등장하는데, 포 자신은 이 작품을 "아마도 내 추리 소설 중 최고일 것"이라고 평가했다.[41]

"모르그 가의 살인 사건"의 원고는 ''그레이엄스 매거진'' 인쇄 후 버려졌으나, 사무실 견습생이었던 J. M. 존스턴이 이를 수습하여 보관했다. 여러 차례 화재를 겪고도 살아남은 이 원고는 이후 조지 윌리엄 차일즈에게 인수되었고, 1891년 차일즈는 원고의 내력을 담은 편지와 함께 이를 드렉셀 대학교에 기증했다.[42] 차일즈는 1875년 볼티모어에 세워진 포의 새로운 묘비 건립을 위해 650USD(1875년 기준)[43]를 기부하기도 했다.

이 작품은 포의 소설 중 가장 먼저 프랑스어로 번역된 작품 중 하나이기도 하다. 1846년 6월, 파리 신문 ''La Quotidienne|라 쿼티디엔느프랑스어''에 Un meurtre sans exemple dans les Fastes de la Justice|사법 연대기 속 전례 없는 살인프랑스어이라는 제목으로 번역본이 실렸으나, 포의 이름은 언급되지 않았고 "모르그 가(Rue Morgue)"는 "rue de l'Ouest|웨스트 거리프랑스어", "뒤팽"은 "Bernier|베르니에프랑스어"로 바뀌는 등 여러 내용이 변경되었다.[44] 같은 해 10월, 또 다른 신문 ''Le Commerce|르 코메르스프랑스어''에 Une Sanglante Enigme|피비린내 나는 수수께끼프랑스어라는 제목의 번역본이 실리자, ''라 쿼티디엔느'' 측은 표절 혐의를 제기했다. 이 사건은 법정 다툼으로 이어졌고, 이 과정에서 에드거 앨런 포의 이름이 프랑스 대중에게 널리 알려지는 계기가 되었다.[44] 이러한 과정을 통해 '밀실 살인'이라는 새로운 형식의 이야기가 국제적으로 전파되기 시작했다.

4. 4. 도시와 범죄

포는 도시 개발로 인해 범죄가 사람들의 마음속에 깊이 자리 잡았던 시대에 "모르그 가의 살인 사건"을 썼다.[1] 당시 런던은 최초의 전문적인 경찰력을 창설했고, 미국 도시들은 신문들이 살인 사건과 형사 재판을 보도하면서 과학적인 경찰 업무에 집중하기 시작했다.[1] "모르그 가의 살인 사건"은 포의 소설, 특히 포가 필라델피아에서 살았던 시절의 경험에서 영감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는 "군중 속의 남자"에서 여러 번 사용된 도시적 주제를 이어간다.[7] 포는 도시의 이면에 존재하는 어둠과 범죄의 잔혹성을 생생하게 묘사하여 독자들에게 강한 긴장감과 몰입감을 선사했다.

5. 한국 문학에 미친 영향

주어진 원본 소스(`source`)는 '모르그 가의 살인 사건'이 일본에서 번역된 역사와 현황을 상세히 다루고 있습니다. 요청하신 위키 페이지의 섹션 제목은 '한국 문학에 미친 영향'으로, 제공된 원본 소스의 내용과는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주어진 원본 소스만으로는 '한국 문학에 미친 영향' 섹션에 해당하는 위키텍스트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원본 소스는 일본 내 번역 과정, 번역자, 번역본 제목, 연재 매체 등에 대한 정보만 포함하고 있어, 한국 문학과의 연관성을 찾기 어렵습니다.

6. 각색



이 소설은 그림 삽화뿐만 아니라 여러 차례 영화로도 각색되었다.

6. 1. 영화

"모르그 가의 살인 사건"은 여러 차례 영화로 각색되었다. 무성 영화 시대 초기에 최소 4편의 영화가 이 이야기에서 영감을 얻었다. 그중 하나는 탈출한 고릴라가 젊은 여성을 살해하는 내용의 Sherlock Holmes in the Great Murder Mystery|셜록 홈즈와 대살인 사건의 수수께끼eng (1908)였다. 1914년에는 원숭이가 진주 목걸이를 훔치는 내용을 다룬 코미디 드라마 The Phantom Thief|팬텀 도둑eng이 제작되었고, 유인원이 살인을 저지르거나 혐의를 받는 유사한 주제의 영화로 Who Killed Olga Carew?|올가 카로우는 누구를 죽였나?eng (1913)와 The Orang-Outang|오랑우탄eng (1915) 등이 있다. 1914년에는 폴 클레몬스 주연의 각색 영화가 제작되어 나중에 The Mystery of the Rue Morgue|모르그 가의 미스터리eng라는 제목으로 개봉되기도 했다.

로버트 플로리 감독은 1930년 3월 유니버설 픽처스에 처음으로 "모르그 가의 살인 사건" 각색을 제안했다. 당시 드라큘라가 개봉 중이었고 프랑켄슈타인 (1931)은 제작 전 단계였기 때문에, 포의 이야기를 영화화하는 계획은 1931년에야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벨라 루고시가 주연을 맡은 1932년 영화는 원작 소설 내용을 상당 부분 변경했는데, 플로리 감독은 "포의 단편 소설을 강화하고 늘리기 위해 수많은 등장인물을 추가했다"고 밝혔다. 이 영화는 개봉 당시 비평가들로부터 혹평을 받았다.

1932년 영화 ''모르그 가의 살인''


이후 워너 브라더스는 1954년에 컬러 3D 영화인 모르그 가의 유령(Phantom of the Rue Morgue)을 제작했다.[45] 고든 헤슬러 감독은 1971년에 모르그 가의 살인 사건(Murders in the Rue Morgue)을 연출했는데,[46] 이 작품은 포의 원작보다는 오페라의 유령에 더 가까운 내용으로 각색되었다. 헤슬러 감독은 "원숭이가 범인인 미스터리라는 원작 이야기는 더 이상 만들 수 있는 종류의 이야기가 아니었다"고 설명했다. 1986년에는 자노 스워크가 감독하고 조지 C. 스콧이 오귀스트 뒤팽 역을 맡은 텔레비전 영화가 제작되었다.

2023년 넷플릭스 미니시리즈 어셔 가의 몰락 (미니시리즈)에서는 오귀스트 뒤팽이 미국 연방 검사보로 재해석되어 등장한다. 이 시리즈의 세 번째 에피소드 제목은 "모르그 가의 살인"이며, "모르그 가"라는 별명의 의료 실험 시설에서 카미유 레스파네이라는 인물이 살인마 침팬지에게 살해당하는 내용을 다룬다.

=== 주요 영화화 작품 ===

제목원제연도국가비고감독주요 출연진
셜록 홈즈와 대살인 사건의 수수께끼Sherlock Holmes in the Great Murder Mysteryeng1908미국흑백, 무성 영화
모르그 가의 살인Murders in the Rue Morgueeng1932미국흑백로버트 플로리벨라 루고시, 찰스 제모라
모르그 가의 유령Phantom of the Rue Morgueeng1954미국컬러, 3D 영화로이 델 루스칼 말덴, 스티브 포레스트
모르그 가의 살인Murders in the Rue Morgueeng / Edgar Allan Poe's Murders in the Rue Morgueeng1971미국일본 극장 미개봉고든 헤슬러제이슨 로버즈, 허버트 롬, 크리스틴 카우프만
모르그 가의 살인The Murders in the Rue Morgueeng1986미국텔레비전 영화, 일본 극장 미개봉자노 스워크조지 C. 스콧, 레베카 드 모네이


6. 2. 기타



의 전기 작가 제프리 마이어스는 "모르그 가의 살인 사건"이 "세계 문학의 역사를 바꿨다"고 평가하며 그 중요성을 강조했다.[2] 이 작품은 종종 최초의 탐정 소설로 여겨지며, 주인공 오귀스트 뒤팽아서 코난 도일셜록 홈즈나 아가사 크리스티의 에르큘 포와로 같은 후대 탐정 캐릭터들의 원형이 되었다. 탐정 소설은 단순한 미스터리 소설과 달리 분석에 초점을 맞춘다는 점에서 구별된다.[17] 포가 탐정 소설 장르를 창시한 공로는 미국 추리 작가 협회가 매년 수여하는 에드거상의 이름에도 반영되어 있다.[18]

"모르그 가의 살인 사건"은 이후 미스터리 소설에서 자주 사용되는 여러 문학적 장치를 확립했다. 여기에는 괴짜 같지만 뛰어난 탐정, 다소 무능하게 그려지는 경찰, 그리고 탐정의 가까운 친구가 1인칭 시점으로 서술하는 방식 등이 포함된다. 포는 특히 경찰을 탐정의 대립 인물처럼 부정적으로 묘사하기도 했다.[19] 또한, 탐정이 먼저 사건의 해결책을 제시한 뒤, 그 결론에 도달하기까지의 추리 과정을 설명하는 서술 기법도 포가 처음 시작한 것이다.[20] 이 작품은 최초의 밀실 살인 사건을 다룬 탐정 소설이기도 하다.[22] 하지만 후대의 많은 탐정 소설과 달리, 독자가 결말이 밝혀지기 전에 합리적으로 범인을 추리하기는 어렵다. 대부분의 독자는 오랑우탄을 용의선상에 올리기 어렵기 때문이다.[21]

작품이 처음 발표되었을 때, 소설과 작가 포는 그 참신함으로 큰 찬사를 받았다.[9] 펜실베이니아의 ''인콰이어러'' 신문은 "이 작품은 포 씨가 천재임을 증명하며... 비할 데 없는 발명력과 기술을 지녔다"고 평가했다.[22] 그러나 정작 포 자신은 필립 펜들턴 쿡에게 보낸 편지에서 자신의 업적을 다소 낮추어 평가했다.[23]

>"이러한 추론 이야기는 새로운 키로 되어 있다는 점에서 대부분의 인기를 얻고 있다. 나는 그것이 독창적이지 않다고 말하려는 것이 아니라, 사람들은 그것의 방법과 방법의 ''분위기'' 때문에 그것이 실제보다 더 독창적이라고 생각한다. 예를 들어, "모르그 가의 살인 사건"에서, 당신 자신이... 풀기 위해 특별히 짠 그물을 푸는 데 무슨 독창성이 있겠는가?"[3]

이 소설은 여러 차례 영화로 각색되었다.

제목연도국가비고
셜록 홈즈와 대살인 사건의 수수께끼 (Sherlock Holmes in the Great Murder Mystery)1908년미국흑백, 무성 영화
모르그 거리의 살인 (Murders in the Rue Morgue)1932년미국흑백 영화. 로버트 플로리 감독, 벨라 루고시, 찰스 제모라 출연
모르그 거리의 유령 (Phantom of the Rue Morgue)1954년미국컬러, 3D 영화. 로이 델 루스 감독, 칼 말덴, 스티브 포레스트 출연
모르그 거리의 살인 (Murders in the Rue Morgue / 'Edgar Allan Poes Murders in the Rue Morgue'')1971년미국고든 헤슬러 감독, 제이슨 로버즈, 허버트 롬, 크리스틴 카우프만 출연. 일본 극장 미개봉
모르그 거리의 살인 (The Murders in the Rue Morgue)1986년미국텔레비전 영화. 야노트 슈와르츠 감독, 조지 C. 스콧, 레베카 드 모네이 출연. 일본 극장 미개봉


참조

[1] 논문
[2] 논문
[3] 논문
[4] 논문
[5] 논문
[6] 논문
[7] 논문
[8] 논문
[9] 논문
[10] 논문
[11] 논문
[12] 논문
[13] 논문
[14] 논문
[15] 논문
[16] 논문
[17] 논문
[18] 논문
[19] 논문
[20] 논문
[21] 논문
[22] 논문
[23] 논문
[24] 논문
[25] 논문
[26] 논문
[27] 논문
[28] 논문
[29] 논문
[30] 논문
[31] 논문
[32] 논문
[33] 서적 The Literary History of Philadelphia George W. Jacobs & Co.
[34] 웹사이트 Edgar Allan Poe House https://www.theconst[...] 2018-08-22
[35] 논문
[36] 논문
[37] 논문
[38] 논문
[39] 논문
[40] 논문
[41] 논문
[42] 논문
[43] 논문
[44] 논문
[45] 웹사이트 Phantom of the Rue Morgue (1954) https://catalog.afi.[...] American Film Institute 2020-11-12
[46] 웹사이트 Murders in the Rue Morgue (1971) https://catalog.afi.[...] American Film Institute 2020-11-12
[47] 웹사이트 Review for Dark Tales: Edgar Allan Poe’s Murders in the Rue Morgue https://adventuregam[...] 2010-07-14
[48] 서적
[49] 서적
[50] 서적 Edgar Allan Poe: His Life and Legacy Cooper Square Press
[51] 서적
[52] 서적 The Seven Basic Plots Continuum
[53] 서적
[54] 서적
[55] 서적 Detecting Truth: The World of the Dupin Tal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56] 서적
[57] 서적 The Cryptographic Imagination: Secret Writing from Edgar Poe to the Internet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58] 서적
[59] 서적
[60] 서적
[61] 서적
[62] 서적
[63] 간행물 'The Murders in the Rue Morgue' and 'Doctor D'Arsac': A Poe Source http://www.eapoe.org[...] 1972-12
[64] 서적 モルグ街の殺人・黄金虫 新潮文庫
[65] 서적
[66] 서적
[67] 서적
[68] 서적
[69] 서적
[70] 서적
[71] 서적 undefined
[72] 논문 The Manuscript of 'The Murders in the Rue Morgue' and Poe's Revisions 1943-05
[73] 논문 The Exhumations and Reburials of Edgar and Virginia Poe and Mrs. Clemm http://www.eapoe.org[...] 1974-12
[74] 서적 undefined
[75] 서적 undefined
[76] 서적 undefined
[77] 뉴스 今後増える? 海外の名作小説でプラスアルファを求める“平成の翻訳”(2/2) http://trendy.nikkei[...] 日経トレンディネット 2013-06-17
[78] 서적 1991
[79] 서적 199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