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락 작전의 전투 서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몰락 작전의 전투 서열은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직전 연합군의 일본 본토 침공 계획인 몰락 작전에 투입될 예정이었던 각 부대의 편성을 정리한 문서이다. 작전은 올림픽 작전(큐슈 침공)과 코로넷 작전(간토 평야 침공)으로 구성되었으며, 연합군은 미국, 영국 연방(호주 포함) 등으로 구성되었고, 일본군은 규슈와 간토 평야에 각각 60만 명과 40만 명 이상의 병력을 배치하여 방어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일본의 항복으로 인해 몰락 작전은 실제로 실행되지 않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태평양 전쟁의 전투 서열 - 괌 전투 (1944년)의 전투 서열
괌 전투 (1944년)의 전투 서열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국과 일본이 괌 점령을 위해 벌인 전투에 참여한 군대와 부대의 편성을 정리한 문서로, 미국이 괌을 탈환하여 일본 본토 공격의 발판을 마련하고자 한 전투의 주요 지휘관, 부대 현황, 전투 과정, 지휘관, 그리고 전투 결과에 따른 영향 등을 다룬다. - 태평양 전쟁의 전투 서열 - 미국 태평양 육군의 전투 서열
미국 태평양 육군의 전투 서열은 인도-태평양 지역의 작전 통제를 담당하는 미국 육군 예하 부대로, 1910년부터 관리되기 시작하여 현재 주한 미군 제8군, 제25보병사단, 제1군단, 제11공수사단 등을 작전 통제하고 있다. - 일본 본토 전역 - 나가노현
나가노현은 일본 혼슈 중앙부에 위치하며, 1998년 동계 올림픽을 개최하고 높은 취업률을 보이며, 일본 알프스 등 산악 지형과 다양한 관광 명소를 가진 현이다. - 일본 본토 전역 - 이오지마 전투
이오지마 전투는 1945년 2월과 3월 이오지마 섬에서 미국과 일본 간에 벌어진 제2차 세계 대전 태평양 전선 전투로, 미군이 승리했지만 막대한 피해를 입었으며, 일본 본토 공격의 발판을 마련하는 데 전략적 중요성을 가진다.
몰락 작전의 전투 서열 | |
---|---|
개요 | |
작전명 | 몰락 작전 (Operation Downfall) |
목표 | 일본 본토 침공 |
시기 | 1945년 11월 (올림픽 작전), 1946년 3월 (코로넷 작전) |
장소 | 일본 |
교전 세력 | |
연합군 | 미국 영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
일본 제국 | 일본 제국 |
규모 | |
연합군 | 수백만 명 |
일본군 | 수백만 명 |
올림픽 작전 (규슈 상륙) | |
연합군 | 미국 제6군 제1군단 제9군단 제11군단 영국 연방군 (제3군단) |
일본군 | 제16방면군 제40군 제57군 제205사단 제303사단 제312사단 제321사단 제147사단 독립혼성 제125여단 독립혼성 제126여단 |
코로넷 작전 (간토 평야 상륙) | |
연합군 | 미국 제1군 미국 제8군 미국 제10군 |
일본군 | 제1총군 제11방면군 제12방면군 제13방면군 제36군 |
추가 정보 | |
결과 | 작전 취소 (일본의 항복으로) |
관련 전투 | 태평양 전쟁 |
2. 작전 배경
3. 올림픽 작전
3. 1. 연합군
제25보병사단, 제33보병사단, 제41보병사단
제1기병사단, 제43보병사단, 제23보병사단, 제112기병연대
제2해병사단, 제3해병사단, 제5해병사단
제77보병사단, 제81보병사단, 제98보병사단
제3, 5, 7,수륙양육부대
=== 영국 연방 ===3. 1. 1. 미국
제25보병사단, 제33보병사단, 제41보병사단
제1기병사단, 제43보병사단, 제23보병사단, 제112기병연대
제2해병사단, 제3해병사단, 제5해병사단
제77보병사단, 제81보병사단, 제98보병사단
제3, 5, 7,수륙양육부대3. 1. 2. 영국 연방
태평양 함대 (제3함대의 일부로서 작전 수행):[1]
타이거 포스 (왕립공군 폭격사령부에서 분리되었음):[1]
오스트레일리아 제1전술공군[1]3. 2. 일본군
규슈 방어를 위해 제16방면군 (사령관 요코야마 이사무 중장) 예하 총 60만 명의 병력이 배치되었다.
일본군은 결사항전을 다짐하며 가미카제 공격에 큰 기대를 걸었다. 5,000대의 항공기가 가미카제용으로 지정되었고, 5,000대가 가미카제 근무 준비를 완료했으며, 7,000대는 수리가 필요했다. 이 외에도 고류급 잠수함 100척, 가이류급 잠수함 250척, 가이텐 어뢰 약 1,000기, 신요 특공정 800척이 준비되어 연합군 함대에 큰 위협이 되었다.
3. 2. 1. 규슈 방어 병력
4. 코로넷 작전
4. 1. 연합군
- 미국 태평양 육군 (USAFPAC), ADVON
- * 제8군 (로버트 L. 아이첼버거 육군 중장):
- ** 제3상륙군단:
제1해병사단, 제4해병사단, 제6해병사단
- ** 제10(X)군단:
제24보병사단, 제31보병사단, 제37보병사단
- ** 제13(XIII)군단:
제13기갑사단, 제20기갑사단
- ** 제14(XIV) 군단:
제6보병사단, 제32보병사단, 제38보병사단
- * 제1군 (커트니 H. 하지스 육군 대장) (유럽에서 차출)
- ** 제24(XXVI)군단
제7보병사단, 제27보병사단, 제96보병사단
- ** 제13(XIII)군단
제15기갑사단, 제20기갑사단
- ** "B" 군단
제5보병사단, 제44보병사단, 제86보병사단
- ** "C" 군단 (예비대)
제2보병사단, 제28보병사단, 제35보병사단
- ** "D" 군단
제4보병사단, 제8보병사단, 제87보병사단
- ** "E" 군단 (전략 예비대)
제91보병사단, 제95보병사단, 제104보병사단
- ** 제97보병사단 (함상 예비대)
- ** 제11공수사단 (전략 예비대)
- * ASCOM-C
- ** 동부 기지사령부
- ** 서부 기지사령부
- * 중부태평양 항공군
- * 극동 항공군
- ** 류큐 항공테스크포스
- ** 큐슈 항공테스크포스
- ** 혼슈 항공테스크포스
- ** 필리핀 방공사령부
- 미국 태평양 함대 (협력)
- * 제3함대
- * 제5함대
- ** 태평양 수륙양육부대
제3, 5, 7수륙양육대
- 미국 태평양 전략 공군 (지원)
- * 제8항공군
- * 제20항공군
챨리 케이트리 중장이 지휘하는 영국 연방 연방군단은 다음과 같다.
- 영국 제3보병사단
- 캐나다 제6보병사단
- 오스트레일리아 제10사단
4. 1. 1. 미국
- 미국 태평양 육군 (USAFPAC), ADVON
- * 제8군 (로버트 L. 아이첼버거 육군 중장):
- ** 제3상륙군단:
제1해병사단, 제4해병사단, 제6해병사단
- ** 제10(X)군단:
제24보병사단, 제31보병사단, 제37보병사단
- ** 제13(XIII)군단:
제13기갑사단, 제20기갑사단
- ** 제14(XIV) 군단:
제6보병사단, 제32보병사단, 제38보병사단
- * 제1군 (커트니 H. 하지스 육군 대장) (유럽에서 차출)
- ** 제24(XXVI)군단
제7보병사단, 제27보병사단, 제96보병사단
- ** 제13(XIII)군단
제15기갑사단, 제20기갑사단
- ** "B" 군단
제5보병사단, 제44보병사단, 제86보병사단
- ** "C" 군단 (예비대)
제2보병사단, 제28보병사단, 제35보병사단
- ** "D" 군단
제4보병사단, 제8보병사단, 제87보병사단
- ** "E" 군단 (전략 예비대)
제91보병사단, 제95보병사단, 제104보병사단
- ** 제97보병사단 (함상 예비대)
- ** 제11공수사단 (전략 예비대)
- * ASCOM-C
- ** 동부 기지사령부
- ** 서부 기지사령부
- * 중부태평양 항공군
- * 극동 항공군
- ** 류큐 항공테스크포스
- ** 큐슈 항공테스크포스
- ** 혼슈 항공테스크포스
- ** 필리핀 방공사령부
- 미국 태평양 함대 (협력)
- * 제3함대
- * 제5함대
- ** 태평양 수륙양육부대
제3, 5, 7수륙양육대
- 미국 태평양 전략 공군 (지원)
- * 제8항공군
- * 제20항공군
4. 1. 2. 영국 연방
챨리 케이트리 중장이 지휘하는 영국 연방 연방군단은 다음과 같다.- 영국 제3보병사단
- 캐나다 제6보병사단
- 오스트레일리아 제10사단
4. 2. 일본군
스기야마 하지메 원수의 제1총군 예하 제11방면군(타나카 시즈이치 대장)은 간토 평야 방어 병력이었다.- 제36군 - 사이타마 현, 우라와
- * 제81사단
- * 제93사단
- * 제201사단
- * 제202사단
- * 제206사단
- * 제214사단
- * 제1전차여단
- * 제4전차여단
- 제51군 - 이바라키현, 쓰치우라
- * 제44사단 - 오가와
- * 제151사단 - 미토
- * 제221사단 - 카시마
- * 제115독립혼성여단 - 시바사키
- * 제116독립혼성여단 - 호코타
- * 제7독립전차여단 - 오가와
- 제52군 - 치바현, 사쿠라
- * 제3근위사단 - 나루토
- * 제147사단 - 모바라
- * 제152사단 - 초시
- * 제234사단 - 소사
- * 제3독립전차여단
- * 제8포병본부
- 제53군 - 가나가와 현, 이세하라
- * 제84사단 - 오다와라
- * 제140사단 - 카마쿠라
- * 제316사단 - 이세하라
- * 제117독립혼성여단 - 누마즈
- * 제2독립전차여단 - 쓰다누마
- * 제11포병본부 - 히라쓰카
- 도쿄만 요새 - 치바 현, 초시
- 제321보병사단 - 도쿄
4. 2. 1. 간토 평야 방어 병력
스기야마 하지메 원수의 제1총군 예하 제11방면군(타나카 시즈이치 대장)은 간토 평야 방어 병력이었다.- 제36군 - 사이타마 현, 우라와
- * 제81사단
- * 제93사단
- * 제201사단
- * 제202사단
- * 제206사단
- * 제214사단
- * 제1전차여단
- * 제4전차여단
- 제51군 - 이바라키현, 쓰치우라
- * 제44사단 - 오가와
- * 제151사단 - 미토
- * 제221사단 - 카시마
- * 제115독립혼성여단 - 시바사키
- * 제116독립혼성여단 - 호코타
- * 제7독립전차여단 - 오가와
- 제52군 - 치바현, 사쿠라
- * 제3근위사단 - 나루토
- * 제147사단 - 모바라
- * 제152사단 - 초시
- * 제234사단 - 소사
- * 제3독립전차여단
- * 제8포병본부
- 제53군 - 가나가와 현, 이세하라
- * 제84사단 - 오다와라
- * 제140사단 - 카마쿠라
- * 제316사단 - 이세하라
- * 제117독립혼성여단 - 누마즈
- * 제2독립전차여단 - 쓰다누마
- * 제11포병본부 - 히라쓰카
- 도쿄만 요새 - 치바 현, 초시
- 제321보병사단 - 도쿄
5. 작전 중지
6. 한국에 미친 영향 (가상 시나리오)
7. 같이 보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