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행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행반은 불교 용어로, 불환과를 증득한 성자가 오랜 수행 끝에 무학위를 성취하는 유형 중 하나이다. 무행반은 본래 성격이 느긋하여 게으른 수행으로 오랜 시간이 지나 무학위에 도달하는 경우를 의미하며, 고된 수행을 통해 무학위에 도달하는 유행반과 구분된다. 무행반은 생반의 하위 유형으로, 색계에서 열반에 도달하며, 열반에 이르는 시간에 따라 속반, 비속반, 경구반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불교 용어 - 불멸기원
불멸기원은 석가모니의 입멸을 기원으로 하는 불교력의 연호로, 기원전 544년 설과 기원전 543년 설에 따라 계산에 차이가 있으며, 태음태양력을 기반으로 윤년과 윤달을 통해 태양력과의 차이를 조정하고, 동남아시아 여러 국가에서 불교 관련 행사 및 휴일 표기에 사용된다. - 불교 용어 - 마음챙김
마음챙김은 불교 용어인 '사띠'와 '스므르티'에서 유래하여 현재 순간에 대한 자각과 수용을 의미하며, 스트레스 감소 및 정신 건강 증진을 위해 심리학, 의학 분야에서 활용되고 다양한 분야에서 유사한 개념이 존재하나 상업화 및 윤리적 문제에 대한 비판도 있다.
무행반 |
---|
2. 무행반의 정의와 유형
불환과를 증득한 성자가 많은 시간을 거쳐 무학위를 성취한 경우, 크게 두 유형으로 나눌 수 있는데 하나는 오랜 시간 동안 용맹정진하여 무학위를 성취한 유형이고, 다른 하나는 본래 성격이 느긋하여 비교적 게을러서 느긋한 수행으로 오랜 시간이 지나 무학위를 성취한 유형이다.[14][15]
전자를 전통적인 용어로 고행(苦行, 힘들인 노력) 또는 고통행(苦通行, 힘들인 경로의 노력)이라 하는데, 보다 엄밀히는, 용맹정진에 의지하지만 느리게 해탈하였다고 하여 고지통행(苦遲通行)이라 한다. 후자를 전통적인 용어로 낙행(樂行, 느긋한 노력) 또는 낙통행(樂通行, 느긋한 경로의 노력)이라 하는데, 보다 엄밀히는, 느긋한 수행에 의지하여 느리게 해탈하였다고 하여 낙지통행(苦遲通行)이라 한다. 유행반(有行般)은 고지통행의 성자이고 무행반(無行般)은 낙지통행의 성자이다.[5][6][16][17][18]
불환(아나함)은 크게 색계로 가서 열반에 드는 자와 무색계로 가서 열반에 드는 자로 나눌 수 있다. 욕계에 있을 때 98수면 또는 128번뇌 중 욕계의 수혹만 떠난 경우에는 목숨을 마친 후 색계에 태어나고, 욕계의 수혹 뿐 아니라 색계의 수혹도 떠난 경우에는 무색계에 태어난다.[19][20](참고: 초월증)
수혹 | 욕계 | 색계 | 무색계 | ||
---|---|---|---|---|---|
부파불교 | 98수면 중 수혹 | 탐(貪) · 진(瞋) · 만(慢) · 무명(無明) (4) | 탐 · 만 · 무명 (3) | 탐 · 만 · 무명 (3) | 10가지 |
대승불교 | 128근본번뇌 중 수혹 | 탐 · 진 · 만 · 무명 · 유신견(有身見) · 변집견(邊執見) (6) | 탐 · 만 · 무명 · 유신견 · 변집견 (5) | 탐 · 만 · 무명 · 유신견 · 변집견 (5) | 16가지 |
색계로 가서 열반에 드는 불환의 유형에는 중반(中般) · 생반(生般) · 유행반(有行般) · 무행반 · 상류반(上流般)의 5가지 유형이 있고, 이들을 통칭하여 5종불환(五種不還)이라 한다.[21][22][23]
욕계와 색계는 각각 중유가 있지만 무색계에는 중유가 없기 때문에 무색계로 가서 열반에 드는 불환의 유형에는 생반 · 유행반 · 무행반 · 상류반의 4가지 유형이 있다.[24][25]
색계로 가서 열반에 드는 자를 전통적인 용어로 행색(行色, rūpa-gasa) 또는 행색계(行色界, rūpōpagasa)라고 하고,[26][27][28][29] 무색계로 가서 열반에 드는 자를 전통적인 용어로 행무색(行無色, ārūpya-gasa) 또는 무색반(無色般)이라고 한다.[21][30][31][32][33][34][35][36][37]
색계에 태어나서 중유를 제외한 색계 본처에서 열반에 도달하는 유형으로는 생반 · 유행반 · 무행반의 3가지 유형이 있다. 이들 중 무행반은 부지런히 노력함과 속히 나아가는 역량을 갖추지 못하였기에 색계의 태어난 처소에서 느긋한 노력을 기울이거나 별다른 노력을 기울이지 않으면서 오랜 시간을 보내고 열반을 증득하는 유형이다.
생반 · 유행반 · 무행반은 색계의 태어난[生] 처소에서 열반을 증득한다는 공통점을 가지며, 이 공통점에 근거해 이들 세 유형을 총괄하여 생반이라고도 한다.
대분류로서의 생반을 생반 · 유행반 · 무행반의 3가지로 세분하는 것에는 유행반과 무행반이 둘 다 '오랜 시간'이 걸린다는 약점이 있다. 경량부에서는 무행반에 대한 해석을 달리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만 열반에 드는 유행반에 비해 보다 적은 노력으로 열반에 드는 것이므로 이 세 유형을 생반 · 무행반 · 유행반의 순서로 배치하고, 생반을 가장 빨리 열반을 증득하는 이, 무행반을 얼마 시간을 보내고 열반을 증득하는 이, 유행반을 오랜 시간을 보내고 열반을 증득하는 이로 해석한다.[57][58]
잡아함경 등의 경전에는 이 세 유형을 우열에 따라 나열하면서 생반 · 유행반 · 무행반의 순서로 나열하는 경우도 있고 생반 · 무행반 · 유행반의 순서로 나열하는 경우도 있는데, 경량부에서는 후자가 더 합리적이라고 보고 해석한 것이다. 비바사사 (설일체유부)에서는 유행반과 무행반은 시간적으로 차이가 없으니 순서는 이렇게도 저렇게도 하는 것이 가능하며 다만 노력을 기울이는 것을 더 존중하여 유행반을 무행반 보다 먼저 놓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해석한다.[57][58] 세친은 《아비달마구사론》제24권에서 경량부의 해석이 합리적이라고 말하고 있다.[57][58]
2. 1. 고행과 낙행
불환과를 증득한 성자가 오랜 시간을 거쳐 무학위를 성취한 경우,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오랜 시간 동안 용맹정진하여 무학위를 성취한 유형이고, 다른 하나는 본래 성격이 느긋하여 비교적 게으르게 수행하여 오랜 시간이 지나 무학위를 성취한 유형이다.[14][15]전자는 전통적으로 고행(苦行, 힘들인 노력) 또는 고통행(苦通行, 힘들인 경로의 노력)이라 하며, 더 정확하게는 용맹정진에 의지하지만 느리게 해탈하였다고 하여 고지통행(苦遲通行)이라 한다. 후자는 전통적으로 낙행(樂行, 느긋한 노력) 또는 낙통행(樂通行, 느긋한 경로의 노력)이라 하며, 더 정확하게는 느긋한 수행에 의지하여 느리게 해탈하였다고 하여 낙지통행(樂遲通行)이라 한다. 유행반은 고지통행의 성자이고 무행반(無行般)은 낙지통행의 성자이다.[5][6][16][17][18]
2. 2. 욕계, 색계, 무색계
불환과(不還果)를 증득한 수행자가 태어나는 영역은 크게 욕계(欲界), 색계(色界), 무색계(無色界)로 나뉜다.[19][20] 욕계에서 수혹(修惑)을 일부만 끊은 경우 색계에 태어나고, 색계의 수혹(修惑)까지 끊은 경우 무색계에 태어난다.수혹 | 욕계 | 색계 | 무색계 | ||
---|---|---|---|---|---|
부파불교 | 98수면 중 수혹 | 탐 · 진 · 만 · 무명 (4) | 탐 · 만 · 무명 (3) | 탐 · 만 · 무명 (3) | 10가지 |
대승불교 | 128근본번뇌 중 수혹 | 탐 · 진 · 만 · 무명 · 유신견 · 변집견 (6) | 탐 · 만 · 무명 · 유신견 · 변집견 (5) | 탐 · 만 · 무명 · 유신견 · 변집견 (5) | 16가지 |
색계로 가는 불환은 5종불환(五種不還)이라 하여 중반(中般) · 생반(生般) · 유행반(有行般) · 무행반 · 상류반(上流般)의 5가지 유형이 있다.[21][22][23] 무색계에는 중유가 없으므로 생반(生般) · 유행반(有行般) · 무행반 · 상류반(上流般)의 4가지 유형이 있다.[24][25]
색계로 가서 열반에 드는 것을 행색(行色, rūpa-gasa) 또는 행색계(行色界, rūpōpagasa)라 하고,[26][27][28][29] 무색계로 가서 열반에 드는 것을 행무색(行無色, ārūpya-gasa) 또는 무색반(無色般)이라고 한다.[21][30][31][32][33][34][35][36][37] 무행반은 색계뿐 아니라 무색계에도 해당될 수 있다.
2. 3. 5종 불환과 4종 불환
불환(아나함)은 크게 색계로 가서 열반에 드는 자와 무색계로 가서 열반에 드는 자로 나눌 수 있다. 욕계에 있을 때 98수면 또는 128번뇌 중 욕계의 수혹만 떠난 경우에는 목숨을 마친 후 색계에 태어나고, 욕계의 수혹 뿐 아니라 색계의 수혹도 떠난 경우에는 무색계에 태어난다.[19][20](참고: 초월증)수혹 | 욕계 | 색계 | 무색계 | ||
---|---|---|---|---|---|
부파불교 | 98수면 중 수혹 | 탐(貪) · 진(瞋) · 만(慢) · 무명(無明) (4) | 탐 · 만 · 무명 (3) | 탐 · 만 · 무명 (3) | 10가지 |
대승불교 | 128근본번뇌 중 수혹 | 탐 · 진 · 만 · 무명 · 유신견(有身見) · 변집견(邊執見) (6) | 탐 · 만 · 무명 · 유신견 · 변집견 (5) | 탐 · 만 · 무명 · 유신견 · 변집견 (5) | 16가지 |
유행반과 무행반은 모두 중유를 제외한 색계의 어느 처소 즉 천(天)에 태어나서 그 색계 처소에서 열반에 드는 것이므로 크게 보아 생반(生般)에 속한다. 말하자면, 생반이라는 대분류가 있고 이 대분류의 소분류가 생반 유행반 무행반의 3가지라고 할 수 있다.[38][39][40]
색계로 가서 열반에 드는 불환의 유형에는 중반(中般) · 생반(生般) · 유행반(有行般) · 무행반 · 상류반(上流般)의 5가지 유형이 있고, 이들을 통칭하여 5종불환(五種不還)이라 한다.[21][22][23]
욕계와 색계는 각각 중유가 있지만 무색계에는 중유가 없기 때문에 무색계로 가서 열반에 드는 불환의 유형에는 생반 · 유행반 · 무행반 · 상류반의 4가지 유형이 있다.[24][25]
색계로 가서 열반에 드는 자를 전통적인 용어로 행색(行色, rūpa-gasa) 또는 행색계(行色界, rūpōpagasa)라고 하고,[26][27][28][29] 무색계로 가서 열반에 드는 자를 전통적인 용어로 행무색(行無色, ārūpya-gasa) 또는 무색반(無色般)이라고 한다.[21][30][31][32][33][34][35][36][37]
색계에 태어나서 중유를 제외한 색계 본처에서 열반에 도달하는 유형으로는 생반 · 유행반 · 무행반의 3가지 유형이 있다. 이들 중 무행반은 부지런히 노력함과 속히 나아가는 역량을 갖추지 못하였기에 색계의 태어난 처소에서 느긋한 노력을 기울이거나 별다른 노력을 기울이지 않으면서 오랜 시간을 보내고 열반을 증득하는 유형이다.
생반 · 유행반 · 무행반은 색계의 태어난[生] 처소에서 열반을 증득한다는 공통점을 가지며, 이 공통점에 근거해 이들 세 유형을 총괄하여 생반이라고도 한다.
대분류로서의 생반을 생반 · 유행반 · 무행반의 3가지로 세분하는 것에는 유행반과 무행반이 둘 다 '오랜 시간'이 걸린다는 약점이 있다. 경량부에서는 무행반에 대한 해석을 달리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만 열반에 드는 유행반에 비해 보다 적은 노력으로 열반에 드는 것이므로 이 세 유형을 생반 · 무행반 · 유행반의 순서로 배치하고, 생반을 가장 빨리 열반을 증득하는 이, 무행반을 얼마 시간을 보내고 열반을 증득하는 이, 유행반을 오랜 시간을 보내고 열반을 증득하는 이로 해석한다.[57][58]
잡아함경 등의 경전에는 이 세 유형을 우열에 따라 나열하면서 생반 · 유행반 · 무행반의 순서로 나열하는 경우도 있고 생반 · 무행반 · 유행반의 순서로 나열하는 경우도 있는데, 경량부에서는 후자가 더 합리적이라고 보고 해석한 것이다. 비바사사 (설일체유부)에서는 유행반과 무행반은 시간적으로 차이가 없으니 순서는 이렇게도 저렇게도 하는 것이 가능하며 다만 노력을 기울이는 것을 더 존중하여 유행반을 무행반 보다 먼저 놓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해석한다.[57][58] 세친은 《아비달마구사론》제24권에서 경량부의 해석이 합리적이라고 말하고 있다.[57][58]
3. 무행반과 열반
대분류의 생반, 즉, 소분류의 생반 유행반 무행반의 열반은 무여의열반(無餘依涅槃)이 아닌 유여의열반(有餘依涅槃)인데, 자유자재로 목숨[壽]을 버리는 역량이 없기 때문이다.[41][42] 즉, 수행을 통해 고(苦)의 원인인 번뇌를 끊었지만 과거의 업보로 받은 생사윤회의 과보로서의 신체를 자유자재로 버릴 수 있는 상태, 즉, 신체의 한계를 자유로이 벗어날 수 있는 상태는 되지 못하고 신체가 자연사할 때 비로소 생사윤회의 과보로서의 신체의 한계와 그 신체의 작용을 뒷받침하는 마음과 마음작용의 한계도 벗어나는 무여의열반에 도달한다.[43][44][45][46][47]
무여의열반의 이와 같은 신체와 마음의 한계를 벗어난 상태를 전통적인 표현으로 회신멸지(灰身滅智), 몸을 재로 만들고 지혜를 소멸시킴, 번뇌의 결과로서의 신체와 마음 마음작용을 함께 아주 없앰, 즉, 화광삼매(火光三昧)에서 들어 몸을 재로 만들고 마음을 소멸시켜 고요한 텅 빈 무위의 열반으로 돌아감이라고 한다.[48][49][50][51][52]
3. 1. 유여의열반과 무여의열반
유행반과 무행반은 모두 중유를 제외한 색계의 어느 처소 즉 천(天)에 태어나서 그 색계 처소에서 열반에 드는 것이므로 크게 보아 생반(生般)에 속한다. 말하자면, 생반이라는 대분류가 있고 이 대분류의 소분류가 생반
대분류의 생반, 즉, 소분류의 생반
무여의열반의 이와 같은 신체와 마음의 한계를 벗어난 상태를 전통적인 표현으로 회신멸지(灰身滅智), 몸을 재로 만들고 지혜를 소멸시킴, 번뇌의 결과로서의 신체와 마음
3. 2. 회신멸지와 화광삼매
4. 무행반에 대한 다양한 관점
4. 1. 속반, 비속반, 경구반
중유를 제외한 색계의 어느 처소에서 열반에 도달하는 불환과의 성자들을 포괄하는 유형인 생반(生般)은 열반에 이르는 시간에 따라 속반(速般), 비속반(非速般), 경구반(經久般)으로 나뉜다.[53][54][55][56]- 속반(速般): 하품의 번뇌가 현행하는 상품의 근기를 가진 불환이 색계에서 신속하게 열반을 증득하는 유형이다.
- 비속반(非速般): 중품의 번뇌가 현행하는 중품의 근기를 가진 불환이 색계에서 얼마 동안 머문 후 열반을 증득하는 유형이다.
- 경구반(經久般): 상품의 번뇌가 현행하는 하품의 근기를 가진 불환이 색계에서 오랜 시간 지난 후 열반을 증득하는 유형이다.
무행반은 오랜 시간 느긋한 노력을 기울여 열반을 증득하는 유형이므로 경구반에 속한다.
색계에 태어나서 중유를 제외한 색계 본처에서 열반에 도달하는 유형으로는 생반(生般), 유행반(有行般), 무행반(無行般)의 3가지 유형이 있다.[21][38][39] 이 중 생반은 부지런히 노력하고 속히 나아가는 역량을 갖추어 색계에서 속히 열반을 증득한다. 유행반은 노력하지만 속히 나아가지 못해 오랜 시간을 보내고 열반을 증득한다. 무행반은 노력도 역량도 갖추지 못해 느긋하게 오랜 시간을 보내고 열반을 증득한다.
생반, 유행반, 무행반은 색계에서 열반을 증득한다는 공통점을 가지며, 이를 묶어 생반이라고 한다. 그러나 대분류로서의 생반을 다시 생반, 유행반, 무행반으로 나누면 유행반과 무행반이 모두 '오랜 시간'이 걸린다는 약점이 있다.
경량부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생반, 무행반, 유행반 순서로 배치하고, 생반을 속반, 무행반을 비속반, 유행반을 경구반으로 해석한다.[57][58] 즉, 《잡아함경》등의 경전에 나타나는 두 가지 순서 중 후자가 더 합리적이라고 본 것이다. 세친은 《아비달마구사론》에서 경량부의 해석이 합리적이라고 평가했다.[57][58]
비바사사 (설일체유부)는 유행반과 무행반의 시간적 차이가 없으므로 순서는 상관없지만, 노력을 존중하여 유행반을 먼저 놓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해석한다.[57][58]
4. 2. 경량부와 설일체유부의 해석
5. 현대 한국 불교의 관점
참조
[1]
간행물
無行般
DDB.《Digital Dictionary of Buddhism》
2022-08-31
[2]
간행물
無行般涅槃
DDB.《Digital Dictionary of Buddhism》
2022-08-31
[3]
서적
아비달마구사론
http://tripitaka.cbe[...]
대정신수대장경, CBETA
2022-08-31
[4]
서적
아비달마구사론
https://kabc.dongguk[...]
2022-08-31
[5]
서적
아비달마구사론
http://tripitaka.cbe[...]
대정신수대장경, CBETA
2022-08-31
[6]
서적
아비달마구사론
https://kabc.dongguk[...]
2022-08-31
[7]
서적
불교사전
2022-08-31
[8]
서적
시공 불교사전
2022-08-31
[9]
서적
佛光大辭典
2022-08-31
[10]
서적
佛光大辭典
2022-08-31
[11]
서적
불학사전
2022-08-31
[12]
서적
불학사전
2022-08-31
[13]
서적
불학사전
2022-08-31
[14]
서적
아비달마구사론
http://tripitaka.cbe[...]
대정신수대장경, CBETA
2022-08-31
[15]
서적
아비달마구사론
https://kabc.dongguk[...]
2022-08-31
[16]
서적
불교사전
2022-08-31
[17]
서적
시공 불교사전
2022-08-31
[18]
서적
佛光大辭典
2022-08-31
[19]
서적
아비달마구사론
http://tripitaka.cbe[...]
대정신수대장경, CBETA
2022-08-31
[20]
서적
아비달마구사론
https://kabc.dongguk[...]
2022-08-31
[21]
서적
佛光大辭典
2022-08-31
[22]
서적
아비달마구사론
http://tripitaka.cbe[...]
대정신수대장경, CBETA
2022-08-31
[23]
서적
아비달마구사론
https://kabc.dongguk[...]
2022-08-31
[24]
서적
아비달마구사론
http://tripitaka.cbe[...]
대정신수대장경, CBETA
2022-08-31
[25]
서적
아비달마구사론
https://kabc.dongguk[...]
2022-08-31
[26]
서적
아비달마구사론
http://tripitaka.cbe[...]
대정신수대장경, CBETA
2022-08-31
[27]
서적
아비달마구사론
https://kabc.dongguk[...]
2022-08-31
[28]
서적
불학사전
2022-08-31
[29]
서적
불학사전
2022-08-31
[30]
서적
아비달마구사론
http://tripitaka.cbe[...]
대정신수대장경, CBETA
2022-08-31
[31]
서적
아비달마구사론
https://kabc.dongguk[...]
2022-08-31
[32]
서적
불학사전
2022-08-31
[33]
서적
시공 불교사전
2022-08-31
[34]
서적
불교사전
2022-08-31
[35]
서적
시공 불교사전
2022-08-31
[36]
간행물
七種不還
DDB.《Digital Dictionary of Buddhism》
2022-08-31
[37]
간행물
七種不還
불문망. 《불학사전》
2022-08-31
[38]
서적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 제24권
http://tripitaka.cbe[...]
대정신수대장경
2022-08-31
[39]
서적
아비달마구사론 제24권
https://kabc.dongguk[...]
2022-08-31
[40]
서적
五種不還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2022-08-31
[41]
서적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 제24권
http://tripitaka.cbe[...]
대정신수대장경
2022-08-31
[42]
서적
아비달마구사론 제24권
https://kabc.dongguk[...]
2022-08-31
[43]
서적
無餘依涅槃(무여의열반)
운허. 《불교사전》
2022-08-31
[44]
서적
무여열반[無餘涅槃]
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2022-08-31
[45]
서적
無餘涅槃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2022-08-31
[46]
간행물
無餘涅槃
DDB.《Digital Dictionary of Buddhism》
2022-08-31
[47]
간행물
無餘依涅槃界
불문망. 《불학사전》
2022-08-31
[48]
서적
灰身滅智(회신멸지)
운허. 《불교사전》
2022-08-31
[49]
서적
회신멸지[灰身滅智]
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2022-08-31
[50]
서적
灰身滅智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2022-08-31
[51]
간행물
灰身滅智
DDB.《Digital Dictionary of Buddhism》
2022-08-31
[52]
간행물
灰身滅智
불문망. 《불학사전》
2022-08-31
[53]
서적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 제24권
http://tripitaka.cbe[...]
대정신수대장경
2022-08-31
[54]
서적
아비달마구사론 제24권
https://kabc.dongguk[...]
2022-08-31
[55]
서적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 제24권
http://tripitaka.cbe[...]
대정신수대장경
2022-08-31
[56]
서적
아비달마구사론 제24권
https://kabc.dongguk[...]
2022-08-31
[57]
서적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 제24권
http://tripitaka.cbe[...]
대정신수대장경
2022-08-31
[58]
서적
아비달마구사론 제24권
https://kabc.dongguk[...]
2022-08-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