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문수산 (울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문수산은 울산광역시 울주군에 위치한 산으로, 태화강과 회야강의 지류가 발원하는 곳이다. 신라 시대에는 문수보살이 머물렀다는 전설이 있으며, 산 남쪽에는 문수사가 위치해 있다. 문수산 정상 부근에는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울산과 언양 일대를 방비하기 위해 축조된 문수산성이 있으며, 울산광역시 기념물 제34호로 지정되어 있다. 또한, 문수산에는 울산 지역 방송국들의 디지털 TV 및 지상파 DMB 방송 송신 시설이 설치되어 있어 부산, 울산, 경남, 경북 일부 지역에서 시청 및 청취가 가능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울산 남구의 지리 - 장생포
    울산광역시에 위치한 장생포는 과거 고래잡이 중심지로 번성했으나, 상업포경 금지 결정으로 쇠퇴한 후 현재는 고래 관련 관광 자원을 통해 역사와 문화를 보존하고 있다.
  • 울산광역시의 산 - 고헌산
  • 울산광역시의 산 - 대운산
    대운산은 양산시의 여러 출발점에서 다양한 등산로를 통해 오를 수 있으며, 각 코스는 다채로운 경관과 난이도를 제공한다.
  • 울주군의 지리 - 고헌산
  • 울주군의 지리 - 대운산
    대운산은 양산시의 여러 출발점에서 다양한 등산로를 통해 오를 수 있으며, 각 코스는 다채로운 경관과 난이도를 제공한다.
문수산 (울산)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위치울산광역시 울주군 청량읍 율리, 범서읍 천상리
높이600 m
산 정보
한자 표기文殊山

2. 산의 위치

동쪽으로 영취산(340m)과 남쪽으로 남암산(543m)을 접하면서 이곳에서 태화강회야강의 지류가 발원하고 있다.[2]

3. 전해오는 이야기

문수산 남쪽에는 산 이름의 근거가 되는 문수사가 있는데, 신라 원성왕 때 연희국사가 창건한 절로 알려져 있다.

창건 당시부터 조선 말기까지는 조그마한 암자였으나, 통도사 청하 스님과 롯데 신격호 회장 등의 노력으로 현재의 대가람을 이루었다고 한다. 고려 시대에는 라마교의 전당으로도 불렸다.

신라 때는 문수보살이 산세가 청량하고 아름다워 이곳에 머물렀다고 하여 문수산이라 불리게 되었다. 신라 마지막 왕인 경순왕이 위기에 처한 신라의 운명을 문수보살에게 묻기 위해 문수산을 찾았다는 전설도 전해진다. 남쪽 사면에는 문수암(文殊庵)과 청송사지 3층석탑(보물 382[3])과 부도(지방문화재 20)가 있다.[2]

4. 산성

문수산성은 문수산의 8부 능선에서 정상을 따라 테를 두르듯이 쌓은 테뫼식 산성이다. 성내에서 수습된 토기편과 기와편 등으로 볼 때 삼국시대에서 조선시대까지 울산·언양 일대를 방비할 목적으로 축조된 산성이라고 추정된다.

성벽은 자연석을 이용하여 서로 맞물리는 방식으로 협축(夾築, 성벽의 안팎을 수직에 가까운 석벽으로 쌓는 방법)하였는데, 그 단면은 사다리꼴이다. 자연유실로 훼손이 심하다.

현재 남아 있는 체성은 길이 800m, 높이 50m∼143m 정도인데, 평면은 타원형이다. 남쪽에는 문지(門址)시설이, 서쪽에는 언양방면을 감시하는 별도의 석축시설이 남아 있다. '굴화산성'이라는 별칭으로 불리며, '문수산성지(文殊山城址)'라는 이름으로 울산광역시 기념물 제34호로 등록되어 있다.[2]

5. 방송 송신 시설

문수산에는 방송 송신 시설이 설치되어 있다.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경상남도 일부, 경상북도 남부 일부 지역에서 시청 및 청취가 가능하다. 일본 쓰시마시 일부 지역에서도 수신 가능하나, 디지털 TV 신호는 일본에서 시청할 수 없다.[1] FM 주파수가 88~108 MHz인 라디오 제품을 사용하고 있다면 일본에서도 어렵게 청취할 수 있다.

5. 1. 디지털TV

ubc DTV, KBS울산 DTV, 울산MBC DTV, EBS DTV의 디지털 방송을 송출한다. 가시청권역은 울산광역시 일부, 덕신, 온양, 웅촌, 웅상 일부 지역이다.

가상채널방송국명호출부호물리채널출력
6-1ubc DTVHLDP-DTV320.09kW
7-1KBS울산 DTV2HLKE-DTV25
9-1KBS울산 DTV1HLQB-DTV26
10-1EBS 1TVHLQL-DTV51
10-2EBS 2TV
11-1울산MBC DTVHLAU-DTV22


5. 2. 지상파DMB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경상남도 일부, 경상북도 남부 일부한국어에서 U-KBS, KNN DMB 방송을 송출한다.

방송국명채널 목록호출 부호채널(주파수)출력가시청권
U-KBSKBS STARHLKA-TDMBCH 12-B
(207.008MHz)
90W울산 일부, 덕신, 온양, 웅촌, 웅상 일부
HD KBS STAR
KBS HEART
KBS MUSIC
KNN DMBKNNuHLDG-TDMBCH 12-C
(208.736MHz)
ubc u

[1]

참조

[1] 웹사이트 '문수보살의 성지' 문수사 http://www.uljunews.[...] 2013-03-27
[2] 간행물 문화원형백과 한국콘텐츠진흥원 2012
[3] 문서 문화재청 문화재 382호 청송사지 삼층석탑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