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물봉선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물봉선속(Impatiens)은 봉선화, 물봉선, 노랑물봉선 등을 포함하는 현화식물 속으로,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종이 분포한다. 이 속에는 한해살이풀, 여러해살이풀, 관목 등 다양한 형태의 식물이 있으며, 잎은 톱니 모양 또는 물결 모양이고, 씨앗은 폭발적으로 흩날리는 특징이 있다. 물봉선속 식물은 아프리카, 유라시아, 북아메리카 등지에 분포하며, 특히 동남아시아의 열대 및 아열대 산림에서 다양한 종을 찾아볼 수 있다. 원예, 염료, 약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며, 특히 봉선화와 뉴기니 봉선화는 정원 식물로 널리 재배된다. 일부 종은 항염증 및 살균 효과가 있어 약용으로 사용되기도 하며, 2-메톡시-1,4-나프토퀴논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봉선화과 - 물봉선
    물봉선은 대한민국 각지에 분포하는 봉선화과의 한해살이풀로, 붉은 줄기, 톱니 모양 잎, 홍자색 나팔꽃 모양의 꽃이 특징이며, 탄력 있는 꼬투리 속 씨앗이 터져 번식하는 습지 식물이다.
물봉선속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임파티엔스 스카피플로라
임파티엔스 스카피플로라, 남인도 사일런트 밸리 국립공원에서
학명임파티엔스 (Impatiens)
학명 명명자L.
1,000종 이상 (참조: 임파티엔스 속 종 목록)
이명발사미나 (Balsamina) Tourn. ex Scop.
크리사에아 (Chrysaea) Nieuwl. & Lunell
임파티엔텔라 (Impatientella) H.Perrier
페탈로네마 (Petalonema) Peter
세메이오카르디움 (Semeiocardium) Zoll.
트리모르포페탈룸 (Trimorphopetalum) Baker
일본어 정보 (ツリフネソウ属)
츠리후네소우 (Impatiens textori)
츠리후네소우(Impatiens textori)
식물계 (Plantae)
피자식물문 (Magnoliophyta)
쌍떡잎식물강 (Magnoliopsida)
쥐손이풀목 (Geraniales)
봉선화과 (Balsaminaceae)
츠리후네소우속 (Impatiens)
한국어 정보 (물봉선속)
물봉선
물봉선
식물계
미분류 군속씨식물군
미분류 강진정쌍떡잎식물군
미분류 목국화군
진달래목
봉선화과
물봉선속 (Impatiens)

2. 종

봉선화(''Impatiens balsamina'' L.)

물봉선(''Impatiens textorii'' Miq.)


  • 흰물봉선(''Impatiens textorii'' var. ''koreana'' Nakai) : 물봉선의 변종으로 꽃이 하얗다.

노랑물봉선(''Impatiens nolitangere'' L.) : 노란 꽃이 잎겨드랑이에 달려 늘어진다.

제주물봉선(''Impatiens aphanantha'' Hook.f.)

가야물봉선(''Impatiens atrosanguinea'' (Nakai) B.U.Oh & Y.P.Hong)

산물봉선(''Impatiens furcillata'' Hemsl.)

처진물봉선(''Impatiens koreana'' (Nakai) B.U.Oh)

미색물봉선(''Impatiens nolitangere'' var. ''pallescens'' Nakai)

아프리카봉선화(''Impatiens sultanii'')

캐시미르 봉선화(''Impatiens balfourii'')


''물봉선 슈도비올라''


''물봉선 로술라타''


''물봉선 포우시덴타타''


''물봉선 틴크토리아''


''물봉선 마리아네''


''물봉선 문로니'' in 서고츠 산맥

  • ''물봉선 아카울리스'' (닐기리 언덕 고유종)
  • ''물봉선 아체헨시스''
  • ''물봉선 아데노이데스'' Suksathan & Keerat
  • ''물봉선 아르구타''
  • ''물봉선 아리엔시'' – 마두라 봉선화
  • ''물봉선 아우렐라'' – 아이다호 보석풀, 산 보석풀, 다양한 보석풀
  • ''물봉선 아우리코마''
  • ''물봉선 발푸리'' – 캐시미르 봉선화
  • ''물봉선 발사미나'' – 봉선화, 장미 봉선화
  • ''물봉선 비코르누타''
  • ''물봉선 보코렌시스''
  • ''물봉선 칼시콜라'' – ''thian pa'' (태국어)
  • ''물봉선 캄파눌라타''
  • ''물봉선 카펜시스'' – 오렌지 보석풀, 오렌지 봉선화, 흔한 보석풀, 반점이 있는 보석풀, 애기봉선화
  • ''물봉선 셀레비카''
  • ''물봉선 키넨시스''
  • ''물봉선 카리스마'' Suksathan & Keerat
  • ''물봉선 춤폰엔시스'' T. Shimizu
  • ''물봉선 콜룸바리아 보스''
  • ''물봉선 크리스타타''
  • ''물봉선 다라네나에'' Suksathan & Triboun
  • ''물봉선 뎀포아나''
  • ''물봉선 데니소니'' (닐기리 언덕 고유종)
  • ''물봉선 데빌데아나''
  • ''물봉선 디펜호르스티''
  • ''물봉선 도이퉁겐시스'' Triboun & Sonsupab
  • ''물봉선 에코르누타'' – 꼬리가 없는 애기봉선화, 꼬리가 없는 보석풀
  • ''물봉선 에지워티''
  • ''물봉선 엘리아네'' – 엘리안의 봉선화
  • ''물봉선 에틴덴시스''
  • ''물봉선 에우보트리아''
  • ''물봉선 플라시디다''
  • ''물봉선 포르베시''
  • ''물봉선 프리티''
  • ''물봉선 글란둘리페라'' – 히말라야 봉선화, 인도 봉선화, 경찰관 헬멧
  • ''물봉선 고르도니''
  • ''물봉선 그란디스''
  • ''물봉선 그란디세팔라''
  • ''물봉선 할롱겐시스''
  • ''물봉선 호커리'' W.Bull – 뉴기니 봉선화, 퍼지는 봉선화
  • ''물봉선 헤테로세팔라''
  • ''물봉선 히안스''
  • ''물봉선 홀스티''
  • ''물봉선 홍콩겐시스'' – 홍콩 봉선화
  • ''물봉선 호리존탈리스'' M.M.Latt, B.B.Park & Nob.Tanaka
  • ''물봉선 이르빙기''
  • ''물봉선 자벤시스''
  • ''물봉선 제르도니아에''
  • ''물봉선 지우호에'' Triboun & Suksathan
  • ''물봉선 존시아나''
  • ''물봉선 카우티야나'' Chhabra 2016
  • ''물봉선 킬리만자리'' – 킬리만자로 봉선화
  • ''물봉선 키나발루엔시스'' (키나발루 국립공원 고유종)
  • ''물봉선 코르탈시아나''
  • ''물봉선 라티코르니스'' (닐기리 언덕 고유종)
  • ''물봉선 로손이'' (닐기리 언덕 고유종)
  • ''물봉선 레투제이''
  • ''물봉선 레빈게이'' (닐기리 언덕 고유종)
  • ''물봉선 리네아리폴리아''
  • ''물봉선 말라바리카''
  • ''물봉선 마리아네''
  • ''물봉선 메루엔시스''
  • ''물봉선 미라빌리스''
  • ''물봉선 모르세이''
  • ''물봉선 므시시므안넨시스''
  • ''물봉선 남차바르웬시스'' – 파란 다이아몬드 봉선화
  • ''물봉선 남카텐시스'' T. Shimizu
  • ''물봉선 네오-바르네시'' (닐기리 언덕 고유종)
  • ''물봉선 니암니암멘시스'' Gilg – 콩고 앵무새
  • ''물봉선 닐기리카'' Chhabra 2016
  • ''물봉선 노리-탄게레'' – 애기봉선화
  • ''물봉선 오베사''
  • ''물봉선 오메이아나''
  • ''물봉선 오포지티폴리아''
  • ''물봉선 오르키오이데스'' (닐기리 언덕 고유종)
  • ''물봉선 오레오필라'' Triboun & Suksathan
  • ''물봉선 팔리다'' – 창백한 보석풀, 노란 보석풀
  • ''물봉선 파르비플로라'' – 작은 봉선화, 작은 꽃 애기봉선화
  • ''물봉선 포우시덴타타''
  • ''물봉선 페테르시아나''
  • ''물봉선 파호목겐시스'' T. Shimizu & P. Suksathan
  • ''물봉선 펭클라이'' T. Shimizu & P. Suksathan
  • ''물봉선 플라티페탈라''
  • ''물봉선 프리첼리''
  • ''물봉선 슈도비올라'' Gilg
  • ''물봉선 시타키나'' – 앵무새 꽃
  • ''물봉선 피로트리차''
  • ''물봉선 레펜스'' – 실론 봉선화, 노란 봉선화
  • ''물봉선 로술라타''
  • ''물봉선 루페스켄스'' (닐기리 언덕 고유종)
  • ''물봉선 루티에'' Suksathan & Triboun
  • ''물봉선 사케리아나''
  • ''물봉선 살핀크스'' Schulze & Launert
  • ''물봉선 산티수키'' T. Shimizu
  • ''물봉선 스카브리다'' DC.
  • ''물봉선 스카피플로라'' (닐기리 언덕 고유종)
  • ''물봉선 시디칼랑겐시스''
  • ''물봉선 싱갈랑겐시스''
  • ''물봉선 시린도르니아에'' Triboun & Suksathan
  • ''물봉선 시바라자니''
  • ''물봉선 소데니'' Engl. & Warb. – 가난한 사람의 철쭉
  • ''물봉선 스펙타빌리스'' Triboun & Suksathan
  • ''물봉선 술카타''
  • ''물봉선 수마트라나''
  • ''물봉선 타이무슈쿨니'' Chhabra 2016
  • ''물봉선 타파눌리엔시스''
  • ''물봉선 테넬라'' (닐기리 언덕 고유종)
  • ''물봉선 텍소리'' Chhabra 2016
  • ''물봉선 테이스마니''
  • ''물봉선 토마세티''
  • ''물봉선 티그리나'' Suksathan & Triboun
  • ''물봉선 틴크토리아'' A.Rich.
  • ''물봉선 트리보니'' T. Shimizu & P. Suksathan
  • ''물봉선 월레리아나'' – 겹물봉선
  • ''물봉선 위브케''
  • ''물봉선 윌소니''
  • ''물봉선 인이인키이'' M.M.Latt, B.B.Park & Nob.Tanaka
  • ''물봉선 좀벤시스'' Baker

2. 1. 자생종

봉선화(''Impatiens balsamina'' L.), 물봉선(''Impatiens textorii'' Miq.), 노랑물봉선(''Impatiens nolitangere'' L.)을 포함하여 여러 종이 한국에 자생한다. 흰물봉선(''Impatiens textorii'' var. ''koreana'' Nakai)은 물봉선의 변종으로 하얀 꽃이 핀다. 노랑물봉선은 노란 꽃이 잎겨드랑이에 달려 늘어진다. 그 외에도 제주물봉선(''Impatiens aphanantha'' Hook.f.), 가야물봉선(''Impatiens atrosanguinea'' (Nakai) B.U.Oh & Y.P.Hong), 산물봉선(''Impatiens furcillata'' Hemsl.), 처진물봉선(''Impatiens koreana'' (Nakai) B.U.Oh), 미색물봉선(''Impatiens nolitangere'' var. ''pallescens'' Nakai) 등이 있다.

2. 2. 귀화종

물봉선속에는 여러 귀화종이 있다. 봉선화(''Impatiens balsamina'' L.)는 물봉선(''Impatiens textorii'' Miq.)와 함께 대표적인 귀화종이다. 노랑물봉선(''Impatiens nolitangere'' L.)은 노란 꽃이 잎겨드랑이에 달려 늘어진다. 아프리카봉선화(''Impatiens sultanii'')도 귀화종 중 하나이다.

그 외에, 물봉선 아카울리스(닐기리 언덕 고유종),[27] 물봉선 아체헨시스,[27] 물봉선 아데노이데스,[27] 물봉선 아르구타, 물봉선 아리엔시 – 마두라 봉선화, 물봉선 아우렐라 – 아이다호 보석풀, 산 보석풀, 다양한 보석풀, 물봉선 아우리코마, 물봉선 발푸리 – 캐시미르 봉선화, 물봉선 비코르누타, 물봉선 보코렌시스, 물봉선 칼시콜라 – ''thian pa'' (태국어 ), 물봉선 캄파눌라타, 물봉선 카펜시스 – 오렌지 보석풀, 오렌지 봉선화, 흔한 보석풀, 반점이 있는 보석풀, 애기봉선화, 물봉선 셀레비카, 물봉선 키넨시스, 물봉선 카리스마,[27] 물봉선 춤폰엔시스,[28] 물봉선 콜룸바리아, 물봉선 크리스타타, 물봉선 다라네나에,[27] 물봉선 뎀포아나, 물봉선 데니소니 (닐기리 언덕 고유종), 물봉선 데빌데아나, 물봉선 디펜호르스티, 물봉선 도이퉁겐시스,[27] 물봉선 에코르누타[29] – 꼬리가 없는 애기봉선화, 꼬리가 없는 보석풀, 물봉선 엘리아네[30] – 엘리안의 봉선화, 물봉선 에틴덴시스,[31] 물봉선 에우보트리아, 물봉선 플라시디다, 물봉선 포르베시, 물봉선 프리티, 물봉선 글란둘리페라 – 히말라야 봉선화, 인도 봉선화, 경찰관 헬멧, 물봉선 고르도니, 물봉선 그란디스, 물봉선 그란디세팔라, 물봉선 할롱겐시스, 물봉선 호커리 – 뉴기니 봉선화, 퍼지는 봉선화, 물봉선 헤테로세팔라, 물봉선 히안스, 물봉선 홀스티, 물봉선 홍콩겐시스 – 홍콩 봉선화, 물봉선 호리존탈리스,[32] 물봉선 이르빙기, 물봉선 자벤시스, 물봉선 제르도니아에, 물봉선 지우호에,[27] 물봉선 존시아나, 물봉선 카우티야나,[27] 물봉선 킬리만자리 – 킬리만자로 봉선화, 물봉선 키나발루엔시스 (키나발루 국립공원 고유종), 물봉선 코르탈시아나, 물봉선 라티코르니스 (닐기리 언덕 고유종), 물봉선 로손이 (닐기리 언덕 고유종), 물봉선 레투제이, 물봉선 레빈게이 (닐기리 언덕 고유종), 물봉선 리네아리폴리아, 물봉선 말라바리카, 물봉선 마리아네, 물봉선 메루엔시스, 물봉선 미라빌리스, 물봉선 모르세이, 물봉선 므시시므안넨시스,[33] 물봉선 남차바르웬시스 – 파란 다이아몬드 봉선화, 물봉선 남카텐시스,[28] 물봉선 네오-바르네시 (닐기리 언덕 고유종), 물봉선 니암니암멘시스 – 콩고 앵무새, 물봉선 닐기리카,[27] 물봉선 노리-탄게레 – 애기봉선화, 물봉선 오베사, 물봉선 오메이아나, 물봉선 오포지티폴리아, 물봉선 오르키오이데스 (닐기리 언덕 고유종), 물봉선 오레오필라,[27] 물봉선 팔리다 – 창백한 보석풀, 노란 보석풀, 물봉선 파르비플로라 – 작은 봉선화, 작은 꽃 애기봉선화, 물봉선 포우시덴타타, 물봉선 페테르시아나, 물봉선 파호목겐시스,[35] 물봉선 펭클라이,[35] 물봉선 플라티페탈라, 물봉선 프리첼리, 물봉선 슈도비올라, 물봉선 시타키나 – 앵무새 꽃, 물봉선 피로트리차, 물봉선 레펜스 – 실론 봉선화, 노란 봉선화, 물봉선 로술라타, 물봉선 루페스켄스 (닐기리 언덕 고유종), 물봉선 루티에,[27] 물봉선 사케리아나, 물봉선 살핀크스, 물봉선 산티수키,[28] 물봉선 스카브리다, 물봉선 스카피플로라[34] (닐기리 언덕 고유종), 물봉선 시디칼랑겐시스, 물봉선 싱갈랑겐시스, 물봉선 시린도르니아에,[27] 물봉선 시바라자니, 물봉선 소데니 – 가난한 사람의 철쭉, 물봉선 스펙타빌리스,[27] 물봉선 술카타, 물봉선 수마트라나, 물봉선 타이무슈쿨니,[27] 물봉선 타파눌리엔시스, 물봉선 테넬라 (닐기리 언덕 고유종), 물봉선 텍소리,[27] 물봉선 테이스마니, 물봉선 토마세티, 물봉선 티그리나,[27] 물봉선 틴크토리아, 물봉선 트리보니,[35] 물봉선 월레리아나 – 겹물봉선, 물봉선 위브케,[36] 물봉선 윌소니, 물봉선 인이인키이,[32] 물봉선 좀벤시스 등이 있다.

3. 특징

대부분의 물봉선속 종은 초본 한해살이풀 또는 여러해살이풀로, 다육 식물 줄기를 가지고 있다. 몇몇 관목 종만 존재한다. 식물 크기는 종에 따라 5cm에서 2.5m까지 다양하다. 줄기는 흙과 접촉하면 종종 뿌리를 형성한다. 잎은 잎 전체가 톱니 모양이거나 물결 모양이며 엽외 꿀샘이 있다. 종에 따라 잎은 얇거나 다육질일 수 있다. 특히 잎의 밑면에는 작은 기포가 잎 표면 위아래에 갇혀 있어 물속에 넣으면 은빛 광택을 낸다.

히말라야 발삼( ''I. glandulifera'')의 씨앗이 흩날리는 모습


물봉선속의 좌우대칭 꽃은 수술 선숙성(수컷이 나이가 들면서 암컷으로 변함)을 보인다. 꽃받침은 3개 또는 5개의 자유로운 꽃받침 조각으로 구성되며, 그중 한 쌍은 종종 심하게 축소된다. 짝을 이루지 않은 꽃받침은 꿀을 생성하는 꽃뿔을 형성한다. ''마다가스카르''의 일부 종에서는 꽃뿔이 완전히 없지만, 여전히 3개의 꽃받침 조각을 가지고 있다. 화관은 5개의 꽃잎으로 구성되며, 측면 쌍은 융합된다. 5개의 수술은 융합되어 암술 위에 덮개를 형성하며, 수컷 단계 이후에 떨어진다. 수술이 떨어진 후 암컷 단계가 시작되고 암술머리가 수용적이 되어 자가 수분을 줄인다.

학명 ''Impatiens''(라틴어로 "성급한")과 일반 이름 "접촉 금지"는 폭발적 열개의 씨앗 캡슐을 나타낸다. 성숙한 캡슐은 터져 씨앗을 최대 몇 미터까지 멀리 보낸다. 초본이지만, 기부가 목질화하는 종도 있다[39]。 잎은 어긋나거나 마주난다. 꽃은 잎겨드랑이에서 단독으로 나오거나 산방상으로 핀다. 아래쪽의 꽃받침 조각은 주머니 모양이 되어 아래로 굽거나 소용돌이 모양의 거(距)를 갖는다. 좌우의 꽃잎은 종종 2개씩 합착한다. 열매는 육질의 삭과(蒴果)로 세로로 갈라지며, 이 때 열편이 세차게 말리면서 씨앗을 날리는 경우가 많다.

4. 분포

물봉선속은 아프리카, 유라시아, 북아메리카에 분포한다.[5] 'Impatiens turrialbana'와 'Impatiens mexicana' 두 종은 중앙아메리카(멕시코 남부와 코스타리카)의 고립된 지역에 서식한다. 대부분의 물봉선속 종은 아프리카, 마다가스카르, 히말라야, 서고츠산맥(인도 남서부) 및 동남아시아의 열대 및 아열대 산림에서 발견된다.[5] 유럽에서는 단 하나의 물봉선속 종(''Impatiens noli-tangere'')만이 자연적으로 발생한다. 그러나 여러 신종이 존재한다.

19세기와 20세기에 인간은 북아메리카의 노랑물봉선(''I. capensis'')을 영국, 프랑스, 네덜란드, 폴란드, 스웨덴, 핀란드, 그리고 아마도 북유럽 및 중앙 유럽의 다른 지역으로 운반했다. 예를 들어, 1996년까지는 독일에서 기록되지 않았지만,[6] 그 이후 Hagen의 Ennepe 강에서 개체군이 귀화했다. 노랑물봉선은 중앙 및 북유럽에 자생하는 유일한 물봉선속 종인 물봉선(''I. noli-tangere'')과 매우 유사하며 유사한 서식지를 이용하지만, 그들 사이의 자연적인 잡종에 대한 증거는 없다. 작은 물봉선(''I. parviflora'')은 원래 중앙아시아 남부가 원산지이며 유럽에서 더욱 광범위하게 귀화했다. 더 문제가 되는 것은 히말라야 발삼(''I. glandulifera'')인데, 이는 햇빛을 차단하여 작은 식물을 몰아내는 조밀하게 자라는 종이다. 이는 많은 곳에서 침입종이며, 오염된 강과 질소가 풍부한 곳을 따라 강기슭 식생을 지배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다른 식물이 거의 자랄 수 없는 곳에 군락을 형성하고, 얕은 뿌리 시스템만 가지고 있어 강둑이 침식에 더 취약하게 만들어 생태계 파괴를 악화시킨다.

5. 생태

대부분의 물봉선속(Impatiens) 종은 여러해살이 풀이지만, 온대 지역과 히말라야 지역에서는 몇몇 한해살이 종이 존재한다.[7] 동남아시아의 몇몇 물봉선속 종(예: Impatiens kerriae영어 또는 Impatiens mirabilis영어)은 키가 최대 3미터에 달하는 관목이나 작은 나무를 형성한다.[7] 이들은 주로 숲, 특히 시냇물과 길을 따라 또는 약간의 햇빛이 드는 숲 가장자리에서 발견되며, 황무지, 강둑, 사바나와 같은 열린 풍경에서도 몇몇 종이 발견된다.

물봉선속은 다양한 꽃 구조를 가지는데, 전통적으로 낭상 돌기(sacculate spur)와 두 입술 모양의 꽃, 실 모양 돌기(filiform spur)와 편평한 꽃 표면을 가진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9] 마다가스카르에는 돌기가 없는 125종이 있어 세 번째 주요 꽃 유형을 형성한다.[8] 꽃 구조의 다양성으로 인해 주요 수분 매개자에 따라 종을 분류하는데, 벌, 호박벌, 나비, 나방, 파리, 태양새 등이 있다.[9] 몇몇 폐쇄화 종도 존재하지만, 대부분의 종은 효율적인 종자 생산을 위해 수분 매개체에 의존하며, 많은 수가 자가 호환성을 가진다.[10] 온대 종뿐만 아니라 일부 열대 종은 영양 및 빛 조건이 불리해지면 개화에서 폐쇄화로 전환할 수 있다.

''Impatiens zombensis''


물봉선속 잎은 점박이 나방(Melanchra persicariae)과 같은 나비목 종의 유충과 일본 풍뎅이(Popillia japonica) 같은 곤충의 먹이로 사용된다. 잎은 앵무새(Melopsittacus undulatus)를 포함한 많은 동물에게 독성이 있지만, 새는 꽃을 먹는다. 꽃은 호박벌과 common spotted flat(Celaenorrhinus leucocera)와 같은 나비목에 의해 방문된다.

유럽 실새삼(Cuscuta europaea)은 물봉선속을 숙주로 사용하는 기생 식물이다. 영향을 미치는 물봉선 질병 목록에서 여러 식물 질병이 이 속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히말라야 발삼(I. glandulifera)이 헤세의 개울을 따라 서식지를 침범하고 있음


물봉선속의 꽃 모양은 종의 쉬운 재배와 결합하여 일부 발삼 종을 식물 진화 발달 생물학의 모델 유기체로 만들었다. 물봉선속은 육식 식물 과인 로리둘라세아 및 사라세니아세아와 관련이 있다. 발삼 꽃받침의 자루 샘은 점액을 분비하며, 이는 육식 식물의 먹이를 잡고 소화하는 샘이 진화한 구조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발삼은 원 육식 식물로 알려져 있지 않다.

2011~2013년, 미국은 물봉선속, 특히 ''Impatiens walleriana''에 영향을 미치는 흰가루병의 심각한 발생을 경험했다.[11] 이 질병은 캐나다에서도 보고되었다.[12] 병원균 ''plasmopara obducens''가 주요 원인으로 추정되지만,[13] ''Bremiella sphaerosperma''도 관련되어 있다.[14] 이러한 병원균은 2004년에 미국에서 처음 보고되었다.[15][16]

6. 이용

6. 1. 원예

봉선화는 인기 있는 정원 일년생 식물이다.[26] 봉선화( ''I. walleriana'')와 뉴기니 봉선화( ''I. hawkeri'')에서 유래된 잡종은 정원 식물로서 상업적 중요성을 가지고 있다. ''I. walleriana''는 동아프리카가 원산지이며,[26] 'Elfin' 계열의 재배종을 생산했으며, 이후 'Super Elfin' 계열로 개선되었다. 겹꽃 재배종도 존재한다.

겹꽃 봉선화 재배종


잉꼬 봉선화( ''I. niamniamensis'')


봉선화(Impatiens walleriana)


아프리카 퀸( ''I. auricoma''), 봉선화( ''I. balsamina''), 블루 다이아몬드 봉선화( ''I. namchabarwensis''), 앵무새 꽃( ''I. psittacina''), 잉꼬 봉선화( ''I. niamniamensis''), 실론 봉선화( ''I. repens'') 및 가난한 사람의 철쭉( ''I. sodenii'')과 같은 다른 ''봉선화'' 종도 관상 식물로 사용된다.

6. 2. 염료

6. 3. 약용

봉선화속에는 항염증 및 살균제인 2-메톡시-1,4-나프토퀴논 나프토퀴논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는 일부 Preparation H 제제의 활성 성분이다.[17]

북미 봉선화는 벌침, 곤충 물림 및 쐐기풀(''Urtica dioica'') 발진 치료를 위한 허브 치료법으로 사용되어 왔다. 또한 미국담쟁이덩굴(''Toxicodendron radicans'')과의 접촉 후 발진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노랑물봉선(''I. capensis'')과 노랑물봉선(''I. pallida'')이 옻나무 접촉성 피부염을 예방하는 효과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상반된 결과가 나왔다.[18] 1958년의 연구에 따르면 ''Impatiens biflora''가 옻나무와의 접촉으로 인한 피부염에 대한 표준 치료법의 효과적인 대안임이 밝혀졌지만,[19] 이후의 연구[20][21][22]에서는 발진이 발생한 후 이 종이 가려움증 완화 효과가 없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러한 모순점을 검토한 연구자들은[18] 이러한 상반된 결과의 잠재적인 이유로 준비 방법과 적용 시기를 언급한다. 2012년 연구에 따르면 노랑물봉선과 봉선화(''I. balsamina'') 추출물이 접촉성 피부염 감소에 효과적이지 않았지만, 식물을 으깨어 국소적으로 적용했을 때는 감소 효과가 있었다.[23]

''Impatiens glandulifera''는 신체적, 정서적 문제에 대한 허브 치료법으로 사용되는 꽃 추출물인 바흐 플라워 레미디 중 하나이다. 이는 급성 불안 치료제로 선전되고 스트레스가 많은 상황에서 보호한다고 여겨지는 "구조 레미디" 또는 "파이브 플라워 레미디"에 포함되어 있다. 연구에 따르면 이 약물과 위약의 효과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24]

모든 ''Impatiens''는 쓴맛이 나며 섭취 시 약간의 독성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구토설사와 같은 장 질환을 유발한다. 독성 화합물은 확인되지 않았지만 쓴맛의 원인과 동일할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아마도 배당체 또는 알칼로이드일 것이다.

α-Parinaric acid


α-파리나르산은 다불포화 지방산의 일종으로 마키타 나무 (''Atuna racemosa subsp. racemosa'')의 씨앗에서 발견되었으며, α-리놀렌산과 함께 봉선화 씨앗 지방의 주요 성분이며, 아마도 다른 ''Impatiens'' 종에서도 발견될 것이다.[25]

봉선화를 포함한 특정 보석류는 헤나 (''Lawsonia inermis'')에서도 발견되는 염료인 나프토퀴논 로손을 함유하고 있다. 고대 중국에서는 장미와 난초 꽃잎과 명반을 으깨어 봉선화 꽃잎과 혼합하여 매니큐어로 사용했다.

7. 기타

참조

[1] 웹사이트 "''Impatiens'' Riv. ex L." https://powo.science[...] Board of Trustees of the Royal Botanic Gardens, Kew 2017
[2] 서적 Sunset Western Garden Book 1995
[3] 서적 RHS A-Z Encyclopedia of Garden Plants Dorling Kindersley
[4] 웹사이트 Invasive flower, policeman's helmet, beautiful, but blacklisted https://www.scienced[...] Science Daily 2018-09-17
[5] 서적 Impatiens of Africa A.A.Balkema, Rotterdam
[6] 간행물 'Springkraut – ''Impatiens'' L.. ''In: Exkursionsflora von Deutschland'' (Band 2 – Gefäßpflanzen: Grundband) ["Excursion flora of Germany (Vol. 2 – Vascular plants: basic volume)"]' Gustav Fischer Verlag, Jena and Stuttgart 1996
[7] 논문 The multiple fuzzy origins of woodiness within Balsaminaceae using an integrated approach. Where do we draw the line? 2012
[8] 논문 Impatiens galactica (Balsaminaceae), a new spurless species of section Trimorphopetalum from Madagascar 2017
[9] 논문 A question of data quality - Testing pollination syndromes in Balsaminaceae 2017
[10] 논문 Breeding systems in Balsaminaceae in relation to pollen/ovule ratio, pollination syndromes, life history and climate zone 2018
[11] 웹사이트 Impatiens disease changing American gardens https://www.chicagot[...] 2013-04-22
[12] 웹사이트 'Killer fungal disease wipes out B.C.\'s impatiens {{pipe}} Vancouver Sun' http://blogs.vancouv[...] 2013-07-31
[13] 웹사이트 Impatiens downy mildew: A curse and opportunity for your garden http://msue.anr.msu.[...] 2013-04-29
[14] 웹사이트 Diagnostic Fact Sheet for Plasmopara obducens http://nt.ars-grin.g[...] 2015-08-13
[15] 웹사이트 Garden Q&A: You might be getting impatient about finding impatiens http://jacksonville.[...]
[16] 웹사이트 American Phytopathological Society http://www.apsnet.or[...]
[17] 서적 Identifying and Harvesting Edible and Medicinal Plants in Wild (and Not-So-Wild) Places William Morrow/Harper Collins Publishers, New York 1994
[18] 서적 Herbal Medicine: Biomolecular and Clinical Aspects. CRC Press 2011
[19] 논문 The use of ''Impatiens biflora'' (jewelweed) in the treatment of rhus dermatitis. 1958-09
[20] 논문 Treatment of poison ivy/oak allergic contact dermatitis with an extract of jewelweed 1997
[21] 논문 Activity of jewelweed and its enzymes in the treatment of Rhus dermatitis 1950
[22] 논문 The effect of jewel weed in preventing poison ivy dermatitis 1991
[23] 논문 The effectiveness of jewelweed, ''Impatiens capensis'', the related cultivar ''I. balsamina'' and the component, lawsone in preventing post poison ivy exposure contact dermatitis 2012
[24] 논문 Bach Flower Remedies for psychological problems and pain: a systematic review 2009
[25] 서적 Fatty Acid and Lipid Chemistry Springer 1996
[26] 웹사이트 ''Impatiens wallerana''. http://faculty.ucc.e[...] 2012-10-31
[27] 논문 Ten new species of ''Impatiens'' (Balsaminaceae) from Thailand 2009
[28] 논문 New species of the Thai ''Impatiens'' (Balsaminaceae) 2000
[29] 논문 ''Impatiens ecornuta'', a new name for ''Impatiens ecalcarata'' (Balsaminaceae), a jewelweed from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https://www.biodiver[...] 2012
[30] 논문 Impatiens elianae (Balsaminaceae), a new species from central Madagascar, with notes on the taxonomic relationship of I. lyallii and I. trichoceras 2015
[31] 논문 A tuberous and epiphytic new species of ''Impatiens'' (Balsaminaceae) from southwest Cameroon 1999
[32] 논문 Two New species of ''Impatiens'' (Balsaminaceae) from Myanmar
[33] 논문 "''Impatiens msisimwanensis'' (Balsaminaceae): Description, pollen morphology and phylogenetic position of a new East African species" http://bio.kuleuven.[...] 2009
[34] GRIN "''Impatiens scapiflora''" 2017-12-12
[35] 논문 Three new species of the Thai ''Impatiens'' (Balsaminaceae). Part 3 2004
[36] 학술지 A new epiphytic species of ''Impatiens'' (Balsaminaceae) from the Comoro Islands http://www.mnhn.fr/m[...] 2013-07-04
[37] 웹사이트 Impatiens in Flora of China @ efloras.org http://www.efloras.o[...] 2021-09-28
[38] 서적 青山 (2003)、194頁
[39] 서적 佐竹 (1982)、235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