므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므앙은 타이어족 언어의 공통 조상인 원시 타이 어에서 재구축된 용어로, 관개 시스템을 의미한다. 중국 남부 지역에서 논농사를 위한 관개 공학을 설명하며, 행정, 사회, 정치, 종교적 의미를 내포한다. 므앙은 태국, 라오스, 미얀마, 중국, 베트남 등 동남아시아 여러 지역의 지명으로 사용되었으며, 특히 란나 세계에서는 도시 국가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었다. 또한, 캄 므앙은 북부 태국어를 의미하며, 역사학에서는 고대 동남아시아의 권력 구조를 설명하는 용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국 - 루카 공국
루카 공국은 1815년 빈 회의에서 루카 공화국의 옛 영토를 기반으로 부르봉-파르마 가문에게 주어진 국가였으나, 1847년 토스카나 대공국에 합병되며 소멸되었고, 존속 기간 동안 경제 발전과 사형 제도 폐지 등의 변화가 있었다. - 동남아시아의 옛 나라 - 란쌍 왕국
란쌍 왕국은 라오스 지역에 건국된 최초의 통일 국가로서 메콩강 유역을 중심으로 발전하다가 18세기 초 분열되었고, 라오스인들의 정체성의 기둥이 되었다. - 동남아시아의 옛 나라 - 라보 왕국
라보 왕국은 450년경 프라야 카라바나디트가 세운 도바라바티 도시 국가로, 롭부리 지역에서 번성했으며 몬족이 주도하고 다양한 민족이 거주하면서 크메르 제국의 영향으로 힌두교와 대승 불교 문화가 유입되었지만 상좌부 불교를 주요 종교로 유지하다 수코타이 왕조와 아유타야 왕국을 거치며 멸망했다. - 태국의 옛 나라 - 란쌍 왕국
란쌍 왕국은 라오스 지역에 건국된 최초의 통일 국가로서 메콩강 유역을 중심으로 발전하다가 18세기 초 분열되었고, 라오스인들의 정체성의 기둥이 되었다. - 태국의 옛 나라 - 아유타야 왕국
아유타야 왕국은 1351년에 건국되어 1767년 버마의 침략으로 멸망했으며, 해상 무역과 상좌부 불교, 힌두교의 영향을 받아 독특한 문화를 발전시키고 절대 군주 체제를 확립하여 태국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므앙 | |
---|---|
기본 정보 | |
태국어 | เมือง (므앙) |
라오어 | ເມືອງ (므앙) |
샨어 | (므앙) |
중국어 | 猛 or 勐 (멍) |
정의 | 요새화된 도시와 주변 마을의 통치자 (쿤, ) 또는 그러한 도시와 마을을 의미함 |
설명 |
2. 어원 및 역사적 배경
'''므앙'''은 타이어족 언어의 공통 조상인 원시 타이 어에서 유래된 용어로, 원래는 수전 경작을 위한 관개 시설을 의미했다. 므앙은 '관개수로, 도랑, 운하'를, 파이는 '제방, 보, 댐'을 의미하며, 이 둘을 합쳐 '''므앙 파이'''(므앙 파이 관개 시스템)라 불렀으며, 하천과 강에서 물을 끌어오는 중력 관개 시스템을 지칭했다.[19] 시간이 지나면서 므앙은 행정, 사회, 정치, 종교 등 다양한 의미를 포괄하는 단어로 발전했다.[22]
란나 세계에서는 촌락(무반)이 모여 집락(판나)을 형성하고, 이것이 군사 방어 시설을 갖춘 도시(위앙)로 발전했다. 특히 왕족이나 귀족이 지배하는 도시는 치앙이라고 불렸으며, 이러한 위앙과 치앙을 중심으로 한 도시 국가가 바로 므앙이었다.[27]
2. 1. 므앙의 어원
'''므앙'''은 행정, 사회, 정치, 종교적 지향과 관련된 다양한 의미를 전달하며, 이는 모두 벼농사와 관련이 있다. "므앙"이라는 단어의 기원은 아직 불분명하다.[22] 2007년 10월, 라오스 국립 도서관은 베를린 국립 도서관 및 파사우 대학교와 협력하여 라오스 필사본 디지털 도서관 구축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2005년 비엔티안에서 열린 라오스 문학 유산 컨퍼런스에서 발표된 논문도 공개되었다. 많은 필사본들은 관개 시스템(''müang-faai|므앙-파아이lo'')을 만들고 유지하기 위해 높은 수준의 협력을 보장하는 동일한 유역 지역 사회에 가해진 행정적, 사회적, 정치적, 종교적 요구 사항들을 조명하는데, 이는 아마도 "므앙"을 설립한 주요 이유일 것이다.[22]2. 2. 므앙 파이 관개 시스템
'''므앙 파이'''는 모든 타이어족 언어의 공통 조상인 원시 타이 어에서 언어 재구축된 용어이다. 중국 남부의 광시 성-구이저우 성 지역에서 이 용어는 당시 수전 경작을 위한 독특한 유형의 관개 공학을 설명했다. ''므앙''은 '관개수로, 도랑, 운하'를 의미하고, ''파이''는 '제방, 보, 댐'을 의미하며, 함께 하천과 강에서 물을 끌어오는 중력 관개 시스템을 지칭했다.[19]원시 타이 어는 현존하는 어떤 텍스트로도 직접 증명되지 않았지만, 비교 언어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재구축되었다. 이 용어는 원시 타이 어 A1 성조를 가지고 있다. 모든 A1 단어는 현대 태국어와 라오어에서 상승조를 띠며, 이는 성조 기원에 따라 결정된 규칙을 따른다. 이에 따라 이 용어는 다음과 같다.
: 현대 เหมืองฝาย|므앙 파이th[20]
: 현대 ເຫມື່ອງຝາຍ|므앙 파이lo.[21] (NB영어: SEAlang Library의 라오어 항목은 성조 표기를 생략하고 있는데, 이는 오탈자이다.)
다른 성조는 서로 다른 의미를 부여한다. 학계에서는 이 용어와 성조가 다른 다른 용어들 간의 연관성을 밝혀내지 못했다.
2. 3. 역사적 발전 과정
란나 세계 등에서는 무반(혹은 반)이라고 불리는 촌락의 집합체가 있으며, 그것이 여러 개 모여 판나라고 불리는 집락을 형성한다. 더 나아가 그것이 군사적인 방어 시설을 갖추게 되면, 위앙(เวียง|위앙th)이라고 불리는 도시를 형성한다(비엔티안의 위앙은 이 위앙이다). 특히 위앙 중에서도 왕후 귀족이 그 지배를 담당하게 됨으로써 치앙(เชียง|치앙th)이라고 불린다(치앙마이의 "치앙"이나 경홍의 "경", 켄퉁의 "켄"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러한 위앙, 치앙을 중심으로 하는 도시 국가가 므앙이라고 불린다.[27]3. 지역별 므앙
"므앙"은 타이족이 거주하는 여러 지역(태국, 라오스, 미얀마, 중국, 베트남)에 걸쳐 나타나는 지명 및 행정 구역 단위이다.
- '''태국:''' 담롱 라차누팝 왕자의 테사피반 개혁 이후 몬톤을 거쳐 창왓으로 변화했지만, 여전히 주도 군(''암프 므앙'') 및 읍(''테사반 므앙'')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된다.[15]
- '''라오스:''' 라오스인들에게 단순한 행정 구역 이상의 역사적 의미를 가지며, 전통적인 사회·정치·행정 조직과 초기 만다라 국가 형성에 중요했다.[13] 므앙 싱, 므앙 사이 등이 있다.
- '''미얀마:''' 샨족 거주 지역을 중심으로 몽마오, 몽삿 등 므앙 지명이 남아있다.
- '''중국:''' 중국어로 c=勐, 孟|p=měng|labels=no중국어로 표기되며, 루이리를 비롯한 다양한 므앙 지명이 존재한다.
- '''베트남:''' 므엉 라이 등 북서부 지역에 므앙 지명이 남아있다.[27]
란나 세계에서는 무반(반)이라는 촌락의 집합체가 여러 개 모여 판나를 형성하고, 군사 시설을 갖추면 위앙(비엔티안의 위앙), 왕족/귀족 지배시 치앙(치앙마이의 "치앙", 경홍의 "경", 켄퉁의 "켄")으로 불렸으며, 이들을 중심으로 한 도시 국가가 므앙이다.[27]
3. 1. 태국

태국에서 ''므앙''은 도의 주도 군(''암프 므앙'') 및 읍에 해당하는 지방 자치체(''테사반 므앙'')를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된다.[15] 담롱 라차누팝 왕자의 ''테사피반'' 개혁 이후, 시암의 도시 국가들은 몬톤(มณฑลth, 만다라의 태국어 번역)으로 조직되었으며, 1916년에는 ''창왓''(จังหวัดth)으로 변경되었다.[15]
''므앙''은 돈므앙구(돈므앙 국제공항 소재), '므앙 파타야'(เมืองพัทยาth)와 같이 일부 장소의 지명에 남아있다.
"나콘"(นครth)은 "도시"를 의미하며, "테사반 나콘"(เทศบาลนครth)으로 수정되었고, "시 자치구"로 번역된다. 다음과 같은 일부 지명에 남아있다.
팔리어 ''púra''는 산스크리트어 ''puri''가 되었고, 이는 태국어 บุรี, บูรีth (buri)로 이어졌으며, 태국어 ''므앙''과 같이 방어벽이 있는 도시를 뜻한다.[17] 산스크리트어 ''buri''는 다음과 같은 다른 지역 이름에 남아있다.
란나 세계에서는 촌락의 집합체인 무반 (혹은 반)이 여러 개 모여 판나를 형성하고, 군사적 방어 시설을 갖추면 위앙 (เวียงth)이라는 도시를 형성한다(예: 비엔티안의 위앙).[27] 특히 위앙 중 왕후 귀족이 지배하는 곳은 치앙(เชียงth)이라고 불린다(예: 치앙마이의 "치앙", 경홍의 "경", 켄퉁의 "켄"). 이러한 위앙, 치앙을 중심으로 하는 도시 국가가 므앙이다.[27]
라마 5세의 차크리 개혁으로 몬톤(주)이 도입되면서, 므앙을 중심으로 한 영역은 중앙집권화로 독립성이 저하되었고, 국주 제도가 폐지되어 몬톤의 하위 행정 구역이 되었다.[28] 이것이 현재 태국의 현(창왓)의 원형이다. 1916년 이후 므앙이라고 불리던 현은 창왓으로 명명되었고, 행정 구역으로서의 므앙은 폐지되었다.[29] 그러나 각 현의 현청 소재지에는 아유타야군을 제외하고 관례적으로 므앙이라는 말을 사용한다.
3. 2. 라오스
라오스는 구어체로 ''므앙 라오''라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라오스인에게 '므앙'은 단순한 행정 구역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이 용어는 라오스인에게 특별한 역사적 의미를 가지며, 특히 그들의 전통적인 사회·정치·행정적 조직과 초기 만다라 국가 형성에 중요하다.[13] 이 만다라들은 후대 학자들에 의해 만다라로 묘사되었다. 현재 라오스의 주는 일반적으로 라오스의 군으로 번역되는 하위 행정 구역으로 세분화되었으며, 일부는 므앙을 이름의 일부로 유지한다.- 므앙 싱
- 므앙 사이
이전 므앙은 다음과 같다.
- 므앙 푸안 (현재 폰사반, 시앙쿠앙 주의 수도)
- 므앙 수아
3. 3. 미얀마

미얀마(버마)에는 샨족 거주 지역을 중심으로 다음과 같은 므앙 지명들이 남아있다.
란나 세계 등에서는 무반(반)이라고 불리는 촌락의 집합체가 있으며, 그것이 여러 개 모여 판나라고 불리는 집락을 형성한다. 더 나아가 그것이 군사적인 방어 시설을 갖추게 되면, 위앙 (เวียงth)이라고 불리는 도시를 형성한다(비엔티안의 위앙은 이 위앙이다). 특히 위앙 중에서도 왕후 귀족이 그 지배를 담당하게 됨으로써 치앙(เชียงth)이라고 불린다(치앙마이의 "치앙"이나 경홍의 "경", 켄퉁의 "켄"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러한 위앙, 치앙을 중심으로 하는 도시 국가가 므앙이라고 불린다.[27]
3. 4. 중국
"므앙"이라는 지명은 중국어로 c=勐, 孟|p=měng|labels=no중국어로 표기하며, 이는 중국에서 사용되는 및 와 동일하다.[5]영어 표기 | 타이 누아어 표기 | 타이 루어 표기 | 중국어 표기 | 일반적인 사용 이름 |
---|---|---|---|---|
므앙 마오[6] | ᥛᥫᥒᥰ ᥛᥣᥝᥰ[7] | 勐卯 | 루이리 | |
므앙 콩[6] | ᥛᥫᥒᥰ ᥑᥩᥢᥴ[7] | ᦵᦙᦲᧂ ᦃᦸᧃ[8] | 勐焕 | 망시 |
므앙 완[6] | ᥛᥫᥒᥰ ᥝᥢᥰ[7] | 勐宛 | 룽촨 | |
므앙 티[6] | ᥛᥫᥒᥰ ᥖᥤᥰ[7] | 勐底 | 량허 | |
므앙 라[6] | ᥛᥫᥒᥰ ᥘᥣᥲ[7] | 勐腊 | 잉장 | |
멍 라 | ᦵᦙᦲᧂ ᦟᦱ | 勐拉 | 쓰마오 | |
멍 라 | ᦵᦙᦲᧂ ᦟᦱᧉ | 勐腊 | 멍라 | |
멍 하이 | ᥛᥫᥒᥰ ᥞᥣᥭᥰ[7] | ᦵᦙᦲᧂ ᦣᦻ[8] | 勐海 | 멍하이 |
멍 렘 | ᥛᥫᥒᥰ ᥘᥥᥛᥰ[7] | 孟连 | 멍롄 | |
멍 껑 | ᥛᥫᥒᥰ ᥐᥪᥒ[7] | 勐耿 | 껑마 | |
멍 롱 | ᥛᥫᥒᥰ ᥘᥨᥒ[9] | 롱링 | ||
멍 멍 | ᥛᥫᥒᥰ ᥛᥫᥒᥰ[7] | 勐勐 | 솽장 | |
멍 람 | ᥛᥫᥒᥰ ᥘᥣᥛᥰ[7] | 勐朗 | 랑창 | |
멍 통 | ᥛᥫᥒᥰ ᥗᥨᥒᥴ[7] | 勐统 | 창닝 | |
멍 총 | ᥛᥫᥒᥰ ᥓᥧᥒᥰ[7] | 위안장 | ||
멍 텐 | ᥛᥫᥒᥰ ᥗᥦᥢᥴ[7] | 펑칭 | ||
멍 멘 | ᥛᥫᥒᥰ ᥛᥦᥢᥰ[7] | 勐缅 | 텅충 또는 린창 | |
몽시[10] | ᥛᥫᥒᥰ ᥔᥥᥴ[7] | ᦵᦙᦲᧂ ᦵᦉ[8] | 쿤밍 | |
멍 하 | ᥛᥫᥒᥰ ᥑᥣᥰ[7] | 柯街镇|커제 진중국어 | ||
멍 하 | ᥛᥫᥒᥰ ᥑᥣᥴ[7] | 湾甸傣族乡|완뎬 다이족 향중국어 | ||
멍 커 | ᥛᥫᥒᥰ ᥑᥫᥰ[7] | 潞江镇|루장 진중국어 | ||
멍 위엔 | ᥛᥫᥒᥰ ᥒᥤᥛᥰ[7] | 勐允 | 上允镇|상윈 진중국어 | |
멍 쩌 | ᥛᥫᥒᥰ ᥓᥥ[7] | ᦵᦙᦲᧂ ᦵᦵᦋᧈ | 勐遮 | 勐遮镇|멍저 진중국어 |
멍 사 | ᥛᥫᥒᥰ ᥔᥣᥴ[7] | 勐撒 | 勐撒镇|멍사 진중국어 | |
멍 양 | ᥛᥫᥒᥰ ᥕᥣᥒᥰ[7] | 勐养 | 勐养镇|멍양 진중국어 | |
멍 둥 | ᥛᥫᥒᥰ ᥖᥧᥛᥰ[7] | 勐董 | 멍둥 | |
멍 뎬 | ᥛᥫᥒᥰ ᥖᥦᥢᥰ[7] | 勐典 | 멍뎬 (잉장 현의 지명) | |
멍 딩 | ᥛᥫᥒᥰ ᥖᥤᥒ[7] | 孟定 | 孟定镇|멍딩 진중국어 | |
멍 림 | ᥛᥫᥒᥰ ᥘᥤᥛᥴ[7] | 黄草坝|황차오바중국어 (롱링 현의 지명) | ||
멍 롱 | ᥛᥫᥒᥰ ᥘᥨᥒ[7] | ᦵᦙᦲᧂ ᦷᦟᧂ[8] | 勐龙 | 勐龙镇|멍롱 진중국어 |
멍 롱 | ᥛᥫᥒᥰ ᥘᥩᥒᥴ[7] | 勐弄 | 勐弄乡|멍농 향중국어 | |
멍 모 | ᥛᥫᥒᥰ ᥛᥨᥝᥱ[7] | 勐磨 | 지우청 향 | |
멍 한 | ᥛᥫᥒᥰ ᥞᥛᥰ[7] | ᦵᦙᦲᧂ ᦣᧄ[8] | 勐罕 | 勐罕镇|멍한 진중국어 |
멍 휴 | ᥛᥫᥒᥰ ᥞᥥᥝᥰ[11] | 勐秀 | 멍슈 향 | |
멍 카 | ᥛᥫᥒᥰ ᥐᥣ | 勐戛 | 멍가 | |
멍 위에 | 勐约 | 勐约乡|멍위에 향중국어 | ||
멍 펑 | ᦵᦙᦲᧂ ᦘᦳᧂ | 勐捧 | 勐捧镇|멍펑 진중국어 | |
멍 뒈이 | 勐堆 | 勐堆乡|멍뒈이 향중국어 | ||
멍 쿠 | 勐库 | 勐库镇|멍쿠 진중국어 | ||
멍 용 | ᥛᥫᥒᥰ ᥕᥩᥒᥰ[12] | 勐永 | 勐永镇|멍용 진중국어 | |
멍 껀 | ᥛᥫᥒᥰ ᥐᥦᥒᥰ[12] | 勐简 | 勐简乡|멍젠 향중국어 | |
멍 셩 | ᥛᥫᥒᥰ ᥔᥫᥒᥴ[12] | 勐省 | 멍셩 | |
멍 지아오 | 勐角 | 멍지아오 | ||
멍 눠 | 勐糯 | 勐糯镇|멍눠 진중국어 | ||
멍 셴 | 勐先 | 勐先镇|멍셴 진중국어 | ||
멍 농 | 孟弄 | 孟弄彝族乡|멍농 이족 향중국어 | ||
멍 반 | 勐班 | 멍반 | ||
멍 다 | 勐大 | 勐大镇|멍다 진중국어 | ||
멍 리에 | 勐烈 | 勐烈镇|멍리에 진중국어 | ||
멍 마 | 勐马 | 勐马镇|멍마 진중국어 | ||
멍 숴 | 勐梭 | 勐梭镇|멍숴 진중국어 | ||
멍 카 | 勐卡 | 勐卡镇|멍카 진중국어 | ||
멍 라 | 勐拉 | 勐拉镇|멍라 진중국어 | ||
멍 차오 | 勐桥 | 勐桥乡|멍차오 향중국어 | ||
멍 왕 | 勐旺 | 징훙 멍왕 향|징훙 멍왕 향중국어 | ||
멍 훈 | 勐混 | 勐混镇|멍훈 진중국어 | ||
멍 만 | 勐满 | 勐满镇|멍만 진중국어 | ||
멍 아 | 勐阿 | 勐阿镇|멍아 진중국어 | ||
멍 쑹 | 勐宋 | 勐宋乡|멍쏭 향중국어 | ||
멍 왕 | 勐往 | 멍하이 멍왕 향|멍하이 멍왕 향중국어 | ||
멍 룬 | 勐仑 | 勐仑镇|멍룬 진중국어 | ||
멍 반 | 勐伴 | 勐伴镇|멍반 진중국어 |
3. 5. 베트남

베트남 북서부 지역에는 다음과 같은 므앙 지명들이 남아있다.[27]
- 므엉 짜
- 므엉 라
- 므엉 라이
- 므엉 랏
- 므엉 꿕
- 므엉 네
- 므엉 테
- 므엉 탄
란나 세계 등에서는 무반(혹은 반)이라고 불리는 촌락의 집합체가 있으며, 여러 무반이 모여 판나라고 불리는 집락을 형성한다. 판나가 군사적인 방어 시설을 갖추게 되면 위앙(เวียงth)이라고 불리는 도시가 된다(예: 비엔티안의 위앙). 특히 위앙 중에서도 왕후 귀족이 지배하는 곳은 치앙(เชียงth)이라고 불린다(치앙마이의 "치앙", 경홍의 "경", 켄퉁의 "켄" 등). 이러한 위앙, 치앙을 중심으로 하는 도시 국가가 므앙이다.[27]
4. 므앙의 사회정치적 구조
므앙은 벼농사와 관련된 행정, 사회, 정치, 종교적 구조와 역할을 나타내는 다양한 의미를 지닌다. "므앙"이라는 단어의 기원은 명확하지 않다.[22] 2007년 10월, 라오스 국립 도서관은 베를린 국립 도서관 및 파사우 대학교와 협력하여 라오스 필사본 디지털 도서관 구축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2005년 비엔티안에서 열린 라오스 문학 유산 컨퍼런스에서 발표된 논문들은 관개 시스템(''müang-faai'')을 만들고 유지하기 위해 높은 수준의 협력이 필요했던, 동일 유역 지역 사회의 행정적, 사회적, 정치적, 종교적 요구 사항들을 조명하며, 이는 "므앙" 설립의 주요 이유로 추정된다.[22]
란나에서는 무반(반)이라고 불리는 촌락 집합체가 여러 개 모여 판나라는 집락을 형성하고, 이것이 군사적 방어 시설을 갖추면 위앙 (เวียง|위앙th)이라는 도시가 된다. 특히 위앙 중에서도 왕후 귀족이 지배하는 곳은 치앙(เชียง|치앙th)이라고 불린다. 이러한 위앙, 치앙을 중심으로 하는 도시 국가가 므앙이다.[27]
4. 1. 만다라 체제와의 연관성
므앙은 행정, 사회, 정치, 종교적 지향과 관련된 다양한 의미를 전달하며, 이는 모두 벼농사와 관련이 있다. "므앙"이라는 단어의 기원은 아직 불분명하다.[22] 2007년 10월 라오스 국립 도서관은 베를린 국립 도서관 및 파사우 대학교와 협력하여 라오스 필사본 디지털 도서관 구축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2005년 비엔티안에서 열린 라오스 문학 유산 컨퍼런스에서 발표된 논문도 공개되었다. 많은 필사본들은 관개 시스템(''müang-faai'')을 만들고 유지하기 위해 높은 수준의 협력을 보장하는 동일한 유역 지역 사회에 가해진 행정적, 사회적, 정치적, 종교적 요구 사항들을 조명하는데, 이는 아마도 "므앙"을 설립한 주요 이유일 것이다.[22]란나 세계 등에서는 무반(혹은 반)이라고 불리는 촌락의 집합체가 있으며, 그것이 여러 개 모여 판나라고 불리는 집락을 형성한다. 더 나아가 그것이 군사적인 방어 시설을 갖추게 되면, 위앙 (เวียงth)이라고 불리는 도시를 형성한다( 비엔티안의 위앙은 이 위앙이다). 특히 위앙 중에서도 왕후 귀족이 그 지배를 담당하게 됨으로써 치앙(เชียงth)이라고 불린다(치앙마이의 "치앙"이나 경홍의 "경", 켄퉁의 "켄"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러한 위앙, 치앙을 중심으로 하는 도시 국가가 므앙이라고 불린다.[27]
4. 2. 캄 므앙 (북부 태국어)

'''캄 므앙'''(คำเมืองth)은 옛 란나의 언어였던 옛 북부 태국어의 현대 구어 형태이다. 중앙 태국어는 북부 태국인과 그들의 언어를 타이 유안이라고 부를 수 있다. 캄 므앙에서 ''캄''은 언어 또는 단어를 의미하고, ''므앙''은 마을을 의미하므로 "마을 언어"라는 뜻을 가지는데, 이는 특히 주변 산악 지역의 많은 태국 고산족 사람들의 언어와 대조된다.[23]
란나에서는 무반(반)이라고 불리는 촌락 집합체가 여러 개 모여 판나라는 집락을 형성한다. 이것이 군사적 방어 시설을 갖추면 위앙 (เวียงth)이라고 불리는 도시가 된다(비엔티안의 위앙이 이것이다). 특히 위앙 중에서도 왕후 귀족이 지배하는 곳은 치앙(เชียงth)이라고 불린다(치앙마이의 "치앙", 경홍의 "경", 켄퉁의 "켄" 등이 해당한다). 이러한 위앙, 치앙을 중심으로 하는 도시 국가가 므앙이다.[27]
5. 현대적 의의
라마 5세의 차크리 개혁으로 몬톤(주)이 도입되면서, 므앙을 중심으로 한 묶음 영역은 중앙집권화로 독립성이 저하되었고, 국주의 제도(므앙은 재정적으로 국가에서 독립되어 있었다)가 폐지되어 몬톤의 하위 행정 구역이 되었다.[28] 이것은 현재까지 이어지는 태국의 현(창왓)의 원형이 된다. 1916년 이후, 므앙이라고 불리던 현은 창왓으로 명명되면서 새롭게 위치가 정해졌고, 행정 구역으로서의 므앙은 폐지되었다.[29] 그러나 각 현의 현청 소재지에는 아유타야군을 제외하고 므앙이라는 말을 관례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6. 역사학 용어로서의 므앙
이시이 요네오와 사쿠라이 유키오는 고대 동남아시아의 권력 구조를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했다. 첫째는 분지에서 농업을 하며 인구가 많고 자급자족하는 마을(반)이 모여 형성되는 "므앙" 국가, 둘째는 밀림 속에서 수로를 통해 상류의 산물을 외부에 파는 항구 도시 "누가라" 국가, 셋째는 평야에 있으면서 촌락과 원지를 소유한 성곽 도시 "프라" 국가이다.
참조
[1]
논문
Ahom and the Study of Early Thai Society
http://www.siamese-h[...]
Siamese Heritage Trust
2013-03-07
[2]
논문
Piltdown3: Further Discussion of The Ram Khamhaeng Inscription
http://www.siamese-h[...]
Siam Heritage Trust
2013-08-03
[3]
서적
The Ram Khamhaeng Controversy
The Siam Society
2013-06-13
[4]
논문
Did Kublai Khan's Conquest of the Dali Kingdom Give Rise to the Mass Migration of the Thai People to the South?
http://www.siamese-h[...]
Siam Heritage Trust
2013-03-17
[5]
웹사이트
SEAlang Library Khmer
http://www.sealang.n[...]
SEAlang Library
2018-05-14
[6]
서적
Lak Chang: A reconstruction of Tai identity in Daikong
ANU Press
2008
[7]
서적
傣汉词典
Yunnan Nationalities Publishing House
2007
[8]
서적
傣仂汉词典
Publishing House of Minority Nationalities
2003
[9]
논문
The Mongol-Yuan in Yunnan and ProtoTai/Tai Polities during the 13th-14th Centuries
2018
[10]
서적
Report on the Eastern Frontier of British India, with an Appendix, and Maps
British Mission Press
1835
[11]
서적
云南省瑞丽县地名志
1987
[12]
서적
云南省耿马傣族佤族自治县地名志
1985
[13]
간행물
The socio-political and administrative organisation of müang in the light of Lao historical manuscripts
http://laomanuscript[...]
Digital Library of Lao Manuscripts
2013-09-12
[14]
서적
Origin of the Tai and Chao Lung Hsukapha: A Historical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1999
[15]
논문
http://www.ratchakit[...]
1916-05-28
[16]
웹사이트
บูรี
http://www.thai-lang[...]
Thai-language.com
2013-08-03
[17]
웹사이트
A Comparative Dictionary of the Indo-Aryan Languages
https://dsal.uchicag[...]
Digital South Asia Library, a project of the Center for Research Libraries and the University of Chicago
2013-08-05
[18]
웹사이트
Nakhon Ratchasima (Khorat), Thailand
http://www.asiaexplo[...]
AsiaExplorers
2013-08-05
[19]
논문
GIS Mapping and Analysis of Tai Linguistic and Settlement Patterns in Southern China
http://www.niu.edu/l[...]
Northern Illinois University
2013-05-28
[20]
웹사이트
เหมืองฝาย
http://sealang.net/t[...]
[21]
웹사이트
ເຫມືອງຝາຽ
http://sealang.net/l[...]
[22]
간행물
The socio-political and administrative organisation of müang in the light of Lao historical manuscripts
http://laomanuscript[...]
Digital Library of Lao Manuscripts
2013-09-12
[23]
간행물
Khon Muang Neu Kap Phasa Muang
http://ic.payap.ac.t[...]
Payap University
2004-10-01
[24]
서적
Thailand: A Short History 2nd ED.
Yale University Press
2003
[25]
서적
タイ日大辞典
めこん
1997-10-01
[26]
서적
Thai-English Student Dictionary
Stanford University Press
1964
[27]
논문
On the History of Chiang Rai
1989
[28]
서적
タイの事典
同朋舎
1993
[29]
논문
ประกาศกระทรวงมหาดไทย เรื่อง ทรงพระกรุณาโปรดเกล้า ฯ ให้เปลี่ยนคำว่าเมืองเรียกว่าจังหวัด
http://www.ratchakit[...]
๒๘ พฤษภาคม ๒๔๕๙
[30]
서적
ビジュアル版世界の歴史12 東南アジア世界の形成
講談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