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나리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나리목은 9개의 과를 포함하는 진정쌍떡잎식물의 국화군에 속하는 식물 분류군이다. 현재의 분류는 DNA 염기서열 비교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미나리과, 두릅나무과, 돈나무과 등을 포함한다. 과거 분류 체계에서는 포함되는 과의 범위가 달랐으며, 크론퀴스트 시스템에서는 미나리과와 두릅나무과만 포함되었다. 미나리목 식물들은 자예 구조에서 유사성을 보이며, 암술의 구조적 특징을 통해 다른 과와 구별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카이 다케노신이 명명한 분류군 - 개나리
    개나리는 한반도 특산종으로 이른 봄에 노란색 꽃이 피고 열매는 약재로 사용되는 낙엽 활엽 관목이다.
  • 나카이 다케노신이 명명한 분류군 - 능금나무
    능금나무는 한국과 중국 원산의 낙엽 활엽 과수로, 사과와 혼용되었으나 별개 종으로 분류되었으며, 독특한 열매 모양과 신맛, 떫은맛을 가진 열매를 맺고 관상용, 약재, 식용으로 이용되어 왔으나, 서양 사과 도입 후 재배가 감소하여 유전자원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미나리목 - [생물]에 관한 문서
개요
[[미나리과]]의 야생 당근, [[Daucus carota]]의 꽃차례
미나리과의 야생 당근, Daucus carota의 꽃차례
학명Apiales
명명자Nakai (1930)
분류
식물계
문 (미분류)속씨식물군
강 (미분류)진정쌍떡잎식물군
아강 (미분류)코어 진정쌍떡잎식물군
목 (미분류)국화군
상목 (미분류)진정국화군 II
미나리과
두릅나무과
그리셀리니아과
미오도카르푸스과
펜난티아과
닭의장풀과
토리카르푸스과

2. 분류

미나리목에는 9개의 인정된 과가 있으며, 약간의 변동이 있다. 특히 토리첼리아과는 분할될 수도 있다.[2]



미나리목에 대한 현재의 이해는 비교적 최근의 것이며, 계통 발생학적 방법을 통해 DNA 염기서열을 비교한 것을 기반으로 한다.[3] 일부 과의 분류 범위가 변경되었다. 2009년에는 두릅나무과의 한 아과가 다계통군인 것으로 밝혀졌다.[4]

미나리목은 APG III 시스템에 의해 정의된 진정쌍떡잎식물국화군에 속한다.[1] 국화군 내에서 미나리목은 계통 분류학에서 Apiidae로 알려진 분류군에 속하며, campanulids라고 불리는 비순위 그룹에 속한다.[5] 2010년에는 미나리목, Paracryphiales, Dipsacales의 3개의 목으로 구성된 Apiidae의 하위 분류군인 Dipsapiidae가 정의되었다.[7]

크론퀴스트 시스템에서는 미나리과와 두릅나무과만 여기에 포함되었고, 제한된 목은 국화군이 아닌 장미군에 속했다. 돈나무과(Pittosporaceae)는 장미목에 속했고, 다른 많은 형태는 층층나무과에 속했다. ''펜난티아''는 Icacinaceae과에 속했다. 달그렌의 분류 시스템에서 미나리과와 두릅나무과는 상위 분류군 Araliiflorae(Aralianae라고도 함)의 Ariales목에 속했다.

진정국화군 II에 포함되며, 7과에 500속 5,500종을 포함한다.[10]

3. 계통 분류

미나리목에는 9개의 인정된 과가 있으며, 약간의 변동이 있으며 특히 Torricelliaceae는 분할될 수도 있다.[2]



미나리목에 대한 현재의 이해는 비교적 최근의 것이며, 계통 발생학적 방법을 통해 DNA 염기서열을 비교한 것을 기반으로 한다.[3] 일부 과의 분류 범위가 변경되었다.

미나리목은 APG III 시스템에 의해 정의된 진정쌍떡잎식물국화군에 속한다.[1] 국화군 내에서 미나리목은 계통 분류학에서 Apiidae로 알려진 분류군에 속하며, campanulids라고 불리는 비순위 그룹에 속한다.[5]

크론퀴스트 시스템에서는 미나리과와 두릅나무과만 여기에 포함되었고, 제한된 목은 국화군이 아닌 장미군에 속했다. 돈나무과(Pittosporaceae)는 장미목에 속했고, 다른 많은 형태는 층층나무과에 속했다. ''Pennantia''는 Icacinaceae과에 속했다. 달그렌의 분류 시스템에서 미나리과와 두릅나무과는 상위 분류군 Araliiflorae(Aralianae라고도 함)의 Ariales목에 속했다.

다음과 같은 계통수가 얻어졌다[10]


3. 1. 하위 계통 분류

미나리목에는 9개의 인정된 과가 있으며, 약간의 변동이 있으며 특히 Torricelliaceae는 분할될 수도 있다.[2]

미나리목에 대한 현재의 이해는 비교적 최근의 것이며, 계통 발생학적 방법을 통해 DNA 염기서열을 비교한 것을 기반으로 한다.[3] 일부 과의 분류 범위가 변경되었다.

미나리목은 APG III 시스템에 의해 정의된 진정쌍떡잎식물국화군에 속한다.[1] 국화군 내에서 미나리목은 계통 분류학에서 Apiidae로 알려진 분류군에 속하며, campanulids라고 불리는 비순위 그룹에 속한다.[5]

크론퀴스트 시스템에서는 미나리과와 두릅나무과만 여기에 포함되었고, 제한된 목은 국화군이 아닌 장미군에 속했다. Pittosporaceae는 장미목에 속했고, 다른 많은 형태는 층층나무과에 속했다. ''Pennantia''는 Icacinaceae과에 속했다. 달그렌의 분류 시스템에서 미나리과와 두릅나무과는 상위 분류군 Araliiflorae(Aralianae라고도 함)의 Ariales목에 속했다.

다음과 같은 계통수가 얻어졌다[10]


4. 특징

4. 1. 암술(자예) 구조

두릅나무과, 미오도카르푸스과, 미나리과는 자예(gynoecia)의 구조에서 서로 유사하다. 그러나 이러한 점에서 독립풀과는 이들과 현저하게 다르다.[8]

전형적인 합생 암술은 씨방의 융합 정도에 따라 네 개의 수직 구역을 나타낸다. 대부분의 식물에서, synascidiate (즉, "병 모양으로 결합된") 구역과 symplicate 구역은 생식력이 있으며, 씨앗을 품고 있다.[9] 처음 세 개의 과는 각각 긴 synascidiate 구역과 매우 짧은 symplicate 구역을 가진 자예 내에 주로 2실 또는 다실 씨방을 가지고 있으며, 씨앗은 그들의 전환점, 소위 교차 구역(또는 "Querzone")에 삽입된다.[8]

독립풀과의 자예에서 symplicate 구역은 synascidiate 구역보다 훨씬 길며, 씨앗은 전자에 따라 배열된다. 따라서 후자의 과의 구성원은 인접한 씨방 사이에 단일 공동이 있는 단실 씨방을 갖는다.[8]

5. 과거 분류 체계

크론퀴스트 시스템에서는 미나리과와 두릅나무과만 여기에 포함되었고, 제한된 목은 국화군이 아닌 장미군에 속했다.[7] Pittosporaceae는 장미목에 속했고, 다른 많은 형태는 층층나무과에 속했다. ''Pennantia''는 Icacinaceae과에 속했다. 달그렌의 분류 시스템에서 미나리과와 두릅나무과는 상위 분류군 Araliiflorae(Aralianae라고도 함)의 Ariales목에 속했다.

5. 1. [[크론퀴스트 분류 체계]]

크론퀴스트 분류 체계에서 미나리목은 산형꽃차례가 특징인 미나리과두릅나무과의 두 과만 포함한다.

분류:크론퀴스트 체계

5. 2. [[신엥글러 분류 체계]]

신엥글러 분류 체계에서 미나리목은 피자식물문 쌍자엽식물강 고생화피아강에 속하며, 우리나무과, 물밤나무과, 손수건나무과, 층층나무과, 가리아과, 두릅나무과, 미나리과의 7개 과를 포함한다.

참조

[1] 논문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II
[2] 논문 Recent advances in understanding Apiales and a revised classification
[3] 논문 Evolution in Apiales: nuclear and chloroplast markers together in (almost) perfect harmony
[4] 논문 The demise of subfamily Hydrocotyloideae (Apiaceae) and the re-alignment of its genera across the entire order Apiales
[5] 논문 Toward a resolution of Campanulid phylogeny,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placement of Dipsacales
[6] 논문 Towards a phylogenetic nomenclature of ''Tracheophyta'' http://www.phylodive[...]
[7] 논문 Phylogeny and Phylogenetic Nomenclature of the Campanulidae based on an Expanded Sample of Genes and Taxa
[8] 논문 False paracarpy in Seemannaralia (Araliaceae): from bilocular ovary to unilocular fruit http://ben-erikvanwy[...] 2017-04-28
[9] 서적 Morphology of flowers and inflorescenc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2
[10] 웹사이트 Apiales http://www.mobot.org[...] Stevens, P. F. 2001
[11] 저널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V http://onlinelibrary[...] 2023-05-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