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두릅나무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두릅나무과는 잎이 크고 어긋나며 방향성 정유를 함유하여 독특한 향을 내는 식물군이다. 꽃은 산형화서를 이루고 열매는 장과 형태를 띠며, 가시가 있는 종류도 있다. 셰플레라, 아이비, 두릅나무 등이 속하며, 다우림 산지 숲, 습한 산지 숲 등 따뜻하고 습한 환경에서 서식한다. 열대 및 온대 지역에 분포하며, 아메리카, 유라시아 등지에 걸쳐 발견된다. APG IV 분류 체계에 따라 산형화목에 속하며, Raukaua, Aralia-Panax, Polyscias-Pseudopanax, 아시아 팜메이트 그룹 등 4개의 주요 그룹으로 나뉜다. 두릅나무과의 속 수준 분류는 연구가 진행 중이며, 과거에는 미나리과에 병합되기도 했으나 현재는 별개의 과로 분류된다. 두릅나무아과와 피막이아과로 분류되며, 다양한 속을 포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89년 기재된 식물 - 박과
    박과는 주로 덩굴성 한해살이 식물로, 잎은 어긋나고 꽃은 단성화이며, 오이, 수박, 호박, 멜론 등 채소 및 과일로 재배되거나 약재로 사용되는 페포 열매를 맺는 식물군이다.
  • 1789년 기재된 식물 - 마디풀과
    마디풀과는 석죽목에 속하며 북반구 온대 지역을 중심으로 전 세계에 분포하는 다양한 형태의 식물 과로, 팽대한 마디와 엽초, 작은 방사대칭 꽃, 4~6개의 꽃덮이 조각으로 된 화피를 가지며, 마디풀아과, 심메리아아과, 에리오고눔아과의 세 아과로 나뉘고, 메밀, 채소, 향신료, 약용 식물 등 경제적으로 중요한 작물을 포함한다.
  • 식물의 과 - 박과
    박과는 주로 덩굴성 한해살이 식물로, 잎은 어긋나고 꽃은 단성화이며, 오이, 수박, 호박, 멜론 등 채소 및 과일로 재배되거나 약재로 사용되는 페포 열매를 맺는 식물군이다.
  • 식물의 과 - 나한송과
    나한송과는 19개 속으로 분류되며, 잎 모양이 다양하고 암수딴그루인 경우가 많으며, 남반구에 주로 분포하고 목재나 정원수로 이용되기도 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두릅나무과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Aralia elata
학명Araliaceae Juss.
이명Botryodendraceae J.Agardh
Hydrocotylaceae (Drude) Hyl. , nom. cons.
하위 분류
아과 및 속본문 참조
분류 체계
식물계
속씨식물
진정쌍떡잎식물
아강핵심 진정쌍떡잎식물군
하강국화군
상목진정국화군 II
미나리목
분포
화석 기록에오세 ~ 현재

2. 특징

두릅나무과는 매우 다양한 형태를 보인다. 많은 연구에서 이 과를 분류할 수 있는 통일된 특징이 없다는 것이 밝혀졌다.[6] 일반적으로 두릅나무과는 크고 대개 어긋나는 잎을 가지며, 종종 방향성 정유를 함유한다. 꽃은 5개의 꽃잎, 2~5개의 심피, 단순한 산형화서를 이룬다. 열매는 열매자루나 유강이 없는 장과이다.[7] 가시가 있는 종류도 있으며, 종종 목본이지만 드물게 초본이기도 하다. 잎은 녹나무속과 유사하게 단엽에서 복엽까지 다양하며, 복엽일 경우 3출엽, 우상 또는 장상 복엽이다.

두릅나무과의 예로는 엄나무, 애기송악, 덩굴식물인 송악속(서양송악 포함), 인삼 등이 있다.

2. 1. 분포

두릅나무과는 주로 열대 지역에 분포하지만, 일부는 온대 기후에도 고유종으로 존재한다. 아메리카, 유라시아, 아프리카,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뉴칼레도니아, 그리고 태평양 섬에서 발견된다.[6]

2. 2. 서식지

두릅나무과는 다우림 산지 숲, 매우 습한 산지 숲, 습한 저지대 강가 숲 지역에서 발견된다. 월계수림, 구름 숲과 같이 따뜻하고 습한 서식지에도 존재한다.

3. 분류 및 계통

APG IV에 따르면 두릅나무과는 국화군 내 산형화목에 속하는 6개의 속씨식물 과 중 하나이며, 단계통군으로 인정받는다.[8][9]

두릅나무과 내에는 다음과 같은 4개의 주요 그룹이 있다:[10]

1. '''Raukaua''' 대 그룹은 나머지 주요 두릅나무과 분지군과 자매 그룹이다.

2. '''''Aralia''-''Panax''''' 그룹은 대부분 단일 계통인 ''Aralia''와 ''Panax''로 구성된다.

3. '''''Polyscias''-''Pseudopanax''''' 그룹은 ''Cussonia''와 아시아 팜메이트 그룹의 자매 그룹이다.

4. '''아시아 팜메이트''' 그룹은 두릅나무과를 대표하는 가장 큰 그룹이다.

이 그룹들을 중심으로 여러 분류군이 존재하지만, 이들 그룹 내에 속하지는 않는다.

두릅나무과의 속 수준 분류는 불안정하여 연구가 진행 중이다. 예를 들어, 많은 속이 ''Schefflera'' 아래에 동의어로 병합되었으며, 두릅나무과 내 종의 약 절반이 여기에 속한다. 최근 분자 계통 발생 연구에 따르면 이 큰 범열대 속은 다계통군이며,[11] 일부에서는 이를 다시 여러 속으로 나누어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이는 이전에 인식된 속과 일치하지 않을 것이다.

최근 분자 계통 발생 기술은 두릅나무과 진화에 대한 이해를 크게 개선하여 현재의 지식을 얻는 데 기여했다.

3. 1. 계통 분류 논쟁

과거에는 두릅나무과가 미나리과(산형과)에 병합되기도 했으나, 이후 일부 분류 체계에서는 다시 분리되었다.[12][13] 두릅나무과는 미나리과 및 독다래과와 가까운 관계이지만, 두릅나무과와 산형화목의 다른 과들 사이의 정확한 경계는 아직 불확실하여 연구가 진행 중이다.

Hydrocotyloideae 아과는 두릅나무과 계통 분류에서 논쟁의 대상 중 하나이다. 분자 계통 발생 연구에 따르면, 전통적으로 두릅나무과와 미나리과 양쪽에 걸쳐 있던 속들 중 일부가 실제로는 Hydrocotyloideae[14][15]로서 두릅나무과와 더 가까운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Hydrocotyle'', ''Trachymene'', ''Harmsiopanax'' 속만을 포함하도록 Hydrocotyloideae 아과의 범위를 좁혀 두릅나무과 내에서 단일 계통군을 형성하는 방안이 제시되기도 했다.[16]

4. 하위 분류 및 속

두릅나무과는 크게 두릅나무아과, 개미탑아과, 그리고 위치가 불확실한 속으로 나뉜다.

; 두릅나무아과 (Aralioideae)


  • ''아나카시아속(Anakasia)''
  • ''두릅나무속''(Aralia)
  • ''아스트로파낙스속''(Astropanax)
  • ''아스트로트리차속''(Astrotricha)
  • ''브라사이옵시스속''(Brassaiopsis)
  • ''세팔라랄리아속''(Cephalaralia)
  • ''세팔로파낙스속''(Cephalopanax)
  • ''케이로덴드론속''(Cheirodendron)
  • ''쳉기오파낙스속''(Chengiopanax)
  • ''크레피넬라속''(Crepinella)
  • ''쿠소니아속''(Cussonia)
  • ''단풍두릅나무속''(Dendropanax)
  • ''디디모파낙스속''(Didymopanax)
  • ''오갈피나무속''(Eleutherococcus)
  • × ''파테헤데라'' (× ''Fatshedera'')
  • ''팔손이풀속''(Fatsia)
  • ''프로디니아속''(Frodinia)
  • ''감블레아속''(Gamblea)
  • ''하르미오파낙스속''(Harmsiopanax)
  • ''아이비속''(Hedera)
  • ''헤프타플레우룸속''(Heptapleurum)
  • ''헤테로파낙스속''(Heteropanax)
  • ''건칠속''(Kalopanax)
  • ''마크로파낙스속''(Macropanax)
  • ''메갈로파낙스속''(Megalopanax)
  • ''메릴리오파낙스속''(Merrilliopanax)
  • ''메리타속''(Meryta)
  • ''메타파낙스속''(Metapanax)
  • ''마더웰리아속''(Motherwellia)
  • ''네오쿠소니아속''(Neocussonia)
  • ''네오파낙스속''(Neopanax)
  • ''오플로파낙스속''(Oplopanax)
  • ''오레오파낙스속''(Oreopanax)
  • ''오스목실론속''(Osmoxylon)
  • ''인삼속''(Panax)
  • ''고두릅나무속''(Paleopanax)[17]
  • ''플레란드라속''(Plerandra)
  • ''거의살갈퀴속''(Polyscias)
  • ''거짓두릅나무속''(Pseudopanax)
  • ''라우카우아속''(Raukaua)
  • ''쉐플레라속''(Schefflera)
  • ''시아도덴드론속''(Sciadodendron)
  • ''시아도파이룸속''(Sciodaphyllum)
  • ''지리산두릅나무속''(Seemannaralia)
  • ''시노파낙스속''(Sinopanax)
  • ''두릅나무속(Tetrapanax)''
  • ''트레베시아속''(Trevesia)
  • ''우드번니아속''(Woodburnia)


; 개미탑아과 (Hydrocotyloideae)

  • ''애기앉은부채속''(Hydrocotyle)
  • ''트라키메네속''(Trachymene)


; 분류 불확실 (Incertae sedis)

  • †''Araliaceoipollenites'' (화석 꽃가루)[17]

4. 1. 두릅나무아과 (Aralioideae)


  • 두릅나무속(Aralia) : 두릅나무, 독활
  • 오갈피나무속(Eleutherococcus) : 가시오갈피, 오갈피나무, 엄나무
  • 인삼속(Panax) : 미국삼, 인삼, 삼칠인삼
  • 팔손이속(Fatsia) : 팔손이나무
  • 아이비속(Hedera) : 아이비, 서양아이비
  • 셰플레라속(Schefflera) : 셰플레라, 브라사이아
  • 단풍두릅나무속(Dendropanax) : 가래나무
  • 참두릅나무속(Kalopanax) : 참두릅나무
  • 기타 속 : 아나카시아속(Anakasia), 아스트로파낙스속(Astropanax), 아스트로트리차속(Astrotricha), 브라사이옵시스속(Brassaiopsis), 세팔라랄리아속(Cephalaralia), 세팔로파낙스속(Cephalopanax), 케이로덴드론속(Cheirodendron), 쳉기오파낙스속(Chengiopanax), 크레피넬라속(Crepinella), 쿠소니아속(Cussonia), 디디모파낙스속(Didymopanax), × ''파테헤데라'' (× ''Fatshedera''), 프로디니아속(Frodinia), 감블레아속(Gamblea), 하르미오파낙스속(Harmsiopanax), 헤프타플레우룸속(Heptapleurum), 헤테로파낙스속(Heteropanax), 마크로파낙스속(Macropanax), 메갈로파낙스속(Megalopanax), 메릴리오파낙스속(Merrilliopanax), 메리타속(Meryta), 메타파낙스속(Metapanax), 마더웰리아속(Motherwellia), 네오쿠소니아속(Neocussonia), 네오파낙스속(Neopanax), 오플로파낙스속(Oplopanax), 오레오파낙스속(Oreopanax), 오스목실론속(Osmoxylon), 플레란드라속(Plerandra), 거짓두릅나무속(Pseudopanax), 라우카우아속(Raukaua), 시아도덴드론속(Sciadodendron), 시아도파이룸속(Sciodaphyllum), 지리산두릅나무속(Seemannaralia), 시노파낙스속(Sinopanax), 두릅나무속(Tetrapanax), 트레베시아속(Trevesia), 우드번니아속(Woodburnia)


4. 2. 개미탑아과 (Hydrocotyloideae)


  • 애기앉은부채속(Hydrocotyle)
  • 트라키메네속(Trachymene)
  • 하르미오파낙스속(Harmsiopanax)

4. 3. 위치 불확실

Araliaceoipollenitesla (화석 꽃가루)[17]

참조

[1] 간행물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II
[2] 서적 Flora of China http://flora.huh.har[...] Missouri Botanical Garden Press 2023-12-25
[3] 학술논문 Evolution of the Araliaceae family inferred from complete chloroplast genomes and 45S nrDNAs of 10 Panax-related species 2017-12
[4] 웹사이트 Araliaceae http://succulent-pla[...] 2018-02-07
[5] 서적 Botany in a day : the patterns method of plant identification : an herbal field guide to plant families of North America HOPS Press
[6] 학술논문 Higher level relationships of Apiales (Apiaceae and Araliaceae) based on phylogenetic analysis of rbc L sequences 1996
[7] 서적 Plant systematics : a phylogenetic approach Sinauer Associates
[8] 학술논문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V 2016
[9] 학술논문 Evolution of the Araliaceae family inferred from complete chloroplast genomes and 45S nrDNAs of 10 Panax-related species 2017-12
[10] 학술논문 Phylogeny and diversification of Chinese Araliaceae based on nuclear and plastid DNA sequence data: Phylogeny and diversification of Chinese Araliaceae 2016
[11] 학술논문 The Evolution of Araliaceae: A Phylogenetic Analysis Based on ITS Sequences of Nuclear Ribosomal DNA
[12] 웹사이트 Araliaceae http://succulent-pla[...] 2018-02-07
[13] 서적 Angiosperm family pairs : preliminary phylogenetic analyses Harvard Papers in Botany 1994
[14] 학술논문 Cla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piaceae and Araliaceae based on MATK and RBCL sequence data http://www.amjbot.or[...]
[15] 학술논문 Evolution in Apiales: Nuclear and chloroplast markers together in (almost) perfect harmony
[16] 학술논문 The demise of subfamily Hydrocotyloideae (Apiaceae) and the re-alignment of its genera across the entire order Apiales 2009
[17] 학술논문 Fruits and Seeds of the Middle Eocene Nut Beds Flora, Clarno Formation, Oregon
[18] 웹사이트 Araliaceae Juss. http://www.tropicos.[...]
[19] 문서 Genera Plantarum 217. Antoine Laurent de Jussieu 178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