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셸 미콤베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셸 미콤베로는 1940년 부룬디에서 태어나 벨기에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부룬디 군대에 입대했다. 1965년 국방장관을 거쳐, 1966년 쿠데타로 국왕을 폐위시키고 초대 대통령이 되었다. 투치족 중심의 일당 독재 체제를 수립하고, 후투족을 탄압했다. 1972년 후투족 학살을 자행하며, 1976년 쿠데타로 실각하여 소말리아로 망명, 1983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룬디의 총리 - 실비 키니기
    제공된 텍스트는 실비 키니기라는 인물에 대한 정보를 직접적으로 제공하지 않아 해당 인물에 대한 소개 문구를 작성하는 것이 불가능합니다.
  • 부룬디의 총리 - 알랭기욤 부뇨니
    알랭기욤 부뇨니는 부룬디의 정치인으로 총리, 경찰청장, 내무부 장관 등 요직을 거쳤으나, 쿠데타 모의 혐의로 체포되어 종신형을 선고받고 수감 중이며, 그의 체포와 재판 과정은 인권 침해 논란과 국제 사회의 제재를 야기했다.
  • 부룬디의 군인 - 피에르 부요야
    피에르 부요야는 투치족 출신 부룬디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두 차례의 쿠데타와 대통령 재임을 통해 부룬디 정치를 이끌었으며, 민정 이양 시도, 내전 종식 기여, 그리고 암살 혐의와 종신형 선고 등 파란만장한 생애를 보냈다.
  • 부룬디의 군인 - 장바티스트 바가자
    장바티스트 바가자는 부룬디의 투치족 출신 정치인이자 군인으로, 쿠데타로 집권하여 대통령을 역임했지만 일당 독재를 강화하고 가톨릭 교회를 탄압했으며, 쿠데타로 실각 후 망명 생활을 거쳐 정당을 창당하여 정치 활동을 하다가 벨기에에서 사망했다.
  • 부룬디의 대통령 - 피에르 은쿠룬지자
    피에르 은쿠룬지자는 부룬디의 정치인으로, 2005년부터 2020년 사망 시까지 부룬디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2015년 3선 도전으로 헌법 위반 논란과 반정부 시위를 야기했고, 2018년 헌법 개정을 통해 장기 집권의 길을 열었으나 2020년 심근경색으로 사망했다.
  • 부룬디의 대통령 - 피에르 부요야
    피에르 부요야는 투치족 출신 부룬디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두 차례의 쿠데타와 대통령 재임을 통해 부룬디 정치를 이끌었으며, 민정 이양 시도, 내전 종식 기여, 그리고 암살 혐의와 종신형 선고 등 파란만장한 생애를 보냈다.
미셸 미콤베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66년 미콤베로 총리
1966년 총리 시절의 미콤베로, 은타레 5세의 대관식에서
직책
제1대 부룬디의 대통령재임 시작: 1966년 11월 28일
재임 종료: 1976년 11월 1일
총리알빈 은야모야 (1972–73) 이후 폐지
이전 대통령은타레 5세 (국왕 신분)
자신 (총리 신분)
다음 대통령장바티스트 바가자
제8대 부룬디의 총리재임 시작: 1966년 7월 11일
재임 종료: 1966년 11월 28일
이전 총리레오폴드 비하
다음 총리자신 (대통령 신분)
군주은타레 5세
개인 정보
출생일1940년 8월 26일
출생지루안다우룬디, 루토부 (현재의 부룬디)
사망일1983년 7월 16일
사망지소말리아, 모가디슈
정당민족진보연합(UPRONA)
학력왕립육군사관학교 (벨기에)
소말리 국립대학교
배우자아델 은제이마나 (1965년 결혼)
군사 경력
소속부룬디
복무 기간1962년–1976년
충성부룬디 왕국(1962–1966)
부룬디 공화국(1966–1976)

2. 전기

미셸 미콤베로는 1940년 8월 26일 벨기에령 루안다우룬디의 부루리 주 루토부에서 태어났다. 그의 부모는 투치족에 속하는 히마 부족 출신 농민이었다. 미콤베로는 부룬디의 가톨릭 선교 학교에서 수학했고, 1960년 부룬디가 1962년 독립을 앞두고 창설 중이던 군대에 입대했다. 1962년 3월 소위로 진급했으며, 같은 해 7월 부룬디 왕국 독립과 함께 대위가 되었다. 그해 11월에는 부룬디 국군(Armée Nationale Burundaise)의 부사령관이 되었다.

1963년, 미콤베로는 투치족이 주도했지만 후투족 당원도 유치하려 했던 집권 국민진보연합(UPRONA)에 가입했다.[2] 그해 6월, 23세의 나이로 국방장관에 임명되어 군 수뇌부를 이끌었다.[2] 1965년 10월, 후투족 집단이 군주제 전복을 시도했으나 실패했고, 미콤베로는 쿠데타 가담자들에 대한 진압을 이끌었다.[2] 1966년 7월, 두 번째 쿠데타로 미타레 5세가 권력을 잡았고,[2] 미콤베로는 총리 겸 국방장관이 되었다.

1966년 11월 28일, 대령 계급의 미콤베로는 군사 쿠데타를 일으켜 국왕을 폐위시켰다. 그는 군주제를 폐지하고 부룬디를 공화국으로 선포, 자신을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했다.[2]

미콤베로는 대통령이 된 후 투치족 정당인 국민진보연합 일당 독재 체제를 수립하고, 아프리카 사회주의자들과 중화인민공화국의 지원을 받았다. 그는 투치족 중심 정부를 구성하고 다수파인 후투족을 혹독하게 탄압했다.[3] 1972년, 해외 망명 후투족 난민들이 부룬디에서 반란을 시도했으나 실패했고, 투치족은 15만 명의 후투족을 학살했다. 미콤베로는 이 움직임을 배후에서 지원, 더욱 억압적인 체제를 구축했다.

1973년 동독에서 소련이 후원한 세계 청년 학생 축전에 참석한 부룬디 대표단. 미콤베로는 냉전 기간 동안 공산권과 자본주의권 세력 사이에서 외교적 수완을 발휘했다.


미콤베로는 1976년 11월 장바티스트 바가자 대령의 쿠데타로 실각했다.[4] 1977년 부룬디에서 추방되어[5] 소말리아로 망명했고, 1983년 모가디슈의 마디나 병원에서 심장마비로 사망했다.[1]

2. 1. 어린 시절과 군 경력

미셸 미콤베로는 1940년 8월 26일 벨기에령 루안다우룬디의 부루리 주 루토부에서 태어났다. 그의 부모는 투치족에 속하는 히마 부족 출신 농민이었다. 미콤베로는 부룬디의 가톨릭 선교 학교에서 수학했고, 1960년 부룬디의 1962년 독립을 앞두고 창설 중이던 군대에 입대했다. 훈련의 일환으로 그는 1960년 4월 장교 훈련을 받기 위해 벨기에 브뤼셀의 왕립군사학교에 파견되었다. 1962년 3월에는 소위로 진급했다. 1962년 7월 부룬디 왕국의 독립 당시 그의 계급은 대위였다. 11월에는 부룬디 국군(Armée Nationale Burundaise)의 부사령관이 되었다.

2. 2. 정치 경력

미셸 미콤베로는 부룬디의 대통령으로서 1당 국가인 국민진보연합(UPRONA)을 통해 통치했다. 그의 "민주적 중앙집권주의" 이데올로기는 국가의 모든 기관과 언론을 정권의 통제 하에 두었다. 그의 정권은 탄자니아사회주의 이념과 콩고 민주 공화국 조제프데지레 모부투 정권의 교리들을 결합시켰다.[2] 냉전 시대의 지도자로서, 그는 공산주의 세력과 서구 열강들을 서로 상대할 수 있었다. 1967년 교통사고로 부상을 당한 후, 미콤베로는 점점 더 편집증적이 되었다. 그는 알코올 중독자로 널리 믿어졌다.[2] 정권에 대한 다양한 음모들이 발견되었고 불안은 여전했으며, 그를 몰아내려는 주목할 만한 시도는 1969년과 1971년에 저지되었다.[2] 그의 지지기반은 부룬디의 북부 및 중부 지역에 있는 투치족으로 점점 제한되었다.[2]

1972년 4월, 탄자니아 정권의 격려로 남부의 루몽게에서 후투족 사이에 반란이 일어나 빠르게 확산되었다. 이어진 인종간 폭력으로 1,000명에 달하는 투치족이 목숨을 잃었다. 미콤베로 정권의 대응은 10만 명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는 지역에서 후투족에 대한 대량학살 폭력 캠페인을 시작하는 것이었다. 반란을 이끌었다고 전해지는 폐위된 왕 나레는 스스로 살해당했다. 1973년, 모부투는 탄자니아의 침략을 막기 위해 개입해야 했다. 위기가 끝난 후, 미콤베로는 7년 임기를 더 연장할 수 있는 새로운 헌법을 도입했다. 그는 또한 같은 해에 르완다, 자이르 정부와 함께 대호수 국가 경제 공동체를 위한 기초를 닦았다.[2]

1976년 11월 장바티스트 바가자 대령이 이끄는 반대파들은 미콤베로 정권에 대항하는 쿠데타를 성공적으로 이끌었다.[4] 미콤베로 자신은 체포되었고, 1987년까지 지속된 바가자의 독재 정권 하에서 제2공화국이 선포되었다.[2] 비록 투치족이자 1972년 살해에 가담했지만, 바가자는 후투족에게 양보를 했고, 1987년 퇴위할 때까지 부룬디 국가를 현대화하는 데 약간의 진전을 이루었다.

중앙아프리카에 위치한 부룬디의 위치. 1966년 당시 북쪽으로는 르완다, 동쪽과 서쪽으로는 각각 탄자니아(레오폴드빌) 콩고 민주 공화국과 국경을 접하고 있었다.


독립 직후 초기 부룬디에서는 투치족이 지배하는 므와무츠 4세의 군주제 하에서 투치족과 후투족 다수의 이익을 조정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1963년 미콤베로는 투치족이 주도했지만 후투족 당원도 유치하려 했던 집권당인 국민진보연합(Union pour le Progrès national|국민진보연합프랑스어)에 가입했다.[2] 6월, 미콤베로는 23세의 나이로 국방장관에 임명되어 군 수뇌부를 이끌게 되었다.[2] 9월, 그는 두 세력 간의 "대립적인" 경향을 막기 위해 민간 국민헌병대(''Gendarmerie nationale'')를 육군에 통합할 것을 국회에 촉구했지만, 이는 결코 실행되지 않았다.

1965년 10월, 주로 국민헌병대 출신의 후투족 집단이 부룬디 군주제를 전복하려 시도했다. 그들의 시도는 실패했지만 므와무츠 4세는 망명했다. 미콤베로는 쿠데타 가담자들에 대한 진압을 이끌었다.[2] 1965년 11월 9일 그는 소부족장의 딸인 아델레 엔제이마나와 결혼했다. 1966년 7월, 두 번째 쿠데타로 국왕의 아들인 미타레 5세가 권력을 장악했다.[2] 7월 8일 미타레는 레오폴드 비하 총리를 해임하고 헌법을 정지시켰다. 다음 날 그는 미콤베로에게 정부 구성을 요청했다. 7월 12일 미콤베로는 총리 겸 국방장관으로 자신을 포함한 내각을 미타레에게 제시했다. 8월 정부군과 군주제 사이의 긴장이 고조되면서 9월 내각 개편이 이루어졌다. 11월 7일 미타레는 미콤베로 정부를 해임하는 법령을 방송하려 했지만, 군인들에 의해 라디오 방송국에서 막혔다. 3주 후인 11월 28일, 미타레가 (레오폴드빌) 콩고 민주 공화국국빈 방문을 갔을 때, 대령이 된 미콤베로가 군사 쿠데타를 일으켜 국왕을 폐위시켰다. 그는 군주제를 폐지하고 부룬디를 공화국으로 선포하고 자신을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했다.[2]

대통령이 된 미콤베로는 투치족 정당인 국민진보연합의 일당 독재 체제를 수립하고, 아프리카 사회주의자들과 중화인민공화국의 지원을 받았다. 그는 투치족 중심의 정부를 구성하고 다수파인 후투족을 혹독하게 탄압했다.[3] 1972년, 해외로 망명했던 후투족 난민들이 부룬디에서 반란을 기도했다. 이는 실패로 돌아갔고, 투치족은 15만 명의 후투족을 학살했다. 미콤베로는 이러한 움직임을 배후에서 지원했고, 이후 더욱 억압적인 체제를 구축해 나갔다.

2. 3. 대통령 재임과 독재



부룬디의 대통령으로서, 미콤베로는 우프로나(UPRONA)를 유일한 합법 정당으로 하는 일당 독재 국가를 선포했다.[3] 그는 "민주적 중앙집권주의" 이데올로기를 통해 국가의 모든 기관과 언론을 정권의 통제 하에 두었다. 그의 정권은 탄자니아사회주의 이념과 콩고 민주 공화국(1971년 이후 자이르로 알려짐)의 모부투 세세 세코 정권의 교리들을 결합시켰다. 냉전 시대의 지도자로서, 그는 공산주의 세력과 서구 열강들을 서로 상대할 수 있었다.

1967년 교통사고로 부상을 당한 후, 미콤베로는 점점 더 편집증적이 되었다. 그는 알코올 중독자로 널리 믿어졌다. 정권에 대한 다양한 음모들이 발견되었고 불안은 여전했으며, 1969년과 1971년에 그를 몰아내려는 주목할 만한 시도가 저지되었다. 그의 지지기반은 부룬디의 북부 및 중부 지역에 있는 투치족으로 점점 제한되었다.

1972년 4월, 탄자니아 정권의 격려로 남부의 루몽게에서 후투족 사이에 반란이 일어나 빠르게 확산되었다. 이어진 인종간 폭력으로 1,000명에 달하는 투치족이 목숨을 잃었다. 미콤베로 정권의 대응은 지역에서 후투족에 대한 대량 학살 폭력 캠페인을 시작하는 것이었고, 10만 명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반란을 이끌었다고 전해지는 폐위된 왕 은타레 5세는 스스로 살해당했다. 1973년, 모부투는 탄자니아의 침략을 막기 위해 개입해야 했다. 위기가 끝난 후, 미콤베로는 7년 임기를 더 연장할 수 있는 새로운 헌법을 도입했다. 그는 또한 같은 해에 르완다, 자이르 정부와 함께 대호수 국가 경제 공동체를 위한 기초를 닦았다.

1976년 11월 장바티스트 바가자 대령이 이끄는 반대파들은 미콤베로 정권에 대항하는 쿠데타를 성공적으로 이끌었다. 미콤베로 자신은 체포되었고, 1987년까지 지속된 바가자의 독재 정권 하에서 제2공화국이 선포되었다.[4]

2. 4. 몰락과 망명

미콤베로는 1976년 11월 1일 그의 친척인 장바티스트 바가자 중령이 일으킨 무혈 쿠데타로 실각했다.[4] 1977년 부룬디에서 추방되어[5] 시아드 바레가 통치하던 소말리아로 망명했는데, 바레는 미콤베로의 측근이었다. 그는 1982년 소말리아 국립대학교에서 경제학 학위를 받았다.[1] 1983년 모가디슈의 마디나 병원에서 심장마비로 사망했다.[1]

3. 평가

(요약과 참조할 원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아 해당 섹션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참조

[1] 뉴스 Michel Micombero, ex presidente de Burundi https://elpais.com/d[...]
[2] 서적 現代アフリカ・クーデター全史 叢文社 2005
[3] 서적 現代アフリカ・クーデター全史 叢文社 2005
[4] 뉴스 新大統領にバガザ中佐 ブルンジ 朝日新聞 1976-11-12
[5] 뉴스 Michel Micombero, ex presidente de Burundi https://elpais.com/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