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크맥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크맥어는 캐나다 동부 지역의 미크맥족이 사용하는 알곤킨어족 언어이다. 음운 체계는 모음과 자음으로 구성되며, 폐색음의 유성음화, 장모음과 단모음의 구별 등의 특징을 보인다. 문법적으로는 어순이 비교적 자유로우며, 명사의 생명성에 따라 동사가 변화하는 특징이 있다. 로마자 기반의 다양한 정서법이 사용되며, 프랜시스-스미스 정서법이 가장 널리 쓰인다. 미크맥어는 동부 알곤킨어파 언어들과 관련이 깊으며, 아카디아 프랑스어와 영어 등 주변 언어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캐나다 동부 지명에도 미크맥어의 흔적이 남아있다. 현재 유네스코 위기 언어 목록에서 '취약' 등급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언어 부흥을 위한 다양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2. 음운

미크맥어는 독특한 음운 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장모음과 단모음, 장자음과 단자음을 구분한다.[10] 폐색음은 위치에 따라 다양한 발음을 갖는다. 단어의 처음이나 다른 폐색음 다음에 올 때는 무성음으로, 유성음 사이에서는 유성음으로 발음된다.[9] 파열음파찰음이 단어 끝에 올 때는 기음으로 발음될 수 있다.

리스투구주 방언에서는 자음을 이중으로 써서 단자음을 표시한다. 장자음은 길이가 길어질 뿐만 아니라 다른 자음 앞에 올 경우 슈와(schwa)가 추가된다. 예를 들어, 리스투구주 표기로 e'''n'''mitg|엔미트그mic('흘러가다')와 e'''nn'''mit|엔느미트mic('꽂다')를 비교해 볼 수 있다.[10]

리스투구주 표기에서 단어 시작에 나타나는 자음군은 별개의 음절로 발음되며, 자음군 앞에 슈와가 삽입된다. 예를 들어 '''gt'''aꞌn|그타안mic('바다')은 로,[13] '''mg'''umi|므구미mic('얼음')는 로 발음된다.[14] 반면, 단어 끝 자음군은 하나의 음절로 발음된다.

2. 1. 모음

rowspan=2 |전설 모음중설 모음후설 모음
단모음장모음단모음장모음단모음장모음
고모음icolspan=2 |u
중고모음eəo
저모음colspan=2 |acolspan=2 |


2. 2. 자음

미크맥어의 자음은 순음, 치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순화 연구개음으로 분류된다. 미크맥어의 음운은 폐색음과 유성음(모든 모음)의 두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폐색음은 다양한 발음을 가지고 있다. 단어의 처음이나 다른 폐색음 다음에 위치할 때는 무성음이다. 그러나 유성음 사이에 위치할 때는 유성음이 되어 로 발음된다.[9] 파열음과 파찰음이 단어 끝에 위치할 때는 기음이 되어 로 발음될 수 있다.

이형태표기음소음성의미
무성음tia'mmic무스
유성음Miꞌkmaqmic미크맥
기음sqoljmic개구리



미크맥어는 장모음과 단모음, 그리고 장자음과 단자음을 구분하는데, 리스투구주 방언에서는 자음을 이중으로 써서 단자음을 표시한다. 장자음은 길이가 길어질 뿐만 아니라 다른 자음 앞에 올 경우 슈와가 추가된다. 예를 들어, 리스투구주 표기로 e'''n'''mitgmic('흘러가다')로 쓰이는 와 리스투구주 표기로 e'''nn'''mitmic('꽂다')로 쓰이는 를 비교해 보라.[10]

2. 3. 음운 변화

미크맥어의 음운은 폐색음과 유성음(모든 모음 포함)의 두 그룹으로 나뉜다.

폐색음은 위치에 따라 다양한 발음을 갖는다. 단어의 처음이나 다른 폐색음 다음에 올 때는 무성음으로, 유성음 사이에서는 유성음으로 발음된다.[9] 파열음파찰음이 단어 끝에 올 때는 기음으로 발음될 수 있다.

이형태표기음소음성의미
무성음tia'm|티암mic무스
유성음Miꞌkmaq|미크맥mic미크맥
기음sqolj|스콜지mic개구리



미크맥어는 장모음과 단모음, 장자음과 단자음을 구분한다. 리스투구주 방언에서는 자음을 이중으로 써서 단자음을 표시한다. 장자음은 길이가 길어질 뿐만 아니라 다른 자음 앞에 올 경우 슈와(schwa)가 추가된다. 예를 들어, 리스투구주 표기로 e'''n'''mitg|엔미트그mic()와 e'''nn'''mit|엔느미트mic()를 비교해 볼 수 있다.[10]

리스투구주 표기에서 단어 시작에 나타나는 자음군은 별개의 음절로 발음되며, 자음군 앞에 슈와가 삽입된다. 예를 들어 '''gt'''aꞌn|그타안mic('바다')은 로,[13] '''mg'''umi|므구미mic('얼음')는 로 발음된다.[14] 반면, 단어 끝 자음군은 하나의 음절로 발음된다.

3. 문법

미크맥어는 자유 어순 언어이지만, 동사의 형태론에서는 비교적 고정적인 요소들이 나타난다.[1] 주어, 목적어, 서술어의 고정된 어순보다는 강조에 기반한 자유로운 어순을 사용하며, 합성어적인 언어 특성상 일반적으로 문장의 주어와 목적어를 포함하는 동사를 가지고 있다.

미크맥어를 전통적인 어순 범주인 SVO나 SOV로 분류하기는 어렵지만, 동사의 형태론에서는 더 고정적인 측면이 나타난다. 미크맥어 동사는 시제를 표시한다.[1] 동사 내부 형태론의 특정 영역은 규칙적인 배치를 가지는데, 예를 들어 동사의 상(aspect)은 첫 번째 접두사로 나타나고, 부정 표지어는 항상 동사 어근 바로 뒤에 나타난다.[1] 그러나 이러한 요소들은 강조에 따라 단어 전체에 나타날 수 있는 표지어와 짝을 이룬다.[1] 특히 생동성(animacy)은 동사 전체에 걸쳐 유동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1]

3. 1. 어순

미크맥어는 주어, 목적어, 서술어의 고정된 어순보다는 강조에 기반한 자유로운 어순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나는 언덕 바로 그곳에 서 있는 무스를 보았다"라는 문장은 "sapmiꞌk ala nemaqtꞌk na tett '''tia'm''' kaqamit|사프미크 알라 네마크트크 나 테트 티아음 카카미트mic" (나는 그/거기/언덕에/바로 거기/'''무스'''/서 있었다) 또는 "sapmiꞌk ala '''tia'm''' nemaqtꞌk na tett kaqamit|사프미크 알라 티아음 네마크트크 나 테트 카카미트mic" (나는 그/거기/'''무스'''/언덕에/바로 거기/서 있었다)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후자의 문장은 "tia'm|티아음mic"('무스')를 문장 앞에 배치함으로써 무스를 강조한다. 합성어적인 언어인 미크맥어는 일반적으로 문장의 주어와 목적어를 포함하는 동사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앞서 언급한 "sapmiꞌk|사프미크mic"는 '나는 그를 보았다'로 번역된다.

따라서 미크맥어를 전통적인 어순 범주인 SVO나 SOV로 분류하기는 어렵지만, 동사의 형태론에서는 더 고정적인 측면이 나타난다. 미크맥어 동사의 내부 형태론의 특정 영역은 규칙적인 배치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동사의 상(aspect)이 포함될 때는 첫 번째 접두사로 나타나고, 부정 표지어는 항상 동사 어근 바로 뒤에 나타난다. 이 두 가지 경우 모두의 예는 미크맥어 동사 "kisipawnatqaꞌtiꞌw|키시파우나트카티우mic" (kisi-paw-natq-aꞌti-w|키시-파우-나트크-아티-우mic)에서 볼 수 있는데, '그들은 나갈 수 없다'로 번역된다. 접두사 "kisi|키시mic"는 동사가 완료상에 있음을 나타내는 반면, 부정 표지어 'w'는 동사 어근 "aꞌti|아티mic"('두 개가 움직이다') 바로 뒤에 나타난다. 그러나 동사의 이러한 확실하게 배치된 요소들은 다시 강조에 따라 단어 전체에 나타날 수 있는 표지어와 짝을 이룬다. 특히 생동성(animacy)은 동사 전체에 걸쳐 유동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요약하자면, 미크맥어의 몇몇 특정 측면은 예측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그 구문론은 대부분 자유롭고 문맥에 의존한다.

미크맥어 동사는 시제 또한 표시한다.

3. 2. 동사

미크맥어 동사는 시제를 표시한다.[1] 미크맥어 동사의 내부 형태론의 특정 영역은 규칙적인 배치를 가진다.[1] 예를 들어, 동사의 상(aspect)이 포함될 때는 첫 번째 접두사로 나타나고, 부정 표지어는 항상 동사 어근 바로 뒤에 나타난다.[1] 이 두 가지 경우의 예는 미크맥어 동사 kisipawnatqaꞌtiꞌwmic (kisi-paw-natq-aꞌti-wmic)에서 볼 수 있는데, '그들은 나갈 수 없다'로 번역된다.[1] 접두사 kisimic는 동사가 완료상에 있음을 나타내는 반면, 부정 표지어 'w'는 동사 어근 aꞌtimic('두 개가 움직이다') 바로 뒤에 나타난다.[1] 그러나 동사의 이러한 요소들은 강조에 따라 단어 전체에 나타날 수 있는 표지어와 짝을 이룬다.[1] 특히 생동성(animacy)은 동사 전체에 걸쳐 유동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1]

3. 3. 명사

미크맥어의 명사는 생명체 또는 비생명체로 분류된다. 이것은 알곤킨어족 언어들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이다. 동사는 명사의 생명성에 따라 변화한다. 예를 들어:

  • Nemitu|네미투mic – '나는 (비생명체를) 본다'
  • Nemi'k|네미'ㅋmic – '나는 (생명체를) 본다'

4. 정서법

엘시포그토그 제1국(Elsipogtog First Nation)의 미크맥어로 쓰여진 정지 표지판


미크맥어는 19세기 선교사들이 개발한 라틴 문자를 기반으로 한 여러 표기법을 사용한다. 이전에는 이 언어가 미크맥 상형 문자라고 하는 부분적으로 독자적인 방법으로 쓰였다.

1974년에 개발되어 1980년에 미크맥 네이션의 공식 정서법으로 채택된 프랜시스-스미스 정서법(Francis-Smith orthography)은 가장 널리 사용되는 정서법이다. "렉시콘(Lexicon)" 정서법은 프랜시스-스미스 정서법과 매우 유사하며, 모음의 길이를 나타내는 데 아포스트로피‹'›나 양부호‹´› 대신 콜론‹:›을 사용하는 점만 다르다. 리스트구주(Listuguj) 정서법에서는 아포스트로피가 장모음과 슈와를 모두 표시하며, k 대신 g를 사용한다.

19세기 파시피크(Pacifique) 정서법은 w와 y를 생략하고, 이를 위해 o와 i를 사용하며, 모음 길이를 무시한다. 실라스 터티우스 랜드(Silas Tertius Rand)의 19세기 정서법은 아이작 피트먼(Isaac Pitman)의 음성 알파벳의 문자를 사용하며, 아래 표에 나와 있다.

미크맥어 정서법
IPA프랜시스-스미스리스트구주렉시콘파시피크랜드
/a/aaaaă
/aː/a'/áa'a:ă
/e/eeeeĕ
/eː/e'/ée'e:ĕ
/i/iiiiĭ
/iː/i'/íi'i:ĭ
/ə/ɨ'ɨalign="center"|ŭ
/tʃ/jjjtjch
/k/kgkgc k
/l/lllll
/m/mmmmm
/n/nnnnn
/o/oooôŏ
/oː/o'/óo'o:ŏ
/p/ppppb
/x/qqqalign="center"|h
/s/sssss
/t/ttttd t
/u/uuuoŏŏ
/uː/u'/úu'u:ŏŏ
/w/wwwalign="center"|w
/j/yyyalign="center"|y


4. 1. 프랜시스-스미스 정서법

프랜시스-스미스 정서법(Francis-Smith orthography)은 1974년에 개발되어 1980년에 미크맥 국(Míkmaq Nation)의 공식 정서법으로 채택되었다. 이 정서법은 가장 널리 사용되는 정서법으로, 노바스코샤주의 미크맥 족과 미크맥 대평의회(Míkmaq Grand Council)에서 사용된다. "렉시콘(Lexicon)" 정서법과 매우 유사하며, 모음의 길이를 나타낼 때 아포스트로피('''\'''')나 양부호('''´''') 대신 콜론(''' : ''')을 사용하는 점만 다르다.

프랜시스-스미스 정서법이 처음 개발되었을 때, 아포스트로피(흔히 "틱"이라고 불림)가 모음 길이 기호로 지정되었지만,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에서 틱을 컬리 아포스트로피로 잘못 자동 수정했기 때문에 양부호를 보조 수단으로 공식 인정하였다.

미크맥어 정서법
IPA/a//aː//e//eː//i//iː//ə//tʃ//k//l//m//n//o//oː//p//x//s//t//u//uː//w//j/
프랜시스-스미스aa'/áee'/éii'/íɨjklmnoo'/ópqstuu'/úwy
렉시콘aa:ee:ii:ɨjklmnoo:pqstuu:wy


4. 2. 기타 정서법



미크맥어는 19세기에 선교사들이 고안한 라틴 문자를 기반으로 한 여러 가지 표기법이 있다. 이전에는 미크맥어 상형 문자라는 부분적으로 독자적인 방법으로 쓰였다. 1974년에 개발되어 1980년에 미크맥 국(Míkmaq Nation)의 공식 표기법으로 채택된 프랜시스-스미스 표기법(Francis-Smith orthography)이 가장 널리 사용된다. 노바스코샤주의 미크맥족과 미크맥 대의회(Míkmaq Grand Council)에서 사용되는 표기법이다. 이와 매우 유사한 "렉시콘(Lexicon)" 표기법은 모음의 길이를 나타내는 데 아포스트로피(')나 양음 부호(´) 대신 콜론(:)을 사용하는 점만 다르다.

프랜시스-스미스 표기법이 처음 개발되었을 때, 아포스트로피(흔히 "틱(tick)"이라고 불림)가 모음의 길이 기호로 지정되었지만,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이 틱을 컬리 아포스트로피로 잘못 자동 수정했기 때문에, 양음 부호를 사용하는 보조 수단이 공식적으로 인정되었다. i 위의 점(ɨ)은 흔히 더 일반적인 곡선 악센트가 붙은 i로 쓰인다. 리스트구주 표기법(Listuguj orthography)에서는 아포스트로피가 장모음을 나타내고, 'g'가 'k' 대신 사용된다.

19세기의 파시피크 표기법(Pacifique orthography)에서는 'w'와 'y'를 사용하지 않고 'o'와 'i'를 대신 사용하며, 모음의 길이는 무시한다. 19세기 실라스 테르티우스 랜드(Silas Tertius Rand)의 표기법도 아래 표에 나와 있지만, 이것은 더 복잡하다(특히 모음에 대해).

미크맥어 표기법
IPA/a//aː//e//eː//i//iː//ə//tʃ//k//l//m//n//o//oː//p//x//s//t//u//uː//w//j/
프랜시스-스미스aa'/áee'/éii'/íɨjklmnoo'/ópqstuu'/úwy
리스트구주aa'ee'ii''jglmnoo'pqstuu'wy
렉시콘aa:ee:ii:ɨjklmnoo:pqstuu:wy
파시피크aeialign="center"|tjglmnôpalign="center"|stoalign="center"|align="center"|
랜드ăa âĕāĭeŭchc klmnŏo ōbhsd tŏŏoo uwy


5. 수 체계

미크맥어는 십진법을 사용하며, 10 이상의 수는 기본 숫자의 조합으로 표현된다. 10은 neꞌwtisgaꞌq|네웻스가윽mic인데, 이는 접두사 neꞌwt -|네웻-mic(newt|네웻mic에서 파생)와 10을 의미하는 어근 isgaꞌq|스가윽mic이 결합된 것이다. 20(tapuisgaꞌq|따뿌이스가윽mic), 30(nesisgaꞌq|네시스가윽mic) 등도 같은 패턴을 보인다. 10, 20, 30, 40, 50은 접두사를 포함하는 단일 어휘를 사용하지만, 60에서 90 사이는 10을 의미하는 별도의 단어 teꞌsisgaꞌq|떼시스가윽mic 앞에 숫자를 놓는다. (예: 60 = asꞌgom teꞌsisgaꞌq|아스곰 떼시스가윽mic)

십의 자리 사이의 숫자는 10을 기반으로 하는 어근 숫자(예: neꞌwtisgaq|네웻스가윽mic)로 시작하여, jel|옐mic('그리고' 또는 '또한'이라는 의미)이 이어지고, 마지막으로 1-9의 숫자 중 하나로 끝나는 여러 단어로 된 구절로 표현된다. (예: 28 = tapuisgaꞌq jel ugumuljin|따뿌이스가윽 옐 우구물진mic = '20과 8')

99를 넘는 숫자는 60~99와 유사한 패턴을 사용하는데, 숫자 단어가 더 높은 숫자를 나타내는 별도의 어근(예: '백' = gasgꞌptnnaqan|가슥븟나깐mic, '천' = pituimtlnaqn|삐뚜이믙나은mic) 앞에 온다. (예: 300 = siꞌst gasgꞌptnnaqan|시슷 가슥븟나깐mic, 2,000 = taꞌpu pituimtlnaqn|따뿌 삐뚜이믙나은mic) 예외는 100과 1,000으로, 각각 어근 gasgꞌptnnaqan|가슥븟나깐mic과 pituimtlnaqn|삐뚜이믙나은mic을 사용한다. 십의 자리 사이의 숫자와 마찬가지로, 백의 자리와 십의 자리, 또는 천의 자리와 백의 자리 사이에는 연결 단어 jel|옐mic을 사용한다. (예: 3,452 = siꞌst pituimtlnaqn jel neꞌw gasgꞌptnnaqan jel naꞌnisgaq jel taꞌpu|시슷 삐뚜이믙나은 옐 네우 가슥븟나깐 옐 나니스가윽 옐 따뿌mic)

미크맥어의 숫자는 세는 대상의 생물성과 일치해야 한다. (예: 두 사람 = taꞌpusijik|따뿌시직mic, 이틀 = taꞌpugnaꞌq|따뿍나윽mic) 생물을 셀 때는 접미사 -ijik|-이지ㅋmic을, 무생물을 셀 때는 접미사 -gnaꞌq|-그나윽mic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생물 표시 접미사는 다소 유동적이며 숫자와 방언에 따라 다르다.

5. 1. 1-10

1newt|네우트mic
2taꞌpu|타푸mic
3siꞌst|시스트mic
4neꞌw|네우mic
5naꞌn|난mic
6asꞌgom|아스곰mic
7lluigneg|을루이그네그mic
8ugumuljin|우구물진mic
9pesgunateg|페스구나테그mic
10neꞌwtisgaꞌq|네우티스가으크mic


5. 2. 10 이상

미크맥어는 십진법을 사용한다. 10 이상의 모든 수는 처음 아홉 개의 숫자 중 하나를 접두사 또는 앞에 오는 단어로 사용하여 형성된다. 10을 나타내는 neꞌwtisgaꞌq|네웻스가윽mic에서 볼 수 있듯이, 접두사 neꞌwt -|네웻-mic(newt|네웻mic에서 파생됨)와 10을 의미하는 어근 isgaꞌq|스가윽mic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20을 나타내는 tapuisgaꞌq|따뿌이스가윽mic, 30을 나타내는 nesisgaꞌq|네시스가윽mic 등에서도 이 패턴을 볼 수 있다). 10, 20, 30, 40, 50은 접두사를 포함하는 단일 어휘를 사용하지만, 60에서 90 사이의 십의 자리는 숫자를 10을 의미하는 별도의 단어 teꞌsisgaꞌq|떼시스가윽mic 앞에 놓는 형태를 취한다. 예를 들어, 60은 asꞌgom teꞌsisgaꞌq|아스곰 떼시스가윽mic로 표기된다.

십의 자리 사이의 숫자는 여러 단어로 된 구절로 표현되는데, 10을 기반으로 하는 어근 숫자(예: neꞌwtisgaq|네웻스가윽mic)로 시작하여, jel|옐mic('그리고' 또는 '또한'이라는 의미)이 이어지고, 마지막으로 아홉 개의 숫자 중 하나로 끝난다. 예를 들어, 28은 tapuisgaꞌq jel ugumuljin|따뿌이스가윽 옐 우구물진mic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문자 그대로 '20과 8'을 의미한다.

99를 넘는 숫자에 대해 미크맥어는 60~99와 유사한 패턴을 사용하는데, 숫자 단어가 더 높은 숫자를 나타내는 별도의 어근(예: '백'을 의미하는 gasgꞌptnnaqan|가슥븟나깐mic 또는 '천'을 의미하는 pituimtlnaqn|삐뚜이믙나은mic) 앞에 온다. 예를 들어, 300은 siꞌst gasgꞌptnnaqan|시슷 가슥븟나깐mic으로, 2,000은 taꞌpu pituimtlnaqn|따뿌 삐뚜이믙나은mic으로 표기된다. 이 패턴의 예외는 100과 1,000으로, 각각 어근 gasgꞌptnnaqan|가슥븟나깐mic과 pituimtlnaqn|삐뚜이믙나은mic을 사용한다. 십의 자리 사이의 숫자와 마찬가지로, 백의 자리와 십의 자리, 또는 천의 자리와 백의 자리 사이에는 연결 단어 jel|옐mic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3,452는 siꞌst pituimtlnaqn jel neꞌw gasgꞌptnnaqan jel naꞌnisgaq jel taꞌpu|시슷 삐뚜이믙나은 옐 네우 가슥븟나깐 옐 나니스가윽 옐 따뿌mic로 표기된다.

기본 구조 외에도, 미크맥어의 숫자는 세는 대상의 생물성과 일치해야 한다. 예를 들어, 두 명의 사람에 대해 말할 때는 taꞌpusijik|따뿌시직mic을 사용하지만, 이틀에 대해 말할 때는 taꞌpugnaꞌq|따뿍나윽mic을 사용한다. 생물을 세는 경우 접미사 -ijik|-이지ㅋmic을, 무생물을 세는 경우 접미사 -gnaꞌq|-그나윽mic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생물 표시 접미사는 다소 유동적이며 숫자와 방언에 따라 다르다.

6. 역사와 관련 언어

미크맥어로 번역된 성경


미크맥어는 알곤킨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캐나다 중부, 미국 중서부, 북아메리카 북동부 해안까지 넓게 사용되었다. 동부 알곤킨어파에 속하며, 말레시트-파사마쿼디어, 마사추세츠어, 문시어 등과 같은 현존 언어들과 아베나키어, 우나미어와 같은 멸종된 언어들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24] 미크맥족은 와바나키 연맹으로 알려진 동부 알곤킨어파에 속하는 다른 네 부족과 동맹을 맺었으며, 이들 언어 사이에는 오랜 기간의 언어 접촉 역사가 존재한다.

미크맥어는 다른 북미 원주민 언어들과 마찬가지로 생성 대 비생성 명사 분류 체계를 사용한다. 미크맥어의 생성 시스템은 일반적인 알곤킨어들과는 다른 구체적인 내용을 가진다. 예를 들어, 워팜노어그어에서 '태양'은 비생성 명사, '지구'는 생성 명사이지만, 미크맥어에서는 '태양'(naꞌguꞌset|나구셋mic)과 '지구'(ugsꞌtqamu|윽스뜨까무mic) 모두 생성 명사이다.

6. 1. 역사

미크맥어는 유럽과의 접촉 이전에 상형 문자 체계를 가진 몇 안 되는 북미 원주민 언어 중 하나였다.[30]

16세기 중반부터 바스크 포경선과 미크맥족 사이의 교류가 시작되었고, 이는 알곤킨어-바스크어 피진의 발달로 이어졌다. 이 피진어는 18세기 초까지 사용되었다.[30] 피터 바커는 미크맥어에서 두 개의 바스크어 차용를 발견했는데, 이는 16세기 바스크 선원과 북미 원주민 사이에 무역 접촉이 활발했음을 보여준다.[30]

아카디아 프랑스어와 샤크어의 많은 단어들은 미크맥어에서 유래되었는데, 이는 아카디아인과 미크맥족이 아카디아인 추방과 아카디아의 영국 식민지화 이전에 함께 살았기 때문이다. 퀘벡[26]과 노바스코샤 주의 앤티고니시 및 슈베나카디와 같은 여러 마을 이름에서 미크맥어의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또한, 영어 단어 ''캐리부''[27]와 ''토보건''[28]은 미크맥어에서 차용된 것이다. '캐리부'는 '발로 파는 자'를 의미하는 미크맥어 단어 xalibumic 또는 Qalipumic에서 유래했을 것으로 추정된다.[29]

6. 2. 관련 언어

미크맥어는 동부 알곤킨어파의 다른 언어들과 많은 어휘 공통어를 공유한다. 예를 들어, 미크맥어에서 '여성'을 의미하는 단어는 eꞌpitmic이며, 말리시트어에서는 ehpit|æpitpqm이다. '흰색'을 나타내는 단어를 비교해 보면, 미크맥어 wapeꞌtmic, 말리시트어 wapi|wapipqm, 문시어 waapii|wapiumu, 아베나키어 wôbi|wɔ̃bɪabe, 우나미어 wòpe|wɔpeunm와 같은 단어들이 있다. 더 큰 알곤킨어족 내에서는 크리어 wāpiskāw|wɔ:bɪska:wcr, 마이애미-일리노이어 waapi|wa:pimia와 같은 유사한 공통어가 존재한다.[24]

7. 지명

미크맥어는 캐나다 동부 지역의 여러 지명에 영향을 미쳤다. 다음은 미크맥어에서 유래한 지명들이다.

지명설명
암퀴(Amqui)미크맥어로 즐거움이나 기쁨의 장소를 의미하는 amqui에서 유래.[31]
아루스투크 군(Aroostook County)미크맥어로 "아름다운/맑은 물"을 의미하는 단어에서 유래.[32]
부크투슈(Bouctouche)미크맥어로 "훌륭한 작은 항구"를 의미하는 Tjipogtotjg(Chebooktoosk로 발음)에서 유래.
카스카페디아(Cascapédia)미크맥어로 kaska("넓은")와 pegiag("강")에서 유래.
코조스칼(Causapscal)미크맥어 Goesôpsiag(또는 Gesapsgel, Gesôpsgigel)에서 유래. "돌이 많은 바닥", "빠른 물", 또는 "바위투성이 지점"을 의미하며, 코조스칼 강(Causapscal River)의 바위투성이 강바닥을 가리키는 것으로 추정.[33]
가스페 반도(Gaspé Peninsula)미크맥어 Gespedeg("최근에 획득한 땅")에서 유래.
퀘벡주 가스페(Gaspé, Quebec)미크맥어 Gespeg("육지의 끝")에서 유래.
뉴브런즈윅주 쿠치부구악(Kouchibouguac, New Brunswick)미크맥어 Pijeboogwek("긴 조수의 강")에서 유래.[34]
마타페디아(Matapédia)미크맥어 matapegiag("강 합류점", mata("합류점")와 pegiag("강")에서 유래)에서 유래. 마을을 통과하여 레스티구슈 강(Restigouche River)과 합류하기 직전에 있는 마타페디아 강(Matapedia River)을 지칭.[35]
파스페비악(Paspébiac)미크맥어 papgeg ipsigiag에서 유래. "갈라진 갯벌" 또는 "석호"를 의미.[36]
퀘벡(Quebec)미크맥어 Gepèèg에서 유래.
레스티구슈(Restigouche)미크맥어 Listuguj에서 유래.
락움퀴(Lac-Humqui)미크맥어 amqui(즐거움이나 기쁨의 장소)에서 유래.
사야벡(Sayabec)미크맥어 Sakpediak에서 유래.
셰디악(Shediac)미크맥어 Es-ed-ei-ik에서 유래. "멀리 밀려들어온다"(얕고 모래 많은 해변 위로 넓게 밀려드는 조수를 언급)는 뜻.
타타마구슈(Tatamagouche)Takamegoochk에서 유래. "모래로 입구가 막혀 있다"는 뜻.



미크맥 언어학자인 버니 프랜시스(Bernie Francis)와 인류학자인 트루디 세이블(Trudy Sable)이 2012년에 출판한 책 "이 땅의 언어, 미크마키(The Language of this Land, Miꞌkmaꞌki)"는 "미크맥 언어와 풍경 사이의 관계를 조사한다".[37]

8. 언어 활성화 노력과 교육

인디언 브룩(Indian Brook)의 Lnu Siꞌpuk Kinaꞌmuokuommic 미크맥 학교의 미크맥어 강사는 "부모님들이 저에게 와서 자동차 뒷좌석에서 아이들이 미크맥어로 말하는 것을 들었다며 기뻐한다"고 말했다. 이 학교는 6년 전에 개교했으며, 초등학교부터 12학년까지 미크맥어 수업이 의무적으로 진행되며, 2013년 10월부터 저녁 수업도 시작되었다.

8. 1. 언어 활성화 노력

미크맥어는 유네스코 세계 언어 위기 아틀라스의 위기 언어 목록에서 취약(Vulnerable) 등급으로 분류되어 있다.[17] 취약 등급은 언어가 일관되게 사용되지 않고 영어와 같은 주요 언어가 대신 사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17] 하지만 여전히 미크맥족의 젊은 세대나 어린이들이 상당히 많이 사용한다.[17] 유창한 미크맥어 화자가 부족한 것은 캐나다 정부가 시행한 캐나다 원주민 기숙학교 시스템 도입을 통한 문화적 학살 때문이다.[18] 동화라는 명목 아래 이 학교들은 원주민 아동들에게 그들의 문화적 정체성과 언어를 버리도록 강요했다.[18] 이 학교들은 상당수의 아동들이 신체적, 정신적으로 학대를 당하고 모국어를 사용할 수 없는 상황에 처하게 되었다.

케이프브르턴의 와그맷쿡에서는 언어 부흥을 위한 상당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이 지역 사회는 미크맥어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연령대에 맞는 다양한 아동 도서를 제작했다.[19] 또한 이 지역의 미크맥어 몰입 학교의 사용은 어린이들의 언어 능력 향상과 원주민 정체성에 대한 애착을 강화시켰다. 몰입 학교는 아이들이 모국어를 배우도록 하여 유창한 화자의 수를 늘리는 동시에 주요 언어도 습득할 수 있도록 했다.[20] 지역 사회 교육자들은 원주민 문해 교육 증명서를 취득하는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언어 유창성을 높였다.[19]

케이프브르턴 대학교의 우나마키 칼리지는 "미크맥 역사, 문화 및 교육"을 전문으로 한다. 2013년 기준으로 "약 250명의 원주민 학생이 있다".[21]

2013년 기준으로 노바스코샤 주 루넨버그 카운티의 미크맥 매장지 연구 및 복원 협회는 약 40명의 학생이 미크맥어 부흥 수업을 듣고 있으며, 공공장소에서 미크맥어 인사말이 더욱 흔해지고 있다.[22]

2021년 에스카소니 제1국(Eskasoni First Nation)의 멤버인 에마 스티븐스는 미크맥어로 비틀즈의 "블랙버드(Blackbird)"를 커버하여 인지도를 높이고 부흥 노력에 도움을 주었다.[23]

8. 2. 교육 기관

케이프브르턴 대학교의 우나마키 칼리지는 미크맥 역사, 문화, 교육을 전문으로 한다.[21] 지역 사회 학교에서는 초등학교부터 12학년까지 미크맥어 수업을 의무적으로 제공한다.

8. 3. 대중의 인식 제고

미크맥어는 유네스코 세계 언어 위기 아틀라스의 위기 언어 목록에서 취약(Vulnerable) 등급으로 분류되어 있다.[17] 2013년을 기준으로 노바스코샤 주 루넨버그 카운티의 미크맥 매장지 연구 및 복원 협회는 약 40명의 학생이 미크맥어 부흥 수업을 듣고 있으며, 공공장소에서 미크맥어 인사말이 더욱 흔해지고 있다고 밝혔다.[22]

2021년 에스카소니 제1국(Eskasoni First Nation)의 멤버인 에마 스티븐스는 미크맥어로 비틀즈의 "블랙버드(Blackbird)"를 커버하여 인지도를 높이고 부흥 노력에 기여했다.[23]

참조

[1] 웹사이트 Language Highlight Tables, 2016 Census – Aboriginal mother tongue, Aboriginal language spoken most often at home and Other Aboriginal language(s) spoken regularly at home for the population excluding institutional residents of Canada, provinces and territories, 2016 Census – 100% Data http://www12.statcan[...] 2017-08-02
[2] 웹사이트 Detailed Languages Spoken at Home and Ability to Speak English https://www.census.g[...] 2017-11-17
[3] 웹사이트 Legislation Enshrines Mi'kmaw as Nova Scotia's First Language https://novascotia.c[...] 2018-05-11
[4] 웹사이트 Statistics Canada 2006 http://www12.statcan[...]
[5] 웹사이트 Indigenous Languages Spoken in the United States http://www.yourdicti[...]
[6] 웹사이트 Chris Harvey's page on Míkmawísimk http://www.languageg[...]
[7] 서적 Micmac Teaching Grammar 1976
[8] 웹사이트 Mi'kmaq Language and the Mi'kmaq Indian Tribe (Micmac Indians, Mikmaq, Míkmaq, Mikmak) http://www.native-la[...]
[9] MA Some Aspects of the Phonology of Newfoundland Micmac 1976
[10] 웹사이트 ennmit https://www.mikmaqon[...]
[11] 웹사이트 toqju'pilaweg https://www.mikmaqon[...]
[12] 웹사이트 gesigawweg https://www.mikmaqon[...]
[13] 웹사이트 gta'n https://www.mikmaqon[...]
[14] 웹사이트 mgumi https://www.mikmaqon[...]
[15] 웹사이트 asigetg https://www.mikmaqon[...]
[16] 웹사이트 mest'g https://www.mikmaqon[...]
[17] 웹사이트 UNESCO Atlas of the World's Languages in danger http://www.unesco.or[...]
[18] 논문 The Genocide Question and Indian Residential Schools in Canada https://www.jstor.or[...] 2012
[19] 논문 WKSITNUOW WEJKWAPNIAQEWA – MI'KMAQ: A VOICE FROM THE PEOPLE OF THE Dawn https://mje.mcgill.c[...] 2004-09-01
[20] 논문 Learning through an Aboriginal Language: The Impact on Students' English and Aboriginal Language Skills https://www.jstor.or[...] 2011
[21] 뉴스 Efforts gain strength across N.S. to ensure future for Miꞌkmaq language http://thechronicleh[...] 2013-10-16
[22] 뉴스 Miꞌkmaq is making a comeback in a Nova Scotia community – Politics – CBC News http://www.cbc.ca/ne[...] 2014-03-25
[23] Youtube youtube.com https://www.youtube.[...]
[24] 웹사이트 Algonkian/Algonquian Words (Algic) http://www.native-la[...]
[25] 웹사이트 Boston Review: Touching Their Ancestors' Hands, 'Animacy' http://www.bostonrev[...]
[26] 웹사이트 quebec | Origin and meaning of quebec by Online Etymology Dictionary https://www.etymonli[...]
[27] 웹사이트 caribou | Origin and meaning of caribou by Online Etymology Dictionary https://www.etymonli[...]
[28] 웹사이트 toboggan | Origin and meaning of toboggan by Online Etymology Dictionary https://www.etymonli[...]
[29] 웹사이트 Hinterland Who's Who http://www.hww.ca/en[...]
[30] 논문 Two Basque Loanwords in Micmac 1989
[31] 웹사이트 Amqui (ville) http://www.toponymie[...] Commission de toponymie du Québec
[32] 웹사이트 Aroostook | county, Maine, United State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33] 웹사이트 Causapscal (Ville) http://www.toponymie[...] Commission de toponymie du Québec
[34] 서적 Place Names of Atlantic Canad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35] 웹사이트 Matapédia (Municipalité) http://www.toponymie[...] Commission de toponymie du Québec
[36] 웹사이트 Paspébiac (Ville) http://www.toponymie[...] Commission de toponymie du Québec 2011-12-29
[37] 뉴스 Book launch today http://www.capebreto[...] 2012-10-21
[38] 웹사이트 Statistics Canada 2006 http://www12.statcan[...]
[39] 웹사이트 Indigenous Languages Spoken in the United States http://www.yourdicti[...]
[40] 서적 Micmac Teaching Grammar 1976
[41] 웹사이트 Native Languages of the Americas: Mi'kmaq (Mi'kmawi'simk, Mi'kmaw, Micmac, Míkmaq) http://www.native-la[...]
[42] 웹사이트 Chris Harvey's page on Míkmawísimk http://www.languageg[...]
[43] 웹인용 Statistics Canada 2006 https://web.archive.[...] 2012-12-31
[44] 웹인용 Indigenous Languages Spoken in the United States https://web.archive.[...] 2012-12-31
[45] 서적 Micmac Teaching Grammar 1976
[46] 웹사이트 Native Languages of the Americas: Mi'kmaq (Mi'kmawi'simk, Mi'kmaw, Micmac, Míkmaq) http://www.native-la[...]
[47] 웹사이트 Chris Harvey's page on Míkmawísimk http://www.languageg[...]
[48] 서적 Micmac Teaching Grammar 197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