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크리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리어는 캐나다에서 사용되는 알곤킨어족 언어로, 다양한 방언을 포함하며 자칭 명칭은 'nêhiyawêwin' 등이다. 2,500~3,000년 전 원시 알곤킨어에서 분화되었으며, 방언의 차이는 음운론적 특징, 특히 원시 알곤킨어의 *l 반영에서 두드러진다. 크리어는 캐나다 원주민 음절 문자를 사용하며, 라틴 문자로도 표기 가능하다. 크리어는 미시프어, 붕기어, 네힙왓어 등 혼합어의 구성 요소 언어이기도 하며, 캐나다의 법적 지위는 지역에 따라 다르다. 언어 보존 및 부흥을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이며, 학교 교육, 방송, 전자책 제작 등 다양한 방식으로 지원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곤킨어족 - 베오투크어
    베오투크어는 18세기와 19세기에 소멸한 뉴펀들랜드 원주민인 베오투크족의 언어로, 제한적인 어휘 목록이 남아있으며 알곤킨어족과의 연관성 주장이 있지만 확실한 결론을 내리기는 어렵고, 1910년 녹음된 노래를 통해 기록 및 정리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알곤킨어족 - 알곤킨어파
    알곤킨어파는 북아메리카에 분포하며 평원, 중앙, 동부 알곤킨어군으로 나뉘는 어파로, 블랙풋어, 크리어 등 약 30여 개의 언어가 속하며 복잡한 문법과 독특한 음운 체계를 지니고 소멸 위기에 있어 보존 노력이 필요합니다.
  • 캐나다의 언어 - 독일어
    독일어는 독일, 오스트리아, 리히텐슈타인 등의 공식 언어이자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는 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고지 독일어와 저지 독일어로 나뉘며 표준 독일어는 특정 방언에 기반하고, 로마자를 사용하며, 독특한 문법적 특징을 지니고, 전 세계적으로 2억 명 이상의 사용자가 있다.
  • 캐나다의 언어 - 스코틀랜드 게일어
    스코틀랜드 게일어는 켈트어의 일종으로 아일랜드 게일어, 맨섬 게일어와 관련이 깊으며, 스코틀랜드에 전파된 후 쇠퇴하여 현재는 소수만 사용하고 있고, 잉글랜드의 탄압과 영어 확산으로 사용 인구가 급감했으나 스코틀랜드 정부의 지원으로 소멸 위기를 극복하려 노력 중이지만 소멸 가능성 우려도 제기되는 언어이다.
  • 아메리카 원주민의 언어 - 아이마라어
    아이마라어는 볼리비아, 페루, 칠레 등 안데스 산맥 중부 지역의 아이마라족 약 250만 명이 사용하는 교착어이며, 독특한 인칭 체계와 시간 개념을 가진 언어로, 스페인어와 케추아어에 밀려 사용자가 감소하고 있지만 보존 및 활성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아메리카 원주민의 언어 - 과라니어
    과라니어는 남아메리카 원주민의 투피어족 언어로, 파라과이의 공용어이며 볼리비아와 아르헨티나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고, 예수회 선교 활동과 호파라 현상, 라틴 문자 기반 표기, 비음 조화, 교착어적 특징, 능-절격적인 특성을 지닌다.
크리어
지도 정보
크리족의 역사적 분포
크리족의 역사적 분포
유네스코 세계 위험 언어 지도
유네스코 세계 위험 언어 지도에서 6개 크리어 방언은 취약으로 분류됨
기본 정보
이름크리어
고유어ᓀᐦᐃᔭᐍᐏᐣ (평원 크리어)
nēhiyawēwin (평원 크리어 로마자 표기)
ᓃᐦᐃᖬᐑᐏᐣ (삼림 크리어)
nīhithawīwin (삼림 크리어 로마자 표기)
ᓀᐦᐃᓇᐌᐎᐣ (서부 습지 크리어)
nêhinawêwin (서부 습지 크리어 로마자 표기)
ᐃᓂᓃᒧᐎᓐ (동부 습지 크리어)
ininîmowin (동부 습지 크리어 로마자 표기)
ᐃᔨᓂᐤ ᐊᔭᒥᐎᓐ (북부 동부 크리어)
Iyiniu-Ayamiwin (북부 동부 크리어 로마자 표기)
ᐄᔨᔫ ᐊᔨᒨᓐ (남부 동부 크리어)
Iyiyiu-Ayamiwin (남부 동부 크리어 로마자 표기)
사용 국가캐나다
미국 (몬태나주)
민족크리족
모국어 화자 수약 96,360명
(민족 인구의 27%)
(몽타네-나스카피, 아티카메크 포함)
사용 시기2016년 인구 조사
언어 계통
어족알기크어족
어파알곤킨어족
하위 어파크리-몽타네-나스카피어파
문자 체계
문자라틴 문자
캐나다 원주민 음절 문자 (크리 문자)
공용어
공용 지역노스웨스트 준주
소수 언어 지역
소수 언어 지역앨버타주
매니토바주
온타리오주
퀘벡주
서스캐처원주
언어 부호
ISO 639-1cr
ISO 639-2cre
ISO 639-3cre
Glottologcree1271 (크리-몽타네-나스카피)
cree1272 (크리)
하위 방언
Plains Cree평원 크리어
Woods Cree삼림 크리어
Swampy Cree습지 크리어
Moose Cree무스 크리어
Northern East Cree북부 동부 크리어
Southern East Cree남부 동부 크리어
Naskapi나스카피어
Montagnais몽타네어
Atikamekw아티카메크어

2. 명칭

크리어의 자칭명(Endonym)은 다음과 같다:


  • 네히야웨윈/nêhiyawêwincrk ᓀᐦᐃᔭᐍᐏᐣcrk (평원 크리어)
  • 니히타위윈/nīhithawīwincwd ᓃᐦᐃᖬᐑᐏᐣcwd (숲 크리어)
  • 네히나웨윈/nêhinawêwincsw ᓀᐦᐃᓇᐌᐎᐣcsw (서부 습지 크리어)
  • 이니니모윈/ininîmowincsw ᐃᓂᓃᒧᐎᓐcsw (동부 습지 크리어)
  • 일리리모윈/ililîmowincrm ᐃᓕᓖᒧᐎᓐcrm (무스 크리어)
  • 이이뉴-아야미윈/iyiniu-Ayamiwincrj ᐄᓅ ᐊᔨᒨᓐcrj (남부 동부 크리어)
  • 이이유-아야미윈/iyiyiu-Ayamiwincrl ᐄᔨᔫ ᐊᔨᒨᓐcrl (북부 동부 크리어)
  • 네히라모윈/nehirâmowinatj (아티카멕 크리어)
  • 네흘루엔/nehlueunmoe (서부 몽타뉴, 피예크와카미 방언)
  • 일누-아이문/ilnu-Aimûnmoe (서부 몽타뉴, 베치아미트 방언)
  • 인누-아이문/innu-Aimûnmoe (동부 몽타뉴)

3. 기원 및 확산

크리어는 2,500년에서 3,000년 전에 원시알곤킨어가 사용되었던 알곤킨어 원산지(위치가 불확실하지만 북아메리카 대호수 근처로 추정됨)에서 갈라져 나온 방언으로 여겨진다.[8] 원시 크리어 화자들은 북쪽으로 이동하여 제임스만 양쪽에서 상당히 빠르게 두 개의 서로 다른 그룹으로 분화된 것으로 생각된다. 동부 그룹은 그 후 별개의 방언으로 분화하기 시작했지만, 서부 그룹은 훨씬 후에야 별개의 방언으로 분화되었을 가능성이 높다.[8] 이 시점 이후로는 서로 다른 그룹이 어떻게 등장하고 이동했는지에 대해 명확하게 언급하기가 매우 어려운데, 비교할 수 있는 언어로 된 기록물이 없고 유럽인들의 기록 또한 체계적이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알곤킨족은 이중언어 사용의 전통이 있으며, 심지어 이웃으로부터 새로운 언어를 아예 채택하는 경우도 있었다.[9]

20세기 인류학자들과 모피 무역 역사가들 사이에서 전통적인 견해는 서부 우드 크리어와 평원 크리어(그리고 그 방언들)가 유럽의 화기를 손에 넣은 1670년 이전까지는 제임스만 근처 고향에서 다른 크리어 사람들과 분화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즉, 크리어는 유럽의 화기를 이용하여 고향인 제임스만 부근에서 영역을 확장했다는 것이다. 반면, 미국 인디언 박물관의 제임스 스미스는 1987년에 고고학적 및 언어학적 증거를 종합해 볼 때 크리어는 유럽인과 접촉하기 전에 이미 앨버타주 피스 강 지역까지 서쪽으로 진출했다고 주장했다.[10]

4. 방언

← *를 뜻하는 단어
← *평원 크리어SK, AB, BC, NTy우즈 크리어MB, SKð/th습지 크리어ON, MB, SKn무스 크리어ONl아티카메크어QCr북동 크리어QCy남동 크리어QCy카와와치카마치 나스카피어QCy서부 이누QCl동부 이누QC, NLn



'''y''' 방언을 사용하는 평원 크리어 화자들은 자신의 언어를 ''''이라고 부르는 반면, 우즈 크리어 화자들은 ''''이라고 하고, 습지 크리어 화자들은 ''''이라고 한다.

크리어 방언들 간 또 다른 중요한 음운론적 변이에는 구개음화된 원시 알곤킨어 '''*k'''가 포함된다. 온타리오-퀘벡 주 경계 동쪽(아티카메크어 제외)에서는 원시 알곤킨어 *k가 전설 모음 앞에서 또는 로 변했다.

크리어 방언 연속체는 종종 크리어와 몽타뉴어라는 두 개의 언어로 나뉜다. 크리어는 *k > 음운 변화를 겪지 않은 모든 방언(BC-QC)을 포함하는 반면, 몽타뉴어는 이러한 음운 변화가 일어난 지역(QC-NL)을 포함한다. 이러한 명칭은 언어학적 관점에서는 매우 유용하지만, '동부 크리어'가 몽타뉴어로 분류되기 때문에 혼란스럽다. 실용적인 목적으로 크리어는 일반적으로 음절 문자를 정자로 사용하는 방언(아티카메크어 포함, 카와와치카마치 나스카피어 제외)을 포괄하고, 몽타뉴어는 라틴 문자를 사용하는 방언(아티카메크어 제외, 카와와치카마치 나스카피어 포함)에 적용된다. 나스카피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카와와치카마치(y 방언)와 나투아시시(n 방언)를 가리킨다.

4. 1. 방언 목록

크리어는 캐나다 전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다양한 방언이 존재한다. 주요 차이점은 무스 크리어는 'l', 북부 크리어는 'th', 평원과 동부 크리어는 'y', 습지 크리어는 'n'을 발음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바람"은 무스 크리어로 로틴(lôtin), 평원 크리어로 요틴(yôtin), 늪지 크리어로 노틴(nôtin), 북부 크리어로 도틴(thôtin)이라고 발음한다. 서쪽에서는 'sh'를 's'로, 동쪽이나 북쪽에서는 e를 î나 â로 발음하기도 하지만, 서로 의사소통은 가능하다.

크리어 방언은 크게 아홉 개의 그룹으로 나뉜다.

크리어 방언
방언지역조어의 *l에 기원을 가진 소리「원주민」을 의미하는 단어
(조어의 *elenyiwa
2인칭 대명사
(조어의 *kīlawa
평원 크리어AB, BC, NT, SKyiyiniw ᐃᔨᓂᐤkiya ᑭᔭ
숲 크리어MB, SKð/thiðiniw/ithiniw ᐃᖨᓂᐤkīða/kītha ᑫᖬ
습원 크리어ON, MB, SKnininiw ᐃᓂᓂᐤkīna ᑮᓇ
무스 크리어ONlililiw ᐃᓕᓕᐤkīla ᑮᓚ
동부 크리어QCyīnū ᐄᓅ; īyiyū ᐄᔨᔫčī ᒌ
카와치카마치 나스카피어QCyīyuw ᐃᔪᐤčīy ᒋᔾ
아티카멕어QCririniwkira
서부 이누어QClilnučil
동부 이누어NL, QCninnučīn



온타리오 주 북부에서 퀘벡 주 북서부 해안에 걸쳐, 와 사이에 명확한 구분이 있지만, 서부와 동부에서는 구분하지 않는다. 서부에서는 로만 발음하고, 동부에서는 또는 중 하나로 발음된다.

북부의 평원 크리어와 숲 크리어 등 몇몇 방언에서는 장모음 와 는 하나로 통합된다. 치사시비와 와프마구스투이에서는 장모음 는 장모음 로 통합된다.

크리어 방언 중 가장 변이가 풍부한 것은 알곤킨 조어의 '''*l'''에 기원을 둔 소리이다. y 방언의 평원 크리어 화자는 자신의 언어를 nēhi'''y'''awēwin이라고 부르고, 숲 크리어 화자는 nīhi'''th'''awīwin, 습원 크리어 화자는 nēhi'''n'''awēwin이라고 부른다. 이는 수어족의 '''D'''akota, '''N'''akota, '''L'''akota와 고대 교회 슬라브어의 모음 ѣ (yat)의 현대 슬라브어로의 변화에서 볼 수 있는 음의 교체와 유사하다. 온타리오-퀘벡 주 경계의 동쪽(아티카멕어 제외)에서는 알곤킨 조어의 '''*k'''가 전모음 앞 위치에서 로 변화한다.

크리어의 지역 방언 연속체는 종종 크리어와 몬타뉴어로 나뉜다. 크리어에는 *k에서 로의 변화를 거치지 않은 모든 방언이 포함된다(브리티시컬럼비아에서 퀘벡). 반면, 몬타뉴어가 사용되는 지역(퀘벡에서 뉴펀들랜드 래브라도)에서는 이 변화가 일어났다. 실용적으로는 크리어는 일반적으로 정서법에 음절 문자를 사용하는 방언들을 말하며(아티카멕어 포함, 카와치카마치 나스카피어 미포함), 몬타뉴어라는 명칭은 로마자를 사용하는 방언에 사용된다(아티카멕어 미포함, 카와치카마치 나스카피어 포함). 나스카피어라는 명칭은 일반적으로 카와치카마치어(y 방언)와 나투아시슈어(n 방언)를 가리킨다.

5. 음운론

크리어는 캐나다 원주민 음절문자를 사용해 표기한다. 이 문서에서는 음절문자로마자로 풀어서 쓴 것이다.

크리어 또는 그 방언들의 자음 음소는 아래 표와 같다.

자음 음소
양순치경치조치후치경경구개연구개성문
비음m/m영어n/ñ/ń/n영어
파열음p/p영어t/t영어t͡s/t͡s영어~t͡ʃ/t͡ʃ영어 c/c영어t͡ʃ/t͡ʃ영어 ch/tc/č/ch영어k/k영어
마찰음ð/ð영어 th/th영어s/s영어~ʃ/ʃ영어 s/s영어ʃ/ʃ영어 sh/c/š/sh영어h/h영어
유음ɹ/ɹ영어 r/r영어j/j영어 y/i/ý/y영어w/w영어
측음l/l영어 l/l영어



동부 습지 크리어(Eastern Swampy Cree)에 초점을 맞춘 사전에서는 서부 습지 크리어(Western Swampy Cree)에서 sh/sh영어를 s/s영어로 쉽게 대체할 수 있으며, 저지대 무스 크리어(Lowland Moose Cree)에서는 ñ/ñ영어를 l/l영어로 쉽게 대체할 수 있다. 남부 평원 크리어(Southern Plains Cree)에 초점을 맞춘 사전에서는 북부 평원 크리어(Northern Plains Cree)에서 ē/ē영어를 ī/ī영어로 쉽게 대체할 수 있으며, 로키 크리어(Rocky Cree)를 포함하는 자료에서는 평원 크리어의 j/j영어가 로키 크리어에서는 ð/ð영어이므로 ý/ý영어로 표기한다. 마찬가지로, 서부 습지 크리어에 초점을 맞춘 사전에서는 우즈 크리어(Woods Cree)에서 ē/ē영어를 ī/ī영어로 쉽게 대체할 수 있으며, 우즈 크리어를 포함하는 자료에서는 서부 습지 크리어의 n/n영어가 우즈 크리어에서는 ð/ð영어이므로 ń/ń영어로 표기한다. 아티카멕 크리어(Atikamekw)는 c/c영어 [ʃ/ʃ영어], tc/tc영어 [t͡ʃ/t͡ʃ영어], 그리고 i/i영어 [j/j영어](이는 또한 i/i영어 [i/i영어]로도 사용됨)을 사용한다. 동부 제임스 베이 크리어(Eastern James Bay Cree)는 eː/eː영어를 제외한 장모음을 모음을 반복하여 표기하는 것을 선호하는 반면, 서부 크리어는 장음 기호인 마크롱 또는 곡선 기호를 사용한다. eː/eː영어는 항상 장음이므로, 종종 반복이나 장음 기호 없이 e/e영어로만 적는다. 서부 크리어 방언에서는 o/o영어와 ō/ō영어 또는 ô/ô영어를 사용하는 반면, 동부 크리어 방언에서는 u/u영어와 uu/uu영어, ū/ū영어, 또는 û/û영어를 사용한다.

모음
전설중설후설
고모음 ~ ~
중모음
저모음 colspan="2" |


5. 1. 자음

크리어의 자음은 다음과 같이 발음한다.

크리어 또는 그 방언들의 자음 음소는 아래 표와 같다.

자음 음소
양순치경치조치후치경경구개연구개성문
비음m/m영어n/ñ/ń/n영어
파열음p/p영어t/t영어t͡s/t͡s영어~t͡ʃ/t͡ʃ영어 c/c영어t͡ʃ/t͡ʃ영어 ch/tc/č/ch영어k/k영어
마찰음ð/ð영어 th/th영어s/s영어~ʃ/ʃ영어 s/s영어ʃ/ʃ영어 sh/c/š/sh영어h/h영어
유음ɹ/ɹ영어 r/r영어j/j영어 y/i/ý/y영어w/w영어
측음l/l영어 l/l영어



동부 습지 크리어 사전에서는 서부 습지 크리어에서 sh/sh영어를 s/s영어로 대체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저지대 무스 크리어에서는 ñ/ñ영어를 l/l영어로 대체할 수 있다. 남부 평원 크리어 사전에서는 북부 평원 크리어에서 ē/ē영어를 ī/ī영어로 대체할 수 있으며, 로키 크리어를 포함하는 자료에서는 평원 크리어의 j/j영어가 로키 크리어에서는 ð/ð영어이므로 ý/ý영어로 표기한다. 서부 습지 크리어 사전에서는 우즈 크리어에서 ē/ē영어를 ī/ī영어로 대체할 수 있으며, 우즈 크리어를 포함하는 자료에서는 서부 습지 크리어의 n/n영어가 우즈 크리어에서는 ð/ð영어이므로 ń/ń영어로 표기한다. 아티카멕 크리어는 c/c영어 [ʃ/ʃ영어], tc/tc영어 [t͡ʃ/t͡ʃ영어], 그리고 i/i영어 [j/j영어](이는 또한 i/i영어 [i/i영어]로도 사용됨)을 사용한다. 동부 제임스 베이 크리어는 eː/eː영어를 제외한 장모음을 모음을 반복하여 표기하는 것을 선호하는 반면, 서부 크리어는 장음 기호인 마크롱 또는 곡선 기호를 사용한다. eː/eː영어는 항상 장음이므로, 종종 반복이나 장음 기호 없이 e/e영어로만 적는다. 서부 크리어 방언에서는 o/o영어와 ō/ō영어 또는 ô/ô영어를 사용하는 반면, 동부 크리어 방언에서는 u/u영어와 uu/uu영어, ū/ū영어, 또는 û/û영어를 사용한다.

5. 2. 모음

크리어의 모음은 다음과 같다.

모음
전설중설후설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colspan="2" |



동부 습지 크리어에서는 를 로, 저지대 무스 크리어에서는 를 로 대체할 수 있다. 남부 평원 크리어에서는 를 로 대체할 수 있으며, 로키 크리어에서는 평원 크리어의 가 이므로 로 표기한다. 서부 습지 크리어에서는 를 로 대체할 수 있으며, 우즈 크리어에서는 서부 습지 크리어의 가 이므로 로 표기한다. 아티카멕 크리어는 [], [], [] ( []로도 사용)를 사용한다. 동부 제임스 베이 크리어는 장모음을 모음을 반복하여 표기하는 것을 선호하는 반면, 서부 크리어는 마크롱 또는 곡선 기호를 사용한다. 는 항상 장음이므로, 종종 반복이나 장음 기호 없이 로만 적는다. 서부 크리어 방언에서는 와 또는 를 사용하는 반면, 동부 크리어 방언에서는 와 , , 또는 를 사용한다.

5. 3. 자음 유성화

크리어 표기에서 유성음과 무성음을 구분하지 않는 자음은 'k'와 'g', 'p'와 'b', 't'와 'd', 'c'와 'j'이다. 이 자음들은 두 모음 사이에 올 때는 ㄱ, ㅂ, ㄷ, ㅈ과 같이 항상 유성음으로, 그 밖의 경우에는 무성음으로 ㅋ, ㅍ, ㅌ, ㅊ과 같이 항상 유성음으로 발음된다. 예를 들어, 'pâkân'은 '파간'으로, 'sohkan'은 '수칸'으로, 'kaskatin'은 '카스카딘'으로 발음한다.

이러한 규칙에는 복잡한 예외가 존재하지만, 같은 자음이 같은 위치에 있을 때는 항상 같은 소리가 나기 때문에 크리어 자음의 유성음·무성음 차이로 의미가 혼동되는 경우는 없다.

5. 4. h의 강세

영어와 달리 크리어에서는 'h'자를 모음 사이뿐만 아니라 자음 앞에서도 발음한다. 어떤 사람들은 자음 앞의 h를 일반적인 h처럼 입김을 부는 소리로 발음하고, 어떤 사람들은 자음 앞의 'h'를 더 세게 발음한다.

모든 크리어 사용자가 이런 방법으로 발음하지도 않고, 반드시 이렇게 발음해야 하는 것도 아니다.

6. 문법

크리어는 복잡한 합성어적 형태론적 구문론을 가지고 있다. 크리어 방언에서 문장 구조의 공통적인 특징은 어순이 규칙에 얽매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어순은 특정 규칙이나 구조에 의해 지배되지 않고, "주어와 목적어는 동사의 어미를 통해 표현된다".[14] 문장에서 주어, 동사, 목적어(SVO)는 SVO, VOS, OVS, SOV 등 다양한 순서로 배열될 수 있다.[1][15]

배제(Obviation)는 크리어 언어의 핵심적인 측면이다. 배제는 담화의 중요성 측면에서 다른 (근접한) 담화 참여자보다 순위가 낮은 세 번째 인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원 크리어 방언에서 배제되는 생명 없는 명사는 –acr-Latn로 끝나는 [접미사]로 표시되며, 담화에서 근접한 세 번째 인칭보다 더 주변적인 세 번째 인칭을 가리키는 데 사용된다".[16] 예를 들어 "Sam wâpam-''ew'' Susan-''a''" (Sam은 Susan을 본다)에서 접미사 -acr-Latn는 Susan을 배제되는 인칭, 즉 담화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네 번째' 인칭으로 표시한다.[1]

크리어는 명사를 생명체와 비생명체로 분류하는 문법적 성을 가지고 있다. 생명체와 비생명체 사이의 명사 분포는 음운론적으로 투명하지 않으므로, 성은 명사와 함께 학습해야 한다.[1]

합성어에서 일반적인 것처럼, 크리어 단어는 매우 길 수 있으며, 영어에서는 일련의 단어로 표현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학교'는 크리어로 ''kiskinohamātowikamikw''인데, 이는 '함께-예시로-아는-곳'이라는 뜻이다.[17] 이는 크리어에서 어순을 바꾸면 문장의 다른 부분에 강조를 둘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17] 예를 들어 ''kakwēcimēw kisēýiniwa''는 '그는 노인에게 물었다'는 뜻이고, ''kisēýiniwa kakwēcimēw''는 '그가 물은 것은 노인이었다'는 뜻이다.

많은 미국 원주민 언어와 마찬가지로, 크리어는 굴절어적인 형태론과 통사론을 특징으로 한다. 크리어에서는 영어로는 여러 단어가 필요한 것을 매우 긴 한 단어로 표현하는 경우가 있다.

7. 문자

퀘벡주와 래브라도주 동부를 제외한 크리어 방언은 전통적으로 캐나다 원주민 음절문자의 변형인 크리어 음절 문자를 사용하여 표기되었지만, 라틴 문자로도 표기할 수 있다. 두 가지 표기 체계 모두 언어를 음성적으로 표현한다.[18] 가장 동쪽에 있는 방언들은 라틴 문자로만 표기한다. 평원 크리어, 숲 크리어, 서부 습지 크리어 방언은 서부 크리어 음절 문자를 사용하고, 동부 습지 크리어, 동부 크리어, 무스 크리어, 나스카피어 방언은 동부 크리어 음절 문자를 사용한다.

영어, 프랑스어, 크리어로 된 삼개국어 표지판

7. 1. 음절 문자

크리 문자(Cree syllabics)에서 각 기호는 자음을 나타내며, 각 방향은 해당 모음을 나타내는 네 가지 방식으로 쓸 수 있다.[18] 크리어의 일부 방언에는 최대 일곱 개의 모음이 있으므로, 해당 모음을 나타내기 위해 추가적인 구별 부호가 음절 뒤에 붙는다.[18] 크리어에는 두 개의 반모음도 있는데, 반모음은 다른 자음 뒤에 올 수도 있고, 단어에서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19]

동부 크리어와 서부 크리어 방언의 음절 문자는 아래 표와 같다.

동부 크리어 음절 문자
초성모음종성
êioaîôâ
p
t
k
c
m
n
s
sh
yᔾ ()
l
r*
v*, f*
th*
w
hᐦᐁᐦᐃᐦᐅᐦᐊᐦᐄᐦᐆᐦᐋ
* 외래어에서만 사용됨



서부 크리어 음절 문자
초성모음종성
êioaîôâ
p
t
k
c
m
n
s
yᐩ (ᐝ)
th
w
hᐦᐁᐦᐃᐦᐅᐦᐊᐦᐄᐦᐆᐦᐋ
hk
l
r



다양한 크리어 방언 사용자들은 지역 사회에 도움이 되는 사전을 만들기 시작했으며, 크리어 언어 자원 프로젝트와 같은 일부 프로젝트에서는 크리어를 위한 온라인 이중 언어 사전을 개발하고 있다. 크리 문자는 단어 사이에 마침표 기호(᙮) 또는 두 배 너비의 공백을 사용하여 문장 사이의 전환을 나타낸다.

7. 2. 로마자 표기법

크리어는 캐나다 원주민 음절문자를 사용해 표기하며, 이 문서는 음절문자로마자로 풀어서 쓴 것이다.

평원 크리어와 습지 크리어의 경우, 표준 로마자 표기법(SRO)은 방언의 10개 자음(p, t, c, k, s, m, n, w, y, h)과 7개 모음(a, i, o, ā, ī, ō, ē)을 나타내는 데 ISO 기본 라틴 알파벳의 14개 문자를 사용하며, 대문자는 사용하지 않는다.[20] 음성적 가치 또는 변형된 표기법은 § 음운론 섹션을 참조한다.

숲 크리어의 /ð/und 음은 th 또는 ð로 표기된다. 다양한 방언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작성된 평원 크리어와 습지 크리어 자료는 y가 /ð/und로 발음될 때 ý로, n이 /ð/und로 발음될 때 ñ로 수정하는 경우가 많다.[20] š는 's'와 'š'가 별개의 음소인 동부 방언에서 사용되지만, 다른 방언에서는 [ʃ]und처럼 발음되더라도 's'를 사용한다.[20] l과 r은 무스 크리어와 아티카메크 크리어에서 원래 사용되지만, 다른 방언에서는 외래어에만 사용된다.[20]

파열음인 'p', 't', 'k'와 파찰음인 'c'는 유성 또는 무성으로 발음될 수 있지만, 이러한 소리를 쓰는 데 사용되는 기호는 모두 무성 발음에 해당한다. 음소 /t͡s/und는 c로 표현된다.

장모음은 ā와 같이 맥크론 또는 â와 같이 역사각형으로 표시된다.[21][20] 맥크론과 역사각형을 모두 사용할 수 있지만, 한 작품 내에서는 사용법을 일관되게 유지해야 한다. 남부 평원 크리어에서 사용되는 모음 'ē' /eː/und는 항상 장모음이며, e는 절대 사용되지 않는다. 북부 평원 크리어에서는 이 소리가 'ī'와 합쳐졌으므로 ē가 전혀 사용되지 않는다.[20]

음소 /u/und와 /oː/und에 대해 o와 ō를 사용하는 것은 이 두 모음 사이에 존재할 수 있는 관계를 강조한다. 'o'가 'ō'로 길어지는 경우가 있는데, 예를 들어 니카모!cr 지금 노래하다!/nikamo!한국어와 니카ᒨᐦ카ᐣ!cr 나중에 노래하다!/nikamōhkan!한국어가 있다.

알파벳 표기에서 구두점의 사용은 일관되지 않았다. 평원 크리어 방언에서는 의문사 첨가어인 'cî'를 문장에 포함하여 예/아니오 질문을 표시할 수 있다.[14] 현대 간행물과 텍스트 모음에서는 완전한 구두점을 사용한다.[22][23]

다른 언어에서처럼 다른 의문사('어디, 언제, 무엇, 왜, 누가')를 사용할 수 있으며, 크리어에서도 이러한 의문문에 물음표를 사용할 수 있다.

동사 앞에 오는 붙임 낱말("전치 동사" 또는 "불변 전치 동사")이나 명사 앞에 오는 붙임 낱말("전치 명사" 또는 "불변 전치 명사")과 같은 낱말을 어근에서 분리하기 위해 하이픈을 사용할 수 있다. 말하다/pīkiskwēcr에서 파생된 말하기 시작하다/māci-pīkiskwēcr가 한 예시이다. 는 단독으로 단어로 사용될 수도 없고, 어근의 필수적인 부분도 아니다. 자주 사용되는 복합어는 하이픈 없이 쓸 수 있다.[20] 어떤 경우에는 하이픈을 기반으로 강세를 예측할 수 있다.

무성 단모음 'i' [ɪ]und와 같이 무강세 단모음의 축약 또는 모음 생략은 다양한 방언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표기하지 않는다. 즉, 아포스트로피를 사용하는 대신 축약되지 않은 완전한 모음을 쓴다.[20]

oski-ayacr → osk-āyacr와 같은 사이음의 표현은 표기하거나 표기하지 않을 수 있다. 사이음 표현은 더 큰 복잡성을 도입하기 때문이다.[20] 표준화된 전사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특정 화자의 발화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는 'h'와 'iy'에 대한 추가 규칙이 있다.

8. 크리올

크리어는 적어도 다섯 가지 혼합어(접촉어)의 구성 요소 언어이기도 하다: 미시프어, 북부 미시프어, 붕기어, 오지크리어, 그리고 네힙왓어. 미시프어와 붕기어는 메티스족이 사용하고, 역사적으로 서부 캐나다와 북부 미국 일부 지역의 보야주르와 유럽 정착민들도 사용했다. 네힙왓어와 오지크리어는 크리어와 아시니보인어(네힙왓어), 오지브웨어(오지크리어)가 혼합된 언어이다.

미시프어는 크리어와 프랑스어를 결합한 혼합어이다. 대부분 미시프어는 크리어의 동사, 의문사, 지시어를 사용하고 프랑스어의 명사를 사용한다. 미시프어는 캐나다 프레리 주와 미국의 노스다코타주, 몬태나주에서만 사용되는 독특한 언어이다.[24] 미시프어는 현재 캐나다 중부와 노스다코타주에서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붕기어는 스코틀랜드 영어, 스코틀랜드어, 스코틀랜드 게일어, 크리어, 오지브웨어를 기반으로 한 크리올어이다.[25] 몇몇 프랑스어 단어들도 어휘에 통합되었다. 이 언어는 1800년대 중후반에 레드리버 식민지(현재 위니페그, 매니토바주 위치)와 그 주변에서 번성했다.[26] 붕기어는 현재 표준 영어를 선호하는 경향으로 인해 사실상 사멸 위기에 놓여 있다.[25][27]

크리어는 캐나다 내 또 다른 혼합어인 네힙왓어에도 통합되었는데, 이는 크리어와 아시니보인어가 혼합된 언어이다. 네힙왓어는 서스캐처원주 남부의 몇몇 보호구역에서만 발견되며, 현재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그 구조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28]

크리어는 캐나다 서부에서만 볼 수 있는 두 가지 크리올어의 기반이 된 언어이기도 했다. 미치프어는 크리어와 프랑스어에서 유래한 언어이며, 번지어는 크리어와 캐나다 스코틀랜드 게일어에서 유래한 언어이다. 이들은 캐나다 서부에서 메티스 이주민과 정착민에 의해 사용되었다. 유럽인과의 접촉 후 일정 기간 동안 크리어의 많은 어휘는 치누크 jargon을 기반으로 한 교역어의 기초를 이루기도 했다.

9. 법적 지위

크리어어의 사회적 및 법적 지위는 캐나다 전역에서 다양하다. 크리어어는 노스웨스트 준주의 11개 공용어 중 하나이지만, 포트 스미스 주변 지역의 소수 인구만이 사용한다.[30] 또한 퀘벡 북부의 이유 이스치 제임스 베이 지역 정부의 두 가지 주요 언어 중 하나이며, 다른 하나는 프랑스어이다.[31]

크리어어, 영어, 프랑스어로 표기된 퀘벡주의 정지 표지판


크리어어 출신 국회의원인 로버트 팔콘 우엘레트는 캐나다 의회와 캐나다 하원 내에서 크리어어를 포함한 원주민 언어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는 모든 정당의 만장일치 동의를 얻어 하원에서 원주민 언어 사용을 허용하고 완벽한 통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의 규칙을 변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 역사적인 변화를 통해 우엘레트는 의 지원을 받아 크리어어로 연설을 할 수 있었고, 2019년 1월 28일 하원에서 원주민 언어가 처음으로 사용되는 사례를 만들었다.[32][33][34]

2019년에 통과된 C-91법, 즉 원주민 언어법은 캐나다 전역의 원주민 언어를 지원하고 되살리기 위해 제정되었다. 이 법안은 지속 가능한 자금 조달 및 원주민 언어 위원회 사무소 설립을 통해 원주민 언어의 회복, 활성화 및 유지를 목표로 한다. 우엘레트는 하원 원주민 의원 모임 의장을 역임했으며 2019년 선거 전에 법안 통과를 위해 노력했다.[35][36][37][38]

10. 언어 보존 및 부흥 노력

2017년 기준으로 크리어 사용자는 약 11만 7천 명으로 기록되어 있다.[6] 그러나 캐나다에서 영어프랑스어가 주요 언어이기 때문에 여전히 소수 언어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크리어를 유지하고 부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들이 시행되고 있다. 퀘벡 제임스 베이 크리어 지역 사회에서는 1988년에 초등학교, 나아가서는 초등 교육에서 크리어를 교육 언어로 사용하는 결의안이 실행되었다.[39]

미스티시니 의회는 1991년에 직원들이 크리어 음절 문자를 배우도록 의무화하기로 결정했다.[39] 크리어 교육위원회는 현재 연례 보고서를 영어와 크리어로 모두 제공하고 있다.[39] 크리어 방송국을 확대하기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이다.[39] 2013년에는 앨버타주 언어 교사들을 위해 크리어 초급 전자책이 무료로 제공되기 시작했다.[40]

노스웨스트 준주 정부[7]는 제1국가 언어에 대한 연례 보고서를 발표한다. 2016-2017년 보고서에는 언어 부흥 및 지원에서 거둔 성공 사례와 진행 중인 프로젝트들이 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영어와 크리어로 정보를 제공하는 약용 식물 안내서를 발간하였다. 이 안내서 제작에 있어서는 원로들의 의견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다. 또 다른 성과로는 영화를 크리어로 더빙한 것이다. 현재는 "청취자들에게 음악과 우리 언어를 위한 목소리를 제공할" 라디오 방송국 방송을 준비하고 있다.[7]

조슈아 화이트헤드(Joshua Whitehead)는 크리어 언어를 자신의 시에 사용한 작가 중 한 명이다.[41] 크리어의 사회적·법적 지위는 캐나다 전역에서 다양하다. 노스웨스트 준주에서는 크리어가 7개의 공식 언어 중 하나이지만, 동 준주 포트스미스 주변에서 소수의 화자만 존재한다. 많은 지역에서 크리어는 많은 주민들이 사용하고 학교에서 가르치는 활발한 지역 언어이지만, 다른 지역에서는 화자 수가 급감하고 있다. 크리어는 북미에서 멸종 위기에 처한 원주민 언어로는 분류되지 않지만, 많은 지역에서 공적인 지원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멸종될 가능성이 여전히 존재한다.

참조

[1] 웹사이트 Language Highlight Tables, 2016 Census – Aboriginal mother tongue, Aboriginal language spoken most often at home and Other Aboriginal language(s) spoken regularly at home for the population excluding institutional residents of Canada, provinces and territories, 2016 Census – 100% Data http://www12.statcan[...] Canada Statistics 2017-11-22
[2] 웹사이트 Cree-Montagnais-Naskapi https://glottolog.or[...] Max Planck Institute for Evolutionary Anthropology 2022-10-29
[3] 웹사이트 Official Languages of the Northwest Territories http://www.nwtlangua[...] Northwest Territories Language Commissioner
[4] 서적 The Linguistics Student's Handbook Edinburgh 2007
[5] 웹사이트 Indigenous languages in Canada, 2021 https://www150.statc[...] 2024-02-02
[6] 웹사이트 Education, Culture, and Employment https://www.ece.gov.[...] 2017-10-04
[7] 웹사이트 2016–2017 annual report on official languages https://www.ece.gov.[...] Government of the Northwest Territories
[8] 서적 Handbook of North American Indians: Subarctic
[9] 서적
[10] 학술지 the Western Woods Cree: anthropological myth and historical reality 1987-08
[11] 문서 Linguasphere code 62-ADA is called "Cree+Ojibwa net", listing four divisions of which three are shown here—the fourth division 62-ADA-d representing the Ojibwe dialects, listed as "Ojibwa+Anissinapek".
[12] 서적 Encyclopedia of World's Endangered Languages 2007
[13] 웹사이트 Cree–Montagnais–Naskapi http://glottolog.org[...] Max Planck Institute for the Science of Human History 2016
[14] 웹사이트 Thunder, Dorothy http://www.ctl.ualbe[...] 2017-08
[15] 문서 Dahlstrom, introduction
[16] 문서 Dahlstrom pp. 11
[17] 서적 Meet Cree: A guide to the Cree language University of Alberta Press 1981
[18] 웹사이트 Ager, Simon: Omniglot, Cree Syllabary http://www.omniglot.[...] 2011-12-05
[19] 서적 Meet Cree : a guide to the Cree language University of Alberta Press 1981
[20] 서적 How to Spell it in Cree (The Standard Roman Orthography) Houghton Boston
[21] 웹사이트 Language Geek: Cree http://www.languageg[...] 2006-01-08
[22] 서적 ana kâ-pimwêwêhahk okakêskihkêmowina / The Counselling Speeches of Jim Kâ-Nîpitêhtêw https://uofmpress.ca[...] University of Manitoba Press 1998
[23] 서적 How to Spell it in Cree http://creeliteracy.[...] miywâsin ink. 2008
[24] 문서
[25] 문서
[26] 문서
[27] 문서
[28] 문서
[29] 서적 Askiwina: A Cree world Coteau Books 2007
[30] 웹사이트 Northwest Territories Official Languages Act, 1988 http://www.justice.g[...]
[31] 웹사이트 Agreement on Governance in the Eeyou Istchee James Bay Territory Between the Crees of Eeyou Istchee and the Gouvernement du Québec, 2012 http://www.gcc.ca/pd[...] 2012-09-07
[32] 웹사이트 Honouring Indigenous Languages within Parliament – Canadian Parliamentary Review – la Revue parlementaire canadienne https://www.revparlc[...] 2019-08-08
[33] 웹사이트 Indigenous Winnipeg MP delivers speech in Cree in House of Commons - Winnipeg | Globalnews.ca https://globalnews.c[...]
[34] 뉴스 Sound of native languages in parliament to mark win for indigenous Canadians https://www.theguard[...] 2019-01-27
[35] 웹사이트 Government Bill (House of Commons) C-91 (42-1) - Royal Assent - Indigenous Languages Act - Parliament of Canada https://www.parl.ca/[...]
[36] 웹사이트 Official Languages and Parliament https://lop.parl.ca/[...] 2024-11-10
[37] 웹사이트 Canadian Parliamentary Review › vol 42 no 2 https://www.canlii.o[...] 2024-11-10
[38] 웹사이트 Meet Robert-Falcon Ouellette: Veteran, former parliamentarian, and professor https://www.uottawa.[...]
[39] 학술지 Schooling as a Vehicle for Aboriginal Language Maintenance: Implementing Cree as the Language of Instruction in Northern Quebec https://journals.sfu[...] 1994-06-22
[40] 웹사이트 E-books show kids the colour of Cree language http://www.news.ualb[...] 2013-01-31
[41] 웹사이트 'mihkokwaniy' https://www.cbc.ca/r[...] CBC/Radio-Canada 2021-12-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