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남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남시는 백제 시대 도읍지였던 위례성을 포함하며, 1989년 광주군 동부읍, 서부면 및 중부면 상산곡리를 합쳐 시로 승격되었다. 서울과 인접하여 주간 인구 지수가 낮은 베드타운의 성격을 가지며, 2024년 기준 32만 명 이상의 인구가 거주한다. 하남시는 한강 지류와 산으로 둘러싸인 지형적 특징을 가지며, 서울 지하철 5호선 하남선과 다양한 고속도로 및 국도가 통과하여 교통이 편리하다. 주요 산업은 상업 및 서비스업이며, 미사리 조정경기장, 검단산 등이 관광 명소로 꼽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기도의 도시 - 평택시
평택시는 경기도 남서부에 위치하며, 안성시, 천안시 등과 접하고, 평택항, 해군 제2함대, 주한 미군 기지, 삼성반도체 평택캠퍼스 등 주요 시설과 다양한 기업의 생산 시설을 갖춘 도농복합시다. - 경기도의 도시 - 파주시
파주시는 경기도 북서부에 위치하며, 고조선 시대부터 역사를 이어왔고, 임진강과 한강이 흐르는 대륙성 기후를 띠며, 장단콩 등 특산물과 다양한 문화·관광 자원을 보유하고 2024년 1월 특례시로 지정되었다. - 1989년 설치 - 오산시
오산시는 경기도 남부에 위치하며 1989년 시로 승격되었고, 오산천에서 이름이 유래되었으며, 교통의 요지이자 한국 전쟁 당시 오산 전투가 벌어진 곳으로, 약 23만 명의 인구가 거주한다. - 1989년 설치 - 시흥시
시흥시는 경기도 서남부에 위치하여 인천광역시, 부천시, 광명시, 안양시, 안산시와 접하고 서해와 면하는 도시로, 1989년 시로 승격되었으며 시화국가산업단지와 택지 개발을 통해 인구가 증가하고 시흥갯골생태공원 등의 관광지가 있다. -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 중구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중구는 부산의 중심지로, 과거 왜관이 위치했으며 부산부청과 부산시청이 있었고 현재는 교통의 요지이자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 한남동
한남동은 서울 용산구에 위치하며 성동구, 이태원동, 보광동과 접하고 한강과 마주하며, 한남대로를 통해 강남과 연결되고 능터골 전설이 전해지며, 한남역, 한강진역과 한남대교, 한남대로, 소월로 등의 교통 요충지이며, 서울한남초등학교, 리움미술관, 백범김구기념관 등 교육 및 문화 시설이 위치한 지역이다.
하남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하남시 |
한국어 표기 | 하남시 |
한자 표기 | 河南市 |
로마자 표기 | Hanam-si |
유형 | 시 |
위치 | 경기도 (수도권) |
면적 | 93.07 km² |
인구 (2024년 9월) | 329,693명 |
인구 밀도 | 1612명/km² |
행정 구역 | 13개 |
방언 | 서울 |
시청 소재지 | 경기도 하남시 대청로 10 |
시목 | 은행나무 |
시화 | 은방울꽃 |
시조 | 꿩 |
상징 | |
![]() | |
![]() | |
행정 | |
하위 행정 구역 | 14개 동 |
단체장 | 이현재 (국민의힘) |
국회의원 | 갑: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을: 김용만 (더불어민주당) |
웹사이트 | |
공식 웹사이트 | 하남시청 |
2. 역사
백제 시조 온조왕 14년(기원전 5년)에 하남시 일대를 도읍으로 정하고 '''하남 위례성'''이라 부른 이래, 475년까지 백제의 도읍지였다.[6] 940년(고려 태조 23년)에 한주를 광주로 개칭하였다.[6] 1577년(조선 선조 10년)에 광주군 동부면이 되었으며,[6] 1980년 12월 1일에 동부읍으로 승격하였고,[6] 1989년 1월 1일에 광주군 동부읍과 서부면에 중부면 상산곡리를 합쳐 '''하남시'''로 승격되었다.[6]
- 1980년 12월 1일 : 광주군 동부면이 동부읍으로 승격하였다.[7]
- 1989년 1월 1일 : 광주군 동부읍, 서부면 및 중부면 상산곡리를 합쳐 하남시로 승격하였다.[8] (10 행정동)
- 2014년 6월 5일 : 미사강변도시 개발에 따라 미사1동, 미사2동이 풍산동에서 분동하였다. (12 행정동)
- 2015년 11월 5일 : 위례신도시 개발에 따라 위례동이 감북동에서 분동하였다. (13 행정동)
- 2015년 12월 7일 : 서울특별시 송파구 및 경기도 성남시와 위례신도시의 관할 구역을 조정하였다.[9]
- 2020년 4월 20일 : 하남감일공공주택지구 조성에 따라 감일동이 감북동에서 분동하였다. (14 행정동)
- 2020년 8월 8일 : 하남선 (상일동~하남풍산)이 개통되었다.
- 2021년 3월 27일 : 하남선 (하남풍산~하남검단산)이 개통되었다.
- 2023년 5월 1일 : 풍산동의 행정동명을 미사3동으로 변경하였다.
3. 지리
하남시는 남쪽에 청량산, 중앙에 객산과 금암산, 동쪽에 검단산과 두리봉이 솟아 있다. 광주산맥의 줄기로 둘러싸여 있고, 강원도 산지에서 흘러내리는 한강 지류가 북쪽으로 흐르고 있어 산과 강이 조화를 이루고 있다.[2] 한강은 팔당을 지나 남양주시와 경계를 이루며 북서쪽으로 흐르며, 한강 연안에는 범람원 및 하안단구가 형성되어 있다.[2]
하남시는 온대 습윤 기후(쾨펜: ''Dwa'')에 속하며, 겨울철에는 -3°C 등온선을 기준으로 온난 습윤 기후(쾨펜: ''Cwa'')로 간주될 수 있다.[2] 2004년~2020년 평균 기온, 강수량 등 기상 정보는 다음과 같다.[2]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평균 |
---|---|---|---|---|---|---|---|---|---|---|---|---|---|
최고 기온 (°C) | 2.7 | 5.9 | 12.1 | 18.8 | 24.9 | 28.7 | 29.5 | 30.6 | 26.2 | 21.0 | 12.6 | 4.1 | 18.1 |
평균 기온 (°C) | -2.4 | 0.7 | 6.2 | 12.4 | 18.3 | 22.9 | 25.1 | 26.0 | 20.8 | 14.2 | 7.2 | -0.6 | 12.6 |
최저 기온 (°C) | -6.9 | -4.3 | 0.9 | 6.6 | 12.4 | 18.0 | 21.9 | 22.3 | 16.5 | 9.2 | 2.5 | -5.0 | 7.8 |
강수량 (mm) | 11.6 | 18.3 | 31.0 | 57.2 | 66.8 | 103.1 | 379.1 | 230.9 | 120.3 | 34.5 | 42.0 | 15.8 | 1110.6 |
강수일수 (0.1 mm) | 3.0 | 3.3 | 5.7 | 7.4 | 6.3 | 7.4 | 13.8 | 12.1 | 6.6 | 3.9 | 6.2 | 4.8 |
4. 행정 구역
하남시의 행정 구역은 14개 행정동, 24개 법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남시의 면적은 93.05 km2이다.[10] 2020년 6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283,256 명, 122,338 가구다.[10]
행정동 | 한자 | 면적 | 인구 | 세대 |
---|---|---|---|---|
천현동 | 泉峴洞 | 34.92 | 7,748 | 4,204 |
신장1동 | 新長1洞 | 0.24 | 6,606 | 3,537 |
신장2동 | 新長2洞 | 4.12 | 45,810 | 19,193 |
덕풍1동 | 德豊1洞 | 1.01 | 16,399 | 7,353 |
덕풍2동 | 德豊2洞 | 0.51 | 19,549 | 9,251 |
덕풍3동 | 德豊3洞 | 2.04 | 25,565 | 10,624 |
감북동 | 甘北洞 | 5.86 | 2,873 | 1,564 |
감일동 | 甘一洞 | 5.06 | 9,412 | 3,629 |
위례동 | 慰禮洞 | 4.06 | 19,119 | 7,135 |
춘궁동 | 春宮洞 | 14.50 | 4,066 | 2,221 |
초이동 | 草二洞 | 6.13 | 3,726 | 2,118 |
미사1동 | 渼沙1洞 | 6.74 | 44,050 | 21,605 |
미사2동 | 渼沙2洞 | 4.90 | 48,335 | 18,798 |
미사3동 | 渼沙3洞 | 2.95 | 29,998 | 11,106 |
하남시 | 河南市 | 93.05 | 283,256 | 122,338 |
행정동 | 법정동 |
---|---|
천현동 | 천현동, 산하곡동, 창우동, 배알미동, 상산곡동 |
신장1동 | 신장동 |
신장2동 | 창우동, 신장동, 당정동 |
덕풍1동 | 덕풍동 |
덕풍2동 | |
덕풍3동 | |
미사1동 | 망월동, 미사동 |
미사2동 | 망월동, 선동 |
미사3동 | 풍산동 |
감북동 | 감북동, 감일동, 감이동, 광암동 |
감일동 | 감일동, 감이동 |
위례동 | 감이동, 학암동 |
춘궁동 | 교산동, 춘궁동, 하사창동, 상사창동, 항동 |
초이2동 | 초이1동, 초이2동, 광암동 |
4. 1. 행정동별 관할 법정동
하남시는 다음과 같이 행정 구역으로 나뉜다.행정동 | 관할 법정동 |
---|---|
천현동 | 천현동 |
신장1동 | 신장동 |
신장2동 | 신장동 |
덕풍1동 | 덕풍동 |
덕풍2동 | 덕풍동 |
덕풍3동 | 덕풍동 |
풍산동 | 풍산동 |
미사1동 | 미사동 |
미사2동 | 미사동 |
감북동 | 감북동 |
감이동 | 감이동 |
위례동 | 위례동 |
춘궁동 | 춘궁동 |
초이동 | 초이동 |
5. 인구
2024년 기준 하남시의 인구는 329,498명이다. 꾸준한 인구 유입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인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신도시 개발로 인한 인구 증가가 두드러진다. 2020년 6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283,256 명, 122,338 가구였다.
2018년 기준 연간 출생아 수는 2,039명, 연간 사망자 수는 721명이다. 2017년 기준 전입 인구는 41,988명, 전출 인구는 25,945명이다.
6. 산업
2014년 기준 하남시 산업 종사자 중 상업 및 서비스업(3차 산업)은 85.6%의 비중을 차지하는 반면, 광업 및 제조업(2차 산업)은 14.4%에 불과하다.[11] 3차 산업 중에서는 도소매업(32.4%)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11] 이는 경기도 전체 2차 산업 비중(27.1%)보다 낮고, 3차 산업 비중(72.9%)보다 높은 수치이다.[11]
서울특별시의 베드타운 역할을 하는 도시 특성상, 2010년 기준 주간인구지수는 94%로 낮다.[12] 통근 및 통학으로 인한 유입인구보다 유출인구가 더 많은데, 이는 수도권에서 서울과 가깝거나 교통이 편리한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12]
7. 교통
==== 철도 ====
2014년 9월 29일에 착공된 서울 지하철 5호선 (하남선)이 2020년 8월 8일 1단계 구간(상일동역 ~ 하남풍산역) 개통으로 하남시에도 지하철역이 생겼으며,2021년 3월 27일 2단계 구간(하남풍산역 ~ 하남검단산역)도 개통되었다.[13]
서울 지하철 3호선 연장 및 위례신도시 관련 경전철 개통이 추진될 예정이다.
==== 도로 ====
하남시에는 중부고속도로, 제2중부고속도로, 서울양양고속도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세종포천고속도로 등 고속도로가 지난다. 산곡 분기점에서 중부고속도로와 제2중부고속도로가 분기하며, 하남 분기점에서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와 교차한다. 중부고속도로 상에는 동서울 요금소, 하남 나들목, 하남 휴게소(통영 방향만)가 있으며,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상에는 서하남 나들목이 있다.
국도 제43호선, 국도 제45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88호선 등이 하남시를 지난다.
==== 버스 ====
하남시의 시내버스, 하남시의 마을버스 노선과 하남시외버스정류장에서 출발하는 시외버스 노선이 운행 중이다.[14] 2011년 3월 19일에는 하남 BRT가 개통되었다.[14]
인천국제공항·김포국제공항행 공항버스는 시청 앞에 승하차장이 있으며 (덕암역 출발 및 도착), 시외버스는 시청 앞에서 대전 등으로 가는 노선이 있으나, 배차 간격이 드물다. 서울시 버스가 강남역·강동역에서 진입하는 외에, 서울역에서 출발하는 광역버스와 강변역·잠실역 등에서 출발하는 경기도 버스가 다수 운행된다.[14]
7. 1. 철도
2014년 9월 29일에 착공된 서울 지하철 5호선 (하남선)이 2020년 8월 8일 1단계 구간(상일동역 ~ 하남풍산역) 개통으로 하남시에도 지하철역이 생겼으며,2021년 3월 27일 2단계 구간(하남풍산역 ~ 하남검단산역)도 개통되었다.[13]서울 지하철 3호선 연장 및 위례신도시 관련 경전철 개통이 추진될 예정이다.
7. 2. 도로
하남시에는 중부고속도로, 제2중부고속도로, 서울양양고속도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세종포천고속도로 등 고속도로가 지난다. 산곡 분기점에서 중부고속도로와 제2중부고속도로가 분기하며, 하남 분기점에서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와 교차한다. 중부고속도로 상에는 동서울 요금소, 하남 나들목, 하남 휴게소(통영 방향만)가 있으며,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상에는 서하남 나들목이 있다.국도 제43호선, 국도 제45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88호선 등이 하남시를 지난다.
7. 3. 버스
하남시의 시내버스, 하남시의 마을버스 노선과 하남시외버스정류장에서 출발하는 시외버스 노선이 운행 중이다.[14] 2011년 3월 19일에는 하남 BRT가 개통되었다.[14]인천국제공항·김포국제공항행 공항버스는 시청 앞에 승하차장이 있으며 (덕암역 출발 및 도착), 시외버스는 시청 앞에서 대전 등으로 가는 노선이 있으나, 배차 간격이 드물다. 서울시 버스가 강남역·강동역에서 진입하는 외에, 서울역에서 출발하는 광역버스와 강변역·잠실역 등에서 출발하는 경기도 버스가 다수 운행된다.[14]
8. 교육 기관
하남시에는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특수학교가 있다.
초등학교로는 고골초등학교, 나룰초등학교, 덕풍초등학교, 단샘초등학교, 동부초등학교, 망월초등학교, 미사강변초등학교, 미사중앙초등학교, 미사초등학교, 산곡초등학교, 서부초등학교, 신장초등학교, 신평초등학교, 위례초등학교, 윤슬초등학교, 창우초등학교, 청아초등학교, 하남천현초등학교, 하남초등학교, 하남풍산초등학교, 한홀초등학교가 있다.
중학교로는 감일중학교, 남한중학교, 덕풍중학교, 동부중학교, 미사강변중학교, 미사중학교, 신장중학교, 신평중학교, 위례중학교, 윤슬중학교, 은가람중학교, 하남중학교가 있다.
고등학교로는 남한고등학교, 미사강변고등학교, 미사고등학교, 신장고등학교, 위례고등학교, 풍산고등학교, 하남고등학교, 하남경영고등학교, 한국애니메이션고등학교, 감일고등학교가 있다.
특수학교로는 성광학교가 있으며, 각종학교로는 동성고등공민학교 (중학교 과정)가 있다.
9. 공공 서비스
하남시에서는 공공 도서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하남e스스로를 운영하고 있다.
하남시신장도서관, 하남시나룰도서관, 미사도서관, 덕풍도서관 등이 있다.
10. 관광
하남시의 주요 관광지로는 검단산과 미사리 조정경기장이 있다. 미사리 조정경기장은 1988년 서울 올림픽의 카누·조정 경기장으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한국 유일의 경정장도 겸비하고 있다. 이 외에도 구산성당, 광주향교 등이 있다.
11. 출신 인물
wikitable
인물 | 출생연도 | 설명 |
---|---|---|
유수빈 | 1992년 | 배우 |
김동현 | 1998년 | 아이돌 그룹 AB6IX 멤버 |
엄태준 | 1963년 | 前 이천시장, 現 하남시장 |
최종윤 | 1966년 | 정치인,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
이현재 | 1949년 | 前 하남시장 |
12. 자매 도시
지역 & 국가 | 도시 | |
---|---|---|
샤알람 | ||
하남성 | align="center"| | |
리야드 | align="center"| | |
롱비치 | align="center"| | |
산둥성 | 루산시 | |
충칭시 | 윈양현 |
샤알람(Selangor), 슬랑오르주, 말레이시아[3]
리틀록(Little Rock), 아칸소주, 미국
라파마(La Palma), 캘리포니아주, 미국
루산시(乳山市), 산둥성, 중국
13. 기타
13. 1. 하남시를 배경으로 한 작품
홍상수 감독의 2022년 영화 소설가의 영화의 배경이 된 곳이다.13. 2. 주요 행사
하남 이성 문화제가 열린다.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01-01
[2]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6-07
[3]
뉴스
Shah Alam signs pact with South Korean city of Hanam
http://www.thestar.c[...]
2013-12-03
[4]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5]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6]
웹사이트
하남소개
https://www.hanam.go[...]
2017-11-19
[7]
법률
대통령령 제10050호
1980-10-21
[8]
법률
법률 제4050호 오산시등12개시및태안군설치와군의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88-12-31
[9]
법률
서울특별시 송파구와 경기도 성남시, 하남시의 관할구역 변경에 관한 규정
http://www.law.go.kr[...]
2015-11-26
[10]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http://27.101.213.4/
2020-07-02
[11]
웹사이트
경기도 사업체조사
http://kosis.kr/stat[...]
[12]
웹사이트
경기도 기본통계 및 2010 인구주택 총조사
http://kosis.kr/stat[...]
[13]
뉴스
하남지하철 5호선 내년 착공 총력
http://www.incheonil[...]
인천일보
2013-12-03
[14]
뉴스
서울~하남 간선급행 버스차로 개통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1-03-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