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짚모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밀짚모자는 중세 시대부터 유럽과 아시아에서 여름철에 착용되어 온 모자이다. 다양한 식물 섬유를 사용하여 제작되며, 모자 제조 기술의 발달과 함께 다양한 종류와 디자인이 존재한다. 밀짚모자는 문화적 상징성을 지니며, 어린아이 같음, 순박함, 시골, 자연, 여름 휴가 등을 연상시키는 이미지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밀짚모자 | |
---|---|
개요 | |
![]() | |
정의 | |
설명 | 밀짚이나 이와 유사한 재료로 만든 모자 |
종류 | |
보터 | 뱃사공 모자라고도 불리며, 딱딱한 밀짚으로 만든 납작한 챙이 있는 모자 |
파나마 모자 | 에콰도르에서 생산되는 토키야 야자 잎으로 만든 모자 |
플로피 햇 | 챙이 넓고 부드러운 모자 |
중국 모자 | 아시아, 특히 중국에서 사용되는 원뿔 모양의 모자 |
재료 | |
주 재료 | 밀짚 |
기타 재료 | 호맥 골풀 사초과 섬유 라피아 야자 |
용도 | |
기능 | 햇빛 가리개 |
기타 | 패션 아이템 |
문화 | |
![]() | |
참고 | 밀짚모자는 특히 여름에 착용하는 것으로 여겨짐 |
2. 역사
밀짚모자는 중세 이후부터 아프리카와 아시아에서 여름철에 착용되었으며, 중세 시대와 오늘날에도 거의 변하지 않았다. 베리 공작의 호화로운 삽화의 달력 세밀화에서 여러 계층의 남성이 착용한 많은 짚모자를 볼 수 있다.
시어도어 루스벨트 대통령은 1906년 파나마 운하 건설 현장에서 찍은 사진에서 밝은 색 정장과 세련된 밀짚 페도라를 착용하여 강인한 지도자로 묘사되었다. 이는 밀짚 "파나마 모자"의 인기를 높이는 데 기여했다.[28]
모코로틀로는 바소토족과 레소토 국민, 그리고 레소토 국가의 상징인 현지 디자인의 짚모자다. 레소토의 차량 등록 번호판에 표시되어 있다.
벳시 메트칼프 베이커는 짚 보닛 제조업자이자 기업가였다. 그녀는 노동 계급 여성들이 쉽게 짚 보닛을 구할 수 있도록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여 뉴잉글랜드에서 가내 수공업 산업 발전을 이끌었다.
나폴레옹 전쟁으로 인해 미국은 1807년 금수 조치를 시행, 유럽산 모자를 대체할 미국산 모자가 필요하게 되었다. 1809년 5월 5일, 메리 딕슨 키스는 짚을 실로 엮어 모자를 만드는 새로운 기술에 대한 특허를 받았다.
대일본 제국 해군에서는 메이지 시대에 하사관·병졸 하복의 모자로 밀짚모자가 사용되기도 했다. 전전(戰前) 일본에서는 신사용 정장으로 캉캉 모자와 파나마 모자가 여름에 애용되었다. 일본 내 밀짚모자 2대 생산지는 사이타마현과 오카야마현이다.
2. 1. 유럽
중세 이후 유럽에서 밀짚모자는 여름철에 착용되었으며, 중세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거의 변화가 없다. 베리 공의 호화로운 기도서의 달력 축소판에는 모든 계급의 남성이 밀짚모자를 착용한 모습이 다수 묘사되어 있다.[30]수공예로 제작되는 밀짚모자의 제조 방법은 시대에 따라 다소 달랐지만, "근세 공업 중 가장 아름다운 것"으로 칭해졌다.[30] 과거 밀짚모자는 영국의 베드퍼드셔와 하트퍼드셔가 유명한 산지였다.[31]
근세 공업으로서의 밀짚모자 제조는 영국의 던스터블에서 시작되었다고 한다.[32] 그러나 당시에는 아직 짚을 쪼개서 엮는 방법이 발명되지 않았기 때문에, 짚은 그대로의 형태(원줄기)로 이용되었다.[32][31] 짚을 쪼개서 제조하는 방법(할간)이 고안되자 이 제법이 널리 보급되었다.[31][32] 이후 영국에서는 던스터블을 대신하여 루턴이 밀짚모자 생산으로 명성을 떨치게 되었다.[31]
그 후, 영국 국내에는 이탈리아 리보르노(레그혼)의 밀짚모자가 수입되어 유행했다(레그혼 모자).[31][32] 루턴제 모자는 세계 곳곳에 판로를 가지고 있었지만, 유럽 여러 나라의 관세 장벽으로 인해 타격을 입게 되었다.[33] 대륙 여러 나라에서 주요 생산국이 된 곳은 스위스, 독일, 이탈리아 등이다.[32]
2. 2. 아메리카
시어도어 루스벨트 대통령은 1906년 파나마 운하 건설 현장에서 찍은 사진에서 밝은 색 정장과 세련된 짚 페도라를 착용하여 강인한 지도자로 묘사되었다. 이는 짚 "파나마 모자"의 인기를 높이는 데 기여했다.[28]벳시 메트칼프 베이커(1786–1867)는 로드아일랜드주 프로비던스와 매사추세츠주 웨스트우드에 기반을 둔 짚 보닛 제조업자이자 기업가, 사회 운동가였다. 그녀는 12세에 짚을 꼬는 기술을 개발하여 값비싼 짚 보닛 스타일을 모방, 노동 계급 여성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했다. 베이커는 자신의 기술에 특허를 내는 대신 지역 사회 여성들에게 짚 보닛 제조법을 가르쳐 뉴잉글랜드에서 가내 수공업 산업 발전을 이끌었다.[18]
나폴레옹 전쟁으로 인해 미국은 1807년 금수 조치를 시행, 프랑스와 영국과의 모든 무역을 한동안 금지하면서 유럽산 모자를 대체할 미국산 모자가 필요하게 되었다. 짚 짜기 산업이 그 틈새를 메웠고, 1810년 매사추세츠주에서만 900만달러 상당의 짚 보닛이 생산되었다.[19]
1809년 5월 5일, 메리 딕슨 키스는 짚을 실로 엮어 모자를 만드는 새로운 기술에 대한 특허를 받았다.[20][21] 일부 자료에서는 그녀가 미국 특허를 받은 최초의 여성이라고 말하지만,[22][23] 다른 자료에서는 1793년의 해나 슬레이터,[24][25][26] 또는 1808년에 치즈 프레스에 대한 특허를 받은 헤이즐 어윈을 최초의 여성으로 언급한다.[27][24]
미국의 올드 오더 아미시는 특히 여름철에 짚모자(보터 햇과 유사)를 계속 착용한다. 겨울이나 정식 복장으로는 펠트 모자를 착용한다.

모코로틀로는 현지 디자인의 짚모자로, 바소토족과 레소토 국민, 그리고 레소토 국가의 상징이다. 레소토의 차량 등록 번호판에 표시되어 있다.
2. 3. 아시아
밀짚모자는 중세 이후부터 아시아에서 여름철에 착용되었으며, 중세 시대와 오늘날에는 거의 변하지 않았다. 대부분 남성과 모든 계층이 착용했으며, 베리 공의 호화로운 기도서의 달력 미니어처에서 많이 볼 수 있다.[28]수공예로 제작되는 밀짚모자의 제조 방법은 시대에 따라 다소 다르지만 "근세 공업 중 가장 아름다운 것"으로 칭해졌다.[30]
일본의 밀짚모자는 1872년 마을 관리인 카와다니 고로가 외국인의 모자를 본떠서 만든 것이 시작으로 여겨진다.[34] 쇼와 3년(1928년)에는 브라더 공업이 "밀짚모자 제조용 환봉 미싱"을 판매했다.
대일본 제국 해군에서는 메이지 시대에 하사관·병졸 하복의 모자로 사용되기도 했다.
전전(戰前) 일본에서는 신사용 정장으로 캉캉 모자와 파나마 모자가 모두 여름에 애용되었다.
일본 내 밀짚모자 2대 생산지는 사이타마현과 오카야마현이다. 현재도 밀짚모자를 취급하는 전문 메이커가 존재한다.
특히 사이타마현 카스카베시는 밀짚모자를 전통 수공예품 중 하나로 삼고 있다. 이 시에서는 옛날부터 밀 농가가 많았고, 사나다 끈을 부업으로 만들기 시작한 것에서 천연 풀의 밀짚모자를 제조하게 되었다고 전해진다. 사이타마현의 역사를 이야기하는 데 중요하며, 사이타마현립 역사와 민속의 박물관에서도 소개되고 있다.
일본 국내에서 또 다른 산지로 유명한 곳은 오카야마현이다. 밀짚(맥간 사나다)의 옛 주산지였던 곳으로, 역사 박물관 등이 있다. 카모가타 마치야 공원과 아사쿠치 시립 카모가타 도서관에서는 밀짚모자의 제작법과 그 역사적 자료를 전시하고 있다.
2. 4. 한국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한국'에 대한 내용이 직접적으로 언급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밀짚모자' 문서의 '한국' 섹션에는 원본 소스의 내용을 기반으로 작성할 내용이 없습니다. 섹션 내용을 비워두는 것이 적절합니다.3. 재료
밀짚모자는 다양한 식물 섬유를 사용하여 만들어진다. 대부분 펠트 모자와 비슷한 방식으로 만들어지는데, 증기나 뜨거운 물에 담가 부드럽게 만든 후 손이나 모자 틀을 사용하여 모양을 만든다. 더 가늘고 비싼 밀짚모자는 짜임새가 더 촘촘하고 일정하다. 큰 모자는 작은 모자보다 짜는 데 시간이 더 오래 걸리기 때문에 가격이 더 비싸다.[2]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섬유는 다음과 같다:
4. 제조
밀짚모자는 여러 스타일이 있지만 모두 식물 섬유를 사용하여 직조된다. 대부분 펠트 모자와 유사한 방식으로, 증기나 뜨거운 물에 담가 부드럽게 한 다음 손으로 또는 모자 블록 위에 형성한다. 더 가늘고 비싼 밀짚모자는 더 촘촘하고 일관된 짜임새를 가진다. 작은 모자보다 큰 모자를 짜는 데 더 많은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큰 모자가 더 비싸다.[15][16]
밀짚모자는 표백, 염색하여 납작하게 눌린 밀짚 7줄기를 사나다 끈처럼 엮은 '경목 사나다'를 재료로, 전용 미싱으로 소용돌이 모양으로 꿰매어 만든다. 이를 브레이드 햇(braid hat) 또는 스트로 햇(straw hat)이라고도 한다.
원래는 천연 '밀짚'만 사용했으나, 파나마풀로 만든 파나마햇이나 최근 주류인 페이퍼 브레이드 햇도 밀짚모자로 간주하기도 한다. 천연 풀인 라피아, 골풀, 경목 등으로 만든 챙 넓은 모자를 통칭하기도 한다. 경목 사나다 역시 사시나무 등의 부드러운 목재, 종이, 합성수지 시트 등을 가늘게 재단한 것을 원료로 한다.
최근 일본에서는 구미처럼 다양한 디자인이 나오고 있다. 밀짚을 튼튼하게 엮은 캉캉모자 (보터햇, 카노티에)는 남녀 모두에게 인기다. 리본, 코사주 장식, 극세 밀짚으로 만든 고급 모자, 챙을 올린 텐 갤런 햇 스타일 등도 패션과 아웃도어에서 활용된다.
온난화와 자연 소재 유행으로 천연 풀 모자가 재평가받고 있으며, 자외선 차단(기미, 주근깨, 탈모, 백내장 예방) 실용품으로도 주목받는다.
4. 1. 한국의 전통 밀짚모자 제작
밀짚모자는 여러 종류가 있지만, 모두 어떤 형태의 섬유 작물을 사용하여 엮는다.[15][16] 이러한 모자 중 다수는 펠트 모자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작된다. 증기 또는 뜨거운 물에 담가 부드럽게 한 다음 손으로 또는 모자 골을 사용하여 형태를 만든다. 더 고급스럽고 비싼 짚모자는 더 촘촘하고 일관된 짜임을 갖는다. 더 큰 모자를 짜는 데 작은 모자를 짜는 것보다 훨씬 더 많은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더 큰 모자가 더 비싸다.일본에서 밀짚모자는 1872년 마을 관리인 카와다니 고로가 외국인의 모자를 본떠서 만든 것이 시초로 여겨진다.[34] 쇼와 3년(1928년)에는 브라더 공업이 "밀짚모자 제조용 환봉 미싱"을 판매하면서 공업적 생산이 이루어졌다.
사이타마현 카스카베시는 밀짚모자를 전통 수공예품 중 하나로 삼고 있다. 이 시에서는 옛날부터 밀 농가가 많았고, 사나다 끈을 부업으로 만들기 시작하면서 천연 풀의 밀짚모자를 제조하게 되었다고 전해진다. 사이타마현립 역사와 민속의 박물관에서도 사이타마현의 역사를 이야기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소개하고 있다.
일본 국내에서 또 다른 산지로 유명한 곳은 오카야마현이다. 밀짚의 옛 주산지였던 곳으로, 아사쿠치시 카모가타초에는 카모가타 마치야 공원과 아사쿠치 시립 카모가타 도서관에서 밀짚모자의 제작법과 역사적 자료를 전시하고 있다.
5. 종류
- 보터 모자(Boater hat) – 평평한 상단과 챙이 있는 격식을 갖춘 밀짚 모자이다. 캉캉모자라고도 불리며, 크라운이 낮고 원통형이며, 브림(챙)이 평평하고, 햇 밴드를 단단하게 두른 형태이다. 남녀 모두에게 인기가 있다.[1]
- 분탈 모자(Buntal hat) – 필리핀에서 분탈 섬유로 만들어진 반격식 또는 비격식 전통 밀짚 모자이다.[1]
- 원뿔형 모자(Conical hat) – 주로 동남아시아 농부들이 쓰는 독특한 모자이다. 베트남의 논라는 현지에서 모자로 여겨지며, 일본의 삿갓과 비슷한 형태이다.[1]
- 파나마 모자(Panama hat) – 에콰도르에서 만들어진 고급스럽고 비싼 모자이다. 시어도어 루스벨트 대통령이 1906년 파나마 운하 건설 현장에서 이 모자를 쓰고 사진을 찍어 대중화에 기여했다.[1]
- 솜브레로 부엘티아오(Sombrero Vueltiao) - 콜롬비아의 제누족이 caña flecha로 만든 복잡한 패턴의 밀짚 모자이다.[1]
- 살라코트(Salakot) – 필리핀에서 주로 등나무로 만들어진 전통적인 원뿔형 또는 뾰족한 둥근 모자이다. 박, 거북이 등껍질, 또는 기타 섬유 및 직조 재료로도 만들 수 있다.[1]
- 밀짚 보닛 - 보닛은 중세 시대부터 현재까지 남녀(특히 여성) 모두를 위한 다양한 모자 이름으로 사용되어 왔다. 일부는 밀짚으로 만들어진다.[1]
6. 문화적 상징성
밀짚모자는 중세 이후 아프리카와 아시아에서 여름철에 착용되었으며, 중세 시대와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거의 변하지 않았다. 주로 남성이 모든 계층에서 착용했으며, 베리공의 매우 호화로운 기도서의 달력 세밀화에서 많이 볼 수 있다.[17]
시어도어 루스벨트 대통령은 1906년 파나마 운하 건설 현장에서 찍은 사진에서 밝은 색 정장과 세련된 밀짚 페도라를 착용하여, 강인한 지도자의 이미지를 보여주었다. 이는 "파나마 모자"의 대중화에 기여했다.[28]
밀짚모자는 시골이나 자연, 여름 바캉스를 연상시키는 소품으로 자주 등장한다.
6. 1. 레소토
현지 디자인의 짚모자인 모코로틀로는 바소토족과 레소토 국민, 그리고 레소토 국가의 상징이다. 차량 등록 번호판에도 표시되어 있다.[17]
6. 2. 한국
1872년 일본의 마을 관리인 카와다니 고로가 외국인의 모자를 본떠서 만든 것이 밀짚모자의 시초로 여겨진다.[34] 1928년에는 브라더 공업이 "밀짚모자 제조용 환봉 미싱"을 판매하면서 공업적 생산이 이루어졌다.메이지 시대 대일본 제국 해군에서는 하사관·병졸 하복의 모자로 밀짚모자를 사용하기도 했다. ( 일본 해군의 군복 참조).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일본에서는 신사용 정장으로 캉캉 모자와 파나마 모자를 여름철에 애용했다.
일본의 밀짚모자 주요 생산지는 사이타마현과 오카야마현 두 곳이며, 현재도 밀짚모자를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업체들이 있다.
특히 사이타마현 카스카베시는 밀짚모자를 전통 수공예품 중 하나로 지정했다. 이 지역은 예로부터 밀 농가가 많았고, 사나다 끈을 부업으로 만들던 것에서 천연 풀을 이용한 밀짚모자 제조가 시작되었다고 전해진다. 사이타마현의 역사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사이타마현립 역사와 민속의 박물관에서도 소개되고 있다.
오카야마현 역시 일본의 주요 밀짚 산지 중 하나이다. 이곳은 밀짚(맥간 사나다)의 주요 산지였으며, 관련 역사 박물관 등이 있다. 카모가타 마치야 공원과 아사쿠치 시립 카모가타 도서관에서는 밀짚모자의 제작 방법과 역사적 자료를 전시하고 있다.
7. 현대의 밀짚모자
밀짚모자는 원료인 밀짚을 표백 또는 염색하여 납작하게 누른 7개의 줄기를 사나다 끈처럼 엮은 '경목 사나다'를 재료로 하여, 그것을 전용 미싱으로 소용돌이 모양으로 꿰매어 만든 모자(braid hat)를 가리키며, 스트로 햇(straw hat)이라고도 한다.
원래는 천연 소재인 '밀짚'에만 사용되는 명칭이다. 그러나 파나마풀을 사용한 파나마햇이나 최근 주류인 페이퍼 브레이드 햇도 밀짚모자의 일종으로 간주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천연 풀인 라피아, 골풀이나 경목 등의 소재로 만든 챙 넓은 모자를 통칭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경목 사나다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사시나무 등의 부드러운 목재, 종이, 합성수지 시트 등을 가늘게 재단한 것을 원료로 한 것이 있다.
최근에는 일본도 구미처럼 다양한 디자인이 존재한다. 밀짚을 매우 튼튼하게 엮은 것이 캉캉모자(보터햇, 카노티에)이며, 남녀 모두에게 인기가 있다.
또한, 다양한 리본이나 코사주로 장식을 하거나, 극세 밀짚으로 만든 고급 밀짚모자도 주목받고 있으며, 패션뿐만 아니라 아웃도어 등에서도 즐길 수 있는 챙을 올린 텐 갤런 햇풍도 존재한다.
온난화와 자연 소재에 대한 주목으로 천연 풀 모자가 재평가받고 있으며, 기미, 주근깨, 탈모, 백내장의 원인이 되는 자외선을 방지하는 실용품으로도 주목받고 있다.
참조
[1]
서적
Hatatorium: An Essential Guide for Hat Collectors
[2]
서적
A Dictionary of Costume and Fashion:
Courier Corporation
2013-07-24
[3]
서적
The Fairchild Encyclopedia of Menswear
Fairchild Books
2008
[4]
웹사이트
Paglinastroh
http://www.letom.eu/[...]
2016-03-14
[5]
웹사이트
Rush straw
http://www.letom.eu/[...]
2016-03-18
[6]
웹사이트
Bulrush hat
http://www.wealddown[...]
2016-03-18
[7]
웹사이트
Typha hat
http://www.medieval-[...]
2016-03-19
[8]
웹사이트
Reed hat
http://www.antique-g[...]
2016-03-18
[9]
서적
Historical Common Names of Great Plains Plants Volume I: Historical Names
Lulu.com
2014-10-01
[10]
간행물
Information for use in determining whether to continue designation of certain headwear of straw as articles eligible for duty-free treatment under the generalized system of preferences:
United States International Trade Commission
1982
[11]
웹사이트
PP Straw
http://www.villageha[...]
2016-03-16
[12]
서적
Hats and Headwear around the World: A Cultural Encyclopedia:
ABC-CLIO
2013-10-03
[13]
서적
Hatatorium: An Essential Guide for Hat Collectors
[14]
웹사이트
Chip straw
http://www.georgiani[...]
2016-03-16
[15]
서적
Our Economic World: A Study of the World's Natural Resources and Industries
Springer
1994-06-30
[16]
웹사이트
NATURAL PALM FIBRE HAT FROM FAILSWORTH HATS
https://web.archive.[...]
[17]
웹사이트
Betsey Metcalf
http://www.kouroo.in[...]
2014-01-13
[18]
웹사이트
Betsey Baker, straw hat maker
http://hometownweekl[...]
2019-08-08
[19]
웹사이트
May 5, 1809: Hats Off to First U.S. Woman Patent-Holder
https://www.wired.co[...]
2015-09-07
[20]
웹사이트
Mary Kies Became the First Woman to Receive a U.S. Patent
http://www.americasl[...]
Library of Congress
2018-05-03
[21]
뉴스
HER INVENTIVE GENIUS; How Lovely Woman Is on Record in the Patent Office. MRS. MARY KIES HEADS THE LIST IN 1809 A Colored Woman's Patent – A See-Saw Washing Machine – Inventions Useful and Amusing.
https://www.nytimes.[...]
1895-06-09
[22]
웹사이트
Meet Mary Kies, America's First Woman to Become a Patent Holder
http://www.smithsoni[...]
2016-08-11
[23]
웹사이트
First Women Inventors {{!}} History of American Women
http://www.womenhist[...]
2016-01-03
[24]
간행물
Progress and Potential: A profile of women inventors on U.S. patents
https://www.uspto.go[...]
United States Patent and Trademark Office
[25]
웹사이트
Women Inventors {{!}} History Detectives {{!}} PBS
https://www.pbs.org/[...]
2016-08-10
[26]
웹사이트
10 Key Dates in Women's History: The Early Modern Period
https://web.archive.[...]
Encyclopædia Britannica
2016-08-10
[27]
간행물
"Not for Ornament": Patenting Activity by Nineteenth-Century Women Inventors", by B. Zorina Khan, Journal of Interdisciplinary History, xxxi:2 (Autumn, 2000), 159–195.
https://watermark.si[...]
2021-10-13
[28]
뉴스
President Theodore Roosevelt's Legendary Panama Canal Fashion {{!}} Ultrafino
https://blog.ultrafi[...]
2017-09-29
[29]
뉴스
The Hat Story
https://web.archive.[...]
British Hat Guild
2016-03-14
[30]
서적
応用理科
東京理科学会
[31]
서적
欧米の製造業 上巻
[32]
서적
応用理科
東京理科学会
[33]
서적
欧米の製造業 上巻
[34]
서적
起源の日本史 近現代篇
同成社
[35]
뉴스
The Hat Story
http://www.britishha[...]
British Hat Guild
2016-03-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