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레인 축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레인 축구 국가대표팀은 1959년에 창단되었으며, FIFA 월드컵 본선에는 진출한 적이 없지만 2006년과 2010년 예선에서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하는 등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AFC 아시안컵에서는 2004년 대회에서 4위를 기록했으며, 걸프컵에서는 2019년에 첫 우승을 차지했다. 주요 라이벌은 카타르이며, 이스마일 압둘라티프가 최다 득점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레인 축구 국가대표팀 - 바레인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바레인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걸프 협력회의 최초의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2006년 아랍 여자 토너먼트 우승과 2019년 서아시아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준우승을 기록하며 국제 대회에서 활약하고 있으며, 림 알하시미 선수가 최다 출장 및 최다 득점 기록을 보유하고 다수의 기업 후원을 받고 있다. - 바레인의 축구 - 바레인 U-23 축구 국가대표팀
바레인 U-23 축구 국가대표팀은 바레인을 대표하는 23세 이하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올림픽 본선 진출에는 실패했으나 아시안 게임 8강 진출, 걸프 U-23 챔피언십 우승 등의 성과를 거두었으며 AFC U-23 챔피언십에 2020년 처음 진출 후 꾸준히 국제 대회에 참가하며 성장하고 있다.
바레인 축구 국가대표팀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명칭 | منتخب الْبَحرَيْن لِكُرَّةُ الْقَدَم (아랍어) |
별칭 | 무하리비 딜문 (Dilmun's Warriors) 가와신 알-룰루 (The Pearl Divers) 아흐마르 (The Reds) 샤야틴 알훔르 (The Red Devils) |
협회 | 바레인 축구 협회 |
연맹 | 아시아 축구 연맹(AFC) |
하위 연맹 | 서아시아 축구 연맹(WAFF) |
감독 | 드라간 탈라지치 |
주장 | 사예드 디야 사이드 |
최다 출장 선수 | 사예드 모하메드 자페르(162) |
최다 득점 선수 | 이스마일 압둘라티프(48) |
홈 경기장 | 바레인 국립 경기장 |
FIFA 트리그램 | BHR |
FIFA 랭킹 | 이 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 |
FIFA 최고 랭킹 | 44위 |
FIFA 최고 랭킹 날짜 | 2004년 9월 |
FIFA 최저 랭킹 | 139위 |
FIFA 최저 랭킹 날짜 | 2000년 3월 |
Elo 최고 랭킹 | 49위 |
Elo 최고 랭킹 날짜 | 2000년 9월 |
Elo 최저 랭킹 | 138위 |
Elo 최저 랭킹 날짜 | 1979년 3월 |
유니폼 | |
홈 유니폼 | image_file: _bhr24h 색상: 빨강 |
원정 유니폼 | image_file: _bhr24a 색상: 하양 |
경기 기록 | |
첫 경기 | 1932 4–4 쿠웨이트 (1936년 4월 2일, 이라크, 바그다드) |
최다 점수차 승리 | 바레인 축구 국가대표팀 10–0 인도네시아 (2012년 2월 29일, 바레인, 리파) |
최다 점수차 패배 | 1963 10–1 1932 (1966년 4월 5일, 이라크, 바그다드) |
국제 대회 | |
지역 대회 (아시아컵) | 대회: AFC 아시안컵 참가 횟수: 8회 첫 참가: 1988년 최고 성적: 4위 (2004년) |
기타 지역 대회 (아랍컵) | 대회: FIFA 아랍컵 참가 횟수: 6회 첫 참가: 1966년 최고 성적: 준우승 (1985년, 2002년) |
기타 지역 대회 (WAFF) | 대회: WAFF 챔피언십 참가 횟수: 4회 첫 참가: 2010년 최고 성적: 우승 (2019년) |
기타 지역 대회 (걸프컵) | 대회: 아라비안 걸프컵 참가 횟수: 24회 첫 참가: 1970년 최고 성적: 우승 (2019년) |
2. 역사
바레인 축구 국가대표팀은 1959년에 창설되었지만, 첫 공식 경기는 1966년 쿠웨이트와의 국제 친선 경기로 4-4 무승부였다. 1957년 설립된 바레인 축구 협회의 지원 하에 국내 축구 발전을 목표로 했지만, 중동에서는 사우디아라비아, 카타르, 아랍에미리트 등에 비해 약소국이었다.
1988년 AFC 아시안컵 1988 예선을 통과하여 처음으로 AFC 아시안컵 본선 진출권을 획득했고, 본선에서는 2무 2패로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2000년대 이후 바레인은 2002년 월드컵 예선 최종 라운드 진출, 2006년 독일 월드컵 예선[13]과 2010년 남아프리카공화국 월드컵 예선[14] 대륙간 플레이오프 진출, 2004년 중국 대회 4강 진출 등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루었다.
2019년 AFC 아시안컵에서는 16강에 진출하여 대한민국에 연장전 끝에 2-1로 패했지만, WAFF 챔피언십과 걸프컵에서 모두 우승을 차지하며 새로운 역사를 썼다.[3][4]
2023년 AFC 아시안컵에서는 조별 리그를 1위로 통과하며 16강에 진출했으나, 일본에 1-3으로 패했다.[29][30]
2026년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에서는 4회 대회 만에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31]
2. 1. 초기 (1959년 ~ 1980년대)
바레인 축구 국가대표팀은 1959년에 창설되었지만, 첫 공식 경기는 1966년 쿠웨이트와의 국제 친선 경기로 4-4 무승부였다. 당시 바레인은 영국 통치하에 있었지만 자치권을 부여받았고, 이 기회를 활용하여 축구 발전을 확대했다. 1957년 설립된 바레인 축구 협회의 지원 하에 국내 축구 발전을 목표로 했지만, 중동에서는 사우디아라비아, 카타르, 아랍에미리트 등에 비해 약소국으로 여겨졌다.
1988년, AFC 아시안컵 1988 예선을 통과하여 처음으로 AFC 아시안컵 본선 진출권을 획득했다. 본선에서는 2무 2패로 최하위를 기록하며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그 이후로 바레인 대표팀은 U-17과 U-20의 유소년팀 성공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소외되고 투자가 부족했다. 20세기 말이 되어서야 바레인은 비로소 부상하기 시작하여 국가 축구 역사를 바꾸게 된다.
2. 2. 성장과 발전 (2000년대 ~ 현재)
바레인은 2000년 AFC 아시안컵 예선과 200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특히 2002년 월드컵 예선에서는 최종 라운드에 진출하는 쾌거를 달성했다. 비록 두 대회 모두 본선 진출에는 실패했지만, 이란을 상대로 2000년 아시안컵 예선에서는 1-0, 2002년 월드컵 예선에서는 홈에서 3-1로 승리하며 이란 축구 역사상 가장 굴욕적인 패배 중 하나를 안겼다.[2] 이 승리는 이란의 월드컵 본선 직행을 저지하고 사우디아라비아의 2002년 FIFA 월드컵 진출에 기여했다.2019년 AFC 아시안컵에서 바레인은 개최국 아랍에미리트와 1-1 무승부를 기록했지만, 태국에 0-1로 패하며 어려움을 겪었다. 그러나 인도와의 최종전에서 자말 라시드의 페널티킥 결승골로 1-0 승리를 거두며 조별리그를 통과, 두 번째 토너먼트 진출을 확정지었다. 16강전에서는 대한민국에 연장전 끝에 2-1로 패했지만, 이는 바레인 축구의 큰 성공으로 평가받았다.
이후 바레인은 헤리우 소우사 감독의 지휘 아래 WAFF 챔피언십과 걸프컵에서 모두 우승을 차지하며, 두 대회를 처음으로 제패하는 쾌거를 이루었다.[3][4]
2000년대 초반부터 성장한 바레인은 2006년 독일 월드컵 예선[13]과 2010년 남아프리카공화국 월드컵 예선[14]에서 연속으로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하며 월드컵 본선 진출 직전까지 다가섰다.
AFC 아시안컵에는 7회 출전했으며, 2004년 중국 대회에서 4강에 진출하는 쾌거를 달성했다.
일본과는 인연이 깊은 팀으로, 2008년부터 2010년까지 6번 맞붙어 바레인이 2승 10패(2024년 10월 기준)를 기록했다.[15][16]
2000년 아시안컵 레바논 대회에서는 예선에서 탈락했지만, 2002년 월드컵 한일 대회 아시아 지역 예선에서는 처음으로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18]
2004년 AFC 아시안컵에서는 조별 리그에서 개최국 중국, 카타르와 비기고, 인도네시아를 3-1로 꺾으며 조 2위로 8강에 진출했다.[19] 8강전에서는 우즈베키스탄을 승부차기 끝에 꺾었지만,[20] 준결승에서 일본에 3-4로 패했다.[21] 3·4위 결정전에서도 이란에 2-4로 패했지만, 4위라는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22]
200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에서는 아시아 5위 결정전에서 우즈베키스탄을 꺾고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지만, 트리니다드 토바고에 패하며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AFC 플레이오프 (아시아 5위 결정전) | ||||
---|---|---|---|---|
팀 #1 | 합계 스코어 | 팀 #2 | 1차전 | 2차전 |
align="center" | | 1–1 (a) | align="center" | | 1-1 | 0-0 |
대륙간 플레이오프 (AFC 대표 vs CONCACAF 대표) | ||||
align="center" | | 1–2 | align="center" | | 1-1 | 0-1 |
2007년 AFC 아시안컵에서는 대한민국에 승리했지만,[24] 인도네시아와 사우디아라비아에 패하며 조 최하위로 탈락했다.
201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에서는 3차 예선에서 일본을 꺾는 등[25] 조 2위로 최종 예선에 진출, 최종 예선 3위로 AFC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AFC 플레이오프에서 사우디아라비아와 원정 다득점으로 승리했지만, 대륙간 플레이오프에서 뉴질랜드에 패하며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최종 예선 (AFC 플레이오프) | ||||
---|---|---|---|---|
팀 #1 | 합계 스코어 | 팀 #2 | 1차전 | 2차전 |
align="center" | | (a) 2–2 | align="center" | | 0-0 | 2-2 |
대륙간 플레이오프 (AFC 대표 vs OFC 대표) | ||||
align="center" | | 0–1 | align="center" | | 0-0 | 0–1 |
바레인 축구 국가대표팀은 여러 국제 대회에서 다양한 성적을 거두었다.
2014년 브라질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에서는 3차 예선에서 탈락했고,[26] 2018년 러시아 월드컵 예선에서도 2차 예선에서 탈락했다. 그러나 2019년 걸프컵[28]에서 첫 우승을 차지하며 부활을 알렸다.
2023년 AFC 아시안컵에서는 조별 리그 첫 경기에서 한국에 패했지만, 요르단과 말레이시아를 꺾고 조 1위로 16강에 진출했다.[29] 16강에서는 일본에 1-3으로 패했다.[30]
2026년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에서는 4회 대회 만에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31] 최종 예선 첫 경기에서 오스트레일리아를 상대로 원정 승리를 거두며,[32][33][34] 2009년 이후 5559일 만의 월드컵 아시아 최종 예선 승리를 기록했다.[35]
밀란 마차라(Milan Macala) 감독이 이끈 바레인은 201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에서 사우디아라비아와 아시아 5위 결정전을 치렀다. 홈 1차전은 0-0 무승부로 끝났고,[36] 리야드(Riyadh) 원정 2차전에서 경기 종료 직전까지 1-1 상황이 이어졌다. 추가 시간 종료 직전 사우디아라비아가 역전 골을 넣었지만, 바레인은 코너킥에서 극적인 동점 골을 성공시키며 원정 다득점 우세로 아시아 5위를 확정지었다.[37]
3. 주요 성적
FIFA 월드컵바레인은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한 적은 없지만, 2006년과 2010년 대회 예선에서 대륙간 플레이오프까지 진출하며 월드컵 본선 진출에 근접했었다.
AFC 아시안컵AFC 아시안컵에서는 2004년 대회에서 4위를 차지하며 최고 성적을 기록했다. 당시 바레인은 개최국 중국과 베이징에서 2-2 무승부를 기록하고, 카타르와 1-1 무승부, 인도네시아를 3-1로 꺾고 8강에 진출했다. 8강에서는 우즈베키스탄을 승부차기 끝에 꺾었으나, 준결승에서 일본에 연장 접전 끝에 3-4로 패했다. 3·4위전에서는 이란에 2-4로 패하며 최종 4위를 기록했다.
아랍 걸프컵아랍 걸프컵에서는 2019년 대회에서 처음으로 우승을 차지했다. 그 이전에는 4번(1970, 1982, 1992, 2003) 준우승을 기록했다.
WAFF 챔피언십WAFF 챔피언십에서는 2019년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아랍컵아랍컵에서는 1985년과 2002년 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
팬아랍 게임팬아랍 게임에서는 2011년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대회 최고 성적 FIFA 월드컵 예선 탈락 (대륙간 플레이오프 진출 2회) AFC 아시안컵 4위 (2004) 아랍 걸프컵 우승 (2019) WAFF 챔피언십 우승 (2019) 아랍컵 준우승 (1985, 2002) 팬아랍 게임 우승 (2011)
3. 1. FIFA 월드컵
바레인은 1978년 대회부터 1986년 대회까지 1차 예선 또는 2차 예선에서 탈락했고, 1990년 대회는 기권했다. 1994년 대회와 1998년 대회에서는 1차 예선에서 탈락했다. 2002년 대회에서는 처음으로 최종 예선에 진출했으나 본선 진출에는 실패했다.
2006년 대회와 2010년 대회에서는 2회 연속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하며 바레인 축구 역사상 월드컵 예선 최고 성적을 거두었다.[36][37] 2006년 대륙간 플레이오프에서는 트리니다드 토바고에, 2010년 대륙간 플레이오프에서는 뉴질랜드에 밀려 2대회 연속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2014년 대회에서는 3차 예선에서 탈락하며 1998년 월드컵 예선 이후 최악의 성적을 기록했다. 2018년 대회와 2022년 대회에서는 2차 예선에서 탈락했다.
2026년 월드컵 북중미 지역 예선의 아시아 지역 예선에서 4회 대회 만에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31]
년도 | 결과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1930년 ~ 1974년 | 불참 또는 FIFA 회원국이 아니었음 | ||||||
1978년 | 예선 탈락 | 4 | 1 | 0 | 3 | 4 | 6 |
1982년 | 예선 탈락 | 4 | 1 | 0 | 3 | 1 | 6 |
1986년 | 예선 탈락 | 4 | 1 | 2 | 1 | 8 | 6 |
1990년 | 기권 | 기권 | |||||
1994년 | 예선 탈락 | 8 | 3 | 3 | 2 | 9 | 6 |
1998년 | 예선 탈락 | 4 | 1 | 0 | 3 | 3 | 9 |
2002년 | 예선 탈락 | 14 | 7 | 4 | 3 | 17 | 13 |
2006년 | 예선 탈락 | 16 | 5 | 6 | 5 | 21 | 14 |
2010년 | 예선 탈락 | 20 | 7 | 7 | 6 | 19 | 17 |
2014년 | 예선 탈락 | 6 | 2 | 3 | 1 | 13 | 7 |
2018년 | 예선 탈락 | 6 | 2 | 0 | 4 | 7 | 9 |
2022년 | 예선 탈락 | 8 | 4 | 3 | 1 | 15 | 4 |
2026년 | 미정 | 8 | 4 | 2 | 2 | 12 | 8 |
2030년 | 미정 | ||||||
2034년 | 미정 | ||||||
합계 | 예선 탈락 10회 | 102 | 38 | 30 | 34 | 129 | 105 |
3. 2. AFC 아시안컵
AFC 아시안컵에는 6번 본선에 출전했고 특히 2004년 대회 이후 5회 연속 아시안컵 본선에 올랐다. 이 가운데 2004년 대회에서 4위를 기록했는데 이는 바레인의 월드컵과 아시안컵을 통틀어 메이저 대회에서의 역대 최고 성적이다.[38]2004년 대회에서 바레인은 개최국 중국, 이웃 국가 카타르, 인도네시아와 같은 조에 편성되었다. 바레인은 조별 예선에서 베이징에서 중국과 2-2 무승부를 거두고, 카타르와 1-1 무승부를 기록한 후 인도네시아를 3-1로 완파하며 8강에 진출했다. 8강전에서는 우즈베키스탄과 승부차기 끝에 승리했다. 준결승에서 일본에 연장전까지 가는 접전 끝에 3-4로 아쉽게 패했고, 3·4위전에서는 이란에게 2-4로 패했다.[19][20][21][22]
2007년 아시안컵에서는 인도네시아, 대한민국, 사우디아라비아와 함께 D조에 편성되었다. 첫 경기에서 인도네시아에 패배했고[23], 두 번째 경기에서는 대한민국을 상대로 역전승을 거두었지만[24], 사우디아라비아와의 경기에서 패배하여 조 최하위로 탈락했다.
6번째 연속 출전이자 7번째 출전이었던 2023년 AFC 아시안컵에서는 조별 리그 첫 경기에서 한국에 패했지만 요르단과 말레이시아를 연달아 이기고 조 1위로 16강에 진출했다.[29] 16강에서는 일본과 맞붙었지만 1-3으로 패했다.[30]
AFC 아시안컵 기록 | AFC 아시안컵 예선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경기 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1956 | 불참 | 불참 | ||||||||||||||
1960 | ||||||||||||||||
1964 | ||||||||||||||||
1968 | 불참 | 불참 | ||||||||||||||
1972 | 예선 탈락 | 4 | 2 | 0 | 2 | 8 | 4 | |||||||||
1976 | 기권 | 기권 | ||||||||||||||
1980 | 예선 통과 후 기권 | 3 | 0 | 0 | 3 | 0 | 5 | |||||||||
1984 | 기권 | 기권 | ||||||||||||||
1988 | 조별리그 | 9위 | 4 | 0 | 2 | 2 | 1 | 3 | 3 | 2 | 1 | 0 | 4 | 0 | ||
1992 | 예선 탈락 | 2 | 0 | 0 | 2 | 1 | 5 | |||||||||
1996 | 기권 | 기권 | ||||||||||||||
2000 | 예선 탈락 | 6 | 3 | 0 | 3 | 6 | 6 | |||||||||
2004 | 4위 | 4위 | 6 | 1 | 3 | 2 | 13 | 14 | 6 | 4 | 1 | 1 | 14 | 9 | ||
2007 | 조별리그 | 13위 | 3 | 1 | 0 | 2 | 3 | 7 | 4 | 1 | 1 | 2 | 3 | 6 | ||
2011 | 10위 | 3 | 1 | 0 | 2 | 6 | 5 | 6 | 4 | 0 | 2 | 12 | 6 | |||
2015 | 12위 | 3 | 1 | 0 | 2 | 3 | 5 | 6 | 4 | 2 | 0 | 7 | 1 | |||
2019 | 16강 | 14위 | 4 | 1 | 1 | 2 | 3 | 4 | 14 | 7 | 1 | 6 | 25 | 13 | ||
2023 | 15위 | 4 | 2 | 0 | 2 | 4 | 6 | 11 | 7 | 3 | 1 | 15 | 4 | |||
2027 | 본선 진출 | 6 | 3 | 2 | 1 | 11 | 3 | |||||||||
합계 | 4위 | 8/19 | 27 | 7 | 6 | 14 | 33 | 44 | 68 | 33 | 10 | 23 | 106 | 62 |
3. 3. 걸프컵
바레인은 걸프컵에 24번 출전하여 2019년 대회에서 첫 우승을 차지하기 전까지 4번(1970년, 1982년, 1992년, 2003년) 준우승을 차지했다.[1]연도 | 결과 | 경기 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1970년 | 준우승 | 3 | 1 | 1 | 1 | 3 | 4 |
1972년 | 기록 없음 | - | - | - | - | - | - |
1974년 | 조별 리그 | 2 | 0 | 0 | 2 | 1 | 8 |
1976년 | 4위 | 6 | 3 | 0 | 3 | 9 | 15 |
1979년 | 6 | 2 | 2 | 2 | 8 | 9 | |
1982년 | 준우승 | 5 | 3 | 1 | 1 | 10 | 7 |
1984년 | 5위 | 6 | 1 | 2 | 3 | 3 | 6 |
1986년 | 6 | 1 | 4 | 1 | 4 | 5 | |
1988년 | 4위 | 6 | 3 | 0 | 3 | 4 | 4 |
1990년 | 3위 | 4 | 1 | 2 | 1 | 1 | 1 |
1992년 | 준우승 | 5 | 3 | 0 | 2 | 6 | 4 |
1994년 | 3위 | 5 | 1 | 3 | 1 | 5 | 6 |
1996년 | 5위 | 5 | 0 | 2 | 3 | 4 | 8 |
1998년 | 5 | 0 | 3 | 2 | 3 | 6 | |
2002년 | 4위 | 5 | 1 | 2 | 2 | 4 | 6 |
2003년 | 준우승 | 6 | 4 | 1 | 1 | 13 | 3 |
2004년 | 3위 | 5 | 2 | 2 | 1 | 10 | 6 |
2007년 | 4강 | 4 | 1 | 1 | 2 | 4 | 5 |
2009년 | 조별 리그 | 3 | 1 | 0 | 2 | 3 | 4 |
2010년 | 3 | 0 | 1 | 2 | 4 | 7 | |
2013년 | 4위 | 5 | 1 | 1 | 3 | 4 | 9 |
2014년 | 조별 리그 | 3 | 0 | 2 | 1 | 0 | 3 |
2017년 | 4강 | 4 | 1 | 2 | 1 | 3 | 3 |
2019년 | 우승 | 5 | 2 | 2 | 1 | 7 | 6 |
2023년 | 4강 | 4 | 2 | 1 | 1 | 5 | 4 |
총계 | 25/25 | 111 | 34 | 35 | 42 | 118 | 139 |
3. 4. 서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WAFF 챔피언십)
바레인은 서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에 4번 출전하여 2019년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27]WAFF 챔피언십 기록 | ||||||||
---|---|---|---|---|---|---|---|---|
연도 | 결과 | 경기 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2000년 | 불참 | |||||||
2002년 | ||||||||
2004년 | ||||||||
2007년 | ||||||||
2008년 | ||||||||
2010년 | 조별리그 | 2 | 1 | 0 | 1 | 2 | 3 | –1 |
2012년 | 4위 | 5 | 2 | 2 | 1 | 3 | 2 | +1 |
2014년 | 3위 | 4 | 0 | 3 | 1 | 0 | 1 | –1 |
2019년 | 우승 | 4 | 3 | 1 | 0 | 3 | 0 | +3 |
총계 | 9개 대회 중 4회 참가 | 15 | 6 | 6 | 3 | 8 | 6 |
3. 5. 아랍컵
FIFA 아랍컵에는 6번 출전하여 이 가운데 1985년과 2002년 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했고 나머지 4번의 대회에서는 모두 조별 리그 탈락의 고배를 마셨다.[1]연도 | 결과 | 경기 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1963년 | 불참 | ||||||
1964년 | 불참 | ||||||
1966년 | 조별 리그 | 4 | 0 | 1 | 3 | 7 | 22 |
1985년 | 준우승 | 4 | 1 | 2 | 1 | 4 | 3 |
1988년 | 조별 리그 | 4 | 0 | 3 | 1 | 2 | 3 |
1992년 | 불참 | ||||||
1998년 | 기권 | ||||||
2002년 | 준우승 | 6 | 3 | 1 | 2 | 8 | 5 |
2012년 | 조별 리그 | 3 | 0 | 0 | 3 | 1 | 8 |
2021년 | 조별 리그 | 3 | 0 | 1 | 2 | 0 | 4 |
총계 | 최고: 준우승 | 24 | 4 | 8 | 12 | 22 | 45 |
3. 6. 팬아랍 게임
팬아랍 게임 축구에는 2번 출전하여 2011년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1]아랍 게임 축구 기록 | |||||||
---|---|---|---|---|---|---|---|
년도 | 결과 | 경기 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1953년 | 불참 | ||||||
1957년 | |||||||
1961년 | |||||||
1965년 | |||||||
1976년 | |||||||
1985년 | |||||||
1997년 | |||||||
1999년 | 1라운드 | 2 | 0 | 0 | 2 | 0 | 6 |
2007년 | 불참 | ||||||
2011년 | 우승 | 4 | 3 | 1 | 0 | 9 | 3 |
총계 | 2/10 | 6 | 3 | 1 | 2 | 9 | 9 |
4. 국제 대회 기록
바레인은 여러 국제 대회에서 다양한 성적을 거두었다.
- '''FIFA 월드컵''': 최고 성적은 2006년과 2010년 지역 예선에서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한 것이다. 하지만 2006년에는 트리니다드 토바고에, 2010년에는 뉴질랜드에 밀려 본선 진출에는 실패했다.
- '''AFC 아시안컵''': 2004년 대회에서 4위를 기록한 것이 최고 성적이며, 이후 5회 연속 본선에 진출했다.
- '''아시안 게임''': 성인대표팀 시절에는 모두 조별리그에서 탈락했고, U-23 대표팀으로는 2002년 대회에서 8강, 2018년 대회에서 16강에 진출했다.
- '''걸프컵''': 2019년 대회에서 처음으로 우승했고, 1970년, 1982년, 1992년, 2003년 대회에서는 준우승을 차지했다.
- '''서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2019년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 '''FIFA 아랍컵''': 1985년 대회와 2002년 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
- '''팬아랍 게임''': 2011년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2018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에서 바레인은 우즈베키스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필리핀, 예멘과 같은 조에 속해 4위를 기록하며 부진했다. 이로 인해 세르히오 바티스타 감독이 경질되고 미로슬라프 소우쿠프 감독이 새로 선임되었다.
이후 2019년 AFC 아시안컵 예선에서 투르크메니스탄, 중화 타이베이, 싱가포르와 같은 조에서 1위를 차지했지만, 약체 싱가포르와 무승부를 기록하고 중화 타이베이에 패하는 등 경기력은 좋지 않았다. 이러한 부진 속에서도 바레인은 쿠웨이트에서 열린 제23회 아랍 걸프컵에서 준결승에 진출하며 가능성을 보였다.
4. 1. FIFA 월드컵
바레인은 2006년과 2010년 지역 예선에서 2회 연속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하며 바레인 축구 역사상 월드컵 예선 최고 성적을 기록했다. 그러나 2006년 대륙간 플레이오프에서는 트리니다드 토바고에, 2010년 대륙간 플레이오프에서는 뉴질랜드에 밀려 2회 연속 예선 탈락했다.[36][37]2014년 월드컵 예선에서는 3차 예선에서 인도네시아, 이란, 카타르와 같은 조에 편성되었으나, 이란에게 원정 경기에서 6-0으로 패하고 나머지 3경기는 비기면서 1998년 월드컵 예선 이후 최악의 성적으로 탈락했다.
2022년 월드컵 예선에서는 이란을 1-0으로 꺾는 이변을 연출했지만,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홈 이점을 잃고, 선수단 정비에 어려움을 겪으며 결국 2차 예선에서 탈락했다.
2026년 월드컵 예선에서는 4회 대회 만에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31] 최종 예선 첫 경기에서 과거 5전 전패였던 오스트레일리아를 상대로 원정 경기에서 승리하며, 2009년 6월 17일 우즈베키스탄전 이후 5559일 만에 월드컵 아시아 최종 예선 승리를 기록했다.[32][33][34][35]
FIFA 월드컵 기록 | FIFA 월드컵 예선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1930년 ~ 1954년 | colspan=8 | | colspan=6 | | |||||||||||||
1958년 ~ 1966년 | FIFA 회원국이 아니었음 | FIFA 회원국이 아니었음 | |||||||||||||
1970년 및 1974년 | 불참 | 불참 | |||||||||||||
1978년 | 예선 탈락 | 4 | 1 | 0 | 3 | 4 | 6 | ||||||||
1982년 | 4 | 1 | 0 | 3 | 1 | 6 | |||||||||
1986년 | 4 | 1 | 2 | 1 | 8 | 6 | |||||||||
1990년 | 기권 | 기권 | |||||||||||||
1994년 | 예선 탈락 | 8 | 3 | 3 | 2 | 9 | 6 | ||||||||
1998년 | 4 | 1 | 0 | 3 | 3 | 9 | |||||||||
2002년 | 14 | 7 | 4 | 3 | 17 | 13 | |||||||||
2006년 | 16 | 5 | 6 | 5 | 21 | 14 | |||||||||
2010년 | 20 | 7 | 7 | 6 | 19 | 17 | |||||||||
2014년 | 6 | 2 | 3 | 1 | 13 | 7 | |||||||||
2018년 | 6 | 2 | 0 | 4 | 7 | 9 | |||||||||
2022년 | 8 | 4 | 3 | 1 | 15 | 4 | |||||||||
2026년 | 미정 | 8 | 4 | 2 | 2 | 12 | 8 | ||||||||
2030년 | 미정 | ||||||||||||||
2034년 | |||||||||||||||
합계 | − | − | − | − | − | − | − | 102 | 38 | 30 | 34 | 129 | 105 |
4. 2. AFC 아시안컵
AFC 아시안컵에는 총 7번 본선에 진출하여 2004년 대회에서 4위를 기록했으며, 이는 바레인이 FIFA 월드컵과 아시안컵을 통틀어 메이저 대회에서 거둔 역대 최고 성적이다. 2004년 이후 5회 연속 아시안컵 본선에 진출했다.AFC 아시안컵 기록 | colspan=6 | AFC 아시안컵 예선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경기 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1956 | 불참 | 불참 | ||||||||||||||
1960 | ||||||||||||||||
1964 | ||||||||||||||||
1968 | 불참 | 불참 | ||||||||||||||
1972 | 예선 탈락 | 4 | 2 | 0 | 2 | 8 | 4 | |||||||||
1976 | 기권 | 기권 | ||||||||||||||
1980 | 예선 통과 후 기권 | 3 | 0 | 0 | 3 | 0 | 5 | |||||||||
1984 | 기권 | 기권 | ||||||||||||||
1988 | 조별리그 | 9위 | 4 | 0 | 2 | 2 | 1 | 3 | 3 | 2 | 1 | 0 | 4 | 0 | ||
1992 | 예선 탈락 | 2 | 0 | 0 | 2 | 1 | 5 | |||||||||
1996 | 기권 | 기권 | ||||||||||||||
2000 | 예선 탈락 | 6 | 3 | 0 | 3 | 6 | 6 | |||||||||
2004 | 4위 | 4위 | 6 | 1 | 3 | 2 | 13 | 14 | 6 | 4 | 1 | 1 | 14 | 9 | ||
2007 | 조별리그 | 13위 | 3 | 1 | 0 | 2 | 3 | 7 | 4 | 1 | 1 | 2 | 3 | 6 | ||
2011 | 10위 | 3 | 1 | 0 | 2 | 6 | 5 | 6 | 4 | 0 | 2 | 12 | 6 | |||
2015 | 12위 | 3 | 1 | 0 | 2 | 3 | 5 | 6 | 4 | 2 | 0 | 7 | 1 | |||
2019 | 16강 | 14위 | 4 | 1 | 1 | 2 | 3 | 4 | 14 | 7 | 1 | 6 | 25 | 13 | ||
2023 | 15위 | 4 | 2 | 0 | 2 | 4 | 6 | 11 | 7 | 3 | 1 | 15 | 4 | |||
2027 | 본선 진출 | 6 | 3 | 2 | 1 | 11 | 3 | |||||||||
합계 | 4위 | 8/19 | 27 | 7 | 6 | 14 | 33 | 44 | 68 | 33 | 10 | 23 | 106 | 62 |
2004년 대회에서 바레인은 개최국 중국, 카타르, 인도네시아와 한 조에 속해 중국, 카타르와 비기고 인도네시아를 꺾으며 조 2위로 8강에 진출했다.[19] 8강전에서 우즈베키스탄을 승부차기 끝에 꺾고[20] 준결승에 진출했으나, 일본에 3-4로 패했다.[21] 3·4위 결정전에서도 이란에 2-4로 패하며 4위를 기록했다.[22]
2007년 대회에서는 인도네시아, 대한민국, 사우디아라비아와 D조에 속했다. 첫 경기에서 인도네시아에 패했지만,[23] 대한민국을 상대로 역전승을 거두었다.[24] 그러나 사우디아라비아에 패하며 1승 2패로 조 최하위에 머물며 탈락했다.
2019년 AFC 아시안컵에서는 인도, 태국, 개최국 아랍에미리트와 A조에 편성되었다. 개최국과의 경기에서 1-1 무승부를 기록했고, 태국에 0-1로 패했지만, 인도와의 최종전에서 자말 라시드의 페널티킥 결승골로 1-0으로 승리하며 조 2위로 16강에 진출했다. 16강전에서는 대한민국에 연장전 끝에 1-2로 패했다.
2023년 AFC 아시안컵에서는 한국, 요르단, 말레이시아와 E조에 속했다. 첫 경기에서 한국에 패했지만, 이후 말레이시아와 요르단을 꺾고 조 1위로 16강에 진출했다.[29] 16강전에서 일본에 1-3으로 패했다.[30]
4. 3. 아시안 게임
성인대표팀 시절에는 4번 출전했지만 모두 조별리그에서 탈락했고 U-23 대표팀으로는 4번 참가하여 2002년 대회에서 8강에 이름을 올리며 바레인 축구 역사상 아시안 게임 최고 성적을 거두었고 2018년 대회에서는 16강에 올랐다.[1]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1951년 ~ 1970년 | 독립 이전 또는 불참 | ||||||||
1974년 | 조별리그 | 14위 | 3 | 0 | 0 | 3 | 1 | 15 | 0 |
1978년 | 조별리그 | 14위 | 3 | 0 | 0 | 3 | 1 | 12 | 0 |
1982년 | 불참 | ||||||||
1986년 | 조별리그 | 12위 | 3 | 1 | 1 | 1 | 4 | 5 | 4 |
1990년 | 불참 | ||||||||
1994년 | 조별리그 | 10위 | 4 | 1 | 2 | 1 | 6 | 5 | 5 |
1998년 | 불참 | ||||||||
합계 | 4회 출전 | 조별리그(4회) | 13 | 2 | 3 | 8 | 12 | 37 | 9 |
2002년 대회부터는 U-23 대표팀이 출전하고 있다.[1]
4. 4. 걸프컵
걸프컵에는 24번 출전하여 1970년, 1982년, 1992년, 2003년 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하였고, 2019년 대회에서 사우디아라비아를 1-0으로 꺾고 처음으로 우승컵을 들어올렸다.[39]개최년도 | 결과 | 경기 수 | 승리 | 무승부 | 패배 | 득점 | 실점 |
---|---|---|---|---|---|---|---|
1970년 | 준우승 | 3 | 1 | 1 | 1 | 3 | 4 |
1972년 | 기록 없음 | - | - | - | - | - | - |
1974년 | 조별 리그 탈락 | 2 | 0 | 0 | 2 | 1 | 8 |
1976년 | 4위 | 6 | 3 | 0 | 3 | 9 | 15 |
1979년 | 4위 | 6 | 2 | 2 | 2 | 8 | 9 |
1982년 | 준우승 | 5 | 3 | 1 | 1 | 10 | 7 |
1984년 | 5위 | 6 | 1 | 2 | 3 | 3 | 6 |
1986년 | 5위 | 6 | 1 | 4 | 1 | 4 | 5 |
1988년 | 4위 | 6 | 3 | 0 | 3 | 4 | 4 |
1990년 | 3위 | 4 | 1 | 2 | 1 | 1 | 1 |
1992년 | 준우승 | 5 | 3 | 0 | 2 | 6 | 4 |
1994년 | 3위 | 5 | 1 | 3 | 1 | 5 | 6 |
1996년 | 5위 | 5 | 0 | 2 | 3 | 4 | 8 |
1998년 | 5위 | 5 | 0 | 3 | 2 | 3 | 6 |
2002년 | 4위 | 5 | 1 | 2 | 2 | 4 | 6 |
2003년 | 준우승 | 6 | 4 | 1 | 1 | 13 | 3 |
2004년 | 3위 | 5 | 2 | 2 | 1 | 10 | 6 |
2007년 | 4강 | 4 | 1 | 1 | 2 | 4 | 5 |
2009년 | 조별 리그 탈락 | 3 | 1 | 0 | 2 | 3 | 4 |
2010년 | 조별 리그 탈락 | 3 | 0 | 1 | 2 | 4 | 7 |
2013년 | 4위 | 5 | 1 | 1 | 3 | 4 | 9 |
2014년 | 조별 리그 탈락 | 3 | 0 | 2 | 1 | 0 | 3 |
2017년 | 4강 | 4 | 1 | 2 | 1 | 3 | 3 |
2019년 | 우승 | 5 | 2 | 2 | 1 | 7 | 6 |
2023년 | 4강 | 4 | 2 | 1 | 1 | 5 | 4 |
총계 | 25/25 | 111 | 34 | 35 | 42 | 118 | 139 |
4. 5. 서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서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에는 4번 출전하여 2019년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27]WAFF 챔피언십 기록 | ||||||||
---|---|---|---|---|---|---|---|---|
연도 | 결과 | 경기 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2000년 | 불참 | |||||||
2002년 | ||||||||
2004년 | ||||||||
2007년 | ||||||||
2008년 | 기권 | |||||||
2010년 | 조별리그 | 2 | 1 | 0 | 1 | 2 | 3 | –1 |
2012년 | 4위 | 5 | 2 | 2 | 1 | 3 | 2 | +1 |
2014년 | 3위 | 4 | 0 | 3 | 1 | 0 | 1 | –1 |
2019년 | 우승 | 4 | 3 | 1 | 0 | 3 | 0 | +3 |
총계 | 9개 대회 중 4회 참가 | 15 | 6 | 6 | 3 | 8 | 6 | +2 |
4. 6. FIFA 아랍컵
FIFA 아랍컵에는 6번 출전하여 이 가운데 1985년 대회와 2002년 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했고 나머지 4번의 대회에서는 모두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개최년도 | 결과 | 경기 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1963 | 불참 | ||||||
1964 | |||||||
1966 | 5위 | 4 | 0 | 1 | 3 | 7 | 22 |
1985 | 준우승 | 4 | 1 | 2 | 1 | 4 | 3 |
1988 | 조별리그 탈락 | 4 | 0 | 3 | 1 | 2 | 3 |
1992 | 불참 | ||||||
1998 | 기권 | ||||||
2002 | 준우승 | 6 | 3 | 1 | 2 | 8 | 5 |
2012 | 조별리그 탈락 | 3 | 0 | 0 | 3 | 1 | 8 |
2021 | 3 | 0 | 1 | 2 | 0 | 4 | |
합계 | 6/10 | 24 | 4 | 8 | 12 | 22 | 45 |
4. 7. 팬아랍 게임
팬아랍 게임 축구에는 2번 출전하여 2011년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40]아랍 게임 축구 기록 | |||||||
---|---|---|---|---|---|---|---|
년도 | 결과 | 경기 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1953년 | 불참 | ||||||
1957년 | |||||||
1961년 | |||||||
1965년 | |||||||
1976년 | |||||||
1985년 | |||||||
1997년 | |||||||
1999년 | 1라운드 | 2 | 0 | 0 | 2 | 0 | 6 |
2007년 | 불참 | ||||||
2011년 | 우승 | 4 | 3 | 1 | 0 | 9 | 3 |
총계 | 2/10 | 6 | 3 | 1 | 2 | 9 | 9 |
5. 선수
바레인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했거나 현재 활동 중인 주요 선수들은 다음과 같다.
- 사예드 모하메드 자페르
- 왈리드 알하얌
- 사예드 디야 사이드
- 이스마일 압둘라티프
- 사미 알후사이니
- 압둘와하브 알말루드
- 압둘라 알하자이아
- 모하메드 하산
- 모하메드 살민
- 제이시 존 오쿤와네

'''사이드 모하메드 자페르'''는 바레인 축구 국가대표팀 최다 출전 기록(162경기)을 보유하고 있다.[11][12] '''이스마일 압둘라티프'''는 바레인 축구 국가대표팀 최다 득점자(48골)이다.[11][12]
순위 | 선수명 | 출전 경기 수 | 득점 | 활동 기간 |
---|---|---|---|---|
1 | 사이드 모하메드 자페르 | 162 | 0 | 2004년–현재 |
2 | 모하메드 후세인 | 161 | 10 | 1997년–2015년 |
3 | 살만 이사 | 160 | 24 | 2001년–2012년 |
4 | 모하메드 살민 | 146 | 10 | 2000년–2013년 |
5 | 이스마일 압둘라티프 | 135 | 48 | 2005년–현재 |
6 | 사이드 마흐무드 자랄 | 125 | 6 | 1998년–2010년 |
7 | 후세인 알리 바바 | 124 | 8 | 2001년–2016년 |
8 | 탈랄 유세프 | 118 | 28 | 1998년–2009년 |
9 | 사이드 디야 사이드 | 117 | 8 | 2011년–현재 |
10 | 왈리드 알하얌 | 116 | 0 | 2010년–현재 |
순위 | 이름 | 골 | 출전 | 활동 기간 |
---|---|---|---|---|
1 | 이스마일 압둘라티프 | 48 | 135 | 2005년–현재 |
2 | 후세인 알리 | 33 | 115 | 1998년–2013년 |
3 | 탈랄 유세프 | 28 | 118 | 1998년–2009년 |
4 | 아알라 후바일 | 26 | 88 | 2003년–2009년 |
5 | 살만 이사 | 24 | 160 | 2001년–2012년 |
6 | 파우지 아이시 | 20 | 104 | 2004년–2016년 |
7 | 모하메드 알-로마이히 | 16 | 46 | 2010년–2022년 |
모하메드 마룬 | 16 | 67 | 2018년–현재 | |
9 | 압둘라 유수프 헬랄 | 13 | 90 | 2015년–현재 |
마무드 압둘라흐만 | 13 | 91 | 2006년–2014년 | |
알리 마단 | 13 | 92 | 2016년–현재 | |
카밀 알-아스와드 | 13 | 108 | 2015년–현재 |
5. 1. 현재 선수 명단
다음은 2024년 10월 10일과 15일에 열린 2026 FIFA 월드컵 예선 인도네시아Indonesiaid 및 사우디아라비아السعوديةar전을 위해 소집된 27명의 선수 명단이다.[10]''2024년 6월 12일 الإمارات العربية المتحدةar (아랍에미리트)와의 경기 후 기준 출전 경기 수와 득점 수이다.''
포지션 | 등번호 | 이름 | 생년월일 | 출전 경기 수 | 득점 수 | 현재 소속팀 | |
---|---|---|---|---|---|---|---|
GK | 21 | 사예드 모하메드 자페르 | Sayed Mohammed Jaffer영어 | 1985년 8월 25일 | 162 | 0 | 알무하라크 SC |
GK | 22 | 이브라힘 루트팔라 | Ebrahim Lutfalla영어 | 1992년 9월 24일 | 14 | 0 | 알아흘리 클럽 (마나마) |
GK | 1 | 아마르 모하메드 | Ammar Mohamed영어 | 1999년 2월 10일 | 3 | 0 | 알칼리디야 SC |
DF | - | 사예드 디야 사에드 | Sayed Dhiya Saeed영어 | 1992년 7월 17일 | 112 | 8 | 알칼리디야 SC |
DF | 2 | 아민 베나디 | Amine Benaddi영어 | 1993년 5월 9일 | 23 | 0 | 알무하라크 SC |
DF | 17 | 사예드 바케르 | Sayed Baqer영어 | 1994년 4월 14일 | 30 | 0 | 알리파 SC |
DF | 3 | 왈리드 알 하얌 | Waleed Al Hayam영어 | 1988년 11월 4일 | 114 | 0 | 알무하라크 SC |
DF | 5 | 하마드 알샴산 | Hamad Al-Shamsan영어 | 1997년 9월 29일 | 21 | 0 | 알리파 SC |
DF | 23 | 압둘라 알훌라시 | Abdulla Al-Khulasi영어 | 2003년 9월 2일 | 10 | 1 | 알무하라크 SC |
DF | 6 | 아메드 나빌 | Ahmed Nabeel영어 | 1995년 8월 25일 | 10 | 0 | 마나마 클럽 |
DF | 18 | 하자 알리 | Hazza Ali영어 | 1995년 6월 9일 | 6 | 0 | 알리파 SC |
DF | 17 | 빈센트 에마누엘 | Vincent Emmanuel영어 | 2001년 4월 29일 | 2 | 0 | 시트라 클럽 |
MF | 14 | 알리 하람 | Ali Haram영어 | 1988년 12월 11일 | 49 | 5 | 알리파 SC |
MF | 13 | 모세스 아테데 | Moses Atede영어 | 1997년 12월 17일 | 3 | 0 | 쿠칭 시티 FC |
MF | 11 | 이브라힘 알카탈 | Ebrahim Al-Khattal영어 | 2000년 9월 19일 | 19 | 3 | 마나마 클럽 |
MF | 8 | 모하메드 마룬 | Mohamed Marhoon영어 | 1998년 2월 12일 | 65 | 16 | 쿠웨이트 SC |
MF | 19 | 카밀 알아스와드 | Kamil Al-Aswad영어 | 1994년 4월 8일 | 106 | 13 | 알리파 SC |
MF | 10 | 압둘와합 알말루드 | Abdulwahab Al-Malood영어 | 1990년 6월 7일 | 79 | 5 | 알무하라크 SC |
MF | 7 | 알리 마단 | Ali Madan영어 | 1995년 11월 30일 | 85 | 11 | 아즈만 클럽 |
MF | 4 | 압바스 알아스푸르 | Abbas Al-Asfoor영어 | 1999년 2월 2일 | 13 | 0 | 알아흘리 클럽 (마나마) |
MF | - | 사예드 샤라프 | Sayed Sharaf영어 | 2002년 12월 23일 | 0 | 0 | 알아흘리 클럽 (마나마) |
FW | 20 | 마흐디 알후메이단 | Mahdi Al-Humaidan영어 | 1993년 5월 19일 | 56 | 5 | 알칼리디야 SC |
FW | 12 | 마흐디 압둘자바르 | Mahdi Abduljabbar영어 | 1991년 6월 25일 | 37 | 12 | 마나마 클럽 |
FW | 15 | 자심 알셰이크 | Jasim Al-Shaikh영어 | 1996년 2월 1일 | 60 | 4 | 알리파 SC |
FW | - | 하심 사예드 이사 | Hashim Sayed Isa영어 | 1998년 4월 3일 | 17 | 6 | 알리파 SC |
FW | 9 | 후세인 압둘카림 | Husain Abdulkarim영어 | 2002년 5월 14일 | 4 | 0 | 알무하라크 SC |
FW | - | 사예드 알와다에이 | Sayed Al-Wadaei영어 | 2008년 7월 8일 | 0 | 0 | 비야레알 CF 유소년팀 |
5. 2. 역대 주요 선수
'''사이드 모하메드 자페르'''는 162경기로 바레인 축구 국가대표팀 최다 출전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11][12] '''이스마일 압둘라티프'''는 48골로 바레인 축구 국가대표팀 최다 득점자이다.[11][12]순위 | 선수명 | 출전 경기 수 | 득점 | 활동 기간 |
---|---|---|---|---|
1 | 사이드 모하메드 자페르 | 162 | 0 | 2004년–현재 |
2 | 모하메드 후세인 | 161 | 10 | 1997년–2015년 |
3 | 살만 이사 | 160 | 24 | 2001년–2012년 |
4 | 모하메드 살민 | 146 | 10 | 2000년–2013년 |
5 | 이스마일 압둘라티프 | 135 | 48 | 2005년–현재 |
6 | 사이드 마흐무드 자랄 | 125 | 6 | 1998년–2010년 |
7 | 후세인 알리 바바 | 124 | 8 | 2001년–2016년 |
8 | 탈랄 유세프 | 118 | 28 | 2001년–2016년 |
9 | 사이드 디야 사이드 | 117 | 8 | 2011년–현재 |
10 | 왈리드 알하얌 | 116 | 0 | 2010년–현재 |
순위 | 이름 | 골 | 출전 | 활동 기간 | |
---|---|---|---|---|---|
1 | 이스마일 압둘라티프 | 48 | 135 | 0.36 | 2005년–현재 |
2 | 후세인 알리 | 33 | 115 | 0.29 | 1998년–2013년 |
3 | 탈랄 유세프 | 28 | 118 | 0.24 | 1998년–2009년 |
4 | 아알라 후바일 | 26 | 88 | 0.30 | 2003년–2009년 |
5 | 살만 이사 | 24 | 160 | 0.15 | 2001년–2012년 |
6 | 파우지 아이시 | 20 | 104 | 0.19 | 2004년–2016년 |
7 | 모하메드 알-로마이히 | 16 | 46 | 0.35 | 2010년–2022년 |
모하메드 마룬 | 16 | 67 | 0.24 | 2018년–현재 | |
9 | 압둘라 유수프 헬랄 | 13 | 90 | 0.14 | 2015년–현재 |
마무드 압둘라흐만 | 13 | 91 | 0.14 | 2006년–2014년 | |
알리 마단 | 13 | 92 | 0.14 | 2016년–현재 | |
카밀 알-아스와드 | 13 | 108 | 0.12 | 2015년–현재 |
6. 감독
바레인 축구 국가대표팀의 감독직은 여러 국적의 감독들이 역임했다. 키스 버킨쇼 감독(1984-1986년)과 요제프 히켈스베르거 감독(1996년)이 팀을 이끌었다. 볼프강 지드카 감독은 2000년부터 2002년, 2005년에 걸쳐 감독직을 수행했고, 슬레코 유리시치 감독은 2003년부터 2005년까지 팀을 맡았다.[17]
루카 페르조비치 감독(2005-2006년), 한스-페터 브리겔 감독(2006-2007년), 밀란 마차라 감독(2007-2010년), 요제프 히켈스베르거 감독(2010년), 살만 샤리다 감독(2010-2011년), 피터 테일러 감독(2011-2012년)이 차례로 팀을 지도했다.[17]
이후 가브리엘 칼데론 감독(2012-2013년), 앤서니 허드슨 감독(2013-2014년), 아드난 하마드 감독(2014년), 세르히오 바티스타 감독(2015-2016년), 미로슬라프 소우쿠프 감독(2016-2019년), 엘리우 소자 감독(2019-2023년)을 거쳐, 2023년부터 후안 안토니오 피치 감독이 바레인 대표팀을 이끌고 있다.[17]
6. 1. 역대 감독
압둘-살람 알람이집트
칼리파 알함단
마이클 고먼
1992년–1993년
2005년
잉글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