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바로타 (간선급행버스체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로타는 세종특별자치시의 간선급행버스체계(BRT) 브랜드로, B0, B1, B2, B3, B4, B5, B6, B7 등 여러 노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노선은 세종시와 인근 지역을 연결하며, 세종도시교통공사, 대전비알티, 청주시내버스 등이 운행한다. B0은 세종시 내부 순환 노선이며, B1은 대전역, B2는 반석역, B3는 청주국제공항, B4는 오송역, B5는 1생활권, B6는 B2번 혼잡도 완화, B7은 청주시 서부 지역을 각각 연결한다. 2021년 '바로타' 브랜드 도입과 함께 노선 번호가 변경되었으며, 일부 노선은 현금 승차가 제한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간선급행버스체계 - 하남축 간선급행버스체계
    하남축 간선급행버스체계는 경기도 하남시를 중심으로 수도권 동남부 지역을 연결하는 BRT로, 2011년 전 구간 개통 후 버스 속도 향상 및 운행 시간 편차 감소 등의 효과를 보이며 지역 주민의 주요 이동 수단으로 자리 잡았다.
  • 대한민국의 간선급행버스체계 - 고양축 간선급행버스체계
    고양축 간선급행버스체계는 수도권 서북부 교통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고양시와 서울특별시를 연결하는 대중교통 체계로, 2006년 대화역에서 수색역까지 전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현재 다양한 버스 노선이 운행되고 있다.
  • 세종특별자치시의 버스 교통 - 세종특별자치시의 시내버스
    세종특별자치시의 시내버스는 BRT, 광역, 간선, 지선, 마을버스 등 다양한 노선 유형으로 구성되어 세종교통, 금남고속, 충남교통 등이 운영하며, 운임은 노선 종류, 연령, 결제 방식에 따라 다르다.
  • 세종특별자치시의 버스 교통 -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은 세종특별자치시에 위치하며, 서울, 부산 등 주요 도시로 운행하는 고속버스 노선과 수도권 및 충청, 호남, 영남, 강원 지역으로 운행하는 시외버스 노선이 있는 터미널이다.
  • 대전광역시의 버스 교통 - 대전복합터미널
    대전복합터미널은 1979년 개장한 종합 버스터미널로 고속버스터미널과 시외버스터미널을 통합 운영하며, 전국 각지로 운행하는 버스 노선을 제공한다.
  • 대전광역시의 버스 교통 - 대전청사버스정류장
    대전청사버스정류장은 대전광역시 서구 둔산동에 위치하며, 서울, 광주, 전주 등 주요 도시를 연결하는 고속버스 노선과 김포국제공항, 동서울, 인천국제공항 등 다양한 지역을 잇는 시외버스 노선을 운영하는 버스 정류장이다.
바로타 (간선급행버스체계)
노선 버스 정보
바로타 버스 사진
이름바로타
체계세종시내버스
대전시내버스
청주시내버스
운영세종교통 (B7)
세종도시교통공사 (B0, B2, B4, B5, B6)
대전비알티 (B1)
청주시내버스준공영제관리위원회 (B3, B7)
대수12 (B0)
20 (B1)
17 (B2)
11 (B3)
4 (B4)
8 (B5)
4 (B6)
10 (B7)
개통일2018년 2월 3일 (B0)
2016년 7월 20일 (B1)
2013년 4월 22일 (B2)
2012년 6월 1일 (B3)
2022년 9월 1일 (B4)
2021년 2월 5일 (B5)
2024년 5월 11일 (B6)
2024년 8월 3일 (B7)
형태간선급행버스체계
지역세종특별자치시
대전광역시
충청북도 청주시
기점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 (B0, B5, B6)
대전역 (B1)
반석역 (B2, B4)
청주국제공항 (B3)
집현동 (B7)
종점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 (B0, B3, B5)
오송역 (B1, B2, B4, B6)
비하동 (B7)
배차 간격4~15분 (B0)
5~15분 (B1)
3~20분 (B2)
18~30분 (B3)
13~25분 (B4)
15~20분 (B5)
5~100분 (B6)
20~25분 (B7)
휴일 배차 간격4~15분 (B0)
14~20분 (B1)
3~20분 (B2)
18~30분 (B3)
13~25분 (B4)
20~25분 (B5)
20~25분 (B7)
운행 시각05:36~24:40 (B0)
05:30~23:40 (B1)
05:00~24:30 (B2)
06:00~22:00 (B3)
05:33~23:13 (B4)
06:05~23:07 (B5)
05:10~24:35 (B6)
05:40~23:15 (B7)
운임1400~2100원
시각표B0
B1
B2
B3
B5
B6
B7
노선 지도

2. 운행 노선

전기굴절버스 운행
구 900번B1대전비알티대전역오송역대덕구청, 대덕산업단지, 세종시청·교육청·시의회, 세종터미널, 한솔동, 정부세종청사, 도담동5~1505:30~23:40구 1001번B2세종도시교통공사반석역오송역세종터미널, 한솔동, 나성동, 다정동, 정부세종청사, 도담동, 누리리3~2005:00~24:30구 990번B3청주시내버스준공영제관리위원회청주국제공항세종터미널오창프라자, 청주소로초등학교, 보건의료행정타운, 오송역, 도담동, 정부세종청사, 나성동, 한솔동18~3006:00~22:40구 757번B4세종도시교통공사반석역오송역세종터미널, 세종시청, 국책연구단지, 산학연클러스터, 다솜동4005:33~23:13B5세종도시교통공사세종터미널세종터미널한솔동, 고운뜰공원, 도담동, 세종소방서, 반곡동, 새나루마을1단지, KDI, 세종시청15~2506:05~23:07양방향 순환 노선
1-1, 1-2, 1-3생활권 경유 보조BRT 노선B6세종도시교통공사세종터미널오송역한솔동, 나성동, 다정동, 정부세종청사, 도담동, 누리리5~10005:15~24:00B7세종교통
청주시내버스준공영제관리위원회집현동↔비하동세종국책연구단지, 세종시청, 세종터미널, 한솔동, 정부세종청사, 세종충남대병원, 해밀동, 다솜동, 가경동아이파크5단지, 청주임시고속버스터미널, 충북선거관리위원회, 비하동효성아파트, 신영지웰시티, 현대백화점, 롯데쇼핑몰20~2505:40~23:15


2. 1. B0

한누리대로를 따라 행정중심복합도시 내부를 순환하는 노선이다.

원래는 2018년 2월 3일부터 '''900'''번이라는 번호로 운행을 시작했다. 개통 초기에는 한별리에서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을 거쳐 반곡동까지만 왕복하는 비교적 짧은 구간을 운행했다. 이후 2020년 1월 23일, 현대 일렉시티 굴절 전기버스 4대가 도입되면서 노선이 크게 개편되어 한누리대로 전체 구간을 순환하는 형태로 변경되었다.[1] 다만, 아직 개발이 완료되지 않은 생활권에 위치한 일부 정류장은 정차하지 않고 통과한다.

2021년 1월 1일부터는 행복도시권 광역 BRT 브랜드인 '바로타'가 도입됨에 따라 노선 번호가 '''B0'''번으로 바뀌었다. 같은 해 4월 1일에는 현대 일렉시티 굴절 전기버스 8대가 추가로 투입되어, 이 노선을 운행하는 모든 차량이 굴절 전기버스로 교체되었다.

B0 노선은 운행 방식에 따라 두 가지 종류로 나뉜다. 하나는 세종터미널 지상 정류소에서 운행을 마치는 '터미널'행이고, 다른 하나는 지상 정류소를 거치지 않고 지하 정류소와 대평동 정류소를 직접 연결하는 '순환'행이다. 승객 편의를 위해 대평동, 세종터미널(지상 및 지하), 한솔동 정류소에서는 B0 노선 간 무료 환승이 가능하다.

세종도시교통공사의 정책 변화에 따라, 2022년 1월 1일부터는 B0 노선에서 현금으로 요금을 지불할 수 없게 되었다. 이 정책 시행에 앞서 2021년 1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약 두 달간 시범 운영 기간을 거쳤다.[2]

2. 2. B1

오송역대전역을 연결하며, 정부세종청사,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 세종특별자치시청 등을 경유하는 노선이다. 북쪽 기점인 오송역에서는 3번 승강장에서 승차하고, 1번 또는 9번 승강장에서 하차한다.

2016년 7월 20일, 1001[3]이라는 번호로 처음 운행을 시작하였다. 운송사업자로는 대전광역시의 시내버스 업체인 선진여객이 선정되었으며,[4] 선진여객 컨소시엄의 출자를 통해 대전비알티가 설립되었다. 다만, 노선 운송사업자 선정 과정에서 청주시 시내버스 업체들이 배제되면서 반발이 있기도 했다.[5]

2021년 1월 1일부터 행복도시권 광역 BRT 브랜드 '바로타'가 도입됨에 따라 노선 번호가 B1번으로 변경되었다. 같은 해 7월 1일부터는 대전광역시의 시내버스 현금 승차 제한 정책 시범 운영 노선으로 선정되어 교통카드로만 요금을 지불할 수 있게 되었다. 한 달간의 계도 기간을 거친 후 차량 내 요금함과 잔돈 지급기가 철거되어 현금 승차는 완전히 금지되었다.[6]

2. 3. B2

오송역반석역 사이를 운행하며 세종시 시내를 통과하는 노선으로, 한누리대로 서측 구간을 경유한다.[7] 북쪽 기점인 오송역에서는 4번 승강장에서 승차하고, 1번 또는 9번 승강장에서 하차한다.

반석역 ~ 행정중심복합도시 ~ 오송역을 잇는 31.2km 구간의 BRT 도로는 2012년 9월 19일에 개통되었다.[7] 정식 개통 전인 2012년 9월에는 '''9400'''번이라는 번호로 시범 운행을 하였으며, 이 기간 동안에는 무료로 이용할 수 있었다. 이후 2013년 4월 22일에 '''990'''번으로 노선 번호를 변경하고 정식 운행을 시작하면서 유료화되었다.

개통 초기부터 2018년까지는 세종교통이 운행을 맡았으나, 2018년 12월 1일부터 세종도시교통공사로 노선 운영권과 차량이 넘겨져 운행 중이다. 2021년 1월 1일에는 행복도시권 광역 BRT 브랜드인 '바로타'가 도입됨에 따라 노선 번호가 '''B2'''번으로 변경되었다.

세종도시교통공사의 정책 변경으로 2022년 1월 1일부터 현금 승차가 제한되었으며, 이에 앞서 2021년 1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시범 운영 기간을 가졌다.[2]

2. 4. B3

청주국제공항 - 오창과학산업단지 - 오송생명과학단지 - 오송역 - 정부세종청사 -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 구간을 운행하는 노선이다. 중간 경유지인 오송역버스환승센터에서는 세종터미널행의 경우 2번 승강장에서, 청주공항행의 경우 6번 승강장에서 승하차한다.

2012년 6월 1일부터 운행을 시작했으며, BRT 시범운행 기간에는 9400번과 함께 '''751'''/'''751-1'''번으로 한솔동 첫마을 - 정부세종청사 - 오송역 구간을 운행했다.[8] 이후 청주국제공항까지 노선이 연장되어 하루 8회 운행했다. 2018년 4월 8일부터 종점이 세종터미널까지 연장되었다.[9]

2019년 11월 9일부터 오송역 - 청주국제공항 구간을 운행하던 청주 750번 노선을 흡수 통합했으며, 동시에 전 차량이 대전 B1번 노선과 동일한 모델의 고급좌석버스 11대로 교체 및 증차되었다.[10] 오송역버스환승센터 개소에 맞춰 2020년 1월 16일부터 세종터미널 방향 751번, 청주공항 방향 751-1번으로 분리되어 있던 노선번호를 '''757'''번으로 통합하였다.[11]

2021년 1월 1일부터 행복도시권 광역 BRT 브랜드 '바로타' 도입에 따라 노선번호가 '''B3'''번으로 변경되었으며, BRT 전용차량 고시에 본 노선이 추가되어 법적인 BRT 노선 지위를 부여받았다.[12] 2022년 1월 1일부터 109번, 509번 급행버스 운행을 위해 본 노선에서 운행 중이던 고급좌석버스 5대를 저상버스로 교체하였다.

오송역에서 종착하는 단축노선이 존재한다.

2. 5. B4

B2번과 동일하게 오송역 - 반석역 구간을 운행하는 노선이지만, B2번 노선과는 달리 반곡동, 세종특별자치시청한누리대로 동측을 경유한다. 북쪽 기종점인 오송역버스환승센터에서는 4번 승강장에서 승차하고, 1번 또는 9번 승강장에서 하차한다. 2022년 9월 1일 B2번에서 분리 개통된 노선으로, 본 노선 역시 현금 승차가 제한된다.

2. 6. B5

행정중심복합도시의 다른 생활권에 비해 한누리대로 BRT 구간에서 멀리 떨어진 1-1생활권(고운동), 1-2생활권(아름동), 1-3생활권(종촌동) 주민들의 편의를 위해 B0번의 보조 노선으로 신설되었다.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부터 소담동까지는 BRT 전용차로로 운행하고, 나머지 구간에서는 일반 버스 정류장에 정차한다.

초기에는 평일(월요일~금요일)에만 운행했으며, 토요일과 일요일이 아닌 공휴일에는 정상적으로 운행했다. 2021년 2월 5일에 시범 운행 형태로 운행을 시작했으며, 당시에는 평일 출근 시간대에만 운행했다.[13]

세종도시교통공사 소속 승무원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아 2021년 5월 17일부터 5월 27일까지 운행이 중단되기도 했다. 5월 28일부터 운행을 재개하면서 평일 오후 시간대까지 운행 시간이 확대되었다.[14][15]

세종도시교통공사의 정책에 따라 2022년 1월 1일부터 현금 승차가 제한되었으며, 이에 앞서 2021년 1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시범 운영 기간을 가졌다.[2]

2022년 7월 15일부터는 기존 평일 운행에서 주말까지 운행이 확대되었고, 일부 운행 경로도 변경되었다.[16]

2. 7. B6

B2번의 혼잡도 완화를 위하여 2024년 5월 16일부터 운행을 시작한 노선으로,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 - 정부세종청사 - 오송역 구간을 왕복 운행한다. 전기굴절버스 4대가 운행한다.[17] B5번 초창기 때처럼 평일(월-금) 한정으로 운행하며, 토·일요일이 아닌 공휴일에도 정상 운행한다.

2. 8. B7

청주시 서부지역인 가경동, 복대동, 비하동과 행정중심복합도시를 직통으로 연결하는 노선으로, 2024년 8월 3일부터 운행을 시작한다.

동양교통 2대, 동일운수 1대, 세종교통 5대, 청주교통 1대, 한성운수 1대 등 총 10대가 1일 48회를 운행한다.

청주시내버스 정기승차권 및 현금 승차는 청주시 소속 차량만 가능하다.

3. 개별 노선 정보

바로타 시스템은 행정중심복합도시 내부 순환 노선과 인근 도시를 연결하는 광역 노선을 포함하여 다양한 노선으로 운영되고 있다. 각 노선은 고유한 운행 구간과 특징을 가지며, 세종시 및 주변 지역 주민들의 이동 편의를 돕고 있다.

아래는 현재 운행 중인 바로타 노선 목록이다. 각 노선에 대한 자세한 운행 정보, 역사, 특징 등은 해당 노선명을 클릭하여 확인할 수 있다.

'''바로타 노선 목록'''
노선 번호주요 운행 구간비고
B0한누리대로 내부 순환행정중심복합도시 내부 순환 노선
B1오송역대전역대전광역시 연계 광역 노선
B2오송역반석역 (서측 경유)대전광역시 연계 광역 노선
B3청주국제공항세종터미널청주시 연계 광역 노선
B4오송역반석역 (동측 경유)대전광역시 연계 광역 노선 (B2 보완)
B5세종터미널 ↔ 1생활권 북부 (고운/아름/종촌)BRT 접근성 개선 보조 노선
B6세종터미널오송역B2 노선 혼잡 완화 목적 (평일 운행)
B7청주시 서부 ↔ 행정중심복합도시청주시 서부 연계 광역 노선


3. 1. B0 노선

한누리대로를 따라 행정중심복합도시 내부를 순환하는 노선이다.

2018년 2월 3일부터 '''900'''번으로 운행을 시작했다. 개통 초기에는 한별리에서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을 거쳐 반곡동까지만 왕복 운행했다. 이후 2020년 1월 23일, 현대 일렉시티 굴절 전기버스 4대를 도입하면서 한누리대로 전 구간을 순환하는 노선으로 개편되었다.[1] 다만, 아직 개발되지 않은 생활권에 있는 일부 정류장은 정차하지 않고 통과한다.

2021년 1월 1일부터는 행복도시권 광역 BRT 브랜드 '바로타'가 도입됨에 따라 노선 번호가 '''B0'''번으로 변경되었다. 같은 해 4월 1일에는 현대 일렉시티 굴절 전기버스 8대가 추가로 투입되어, 이 노선을 운행하는 모든 차량이 굴절 전기버스로 바뀌었다.

B0 노선은 세종터미널 지상 정류소에서 운행을 마치는 '터미널'행과, 지상 정류소를 거치지 않고 지하 정류소와 대평동 정류소를 바로 연결하는 '순환'행 두 가지 방식으로 운행된다. 대평동, 세종터미널(지상·지하), 한솔동 정류소에서는 같은 B0 노선으로 무료 환승이 가능하다.

세종도시교통공사의 정책에 따라 2022년 1월 1일부터 B0 노선에서는 현금으로 요금을 낼 수 없게 되었다. 이에 앞서 2021년 1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시범 운영 기간을 가졌다.[2]

3. 2. B1 노선

오송역 - 정부세종청사 -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 - 세종특별자치시청 - 대전역 구간을 운행하는 노선이다. 북쪽 기종점인 오송역에서는 3번 승강장에서 승차하고, 1번 또는 9번 승강장에서 하차한다.

2016년 7월 20일부터 '''1001'''번[3]으로 운행을 시작했다. 노선 운송사업자로는 대전광역시의 시내버스 업체인 선진여객이 선정되었으며,[4] 선진여객 컨소시엄의 출자로 대전비알티가 설립되어 운행을 맡고 있다. 한편, 노선 운송사업자 선정 과정에서 청주시 시내버스 업체가 배제되는 것에 대한 반발이 있었다.[5]

2021년 1월 1일부터 행복도시권 광역 BRT 브랜드 '바로타'의 도입에 따라 노선번호가 '''B1'''번으로 변경되었다.

대전광역시의 시내버스 현금승차 제한 정책의 시범 운영 노선으로 선정되어 2021년 7월 1일부터 교통카드로만 승차가 가능하도록 조치되었다. 7월 1일부터 한 달 동안의 계도 기간을 두었으며, 그 이후 차량에서 요금함과 잔돈 지급기를 철거함으로써 현금 승차가 완전히 금지되었다.[6]

3. 3. B2 노선

오송역반석역 사이를 운행하며 세종 시내 한누리대로 서측을 경유한다. 북쪽 기종점인 오송역버스환승센터에서는 4번 승강장에서 승차하고, 1번 또는 9번 승강장에서 하차한다.

반석역부터 행정중심복합도시를 거쳐 오송역까지 이어지는 31.2km 구간의 BRT 도로는 2012년 9월 19일에 개통되었다.[7] 정식 개통 전인 2012년 9월에는 '''9400'''번이라는 번호로 시범 운행을 하였으며, 이 기간 동안에는 무료로 이용할 수 있었다. 이후 2013년 4월 22일에 '''990'''번으로 노선 번호를 변경하고 정식 운행을 시작하며 유료화되었다.

개통 초기부터 2018년까지는 세종교통이 운행을 맡았으나, 2018년 12월 1일부터 세종도시교통공사로 노선 운영권과 차량이 이관되어 현재까지 운행 중이다. 2021년 1월 1일부터는 행복도시권 광역 BRT 브랜드 '바로타'가 도입됨에 따라 노선 번호가 '''B2'''번으로 다시 변경되었다.

세종도시교통공사의 정책에 따라 2022년 1월 1일부터 현금 승차가 제한되었으며, 이에 앞서 2021년 1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시범 운영 기간을 가졌다.[2]

3. 4. B3 노선

청주국제공항에서 출발하여 오창과학산업단지, 오송생명과학단지, 오송역, 정부세종청사를 거쳐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까지 운행하는 노선이다. 중간 경유지인 오송역버스환승센터에서는 세종터미널 방면은 2번 승강장, 청주공항 방면은 6번 승강장에서 승하차할 수 있다.

이 노선은 2012년 6월 1일부터 운행을 시작했으며, BRT 시범운행 기간에는 9400번과 함께 751번(세종터미널 방면)과 751-1번(청주공항 방면)으로 나뉘어 한솔동 첫마을 - 정부세종청사 - 오송역 구간을 운행했다.[8] 이후 청주국제공항까지 노선이 연장되어 하루 8회 운행했다. 2018년 4월 8일에는 종점이 세종터미널까지 연장되었다.[9]

2019년 11월 9일에는 오송역과 청주국제공항 사이를 운행하던 청주 750번 노선을 흡수 통합했다. 이와 동시에 운행 차량 전체를 대전 B1번 노선과 동일한 모델의 고급좌석버스 11대로 교체하고 증차했다.[10] 오송역버스환승센터가 문을 열면서 2020년 1월 16일부터는 세종터미널 방향 751번과 청주공항 방향 751-1번으로 분리되어 있던 노선 번호를 757번으로 통합했다.[11]

2021년 1월 1일부터는 행복도시권 광역 BRT 브랜드 '바로타'가 도입됨에 따라 노선 번호가 B3번으로 변경되었다. 또한, BRT 전용차량 고시에 이 노선이 포함되면서 법적으로 BRT 노선 지위를 얻게 되었다.[12] 2022년 1월 1일부터는 청주시의 109번, 509번 급행버스 운행을 위해 이 노선에서 운행하던 고급좌석버스 중 5대를 저상버스로 교체했다.

오송역에서 운행을 마치는 단축 노선도 존재한다.

3. 5. B4 노선

오송역 - 세종시내 - 반석역 구간을 운행하는 노선이다. B2번 노선과 운행 구간은 같지만, B2번과는 달리 반곡동, 세종특별자치시청한누리대로 동측을 경유하는 점이 다르다.

북쪽 기점인 오송역에서는 4번 승강장에서 승차하고, 1번 또는 9번 승강장에서 하차한다.

2022년 9월 1일에 B2번 노선에서 분리되어 개통되었으며, 현금 승차는 불가능하다.

3. 6. B5 노선

행정중심복합도시의 다른 생활권에 비해 한누리대로 BRT 구간에서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는 1-1생활권(고운동), 1-2생활권(아름동), 1-3생활권(종촌동) 주민들의 편의를 위해 B0번의 보조 노선으로 신설되었다.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부터 소담동까지 구간은 BRT 전용차로를 이용하고, 나머지 구간에서는 일반 버스 정류소에 정차한다.

2021년 2월 5일 시범 운행 형식으로 운행을 시작했으며, 초기에는 평일 출근 시간대에 한정하여 운행했다.[13] 당시에는 평일(월~금)에만 운행했으나, 토요일과 일요일을 제외한 공휴일에는 정상 운행했다.

그러나 세종도시교통공사 소속 승무원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확진 판정을 받으면서 2021년 5월 17일부터 5월 27일까지 운행이 일시 중단되는 일이 있었다. 이후 5월 28일부터 운행이 재개되었고, 동시에 평일 오후 시간대까지 운행 시간이 확대되었다.[14][15]

세종도시교통공사의 정책에 따라 2022년 1월 1일부터 현금 승차가 제한되었으며, 이에 앞서 2021년 1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시범 운영 기간을 가졌다.[2]

2022년 7월 15일부터는 기존 평일(월~금) 한정 운행에서 주말 운행으로 확대되었고, 일부 운행 경로도 변경되었다.[16]

3. 7. B6 노선

B2번 노선의 혼잡도를 완화하기 위해 2024년 5월 16일부터 운행을 시작한 노선이다.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에서 출발하여 정부세종청사를 거쳐 오송역까지 왕복 운행한다. 전기굴절버스 4대가 투입되어 운행한다.[17] B5번 노선 초기처럼 평일(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에만 운행하며, 토요일과 일요일을 제외한 공휴일에는 정상적으로 운행한다.

3. 8. B7 노선

청주시 서부지역인 가경동, 복대동, 비하동과 행정중심복합도시를 직접 연결하는 광역 노선으로, 2024년 8월 3일부터 운행을 시작했다. 동양교통 2대, 동일운수 1대, 세종교통 5대, 청주교통 1대, 한성운수 1대가 공동으로 배차하며, 하루 총 48회 운행한다. 청주시 시내버스 정기승차권 사용 및 현금 승차는 청주시 소속 차량에 한해서만 가능하다.

4. 갤러리

B0번에서 운행중인 전기굴절버스


990번(현재 B2번)

참조

[1] 웹사이트 http://www.sctc.kr/b[...]
[2] 뉴스 세종시 BRT 현금승차 제한 시범운영…내년부터 교통카드만 https://news.kbs.co.[...] 2021-06-29
[3] 문서 대전광역시청 ~ 집현동 광역버스 운행노선 정보
[4]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22-05-22
[5] 뉴스 우진교통 "충청권 BRT, 청주시내버스 배제" 반발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5-10-22
[6] 뉴스 대전~오송 간 급행버스 교통카드로만 승차 시범운영 https://www.goodmorn[...] 2021-06-29
[7] 뉴스 세종시~오송역 BRT도로 19일 개통 http://www.korea.kr/[...] 정책브리핑
[8] 뉴스 세종시 중앙행정기관 이전 따른 교통체계 개편 https://newsis.com/v[...] 뉴시스
[9] 뉴스 청주 시내버스 8일부터 일부노선 개편 http://www.ggilbo.co[...] 금강일보
[10] 뉴스 청주시, 시내버스 43대 증차·노선 확대 운영 https://newsis.com/v[...] 뉴시스
[11] 뉴스 세종~청주공항 751번 급행버스 757번으로 변경 https://www.inews365[...] 충북일보
[12] 웹사이트 세종시 간선급행버스체계(BRT) 전용차량 변경 고시 https://www.sejong.g[...] 세종특별자치시청
[13] 웹사이트 내부순환 보조BRT(B5) 운행 개시 안내 https://www.sejong.g[...] 세종특별자치시청
[14] 뉴스 승무사원 1명 확진에 세종교통공사 ‘비상’ https://www.goodmorn[...] 2021-05-16
[15] 웹인용 [운행안내]내부순환 보조BRT(B5) 노선확대 운행안내 (2021.5.28.) https://www.sctc.kr/[...] 2021-11-08
[16] 웹사이트 B5번 노선변경 알림 https://www.sctc.kr/[...] 세종도시교통공사
[17] 뉴스 BRT 운행 횟수-노선 늘려… 세종시, 출퇴근 혼잡 개선 https://www.donga.co[...] 동아일보 2024-05-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