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롯 사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롯 사야(Baro't saya)는 필리핀 전통 의상으로, "블라우스와 치마"를 의미한다. 이 의상은 타갈로그어에서 유래되었으며, 바로(baro)는 셔츠 또는 의류를, 사야(saya)는 치마를 뜻한다. 바롯 사야는 바로(baro) 또는 카미사(camisa)로 불리는 블라우스, 사야(saya) 또는 팔다(falda)로 불리는 긴 치마, 파뉴엘로(pañuelo), 피슈(fichu), 또는 알람페이(alampay)로 불리는 스카프, 그리고 타피스(tapis) 또는 파타됭(patadyong)으로 불리는 짧은 천으로 구성된다. 스페인 식민지 시대에 긴 치마가 도입되면서 현재의 형태를 갖추게 되었으며, 시대와 계급에 따라 디자인과 요소에 변화가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필리핀의 문화 - 앙고노 암각화
필리핀 리잘 주 앙고노에 있는 앙고노 암각화는 국가 문화 보물로 지정되어 유네스코 세계 유산 잠정 목록에 등재된 신석기 시대 후기의 암각화 유적으로, 1965년 카를로스 V. 프란시스코에 의해 발견된 127개의 동식물 형상 그림이 새겨져 있다. - 필리핀의 문화 - 필리핀 독립교회
필리핀 독립교회는 1902년 필리핀-미국 전쟁 이후 이사벨로 데 로스 레예스와 우니온 오브레라 데모크라티카 필리피나 구성원들이 창립을 선포한 기독교 교단으로, 로마 가톨릭교회와 차별화되는 교리와 필리핀 민족주의 운동과의 연관성을 가지며 현재는 필리핀 디아스포라를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다.
바롯 사야 | |
---|---|
의상 정보 | |
종류 | 전통 의상 |
문화권 | 필리핀 |
구성 요소 | 바롯 (블라우스) 사야 (스커트) |
역사 및 문화 | |
기원 | 스페인 식민 시대 |
설명 | "바롯 사야"는 필리핀의 전통적인 여성 의상으로, 스페인 식민 시대에 기원했다. "바롯"은 블라우스, "사야"는 스커트를 의미한다. 시간이 지나면서 다양한 스타일과 디자인으로 발전해 왔으며, 오늘날에도 특별한 행사나 축제에서 자주 볼 수 있다. 이 의상은 필리핀 문화유산의 중요한 부분이며, 필리핀 여성의 정체성과 아름다움을 상징한다. |
변형 | 테르노 킴로나 타피스 파타종 |
2. 어원
''바롯 사야''(Baro't saya)는 "''바로 앗 사야''(baro at saya)"의 축약형이다.[4][10] 이는 타갈로그어로 "셔츠" 또는 "의류"를 뜻하는 ''바로''(baro)와 스페인어에서 유래한 "치마"를 뜻하는 ''사야''(saya)가 합쳐진 말로,[4] 문자 그대로 "블라우스와 치마"를 의미한다.[4][10]
''바롯 사야''(''Baro't saya'')는 전통적으로 네 부분으로 구성된 의상이다.[11] 각 부분은 다음과 같다.
3. 구성
4. 역사
바롯 사야는 필리핀 여성의 전통 복식으로, 그 역사는 필리핀의 식민지 이전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초기 형태는 상의인 baro|바로fil와 허리에 감싸는 천인 tapis|타피스fil를 조합한 것이었다. 스페인의 식민 통치를 받으면서 서양식 치마인 saya|사야fil가 도입되었고, 기존의 tapis|타피스fil는 겉치마 형태로 변형되는 등 복식에 변화가 생겼다. 시간이 흐르면서 바롯 사야는 사회 계층과 시대적 유행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왔다.
4. 1. 식민지 이전 시대

바롯 사야는 필리핀의 식민지 이전 시대에 남성과 여성 모두가 입었던 두 가지 의복에서 유래했다. 하나는 소매가 길고 몸에 맞는 칼라 없는 셔츠 또는 재킷인 '바로'(다른 필리핀 언어에서는 ''바루'' 또는 ''바유''라고도 한다)이다.[6][12] 다른 하나는 '타피스'로, 허리 또는 가슴 높이에 감싸는 짧은 직사각형 또는 통 모양의 천이다. 타피스는 벨트나 꼰 재료로 고정하거나 어깨에 매듭을 지어 입었다. (타피스는 비사야 제도와 술루 제도에서는 ''파타디옹'', 민다나오에서는 ''말롱''이라고도 불린다.)[5] 여성들은 종종 '바로' 위에 팔찌를 착용하기도 했다.[13] 이러한 형태의 의복은 필리핀의 비기독교화된 집단 사이에서 오늘날까지도 여전히 남아 있다.[6]
4. 2. 스페인 식민지 시대


스페인 식민지 시대의 성직자들은 식민지 이전 필리핀 여성들의 복장이 얌전하지 않다고 여겨, tapis|타피스fil 아래에 긴 치마를 입도록 했는데, 이것이 스페인어로 saya|사야es 또는 falda|팔다es로 알려진 것이었다. 비사야 지방에서는 전통적인 치마인 patadyong|파타디옹fil이 더 오랫동안 착용되었으나, 결국 19세기에 saya|사야fil로 대체되었다.[6][7][8][14][15]
18세기 말, 필리핀 여성들의 전통적인 일상복은 pares|파레스fil("쌍")라고 불리는 두 가지 기본 의복으로 구성되었다. 이는 발목까지 내려오는 saya|사야fil(보통 체크무늬)와 깃이 없는 상의인 baro|바로fil 또는 camisa|카미사fil(보통 단색 또는 줄무늬)였다. pares|파레스fil라는 이름은 나중에 등장하는 넓은 형태의 saya|사야fil와 달리, 좁고 몸에 맞는 원통형 치마 형태와 더 관련이 깊으며, 이는 식민지 이전의 tapis|타피스fil와 유사했다. 이 치마는 허리에서 끈으로 묶고, 허리선에는 넓고 평평한 주름을 잡아 핀으로 고정했다. 상의인 baro|바로fil는 식민지 이전의 것과 거의 동일했으며, 길고 좁은 소매가 특징이었다. 이 두 의복 위에 tapis|타피스fil(이제는 오버 스커트로 착용)를 두르고, 어깨에는 pañuelo|파뉴엘로es(치마와 동일한 불투명한 재질로 만들어진 스카프, 또는 fichu|피추프랑스어, alampay|알람파이fil라고도 불림)를 둘렀다.[6]
초기 saya|사야fil에 사용된 직물은 주로 필리핀 토착 섬유였으며, 특히 비사야 고지대 사람들이 파나이에서 만든 직물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19세기 후반에는 인도에서 수입된 cambaya|캄바야hi를 비롯한 유사한 수입 직물을 사용하기 시작했다.[6]
18세기의 좁은 pares|파레스fil saya|사야fil는 활동하기에 불편했기 때문에, 1820년대에서 1840년대 사이에 서양식의 풍성한 치마인 saya a la mascota|사야 아 라 마스코타es로 점차 대체되었다. 상류층(프린시팔리아) 여성들은 보통 발목까지 오는 긴 치마를 입었지만, 하류층 여성들은 일할 때 더 편하도록 종아리 중간까지 오는 짧은 치마를 입었다. 어린 소녀들의 경우 무릎 길이의 saya|사야fil도 허용되었다.[6][16]
19세기 중반부터는 의상의 디자인과 구성 요소가 하류층과 귀족 계급(프린시팔리아) 사이에서 뚜렷하게 달라지기 시작했다. 예를 들어, 필리핀 여성 복식의 특징 중 하나였던 tapis|타피스fil는 1840년대에서 1860년대 사이에 길이가 훨씬 짧아졌다. 이 때문에 tapis|타피스fil는 주로 토착민 여성들(indios|인디오스es)이 착용하게 되었고, 스페인 여성들과 일부 mestiza|메스티사es(혼혈 여성)들은 이것이 하녀들이 입는 delantal|델란탈es(앞치마)과 비슷하다고 여겨 착용을 꺼렸다. 이러한 사회적 구분은 호세 리잘의 소설 Noli Me Tángere|놀리 메 탕헤레la(나를 만지지 마세요)에서도 묘사된다. 소설 속 mestiza|메스티사es 주인공인 마리아 클라라는 tapis|타피스fil와 함께 baro't saya|바롯 사야fil를 입지만, 허영심 많은 도냐 콘솔라시온(원주민 출신이지만 페닌술라르, 즉 스페인 본토인과 결혼한 여성)은 tapis|타피스fil 없이 유럽식 드레스를 입는 것으로 그려진다.[6]
5. 갤러리
참조
[1]
뉴스
The terno is not our national dress—but it could be
https://nolisoli.ph/[...]
NoliSoil
2020-02-19
[2]
웹사이트
The Filipiniana Dress: The Rebirth of the Terno
https://www.vintato.[...]
2020-02-19
[3]
뉴스
A Guide to the Philippines' National Costume
https://primer.com.p[...]
Philippine Primer
2020-02-19
[4]
웹사이트
Ensemble: first quarter 20th century, Philippine
https://www.metmuseu[...]
2020-02-24
[5]
웹사이트
Tapis
https://philippinefo[...]
2020-02-19
[6]
논문
Clothing and the colonial culture of appearances in nineteenth century Spanish Philippines (1820-1896)
https://tel.archives[...]
Université Nice Sophia Antipolis
2014
[7]
웹사이트
Baro't Saya
https://philippinefo[...]
2020-02-19
[8]
서적
Barangay: Sixteenth Century Philippine Culture and Society
Ateneo de Manila University Press
[9]
뉴스
The terno is not our national dress—but it could be
https://nolisoli.ph/[...]
NoliSoil
2020-02-19
[10]
웹사이트
Ensemble: first quarter 20th century, Philippine
https://www.metmuseu[...]
2020-02-24
[11]
웹사이트
The Filipiniana Dress: The Rebirth of the Terno
https://www.vintato.[...]
2020-02-19
[12]
논문
Clothing and the colonial culture of appearances in nineteenth century Spanish Philippines (1820-1896)
https://tel.archives[...]
Université Nice Sophia Antipolis
2014
[13]
웹사이트
Tapis
https://philippinefo[...]
2020-02-19
[14]
웹사이트
Baro’t Saya
https://philippinefo[...]
2020-02-19
[15]
서적
Barangay: Sixteenth Century Philippine Culture and Society
アテネオ・デ・マニラ大学出版局
[16]
논문
Clothing and the colonial culture of appearances in nineteenth century Spanish Philippines (1820-1896)
https://tel.archives[...]
Université Nice Sophia Antipolis
20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