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나이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나이섬은 필리핀 서비사야 지방에 위치한 섬으로, 민도로섬 남동쪽, 네그로스섬 북서쪽에 위치하며, 아클란주, 안티케주, 카피스주, 일로일로주 등 4개의 주와 일로일로시로 구성되어 있다. 섬의 지형은 중앙 파나이 산맥을 중심으로 다양한 강과 산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마자아스 산이 가장 높다. 파나이섬은 스페인 식민지 시대에 '이슬라 데 로스 핀타도스'로 불렸으며, 이후 파나이로 이름이 바뀌었다. 주요 산업은 쌀, 설탕, 어업이며, 일로일로시를 중심으로 경제가 발달했다. 섬 내 교통은 도로와 공항을 통해 이루어지며, 보라카이섬은 유명한 관광지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파나이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지도 | |
| 섬 정보 | |
| 이름 | 파나이 |
![]() | |
![]() | |
| 위치 | 동남아시아 |
| 군도 | 비사야 제도 |
| 면적 | 12,011 km2 |
| 순위 | 65위 |
| 최고봉 | 마디아스산 |
| 해발고도 | 2117 m |
| 국가 | 필리핀 |
| 국가 행정 구역 종류 | 지방 |
| 국가 행정 구역 | 서비사야 지방 |
| 국가 행정 구역 종류 1 | 주 |
| 국가 행정 구역 1 | 아클란주 안티케주 카피스주 일로일로주 |
| 최대 도시 | 일로일로 |
| 최대 도시 인구 | 457,626 명 |
| 인구 | 4,542,926 명 |
| 인구 조사 기준 시점 | 2020년 |
| 인구 밀도 | 380 명/km2 |
| 민족 | 비사야인 (힐리가이논족, 카라야족, 카피스논족, 아클라논족, 칼루야논) 아티족 술루드논 |
| 별칭 | 파나얀/파나야논 |
| 지리 | |
| 수역 | 쿠요 동쪽 해협 기마라스 해협 일로일로 해협 힌토톨로 해협 파나이만 시부얀해 술루해 비사야해 |
| 기타 | |
| USS 파나이 | USS Panay (PR-5) |
2. 지리
파나이섬은 민도로섬 남동쪽, 네그로스섬 북서쪽에 위치하며, 기마라스 해협을 사이에 두고 기마라스섬이 있다. 섬 북쪽으로는 시부얀해와 롬블론 제도, 진토톨로 해협 너머 마스바테섬, 루손섬이 위치하고, 남서쪽으로는 술루해가 펼쳐져 있다.[1]
파나이섬은 필리핀에서 여섯 번째로 큰 섬으로, 총 면적은 12011km2이다.[1] 섬에는 2,000m가 넘는 마자아스산이 솟아 있다. 인기 관광지인 보라카이섬은 파나이섬 북서쪽 끝에서 0.86km 떨어져 있으며, 아클란주 말레이시에 속해 있다.
2. 1. 지형
섬에서 가장 높은 산은 마자아스 산(Mount Madja-as)으로, 약 2117.14m이다.[1]

파나이 섬의 주요 강으로는 다음이 있다.[1]
2. 2. 행정 구역
파나이섬은 아클란주, 안티케주, 카피스주, 일로일로주 등 4개의 주와 1개의 고도로 도시화된 도시(일로일로시), 2개의 구성 도시, 92개의 지방 자치 단체(칼루야의 관련 섬이 포함된 경우 93개 지방 자치 단체) 및 3,291개의 바랑가이로 구성되어 있으며, 모두 서비사야 지방의 관할 하에 있다.[37]| 주 | 인구 (2020년) | 면적 | 인구 밀도 | 주도 | 바랑가이 | 지방 자치 단체 | 도시 | 위치 |
|---|---|---|---|---|---|---|---|---|
| 아클란 | 615,475 | 1821.42km2 | 338PD/km2 | 칼리보 | 327 | 17 | — | ![]() |
| 안티케 | 612,974 | 2729.17km2 | 225PD/km2 | 산호세 데 부에나비스타 | 590 | 18 | — | ![]() |
| 카피스 | 804,952 | 2594.64km2 | 310PD/km2 | 록사스 시 | 473 | 16 | 록사스 | ![]() |
| 일로일로 | 2,051,899 | 5000.83km2 | 410PD/km2 | 일로일로 시 | 1,721 | 42 | 파시 | ![]() |
| 일로일로 시 | 457,626 | 78.34km2 | 5842PD/km2 | — | 180 | — | — | ![]() |
| 총계 | 4,542,926 | 12011km2 | 378PD/km2 | — | 3,291 | 93 | 3 | ![]() |
| 참고: 안티케 주의 칼루야 자치구는 파나이의 섬 그룹에 포함된 별도의 섬으로 덮여 있습니다. 일로일로 수치는 일로일로의 고도로 도시화된 도시를 제외했습니다. | ||||||||
파나이섬의 역사는 선사시대부터 시작되어 다양한 민족과 문화가 융합되면서 독특한 역사적 배경을 가지고 있다.
각 주의 주도는 칼리보(아클란주), 산호세 데 부에나비스타(안티케주), 록사스시(카피스주), 일로일로시(일로일로주)이다.
3. 역사
스페인 식민지 시대 이전에, 카피스는 말레이인들의 초기 정착지 중 하나였다. 이들은 스페인이 필리핀에 도착하기 수세기 전부터 파나이섬에 살고 있었다. 아클란주 칼리보에서는 이들의 도래를 기념하는 아티아티한 축제가 열린다. 이 축제는 원래 산토 니뇨(아기 예수)를 위한 축제였지만, 아에타족을 기념하기 위해 사람들이 몸을 검게 칠하고 드럼과 음악을 연주하며 마을을 행진하는 형태로 바뀌었다.
미겔 로페스 데 레가스피가 이끄는 스페인인들은 1569년 세부섬에서 파나이섬에 도착하여 문신을 한 주민들을 보고 이 섬을 Isla de los Pintadoses (그림이 그려진 사람들의 섬)라고 불렀다.[13] 섬 이름이 어떻게 파나이섬으로 바뀌었는지는 명확하지 않지만, 아에타족이 섬을 '아니니파이'(Aninipay)라고 불렀다는 설과 레가스피와 부하들이 Pan hay en esta isla!es (이 섬에 빵이 있다!)라고 외쳤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13] 스페인인들은 파나이섬 바니카 강 하구에 최초의 식민지를 세우고 '판 아이'(Pan-ay)라고 명명했는데, 이곳은 세부섬의 산미겔에 이어 필리핀에서 두 번째로 큰 스페인 정착지가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일본군이 파나이섬을 점령했지만, 마카리오 페랄타 주니어 대령이 이끄는 게릴라 부대가 섬의 대부분을 해방시켰다.[27] 1944년 10월 26일에는 파나이섬 서쪽 해역에서 일본 해군의 경순양함키누와 구축함우라나미가 미국 해군의 공격을 받아 격침되었다.
1956년 4월 25일에는 공화국 법 제1414호에 따라 아클란이 카피스주에서 분리되어 독립된 주가 되었다.
3. 1. 어원
13세기 이전 파나이는 ''심시만''이라고 불렸다. 이 지역 사회는 울리안 강 기슭에 위치해 있었으며, 개울로 연결되어 있었다. 이 개울은 아티족에게 소금을 제공했고, 동물들은 짠물에서 소금을 핥아 먹었다. "''simsim''"에서 유래된 "''simsimin''"은 "''무언가를 핥아 먹거나 마시는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그곳은 ''심시만''이라고 불렸다.[1]
원주민인 아티족은 이 섬을 수확을 뜻하는 단어 "''ani''"와 파나이 전역에 풍부한 털이 많은 풀을 뜻하는 "''nipay''"에서 따와 ''아니니파이''라고 불렀다.[1]
3. 2. 선사 시대
보르네오에서 온 10명의 다투(추장)들이 파나이 섬에 상륙하여 원주민 아티족에게서 금 모자, 금 목걸이 등으로 저지대를 구매하고 정착했다는 구전 전설이 전해진다.[7][8] 마자아스 연맹은 이 10명의 다투들이 보르네오에서 탈출하여 파나이 섬에 상륙한 후 설립되었다고 한다.[7]
이 전설은 페드로 알칸타라 몬테클라로가 1907년에 출판한 마라그타스라는 책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이 책은 그가 노인에게서 듣고 적은 이야기를 담고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독립 직후 민족주의가 고조되었을 때, 마라그타스는 스페인 식민지화 이전 필리핀의 기원을 설명하는 이야기로서 교과서에서도 역사적 사실로 크게 다루어졌으나, 이는 정확한 역사적 사실은 아니다.
몬테클라로의 저서 『마라그타스』에 언급된 민간 전승(확실한 증거는 없음)에 따르면, 보르네오의 10명의 영주(다투, datu)가 현재 일로일로주 산호아킨 마을에 상륙했다고 한다. 그들은 섬을 이롱이롱(Irong-irong), 아케안(Akean, 현재의 카피스주 포함), 함티크(Hamtik)의 3개 공동체로 나누었는데, 이것들이 현재 주 이름의 기원이 되었다고 한다.
H. 오틀리 베이어가 발견한 오래된 필사본 ''마르기타스''는 13세기 전반기에 파나이에 정착한 초기 비사얀족의 법률, 정부, 사회 관습 및 종교적 신념에 대한 흥미로운 세부 정보를 제공한다.[9][10]
보르네오인들의 파나이섬 상륙을 기념하는 축제가 파나이섬 북부 아클란주 칼리보에서 열리는 아티아티한 축제이다. 이 축제는 원래 곡물 수확과 수호성인 산토 니뇨(아기 예수)를 위한 축제이지만, 보르네오인들을 위해 산으로 이동한 아에타족을 기념하여 사람들은 몸을 새까맣게 칠하고 드럼과 음악으로 마을을 행진한다.
3. 3. 스페인 식민 시대
미겔 로페스 데 레가스피가 이끄는 스페인인들은 1569년 세부에서 파나이 섬에 도착하여, 문신을 한 주민들을 보고 이 섬을 Isla de los Pintadoses (그림이 그려진 사람들 섬)라고 불렀다.[13] 섬의 이름이 어떻게 파나이로 변화했는지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아에타족은 이 섬을 많은 식물의 이름에서 따와 아니니파이(Aninipay)라고 불렀다는 것이 주요 설이다. 또한 섬의 이야기에 따르면, 레가스피와 부하들은 식량을 찾으러 나갔다가 "Pan hay en esta isla!es" (이 섬에 빵이 있다!)라고 외쳤다고 한다. 이 때문에 그들은 파나이 섬 바니카 강 하구(현재의 카피스주)에 건설한 첫 번째 식민지를 판 아이(Pan-ay, 현재 카피스 주 주도 로하스 옆에 있는 파나이 마을)라고 이름 지었다고 한다.[13] 판 아이는 세부의 산 미겔(현재의 세부시) 다음으로 필리핀에서 두 번째로 큰 스페인인 정착지가 되었다.
레가스피는 세부섬에서 파나이로 기지를 옮겼으며[13], 루손 정복은 파나이에서 계획되어 1570년 5월 8일에 시작되었다.[14]
1572년, 섬은 파나이 (카피즈와 아클란주)와 오톤 (일로일로와 안티케)의 두 개 주로 나뉘었다. 1796년, 파나이 섬은 일로일로, 안티케, 카피즈 (아클란과 롬블론 포함)의 세 개의 주로 분할되었다.
3. 4. 제2차 세계 대전

1942년 4월 16일, 제국 일본 육군 부대가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파나이 섬과 나머지 비사야 제도를 확보하기 위해 산호세 데 부에나비스타, 카피스 시티(현재는 록사스 시티), 일로일로 시에 상륙했다. 마카리오 페랄타 주니어 대령의 지휘 아래 게릴라전 부대는 나중에 섬의 대부분을 해방시켰고, 결국 1944년 12월 20일 카피스 시티를 점령했다. 따라서 페랄타의 부대는 필리핀 일본 점령으로부터 카피스 주의 모든 지역을 해방시켰고, 연합군이 1945년 3월 18일 일로일로 시에 상륙하여 섬에 남아있는 일본군을 소탕하기 전에 해방을 달성했다.[27]
파나이 섬은 미국 해군의 군함 이름으로도 사용되었으며, 파나이 호(USS Panay)라는 이름을 가진 선박이 여러 척 있지만, 그중 가장 유명한 배는 1937년 12월 함락 직후 난징 인근 장강에서 일본 해군의 군용기에 의해 침몰한 포함 파나이 호일 것이다.(파나이 호 사건)
또한, 1944년 10월 26일에는, 본 섬 서쪽 해역에서 일본 해군의 경순양함키누와 구축함우라나미가 미국 제7함대의 호위 항공모함 탑재기에 의한 공격을 받아 격침되었다.
3. 5. 현대
필리핀의 대통령 라몬 막사이사이가 1956년 4월 25일에 서명한 ''공화국 법 제1414호''를 통해 아클란이 카피스 주에서 분리되어 독립된 주가 되었다. 당시 아클란에 속했던 도시는 알타바스, 발레테, 바탄, 방가, 부루앙가, 이바자이, 칼리보, 레소, 리바카오, 마달라그, 말레이, 마카토, 말리나오, 나바스, 뉴 워싱턴, 누만시아, 탕갈란이었다. 1956년 11월 8일에 아클란 주가 출범했다. 호세 라스 메네즈가 막사이사이 대통령에 의해 아클란의 초대 주지사로 임명되었고, 1959년 12월 30일까지 재임했다. 1960년, 고도프레도 P. 라모스가 최초로 선출된 주지사가 되었지만, 국회의원 출마를 위해 사임하면서 부지사인 버질리오 S. 파트리시오가 그 뒤를 이었다. 1964년, 호세 B. 레가스피가 파트리시오의 뒤를 이어 1964년부터 1971년까지 두 번의 임기를 연임했다.
4. 전설

파나이섬은 마라그타스 전설이 있는 곳이다. 보르네오의 폭정 때문에 말레이계 영주들과 백성이 바다를 건너 파나이섬에 도착했고, 비사야 제도 사람의 조상이 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민족주의가 높아졌을 때 마라그타스는 스페인 식민 이전 필리핀의 기원을 설명하는 이야기로 교과서에도 실렸다. 그러나 이 전설은 페드로 알칸타라 몬테클라로가 1907년에 노인에게서 들은 이야기를 출판한 것으로, 역사적 사실은 아니다.[1]
페드로 알칸타라 몬테클라로의 책 '마라그타스'에 따르면, 보르네오의 10명의 영주(다투, datu)가 현재 일로일로주 산 호아킨 마을(San Joaquin)에 도착했다. 그들은 네그리토계 원주민 아에타 족(Aeta)의 왕 마리쿠드로부터 파나이섬의 저지대 땅을 황금 모자, 황금 목걸이 등을 주고 사서 땅을 경작하고 섬을 Madya-as|마자아스영어로 개명했다. 그들은 섬을 이롱이롱, 아케안, 함틱의 3개 공동체로 나누었다. 이것이 현재 주 이름의 바탕이 되고 있다.[1]
5. 인구
파나이섬은 민족적, 언어적으로 다양한 섬이다. 힐리가이논/일롱고족, 카라이아족, 카피스논족, 아클라논족 등 다양한 민족 집단이 거주하고 있다.[33] 섬 내의 민족 및 언어 경계는 섬의 행정 구역과 일치하지 않는다.[33] 안티케주 만이 단일 언어 지역으로, 키나라이아어를 주요 언어로 사용한다.[33]
200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주요 언어별 사용 인구는 다음과 같다.[29][30][31][32]
필리핀 통계청(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자료[29]에 따르면 1903년부터 2020년까지 파나이섬의 인구 변화는 다음과 같다. (인구 수 자료는 원문에 제시되어 있으나, 표에는 연도만 제시되어 있어 생략함)
| 연도 | 인구 |
|---|---|
| 1903 | |
| 1918 | |
| 1939 | |
| 1948 | |
| 1960 | |
| 1970 | |
| 1975 | |
| 1980 | |
| 1990 | |
| 1995 | |
| 2000 | |
| 2007 | |
| 2010 | |
| 2015 | |
| 2020 |
5. 1. 언어
비사야어의 일종인 일롱고어(힐리가이논어)가 파나이섬의 주요 언어이다.[29][30][31][32] 키나라이아어, 카피스논어, 아클라논어도 사용된다.[33] 지역 행정, 교육, 상업 목적으로는 영어와 타갈로그어도 널리 사용된다.5. 2. 종교
대부분의 섬 주민은 로마 가톨릭을 믿는다.6. 산업

파나이섬의 주요 산업은 농업(쌀, 설탕 등), 어업, 관광업 등이다.
6. 1. 경제
일로일로 시는 섬의 경제 중심지이며, 부동산, 숙박 시설, 의료, 교육, 쇼핑 센터, 비즈니스 센터, IT/BPO 센터 등 다양한 산업이 발달해 있다.[35] 활기차고 다면적인 경제는 일로일로를 필리핀에서 가장 경쟁력 있는 주 중 하나로 만들었다.아클란 주는 보라카이 섬으로 유명한 파나이 섬의 관광 중심지이다.[36] 세계적으로 유명한 관광지인 보라카이는 많은 방문객을 유치하며 주의 관광 산업에 기여한다. 아클란의 경제는 관광객 유입과 그들의 필요에 부응하는 다양한 활동 및 서비스로부터 이익을 얻는다. 또한 파나이섬 북쪽 끝에서 1km 떨어진 해상에 있는 보라카이섬은 국제적인 리조트로서, 길이 4km에 달하는 순백의 해변과 다이빙 명소로 유명하다.
카피스 주는 "필리핀의 해산물 수도"로 불리며, 해안 지역과 늪지대를 활용하여 어업이 발달하였다. 새우, 뱅어, 황새치, 오징어, 굴, 새우, 해조류를 포함한 수생 자원은 경제 성장에 크게 기여한다.
안티케 주의 경제는 해안선을 따라 풍부한 어장을 가진 어업에 의존한다. 또한, 대나무, 부리, 바리우, 니토, 통나무, 숯과 같은 산림 자원은 건설 산업, 가구 제조 및 수공예품에 기여한다. 라플레시아 꽃과 보호된 산림 지대의 존재를 포함한 안티케의 자연의 아름다움은 관광 잠재력을 더욱 향상시킨다.
섬의 주요 산업은 쌀, 설탕, 어업 등이다. 파나이 섬의 경제는 4개의 주가 가진 강점과 기여를 통해 번성하고 있다. 농업, 어업, 관광업, 제조업, 천연 자원 활용 등 다양한 산업은 섬의 강력한 경제 성장과 발전을 유지한다. 그 결과, 파나이 섬은 필리핀에서 다섯 번째 경제 강자로 부상했다.[35]
7. 교통
파나이섬의 모든 주는 주요 주간 도로로 연결되어 있다. 일로일로 시는 주로 여객 지프니, 흰색 미터 택시, 그리고 시내의 세발 자전거를 운행한다. 록사스 시, 칼리보, 산호세 데 부에나비스타 및 파나이의 다른 도시 및 지방 자치 단체에서 사용되는 주요 운송 수단은 세발 자전거이다. 도시와 지방 자치 단체 간의 이동은 일반적으로 지프니, 밴 및 세레스 운영 버스를 이용한다. 2019년 3월, 육상 운송 프랜차이즈 및 규제 위원회는 카바투안, 칼리보 및 보라카이(카티클란)의 공항까지 급행 버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로일로 시의 새로운 프리미엄 P2P 버스 서비스 개통을 발표했다.[38]
일로일로는 필리핀에서 최근에 미니 버스와 유사한 형태의 현대식 지프니를 채택하기 시작한 몇 안 되는 도시 중 하나이다.
일로일로-카피즈-아클란 고속도로(ICAEx)도 제안되어 파나이 섬의 주 간 이동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것으로 기대된다. 이 고속도로는 파시 시, 록사스 시, 칼리보를 거쳐 일로일로 시와 아클란 주 말레이를 연결할 것이다.[38]
파나이 섬에는 현재 5개의 공항이 있다.
- 일로일로 국제공항: 카바투안에 위치하며, 메트로 일로일로-기마라스 광역권과 일로일로주 전체를 관할하며, 이 지역의 주요 관문으로 여겨진다.
- 칼리보 국제공항: 보라카이를 운항하는 두 공항 중 하나이다.
- 고도프레도 P. 라모스 공항(카티클란 공항): 말레이 시에 위치하며 보라카이를 운항한다.
- 록사스 공항: 록사스 시와 카피스주를 관할하는 국내선 공항이다.
- 에벨리오 하비에르 공항(안티케 공항): 산호세에 위치한 안티케주를 운항하는 유일한 공항이다.
현재 운행이 중단된 파나이 철도 노선을 부활시키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으며, 여기에는 일로일로시를 경유하여 일로일로-록사스, 일로일로-칼리보, 일로일로-말레이(아클란) 그리고 일로일로-산호세(안티케)를 다시 연결하는 방안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산타바르바라에 역이 설치될 예정이다.[39]
7. 1. 관광
보라카이섬은 파나이섬 북쪽 끝에서 1km 떨어진 해상에 있는 국제적인 리조트로, 길이 4km에 달하는 순백의 해변과 다이빙 명소로 유명하다.참조
[1]
웹사이트
Islands by Land Area
http://islands.unep.[...]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2021-06-07
[2]
서적
The Philippine Archipelago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7
[3]
웹사이트
Sulu Sea
http://www.eoearth.o[...]
2011
[4]
서적
A History of the Orient
Ginn and Company
1929
[5]
웹사이트
NCCA-Symbolisms/Meanings in the Philippine Flag
https://ncca.gov.ph/[...]
2022-04-24
[6]
서적
Hinilawod: Adventures of Humadapnon Tarangban I
Punlad Research House
[7]
서적
History & Society in the Novels of Ramon Muzones
https://books.google[...]
Ateneo de Manila University Press
2001
[8]
문서
Originally titled Maragtás kon (historia) sg pulô nga Panay kutub sg iya una nga pamuluyö tubtub sg pag-abut sg mga taga Borneo nga amó ang ginhalinan sg mga bisayâ kag sg pag-abut sg mga Katsilâ
[9]
서적
Pre-hispanic Source Materials for the Study of Philippine History
New Day Publishers
[10]
서적
A History of the Orient
Ginn and Company
1929
[11]
서적
A History of the Orient
Ginn and Company
1929
[12]
서적
The Philippine Islands, 1493–1803
Arthur H. Clark Company
1911
[13]
서적
The Philippine Islands, 1493–1803
Arthur H. Clark Company
1911
[14]
서적
The Philippine Islands, 1493–1803
Arthur H. Clark Company
1911
[15]
서적
Conquistas de las Islas Filipinas (1565–1615)
Consejo Superior de Investigaciones Cientificas
1975
[16]
문서
Labor euangelica, ministerios apostolicos de los obreros de la Compañia de Iesus : fundacion, y progressos de su Prouincia en las islas Filipinas historiados
Madrid
1663
[17]
뉴스
Location of the Panay River Basin
https://thedailyguar[...]
2018-12-15
[18]
뉴스
The First Spanish Settlement in Panay
http://www.thenewsto[...]
2018-12-15
[19]
서적
Relacion de las Yslas Filipinas
Arthur H. Clark Company
1582
[20]
서적
Relacion de las Yslas Filipinas
Arthur H. Clark Company
1582
[21]
서적
Relacion de las Yslas Filipinas
Arthur H. Clark Company
1582
[22]
웹사이트
Chapter 2 Spanish Found Yloilo 1565 - The Spanish first arrival in Jalaud or Araut
http://ilongo.weebly[...]
2014-09-14
[23]
서적
Journal, Memorials and Letters of Cornelis Matelieff de Jonge: Security, Diplomacy and Commerce in 17th-century Southeast Asia
NUS Press
2015
[24]
간행물
Convicts or Conquistadores ? Spanish Soldiers in the Seventeenth-Century Pacific
https://academic.oup[...]
2016
[25]
서적
The Philippine Islands, 1493–1803
Arthur H. Clark Company
1911
[26]
서적
The Philippine Islands, 1493–1803
Arthur H. Clark Company
1911
[27]
웹사이트
"The Seizure of Panay" from General Douglas MacArthur's report
https://history.army[...]
[28]
웹사이트
Mt. Madia-as has 'undiscovered treasures'
https://www.panaynew[...]
Panay News
2018-03-01
[29]
문서
Table 5. Household Population by Ethnicity and Sex: Iloilo, 2000
https://www.census.g[...]
[30]
문서
Page 39. 2000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https://www.psa.gov.[...]
[31]
문서
Capiz's Annual Population Growth Rate Down to 1.00 Percent
https://psa.gov.ph/c[...]
[32]
웹사이트
Aklan: Population Growth Rate up to 2.05 Percent in 2000; Table 5. Household Population by Ethnicity and Sex: Aklan, 2000
http://census.gov.ph[...]
2002-07-24
[33]
웹사이트
Kinaray·a, Hiligaynon, Ilonggo and Aklanon Speaking People
https://ncca.gov.ph/[...]
[34]
웹사이트
Philippine Ethnography
https://nlpdl.nlp.go[...]
[35]
웹사이트
Panay emerging as 5th economic giant in PHL
https://businessmirr[...]
2017-07-31
[36]
웹사이트
Economy
http://aklan.gov.ph/[...]
2016-03-18
[37]
웹사이트
Philippine Standard Geographic Code (PSGC)
https://www.psa.gov.[...]
2021-02-24
[38]
웹사이트
DPWH reviews proposal for Iloilo-Capiz-Aklan Expressway
https://www.panaynew[...]
2024-05-29
[39]
뉴스
Anything Under the Sun: Panay Railways
http://www.thenewsto[...]
TNT Publishing, Inc.
2006-07-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