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빌론 요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빌론 요새는 이집트 멤피스 북동쪽, 나일 강 동쪽에 위치한 고대 요새로, 현재의 카이로 인근에 있었다. 기원전 6세기 네부카드네자르 2세가 바빌론의 이름을 따서 명명했다는 설이 있으며, 하 이집트와 중이집트의 경계 지점으로 전략적 요충지였다. 트라야누스 황제 시대에 홍해 운하를 재건하고 요새화된 항구를 건설했으며, 3세기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 시대에 운하 입구 방어 시설을 확장하여 현재의 요새가 건설되었다. 로마 제국 시대에는 군단의 주둔지였으며, 기독교 주교구의 중심지였다. 640년 아랍의 침공으로 함락되었으며, 이후에도 콥트 기독교의 중심지로 남아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집트의 성 - 카이로 성채
카이로 성채는 1176년부터 1183년 사이에 살라딘이 십자군으로부터 도시를 보호하기 위해 건설한 요새로, 이집트 총독부의 중심지이자 다양한 모스크와 박물관을 갖춘 이집트의 주요 관광 명소이다. - 카이로의 역사 - 알아즈하르 모스크
알아즈하르 모스크는 이집트 카이로에 위치한 이슬람 사원으로, 파티마 왕조 시대에 건설되어 여러 왕조를 거치며 확장 및 개보수를 거듭했고, 교육기관으로서 위상을 회복하여 현재까지 이슬람 세계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 카이로의 역사 - 2016년 카이로 콥트 교회 폭탄 테러
2016년 카이로 콥트 교회 폭탄 테러는 2016년 12월 11일 이집트 카이로의 교회에서 발생한 테러로, 다수의 사상자를 발생시켰으며,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ISIL)가 자신들의 소행이라고 주장했다.
바빌론 요새 | |
---|---|
개요 | |
![]() | |
위치 | 카이로 주, 이집트 |
지역 | 하 이집트 |
지리 정보 | |
일반 정보 | |
다른 이름 | ⲡⲁⲃⲓⲗⲱⲛ |
콥트어 이름 | ⲡⲁⲃⲓⲗⲱⲛ 또는 Ⲃⲁⲃⲩⲗⲱⲛ |
아랍어 이름 | حصن بابليون |
2. 명칭
"바빌론"이라는 명칭은 기원전 568년경 이 지역을 정복했던 네부카드네자르 2세가 자신의 고향 도시인 바빌론 (메소포타미아의 지배적인 도시였음)의 이름을 따서 붙여졌다.[2][3] 이집트학자들은 이 유적지의 고대 이름이 '케리아하'였다고 주장하며, 슈피겔베르크는 현대의 '바빌론'이라는 이름이 '페르하비논'에서 유래했다고 본다.[4][5]
바빌론은 멤피스의 북동쪽, 나일 강 동쪽 기슭, 그리고 나일 강을 홍해와 연결하는 파라오의 운하의 시작 부근에 있었다. 이곳은 하이집트와 중이집트의 경계 도시였으며, 강을 오가는 선박들이 통행료를 지불하는 곳이었다.
다른 역사가는 '바빌론'이라는 이름이 고대 'Pr-Hapi-n-Iwnw'(헬리오폴리스의 나일의 집)라는 말과 관련이 있다고 지적한다. 이는 고대 헬리오폴리스 도시에 사는 하피 신에게서 유래했다고 하는데, 하피는 나일강의 신이다.[13]
3. 지리적 위치
고대 이집트인들은 이 지역이 상이집트와 하이집트, 이 두 개의 독립 국가를 구성하는 경계의 시작점이라고 인식했다. 그곳은 이집트 전체에 있어 전략적으로 매우 중요한 요충지였으며, 고대 멤피스 도시는 현재의 카이로 남쪽에 위치했고, 적어도 멤피스는 두 왕국의 통합 초기부터 존재했다. 이는 두 지역의 균형을 고려하여 선택된 장소라고 말할 수 있다. 다른 시대의 많은 통치자들은 이집트에서 수도를 다른 곳으로 옮겼지만, 결국 이 전략적 요충지로 돌아오게 되었다.
4. 역사
바빌론 요새는 오랜 역사를 가진 중요한 요새이다. 일부 역사 자료에 따르면, 기원전 568년경 네부카드네자르 2세가 나일강과 홍해를 잇는 고대 이집트 운하가 있던 곳에 요새를 처음 건설했다고 한다.[6]
페르시아 시대에는 아케메네스 왕조의 왕 다리우스 1세(재위 기원전 521~486년)에 의해 운하가 다시 건설되었다.
로마 제국이 이집트를 정복했을 때, 그들은 기존 요새를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나일 강의 전략적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트라야누스 황제는 요새를 나일 강에 더 가까운 현재 위치로 옮겼으며, 이후 나일 강은 요새 북쪽 400m 지점을 흐르게 되었다.
이 도시는 기독교 주교구의 중심지였으며, 여러 주교의 이름이 기록되어 있다.[7][8] 더 이상 주교좌가 아닌 바빌론은 오늘날 동방 정교회와 가톨릭 교회 모두 명목 주교좌(titular see)로 등재되어 있다.[9]
동로마 제국 시대에 이 도시는 포카스 황제의 지배에 반항하기도 했다.
이집트 아랍 정복 기간 동안 비잔티움 요새는 약 7개월 동안 버텼지만, 결국 640년 12월 아랍 장군 암르 이븐 알 아스에게 함락되었다(바빌론 요새 공방전).
4. 1. 고대 이집트
고대 이집트인들은 이 지역이 상이집트와 하이집트, 이 두 개의 독립 국가를 구성하는 경계의 시작점이라고 인식했다. 그곳은 이집트 전체에 있어 전략적으로 매우 중요한 요충지였으며, 고대 멤피스 도시는 현재의 카이로 남쪽에 위치했고, 적어도 멤피스는 두 왕국의 통합 초기부터 존재했다. 이는 두 지역의 균형을 고려하여 선택된 장소라고 말할 수 있다. 다른 시대의 많은 통치자들은 이집트에서 수도를 다른 곳으로 옮겼지만, 결국 이 전략적 요충지로 돌아오게 되었다.
4. 2. 페르시아 시대
일부 역사 자료에 따르면, 기원전 568년경 네부카드네자르 2세가 나일강과 홍해를 잇는 운하가 있던 곳에 바빌론 요새를 처음 건설했다고 한다. 반란 중에 바빌론 포로들이 멤피스와 헬리오폴리스 사이, 나일 강 동쪽 기슭의 고지대에 요새를 구축했다.[6] 이 운하는 아케메네스 왕조의 왕 다리우스 1세(재위 기원전 521~486년)에 의해 다시 건설되었다.
4. 3. 로마 제국 시대
로마 제국의 트라야누스 황제(재위 98~117년)는 사용되지 않던 홍해 운하를 재건축하면서 '아므니스 트라야누스(Amnis Traianus)'라고 불리는 새로운 운하를 건설했습니다. 트라야누스는 운하의 입구를 이전 위치보다 남쪽인 현재의 옛 카이로(Old Cairo) 지역으로 옮기고, 요새화된 항구를 건설했습니다.[6] 최근 고고학 연구에 따르면, 현재 남아있는 바빌론 요새는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재위 285~305년) 통치 시기인 300년경 운하 입구의 방어 시설을 확장하여 건설된 것으로 추정됩니다.[6] 3세기 위기 이후 필요에 의해 건설된 이 거대한 요새는 육로와 해로 모두에 대한 방어를 제공했으며, 운하는 두 개의 거대한 원형 탑 사이를 지나 요새 중앙을 통과했습니다.[6] 이후 두 탑 사이에 벽을 쌓아 운하를 막았습니다.[6]
바빌론은 기독교 주교구의 중심지였으며, 아우구스타미카 세쿤다 로마 속주의 수도이자 대주교 관구였던 레온토폴리스의 속주교구였습니다. 여러 주교의 이름이 기록되어 있으며,[7][8] 더 이상 주교좌가 아닌 바빌론은 오늘날 동방 정교회와 가톨릭 교회에서 명목 주교좌로 등재되어 있습니다.[9]
아우구스투스 시대에 바빌론은 중요한 도시가 되었고, 3개 군단의 사령부가 설치되었습니다. ''Notitia Imperii''에는 바빌론이 제8 게르마니아 군단의 주둔지로 언급되어 있습니다.
4. 4. 동로마 제국과 이슬람 정복
동로마 제국 시대에 이 도시는 포카스 황제의 지배에 반항했다.
639년부터 642년까지 이어진 이집트 정복 기간 동안, 비잔티움 요새는 약 7개월 동안 포위되었으나, 결국 640년 12월 아랍 장군 암르 이븐 알 아스에게 함락되었다(바빌론 요새 공방전).[6] 이 정복과 그 후 아랍인들에 의한, 당시 여전히 콥트 기독교도 도시의 통치에 대한 역사는 니키우의 요한 주교가 그의 '연대기'에서 이야기하고 있는데, 이것은 현재 에티오피아어 사본으로만 남아 있다.
5. 사진
참조
[1]
웹사이트
أسماء بعض البلاد المصرية بالقبطية - كتاب لغتنا القبطية المصرية
https://st-takla.org[...]
2024-02-26
[2]
서적
Dictionnaire des Noms Géographiques Contenus dans les Textes Hiéroglyphiques Vol. 4
https://archive.org/[...]
1927
[3]
서적
An Egyptian hieroglyphic dictionary: with an index of English words, king list and geological list with indexes, list of hieroglyphic characters, coptic and semitic alphabets, etc. Vol II
https://archive.org/[...]
John Murray
1920
[4]
서적
Dictionnaire des Noms Géographiques Contenus dans les Textes Hiéroglyphiques Vol. 4
1925
[5]
서적
Aegyptologische Randglossen zum Alten Testament.
https://archive.org/[...]
Schlesier & Schweikhardt
1904
[6]
서적
L'Égypte sous les Pharaons
De Bure
1814
[7]
서적
Oriens christianus in quatuor Patriarchatus digestus
https://books.google[...]
1740
[8]
간행물
A Checklist of Bishops in Byzantine Egypt (A.D. 325 – c. 750)
https://openaccess.l[...]
1994
[9]
서적
Annuario Pontificio 2013
Libreria Editrice Vaticana
2013
[10]
웹사이트
Let's Enjoy a Morocco private tour together
https://letsvisitmor[...]
2022-05-09
[11]
웹사이트
Fort Babylon In Cairo
http://touregypt.net[...]
[12]
웹사이트
Coptic museum
http://www.copticmus[...]
[13]
웹사이트
The Fortress of Babylon...The Fortress of Babylon
http://www.memphisto[...]
[14]
웹사이트
st-takla.org
https://st-takla.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