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상후 (언론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상후는 대한민국의 언론인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와 연세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하고 1994년 MBC에 입사하여 기자로 활동했다. MBC 베이징 특파원, 국제부장, 전국부장 등을 역임했으며, 전국부장 재직 시 불공정 보도 비판을 받았다. 2018년 MBC에서 해고된 후 보수 성향의 매체에서 활동하며, 유튜브 채널 《박상후의 문명개화》를 운영하며 국제 관계 관련 콘텐츠를 다루고 있다. 그는 저작권법 위반, 세월호 침몰 사고 관련 부적절한 발언, 일베 용어 사용 등 논란에 휩싸였으며,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친러시아 성향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연세대학교 국제학대학원 동문 - 민경욱
민경욱은 연세대학교 행정학 석사 출신의 대한민국 정치인이자 전직 언론인으로, KBS 기자와 대통령비서실 대변인을 거쳐 제20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4·15 총선 부정선거 주장을 제기하며 논란을 일으킨 바 있다. - 연세대학교 국제학대학원 동문 - 이무송
이무송은 1983년 MBC 대학가요제에서 데뷔하여 1993년 '사는 게 뭔지'로 KBS 가요톱텐 5주 연속 1위를 차지하는 등 전성기를 누린 대한민국의 가수로, 현재는 (주)바로연 결혼정보의 대표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 일본어-한국어 번역가 - 양윤옥
양윤옥은 원광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출판사 편집부에서 근무한 대한민국의 번역가로, 1992년부터 일본 소설 번역을 시작해 2005년 《일식》 번역으로 고단샤 노마 문예 번역상을 수상했으며, 《나미야 잡화점의 기적》, 《1Q84》 등 다수의 작품을 번역했다. - 일본어-한국어 번역가 - 최고은 (번역가)
최고은은 일본 소설, 특히 추리 소설과 라이트 노벨을 주로 번역하며, 기리노 나쓰오, 노리즈키 린타로, 미야베 미유키, 요네자와 호노부 등 일본 작가와 더불어 《해리 포터 시리즈》, 《1Q84》, 《나미야 잡화점의 기적》 등 다양한 국가의 문학 작품을 한국어로 번역하는 대한민국의 번역가이다. - 여주시 출신 - 이범관 (1943년)
이범관은 대한민국의 법조인 출신 정치인으로, 검사로서 주요 요직을 거쳐 변호사로 활동하다가 제18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으나, 이천오층석탑 환수 문제 관련 발언으로 논란을 빚었다. - 여주시 출신 - 임화수
임화수는 이정재와 함께 동대문파의 2인자이자 이승만 정권의 비호 아래 영화계 대부로 활동하며 반공예술인단을 조직하여 자유당 정권의 선전 도구로 활용하고 정치 테러에 개입했으나 4.19 혁명 이후 몰락하여 5.16 군사정변 이후 사형당한 정치 깡패이자 영화 제작자이다.
박상후 (언론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박상후 |
원어 이름 | 朴商厚 |
출생일 | 1968년 |
출생지 | 대한민국 경기도 여주시 |
국적 | 대한민국 |
학력 |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어과 연세대학교 국제학대학원 동아시아학과 석사 |
직업 | 언론인, 번역가, 정치·시사·역사 평론가 |
병역 | 대한민국 육군 병장 |
경력 | |
언론 | MBC 문화방송 기자 MBC 베이징 특파원 MBC 보도국 취재센터 국제부장, 전국부장, 문화부장, 시사제작국 부국장 |
객원 칼럼니스트 | 《월간조선》 《펜앤드마이크》 《신의한수》 |
유튜브 진행 | 가로세로연구소의 《가로세로 뉴스타파》, 《박상후의 월드뉴스》 코너 진행 이승만학당의 유튜브 채널 《이승만TV》 영상 강의 진행 유튜브 채널 《박상후의 문명개화》 운영 |
2. 생애
경기도 여주시 출신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어과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국제학대학원에서 동아시아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1994년 문화방송(MBC)에 입사하여 기자 생활을 시작했으며, 2006년부터 2010년까지 MBC 베이징 특파원으로 활동했다.
이후 MBC 보도국에서 국제부장, 전국부장, 문화부장, 시사제작국 부국장 등을 역임했다. 그러나 전국부장 재직 시절 인터넷 방송 팩트TV 영상 무단 사용으로 저작권법 위반 벌금형(1000만원)을 선고받았고,[2] 세월호 침몰 사고 관련 부적절한 발언 및 보도 태도,[3][4][5][6] 일베저장소 용어 사용 의혹,[7] 나치 독일 관련 문구 게시,[8] 지역 비하 발언[9] 등 여러 논란으로 비판받았다. 이러한 행적은 최승호 감독의 다큐멘터리 영화 《공범자들》에도 일부 다뤄졌다.
2018년 3월에는 배현진, 김세의 전 MBC 기자와 함께 당시 야당이던 자유한국당의 '좌파정권 방송장악 피해자 지원 특별위원회'에 참여했으며,[10][11] 같은 해 6월 MBC에서 해고되었다.[12]
MBC 해고 이후에는 《월간조선》, 《펜앤드마이크》 등 보수 성향 매체에서 칼럼니스트로 활동하고, 가로세로연구소, 이승만학당 《이승만TV》 등 보수 성향 유튜브 채널에 출연했다. 2019년부터는 국제 정세를 다루는 개인 유튜브 채널 《박상후의 문명개화》를 운영하고 있으며, 초기에는 보수주의적 관점을 보였으나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친러시아, 반서방 성향으로 변화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2. 1. 언론인 활동
1994년 문화방송(MBC)에 입사하여 기자 활동을 시작했으며, 2006년부터 2010년까지 MBC 베이징 특파원으로 활동했다.[2]2010년부터 MBC 보도국 취재센터에서 국제부장, 전국부장, 문화부장, 시사제작국 부국장 등을 역임했다. 그러나 전국부장 재직 시절, 불공정한 보도 행태로 비판을 받았다. 2013년 11월, MBC 전국부장으로 재직하던 중 기자들에게 천주교정의구현사제단 소속 박창신 신부의 국가정보원 여론 조작 사건 규탄 및 박근혜 대통령 사퇴 촉구 시국미사 영상을 보도하면서, 원본 영상 출처인 인터넷 방송 팩트TV의 로고와 제목을 삭제하고 '영상 출처 유튜브'로 표기하여 송출하도록 지시했다. 이로 인해 서울남부지방법원으로부터 저작권법 위반 혐의로 기소되어 벌금 1000만원을 선고받았다. 2015년 1월 27일, 신중권 판사는 "팩트TV의 영상은 창작성을 고려할 때 저작물로 인정되므로 박상후의 행위는 저작권 도용에 해당한다"고 판결했다.[2]
2014년 5월 7일 《MBC 뉴스데스크》의 '데스크 리포트 - 함께 생각해봅시다' 코너에서는 '분노와 슬픔을 넘어서'라는 제목으로 "세월호 침몰 사고 당시 수색 작업을 하다 숨진 이광욱 잠수부가 일부 실종자 가족들의 분노와 조급증 때문에 사망했다"는 취지의 주장을 하여 부적절하다는 비판을 받았다.[3][4] 또한 당시 목포MBC 한승현 보도부장은 "세월호 침몰 사고 당일 오전에 박상후 전국부장에게 '단원고등학교 학생 전원 구조' 보도가 사실이 아님을 알렸으나 묵살당했다"고 증언하기도 했다.[5][6] 이 외에도 MBC 뉴스 원고에 일베저장소에서 자주 사용되는 용어를 사용하거나,[7] MBC 사내 게시판에 나치 독일의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나치당)이 사용했던 구호이자 부헨발트 강제 수용소 입구 문구인 JEDEM DAS SEINE|예뎀 다스 자이네de('각자 자기 방식대로' 또는 '자업자득'이라는 뜻)라는 제목의 글을 게시한 사실,[8] 전라남도 순천시 출신 카메라 기자에게 "너 홍어였네?"라고 지역 비하 발언을 한 사실 등이 폭로되었다.[9] 이러한 그의 행적은 최승호 감독의 다큐멘터리 영화 《공범자들》에 묘사되기도 했다.
2018년 3월에는 배현진, 김세의 전 MBC 기자와 함께 당시 자유한국당의 '좌파정권 방송장악 피해자 지원 특별위원회'에 참여했다.[10][11] 같은 해 6월 MBC에서 해고된 후에는[12] 《월간조선》, 《펜앤드마이크》, 《신의한수》 등 보수 성향 매체에서 객원 칼럼니스트로 활동했으며, 국제 관계 및 역사 전문 평론가, 번역가, 역사 저술가로도 활동했다. 또한 김세의, 강용석이 운영한 보수 성향 유튜브 채널 가로세로연구소의 《가로세로 뉴스타파》, 《박상후의 월드뉴스》 코너와 이영훈이 설립한 이승만학당의 유튜브 채널 《이승만TV》 등에서 활동했다.
2019년부터는 국제 정세 관련 뉴스를 다루는 개인 유튜브 채널 《박상후의 문명개화》를 운영하고 있다. 초기에는 보수주의적 관점에서 국제 관계를 해설했으나,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로는 친러시아 및 반서방 성향을 뚜렷하게 보이고 있다.
2. 2. 논란 및 비판
문화방송(MBC) 재직 시절 여러 논란에 휩싸였다. 전국부장으로 재직하던 중 인터넷 방송 팩트TV의 영상을 무단으로 사용하여 저작권법 위반 혐의로 벌금형을 선고받았으며,[2] 세월호 침몰 사고와 관련하여 부적절한 발언을 하고 오보를 묵살했다는 비판을 받았다.[3][4][5][6] 또한 뉴스 원고에 극우 성향 사이트인 일베저장소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포함시키거나,[7] 나치 독일 관련 문구인 JEDEM DAS SEINE|예뎀 다스 자이네deu를 사내 게시판에 게시하고,[8] 특정 지역 출신 동료 기자에게 지역 비하 발언을 한 사실 등이 알려지며 물의를 빚었다.[9] 이러한 그의 행적은 최승호 감독의 다큐멘터리 영화 《공범자들》에도 일부 묘사되었다.2018년 3월에는 배현진, 김세의 전 MBC 기자와 함께 당시 야당이던 자유한국당의 '좌파정권 방송장악 피해자 지원 특별위원회'에 참여하며 정치적 행보를 보이기도 했다.[10][11] 같은 해 6월 MBC에서 해고된 이후에는[12] 《월간조선》, 《펜앤드마이크》 등 보수 성향 매체에 칼럼을 기고하고, 김세의, 강용석 등이 운영한 유튜브 채널 가로세로연구소와 이영훈이 설립한 이승만학당의 유튜브 채널 《이승만TV》 등에 출연하며 활동을 이어갔다.
2019년부터는 개인 유튜브 채널 《박상후의 문명개화》를 개설하여 운영 중이다. 초기에는 주로 보수주의적 관점에서 국제 관계를 다루었으나,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로는 친러시아 및 반서방 성향의 콘텐츠를 주로 제작하며 논조의 변화를 보이고 있다.
2. 2. 1. 불공정 보도 논란
문화방송(MBC) 보도국 전국부장으로 재직하던 시절에 불공정 보도를 했다는 비판을 받았다.MBC 전국부장으로 재직 중이던 2013년 11월, 천주교정의구현사제단 소속 박창신 신부가 국가정보원 여론 조작 사건 규탄 및 박근혜 대통령 사퇴 촉구 시국 미사를 진행하는 모습을 촬영한 인터넷 방송 팩트TV의 영상 사용과 관련하여 논란이 일었다. 박상후는 MBC 기자들에게 해당 영상에서 팩트TV의 로고와 제목을 삭제하고 '영상 출처 유튜브'라는 자막을 넣어 송출하도록 지시했다. 이로 인해 서울남부지방법원으로부터 저작권법 위반 혐의로 기소되어 2015년 1월 27일, 벌금 1000만원을 선고받았다. 재판부는 팩트TV 영상의 창작성을 인정하며 박상후의 행위가 저작권 침해에 해당한다고 판결했다.[2]
2014년 5월 7일에 방송된 《MBC 뉴스데스크》의 '데스크 리포트 - 함께 생각해봅시다' 코너에서는 '분노와 슬픔을 넘어서'라는 제목의 보도를 통해 "세월호 침몰 사고 당시 수색 작업을 하다 사망한 이광욱 잠수부가 일부 실종자 가족들의 분노와 조급증 때문에 희생된 측면이 있다"는 취지의 주장을 하여 부적절하다는 비판을 받았다.[3][4] 또한, 세월호 침몰 사고 당일인 2014년 4월 16일 오전에 '단원고등학교 학생 전원 구조' 보도가 사실이 아니라는 보고를 받았음에도 이를 묵살했다는 증언도 나왔다. 당시 한승현 목포MBC 보도부장은 박상후 전국부장에게 오보 사실을 알렸으나 반영되지 않았다고 밝혔다.[5][6]
이 외에도 MBC 뉴스 원고에 극우 성향 사이트인 일베저장소에서 자주 사용되는 용어를 사용한 사실,[7] MBC 사내 게시판에 나치 독일의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나치당)이 선전 문구로 사용했으며 부헨발트 강제 수용소 정문에도 적혀 있던 문구인 JEDEM DAS SEINE|예뎀 다스 자이네de('각자 자기 방식대로' 또는 '자업자득'이라는 뜻)라는 제목의 글을 게시한 사실,[8] 전라남도 순천시 출신 카메라 기자에게 "너 홍어였네?"라고 발언하며 지역 비하성 발언을 한 사실 등이 폭로되기도 했다.[9] 이러한 박상후의 행적은 최승호 감독의 다큐멘터리 영화 《공범자들》에서도 다루어졌다.
2. 2. 2. 저작권법 위반
문화방송(MBC) 전국부장으로 재직 중이던 2013년 11월 23일부터 11월 26일까지 MBC 기자들에게 천주교정의구현사제단 소속 박창신 신부가 전라북도 군산시 수송동성당에서 진행한 국가정보원 여론 조작 사건 규탄 및 박근혜 대통령 사퇴 촉구 시국 미사 영상을 무단으로 사용하도록 지시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당시 박상후는 해당 시국 미사를 촬영한 인터넷 방송 팩트TV의 영상에서 팩트TV 로고와 제목을 삭제하고 '영상 출처 유튜브'라는 자막을 넣어 송출하도록 지시했다. 이 사건으로 서울남부지방법원은 박상후를 저작권법 위반 혐의로 기소했고, 2015년 1월 27일 벌금 1000만원을 선고했다. 재판부는 판결문에서 "팩트TV의 영상은 창작성 등을 고려할 때 저작물로 인정되기 때문에 박상후 MBC 전국부장의 행위는 저작권 도용에 해당된다."고 밝혔다.[2]2. 2. 3. 세월호 침몰 사고 관련 부적절한 발언
2014년 5월 7일 방송된 《MBC 뉴스데스크》의 '데스크 리포트 - 함께 생각해봅시다' 코너에서는 '분노와 슬픔을 넘어서'라는 제목의 보도를 통해 "세월호 침몰 사고 당시에 해상에서 수색 작업을 하다 숨진 이광욱 잠수부가 일부 실종자들의 분노, 증오, 조급증 때문에 사망했다."고 주장하여 부적절한 발언이라는 비판을 받았다.[3][4] 목포MBC 한승현 보도부장은 "세월호 침몰 사고 당일인 2014년 4월 16일 오전에 박상후 MBC 전국부장에게 '단원고등학교 학생 전원 구조'가 사실이 아니다는 것을 알렸으나 박상후 MBC 전국부장이 이를 묵살했다."고 증언했다.[5][6]또한 MBC 뉴스 원고에 극우 성향 사이트 일베저장소에서 자주 사용되던 용어를 사용한 사실,[7] MBC 사내 게시판에 나치 독일의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나치당)이 사용했던 구호 가운데 하나이자 부헨발트 강제 수용소 입구에 부착되었던 문구이기도 한 Jedem das Seine|예뎀 다스 자이네de('각자 자기 방식대로' 또는 '자업자득'이라는 뜻)라는 제목의 글을 게재한 사실,[8] 전라남도 순천시 출신 카메라 기자를 "너 홍어였네?"(홍어는 일베저장소에서 전라도를 폄하하기 위하여 사용한 표현임)라고 조롱한 사실이 폭로되기도 했다.[9] 박상후의 이러한 행적은 최승호가 감독을 맡은 다큐멘터리 영화 《공범자들》에 묘사되었다.
2. 2. 4. 기타 논란
MBC 전국부장으로 재직 중이던 2013년 11월, 천주교정의구현사제단 소속 박창신 신부의 국가정보원 여론 조작 사건 규탄 및 박근혜 대통령 사퇴 촉구 시국미사를 촬영한 인터넷 방송 팩트TV의 영상에서 로고와 제목을 삭제하고 '영상 출처 유튜브'로 표기하여 방송하도록 기자들에게 지시했다. 이로 인해 서울남부지방법원으로부터 저작권법 위반 혐의로 기소되어 벌금 1000만원을 선고받았다. 2015년 1월 27일 재판부는 "팩트TV의 영상은 창작성 등을 고려할 때 저작물로 인정되기 때문에 박상후의 행위는 저작권 도용에 해당된다"고 판결했다.[2]2014년 5월 7일 《MBC 뉴스데스크》의 '데스크 리포트 - 함께 생각해봅시다' 코너에서 '분노와 슬픔을 넘어서'라는 제목의 보도를 통해 "세월호 침몰 사고 당시 수색 작업을 하다 숨진 이광욱 잠수부가 일부 실종자 가족들의 분노, 증오, 조급증 때문에 사망했다"고 주장하여 부적절한 발언이라는 비판을 받았다.[3][4] 또한 당시 목포MBC 보도부장이었던 한승현은 "세월호 침몰 사고 당일 오전에 박상후 당시 전국부장에게 '단원고등학교 학생 전원 구조'가 사실이 아니라고 보고했으나 박상후가 이를 묵살했다"고 증언하기도 했다.[5][6]
이 외에도 MBC 뉴스 원고에 일베저장소에서 자주 사용되는 용어를 사용했다는 의혹,[7] MBC 사내 게시판에 나치 독일의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나치당)이 사용했던 구호이자 부헨발트 강제 수용소 입구에도 적혀 있던 문구인 JEDEM DAS SEINE|예뎀 다스 자이네deu(독일어로 '각자 자기 방식대로' 또는 '자업자득'이라는 뜻)라는 제목의 글을 게시한 사실,[8] 전라남도 순천시 출신 카메라 기자에게 지역 비하 표현인 "너 홍어였네?"라고 조롱한 사실 등이 폭로되었다.[9] 박상후의 이러한 행적들은 최승호 감독의 다큐멘터리 영화 《공범자들》에 일부 묘사되었다.
2. 3. MBC 해고 이후 활동
2018년 3월에는 배현진·김세의 전 MBC 기자와 함께 자유한국당의 좌파정권 방송장악 피해자 지원 특별위원회에 참여했다.[10][11] 이후 같은 해 6월에 MBC에서 해고되었다.[12]해고 이후에는 《월간조선》, 《펜앤드마이크》, 《신의한수》 등 보수주의 성향의 인터넷 매체 및 유튜브 채널에서 객원 칼럼니스트로 활동했다. 또한 국제 관계 및 역사 전문 평론가, 번역가, 역사 저술가로도 활동 영역을 넓혔다. 김세의·강용석이 운영한 보수주의 성향의 유튜브 채널 가로세로연구소에서 《가로세로 뉴스타파》, 《박상후의 월드뉴스》 코너를 진행했으며, 경제학자 이영훈이 설립한 이승만학당의 유튜브 채널 《이승만TV》에서 영상 강의를 하기도 했다.
2019년부터는 국제 관계 뉴스를 주로 다루는 개인 유튜브 채널 《박상후의 문명개화》를 운영하기 시작했다. 초기에는 국제 관계를 보수주의적 관점에서 접근하여 전달했으나,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시작된 이후부터는 친러시아, 반서방 성향을 보이는 것으로 평가받는다.
2. 4. 유튜브 채널 운영
2018년 6월 MBC에서 해고된 이후[12], 《월간조선》, 《펜앤드마이크》, 《신의한수》와 같은 보수주의 성향의 인터넷 매체 및 유튜브 채널에서 객원 칼럼니스트로 활동했다. 또한 김세의, 강용석이 운영하는 보수 성향 유튜브 채널 가로세로연구소에서 《가로세로 뉴스타파》, 《박상후의 월드뉴스》 코너를 진행했으며, 경제학자 이영훈이 설립한 이승만학당의 유튜브 채널 《이승만TV》에서 영상 강의를 진행했다.2019년부터는 국제 관계 뉴스를 다루는 개인 유튜브 채널 《박상후의 문명개화》를 운영하기 시작했다. 초기에는 국제 정세를 보수주의적 시각에서 분석했으나,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에는 친러시아 및 반서방 성향의 콘텐츠를 제작하는 경향을 보인다.
3. 저서 및 번역서
구분 | 제목 | 출판 연도 | 출판사 | 비고 |
---|---|---|---|---|
번역서 | 《모택동 인민의 배신자》 | 2019년 | 타임라인 | 遠藤 譽|엔도 호마레일본어 원작 |
저서 | 《메이지 유신을 이끈 카게무샤》 | 2019년 | 프리덤앤위즈덤 | |
저서 | 《반일 종족주의와의 투쟁》 | 2020년 | 미래사 | 공동 저자: 이영훈 외 8명 |
참조
[1]
뉴스
"[특집 {{!}} ‘民族(민족)’을 다시 생각한다] 일본·중국의 민족 개념과 민족주의 : 메이지시대 일본이 만든 ‘民族(민족)’, 韓(한)·中(중)으로 수출되다"
http://monthly.chosu[...]
2018-10-01
[2]
뉴스
"'일베' 퍼나르던 박상후 MBC 부장, 팩트TV '도용' 벌금형"
http://www.mediatoda[...]
2015-01-29
[3]
뉴스
MBC, 실종자 가족 조급증이 잠수사 죽음 불렀다?
http://www.mediatoda[...]
2014-05-08
[4]
뉴스
조급증이 잠수사 죽음 불렀다는 MBC 뉴스
http://www.journalis[...]
2014-05-08
[5]
뉴스
"[전문] \"완전깡패네…\" MBC, 부장에 앞서 국장이 세월호 유족 비난?"
https://newsis.com/a[...]
2014-05-13
[6]
뉴스
MBC 박상후 전국부장, 세월호 유가족 폄훼 논란
https://www.tvreport[...]
2014-05-13
[7]
뉴스
유가족 '폄하' 논란 박상후 MBC부장, '일베' 글·용어 사용 논란
http://www.mediatoda[...]
2014-05-26
[8]
뉴스
"\"너 홍어\" MBC 박상후, '나치주의' 연상 글 논란"
http://www.mediatoda[...]
2017-08-30
[9]
뉴스
세월호 유족 폄훼 MBC 부국장 “너 홍어네” 지역 폄하
http://www.mediatoda[...]
2017-08-28
[10]
뉴스
한국당, 좌파정권 방송장악 피해자 지원특위 구성…배현진 포함
https://www.yna.co.k[...]
2018-03-14
[11]
뉴스
배현진·김세의·박상후, 자유한국당 모여 “우린 언론장악 피해자”
http://www.mediatoda[...]
2018-03-27
[12]
뉴스
법원 "'세월호 불공정 보도' 박상후 MBC 前부장 해고 정당"
https://www.yna.co.k[...]
2019-08-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