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목포문화방송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목포문화방송은 1968년 라디오 목포로 개국하여, 전라남도 목포시에 본사를 둔 MBC 계열의 방송국이다. 라디오 방송은 1986년 FM 방송을 시작했으며, 1987년 TV 방송을 개시했다. 현재 표준FM(89.1MHz)과 FM4U(102.3MHz)를 운영하며, 지상파 DMB 방송도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전라남도 지상파 방송국 - 광주극동방송
    광주극동방송은 광주광역시를 가청권역으로 하는 극동방송 지사로, 2010년 개설되어 FM 93.1MHz 주파수로 광주광역시 및 전라남도 일부 지역에 방송한다.
  • 대한민국의 전라남도 지상파 방송국 - JTV MAGIC FM
    JTV MAGIC FM은 JTV에서 방송하는 라디오 채널이며, 90.1㎒ 주파수로 전라북도 일원에 방송된다.
  • 문화방송 계열 방송국 - 부산문화방송
    부산문화방송은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 동부 지역을 가시청권으로 하는 지상파 방송국으로, 1959년 한국문화방송 부산방송국으로 개국하여 TV 방송을 개국했으며, 언론 통폐합을 거쳐 현재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에 본사를 두고 있다.
  • 문화방송 계열 방송국 - MBC강원영동
    MBC강원영동은 강원특별자치도를 가시청권역으로 하는 문화방송 계열의 방송국으로, 1968년 영동방송으로 개국하여 현재는 강릉과 삼척 방송국을 운영하며 TV, 라디오, DMB 방송을 송출한다.
  • 1967년 설립 -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ASEAN)은 1967년 반공주의를 바탕으로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5개국이 설립한 국제기구로, 냉전 종식 후 베트남, 라오스, 미얀마, 캄보디아가 가입하여 현재 10개국 체제를 유지하며 경제 통합 및 동아시아 지역 협력을 강화하고 있으나, 역내외 안보 및 인권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 1967년 설립 - 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소
    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소는 일본 후쿠시마현에 위치한 6기의 비등수형 원자로로 구성된 발전소로, 2011년 동일본 대지진과 쓰나미로 인해 심각한 사고가 발생하여 현재 해체 및 오염 정화 작업이 진행 중이며 방사성 오염수 해양 방류 문제로 논란이 있다.
목포문화방송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회사명목포문화방송주식회사
영문 회사명Mokpo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약칭목포MBC
국적대한민국
우편 번호58700
본사 위치전라남도 목포시 영산로 334 (용당2동 1096-1)
업종방송업
대표자대표이사 사장 유창영 (Yoo Chang-yeong)
창립일1967년 11월 10일
개국일 (라디오)1968년 8월 17일
개국일 (음악 FM)1986년 7월 1일
개국일 (TV)1987년 11월 16일
이전 회사명(주)라디오목포 (1967년 ~ 1971년)
시장 정보비상장
자본금1,000,000,000원 (2020년 12월 기준)
매출액10,880,763,620원 (2020년)
영업 이익180,344,958원 (2020년)
순이익661,001,883원 (2020년)
자산 총액46,796,367,413원 (2020년 12월 기준)
주주주식회사 문화방송 51.00%, 권욱 10.36%, 권호 9.36%, 강한선 9.00%, 기타 20.28%
사장김순규 (Kim Sun-gyu, 대표이사 사장)
모기업문화방송
웹사이트목포문화방송

2. 연혁

2. 1. 1960년대

2. 2. 1970년대


  • 1971년 9월 17일: 목포문화방송주식회사로 상호를 변경하였다.[1]
  • 1971년 10월 26일: 권이담 사장이 취임하였다.
  • 1975년 4월 12일: 부설 목포문화노인대학을 개교하였다.
  • 1976년 7월 19일: 송신소에 예비송신기(10㎾)를 설치하였다.
  • 1978년 11월 23일: AM 라디오 주파수를 1390kHz에서 1386kHz로 변경하였다.

2. 3. 1980년대

2. 4. 1990년대

2. 5. 2000년대

2. 6. 2010년대

2. 7. 2020년대

3. TV 방송

1984년 5월 29일 양을산 TV 중계소가 설치되었고, 1987년 11월 16일 TV방송을 개국하면서 목포문화방송의 TV방송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2005년 4월 22일 디지털TV방송을 개국하여 고품질의 방송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2012년 10월 30일 아날로그TV방송을 완전히 종료하였다. 전남 서남부지역과 제주특별자치도 일부지역을 가시청권역으로 방송하고 있다.[1]

3. 1. TV 프로그램

wikitext

;보도

프로그램명방송시간편성시간진행
MBC 뉴스투데이 목포·전남월~금 30분07:20 ~ 07:50최다훈
MBC 5시 뉴스와 경제 목포·전남월~금 10분17:10 ~ 17:15허연주
MBC 뉴스데스크 목포·전남월~금 20분, 토~일 15분월~금 20:25 ~ 20:45(금 20:00 ~ 20:20), 토~일 20:20 ~ 20:35허연주 (주말 무작위)



;교양·예능

3. 1. 1. 보도

토~일 15분20:25 ~ 20:45(금 20:00 ~ 20:20)
20:20 ~ 20:35허연주 (주말 무작위)


3. 1. 2. 교양·예능

3. 2. 방송 송출 시설망

1984년 5월 29일 양을산 TV 중계소가 설치되었고, 1987년 11월 16일 TV방송을 개국하면서 목포문화방송의 TV방송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2005년 4월 22일 디지털TV방송을 개국하여 고품질의 방송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2012년 10월 30일 아날로그TV방송을 완전히 종료하였다. 전남 서남부지역과 제주특별자치도 일부지역을 가시청권역으로 방송하고 있다.

3. 2. 1. 디지털TV 방송



송신소물리 채널출력
대둔산K-23ch2kW
양을산K-37ch100W
지도K-23ch0.05W
도림K-37ch0.05W
독천K-37ch0.05W
도초K-47ch20W
진도군K-28ch20W
의신K-16ch10W
계곡K-28ch20W
군동K-16ch20W
성전K-23ch0.05W
청산도K-23ch0.05W
장흥K-28ch20W


4. 라디오 방송

목포문화방송은 표준FM(89.1MHz)과 FM4U(102.3MHz) 두 개의 라디오 채널을 운영하고 있다.

채널주파수호출부호출력송신소방송구역
목포MBC 라디오FM 89.1㎒HLAM-SFM2㎾대둔산목포시 일원, 해남군, 장흥군, 강진군, 영암군, 무안군, 함평군, 완도군, 진도군, 신안군, 나주시, 담양군, 곡성군, 구례군, 고흥군, 보성군, 화순군, 영광군, 장성군, 광주광역시 일부, 고흥군, 광양시, 순천시, 여수시, 경상남도 남해군 일부 (광주MBC, 여수MBC, 전주MBC, MBC경남을 번갈아서 수신)
목포MBC FM4UFM 102.3㎒HLAM-FM1㎾양을산목포시 일원, 해남군, 장흥군, 강진군, 영암군, 무안군, 함평군, 완도군, 진도군, 신안군, 나주시, 담양군, 곡성군, 구례군, 고흥군, 보성군, 화순군, 영광군, 장성군, 광주광역시 일부 (광주MBC를 번갈아서 수신)[1]


4. 1. 라디오 프로그램

목포문화방송은 표준FM(89.1MHz)과 FM4U(102.3MHz) 두 개의 라디오 채널을 운영하고 있다.

채널주파수호출부호출력송신소
목포MBC 라디오FM 89.1㎒HLAM-SFM2㎾대둔산 송신소
목포MBC FM4UFM 102.3㎒HLAM-FM1㎾양을산 송신소

[1]

4. 1. 1. 목포MBC 라디오 (표준FM)

FM영어 89.1MHz (호출부호 HLAM-SFM영어)는 목포문화방송의 라디오 방송이다.

4. 1. 2. 목포MBC FM4U

목포MBC FM4U는 주파수 FM 102.3MHz, 호출 부호 HLAM-FM으로 방송되는 목포문화방송의 음악 전문 라디오 채널이다.

4. 2. 방송 송출 시설망

목포MBC의 방송 송출 시설망은 다음과 같다.

구 분송신소주파수출력호출부호송신소 위치
목포MBC 라디오대둔산FM 89.1MHz2kWHLAM-SFM전라남도 해남군 현산면 황산리 산1-16
목포MBC FM4U양을산FM 102.3MHz1kWHLAM-FM전라남도 목포시 상동 산55-2

4. 2. 1. 목포MBC 라디오 (표준FM)

송신소주파수출력호출 부호
대둔산FM 89.1MHz2kWHLAM-SFM


4. 2. 2. 목포MBC FM4U

송신소주파수출력호출부호송신소 위치방송구역
양을산FM 102.3㎒1㎾HLAM-FM전라남도 목포시 상동 산55-2목포시 일원, 해남군·장흥군·강진군·영암군·무안군·함평군·완도군·진도군·신안군·나주시·담양군·곡성군·구례군·고흥군·보성군·화순군·영광군·장성군·광주광역시 일부 (광주MBC를 번갈아서 수신)[1]


4. 3. 라디오 시보 멘트

FM영어 89.1MHz 목포MBC 라디오입니다. HLAM-SFM[1]

FM영어 102.3MHz 목포MBC FM4U영어입니다. HLAM-FM

5. 지상파DMB 방송

광주문화방송, 여수문화방송, 전주문화방송과 함께 공동으로 투자하여 광주, 전남, 전북 등 전 지역을 방송권역으로 하는 지상파DMB사업자로서 방송·운영 중이다. 와우 라디오에서도 시청할 수 있다.

; 호남MBC



송신소물리 채널(주파수)공중선 전력
무등산K-8Ach (181.280MHz)2kW
모악산K-12Ach (205.280MHz)2kW
삼공K-12Ach (205.280MHz)90W
노고단K-12Ach (205.280MHz)2kW
대둔산K-8Ach (181.280MHz)2kW
양을산K-8Ach (181.280MHz)90W
망운산K-7Ach (175.280MHz)2kW
구봉산K-7Ach (175.280MHz)90W


6. 소속 방송인

목포문화방송에는 아나운서, 리포터, 보도국 구성원 등이 소속되어 있다.

6. 1. 아나운서

6. 2. 리포터

6. 3. 목포MBC 보도국

목포MBC 보도국은 朴永勳|박영훈중국어 보도국장 아래 보도부와 영상부로 구성되어 있다. 보도부에는 김진선 보도부장, 김윤, 신광하 국장, 김양훈, 박종호, 안준호, 서일영, 김규희 기자가 있다. 영상부에는 김대준 영상부장, 정상철 국장, 김승호 부장, 민정섭 차장, 홍경석, 노영일 기자가 있다.

6. 3. 1. 보도부

직책이름
보도국장박영훈
보도부장김진선
국장김윤, 신광하
기자김양훈, 박종호, 안준호, 서일영, 김규희


6. 3. 2. 영상부

직책이름
영상부장김대준
국장정상철
부장김승호
차장민정섭
기자홍경석
기자노영일


7. 해외 제휴 방송국

롄윈강 시 방송 텔레비전 방송국 中华人民共和国|중화인민공화국중국어

8. 본사 위치

대한민국 전라남도 목포시 영산로 334 (용당2동 1096-1)에 위치해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