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지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반지하는 대한민국의 주거 형태 중 하나로, 건물 층의 절반 이상이 지하에 위치한 주택을 의미한다. 1970년 건축법 개정을 통해 방공호 설치 의무화로 시작되었으며, 1980년대 서울의 주택 부족으로 임대가 허용되었다. 서울의 높은 주거 비용으로 인해 빈곤층의 주거 선택지로 이용되며, 영화 기생충을 통해 해외에도 알려졌다. 2022년 집중 호우로 인한 침수 피해로 인해 서울시는 반지하 주택 신규 건설을 중단하고, 단계적 폐지를 추진하고 있다. 반지하는 한국 사회의 계층 격차와 빈곤을 상징하며, 사회경제적 의미를 지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내 근로 - 하녀
하녀는 가사 노동을 수행하는 사람을 지칭하며, 역사적으로 특정 사회 계층의 여성들에게 주요 취업 경로였으나, 현대에는 고용 형태와 근무 환경에 있어 다양한 변화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 반지하 - 지하실
지하실은 건물 하부에 위치하여 주거 공간 확장 및 다양한 기능 지원을 목적으로 하며, 지리적 요인에 따라 활용도가 달라지고 저장 공간, 지하 아파트, 지하 사무실, 와인 저장고, 재해 대피 공간 등 다양한 형태로 사용된다. - 반지하 - 키바
키바는 고대 푸에블로인들이 종교 의례, 의식, 공동체 모임 등을 위해 사용한 원형의 방으로, 프로토키바에서 발전하여 '시파푸'를 포함하며 공동체 통합의 중심 역할을 수행했다. - 방 - 사우나
사우나는 핀란드에서 유래한 뜨거운 방에서 증기욕을 즐기는 시설 또는 행위로, 건식과 습식으로 나뉘며 혈액 순환 촉진, 스트레스 해소 등의 효과가 있어 전 세계적으로 이용되고 핀란드 문화의 중요한 요소이다. - 방 - 스튜디오
스튜디오는 예술, 미디어 제작, 교육, 훈련, 마스터링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작업 공간 또는 시설을 의미한다.
| 반지하 | |
|---|---|
| 개요 | |
| 유형 | 주거 공간 |
| 정의 | 건물의 층으로, 절반은 지상에, 절반은 지하에 위치함 |
| 명칭 | |
| 영어 | Semi-basement |
| 한국어 | 반지하 (Banjiha) |
| 중국어 | 半地下室 (Bàn dìxiàshì) |
| 일본어 | 半地下 (Han-chika) |
| 특징 | |
| 장점 | 저렴한 임대료 단열 효과 재해 시 대피 용이 |
| 단점 | 채광 부족 습기 및 곰팡이 발생 가능성 환기 불량 범죄에 취약 |
| 법적 규제 (대한민국) | |
| 건축법 | 건축법상 '지하층'에 해당 주택으로 사용 가능 (일정 조건 충족 시) |
| 주거 기준 | 채광, 환기, 습도 등 기준 강화 추세 |
| 사회적 인식 | |
| 과거 | 저소득층 주거 공간으로 인식 |
| 현재 | 영화 '기생충' 이후 사회 문제로 부각 |
| 건강 문제 | |
| 주요 위험 | 습도 곰팡이 채광 부족으로 인한 비타민 D 결핍증 |
| 추가 설명 | 이러한 요인들이 거주민의 정신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 |
2. 역사
대한민국에서 '''반지하'''(semi-basementeng)는 주로 저소득층의 주거 형태로 인식되며, 한국 사회의 계층 격차와 빈곤 문제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공간으로 여겨진다.[1][2]
반지하의 등장은 1970년대의 특수한 안보 상황과 관련이 깊다. 1968년 청와대 습격 미수 사건 이후 북한의 위협이 고조되자, 1970년 건축법 개정을 통해 새로 짓는 저층 주택에 비상시 방공호로 사용할 지하실 설치가 의무화되었다.[1] 처음에는 주거용 임대가 금지되었으나, 1980년대 서울의 심각한 주택난으로 인해 정부가 임대를 허용하면서 본격적으로 주거 공간으로 활용되기 시작했다.[1]
저렴한 주거 비용 때문에 반지하는 도시 저소득층에게 중요한 주거 선택지가 되었지만, 채광 부족, 높은 습도, 환기 문제 등 열악한 환경에 노출되기 쉬운 문제점을 안고 있다.[1] 봉준호 감독의 영화 기생충이 국제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면서 반지하 주거 환경에 대한 국내외적 관심이 높아지기도 했다.[1][2]
2022년 서울 지역의 집중 호우로 반지하 주택이 침수되어 인명 피해가 발생하는 등 안전 문제가 크게 부각되었고, 이후 서울시는 반지하 주택의 신축을 금지하고 기존 반지하를 점진적으로 줄여나가는 정책을 발표했다.[5]
2. 1. 기원
1968년, 북한의 조선인민군 특수부대원들이 박정희 당시 대통령을 암살하기 위해 청와대를 습격하려 했던 청와대 습격 미수 사건이 발생했다.[1] 이 사건 이후에도 북한 무장 공작원의 침투가 이어지면서 안보에 대한 우려가 커졌다. 이에 정부는 1970년 건축법을 개정하여, 새로 짓는 저층 주택에는 의무적으로 지하실을 만들도록 했다.[1] 이는 전쟁과 같은 국가 비상사태 발생 시 방공호로 활용하기 위한 조치였다.[1] 처음에는 이 지하실 공간을 주거용으로 임대하는 것이 금지되었으나, 1980년대에 서울을 중심으로 심각한 주택 부족 문제가 발생하자 정부는 반지하 공간의 임대를 허용하게 되었다.[1]2. 2. 확산
1968년 청와대 습격 미수 사건과 같이 북한의 무장 공비 침투 사건이 잇따르자, 안보상의 이유로 1970년 대한민국의 건축법이 개정되었다. 이 개정으로 신축되는 저층 주택에는 국가 비상사태 시 방공호로 사용할 수 있는 지하실 설치가 의무화되었다.초기에는 이러한 지하실 공간을 주거용으로 임대하는 것이 금지되어 있었다. 하지만 1980년대에 이르러 서울을 중심으로 주택 공급 부족 문제가 심각해지자, 정부는 부족한 주택 공급량을 늘리기 위해 반지하 공간의 임대를 허용하는 정책을 시행했다[1]。 이 결정 이후 반지하 주택은 빠르게 확산되었고, 상대적으로 저렴한 임대료 덕분에 도시 저소득층에게 중요한 주거 형태 중 하나로 자리 잡게 되었다.
2. 3. 최근 동향
2022년 8월 8일, 서울에서 집중 호우가 발생하여 반지하를 가진 건물이 침수되는 피해가 발생했다. 일부 반지하 주택에서는 침수로 인해 집 안에서 문을 열 수 없는 상황이 되어, 장애인을 포함한 4명이 사망하는 안타까운 사건이 있었다[5]. 이러한 피해를 계기로 서울시는 2022년 8월 10일, 새로운 반지하 주택의 건설 허가를 중지하고, 기존 주택에 대해서도 단계적으로 폐지하는 방침을 표명했다[5].3. 사회경제적 의미
대한민국에서 '''반지하'''는 단순한 주거 형태를 넘어, 사회경제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특히 한국 사회의 계층 격차와 빈곤 문제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공간으로 인식된다.[1][2] 주거 형태가 사회적 지위를 반영하는 지표로 여겨지면서, 반지하는 경제적으로 취약한 계층이 주로 거주하는 곳이라는 인식이 강하다.
3. 1. 주거 계급
대한민국에서 '''반지하'''는 하층 주거 형태로 알려져 있으며, 한국 사회의 계층 격차와 빈곤을 상징하는 공간으로 여겨진다.[1][2]2008년 출간된 『부동산 계급 사회』라는 책에서는 한국의 주거 형태에 따라 사회 계층을 6단계로 나누어 설명했는데, 이 분류가 사회적으로 주목받았다. 이 책에서 제시된 주거 계급은 다음과 같다.
| 계급 | 설명 |
|---|---|
| 1계급 | 다주택 소유 세대의 최상위 부유층 |
| 2계급 | 주택 소유 세대 |
| 3계급 | 주택은 소유하고 있으나 대출 등으로 인해 임대주택에 거주하는 세대 |
| 4계급 | 보증금 5000만원 이상의 임대주택에 거주하는 세대 |
| 5계급 | 보증금 5000만원 이하의 임대주택에 거주하는 세대 |
| 6계급 | 반지하, 비닐하우스 등에서 거주하는 최빈곤층 |
이 분류에서 반지하는 비닐하우스와 함께 최하층인 6계급 주거 형태로 분류되었다.
프리랜서 작가 이토 준코는 2018년 시점에서 한국 사회의 빈곤 격차가 10년 전보다 더욱 심화되어 단순 비교는 어렵다고 지적하면서도, 여전히 복수의 부동산을 소유한 사람들이 최상위 계층을 이루고, 반지하를 포함한 지하 공간 거주자들이 최하층을 형성하는 구조는 변하지 않았다고 분석했다. 이는 주거 형태가 사회 계층을 반영하는 현실이 여전히 지속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3. 2. 경제적 어려움
대한민국에서 '''반지하'''는 경제적으로 취약한 계층이 주로 거주하는 형태로 인식되며, 한국 사회의 계층 격차와 빈곤 문제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1][2] 특히 집값이 비싼 서울의 경우, 20대의 평균 월수입이 약 200만원 수준임에도 월세가 평균 54만원에 달해 소득에서 주거비가 차지하는 비율이 매우 높다. 이러한 경제적 부담 때문에 저소득층이나 청년층에게 반지하는 현실적인 주거 선택지 중 하나가 되고 있다.[1]하지만 낮은 임대료에도 불구하고 반지하의 주거 환경은 매우 열악한 경우가 많다. 햇빛이 잘 들지 않아 어둡고, 여름철에는 덥고 습도가 높아 곰팡이가 생기기 쉽다. 또한, 천장이 낮아 성인이 똑바로 서기 어려운 집도 존재한다.[1] 이러한 반지하의 열악한 생활상은 봉준호 감독의 영화 《기생충》을 통해 국내뿐 아니라 국제적으로도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1][2]
물론 최근에는 내부를 수리하여 깨끗하고 넓게 개조된 반지하 주택도 찾아볼 수 있다.[3][4] 그러나 구조적인 문제는 여전히 남아있어, 2022년 8월 8일 서울 집중 호우 당시 많은 반지하 주택이 침수 피해를 겪었다. 이 사고로 미처 대피하지 못한 장애인 등 거주자 4명이 사망하는 안타까운 일이 발생했다.[5] 이러한 사고 이후, 서울시는 더 이상 반지하 주택의 신축을 허가하지 않고 기존의 반지하 주택도 점차 줄여나가겠다는 방침을 2022년 8월 10일에 발표했다.[5] 이는 반지하 거주민들이 처한 경제적 어려움과 열악한 주거 환경, 그리고 재난 위험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환기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4. 주거 환경 문제
반지하는 주거 환경 측면에서 여러 문제를 안고 있다. 햇빛이 잘 들지 않아 실내가 어둡고, 환기가 어려워 여름철에는 덥고 습도가 높아져 곰팡이가 생기기 쉽다.[1] 또한 천장이 낮아 생활에 불편함이 따르며, 심한 경우 머리를 부딪히지 않기 위해 자세를 낮춰야 하는 집도 있다.[1]
이러한 열악한 환경에도 불구하고, 특히 집값이 비싼 서울과 같은 대도시에서는 반지하가 저소득층에게 불가피한 선택지가 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20대의 평균 월 수입이 약 200만원 수준일 때, 월세가 평균 54만원에 달하는 상황에서 반지하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주거 대안으로 여겨진다.[1] 봉준호 감독의 영화 《기생충》은 이러한 반지하의 열악한 생활 환경을 현실적으로 묘사하여 국내외적으로 큰 반향을 일으켰다.[1][2]
최근에는 리모델링을 통해 비교적 깨끗하고 넓은 환경으로 개선된 반지하 주택도 등장하고 있다.[3][4] 하지만 여전히 많은 반지하 주택은 구조적인 문제점을 안고 있으며, 특히 여름철 집중 호우 시 침수 위험에 매우 취약하다. 2022년 8월 8일 서울의 기록적인 폭우 당시, 다수의 반지하 주택이 침수되었고, 집 안에서 문을 열지 못하는 등의 이유로 장애인을 포함한 4명이 사망하는 비극적인 사건이 발생했다.[5] 이 사건 이후 서울시는 신규 반지하 주택 건축 허가를 금지하고 기존 반지하 주택도 단계적으로 없애나가겠다는 방침을 발표했다.[5]
5. 대중문화 속 반지하
대한민국 사회에서 반지하는 흔히 하층민의 주거 형태로 인식되며, 사회적 빈부격차와 빈곤을 상징하는 공간으로 여겨진다.[1][2] 국내에서는 비교적 익숙한 주거 형태였지만, 봉준호 감독의 2019년 영화 《기생충》을 통해 국제적으로도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1][2]
영화 《기생충》은 반지하에 사는 가족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전개하며, 반지하 주택의 열악한 생활 환경을 사실적으로 묘사했다.[1] 햇빛이 잘 들지 않고, 습하며, 낮은 천장 등을 통해 반지하의 물리적 환경뿐만 아니라, 그곳에 사는 인물들이 처한 사회경제적 어려움과 계층 문제를 상징적으로 보여주었다. 이 영화의 세계적인 성공은 반지하라는 주거 형태에 대한 국제적인 관심을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
6. 개선 노력과 과제
2022년 8월 8일, 서울 지역에 내린 집중 호우로 인해 반지하 주택이 침수되는 사고가 다수 발생했다. 특히 집 안에서 문을 열지 못하는 상황에 처해 장애인을 포함한 주민 4명이 사망하는 인명 피해가 발생했다[5]。
이러한 피해 발생 이후, 서울특별시는 8월 10일 반지하 주택 문제 해결을 위한 대책을 발표했다. 앞으로 반지하 주택의 신규 건축 허가를 내주지 않고, 기존에 지어진 반지하 주택도 단계적으로 없애나가겠다는 방침을 밝혔다[5]。 이는 열악한 주거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중요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서울시의 정책만으로는 반지하 거주민들이 겪는 어려움을 완전히 해소하기 어렵다는 지적도 나온다. 당장 살 곳을 옮겨야 하는 기존 거주자들을 위한 구체적인 이주 지원 방안 마련이 시급하며, 저렴한 주거지를 찾기 어려운 저소득층을 위한 주거 지원 확대 역시 중요한 과제로 남아있다.
이에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정치권과 시민사회에서는 반지하 주택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 보다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공공임대주택 공급을 대폭 늘리고, 주거급여를 현실화하는 등 실질적인 주거 복지 정책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참조
[1]
뉴스
【写真で見る】 「パラサイト」の半地下 そこで本当に暮らす人たち
https://www.bbc.com/[...]
2022-07-16
[2]
뉴스
韓国の「半地下」で暮らした私と『パラサイト』
https://webronza.asa[...]
2022-07-16
[3]
뉴스
ジェジュン:「ボンビーガール」で家賃1万円の下積み時代明かす 韓国のお得な物件も紹介
https://mantan-web.j[...]
2022-07-16
[4]
웹사이트
韓国のリアルな“半地下物件”事情を紹介!夢を叶えるため渡韓したボンビーガール登場
https://www.ntv.co.j[...]
日本テレビ
2020-11-19
[5]
웹사이트
ソウル市、半地下住宅を禁止へ 豪雨で4人水死
https://sp.m.jiji.co[...]
時事ドットコム
2022-08-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