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반탁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반탁음은 일본어에서 파행음(p)이 변형되어 나타나는 현상을 설명하는 용어이다. 고대 일본어에서는 파행음과 하행음의 구별이 없었으나, 음운 약화를 거쳐 ɸ(f)음이 생겨났다. 헤이안 시대에는 한어의 영향으로 ん(n)과 っ(ts) 등의 음이 도입되면서 p, ɸ 음의 발음 환경이 구분되었고, 이후 에도 시대에는 ɸ 음이 약화되어 h, ç 등의 음가를 가지게 되었다. 근대에 들어 외래어 유입으로 p음 사용이 보편화되었으며, 반탁음은 한자 숙어, 외래어, 의성어 등 다양한 경우에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어 음운론 - 연탁
    연탁은 일본어 복합어에서 뒤 단어의 첫 자음이 /k/, /s/, /t/, /h/일 때 음운 변화가 일어나는 현상으로, 자음이 각각 g, z, d, b로 변하며 주로 일본어 고유어에서 나타난다.
  • 일본어 음운론 - 비탁음
    비탁음은 일본어에서 'か, き, く, け, こ'로 시작하는 가행 자음이 단어 중간에 올 때 비음으로 발음되는 현상으로, 주로 동일본 방언에서 나타나며 지역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보이지만 쇠퇴하는 추세에 있고, 표기 시 반탁점이나 'ng'를 사용한다.
  • 미완성 문단이 포함된 문서 - 나고야시
    아이치현에 위치한 나고야시는 아쓰타 신궁을 중심으로 발전하여 오다 노부나가, 도요토미 히데요시, 도쿠가와 이에야스 등의 거점이었으며, 도요타 자동차 중심의 자동차 산업과 MICE 산업 발달, 엑스포 2005 개최, 나고야 의정서 채택 등으로 국제적인 도시로 성장한 16개 구로 구성된 약 230만 명의 인구를 가진 복합적인 도시이다.
  • 미완성 문단이 포함된 문서 - 진공관
    진공관은 진공 상태 용기 내부에 전극을 갖춘 전자 장치로, 다이오드와 트라이오드 발명 후 20세기 중반까지 널리 쓰였으나 트랜지스터 등장으로 사용이 줄었지만, 고주파/고출력 분야나 오디오 앰프 등 특정 분야에서 다양한 종류로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반탁음

2. 역사

반탁음의 역사는 크게 고대 일본어, 포르투갈어와의 접촉, 반탁점 발명, 외래어 유입 시기로 구분된다.


  • 고대 일본어: 나라 시대 이전 상대 일본어에서는 파행음과 하행음 구별이 없었고, 초두 자음은 와 같은 소리였다. 이후 음의 약화를 거쳐 와 같은 소리가 생겼다. 헤이안 시대에는 한어의 영향으로 발음 ''과 촉음 'っ'이 도입되면서, 'ん' 또는 'っ' 뒤에서는 로, 그 외에는 로 발음되는 두 종류의 소리가 나타났다. 하지만 이 시점에는 두 소리가 동일 음소이음 관계였다고 추정된다.

  • 포르투갈어와의 접촉: 16세기, 일본은 포르투갈과의 교류로 포르투갈어 어휘를 차용했지만, 어두 음은 회피하고[6] 어중에서는 'っ'를 삽입하는 경향이 있었다. (예: padre|바드레pt→바테렌, Europa|에우로파pt→에우롭빠) 이는 당시 음 출현에 제약이 있었음을 보여준다.

  • 반탁점의 발명: 에도 시대에는 음이 더 약화되어 , 등의 음가를 가지게 되면서, 음과의 구별이 필요해졌다. 서적 대중화로 읽기 쉬움을 높이기 위해 반탁점이 발명되었고[7], 약화된 음(, , )이 더 일반적인 소리로 인식되어 음에 부표하게 되었다고 추측된다.

  • 외래어 유입: 근대에 들어 구미에서 대량의 외래어가 유입되면서, 'ん', 'っ' 외의 소리 뒤나 어두에서도 음 사용이 일반화되었다. 이로써 와 의 최소 대립쌍[8]이 기능적으로 확립되었다.

2. 1. 고대 일본어

정설에 따르면, 나라 시대 이전의 아주 오래된 일본어에서는 파행음과 하행음의 구별이 없고, 그 초두 자음은 일률적으로 와 같은 소리였다. 그 후 음의 약화를 거쳐 와 같은 소리가 생겼다고 여겨진다.

헤이안 시대가 되자 한어의 영향을 받아 발음」나 촉음 「っ」등의 소리가 새롭게 도입되었고,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이 2종류의 소리가 나타나게 되었다.


  • '''「ん」의 뒤''', 그리고'''「っ」의 뒤'''에서는 음으로 발음된다.
  • '''상기 이외의 소리의 뒤''', 그리고'''어두'''에서는 와 같은 소리로 발음된다.



그러나 이 시점에서는 아마도 양쪽 소리는 아직 동일한 음소의 상보적인 이음 관계에 지나지 않았다고 생각된다.

16세기, 일본은 포르투갈인과 만나 포르투갈어에서 많은 어휘를 얻었지만, 그 당시에는 padrept→바테렌처럼 어두의 음은 회피하고[6], 어중에서는 Europapt→에우롭빠(→유럽), capapt→캇파(합우)처럼 「っ」를 삽입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로부터, 당시 음의 출현할 수 있는 장소에는 아직 제약이 있었고, 상기의 구분은 대체로 답습되었다고 보여진다.

에도 시대가 되자 음 쪽은 더욱 약화되어 현대어에 가까운 나 등의 음가를 가지게 되었다. 이 시점에서 그것을 와 동일한 음소라고 지각하는 것은 더 이상 어려워졌을 가능성이 있다. 한편, 서적 등의 대중화로 읽기 쉬움의 궁리가 필요하게 되었고, 그 일환으로 반탁점이 발명되었다[7]。이때, 쪽이 보다 일반적인 소리로 인식되었기 때문에, 후자의 쪽에 부호화하게 되었다고 추측된다.

근대에 들어오면서 구미로부터 대량의 외래어가 유입되어, 「ん」「っ」이외의 소리의 뒤나 어두에서 음을 사용하는 것이 매우 당연하게 되었다. 이것으로 와 와의 최소 대립쌍[8]이 기능적으로도 확립되었다고 할 수 있다.

2. 2. 음운 변화

정설에 따르면, 나라 시대 이전의 아주 오래된 일본어에서는 パ행음과 ハ행음의 구별이 없었으며, 그 머리자음은 일률적으로 와 같은 음이었다. 그 후 음의 약화를 거쳐 와 같은 음이 생겼다고 한다.

헤이안 시대가 되면, 한어의 영향을 받아서 발음 ‘’이나 촉음 ‘っ’ 등의 음이 새롭게 도입되며, 이에 따라서, 아래와 같이 두 종류의 음이 보이게 됐다.

  • '''‘ん’의 뒤''', 또는 '''‘っ’의 뒤'''에서는 음으로 발음된다.
  • '''위에 적힌 내용 이외의 음 뒤''' 또는 '''어두'''에서는 과 같은 음으로 발음된다.


하지만 이 시점에서는 필시, 양쪽 음은 아직 동일 음소의 상보적인 이음끼리의 관계에 지나지 않았다고 추정된다.

16세기, 일본은 포르투갈인과 만나 포르투갈어에서 많은 어휘를 얻었지만, 그때에는 padre|바드레po→바테렌과 같이 어두의 음은 회피하고[6], 어중에서는 Europa|에우로파po→에우롭빠(→유럽), capa|카파po→캇파(합우)와 같이 ‘っ’를 삽입하는 것이 보통이었다. 이것에서 당시 음이 나타날 수 있는 곳에는 아직 제약이 있으며, 위에 적힌 구분이 대체로 모방되고 있었다는 것이 보인다.

에도 시대에 의하면 음에는 더욱이 약화되고 현대어에 가까운 나 등의 음가를 가지게 됐다. 이 시점에서 그것을 와 동일한 음소라고 지각되는 것은 이미 어려워지고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그런 중에 서적 등 문자문화의 대중화도 더불어서, 문면상의 훈독 등을 한층 더 고안해서 읽기 쉬움을 향상할 필요가 생기며, 그 일환으로 반탁점이 발명됐다[7]. 덧붙여서, 약화한 음이 보다 일반적인 음으로 인식되었기 때문에 음에 부표하게 됐다고 추측된다.

근대에 들어가면 구미(유럽과 미국)에서 대량의 외래어가 유입돼서, ‘ん’ ‘っ’ 이외의 음 뒤나 어두에서 음을 사용하는 것이 대단히 당연하게 여겨졌다. 이것에 의해서 와 와의 최소 대립쌍[8]이 기능적으로도 확립했다고 할 수 있다.

2. 3. 포르투갈어와의 접촉

16세기, 일본은 포르투갈인과 만나 포르투갈어에서 많은 어휘를 얻었지만, 그 당시에는 padre|바드레po→'''바테렌'''처럼 어두의 음은 회피하고[6], 어중에서는 Europa|에우로파po→'''에우롭빠'''(→유럽), capa|카파po→'''캇파'''(합우)처럼 ‘っ’를 삽입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로부터, 당시 음이 나타날 수 있는 곳에는 아직 제약이 있었고, 위에 적힌 구분은 대체로 답습되었다고 보여진다.

2. 4. 반탁점의 발명

정설에 따르면, 나라 시대 이전의 아주 오래된 일본어에서는 パ행음과 ハ행음의 구별이 없었고, 그 머리자음은 일률적으로 와 같은 소리였다. 그 후 음의 약화를 거쳐 와 같은 소리가 생겼다고 한다.

헤이안 시대가 되자, 한어의 영향을 받아 이나 등의 소리가 새롭게 도입되어, 다음과 같이 두 종류의 소리가 나타나게 되었다.

  • '''‘ん’의 뒤''', 또는 '''‘っ’의 뒤'''에서는 음으로 발음된다.
  • '''위에 적힌 내용 이외의 음 뒤''' 또는 '''어두'''에서는 와 같은 음으로 발음된다.


하지만 이 시점에서는 필시, 양쪽 음은 아직 동일 음소의 상보적인 이음끼리의 관계에 지나지 않았다고 추정된다.

16세기, 일본은 포르투갈인과 만나 포르투갈어에서 많은 어휘를 얻었지만, 그때에는 '''padrepo→바테렌'''과 같이 어두의 음은 회피하고[6], 어중에서는 '''Europapo→에우롭빠'''(→유럽), '''capapo→캇파'''(합우)와 같이 ‘っ’를 삽입하는 것이 보통이었다. 이로부터 당시 음이 나타날 수 있는 곳에는 아직 제약이 있으며, 위에 적힌 구분이 대체로 모방되고 있었다는 것이 보인다.

에도 시대에 의하면 음에는 더욱이 약화되고 현대어에 가까운 나 등의 음가를 가지게 됐다. 이 시점에서 그것을 와 동일한 음소라고 지각되는 것은 이미 어려워지고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그런 중에 서적 등 문자문화의 대중화도 더불어서, 문면상의 훈독 등을 한층 더 고안해서 읽기 쉬움을 향상할 필요가 생기며, 그 일환으로 반탁점이 발명됐다[7]. 덧붙여서, 약화한 음이 보다 일반적인 음으로 인식되었기 때문에 음에 부표하게 됐다고 추측된다.

근대에 들어가면 구미(유럽과 미국)에서 대량의 외래어가 유입돼서, ‘ん’ ‘っ’ 이외의 음 뒤나 어두에서 음을 사용하는 것이 대단히 당연하게 여겨졌다. 이것에 의해서 /h/ 와 /p/와의 최소 대립쌍[8]이 기능적으로도 확립했다고 할 수 있다.

2. 5. 외래어의 유입과 확립

정설에 따르면, 나라 시대 이전의 아주 오래된 일본어에서는 パ행음과 ハ행음의 구별이 없었으며, 그 머리자음은 일률적으로 와 같은 음이었다. 그 후 음의 약화를 거쳐 와 같은 음이 생겼다고 한다.

헤이안 시대가 되면, 한어의 영향을 받아서 발음 ‘’이나 촉음 ‘っ’ 등의 음이 새롭게 도입되며, 이에 따라서, 아래와 같이 두 종류의 음이 보이게 됐다.



하지만 이 시점에서는 필시, 양쪽 음은 아직 동일 음소의 상보적인 이음끼리의 관계에 지나지 않았다고 추정된다.

16세기, 일본은 포르투갈인과 만나 포르투갈어에서 많은 어휘를 얻었지만, 그 때에는 '''padre|바드레po→ばてれん'''과 같이 어두의 음은 회피하고[6], 어중에서는 '''Europa|에우로파po→えうろっぱ'''(→유럽) , '''capa|카파po→かっぱ'''(합우)와 같이 ‘っ’를 삽입하는 것이 보통이었다. 이 것에서 당시 음이 나타날 수 있는 곳에는 아직 제약이 있으며, 위에 적힌 구분이 대체로 모방되고 있었다는 것이 보인다.

에도 시대에 의하면 음에는 더욱이 약화되고 현대어에 가까운 나 등의 음가를 가지게 됐다. 이 시점에서 그것을 와 동일한 음소라고 지각되는 것은 이미 어려워지고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그런 중에 서적 등 문자문화의 대중화도 더불어서, 문면상의 훈독 등을 한층 더 고안해서 읽기 쉬움을 향상할 필요가 생기며, 그 일환으로 반탁점이 발명됐다[7]. 덧붙여서, 약화한 음이 보다 일반적인 음으로 인식되었기 때문에 음에 부표하게 됐다고 추측된다.

근대에 들어가면 구미(유럽과 미국)에서 대량의 외래어가 유입돼서, ‘ん’ ‘っ’ 이외의 음 뒤나 어두에서 음을 사용하는 것이 대단히 당연하게 여겨졌다. 이것에 의해서 와 와의 최소 대립쌍[8] 이 기능적으로도 확립했다고 할 수 있다.

3. 반탁음의 사용

반탁음은 한자어, 외래어, 의성어 등 다양한 경우에 사용된다. 그 외에도 'っ' 또는 'ん' 뒤에 반탁음이 오는 일본어 단어가 존재한다. 이들 대부분은 격식 없는 상황에서 사용되는 속어적인 어휘이다.[9] 상세한 내용은 아래와 같다.


  • '동사 + 동사' 합성어에서 'き/し/ち/り/ひ+は행'이 촉음편화된 경우:
  • '''힛파루'''(ひっぱる, 잡아당기다)〔引き張る〕
  • '''삿피쿠'''(さっぴく, 공제하다)〔差し引く〕
  • '''붓파나스'''(ぶっぱなす, 내던지다)〔ぶち放す〕
  • '''욧파라우'''(よっぱらう, 만취하다)〔酔ひ払ふ〕
  • 기타 촉음편화에 의한 경우:
  • '''싯포'''(しっぽ, 꼬리)〔しりほ/しりを〕
  • 'っ'의 삽입에 의해 하행이 반탁음화된 경우:
  • '''앗파레'''(あっぱれ, 훌륭함)〔あはれ〕
  • '''못파라'''(못파라, 오로지)〔もはら〕
  • '''숏파이'''(しょっぱい, 짜다)〔しほはゆし〕
  • '''아켓피로게'''(あけっぴろげ, 활짝 열어젖힘)〔あけひろげ〕
  • 접미사로서 촉음을 동반하여 발달한 경우:
  • '''〜폿포이'''(〜っぽい, ~같은)〔多し〕
  • '''〜파나시'''(〜っぱなし, ~한 채)〔放し〕
  • 변칙적으로 반음편화된 경우:
  • '''오몬파카루'''(おもんぱかる, 고려하다)〔思ひ量る〕
  • 기타, 어원이 분명하지 않은 경우:
  • '''핫파''' (はっぱ, 잎)
  • '''옷파이''' (おっぱい, 젖)
  • '''한파''' (ハンパ, 어중간함)


예시: '''葉っぱ'''(핫파, 잎), '''尻尾'''(싯포, 꼬리), '''おっぱい'''(옷파이, 젖), '''ひっぱる'''(힛파루, 잡아당기다), '''しょっぱい'''(숏파이, 짜다), '''あけっぴろげ'''(아켓피로게, 활짝 열어젖힘), '''ハンパ'''(한파, 어중간함) , '''〜っぽい'''’(〜폿포이, ~같은), ‘'''〜っぱなし'''’(~파나시, ~한 채)

3. 1. 한자어

한자 숙어에서 ‘〜ん일본어’ 또는 입성음 ‘〜つ일본어’, ‘〜ち일본어’, ‘〜ふ일본어[9]’ 뒤에 ‘は행’ 음이 오는 경우가 있다. 또 수사에 관해서는 예외적으로 ‘~く일본어’(‘六=ろく일본어’, ‘百=ひゃく일본어’) 뒤에서도 반탁음이 나타난다.

: 예시: おん일본어+ふ일본어→'''おんぷ일본어'''(音符일본어), はつ일본어+ひょう일본어→'''はっぴょう일본어'''(発表일본어), いち일본어+ほん일본어→'''いっぽん일본어'''(一本일본어), がふ일본어[9]+へい일본어→'''がっぺい일본어'''(合併일본어) 등.

또한, ‘〜ふ일본어’에 대해서는 본래의 음이 사라지고 나서, 특히 근대 이후에 사용되기 시작한 숙어에서는 이러한 제약이 없다. 예시: ごう일본어+ほう일본어→ごうほう일본어(合法일본어)

3. 2. 외래어

근대 이후 대량의 외래어를 받아들여, 파행음(パ행음)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9]

3. 3. 의성어

의성어는 앞서 언급한 음운 분화 규칙에 대한 예외이며, 일본어 단어이면서 어두의 파행음이 빈번하게 나타난다.[9]

'''파사파사, 푸루푸루, 포타포타''' 등. 또한, '''폿카리, 핏타리, 포로리''' 등. 파생어로 '''파쿠루, ピリ辛|피리신일본어''' 등.[9]

또한, 다음의 동계어끼리 비교해 볼 수 있다.

  • '''파타파타''' - 동계어 '''旗|하다일본어''', '''靡く|나비쿠일본어'''는 반탁음을 가지지 않는다.
  • '''피카피카''' - 동계어 '''光|히카리일본어''', '''光る|히카루일본어'''는 반탁음을 가지지 않는다.[9]
  • '''피요피요''' - 동계어 '''ひよこ|히요코일본어'''는 반탁음을 가지지 않는다.[9]


이들은 모두 아주 옛날에는 로 발음되었지만, 명사나 동사 등에서는 이윽고 등으로 약화되어, 의성어에만 원래의 음을 유지하고 있다.

3. 4. 기타

대체로 아래와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한자 숙어:''' 한자 숙어에서 ‘〜ん일본어’ 또는 입성음 ‘〜つ일본어’, ‘〜ち일본어’, ‘〜ふ일본어[9]’ 뒤에 ‘は행’ 음이 오는 경우. 수사에 관해서는 예외적으로 ‘~く일본어’(‘六=ろく일본어’, ‘百=ひゃく일본어’) 뒤에서도 반탁음이 나타난다.
  • 예시:
  • おん일본어+ふ일본어→'''おんぷ일본어'''(音符일본어)
  • はつ일본어+ひょう일본어→'''はっぴょう일본어'''(発表일본어)
  • いち일본어+ほん일본어→'''いっぽん일본어'''(一本일본어)
  • がふ일본어[9]+へい일본어→'''がっぺい일본어'''(合併일본어)
  • ‘〜ふ일본어’의 경우, 본래 음이 사라진 후, 특히 근대 이후 사용되기 시작한 숙어에서는 예외가 있다. (예: ごう일본어+ほう일본어→ごうほう일본어(合法일본어))
  • '''외래어:''' 근대 이후 대량의 외래어를 수입하면서 パ행음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 '''의성어:''' 의성어는 위에서 설명한 규칙에 대한 예외로, 일본어 단어임에도 어두에 パ행음이 자주 나타난다.
  • 예시: '''ぱさぱさ, ぷるぷる, ぽたぽた''' 등. 또, '''ぽっかり, ぴったり, ぽろり''' 등. 파생어로 '''パクる, ピリ辛''' 등.
  • 아래의 동계어를 비교해 보면:
  • '''ぴかぴか''' - 동계어 ‘'''光る일본어'''’는 반탁음이 없다.
  • '''ぴよぴよ''' - 동계어 ‘'''ひよこ'''’는 반탁음이 없다.
  • '''그 외:''' 위 경우 외에도 ‘'''葉っぱ, 尻尾, おっぱい, ひっぱる, しょっぱい, あけっぴろげ, ハンパ''' 등과 접미사 ‘'''〜っぽい일본어'''’, ‘'''〜っぱなし'''’ 등 일상어를 중심으로 일정 수가 존재한다. 이들 대부분은 격식 없는 상황에서 사용되는 속어적 어휘이다. ‘っ’ 또는 ‘ん’ 뒤에 오는 것이 기본이다.

참조

[1] 문서
[2] 문서
[3] 문서
[4] 문서
[5] 문서
[6] 문서
[7] 문서
[8] 문서
[9]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