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량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방사량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으로, 1377년 문과에 급제하여 직제학을 역임했다. 1391년 중랑장으로서 시무 11조를 공양왕에게 올려 형조 정랑에 임명되었으며, 검소한 생활과 상업 규제 등을 강조했다. 이후 《향약제생집성방》 등의 편찬에 참여하고 명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오기도 했다. 유천서원은 방사량 등 5현을 봉안했던 서원으로, 전라북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양 방씨 - 미르 (가수)
미르는 2009년 보이 그룹 엠블랙의 래퍼로 데뷔하여 활동했으며, 예능 프로그램 출연 및 다른 가수 곡 피처링 참여 등의 활동을 펼친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 남양 방씨 - 설인아
설인아는 2015년 드라마 데뷔 후 다수의 드라마와 영화에 출연하며 연기 활동을 펼치는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가수로, MC 활동과 연기대상 신인상 수상, 싱글 앨범 발매 등을 통해 대중적 인지도를 높이며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 조선의 의사 - 지석영
지석영은 조선 후기의 의학자이자 개화 사상가로, 종두법 도입에 기여했지만 일제강점기에는 그의 업적이 식민지배 정당화에 이용되었다는 비판적 시각도 존재하며, 《우두신설》 등의 저서를 통해 의학 지식을 전파한 다재다능한 인물이다. - 조선의 의사 - 허준
허준은 조선 중기의 의관으로, 서자 출신으로 추정되지만 뛰어난 의술로 선조의 주치의를 역임하고 『동의보감』을 완성하여 동아시아 의학에 영향을 미쳤으며, 사후 정1품 보국숭록대부에 추증되었다. - 고려의 정치인 - 윤곤
윤곤은 고려 말 문과에 급제하여 조선 건국 후 완산부윤, 대장군 등을 지냈고, 제2차 왕자의 난에 이방원을 도와 공신이 되었으며, 명나라 사신, 의정부 참찬, 이조판서를 역임한 문신, 무신, 정치인, 외교관이다. - 고려의 정치인 - 완풍대군
완풍대군 이원계는 고려 말 무신이자 이성계의 이복 형으로, 위화도 회군에 반대하다 사망 후 대군으로 추봉되었으며 홍건적과 왜구 격퇴에 공을 세워 완산군에 봉해졌고 조선 개국 후 완산백에 추봉, 여러 사당에 배향되었다.
방사량 | |
---|---|
방사량 | |
정의 | 단위 시간당 어떤 면적을 통과하는 복사 에너지의 양 |
기호 | E |
단위 | SI 단위: J/s = W |
차원 | M L2 T-3 |
2. 생애
방사량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다. 신진사류 출신으로 고려 말에 관직을 시작하여 조선 개국 이후에도 활동했다.
1377년 문과에 급제하여 직제학(直提學)을 역임하였고,[3] 1391년 시무 11조를 올렸다.[4] 이후 형조 정랑(刑曹正郞)으로 임명되었다.[1] 1399년에는 《향약제생집성방(鄕藥濟生集成方)》 편찬에 참여하였고,[5] 1403년 명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왔다.[6]
2. 1. 고려 관료 활동
방사량은 고려말 신진사류 출신으로, 1377년 별장(別將)으로 있다가 문과에 급제하여 직제학(直提學)을 역임하였다.[3] 1391년 중랑장(中郞將)으로서 시무 11조를 올렸고,[4] 왕은 이를 받아들여 형조 정랑(刑曹正郞)으로 임명했다.[1]1399년(정종 (조선) 원년) 서원군(西原君) 한상민(韓尙敏) 등과 함께 《향약제생집성방(鄕藥濟生集成方)》을 편찬하였고,[5] 《신찬집성마의방(新撰集成馬醫方)》·《신찬집성우의방(新撰集成牛醫方)》 편집에도 참여하였다. 1401년 호조전서(戶曹典書) 이황(李滉)에게 침구(針灸)술을 베풀었다.
1403년(조선 태종 3년) 하륜(河崙)·이첨(李詹) 등과 함께 명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와 밭 15결을 하사받았다.[6]
2. 1. 1. 시무 11조
1391년(고려 공양왕 3년) 3월, 중랑장(中郞將) 방사량이 시무(時務) 11조(條)를 올렸다.[4] 왕은 이를 받아들여 방사량을 형조 정랑(刑曹正郞)으로 임명했다.[1] 시무 11조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2. 2. 조선 개국 이후
1391년(고려 공양왕 3년) 3월, 방사량은 중랑장(中郞將)으로서 시무(時務) 11조(條)를 올렸다.[4] 왕은 시무 11조를 깊이 받아들였고, 방사량은 형조 정랑(刑曹正郞)으로 임명되었다.[1]1399년(정종 원년), 방사량은 서원군(西原君) 한상민(韓尙敏)ㆍ순흥군(順興君) 안경량(安敬良)ㆍ김원경(金元冏)ㆍ허형(許衡)ㆍ이종(李悰) 등과 함께 《향약제생집성방(鄕藥濟生集成方)》을 편찬하였고,[5] 《신찬집성마의방(新撰集成馬醫方)》·《신찬집성우의방(新撰集成牛醫方)》의 편집에도 참여하였다. 1401년 5월에는 호조전서(戶曹典書) 이황(李滉)에게 침구(針灸)술을 베풀어 주었다.
1403년(조선 태종 3년) 5월, 하륜(河崙)·이첨(李詹) 등과 함께 명나라에 사신 일행으로 다녀와서 밭 15결을 하사받았다.[6]
3. 가계
방사량은 고려 삼한벽상공신(三韓壁上功臣) 방계홍(房季弘)의 9대손이며, 상호군(上護軍) 방주(房柱)의 아들이다. 방사량의 아들 3형제 중 장남 방구행(房九行)은 군자감정(軍資監正)을 역임하고, 차남 방구달(房九達)은 군자감 부정(軍資監副正)을 역임하였다.
항목 | 내용 |
---|---|
조부 | 상호군(上護軍) 방송연(房松衍) |
부 | 상호군(上護軍) 방주(房柱) |
처부 | 백계(白磎) |
부인 | 수원 백씨 |
장남 | 방구행(房九行) |
손자 | 행인천교수(行仁川敎授) 방유륜(房有倫) |
차남 | 방구달(房九達) |
삼남 | 방구성(房九成) |
손자 | 방순문(房恂文), 방계문(房戒文) |
4. 관련 문화재
유천서원은 전라북도 남원시 주생면 영천리에 있는 조선시대 서원으로, 방사량 등 5현을 봉안하여 5현사(五賢詞)라고도 불린다. 선현 배향과 지방 교육을 담당해왔으나, 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철거되었다. 후손인 방화원이 소유·관리하고 있으며,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52호로 지정되었다.[1]
참조
[1]
기타
《동국통감》 제56권 고려기(高麗紀) 고려 공양왕 3년, 신미년(辛未年)
https://terms.naver.[...]
[2]
논문
고려말 방사량의 시무 11사와 정치 성향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08
[3]
간행물
방사량
한국학중앙연구원
[4]
서적
《고려사절요》 제35권 공양왕 2(恭讓王二) 신미 3년
[5]
서적
《동문선(東文選)》 제103권
[6]
역사기록
《태종실록》 5권, 3년(1403 계미 / 명 영락(永樂) 1년) 5월 11일(정해)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1403-05-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