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배달 (한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배달은 한국에서 단군이 세운 국가, 즉 고조선을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되거나, 조선의 원래 명칭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어원은 박달나무를 뜻하는 '박달(朴達)' 또는 '백달(白達)'에서 유래되었다는 설이 널리 퍼져 있으며, '밝달'에서 유래되었다는 주장도 있다. 그러나 '배달'이라는 용어가 상고시대부터 사용되었다는 인식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종교 - 개천절
    개천절은 대한민국과 북한의 국경일로, 단군이 고조선을 건국한 것을 기념하며, 대종교에서는 환웅이 하늘을 연 날로 여겨 다양한 행사가 열리지만 단군신화의 역사성에 대한 논란도 있다.
  • 대종교 - 단군
    단군은 한국 건국 신화에 나오는 인물로 고조선의 건국 시조로 여겨지며, 환웅과 웅녀 사이에서 태어났다고 전해지고 조선 시대부터 국조로 숭앙받았고 구한말 민족주의 운동의 구심점으로서 의미가 강조되었으며 현대에는 역사적 실존 여부 논쟁이 있지만 한국 민족 기원을 상징하는 중요한 존재로 인식된다.
  • 한국 국민주의 - 한국의 민족주의
    한국의 민족주의는 순혈주의에 기반한 방어적 민족주의 성격을 띠며, 역사적 배경과 이념 대립 속에서 형성되었으나 다문화 사회로 변화하며 비판적 논의와 차별 문제를 야기하기도 한다.
  • 한국 국민주의 - 주체사상파
    주체사상파(주사파)는 주체사상을 지도 이념으로 삼는 세력으로, 1980년대 대한민국 학생운동권에서 헤게모니를 장악하며 반미, 민족주의적 성향을 보였으나, 종북 논란과 함께 제도권 정당으로 진출하거나 뉴라이트 운동에 가담하기도 했으며, 진보적 사상을 가진 사람이나 단체를 싸잡아 부르는 용어 오용 문제도 존재한다.
  • 유사역사학 - 무 대륙
    무 대륙은 19세기부터 20세기 초에 제기된 가설로, 태평양에 존재했다가 침몰했다는 전설 속의 대륙이며, 고대 문명의 기원을 설명하는 데 활용되었으나 과학적으로 부정되었다.
  • 유사역사학 - 문화마르크스주의 음모론
배달 (한국) - [전쟁]에 관한 문서
개요
한국어 표기배달국
한자 표기倍達國
로마자 표기Baedal Guk
일반 정보
존속 시기불명
이전 국가환국
계승 국가단군조선
통치
정치 체제군주제
지도자환웅
역사
건국불명
멸망단군조선에 병합
기타
위치동아시아
현재 국가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2. 어원

규원사화에서는 '박달(朴達)' 또는 '백달(白達)'이라는 말을 사용하며, '檀'(단), 즉 박달나무를 의미하는 것으로 본다. 이러한 인식은 가장 널리 퍼져 있다. 그러나 《규원사화》는 박달을 국가명으로 보지 않고 단군의 '단'을 의미하는 용어로만 사용되었다.

대종교의 〈단군교 포명서〉는 '배달'이란 조광(祖光)을 뜻하는 것으로, 조선의 원래 명칭이라 보고 있다.[6]

김교헌은 1914년 《신단실기(神檀實記)》에서 단군이 세운 국가, 즉 고조선을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하였다. 조선을 단국(檀國)과 동일한 의미로 보았으며 배달이 단, 즉 박달의 어원이라고 보는 점은 《규원사화》와 동일하나 박달을 나무 이름이 아닌 고유 용어로 파악하였다.[7]

최남선은 1918년 《계고차존(稽古劄存)》에서 역시 박달의 어원으로 보고 있으나 그 본래 의미는 '백산'이라는 지명이라 보았다.

안호상은 1964년 《배달의 종교와 철학과 역사》에서 박달·배달을 두고 '밝달'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였으며 '한밝산'이라는 지명을 말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임승국은 《환단고기》를 번역·주해하면서 '桓', '檀', '朝鮮', '아사달', '韓' 등을 같은 의미로 보고 밝은 땅(밝달)이 박달, 백달, 배달의 어원이라고 보았다.

2. 1. 전통적 어원

규원사화에서는 '박달(朴達)' 또는 '백달(白達)'이라는 말을 사용하며, '檀'(단), 즉 박달나무를 의미하는 것으로 본다. 이러한 인식은 가장 널리 퍼져 있다. 그러나 《규원사화》는 박달을 국가명으로 보지 않고 단군의 '단'을 의미하는 용어로만 사용되었다.

대종교의 〈단군교 포명서〉는 '배달'이란 조광(祖光)을 뜻하는 것으로, 조선의 원래 명칭이라 보고 있다.[6]

김교헌은 1914년 《신단실기(神檀實記)》에서 단군이 세운 국가, 즉 고조선을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하였다. 조선을 단국(檀國)과 동일한 의미로 보았으며 배달이 단, 즉 박달의 어원이라고 보는 점은 《규원사화》와 동일하나 박달을 나무 이름이 아닌 고유 용어로 파악하였다.[7]

최남선은 1918년 《계고차존(稽古劄存)》에서 역시 박달의 어원으로 보고 있으나 그 본래 의미는 '백산'이라는 지명이라 보았다.

안호상은 1964년 《배달의 종교와 철학과 역사》에서 박달·배달을 두고 '밝달'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였으며 '한밝산'이라는 지명을 말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임승국은 《환단고기》를 번역·주해하면서 '桓', '檀', '朝鮮', '아사달', '韓' 등을 같은 의미로 보고 밝은 땅(밝달)이 박달, 백달, 배달의 어원이라고 보았다.

2. 1. 1. 규원사화

규원사화에서는 '박달(朴達)' 또는 '백달(白達)'이라는 말을 사용하며, '檀'(단), 즉 박달나무를 의미하는 것으로 본다. 이러한 인식은 가장 널리 퍼져 있다. 그러나 《규원사화》는 박달을 국가명으로 보지 않고 단군의 '단'을 의미하는 용어로만 사용되었다.

2. 1. 2. 대종교

대종교의 〈단군교 포명서〉는 '배달'이란 조광(祖光)을 뜻하는 것으로, 조선의 원래 명칭이라 보고 있다.[6]

2. 1. 3. 신단실기

김교헌은 1914년 《신단실기(神檀實記)》에서 단군이 세운 국가, 즉 고조선을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하였다. 조선을 단국(檀國)과 동일한 의미로 보았으며 배달이 단, 즉 박달의 어원이라고 보는 점은 《규원사화》와 동일하나 박달을 나무 이름이 아닌 고유 용어로 파악하였다.[7]

2. 1. 4. 최남선

최남선은 1918년 《계고차존(稽古劄存)》에서 역시 박달의 어원으로 보고 있으나 그 본래 의미는 '백산'이라는 지명이라 보았다.

2. 1. 5. 안호상

안호상은 1964년 《배달의 종교와 철학과 역사》에서 박달·배달을 두고 '밝달'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였으며 '한밝산'이라는 지명을 말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2. 1. 6. 환단고기

임승국은 《환단고기》를 번역·주해하면서 '桓', '檀', '朝鮮', '아사달', '韓' 등을 같은 의미로 보고 밝은 땅(밝달)이 박달, 백달, 배달의 어원이라고 보았다.

3. 비판

'배달'이라는 용어가 상고시대부터 이어져 온 전통적인 용어라는 인식과 달리, 실제로는 근대 이후에 등장한 용어라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신채호는 〈전후삼한고〉에서 배달의 어원을 어윤적의 《동사연표》(東史年表)라고 언급하며, 그 전래 과정을 볼 때 신뢰하기 어렵다고 주장하였다.[5] 또한 단군의 ‘檀’에 대해서도 ‘壇’을 사용하여 배달과의 관련성을 부정하였다.[5]

3. 1. 신채호의 비판

신채호는 〈전후삼한고〉에서 배달의 어원을 어윤적의 《동사연표》(東史年表)라고 언급하며, 그 전래 과정을 볼 때 신뢰하기 어렵다고 주장하였다.[5] 또한 단군의 ‘檀’에 대해서도 ‘壇’을 사용하여 배달과의 관련성을 부정하였다.[5]

4. 현대적 의미와 사용

참조

[1] 문서 朝鮮の歴史 - Wikipedia "[[特別:差分/8434966/828[...]
[2] 뉴스 言葉も国境も越える!日韓リアルタイム翻訳掲示板 http://www.enjoykore[...] enjoy korea 2007-09-22
[3] 뉴스 嫌韓意識を煽るアメリカ大使館 http://kikko.cocolog[...] きっこの日記 2007-09-21
[4] 웹사이트 국어사전 풀이: 배달 = [명사]<지명>우리나라의 상고 시대 이름. 한자를 빌려 '倍達'로 적기도 한다. ≒단국(檀國), 배달나라 http://handic.nate.c[...] 2010-03-13
[5] 간행물 전후삼한고 1929
[6] 문서 〈단군교 포명서〉는 1904년에 작성된 것이라 하나 실제로 공개된 것은 1909년의 일이다.
[7] 문서 '배'는 조상이라는 뜻이고, '달'은 빛남을 가리키는 것이라 조상의 빛이 천하를 비춘다는 뜻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