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즈비 버클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버즈비 버클리는 미국의 영화 안무가이자 감독으로, 1895년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에서 태어나 1976년 사망했다. 1920년대 브로드웨이에서 무용 감독으로 활동했으며, 1930년 영화계에 진출하여 뮤지컬 영화의 안무를 담당했다. 혁신적인 안무 기법으로 명성을 얻었으며, 특히 대공황 시기 화려한 뮤지컬 시퀀스로 대중적 인기를 누렸다. 주요 작품으로는 《42번가》, 《풋라이트 퍼레이드》, 《1933년의 골드 디거스》 등이 있으며, 감독으로서 《그들은 나를 범죄자로 만들었다》, 《더 갱스 올 히어》 등을 연출했다. 1988년 국립 댄스 박물관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안무가 - 앨빈 에일리
앨빈 에일리는 흑인 문화와 경험을 춤으로 표현하고자 알빈 에일리 아메리칸 댄스 시어터를 설립하여 대표작 《레벨레이션》을 통해 흑인 영가와 블루스 음악을 배경으로 한 작품으로 찬사를 받았으며, 흑인 무용수들에게 기회를 제공하고 미국 현대 무용을 대표하는 단체로 인정받으며 미국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미국의 안무가 - 마지 챔피언
마지 챔피언은 미국의 배우, 무용수, 안무가로서, 디즈니 애니메이션 댄스 모델 참여, 브로드웨이와 MGM 뮤지컬 영화 출연, '마지와 고워 챔피언 쇼'를 통한 대중적 인지도 획득, 에미상 수상 등 무용계와 연극계에 기여한 공로로 '디즈니 레전드 상' 등을 수상했다. - 미국의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군인 - 제임스 M. 케인
제임스 M. 케인은 미국의 소설가이자 시나리오 작가, 저널리스트로, 《우편배달부는 두 번 벨을 울린다》, 《이중 배상》 등의 필름 누아르 스타일 소설로 명성을 얻었으며 미국 작가 연맹 설립 운동에도 참여했다. - 미국의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군인 - 윌리엄 F. 딘
윌리엄 F. 딘은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육군 중장으로, 남독일과 오스트리아에서 독일군 포로를 잡는 전공과 대전 전투에서의 용맹함으로 명예훈장을 받았으며, 한국 전쟁 중 북한군 포로로 억류되었다가 석방 후 영웅으로 귀환, 예편 후 샌프란시스코에 안장되었고 제주 4.3 사건 당시 미군정의 역할도 수행했다. - 1976년 사망 - 마르틴 하이데거
마르틴 하이데거는 1889년에 태어나 1976년에 사망한 독일의 철학자이며, 현상학과 실존주의, 언어와 기술 비판을 탐구했고, 대표작으로 『존재와 시간』이 있으며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철학자 중 한 명으로 평가받지만, 나치즘 협력으로 비판받기도 했다. - 1976년 사망 - 마오쩌둥
마오쩌둥은 중국의 혁명가이자 정치가, 군사 전략가, 공산주의 이론가이며 중화인민공화국의 건국 아버지로서, 중국 공산당을 이끌며 최고지도자로서 중국을 통치했고, 마오쩌둥 사상의 창시자로서 그의 정책과 통치는 중국 사회, 경제, 문화, 외교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버즈비 버클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윌리엄 버클리 이노스 |
다른 이름 | 버즈 (Buzz) |
직업 | 영화 감독 안무가 |
활동 기간 | 1927년–1971년 |
인물 배경 | |
출생지 |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
사망지 | 미국 캘리포니아주 팜 데저트 |
묻힌 곳 | 데저트 메모리얼 파크, 캘리포니아주커시드럴 시티 |
활동 | |
데뷔 | 1900년, 5세에 첫 무대 데뷔 |
브로드웨이 | 1925년, 브로드웨이에서 무용 감독 시작 |
영화계 진출 | 1930년, 영화계 진출 |
감독 데뷔 | 1933년, 감독 데뷔 |
수상 | |
아카데미상 | 1936년 제8회 아카데미상 무용 감독상 (골드 디거스 36년) 1937년 제9회 아카데미상 무용 감독상 (춤추는 37년) 1938년 제10회 아카데미상 무용 감독상 (대학 축제) |
베를린 국제 영화제 | 1971년 제21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 UNICRIT 소상 |
사생활 | |
배우자 | 에스터 뮤어 (1929년 - 1931년) 마나 케네디 (1934년 - 1936년) 클레어 제임스 (이혼) 마이라 스테펜스 (이혼) 마그 펨버턴 (1945년 - 1945년) 에타 던 (1958년 - 1976년) |
주요 작품 (안무) | |
주요 작품 (감독) |
2. 생애
1895년 11월 29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에서 태어났다.[26][27][28][29] 연극배우 집안에서 자라 5살 때 처음 무대에 섰으며,[28] 제1차 세계 대전에는 야전 포병 중위로 참전했다.[31] 전후 1920년대에는 브로드웨이에서 20편 이상의 뮤지컬 무대 안무를 감독하며 명성을 쌓았다.
1930년 영화계로 진출하여 새뮤얼 골드윈 스튜디오에서 제작한 뮤지컬 코미디 영화 『우피』의 무용 연출을 맡았다. 1933년에는 조지 에이미와 공동으로 감독한 『쉬 해드 투 세이 예스』를 통해 영화 감독으로 데뷔했다. 이후 독창적인 안무 연출로 주목받으며, 1936년부터 3년 연속으로 아카데미상의 댄스 감독상 후보에 올랐다.
1954년 머빈 르로이 감독의 영화 『로즈마리』의 안무 연출을 마지막으로 브로드웨이 무대로 돌아가 활동을 이어갔다. 영화계에서의 마지막 작업은 1962년 찰스 월터스 감독의 『점보』였다.
1976년 3월 14일, 캘리포니아주 팜스프링스에서 향년 80세로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
1895년 11월 29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에서 아버지 프랜시스 이노스와 무대 배우였던 어머니 거트루드 버클리 사이에서 태어났다.[2][3][26][27] 그의 이름 '버즈비'는 어머니의 친구이자 배우였던 에이미 버즈비에게서 따온 별명이며, '윌리엄'은 훗날 셜록 홈즈 역으로 유명해진 배우 윌리엄 질레트의 이름을 딴 것이라고 전해진다.[2][5][28][29] 버클리가 8살 때 아버지는 사망했다.[4]어머니 거트루드는 무대 활동 외에도 무성 영화에서 어머니 역할을 맡기도 했다. 버클리는 어머니의 영향을 받아 5세 때 가족과 함께 공연하며 무대에 데뷔했다.
1917년에는 매사추세츠주 애솔에 거주하며 광고 및 영업 관리자로 일했다.[6][30] 이후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미국 육군에 입대하여 야전 포병 중위로 복무했다. 이때 1,200명에 달하는 병사들의 복잡한 대형 훈련을 지휘하며 안무 연출 경험을 쌓았다.[7][31]
2. 2. 브로드웨이 시절
1920년대 동안 버클리는 코네티컷 양키 (뮤지컬)과 같은 히트작을 포함하여 20편 이상의 브로드웨이 뮤지컬에서 댄스 감독을 맡았다.[8][9][32][33] 안무가로서 그는 코러스 걸들의 춤 실력 자체보다는, 그들의 움직임을 통해 매력적인 기하학적 패턴을 만들어내는 능력에 더 중점을 두었다. 그가 연출한 뮤지컬 넘버들은 당시 브로드웨이에서 가장 규모가 크고 잘 짜인 것으로 평가받았다.[8][9][32][33]그의 초기 영화 작업은 새뮤얼 골드윈이 제작한 에디 캔터의 뮤지컬에서 시작되었다. 이 시기 버클리는 코러스 걸 개개인의 얼굴을 클로즈업으로 보여주는 parade of faces영어 기법과, 댄서들을 무대 전체, 때로는 그 이상으로 움직여 만화경 같은 시각적 패턴을 형성하는 연출 기법을 발전시켰다.[10][34] 특히 위에서 내려다보며 촬영하는 그의 독특한 톱 샷(top shot) 기술은 캔터의 영화들과 1932년 유니버설 픽처스에서 제작한 영화 ''나이트 월드 (영화)''의 "Who's Your Little Who-Zis?" 넘버 장면 등에서 초기 형태를 선보이며 큰 영향을 주었다.[10][34]
3. 경력
1920년대 브로드웨이에서 뮤지컬 안무가로 경력을 시작한 버즈비 버클리는 약 20편의 작품에 참여하며 독특한 기하학적 대형 연출로 명성을 얻었다.[32][33] 이후 할리우드로 진출하여 새뮤얼 골드윈이 제작하고 에디 칸터가 주연한 뮤지컬 영화들의 안무를 맡으며 영화계에 발을 들였다. 이 시기 그는 코러스걸들의 얼굴을 차례로 클로즈업하는 '얼굴 퍼레이드'(parade of faces) 기법과 만화경을 연상시키는 복잡하고 화려한 패턴의 군무 연출을 발전시켰다.[34] 특히 머리 위에서 촬영하는(overhead shot) 기법은 그의 트레이드마크가 되었다.
워너 브라더스로 이적한 후 『42번가』, 『풋라이트 퍼레이드』, 『1933년의 황금광들』 등 일련의 성공적인 뮤지컬 영화를 통해 전성기를 맞이했다. 그의 안무는 종종 영화의 서사와는 별개로 압도적인 시각적 스펙터클을 제공했으며, 대공황 시기 관객들에게 현실 도피적인 즐거움을 선사하며 큰 인기를 끌었다. 버클리는 뮤지컬 장면 연출에 있어 상당한 자율성을 누렸으며, 자신의 비전을 온전히 담기 위해 단일 카메라 촬영을 고수하기도 했다.[35] 대부분의 작품이 화려함과 낙관주의를 강조했지만, 『1933년의 황금광들』의 '나의 잊혀진 사람을 기억하라'(Remember My Forgotten Man)처럼 사회적 메시지를 담은 예외적인 경우도 있었다.
시간이 흐르면서 그의 웅장한 스타일이 유행에 뒤처지자, 버클리는 일반 극영화 감독으로도 활동 영역을 넓혀 1939년에는 존 가필드 주연의 《그들은 나를 범죄자로 만들었다》를 연출하여 성공을 거두기도 했다.[36] 이후 MGM과 20세기 폭스 등에서 활동하며 주디 갈랜드[37]나 카르멘 미란다[33] 같은 스타들과 작업했지만, 때로는 불화를 겪거나 제작비 문제로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1940년대 후반 다시 MGM으로 돌아와 테크니컬러 영화 시대 후반까지 활동했으며, 안무가로서의 마지막 영화 작품은 1962년 MGM의 《Billy Rose's Jumbo (film)|빌리 로즈의 점보eng》였다.
3. 1. 할리우드 진출과 초기 작품
1920년대, 버즈비 버클리는 『코네티컷 양키』[32][33] 등 20편 가량의 브로드웨이 뮤지컬 안무를 담당하며 명성을 쌓았다. 그의 안무는 코러스걸들의 기량에 맞추면서도, 매혹적인 기하학적 대형을 만드는 데 중점을 두었으며, 당시 브로드웨이에서 가장 규모가 크고 정교하다는 평가를 받았다.그의 영화계 경력은 새뮤얼 골드윈이 제작한 에디 칸터 주연의 뮤지컬 영화 안무를 맡으면서 시작되었다. 이 초기 작품들에서 버클리는 코러스걸 개개인의 얼굴을 차례로 클로즈업하는 '얼굴 퍼레이드'(parade of faces) 기법이나, 무대 안팎으로 댄서들을 움직여 만화경 같은 패턴을 만드는 독창적인 연출 기법을 발전시켰다[34]。 특히 만화경 같은 대형을 위에서 촬영하는 기법은 1932년 유니버설 픽처스의 영화 『밤의 세계』의 'Who's Your Little Who-Zis?' 장면 등에서 잘 나타나며, 그의 독창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버클리의 안무 장면은 무대에서 시작하지만, 이내 무대라는 공간적 제약을 벗어나 확장되는 특징을 보였다. 그는 여러 대의 카메라 대신 단 한 대로 촬영하여 편집권을 행사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자신의 연출 의도를 관철했다[35]。 또한, 안무가로서 뮤지컬 장면 연출에 대한 독립적인 권한을 가졌기에, 때로는 영화 전체 줄거리와 동떨어진 화려한 볼거리를 만들어내기도 했다. 그는 영화의 다른 부분에는 크게 관여하지 않았다고 전해진다[35]。 그의 안무는 대부분 밝고 경쾌했으며, 내용보다는 시각적인 아름다움을 극대화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이러한 장면들은 분당 1만달러 전후의 높은 제작비가 소요되어 때때로 영화 전체 예산을 넘어서기도 했다[35]。 하지만 예외적으로 『1933년의 황금광들』의 '나의 잊혀진 사람을 기억하라'(Remember My Forgotten Man)는 대공황 시기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용사들이 겪는 부당한 현실을 고발하는 내용을 담아, 단순한 볼거리를 넘어선 사회적 메시지를 전달하기도 했다.
버클리는 이후 워너 브라더스에서 『42번가』, 『풋라이트 퍼레이드』, 『1933년의 황금광들』, 『술 취한 꿈』, 『유행의 왕』, 그리고 돌로레스 델 리오가 출연한 『칼리엔테』와 『원더 바』 등 여러 작품의 안무를 담당하며 전성기를 맞았다. 그의 화려하고 환상적인 뮤지컬 장면들은 대공황으로 지친 대중들에게 큰 위안과 즐거움을 선사하며 높은 인기를 누렸다. 버클리 자신은 연출에 깊은 의미를 두기보다는, 항상 최고의 볼거리를 제공하고 과거의 성공을 답습하지 않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고 밝혔다.
3. 2. 혁신적인 안무가로서의 명성

버클리는 워너 브라더스와 함께 일하며 대공황 시기 오락에 목말랐던 관객들에게 큰 인기를 얻었다. 그는 ''42번가'' (1933), ''1933년의 황금광들'' (1933), ''풋라이트 퍼레이드'' (1933), ''데임스'' (1934), ''1934년의 패션'', 그리고 돌로레스 델 리오가 출연한 ''인 칼리엔테''와 ''원더 바'' 등 연속적인 히트 뮤지컬 영화의 안무를 맡았다.
그의 뮤지컬 넘버 연출 방식은 혁신적이었다. 무대에서 시작된 장면은 종종 영화적 시공간으로 확장되었다가 다시 무대로 돌아오는 구성을 보였다. 특히 코러스걸들을 활용한 기하학적인 대형 변화와 만화경 같은 패턴 연출이 특징적이었으며, 이를 머리 위에서 촬영하는 기법은 그의 트레이드마크가 되었다.[34][35] 또한 코러스걸 개개인의 얼굴을 차례로 클로즈업하는 "parade of faces" 기법도 사용했다.[34]
버클리는 뮤지컬 넘버를 연출할 때 상당한 독립성을 부여받았다. 그는 종종 영화의 다른 부분을 보지 않고 넘버 연출에만 집중했으며[11], 단 한 대의 카메라만을 사용하여 자신의 연출 의도를 온전히 담아내려 했다. 이는 일반적인 네 대의 카메라를 사용하는 방식과 달랐으며, 다른 감독이 자신의 연출 장면을 편집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기도 했다.[11][35] 그의 화려한 뮤지컬 시퀀스는 때때로 분당 1만달러 이상의 제작비가 들 정도로 규모가 컸다.[11][35]
대부분의 넘버는 화려함과 긍정적인 분위기에 초점을 맞췄지만, 예외적으로 사회적 메시지를 담기도 했다. ''1933년의 황금광들''에 삽입된 "Remember My Forgotten Man" 넘버는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지만 대공황 시기에 사회적으로 외면받고 부당한 대우를 받는 퇴역 군인들의 현실을 조명하며 깊은 인상을 남겼다.[12] 이는 단순한 오락을 넘어 사회 문제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보여준 사례로 평가받는다.
버클리는 자신의 작품에 깊은 의미를 부여하는 것을 부인하며, 단지 스스로를 넘어서고 과거의 성과를 반복하지 않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그러나 그의 혁신적인 연출과 때로는 사회적 함의를 담은 작품들은 그를 단순한 안무가를 넘어 시대를 대표하는 영화 예술가 중 한 명으로 만들었다.

3. 3. 감독으로의 변신과 이후 활동
버클리의 화려하고 웅장한 연출은 점차 유행에서 멀어졌고, 일반적인 극영화 감독으로도 활동 영역을 넓혔다. 그 결과 1939년 존 가필드 주연의 영화 《그들은 나를 범죄자로 만들었다》를 감독하여 흥행에 성공했는데, 이는 버클리가 감독한 유일한 비(非)뮤지컬 영화였다.[36]버클리는 메트로 골드윈 메이어(MGM)에서 주디 갈랜드를 비롯한 스타들과의 불화로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1943년에는 갈랜드와의 갈등으로 인해 영화 《걸 크레이지》 감독직에서 해고되었으나, 그가 작업했던 곡 《아이 갓 리듬》은 영화에 그대로 사용되었다.[37]
같은 해인 1943년에는 20세기 폭스에서 제작한 영화 《더 갱스 올 히어》(The Gang's All Here)에 참여하여 카르멘 미란다가 부른 곡 'Lady in the Tutti-Frutti Hat'의 안무를 담당했다. 영화는 흥행에 성공했지만, 제작비 문제로 버클리와 폭스 경영진 사이에 이견이 있었다.[33]
1940년대 후반, 버클리는 다시 MGM으로 돌아가 테크니컬러 시대 후반기에 에스터 윌리엄스가 출연한 영화들의 화려한 피날레 장면 연출 등을 맡으며 여러 작품에 기여했다. 안무가로서 버클리의 마지막 작품은 1962년 MGM에서 제작한 《Billy Rose's Jumbo (film)|빌리 로즈의 점보eng》였다.
3. 4. 말년
1960년대 후반, 캠프 열풍으로 버클리의 뮤지컬이 다시 주목받았다. 그는 대학 강연 투어를 다니며 자신의 경력에 대해 이야기했다. 버클리의 안무가로서 마지막 작품은 1962년 MGM의 영화 ''Billy Rose's Jumbo영어''였다.1971년, 75세의 버클리는 브로드웨이로 돌아와 ''노 노 낸넷''의 성공적인 리바이벌 공연을 연출했다. 이 공연에는 그의 오랜 워너 브라더스 동료이자 ''42번가''의 스타였던 루비 킬러가 주연을 맡았다. 두 사람은 1970년 영화 ''피닉스''에 카메오로 함께 출연하기도 했다.
4. 개인사
버클리는 여섯 번 결혼했다.[17] 그의 아내로는 배우 머나 케네디, 에스더 뮤어, 스타렛 클레어 제임스, 그리고 그보다 오래 산 에타 던 등이 있었다. 그는 1938년 애정 침해 소송에 캐롤 랜드스와 연루되었으며, 로레인 스타인과 약혼하기도 했다.[18]
버클리는 술을 매우 즐겨, 매일 목욕하며 마티니를 마실 정도였다고 전해진다.
1935년 9월, 버클리는 음주 상태에서 과속으로 운전하다 자동차 사고를 일으켜 두 명이 사망하고 다섯 명이 중상을 입었다.[19] 사고로 중상을 입은 그는 들것에 실려 법정에 출두했다.[20] 당시 ''타임''지는 그가 재판 중 증언을 들으며 얼굴을 찡그렸다고 보도했다:
'증인들은 버클리라는 운전자가 어느 날 밤 로스앤젤레스 카운티의 루즈벨트 고속도로를 과속으로 질주하며 차선을 변경하다가 한 대의 차와 정면으로 충돌하고 다른 차의 옆면을 스쳤다고 증언했다. 몇몇 증인은 그에게서 술 냄새가 났다고 말했다.'[19]
이 사고로 버클리는 2급 살인 혐의로 기소되었으나, 첫 두 번의 재판은 배심원 평결 불일치로 끝났고, 세 번째 재판에서 결국 무죄를 선고받았다.
1937년, 버클리는 로스앤젤레스 웨스트 애덤스 지역의 3500 W. 애덤스 대로에 위치한 역사적인 저택인 구아스티 빌라를 구입했다.[15] 1910년에 지어진 이 집을 그는 1944년까지 소유했으며,[15] 버클리와의 연관성 때문에 현재 이 집은 로스앤젤레스 역사 문화 기념물 제478호로 지정되어 있다.[16]
1946년 어머니가 사망하고 경력이 쇠퇴하기 시작하자, 그는 그해 7월 손목을 긋고 수면제를 과다 복용하며 자살을 시도했다.[21] 그는 구조되어 장기간 입원했으며, 이 사건은 그의 정신 상태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22]
버클리는 1976년 3월 14일, 캘리포니아주 팜스프링스에서 80세의 나이로 자연사했다.[23] 그는 캘리포니아주 캐서드럴시티의 데저트 메모리얼 파크에 안장되었다.[1][24]
5. 유산
버즈비 버클리는 사후인 1988년 국립 댄스 박물관의 코르넬리우스 반더빌트 휘트니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6. 작품 목록
버즈비 버클리의 안무는 무대 공간의 제약을 넘어, 종종 만화경 같은 기하학적 대형을 이루는 독특한 시각적 스타일로 유명하다. 그는 자신의 연출 의도를 완벽히 통제하기 위해 단일 카메라 촬영을 선호했으며[35], 뮤지컬 장면은 영화의 전체 줄거리와는 별개로 독립적으로 구성하는 경우가 많았다.[35] 그의 작품은 대부분 화려하고 시각적인 아름다움을 강조했으며, 1분당 약 1만달러에 달하는 높은 제작비가 투입되기도 했다.[35] 대표적인 예외로는 대공황 시기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용사들의 현실을 다룬 《골드 디거스》(1933)의 'Remember My Forgotten Man' 장면이 있다.
워너 브라더스 시절 《42번가》, 《풋라이트 퍼레이드》 등 다수의 히트작 안무를 통해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그의 작품은 불황기 대중들에게 큰 인기를 얻었다. 버클리는 항상 최고의 결과물을 추구하며 과거의 성공을 반복하지 않으려 노력했다고 밝혔다.
이후 뮤지컬 영화 외에도 스트레이트 드라마 감독으로 활동 영역을 넓혀, 1939년에는 비(非)뮤지컬 영화 《그들은 나를 범죄자로 만들었다》를 연출하여 흥행에 성공하기도 했다.[36] 메트로 골드윈 메이어(MGM)와 20세기 폭스 등에서도 활동하며 《더 갱스 올 히어》(1943)와 같은 작품을 남겼으나, 배우와의 불화[37]나 제작비 문제[33]를 겪기도 했다. 1940년대 후반 다시 MGM으로 돌아와 테크니컬러 영화 시대에 여러 작품의 안무를 담당했으며, 그의 마지막 영화 안무 작업은 1962년작 《빌리 로즈의 점보》였다.
6. 1. 브로드웨이
1920년대, 버즈비 버클리는 브로드웨이에서 활동하며 약 20편의 뮤지컬 안무를 담당했다. 대표작 중 하나는 히트작인 『코네티컷 양키』(1927)이다.[32][33] 안무가로서 버클리는 코러스걸들의 댄스 기술 자체보다는, 그들의 역량에 맞춰 매력적인 기하학적 형태의 포메이션을 만드는 데 중점을 두었다. 그가 안무한 곡들은 당시 브로드웨이에서 가장 규모가 크고 잘 훈련된 것으로 평가받았다.[32][33]시간이 흘러 1971년에는 뮤지컬 『노, 노, 나네트』의 프로덕션 슈퍼바이저를 맡아 다시 브로드웨이 작업에 참여했다.
'''주요 브로드웨이 참여 작품'''
연도 | 작품명 | 역할 |
---|---|---|
1927 | 코네티컷 양키 | 안무가 |
1928 | 후피! | 안무가 |
1971 | 노, 노, 나네트 | 프로덕션 슈퍼바이저 |
6. 2. 영화
1930년, 새뮤얼 골드윈 스튜디오에서 제작하고 손턴 프리랜드 감독이 연출한 뮤지컬 코미디 영화 《후피!》의 안무를 맡으며 영화계에 발을 들였다. 그는 코러스걸 개개인의 얼굴을 차례로 클로즈업하는 기법이나, 무대 안팎으로 댄서들을 움직여 만화경 같은 패턴을 형성하는 기법 등을 발전시켰다.[34] 특히 머리 위에서 촬영하여 만화경 같은 대형을 담아내는 기법은 그의 독창적인 연출 방식으로 큰 영향을 미쳤다. 이는 에디 칸터 주연 영화나 1932년 유니버설 픽처스의 영화 《나이트 월드》의 'Who's Your Little Who-Zis?' 장면 등에서 잘 나타난다.
버클리는 주로 한 대의 카메라를 사용하여 자신의 연출 의도를 완벽하게 통제하고자 했으며, 안무 파트는 영화의 전체 줄거리와는 별개로 독립적으로 연출하는 경우가 많았다.[35] 그의 안무는 대부분 밝고 화려하며 아름다움에 초점을 맞추었고, 제작비는 1분당 약 1만달러에 달해 영화 전체 예산을 넘어서기도 했다.[35] 예외적으로 《1933년의 골드 디거스》의 'Remember My Forgotten Man'은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용사들의 비참한 현실을 그리며 대공황 시기 사회 문제를 다루기도 했다.
1933년에는 조지 에이미와 공동으로 《예스라고 말해야 했어》를 연출하며 영화 감독으로 데뷔했다. 같은 해 워너 브라더스에서 《42번가》, 《1933년의 골드 디거스》, 《풋라이트 퍼레이드》 등의 안무를 맡으며 큰 성공을 거두었다. 그의 화려하고 독창적인 뮤지컬 시퀀스는 불황에 지친 대중들에게 큰 위안을 주었다. 버클리는 자신의 연출에 깊은 의미를 두기보다는 항상 최고를 추구하며 과거의 성공을 반복하지 않으려 노력한다고 밝혔다.
이후 《1935년의 골드 디거스》 등 뮤지컬 영화의 연출과 안무를 병행했으며, 점차 뮤지컬 외 장르로 영역을 넓혀 스트레이트 드라마 연출도 맡았다. 1939년작 《그들은 나를 범죄자로 만들었다》는 존 가필드 주연의 비(非)뮤지컬 영화로, 버클리의 감독 작품 중 가장 큰 흥행 성공을 거둔 작품 중 하나이다.[36]
메트로 골드윈 메이어(MGM)로 이적한 후에는 주디 갈랜드 등 스타 배우들과의 작업에서 일부 마찰을 겪기도 했다. 1943년에는 갈랜드와의 불화로 《걸 크레이지》 감독직에서 해고되었으나, 그가 연출한 '아이 갓 리듬' 피날레 시퀀스는 영화에 그대로 사용되었다.[37] 같은 해 20세기 폭스에서 연출한 《더 갱스 올 히어》에서는 카르멘 미란다가 등장하는 'The Lady in the Tutti-Frutti Hat' 장면의 화려한 연출로 주목받았지만, 제작비 문제로 스튜디오와의 관계는 원만하지 못했다.[33]
1940년대 후반 다시 MGM으로 돌아와 테크니컬러 영화 시대에 에스터 윌리엄스 주연의 수중 뮤지컬 영화 등 여러 작품의 안무를 담당했다. 1954년 《로즈 마리》의 안무를 마지막으로 브로드웨이 무대 연출에 집중했으며, 영화계에서의 마지막 작업은 1962년 찰스 월터스 감독의 《빌리 로즈의 점보》 안무였다.
다음은 버즈비 버클리가 참여한 주요 영화 목록이다.
연도 | 제목 | 역할 | 비고 |
---|---|---|---|
1930 | 《후피!》 (Whoopee!) | 안무 | 감독: 손턴 프리랜드 |
1931 | 《키키》 (Kiki) | 안무 | 감독: 샘 테일러 |
1931 | 《팜 데이즈》 (Palmy Days) | 안무 | 감독: 에드워드 서덜랜드 |
1931 | 《플라잉 하이》 (Flying High) | 안무 | 감독: 찰스 F. 라이스너 |
1932 | 《스카이 데빌스》 (Sky Devils) | 무용 감독 | 감독: 에드워드 서덜랜드 |
1932 | 《스페인에서 온 아이》 (The Kid from Spain) | 안무 | 감독: 레오 맥캐리 |
1932 | 《나이트 월드》 (Night World) | 안무 | 감독: 호바트 헨리 |
1932 | 《버드 오브 파라다이스》 (Bird of Paradise) | 안무 (원주민 댄스) | 감독: 킹 비더 |
1933 | 《예스라고 말해야 했어》 (She Had to Say Yes) | 감독 | 공동 감독: 조지 에이미, 감독 데뷔작 |
1933 | 《42번가》 (42nd Street) | 안무 | 감독: 로이드 베이컨 |
1933 | 《1933년의 골드 디거스》 (Gold Diggers of 1933) | 안무 | 감독: 머빈 르로이 |
1933 | 《풋라이트 퍼레이드》 (Footlight Parade) | 안무 | 감독: 로이드 베이컨 |
1933 | 《로만 스캔들》 (Roman Scandals) | 안무 | 감독: 프랭크 터틀 |
1934 | 《1934년의 패션》 (Fashions of 1934) | 음악 시퀀스 연출/안무 | 감독: 윌리엄 디터 |
1934 | 《원더 바》 (Wonder Bar) | 음악 시퀀스 디자인/연출 | 감독: 로이드 베이컨 |
1934 | 《데임스》 (Dames) | 음악 시퀀스 연출/안무 | 감독: 레이 엔라이트 |
1935 | 《1935년의 골드 디거스》 (Gold Diggers of 1935) | 감독/안무 | |
1935 | 《인 칼리엔테》 (In Caliente) | 음악 시퀀스 연출/안무 | 감독: 로이드 베이컨 |
1935 | 《나는 사랑을 위해 산다》 (I Live for Love) | 감독 | |
1935 | 《브라운의 명배우》 (Bright Lights) | 감독 | |
1936 | 《1937년의 골드 디거스》 (Gold Diggers of 1937) | 음악 시퀀스 연출/안무 | 감독: 로이드 베이컨 |
1936 | 《스테이지 스트럭》 (Stage Struck) | 감독 | |
1937 | 《더 고 게터》 (The Go Getter) | 감독 | |
1937 | 《더 싱잉 마린》 (The Singing Marine) | 음악 시퀀스 연출/안무 | 감독: 레이 엔라이트 |
1937 | 《할리우드 호텔》 (Hollywood Hotel) | 감독 | |
1937 | 《바시티 쇼》 (Varsity Show) | 피날레 연출 | 공동 감독: 윌리엄 케일리 |
1938 | 《파리 골드 디거스》 (Gold Diggers in Paris) | 음악 시퀀스 연출/안무 | 감독: 레이 엔라이트 |
1938 | 《남자들은 다 바보야》 (Men Are Such Fools) | 감독 | |
1938 | 《브로드웨이를 넘어선 혜성》 (Comet Over Broadway) | 감독 | 존 패로로 교체됨 |
1938 | 《가든 오브 더 문》 (Garden of the Moon) | 감독 | |
1939 | 《그들은 나를 범죄자로 만들었다》 (They Made Me a Criminal) | 감독 | |
1939 | 《패스트 앤 퓨리어스》 (Fast and Furious) | 감독 | |
1939 | 《브로드웨이 세레나데》 (Broadway Serenade) | 피날레 연출 | 감독: 로버트 Z. 레너드 |
1939 | 《아기들》 (Babes in Arms) | 감독 | |
1940 | 《스트라이크 업 더 밴드》 (Strike Up the Band) | 감독 | |
1940 | 《포티 리틀 마더스》 (Forty Little Mothers) | 감독 | |
1941 | 《지그펠드 걸》 (Ziegfeld Girl) | 음악 시퀀스 연출 | 감독: 로버트 Z. 레너드, 머빈 르로이 |
1941 | 《브로드웨이의 아기들》 (Babes on Broadway) | 감독 | |
1941 | 《레이디 비 굿》 (Lady Be Good) | 음악 시퀀스 연출 | 감독: 노먼 Z. 맥레오드 |
1942 | 《나와 내 갈》 (For Me and My Gal) | 감독 | |
1943 | 《하늘의 오두막》 (Cabin in the Sky) | "Shine" 시퀀스 연출 | 감독: 빈센트 미넬리 |
1943 | 《걸 크레이지》 (Girl Crazy) | "아이 갓 리듬" 피날레 연출 | 감독: 노먼 터로그, 버스비 버클리 (크레딧 없음) |
1943 | 《더 갱스 올 히어》 (The Gang's All Here) | 감독 | |
1946 | 《신데렐라 존스》 (Cinderella Jones) | 감독 | |
1948 | 《하이 시스의 로맨스》 (Romance on the High Seas) | 안무 | 감독: 마이클 커티즈 |
1949 | 《테이크 미 아웃 투 더 볼 게임》 (Take Me Out to the Ball Game) | 감독 | |
1950 | 《애니는 총을 얻는다》 (Annie Get Your Gun) | 감독 (크레딧 없음) | 감독: 조지 시드니 |
1950 | 《투 위크스 위드 러브》 (Two Weeks with Love) | 안무 | 감독: 로이 로랜드 |
1951 | 《콜 미 미스터》 (Call Me Mister) | 안무 | 감독: 로이드 베이컨 |
1951 | 《브로드웨이행 티켓 2장》 (Two Tickets to Broadway) | 안무 | 감독: 제임스 V. 컨 |
1952 | 《백만 달러 인어》 (Million Dollar Mermaid) | 안무 | 감독: 머빈 르로이 |
1953 | 《스몰 타운 걸》 (Small Town Girl) | 안무 | 감독: 레슬리 카돈 |
1953 | 《이지 투 러브》 (Easy to Love) | 안무 | 감독: 찰스 월터스 |
1954 | 《로즈 마리》 (Rose Marie) | 안무 | 감독: 머빈 르로이 |
1962 | 《빌리 로즈의 점보》 (Billy Rose's Jumbo) | 안무 | 감독: 찰스 월터스 |
참조
[1]
간행물
Palm Springs Cemetery District, "Interments of Interest"
http://www.pscemeter[...]
[2]
서적
Pseudonyms
BCA
1977
[3]
문서
Amy Busby portrait gallery; New York Public Library
https://digitalcolle[...]
2015-04-28
[4]
문서
Buzz, The Life and Art of Busby Berkeley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2010
[5]
웹사이트
Busby Berkeley – Hollywood's Golden Age
http://www.hollywood[...]
2021-12-12
[6]
문서
U.S., World War I Draft Registration Cards, 1917–1918 for Busby Berkeley Enos
[7]
서적
Buzz: The Life and Art of Busby Berkele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2010-11-29
[8]
서적
Buzz : the life and art of Busby Berkeley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2011
[9]
서적
Showstoppers : Busby Berkeley and the tradition of spectacle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3
[10]
뉴스
A kaleidoscope of legs: Busby Berkeley's flamboyant dance fantasies
https://www.theguard[...]
2018-12-10
[11]
뉴스
Busby Berkeley's dance numbers are still eye-popping
https://www.latimes.[...]
2018-12-10
[12]
뉴스
Where to begin with Busby Berkeley
https://www.bfi.org.[...]
2024-01-07
[13]
서적
John Garfield: The Illustrated Career in Films and on Stage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06-08-23
[14]
문서
The World of Entertainment: The Freed Unit at MGM
1975
[15]
웹사이트
Guasti Villa, West Adams
https://calisphere.o[...]
University of California
2024-07-08
[16]
웹사이트
Guasti Villa - Busby Berkley Estate
https://hpla.lacity.[...]
Historic Places Los Angeles
2024-07-08
[17]
뉴스
Busby Berkeley, the Dance Director, Dies
New York Times
1976-03-15
[18]
서적
Carole Landis: A Tragic Life in Hollywood
McFarland and Co.
2005
[19]
간행물
People, Sep. 30, 1935
https://web.archive.[...]
[20]
문서
Choreographer and film director Busby Berkeley being carried into his manslaughter trial on a stretcher
https://archive.toda[...]
Charles E. Young Research Library
[21]
뉴스
1583 Alvito Way 18Jul1946 Busby Berkeley Suicide Attempt p1
https://www.newspape[...]
2020-02-25
[22]
문서
Buzz, The Life and Art of Busby Berkeley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2010
[23]
서적
Palm Springs Confidential: Playground of the Stars
Barricade Books
2004
[24]
서적
Laid to Rest in California: a guide to the cemeteries and grave sites of the rich and famous
Globe Pequot Press
[25]
간행물
Palm Springs Cemetery District, "Interments of Interest"
http://www.pscemeter[...]
[26]
서적
Pseudonyms
BCA
1977
[27]
문서
Amy Busby portrait gallery; New York Public Library
https://digitalcolle[...]
2015-04-28
[28]
문서
Buzz, The Life and Art of Busby Berkeley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2010
[29]
웹사이트
Busby Berkeley – Hollywood's Golden Age
http://www.hollywood[...]
2021-12-12
[30]
문서
U.S., World War I Draft Registration Cards, 1917–1918 for Busby Berkeley Enos
[31]
서적
Buzz: The Life and Art of Busby Berkele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2010-11-29
[32]
서적
Buzz : the life and art of Busby Berkeley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2011
[33]
서적
Showstoppers : Busby Berkeley and the tradition of spectacle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3
[34]
뉴스
A kaleidoscope of legs: Busby Berkeley's flamboyant dance fantasies
https://www.theguard[...]
2018-12-10
[35]
뉴스
Busby Berkeley's dance numbers are still eye-popping
http://articles.lati[...]
2018-12-10
[36]
서적
John Garfield: The Illustrated Career in Films and on Stage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06-08-23
[37]
서적
The World of Entertainment: The Freed Unit at MGM
1975
[38]
서적
The king of Madison Avenue : David Ogilvy and the making of modern advertising
https://archive.org/[...]
Palgrave Macmillan
2009
[39]
뉴스
Busby Berkeley, the Dance Director, Dies
New York Times
1976-03-15
[40]
서적
Carole Landis: A Tragic Life in Hollywood
McFarland and Co.
2005
[41]
뉴스
1583 Alvito Way 18Jul1946 Busby Berkeley Suicide Attempt p1
https://www.newspape[...]
2020-02-25
[42]
서적
Buzz, The Life and Art of Busby Berkeley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2010
[43]
간행물
People, Sep. 30, 1935
https://web.archive.[...]
Time
[44]
뉴스
Choreographer and film director Busby Berkeley being carried into his manslaughter trial on a stretcher
https://archive.toda[...]
Los Angeles Times
[45]
서적
Palm Springs Confidential: Playground of the Stars
Barricade Books
2004
[46]
서적
Laid to Rest in California: a guide to the cemeteries and grave sites of the rich and famous
Globe Pequot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