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노래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범노래미는 북아메리카 서해안에 서식하는 대형 어종으로, 몸길이가 최대 152cm까지 자란다. 몸에는 회색, 파란색, 갈색 또는 녹색 등 다양한 색상이 나타나며, 푸른색 개체는 전체 개체군의 약 20%를 차지한다. 범노래미는 빠르게 성장하며, 공격적인 포식자로서 어류, 오징어, 게 등을 먹고 산다. 이들은 상업 및 레크리에이션 낚시의 대상이며, 원주민 문화에서 토템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범노래미의 개체군은 크기 제한, 출어 제한 등 다양한 관리 정책에 따라 관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54년 기재된 물고기 - 감성돔
감성돔은 동아시아 연안에 서식하는 농어목 바닷물고기로, 회흑색 몸통에 줄무늬가 있고 강한 턱 힘을 지녔으며, 웅성선숙의 성전환을 하고, 낚시 대상어 및 식용으로 이용되지만 양식에 피해를 주기도 한다. - 1854년 기재된 물고기 - 별상어
별상어는 몸에 흰색 반점 무늬가 있는 상어로, 서부 태평양과 인도양에 분포하며 갑각류를 주로 먹고 난태생으로 번식하지만, 식용으로 이용되면서 수은 축적 위험과 과도한 어획으로 인해 IUCN 적색 목록에서 위기종으로 지정되었다. - 태평양의 물고기 - 송어
송어는 연어과에 속하며 흑색 반점을 가진 어류로, 강해형과 육봉형이 있으며 동해안에서 어업 대상이며, 개체 수 감소로 보전 노력이 필요한 종이다. - 태평양의 물고기 - 연어
연어는 태평양과 북극해에 분포하며 강에서 태어나 바다에서 성장 후 산란을 위해 다시 강으로 돌아오는 어류로, 몸 색깔이 변하고 기름지느러미가 있으며 물렁뼈 비중이 높은 골격 구조를 가진 중요한 수산 자원이지만, 개체 수 감소가 심각한 문제이다.
범노래미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 | |
학명 | Ophiodon elongatus |
명명자 | Girard, 1854 |
![]() | |
형태 | |
최대 길이 | 152 cm |
최대 무게 | 59 kg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조기어류강 |
상목 | 극기류상목 |
목 | 페르카목 |
아목 | 둑중개아목 |
하목 | 쥐노래미하목 |
과 | 쥐노래미과 |
속 | 범노래미속 |
종 | 범노래미 |
기타 | |
영어 이름 | lingcod |
2. 형태
범노래미는 머리와 입이 크며, 위턱이 눈 뒤쪽으로 뻗어 있다.[6] 날카로운 송곳니 모양의 큰 이빨 18개를 가지고 있다.[6] 몸은 방추형을 닮았는데, 이는 빠르고 짧은 돌진을 하는 이동 방식과 관련이 있다. 머리에는 비늘이 없고 눈 위에는 수염이 있다. 측선은 눈에 띄게 흰색이며 몸은 원린으로 덮여 있다. 등지느러미는 가시와 지느러미 줄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홈으로 분리되어 있다. 뒷지느러미에도 가시 3개가 있다.[6] 부레가 없다.[7] 비교적 빠르게 성장하며 최대 152cm, 59kg까지 자랄 수 있다.[8]
2. 1. 색 변이
범노래미는 등쪽에 짙은 회색, 파란색, 갈색, 녹색 등 다양한 색 변이를 보이며, 때로는 구리색 반점이나 얼룩무늬가 나타나기도 한다. 배는 일반적으로 몸통보다 밝은 색을 띤다.[6] 북아메리카 서해안 태평양에 서식하는 범노래미 개체군의 약 20%는 푸른색을 띠는 반면, 나머지 80%는 갈색을 띤다. 푸른색 범노래미는 외부 조직뿐만 아니라 내부 조직도 푸른색을 띤다.[9]
쥐노래미과와 꼼치과에 속하는 다른 어종에서도 다형성이 관찰되는데, 이는 담즙 색소인 빌리베르딘에서 기인할 수 있다.[4] 빌리베르딘은 림프액을 순환하며 조직에 스며드는 헴(heme) 대사 산물이다. 그러나 이 가설은 범노래미에서 아직 검증되지 않았다. 간이나 담낭 기능 장애 역시 빌리베르딘이 조직에 침투하는 결과를 낳을 수 있으며,[10] 빌리베르딘은 기아와도 관련이 있다.[11] 범노래미의 푸른색은 조직 내 빌리베르딘 수치를 증가시키는 먹이 생물이나 빌리베르딘 방출을 유발하는 먹이 생물을 개별적으로 선호하는 식단 선호도에 의해 발생한다고 알려져 왔다.[12]
미국 알래스카, 워싱턴, 캘리포니아 해안에서 범노래미와 기생충의 관계를 조사한 연구에 따르면, 푸른색 수컷 범노래미는 갈색 수컷 범노래미보다 1.89배 더 많은 기생충을 보유하고 있었다. 그러나 암컷의 경우 푸른색과 갈색 개체 간에 기생충 부하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러한 수컷과 암컷 범노래미 사이의 기생충 부하 불일치는 수컷 성 호르몬이 면역 저하 특성을 갖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수컷 척추동물의 면역 체계가 암컷보다 덜 효과적이기 때문일 수 있다.[9]
같은 연구에서 푸른색 범노래미는 암수 모두 간비대지수가 낮았는데, 이는 푸른색이 신체 상태 불량의 징후일 수 있음을 나타낸다. 푸른색 발현의 정확한 메커니즘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한 가지 설명은 기생충이 물고기에게 생리적 손상을 일으켜 푸른색을 띠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 다른 가능한 설명은 기아 상태가 푸른색과 기생충 부하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이지만, 이 요인은 측정하기 어렵다. 이 연구 결과는 면역 체계가 푸른색 발현에 역할을 할 수 있으며, 기생충 감염과 결합될 때 범노래미 개체군 역학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범노래미 다형성의 원인을 더 명확히 밝히기 위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9]
3. 분포 및 서식지
범노래미(Ophiodon elongatus)는 알래스카 만의 슈마긴 제도에서 멕시코의 바하칼리포르니아에 이르는 북아메리카 서해안이 원산지이다.[13] 주로 해저에서 발견되며, 대부분 수심 10~100m의 암초 지역에 서식하지만, 수심 475m에서도 발견된 적이 있다.[13]
표지 연구에 따르면 범노래미는 주로 이동하지 않는 종으로, 국지적인 지역에서만 정착과 보충이 이루어진다.[14] 그러나 범노래미는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 주와 미국 워싱턴 주 인근에서 가장 풍부하게 서식한다.[15]
범노래미는 유충 단계에서는 보통 바다 표면 근처에서 살고, 어린 시기에는 해안 근처의 갯장어 또는 다시마 숲이 있는 모래 해저에서 산다.[15] 성장 단계별 서식지는 다음과 같다.
- 1년생(25cm 이하): 성체 범노래미의 포식과 파도의 영향을 피하기 위해 균질한 부드러운 퇴적물에서 발견된다.[16]
- 2년생(25–45cm): 중간 및 낮은 기복이 다양한 암석 기질의 교대로 크기가 변하는 곳에서 발견되지만, 여전히 얕은 물에 서식한다.[16]
- 3년생 이상(50cm 이상): 암초와 같은 단단한 기질과 일반적으로 더 깊은 물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다.[16]
이러한 서식지 변화는 범노래미의 개체발생적 변화를 보여준다.[16]
일반적으로 암컷 범노래미는 산란을 위해 계절적으로 이동하지만, 수컷 범노래미는 태어난 익숙한 서식지 근처에 머물기를 선호한다. 그러나 미성숙한 범노래미가 60마일 이상 이동하는 경우도 있었다. 암컷은 주로 알을 낳기 위해 더 얕은 물로 이동한다.[16] 범노래미는 좁은 생활 범위를 가지며 영역 행동을 보인다.[17]
4. 생태 및 생활사
범노래미는 알래스카 만의 슈마긴 제도에서 멕시코의 바하칼리포르니아에 이르는 북아메리카 서해안이 원산지이다. 주로 해저에서 발견되며, 대부분 수심 10~100m의 암초 지역에 서식하지만, 수심 475m에서도 발견된 적이 있다.[13] 표지 연구에 따르면 주로 이동하지 않는 종으로, 국지적인 지역에서만 정착과 보충이 이루어진다.[14]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 주와 미국 워싱턴 주 인근에서 가장 풍부하게 서식하며, NOAA 수산에서 관리하는 북태평양 개체군과 남태평양 개체군으로 나뉜다.[15]
범노래미는 유충 단계에서는 바다 표면 근처에서, 어린 시기에는 해안 근처의 갯장어 또는 다시마 숲이 있는 모래 해저에서 산다.[15] 성체가 되면 더 암석이 많은 서식지나 해초, 다시마, 갯장어 서식지로 이동한다. 이러한 서식지 변화는 범노래미의 개체발생적 변화를 보여준다.[16] 암컷 범노래미는 산란을 위해 계절적으로 이동하지만, 수컷은 태어난 곳 근처에 머무는 경향이 있다. 암컷은 주로 알을 낳기 위해 얕은 물로 이동한다.[16] 범노래미는 좁은 생활 범위를 가지며 영역 행동을 보인다.[17]
태평양 북아메리카 서해안에 서식하는 범노래미 개체군 중 약 20%는 푸른색, 80%는 갈색을 띤다. 푸른색 범노래미는 외부 및 내부 조직 모두 푸른색을 띤다.[9] 이러한 다형성은 쥐노래미과 및 꼼치과에 속하는 다른 어종에서도 관찰되며, 담즙 색소인 빌리베르딘에서 기인할 수 있다.[4] 빌리베르딘은 림프액을 순환하며 조직을 적시는 헴(heme) 대사 산물이다. 그러나 이 가설은 범노래미에서 검증되지 않았다. 간이나 담낭의 기능 장애 역시 빌리베르딘이 조직에 침투하는 결과를 낳을 수 있으며,[10] 빌리베르딘은 기아와도 관련이 있다.[11]
미국 알래스카, 워싱턴, 캘리포니아 해안의 기생충과 범노래미의 관계를 조사한 연구에 따르면, 푸른색 수컷 범노래미는 갈색 범노래미보다 1.89배 더 많은 기생충을 보유하고 있었다. 그러나 푸른색이 암컷에게 더 흔함에도 불구하고 기생충 부하와 관련하여 푸른색과 갈색 암컷 사이에는 차이가 없었다. 이는 수컷 성 호르몬이 면역 저하 특성을 갖기 때문에 수컷 척추 동물의 면역 체계가 암컷보다 덜 효과적이기 때문일 수 있다.[9]
같은 연구에서 푸른색 범노래미는 암수 모두 간비대지수가 낮았으며, 이는 푸른색이 신체 상태 불량의 징후임을 나타낼 수 있음을 발견했다. 푸른색 생성의 정확한 메커니즘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기생충이 물고기에게 생리적 손상을 일으켜 푸른색을 띠게 할 수 있다는 설명과, 기아 상태가 푸른색과 기생충 부하의 원동력이 될 수 있다는 설명이 있지만, 후자는 측정할 수 없다. 이 연구 결과는 면역 체계가 푸른색에 역할을 할 수 있으며, 기생충 감염과 결합될 때 범노래미의 개체군 역학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시사한다. 범노래미 다형성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향후 연구가 필요하다.[9]
4. 1. 성장
범노래미는 20년 이상 살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수컷은 14년, 암컷은 20년까지 산다.[6]11월부터 수컷 범노래미는 연안 산란장으로 이동하여 영역을 설정한다.[18] 이러한 둥지 충실도(매년 같은 곳으로 돌아오는 행동)는 온대 해양 어류에서 처음으로 기록된 사례 중 하나이다. 이는 수컷 범노래미의 둥지 선택이 짝짓기 유인 행동의 구성 요소임을 시사한다.[19]
산란은 매년 1월에서 3월 사이에 밤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인다.[18] 암컷 범노래미는 한 둥지에 최대 50만 개의 알을 낳을 수 있으며, 수컷의 영역 내 바위나 바위 틈새에 알을 낳고 둥지를 떠난다. 수컷은 산란을 통해 알을 수정시킨다. 이후 수컷은 1월에서 6월 사이에 알이 부화할 때까지 6주 동안 포식자로부터 둥지를 적극적으로 방어한다.[20][13]
수컷 범노래미는 일반적으로 하나의 둥지만 방어하지만, 둥지가 자신의 영역 내에 있고 서로 충분히 가까이 있다면 최대 3개의 둥지를 방어하는 것이 관찰되었다.[18] 수컷은 둥지 위나 옆에 직접 누워 방해받지 않는 한 움직이지 않거나, 보초를 서서 다른 물고기가 가까이 오면 적극적으로 방어하는 두 가지 유형의 경계 행동을 보인다.[20] 이러한 생식 방법은 난생으로, 수컷이 알을 지키는 것을 반영한다.[13] 난생 부모 돌봄은 일부일처제에서 일부다처제와 같은 광범위한 짝짓기 행동을 통해 양쪽 성별의 적합성을 극대화함으로써 한쪽, 양쪽 또는 어느 쪽 부모도 자손을 돌보게 한다. 일반적으로 범노래미는 수컷이 주된 돌봄 제공자이다.[21] 하지만 범노래미는 일반적으로 일부다처제 짝짓기 구조를 따르며, 이는 범노래미의 유효 개체군 크기에 기여한다.[19]
유생은 5월 말 또는 6월 초까지 표해 생활을 하다가 미성어로 바닥에 정착한다. 처음에는 거머리말 밭에 서식한 다음, 평평하고 모래가 많은 지역으로 이동한다. 결국에는 늙은 범노래미와 유사한 지형과 기질의 서식지에 정착하지만, 수년 동안 더 얕은 깊이에 머문다.
암컷은 3세, 약 76.20cm일 때 성적으로 성숙한다. 수컷은 2세, 약 50.80cm일 때 성적으로 성숙한다. 성어 수컷은 항문 배설구 뒤에 작은 원추형 유두가 있는 것으로 암컷과 외부적으로 구별할 수 있다. 만 2세까지 수컷과 암컷은 비슷한 속도로 성장하며, 둘 다 평균 45cm의 길이에 도달한다. 2세 이후에는 암컷이 수컷보다 더 빠르게 성장하며, 수컷의 성장은 약 8세에 멈추고 암컷은 약 12~14세까지 계속 성장한다.
4. 2. 나이 측정
1977년, 태평양 생물학 연구소의 딕 빔미쉬(Dick Beamish) 박사와 도리스 칠튼(Doris Chilton)은 두 번째 등지느러미의 4~8번째 지느러미 줄기를 잘라 단면을 관찰하는 것이 범노래미의 나이를 추정하는 방법임을 보여주는 논문을 발표했다.[22][23] 이 방법은 이후 범노래미에 옥시테트라사이클린을 주사하는 표지-재포획 연구를 통해 검증되었다. 비늘과 이석을 사용하는 것과 같은 다른 연령 측정 방법은 나이가 많은 물고기의 나이를 과소평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나이는 다른 연령 측정 구조와 거의 같은 방식으로 지느러미를 사용하여 결정된다. 다양한 두께의 절편을 현미경으로 검사하고, 각 성장 연도에 형성되는 환상 또는 고리를 세어 나이를 추정하는 데 사용한다. 단면은 지느러미 줄기의 길이에 직각으로 만들어야 하므로 지느러미를 평평하게 건조하고 절단면이 지느러미 줄기에 직각이 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절편을 지느러미 줄기 기부에서 얼마나 떨어져서 절단했는지의 거리가 중요하므로 모든 지느러미는 기부를 온전하게 수집해야 한다.[24][25]

범노래미의 나이를 결정하기 위한 준비 과정에서 정확도와 가독성이 가장 높은 두 번째 등지느러미의 4~8번째 줄기가 사용된다. 줄기를 자른 후에는 절단된 기부에 수직이 되도록 최대 3일 동안 건조한다. 건조 후에는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접착제 두 층을 사용하여 줄기를 경화시킨 다음 PACE Pico 고속 톱을 사용하여 지느러미 기부에서 시작하여 1mm~2mm 폭의 절편으로 자른다. 이렇게 하면 두 층의 중간 점도 마운팅 액체와 함께 현미경 슬라이드에서 검사할 수 있는 5~6개의 줄기 절편이 일반적으로 제공된다.[26]
범노래미의 나이를 결정하기 위해 환상의 수를 센다. 환상은 매년 겨울 성장 기간 동안 형성되는 반투명 영역이다. 여름과 봄의 성장은 불투명 영역을 생성한다. 또한 여름 성장으로 인해 확인이나 미세하고 반투명한 고리가 생길 수도 있다.[26]
나이가 많은 물고기의 나이를 측정하기 위해 지느러미 줄기를 사용하는 것과 관련된 한 가지 문제는 중앙 부분이 흡수되어 처음 두 개의 환상이 손실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어린 물고기의 지느러미를 검사하여 처음 두 개의 환상에 대한 평균 너비를 결정해야 한다. 이 측정을 사용하여 나이가 많은 물고기의 세 번째 환상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5. 먹이
성체 범노래미는 다른 범노래미, 저서성 어류, 오징어, 문어, 게 등을 먹는 공격적인 포식자이다.[13] 입에 들어가는 거의 모든 것을 먹는 탐욕스러운 포식자로, 무척추동물, 청어(Clupea pallasii), 연어, 태평양 대구(Merluccius productus)와 같은 많은 어류를 먹는다. 작은 문어를 가장 좋아하며, 큰 락피쉬도 먹는다.[15]
어린 범노래미는 일반적으로 동물성 플랑크톤, 크릴, 유생 갑각류를 먹으며, 성장하면서 작은 물고기를 먹는다.[15]
6. 인간과의 관계
어린 범노래미는 주로 켈프나 해초류가 있는 얕은 물에 서식하기 때문에 서식지 보존이 중요하다.[16] 켈프와 해초류 서식지는 자연적, 인위적 영향에 취약하여 전 세계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28] 이로 인해 어린 범노래미는 더 단단하고 복잡한 구조를 가진 서식지로 밀려나고 있다.[16]
6. 1. 어업
NOAA 어업국에 따르면, 2021년 어족 자원 평가에서 범노래미는 남획되지 않았으며, 2021년 어획 데이터를 기준으로 남획 대상이 아니다.[15] 알래스카 어류 및 야생동물부는 범노래미가 남획에서 회복되기 어렵기 때문에 알래스카에서 남획을 방지하기 위해 보수적으로 관리한다. 여기에는 산란 중인 암컷과 둥지를 지키는 수컷을 보호하기 위해 해당 기간 동안 스포츠 및 상업 어업을 폐쇄하는 것이 포함된다. 또한 덜 자란 물고기의 어획을 방지하기 위해 최소 크기 제한을 설정하여 어획 전에 최소 한 번 산란할 수 있도록 한다. 어획 제한도 있으며, 스포츠 어업은 일일 어획량 및 소지 제한으로, 상업 어업은 혼획 및 혼획 할당량으로 제한된다.[7]워싱턴 어류 및 야생동물부에 따르면, 범노래미는 우선 종으로 지정되어 보호 조치를 받는다.[6] 캘리포니아 어류 및 야생동물부는 다른 저서어류와 함께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범노래미를 관리하기 위해 NOAA 어업국, 다른 주 및 태평양 어업 관리 위원회(PFMC)와 협력한다.[13] 이러한 관리는 1982년 PFMC가 시행한 연방 저서어업 관리 계획(GFMP)에 따라 이루어지며, 주와 연방 정부의 공동 관할권을 용이하게 한다. 그러나 서식지와 기타 민감한 어류 개체군을 보호하기 위해 범노래미 관련 어업 및 레크리에이션 이용에는 연방 및 지역 규정이 적용된다.[13]
범노래미는 저층 연승 및 연어 트롤 어업과 함께 어획된다. 트롤 어업을 사용하는 경우 해저에 다양한 정도의 파괴가 발생하여 서식지에 영향을 미친다. 워싱턴, 캘리포니아의 전세선 어부들은 노란 눈 볼락 혼획을 줄이면서 범노래미를 더 잘 표적으로 삼기 위해 대형 가자미를 대체 미끼로 사용한다고 보고되었다.[15]
1997년에는 범노래미가 워싱턴에서 캘리포니아에 이르기까지 남획된 것으로 선언되었으나, 2005년에는 제한적인 어업 규제와 유리한 해양 환경 조건 덕분에 회복된 것으로 선언되었다.[29] 관리에는 크기 제한, 출어 제한, 특정 시즌 또는 지역의 개폐, 혼획을 제한하고 서식지에 미치는 영향을 줄일 수 있는 어구 제한, 트롤 어업 할당제 프로그램이 포함된다.[15]

2022년 상업적 어획량은 약 816465.60kg였으며, 그 가치는 2700000USD였다.[15] 상업 어획 장비는 부문별로 다르지만, 다양한 낚시 도구, 자망, 트롤, 그리고 통발을 포함할 수 있다. 범노래미는 미국과 수출 시장에서 신선, 냉동, 산 채로 판매될 수 있다.[13]
범노래미를 대상으로 한 레크리에이션 낚시는 알래스카를 포함한 서부 해안 전역에서 이루어진다. 2021년 레크리에이션 낚시꾼은 약 589669.60kg의 범노래미를 어획했다. 크기와 매일 잡을 수 있는 범노래미의 수에 제한이 있다.[15] 합법적인 장비에는 낚싯바늘과 작살이 포함된다.[13]
역사적으로 범노래미는 알래스카 남동부, 중남부 및 서부의 많은 원주민 해안 지역 사회에서 어획되었다. 전통적으로 나무나 뼈로 만든 낚시 바늘을 사용하여 자급자족을 위해 잡았다. 오늘날에도 범노래미는 상업 어업과 함께 연승, 트롤, 지깅 방식으로 자급자족을 위해 어획되고 있다.[15]
6. 2. 문화적 의의
북아메리카 원주민에게 범노래미는 바다 깊숙한 곳에서 서식하는 것을 반영하여 적응력, 깊이, 회복력에 대한 교훈을 주는 토템 역할을 한다. 알래스카의 틀링깃 족에게 범노래미는 지혜와 힘을 상징하며, 브리티시컬럼비아의 하이다 족에게는 강력한 수호자를 상징한다. 언급된 부족들과 그 외 많은 부족들은 깊고 풍부한 어업 전통과 바다와의 연관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자원 외에도 범노래미 상징주의를 제공했을 수 있다. 또한 범노래미는 다른 어종의 과잉 번식을 조절하기 위한 포식자로서 강력한 신에 의해 창조되었다고 한다.[30] 다른 문화권에서는 범노래미를 "켈프 숲의 고질라"로 여기기도 한다.[30]동양 문화에서 범노래미는 서식지에서 위장하는 능력 때문에 끈기와 적응력을 나타내며, 부드러움과 독특한 풍미로 인해 많은 아시아 문화권에서 진미로 여겨진다.[30]
기독교에서 범노래미는 예수님을 따르라는 부름을 받은 어부인 사도 베드로를 나타낼 수 있다. 이는 범노래미가 박해와 고난 속에서도 복음을 전파하는 베드로의 충실함과 용기를 반영하는 힘과 회복력과 연관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범노래미의 큰 입은 하나님의 말씀을 전하는 베드로의 솔직함을 나타낼 수도 있다.[30]
범노래미는 켈트족 문화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며, 맹렬한 태도와 포식적인 본성은 전사적인 힘과 권력의 자질을 나타낸다. 범노래미는 예술가와 디자이너에게 영감을 주고 있다.[30]
아프리카 문화에서 범노래미는 어려운 환경을 뚫고 번성하고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능력 때문에 회복력과 적응력을 상징한다.[30]
영적으로 범노래미는 강한 직관력과 힘을 가진 강력한 영적 메신저를 나타낸다. 일부 문화권에서는 범노래미가 사람을 만나면 행운과 긍정적인 에너지를 가져다준다고 믿는다. 어떤 징조는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다 깊숙한 곳에서 범노래미의 사나운 눈을 보는 것은 행운을 의미할 수도 있고, 임박한 위험을 의미할 수도 있다.[30]
7.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World Register of Marine Species ''Ophiodon'' Girard, 1854"
http://www.marinespe[...]
[2]
간행물
"Fossil fishes of diatom beds of Lompoc"
https://www.biodiver[...]
Stanford University
1920
[3]
FishBase
[4]
서적
Certainly more than you want to know about the fishes of the Pacific Coast : a postmodern experience
http://reallybigpres[...]
Really Big Press
2014-10-18
[5]
웹사이트
Red Fish, Blue Fish: Where The Fish Flesh Rainbow Comes From
https://www.npr.org/[...]
NPR
2014-10-18
[6]
웹사이트
Lingcod
https://wdfw.wa.gov/[...]
2024-11-08
[7]
웹사이트
Lingcod Species Profile, Alaska Department of Fish and Game
https://www.adfg.ala[...]
2024-11-08
[8]
FishBase
[9]
논문
The weaker sex: Male lingcod (Ophiodon elongatus) with blue color polymorphism are more burdened by parasites than are other sex–color combinations
2021-12-31
[10]
논문
7 - Nutritional Physiology
https://www.scienced[...]
Academic Press
2024-11-08
[11]
논문
Study of the heme catabolism of fish
https://www.scienced[...]
1987-01-01
[12]
논문
Assessing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blue-colored flesh in lingcod (Ophiodon elongatus) across their geographic range
https://link.springe[...]
2021-09
[13]
웹사이트
CA Marine Species Portal
https://marinespecie[...]
2024-11-08
[14]
간행물
DFO, 2001, Lingcod, DFO Science Stock Report A6-18
http://www.dfo-mpo.g[...]
[15]
웹사이트
Lingcod
https://www.fisherie[...]
2024-11-08
[16]
논문
Lingcod (Ophiodon elongatus) habitat associations in California: implications fo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https://link.springe[...]
2018-01-01
[17]
간행물
"A telemetric study of the home ranges and homing routes of lingcod Ophiodon elongatus on shallow rocky reefs off Vancouver Island, British Columbia."
1992
[18]
간행물
A Study of the Nesting Behaviour of Lingcod (Ophiodon elongatus) in the Strait of Georgia, British Columbia
Department of Fisheries and Oceans, Fisheries Marine Science
1978
[19]
논문
Male nest site fidelity and female serial polyandry in lingcod (Ophiodon elongatus, Hexagrammidae)
https://onlinelibrar[...]
2005-02
[20]
간행물
Submersible observations on lingcod, Ophiodon elongatus, nesting below 30 m off Sitka
1993
[21]
논문
Male Parental Care in the Bony Fishes
https://www.jstor.or[...]
1979
[22]
간행물
Age determination of lingcod (Ophiodon elongatus) using dorsal fin rays and scales.
1977
[23]
간행물
Age determination methods for fishes studied by the Groundfish Program at the Pacific Biological Station.
1982
[24]
간행물
First evidence of validity of the fin-ray method of age determination for marine fishes.
1983
[25]
간행물
The validity of the fin-ray method of age determination for lingcod (Ophiodon elongatus).
[26]
논문
Geographic and Habitat-Based Variation in Lingcod (Ophiodon Elongatus) Demography and Life-History Along the U.S. West Coast
https://digitalcommo[...]
2019-10-01
[27]
문서
West Coast Groundfish Nutrient Profiles: Exact Scientific Lab Results.
2021
[28]
논문
Population Genetic Analyses of Transplanted Eelgrass (Zostera marina) Beds Reveal Reduced Genetic Diversity in Southern California
https://onlinelibrar[...]
1996-06
[29]
간행물
Assessment of Lingcod (Ophiodon elongatus) for the Pacific Fishery Management Council.
https://www.pcouncil[...]
2024-10-18
[30]
웹사이트
Ling Cod
https://butchershopi[...]
2024-11-09
[31]
웹인용
"World Register of Marine Species ''Ophiodon'' Girard, 1854"
http://www.marinespe[...]
[32]
FishBase
[33]
웹인용
EDF Seafood Selector: Lingcod
http://www.edf.org/p[...]
2020-02-16
[34]
웹인용
Red Fish, Blue Fish: Where The Fish Flesh Rainbow Comes From
https://www.npr.org/[...]
NPR
2014-10-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