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서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범서읍은 울산광역시 울주군에 속하는 읍으로, 삼한 시대에 굴아화촌으로 시작되어 신라 시대에 굴아화현으로 설치되었다. 고려 시기에는 범서부곡이 되었으며, 조선 시대에는 범서면으로 개칭되었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1952년 범서면의회가 구성되었으나 1961년 해산되었다. 2001년 3월 1일 읍으로 승격되었으며, 현재 10개의 법정리와 다수의 행정 구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울산고속도로, 동해고속도로가 지나며, 울산울주경찰서, 교육 기관 및 다양한 금융 시설이 위치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울주군의 행정 구역 - 언양읍
언양읍은 울산광역시 울주군에 속하며, 1996년 읍으로 승격되었고, 15개 법정리와 39개 행정리로 구성되어 경부고속도로 등 교통 요지이며, 울산과학기술원, 언양읍성 등 교육 및 관광 시설을 갖추고 있다. - 울주군의 행정 구역 - 웅촌면
웅촌면은 울산광역시 울주군에 위치하며, 울산의 기원인 우시산국의 중심지로, 신라 시대 우화현으로 불렸고, 현재 9개의 법정리, 26개의 행정리, 85개의 반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춘해보건대학교와 국도 제7호선, 울산고속도로 등이 위치해 있다. - 울산광역시의 읍·면 - 언양읍
언양읍은 울산광역시 울주군에 속하며, 1996년 읍으로 승격되었고, 15개 법정리와 39개 행정리로 구성되어 경부고속도로 등 교통 요지이며, 울산과학기술원, 언양읍성 등 교육 및 관광 시설을 갖추고 있다. - 울산광역시의 읍·면 - 웅촌면
웅촌면은 울산광역시 울주군에 위치하며, 울산의 기원인 우시산국의 중심지로, 신라 시대 우화현으로 불렸고, 현재 9개의 법정리, 26개의 행정리, 85개의 반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춘해보건대학교와 국도 제7호선, 울산고속도로 등이 위치해 있다. - 2001년 설치 - 화성시
화성시는 경기도 남부에 위치하며 2001년 화성군에서 승격되었고 사도세자의 능인 융릉의 '화성'에서 유래, 동북부는 산지, 중앙은 구릉, 서부는 평야, 리아스식 해안을 가지며 철도와 고속도로 교통망이 발달한 2025년 특례시 승격 예정 도시이다. - 2001년 설치 - 광주시 (경기도)
광주시는 기원전 6년 백제의 수도였으며, 조선 시대에는 관요가 설치되어 백자 제작이 성행했고, 2001년 시로 승격되었으며, 현재 제조업, 상업 및 서비스업이 주요 산업이고 남한산성, 팔당호, 광주경기도자박물관 등이 관광 명소이다.
범서읍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이름 | 범서읍 (凡西邑) |
로마자 표기 | Beomseo-eup |
지리 | 울산광역시 울주군 |
면적 | 77.1 km² |
고도 | 113 m |
![]() | |
인구 통계 | |
총 인구 (2023년) | 68,051명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세대 (2017년 12월 31일) | 24,584 |
인구 (2022년 3월) | 69,484명 |
행정 구역 | |
법정리 | 사연리 천상리 입암리 굴화리 서사리 두산리 구영리 중리 망성리 척과리 |
행정리 | 66 |
반 | 605 |
기관 | |
읍사무소 주소 | 울산광역시 울주군 범서읍 송현길 72 |
홈페이지 | 범서읍 행정복지센터 |
2. 역사
삼한 시대에 현재의 중구 다운동을 중심으로 굴아화촌(屈阿火村)이라는 촌락이 형성되었다. 신라 파사 이사금 대에 이 지역을 정복하여 현재의 굴화리 지역을 치소로 굴아화현(屈阿火縣)을 설치하였다. 757년에 굴아화현을 하곡현(河曲縣)으로 개칭하고 임관군의 영현이 되었다. 하곡현은 940년에 우풍현, 동진현과 통합하여 흥례부(興禮府)가 되고, 치소를 현재의 중구 지역에 두면서 이 지역은 중심지로서의 기능을 상실하였다. 흥례부는 공화현으로 격하되었다가 1018년에 울주로 승격하였는데, 이 지역은 '''범서'''(凡西)부곡이 되었다. 조선 시대에 부곡 제도가 폐지되고 범서면이 되었다.
1914년 4월 1일 상부면 길촌동 일부와 경주군 외동면 반동 일부를 편입하고 12개리로 개편하였다. 이때 운곡동에 속해있던 난곡, 말정 2개마을이 부내면 태화리(지금의 중구 태화동)에 편입되었다.
개편 전 | 개편 후 |
---|---|
사량동(砂良洞), 신안동(新安洞), 내사동(內砂洞), 신리동(新里洞), 상부면 길촌동 일부 | 서사리(西砂里) |
관문동(官文洞), 성저동(城楮洞), 연동(燕洞), 척과동 일부 | 두산리(斗山里) |
척과동(尺果洞), 용연동(龍淵洞), 사량동 일부, 경주군 외동면 반동(盤洞) | 척과리(尺果里) |
구영동(九永洞), 점리동(店里洞) | 구영리(九英里) |
중리동(中里洞), 내사동 일부 | 중리(中里) |
망성동(望星洞), 욱곡동(旭谷洞) | 망성리(望星里) |
사일동(泗日洞), 곡연동(曲淵洞) | 사연리(泗淵里) |
입암동(立岩洞), 평천동 일부, 곡연동 일부 | 입암리(立岩里) |
천상동(川上洞), 평천동(平川洞), 대동(大同洞) | 천상리(川上里) |
굴화동(屈火洞), 장검동(長劍洞), 백천동(柏川洞), 괴정동(槐亭洞) | 굴화리(屈火里) |
다전동(茶田洞), 운곡동(雲谷洞), 신안동 일부 | 다운리(茶雲里) |
무거동(無去洞), 삼호동(三湖洞), 신복동(新卜洞) | 무거리(無去里) |
1952년 4월 25일 지방 선거가 시행되고 초대 범서면의원 13명이 선출되었다. 1961년 9월 1일 범서면의회가 해산되었다. 1962년 6월 1일 다운리, 무거리를 신설 울산시에 편입하고 울주군 범서면이 되었다. 1991년 1월 1일 울주군이 울산군으로 개칭하면서 울산군 범서면이 되었다. 1995년 1월 1일 울산시·울산군 통합으로 울산시 울주구 범서면이 되었다. 1997년 7월 15일 울산시가 울산광역시로 승격하면서 울산광역시 울주군 범서면이 되었다. 2001년 3월 1일 범서면이 '''범서읍'''으로 승격하였다. 2002년 8월 30일 : 남구 무거동의 굴화2택지개발사업지구 내 아파트 지역[4]을 굴화리로 편입하고 굴화리의 공공시설용지 지역[5]이 남구 무거동으로 편입됨.[6]
2. 1. 삼한 시대 ~ 통일 신라 시대
삼한 시대에 현재의 중구 다운동을 중심으로 굴아화촌(屈阿火村)이라는 촌락이 형성되었다. 신라 파사 이사금 대에 이 지역을 정복하여 현재의 굴화리 지역을 치소로 굴아화현(屈阿火縣)을 설치하였다. 757년에 굴아화현을 하곡현(河曲縣)으로 개칭하고 임관군의 영현이 되었다. 하곡현은 940년에 우풍현, 동진현과 통합하여 흥례부(興禮府)가 되고, 치소를 현재의 중구 지역에 두면서 이 지역은 중심지로서의 기능을 상실하였다. 흥례부는 공화현으로 격하되었다가 1018년에 울주로 승격하였는데, 이 지역은 범서부곡이 되었다. 조선 시대에 부곡 제도가 폐지되고 범서면이 되었다.2. 2. 고려 시대 ~ 현재
삼한 시대에 현재의 다운동을 중심으로 굴아화촌(屈阿火村)이라는 촌락이 형성되었다. 신라 파사 이사금 대에 이 지역을 정복하여 현재의 굴화리 지역을 치소로 굴아화현(屈阿火縣)을 설치하였다. 757년에 굴아화현을 하곡현(河曲縣)으로 개칭하고 임관군의 영현이 되었다. 하곡현은 940년에 우풍현, 동진현과 통합하여 흥례부(興禮府)가 되고, 치소를 현재의 중구 지역에 두면서 이 지역은 중심지로서의 기능을 상실하였다. 흥례부는 공화현으로 격하되었다가 1018년에 울주로 승격하였는데, 이 지역은 '''범서'''(凡西)부곡이 되었다. 조선 시대에 부곡 제도가 폐지되고 범서면이 되었다.1914년 4월 1일 상부면 길촌동 일부와 경주군 외동면 반동 일부를 편입하고 12개리로 개편하였다. 이때 운곡동에 속해있던 난곡, 말정 2개마을이 부내면 태화리(지금의 중구 태화동)에 편입되었다.
개편 전 | 개편 후 |
---|---|
사량동(砂良洞), 신안동(新安洞), 내사동(內砂洞), 신리동(新里洞), 상부면 길촌동 일부 | 서사리(西砂里) |
관문동(官文洞), 성저동(城楮洞), 연동(燕洞), 척과동 일부 | 두산리(斗山里) |
척과동(尺果洞), 용연동(龍淵洞), 사량동 일부, 경주군 외동면 반동(盤洞) | 척과리(尺果里) |
구영동(九永洞), 점리동(店里洞) | 구영리(九英里) |
중리동(中里洞), 내사동 일부 | 중리(中里) |
망성동(望星洞), 욱곡동(旭谷洞) | 망성리(望星里) |
사일동(泗日洞), 곡연동(曲淵洞) | 사연리(泗淵里) |
입암동(立岩洞), 평천동 일부, 곡연동 일부 | 입암리(立岩里) |
천상동(川上洞), 평천동(平川洞), 대동(大同洞) | 천상리(川上里) |
굴화동(屈火洞), 장검동(長劍洞), 백천동(柏川洞), 괴정동(槐亭洞) | 굴화리(屈火里) |
다전동(茶田洞), 운곡동(雲谷洞), 신안동 일부 | 다운리(茶雲里) |
무거동(無去洞), 삼호동(三湖洞), 신복동(新卜洞) | 무거리(無去里) |
1952년 4월 25일 지방 선거가 시행되고 초대 범서면의원 13명이 선출되었다. 1961년 9월 1일 범서면의회가 해산되었다. 1962년 6월 1일 다운리, 무거리를 신설 울산시에 편입하고 울주군 범서면이 되었다. 1991년 1월 1일 울주군이 울산군으로 개칭하면서 울산군 범서면이 되었다. 1995년 1월 1일 울산시·울산군 통합으로 울산시 울주구 범서면이 되었다. 1997년 7월 15일 울산시가 울산광역시로 승격하면서 울산광역시 울주군 범서면이 되었다. 2001년 3월 1일 범서면이 '''범서읍'''으로 승격하였다. 2002년 8월 30일 : 남구 무거동의 굴화2택지개발사업지구 내 아파트 지역[4]을 굴화리로 편입하고 굴화리의 공공시설용지 지역[5]이 남구 무거동으로 편입됨.[6]
2. 3. 범서면의회 (1952~1961)
범서면의회는 1952년부터 1961년까지 존속한 대한민국의 지방의회이다.1952년 4월 25일 초대 면의원 선거가 실시되어 범서면의원 13명(대한독립촉성국민회8+대한청년단4+무소속1)이 선출되었다. 1956년 8월 8일 2대 면의원 선거에서는 범서면의원 11명(자유당11)이 선출되었다. 1960년 12월 12일 3대 면의원 선거에서는 범서면의원 11명이 선출되었다.
범서면의회는 1961년 9월 1일 군사 정권에 의해 강제 해산되었다.
3. 행정 구역
범서읍은 10개의 법정리, 67개의 행정리, 66개 통, 605개 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2016년 8월 기준 20,385세대, 65,030명이 범서읍에 거주하고 있으며, 이는 울산광역시의 읍·면·동 중 가장 많은 인구이다. 천상리, 굴화리, 구영리 3개리에 범서읍 인구의 약 96%가 거주하고 있다.[7] 읍소재지는 천상리이며, 구영리에 민원출장소가 설치되어 있다.
2023년 2월 기준 범서읍을 구성하는 10개의 법정리는 다음과 같다.[3]
4. 주요 시설
울산울주경찰서와 울주경찰서 범서치안센터, 범서119안전센터, 범서우체국이 범서읍에 위치해 있다. 경남은행 구영지점, 하나은행 구영지점, 우리은행, 국민은행, 서울주새마을금고, 범서농협, 농협중앙회 등 여러 금융기관도 소재한다. 범서지지온천워터피아도 주요 시설 중 하나이다.
5. 교육 기관
범서읍에는 범서고등학교, 울산상업고등학교, 천상고등학교가 있다.
5. 1. 유치원
- 구영유치원
- 범서초등학교 병설유치원
5. 2. 초등학교
5. 3. 중학교
5. 4. 고등학교
범서읍에는 범서고등학교, 울산상업고등학교, 천상고등학교가 있다.6. 교통
6. 1. 도로
울산고속도로와 동해고속도로가 범서읍에서 교차하며 울산 분기점이 있고, 굴화리에 울산고속도로 장검 나들목이 있고, 두산리에 동해고속도로 척과구룡 나들목이 있다. 국도 제24호선(울밀로)이 읍의 중심부를 동서로 관통하며 동북부에 국도 제14호선이 지난다. 그 외에 두동면과 연결되는 울주군도 제31호선 등이 있다.7. 아파트
굴화강변그린빌 주공3단지는 계룡건설산업㈜이 건설하였으며 울밀로 2879-7에 위치하고 2002년 12월에 입주하였다. 굴화강변그린빌 주공4단지는 대진종합건설㈜이 건설하였으며 울밀로 2879-8에 위치하고 2002년 12월에 입주하였다. 구영주공 1단지는 ㈜서한이 건설하였으며 범서읍 대리로 41에 위치하고 2007년 5월에 입주하였다. 구영주공 2단지는 진도종합건설㈜이 건설하였으며 범서읍 점촌3길 23에 위치하고 2007년 11월에 입주하였다. 구영푸르지오 1차는 대우건설이 건설하였으며 범서읍 대리2길 48 (1단지)와 범서읍 대리2길 46 (2단지)에 위치하고, 2006년 5월에 입주하였다. 구영푸르지오 2차는 대우건설이 건설하였으며 범서읍 구영로 101-7에 위치하고 2007년 12월에 입주하였다. 구영 호반베르디움은 호반건설이 건설하였으며 범서읍 대리로 15-10에 위치하고 2007년 12월에 입주하였다. 구영 제일풍경채는 ㈜제일건설이 건설하였으며 범서읍 구영로 75-24에 위치하고 2007년 9월에 입주하였다. 구영 동문굿모닝힐은 ㈜동문건설이 건설하였으며 범서읍 구영로 75-23에 위치하고 2007년 10월에 입주하였다. 구영 우미린 1차는 서령개발㈜이 건설하였으며 범서읍 구영로 75-7에 위치하고 2007년 10월에 입주하였다. 구영 우미린 2차는 우미건설이 건설하였으며 범서읍 대리로 15-15에 위치하고 2007년 10월에 입주하였다.
참조
[1]
웹사이트
Beomseo-eup topographic map, elevation, terrain
https://en-gb.topogr[...]
2024-02-27
[2]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4-02-27
[3]
웹사이트
범서읍 현황
https://www.ulju.uls[...]
2024-02-27
[4]
문서
무거동 265-4, 265-12, 265-15, 266-2, 266-3, 267-7, 267-8, 268-3, 270-1, 303-8, 1037-35, 1037-37번지
[5]
문서
굴화리 7-10, 7-11, 8-4, 681-2번지
[6]
간행물
대통령령 제17692호 울산광역시남구와울주군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http://gwanbo.mois.g[...]
2002-07-30
[7]
웹인용
법서읍 현황
https://www.ulju.uls[...]
2022-04-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