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베레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레나는 이집트 출신의 기독교 성녀로, 테반 지역 귀족 가문 출신이며 성 빅토르와 친척 관계였다. 테베 군단의 간호 임무를 수행하다가 아가우눔에서 순교한 동료들을 기리기 위해 스위스로 이동하여 은둔 생활을 하며, 특히 어린아이들의 병을 치유하는 기적을 행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녀는 간호사, 어린 소녀, 나병 환자, 가난한 이들의 수호성인으로 여겨지며, 344년경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베레나는 스위스에서 널리 공경받았으며, 현재까지도 콥트 정교회 등에서 기념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집트의 로마 가톨릭 성인 - 알렉산드리아의 카타리나
    알렉산드리아의 카타리나는 막센티우스 황제 치하에서 순교한 기독교 성녀로, 황제의 유혹을 거절하고 이교도 학자들과의 논쟁에서 승리했으나 순교했다는 전설이 있으며, 역사적 실존 여부는 논란이 있지만 중세 이후 널리 숭배받으며 학문과 순교의 상징으로 큰 영향을 미쳤다.
  • 이집트의 로마 가톨릭 성인 - 아폴로니아
    아폴로니아는 로마 황제 데키우스의 그리스도교 박해 시기에 순교한 성녀로, 그리스도를 부정하라는 강요에 굴하지 않고 스스로 불 속에 뛰어들어 순교한 알렉산드리아 치안판사의 딸이며, 치통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의 수호성인으로 공경받고 2월 9일이 축일이며 이빨을 뽑는 집게를 든 모습으로 묘사된다.
  • 콥트 정교회 성인 - 마리아 (예수의 어머니)
    마리아는 예수의 어머니로서 기독교와 이슬람교 등 여러 종교에서 중요하게 여겨지며, 기독교에서는 '하느님의 어머니' 등으로 공경받고 동정녀 잉태의 믿음이 있으며, 이슬람에서는 마르얌으로 불리며 존경받는 여성으로, 그녀의 생애는 성경과 외경, 전승, 예술 작품의 주요 모티프로 전해진다.
  • 콥트 정교회 성인 - 필로메나
    필로메나는 로마의 프리실라 묘지에서 발견된 초기 기독교 시대의 순교자로 추정되며, 그리스 왕의 딸로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의 청혼을 거절하고 참수형을 당했으며, 유해 이송 후 기적이 일어나 신심이 확산되었으나, 1961년 교황청에 의해 전례력에서 삭제되었다.
  • 3세기 기독교 순교자 - 교황 식스토 2세
    교황 식스토 2세는 257년부터 258년까지 로마 교황으로 재임했으며 발레리아누스 황제의 박해로 순교했고, 아프리카 및 동방 교회와의 관계 회복에 기여했으며, 저술 활동의 진위 여부는 논란이 있다.
  • 3세기 기독교 순교자 - 파리의 디오니시우스
    파리의 디오니시우스는 3세기경 갈리아 지방에서 파리의 초대 주교로 활동하며 이교도 개종에 힘썼으나 박해를 받아 몽마르트르에서 참수당한 기독교 성인으로, 전설에 따르면 참수 후 자신의 머리를 들고 설교하며 순교했다고 전해진다.
베레나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성녀 베레나
다른 이름베레나 추르차흐의 베레나
출생3세기
출생지이집트, 테베
사망344년경
사망지스위스, 바트 추르차흐
축일9월 1일 (동방 정교회 및 로마 가톨릭), 4 토트 (콥트 정교회)
숭배동방 정교회, 로마 가톨릭교회, 오리엔탈 정교회
작위동정녀
성인 정보
시복해당 사항 없음
시성공식 시성 이전
상징단지와 빵, 빗
수호동정녀, 병자와 나병 환자, 간호사, 어부, 가정부, 제분업자, 선원
주요 성지바트 추르자흐, 베레나 협곡 은둔소
억압 날짜해당 사항 없음
이미지
성녀 베레나의 현대적인 러시아 정교회 성화 (오른쪽)
성녀 베레나의 현대적인 러시아 정교회 성화 (오른쪽)

2. 생애

성녀 베레나는 이집트 테반 지역의 귀족 가문 출신으로, 성 빅토르와 친척 관계였다.[2] 테반 군단의 간호 임무로 라에티아에 파견되었으나, 아가우눔에서 부대장 성 마우리티우스와 동료들이 이방신에게 희생 제물 바치는 것을 거부하다 전멸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2] 기적적으로 살아남은 베레나는 졸로투른으로 이동하여 취리히의 동굴 암자에서 금식과 기도를 하며 은둔 생활을 했다.[2]

베레나는 특히 어린 아이들의 병을 치유하는 기적을 행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2] 이러한 행적 때문에 지역 영주에게 투옥되기도 했지만, 석방 후에도 나병 환자와 가난한 사람들을 돕는 기적을 계속 행했다.[2] 그녀는 주로 물 항아리를 든 모습으로 묘사되며, 간호사, 어린 소녀, 나병 환자, 가난한 이들의 수호성인으로 여겨진다.[2] 스위스의 대표적인 성녀로 추앙받고 있다.

베레나의 생애에 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888년경 하토 1세가 저술한 「Vita prior」에서 찾아볼 수 있다.[2] 하토의 기록에 따르면, 베레나는 이집트 테베에서 저명한 기독교 가문의 딸로 태어나 카이레몬 주교에게 교육을 받았다.[2] 카이레몬 주교는 250년에 순교한 것으로 알려져 베레나의 출생은 그 이전으로 추정된다.[2]

카이레몬 주교 사후, 베레나는 테베 군단과 함께 밀라노로 이동했다.[2] 밀라노에서 테베 군단의 순교 소식을 듣고 아가우눔으로 가서 순교한 군단 병사들을 매장했다는 기록이 있다.[2] 이후 솔로투른의 은둔처에서 금식, 기도, 기적을 행하며 여생을 보냈다.[2] 현지 총독에게 투옥되었을 때 성 모리스가 나타나 위로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지며, 석방 후에도 선행을 계속하다 좁은 동굴에서 생을 마감했다.[2] 그녀의 사망 연도는 344년으로 추정된다.[2]

2. 1. 이집트 출생과 테베 군단

베레나는 이집트 테베 지역의 귀족 가문에서 태어났으며, 성 빅토르와 친척 관계라고 전해진다.[2] 하토 1세의 기록에 따르면, 베레나는 테베에서 저명한 기독교 가문의 딸로 태어나 카이레몬 주교에게 교육을 받았다.[2] 카이레몬 주교는 250년에 순교한 것으로 알려져 있어, 베레나의 출생은 그 이전으로 추정된다.[2]

카이레몬 주교가 사망한 후, 베레나는 기독교도 그룹과 함께 이집트 하류로 여행을 떠났고, 그곳에서 테베 군단에 합류하여 밀라노로 이동했다.[2] 이후 테베 군단이 순교했다는 소식을 듣고 아가우눔(현재의 스위스 생모리스)으로 가서 순교한 군단 병사들을 매장했다고 전해진다.[2]

테베 군단은 라에티아에서 바고데족을 격퇴한 승전 축하연에서 이방신에게 희생 제물을 바치는 것을 거절하여 황제 막시미아누스에 의해 전멸당했다.[2] 베레나는 기적적으로 살아남아 아가우눔 순교자들의 유해를 공경하기 위해 졸로투른으로 갔다가 취리히의 동굴 암자에 정착하여 금식과 기도를 하며 지냈다.[2]

2. 2. 스위스로의 이동과 순교

성녀 베레나는 이집트 테반 지역의 귀족 가문 출신으로, 성 빅토르와 친척지간이라고 한다.[2] 테반 군단의 간호 임무를 받아 라에티아로 파견되었으나, 아가우눔에서 부대장 성 마우리티우스와 동료들이 이방신에게 희생 제물 바치는 것을 거부하다 전멸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2] 기적적으로 살아남은 베레나는 졸로투른으로 갔다가 취리히의 한 동굴 암자에 터를 잡고 금식과 기도를 하며, 특히 어린 아이들의 병을 치유하는 기적을 행했다.[2]

이러한 행적이 알려지면서 지역 영주에 의해 감옥에 갇히기도 했지만, 석방 후에도 나병환자와 가난한 자들에게 음식을 제공하고 약을 지어주는 등 선행을 계속했다.[2] 이러한 이유로 베레나는 간호사, 어린 소녀, 나병 환자나 가난한 이의 수호성인으로 여겨지며, 물 항아리를 들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되곤 한다.[2]

베레나의 생애에 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888년경 하토 1세가 저술한 「Vita prior」에서 찾아볼 수 있다.[2] 하토의 기록에 따르면, 베레나는 이집트 테베에서 저명한 기독교 가문의 딸로 태어나 카이레몬 주교에게 교육을 받았다.[2] 카이레몬 주교는 250년에 순교한 것으로 알려져 베레나의 출생은 그 이전임을 알 수 있다.[2]

카이레몬 주교 사후, 베레나는 기독교도 그룹과 함께 이집트 하류로 이동하여 테베 군단에 합류, 밀라노로 이동했다.[2] 밀라노에서 테베 군단의 순교 소식을 듣고 아가우눔으로 가서 순교한 군단 병사들을 매장했다는 기록이 있다.[2] 그 후 솔로투른의 은둔처에서 금식, 기도, 기적을 행하며, 젊은 처녀들의 추종자를 이끌었다.[2] 현지 총독에게 투옥되었을 때 성 모리스가 나타나 위로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지며, 석방 후에도 선행을 계속하다 좁은 동굴에서 생을 마감했다.[2] 그녀의 사망 연도는 344년으로 추정된다.[2]

2. 3. 은둔 생활과 기적

성녀 베레나는 이집트 테반 지역의 귀족 가문 출신으로, 성 빅토르와 친척 관계였다.[2] 테반 군단의 간호 임무로 라에티아에 파견되었으나, 아가우눔에서 부대장 성 마우리티우스와 동료들이 이방신에게 희생 제물 바치는 것을 거부하다 전멸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2] 기적적으로 살아남은 베레나는 졸로투른으로 이동하여 취리히의 동굴 암자에서 금식과 기도를 하며 은둔 생활을 했다.[2]

베레나는 특히 어린 아이들의 병을 치유하는 기적을 행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2] 이러한 행적 때문에 지역 영주에게 투옥되기도 했지만, 석방 후에도 나병 환자와 가난한 사람들을 돕는 기적을 계속 행했다.[2] 그녀는 주로 물 항아리를 든 모습으로 묘사되며, 간호사, 어린 소녀, 나병 환자, 가난한 이들의 수호성인으로 여겨진다.[2] 스위스의 대표적인 성녀로 추앙받고 있다.

베레나의 생애에 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888년경 하토 1세가 저술한 「Vita prior」에서 찾아볼 수 있다.[2] 하토의 기록에 따르면, 베레나는 이집트 테베에서 저명한 기독교 가문의 딸로 태어나 카이레몬 주교에게 교육을 받았다.[2] 카이레몬 주교는 250년에 순교한 것으로 알려져 베레나의 출생은 그 이전으로 추정된다.[2]

카이레몬 주교 사후, 베레나는 테베 군단과 함께 밀라노로 이동했다.[2] 밀라노에서 테베 군단의 순교 소식을 듣고 아가우눔으로 가서 순교한 군단 병사들을 매장했다는 기록이 있다.[2] 이후 솔로투른의 은둔처에서 금식, 기도, 기적을 행하며 여생을 보냈다.[2] 현지 총독에게 투옥되었을 때 성 모리스가 나타나 위로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지며, 석방 후에도 선행을 계속하다 좁은 동굴에서 생을 마감했다.[2] 그녀의 사망 연도는 344년으로 추정된다.[2]

3. 공경

wikitext

12세기 미니어처로, 츠비팔터 코르부흐에서 베레나가 항아리와 접시를 들고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thumb, 1525년경).[3]]]

솔로투른 근처의 수도원으로, 그녀가 거주했다고 알려진 곳이다.


thumb 교구 교회의 묘사. 천상의 영광 속에 다른 성인들과 함께 있는 베레나. 그녀는 그녀의 일반적인 속성인 항아리(발치에 놓여 있음)와 육체에 대한 승리를 상징하는 야자수 가지를 들고 묘사되어 있다.]]

그뢰디그 교구 교회의 후기 고딕 조각상, 항아리를 들고 있는 성 베레나


베레나의 공경은 12세기부터 널리 퍼졌고, 베레나는 중세 스위스에서 가장 존경받는 성인 중 한 명이었다.[5] 바트 츠르차흐에 있는 그녀의 매장지에는 10세기에 베네딕토회 수도원이 있었으며, 1265년 이전 어느 시점에 성 베레나를 수호 여성 성인으로 하는 대성당으로 대체되었다. 츠르차흐의 베레나 대성당은 로마 시대의 묘지에 있는 성 베레나의 무덤 위에 세워졌다.[4] 남부 독일에서는 1137년 살렘 수도원의 대성당 부지에 그녀를 위한 예배당이 있었고, 대성당에는 그녀를 위한 벽감이 포함되어 있다. 13세기 중반에 설립된 취리히의 베귀네 수녀원에는 성 베레나를 위한 예배당이 있었다.

베레나는 종종 한 손에는 빵이나 물 항아리를, 다른 한 손에는 빗을 들고 가난한 사람들과 나병 환자들을 돌보는 것을 상징하는 어머니로 묘사된다.[5] '베레나'라는 이름은 베레니케(즉, 베로니카)라는 이름과 관련이 있는것으로 보이며, 이 성인의 맥락을 제외하고는 기록되지 않았다. 베레나는 스위스에서 흔히 사용되는 여성 이름이 되었고, 애칭 형태인 "Vreni"는 거의 전형적인 스위스 여자아이 이름이 되었다(예: 축소형 "Vreneli").

'베레나' 또는 'Vreneli'라는 이름은 스위스 민속 및 신화의 수많은 여성 인물에게도 전해졌다. 그중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글레르니슈 산맥의 ''Vrenelisgärtli''("베레나의 정원") 빙하이다.[6] 솔로투른 북쪽의 베레나 협곡 수도원은 베레나의 은둔처로 알려진 곳으로, 12세기부터 존재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두 예배당 중 더 오래된 것은 12세기 기초를 가지고 있다). 거주하는 은둔자의 존재는 1442년에 기록되었다. 이곳에는 1613년에 만들어진 십자가의 길이 있다(1990년경 복원). 18세기에 이 협곡은 낭만주의 양식의 풍경 정원으로 개발되었는데, 특히 프랑스 외교관 루이 오귀스트 르 토넬리에 드 브레퇴이의 옹호 덕분이다. 1810년부터 1813년까지 이 협곡을 따라 난 오솔길은 부분적으로 로마 가톨릭 순례지이자 솔로투른 귀족을 위한 부분적으로 국민 낭만주의 성지로 더욱 발전되었다. 오랜 전통에 따라, 거주하는 은둔자는 솔로투른 시의 시민 공동체에서 제공한다.

취리히 호에 있는 슈테파 지방자치단체는 1526년부터 사용된 슈테파 집정관 문장에서 유래한 문장에 베레나를 표시한다.

1986년, 스위스의 성 베레나 교회 대표단이 성 베레나의 유물 일부를 이집트로 가져왔다. 성 베레나의 이름으로 봉헌된 최초의 콥트 교회 봉헌은 카이로에 있는 성 모리스와 성 베레나 교회이며, 1994년 2월 22일 교황 셰누다 3세에 의해 봉헌되었다. 2004년 10월, 미국의 로스앤젤레스 교구 대표단과 로스앤젤레스의 세라피온 대주교, 조셉 불레스 신부, 그리고 그레고리 비샤이 신부가 스위스로 여행하여 성 베레나의 유물 일부를 애너하임과 오렌지에 있는 그녀의 교회로 가져왔다. 애너하임 교회는 현재 요르바린다, 캘리포니아에 위치해 있으며,[7] 현재 그녀의 유물을 모신 사당과 오렌지 교회가 있다.[8]

3. 1. 중세 시대의 공경



thumb, 1525년경).[3]]]

thumb 교구 교회의 묘사. 천상의 영광 속에 다른 성인들과 함께 있는 베레나. 그녀는 그녀의 일반적인 속성인 항아리(발치에 놓여 있음)와 육체에 대한 승리를 상징하는 야자수 가지를 들고 묘사되어 있다.]]

베레나의 공경은 12세기부터 널리 퍼졌고, 베레나는 중세 스위스에서 가장 존경받는 성인 중 한 명이었다.[5] 바트 츠르차흐에 있는 그녀의 매장지에는 10세기에 베네딕토회 수도원이 있었으며, 1265년 이전 어느 시점에 성 베레나를 수호 여성 성인으로 하는 대성당으로 대체되었다. 츠르차흐의 베레나 대성당은 로마 시대의 묘지에 있는 성 베레나의 무덤 위에 세워졌다.[4] 남부 독일에서는 1137년 살렘 수도원의 대성당 부지에 그녀를 위한 예배당이 있었고, 대성당에는 그녀를 위한 벽감이 포함되어 있다. 13세기 중반에 설립된 취리히의 베귀네 수녀원에는 성 베레나를 위한 예배당이 있었다.

베레나는 종종 한 손에는 빵이나 물 항아리를, 다른 한 손에는 빗을 들고 가난한 사람들과 나병 환자들을 돌보는 것을 상징하는 어머니로 묘사된다.[5] '베레나'라는 이름은 베레니케(즉, 베로니카)라는 이름과 관련이 있는것으로 보이며, 이 성인의 맥락을 제외하고는 기록되지 않았다. 베레나는 스위스에서 흔히 사용되는 여성 이름이 되었고, 애칭 형태인 "Vreni"는 거의 전형적인 스위스 여자아이 이름이 되었다(예: 축소형 "Vreneli").

'베레나' 또는 'Vreneli'라는 이름은 스위스 민속 및 신화의 수많은 여성 인물에게도 전해졌다. 그중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글레르니슈 산맥의 ''Vrenelisgärtli''("베레나의 정원") 빙하이다.[6] 솔로투른 북쪽의 베레나 협곡 수도원은 베레나의 은둔처로 알려진 곳으로, 12세기부터 존재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두 예배당 중 더 오래된 것은 12세기 기초를 가지고 있다). 거주하는 은둔자의 존재는 1442년에 기록되었다. 이곳에는 1613년에 만들어진 십자가의 길이 있다(1990년경 복원). 18세기에 이 협곡은 낭만주의 양식의 풍경 정원으로 개발되었는데, 특히 프랑스 외교관 루이 오귀스트 르 토넬리에 드 브레퇴이의 옹호 덕분이다. 1810년부터 1813년까지 이 협곡을 따라 난 오솔길은 부분적으로 로마 가톨릭 순례지이자 솔로투른 귀족을 위한 부분적으로 국민 낭만주의 성지로 더욱 발전되었다. 오랜 전통에 따라, 거주하는 은둔자는 솔로투른 시의 시민 공동체에서 제공한다.

취리히 호에 있는 슈테파 지방자치단체는 1526년부터 사용된 슈테파 집정관 문장에서 유래한 문장에 베레나를 표시한다.

1986년, 스위스의 성 베레나 교회 대표단이 성 베레나의 유물 일부를 이집트로 가져왔다. 성 베레나의 이름으로 봉헌된 최초의 콥트 교회 봉헌은 카이로에 있는 성 모리스와 성 베레나 교회이며, 1994년 2월 22일 교황 셰누다 3세에 의해 봉헌되었다. 2004년 10월, 미국의 로스앤젤레스 교구 대표단과 로스앤젤레스의 세라피온 대주교, 조셉 불레스 신부, 그리고 그레고리 비샤이 신부가 스위스로 여행하여 성 베레나의 유물 일부를 애너하임과 오렌지에 있는 그녀의 교회로 가져왔다. 애너하임 교회는 현재 요르바린다, 캘리포니아에 위치해 있으며,[7] 현재 그녀의 유물을 모신 사당과 오렌지 교회가 있다.[8]

3. 2. 상징과 묘사

베레나는 종종 한 손에는 빵이나 물 항아리를, 다른 한 손에는 빗을 들고 가난한 사람들과 나병 환자들을 돌보는 것을 상징하는 어머니로 묘사된다.[5] '베레나'라는 이름은 이 성인의 맥락을 제외하고는 기록되지 않았으며, 베레니케(즉, 베로니카)라는 이름과 관련이 있다. 베레나는 스위스에서 흔히 사용되는 여성 이름이 되었고, 애칭 형태인 "Vreni"는 거의 전형적인 스위스 여자아이 이름이 되었다.[6]

thumb, 1525년경).[3]]]

|thumb|솔로투른 근처의 수도원으로, 그녀가 거주했다고 알려진 곳이다.]]

thumb 교구 교회의 묘사. 천상의 영광 속에 다른 성인들과 함께 있는 베레나. 그녀는 그녀의 일반적인 속성인 항아리(발치에 놓여 있음)와 육체에 대한 승리를 상징하는 야자수 가지를 들고 묘사되어 있다.]]

그녀의 공경은 12세기부터 널리 퍼졌고, 베레나는 중세 스위스에서 가장 존경받는 성인 중 한 명이었다.[5] 바트 츠르차흐에 있는 그녀의 매장지에는 10세기에 베네딕토회 수도원이 있었으며, 1265년 이전 어느 시점에 성 베레나를 수호 여성 성인으로 하는 대성당으로 대체되었다.[4] 남부 독일에서는 1137년 살렘 수도원의 대성당 부지에 그녀를 위한 예배당이 있었고, 대성당에는 그녀를 위한 벽감이 포함되어 있다. 13세기 중반에 설립된 취리히의 베귀네 수녀원에는 성 베레나를 위한 예배당이 있었다.

솔로투른 북쪽의 베레나 협곡 수도원은 베레나의 은둔처로 알려진 곳으로, 12세기부터 존재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거주하는 은둔자의 존재는 1442년에 기록되었으며, 1613년에 만들어진 십자가의 길이 있다. 18세기에 이 협곡은 낭만주의 양식의 풍경 정원으로 개발되었는데, 특히 프랑스 외교관 루이 오귀스트 르 토넬리에 드 브레퇴이의 옹호 덕분이었다. 1810년부터 1813년까지 이 협곡을 따라 난 오솔길은 부분적으로 로마 가톨릭 순례지이자 솔로투른 귀족을 위한 부분적으로 국민 낭만주의 성지로 더욱 발전되었다.

취리히 호에 있는 슈테파 지방자치단체는 1526년부터 사용된 슈테파 집정관 문장에서 유래한 문장에 베레나를 표시한다.

1986년, 스위스의 성 베레나 교회 대표단이 성 베레나의 유물 일부를 이집트로 가져왔다. 성 베레나의 이름으로 봉헌된 최초의 콥트 교회 봉헌은 카이로에 있는 성 모리스와 성 베레나 교회이며, 1994년 2월 22일 교황 셰누다 3세에 의해 봉헌되었다. 2004년 10월, 미국의 로스앤젤레스 교구 대표단은 스위스로 여행하여 성 베레나의 유물 일부를 요르바린다와 오렌지에 있는 그녀의 교회로 가져왔다.[7][8]

3. 3. 현대의 공경



thumb, 1525년경).[3]]]

thumb 교구 교회의 묘사. 천상의 영광 속에 다른 성인들과 함께 있는 베레나. 그녀는 그녀의 일반적인 속성인 항아리(발치에 놓여 있음)와 육체에 대한 승리를 상징하는 야자수 가지를 들고 묘사되어 있다.]]

베레나의 공경은 12세기부터 널리 퍼졌고, 베레나는 중세 스위스에서 가장 존경받는 성인 중 한 명이었다.[5] 바트 츠르차흐에 있는 성 베레나의 무덤에는 10세기에 베네딕토회 수도원이 있었으며, 1265년 이전 성 베레나를 수호 여성 성인으로 하는 대성당으로 대체되었다.[4] 남부 독일에서는 1137년 살렘 수도원의 대성당 부지에 그녀를 위한 예배당이 있었고, 대성당에는 그녀를 위한 벽감이 포함되어 있다. 13세기 중반에 설립된 취리히의 베귀네 수녀원에는 성 베레나를 위한 예배당이 있었다.

베레나는 종종 한 손에는 빵이나 물 항아리를, 다른 한 손에는 빗을 들고 가난한 사람들과 나병 환자들을 돌보는 것을 상징하는 어머니로 묘사된다.[5] '베레나'라는 이름은 베레니케(베로니카)라는 이름과 관련이 있으며, 이 성인의 맥락을 제외하고는 기록되지 않았다. 베레나는 스위스에서 흔히 사용되는 여성 이름이 되었고, 애칭 형태인 "Vreni"는 전형적인 스위스 여자아이 이름이 되었다(예: 축소형 "Vreneli"). '베레나' 또는 'Vreneli'라는 이름은 스위스 민속 및 신화의 수많은 여성 인물에게도 전해졌으며, 그중 글레르니슈 산맥의 ''Vrenelisgärtli''("베레나의 정원") 빙하가 주목할 만하다.[6]

솔로투른 북쪽의 베레나 협곡 수도원은 베레나의 은둔처로 알려진 곳으로, 12세기부터 존재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두 예배당 중 더 오래된 것은 12세기 기초를 가지고 있다). 거주하는 은둔자의 존재는 1442년에 기록되었다. 이곳에는 1613년에 만들어진 십자가의 길이 있다(1990년경 복원). 18세기에 이 협곡은 낭만주의 양식의 풍경 정원으로 개발되었는데, 특히 프랑스 외교관 루이 오귀스트 르 토넬리에 드 브레퇴이의 옹호 덕분이다. 1810년부터 1813년까지 이 협곡을 따라 난 오솔길은 부분적으로 로마 가톨릭 순례지이자 솔로투른 귀족을 위한 부분적으로 국민 낭만주의 성지로 더욱 발전되었다. 오랜 전통에 따라, 거주하는 은둔자는 솔로투른 시의 시민 공동체에서 제공한다.

취리히 호에 있는 슈테파 지방자치단체는 1526년부터 사용된 슈테파 집정관 문장에서 유래한 문장에 베레나를 표시한다.

1986년, 스위스의 성 베레나 교회 대표단이 성 베레나의 유물 일부를 이집트로 가져왔다. 성 베레나의 이름으로 봉헌된 최초의 콥트 교회 봉헌은 카이로에 있는 성 모리스와 성 베레나 교회이며, 1994년 2월 22일 교황 셰누다 3세에 의해 봉헌되었다. 2004년 10월, 로스앤젤레스 교구 대표단과 로스앤젤레스의 세라피온 대주교, 조셉 불레스 신부, 그리고 그레고리 비샤이 신부가 스위스로 여행하여 성 베레나의 유물 일부를 애너하임과 오렌지에 있는 그녀의 교회로 가져왔다. 애너하임 교회는 현재 요르바린다, 캘리포니아에 위치해 있으며,[7] 현재 그녀의 유물을 모신 사당과 오렌지 교회가 있다.[8]

3. 4. 콥트 정교회와의 관계

베레나의 공경은 12세기부터 널리 퍼졌으며, 중세 스위스에서 가장 존경받는 성인 중 한 명이었다.[5] 바트 츠르차흐에 있는 그녀의 매장지에는 10세기에 베네딕토회 수도원이 있었으며, 1265년 이전 어느 시점에 성 베레나를 수호 여성 성인으로 하는 대성당으로 대체되었다.[4] 남부 독일에서는 1137년 살렘 수도원의 대성당 부지에 그녀를 위한 예배당이 있었으며, 대성당에는 그녀를 위한 벽감이 포함되어 있다. 13세기 중반에 설립된 취리히의 베귀네 수녀원에는 성 베레나를 위한 예배당이 있었다.

베레나는 종종 한 손에는 빵이나 물 항아리를, 다른 한 손에는 빗을 들고 가난한 사람들과 나병 환자들을 돌보는 것을 상징하는 어머니로 묘사된다.[5]

1986년, 스위스의 성 베레나 교회 대표단이 성 베레나의 유물 일부를 이집트로 가져왔다. 성 베레나의 이름으로 봉헌된 최초의 콥트 교회 봉헌은 카이로에 있는 성 모리스와 성 베레나 교회이며, 1994년 2월 22일 교황 셰누다 3세에 의해 봉헌되었다.

2004년 10월, 미국의 로스앤젤레스 교구 대표단과 로스앤젤레스의 세라피온 대주교, 조셉 불레스 신부, 그리고 그레고리 비샤이 신부가 스위스로 여행하여 성 베레나의 유물 일부를 애너하임과 오렌지에 있는 그녀의 교회로 가져왔다. 애너하임 교회는 현재 요르바린다, 캘리포니아에 위치해 있으며,[7] 현재 그녀의 유물을 모신 사당과 오렌지 교회가 있다.[8]

4. 문화적 영향

샬럿 M. 용의 낭만 소설 《레드클리프의 상속자(1853)에서는 역경에 직면한 기독교적 인내의 모범으로 베레나를 언급하는 부분이 많다.

참조

[1] 웹사이트 Icon5 https://en.orthodoxe[...] 2024-11-25
[2] 서적 Das Leben der heiligen Jungfrau Verena 1878
[3] 간행물 inv. nr.1928-89 https://bawue.museum[...] Landesmuseum Württemberg, Stuttgart
[4] 웹사이트 Verena Minster https://www.myswitze[...]
[5] 웹사이트 Santa Verena di Zurzach http://www.santiebea[...] 2002-11-20
[6] 서적 Die heilige Verena von Zurzach: Legende, Kult, Denkmäler 1948
[7] 웹사이트 Saint Mary & Saint Verena Coptic Orthodox Church http://www.saintvere[...]
[8] 웹사이트 Saint Verena and the Three Holy Youth Coptic Orthodox Church http://www.thecoc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