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전쟁의 전투 서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목차
1. 개요
베트남 전쟁의 전투 서열은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주요 세력들의 군사 조직을 다룬다. 공산 진영에는 북베트남의 베트남 인민군과 남베트남 해방민족전선(베트콩)이 있었고, 자유 진영에는 남베트남군, 미국, 대한민국,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태국, 필리핀 등이 있었다. 각 세력은 육해공군 및 해병대, 특수 부대 등 다양한 병력을 투입하여 전쟁을 수행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트남 전쟁의 부대 및 편성 - 베트남 주둔 중화민국 군사고문단
베트남 주둔 중화민국 군사고문단은 1955년 중화민국이 남베트남군에 군사 자문 및 훈련을 제공하기 위해 파견한 비밀 군사 고문단으로, 남베트남군 전력 증강 지원 및 반공 선전 활동을 통해 냉전 시대 중화민국과 미국의 전략적 목표를 반영하며 남베트남을 지원했으나, 지역 갈등 심화에 기여했다는 평가도 받는다. - 전투 서열 - 1991년~1995년 크로아티아 특수경찰의 전투 서열
1991년부터 1995년까지 크로아티아 특수경찰은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중 정규군 부재로 인해 창설되어, 루츠코 대테러 부대를 시작으로 내무부 직속 부대와 지역별 부대로 나뉘어 주요 작전에 참여하고 많은 사상자를 냈다. - 전투 서열 - 2003년 이라크 침공의 전투 서열
2003년 이라크 침공의 전투 서열은 연합군 지상 작전을 지휘한 CFLCC와 침공에 참여한 미군, 영국군, 그리고 북부, 동부, 남부에 배치되어 저항한 이라크군의 주요 부대 편성을 포함한다.
베트남 전쟁의 전투 서열 |
---|
2. 베트남 전쟁의 주요 참전 세력
2. 1. 공산 진영
2. 1. 1. 베트남 민주 공화국 (북베트남)
베트남 전쟁을 주도한 것은 북베트남의 정규군인 베트남 인민군이었다. 주요 부대는 다음과 같다.- 제1군단
- 제2군단
- 제3군단
- 제4군단
- 제2사단
- 제3사단
- 제4사단
- 제9사단
- 제10사단
- 제304사단
- 제308사단
- 제312사단
- 제316사단
- 제320사단
- 제324사단
- 제325사단
- 제356사단
- 제559집단
- 제33연대
2. 1. 2. 남베트남 해방민족전선 (베트콩)
남베트남 해방민족전선은 남베트남 내에서 활동한 공산주의 게릴라 조직으로, 북베트남의 지원을 받았다.- 제5사단
- 제274연대
- 제275연대
- 제D440대대
- 제D445대대
- 제C23중대
- 제C25중대
- 제C41중대
2. 2. 자유 진영
베트남 공화국군은 미국의 전폭적인 군사적, 경제적 지원을 받으며 베트남 전쟁을 수행했다. 주요 부대는 다음과 같다.베트남 군사원조사령부(MACV)는 1962년부터 1973년까지 남베트남에 존재했던 미국의 통합 사령부였다. 미국은 베트남 전쟁에 가장 깊숙이 개입한 국가로서, 남베트남에 군사 고문단을 파견하고 대규모 전투 부대를 투입했다.[1]
- 인도차이나 군사원조고문단 (MAAG-Indochina); 1950년 ~ 1955년
- 주월 군사원조고문단 (MAAG-Vietnam); 1955년 ~ 1964년
- 베트남 군사원조사령부 (MACV) - 사이공; 1962년 ~ 1973년
; 육군
- 주월 미국 육군 (USARV) - 롱빈; 1965년 ~ 1972년
- 제1베트남야전부대 (I FFV) - 나뜨랑; 1966년 ~ 1971년
- 제2베트남야전부대 (II FFV) - 롱빈; 1966년 ~ 1971년
- 제24(XXIV)군단 - 푸바이; 1968년 ~ 1972년
- 베트남 군사원조사령부 연구관찰단 (MACV-SOG)
- ** 제5특전단 - 나뜨랑; 1957년 ~ 1971년
- ** 핫쳇 부대
- ** 기동타격대 (MIKE Force)
- 수도군사원조사령부 (CMAC) - 사이공; 1968년 ~ 1972년
- 중앙정보부 특수활동부
- 주월 미국 육군 - 롱빈
- * 제1군수사령부 - 롱빈; 1965년 ~ 1970년
- ** 캄란만 지원사령부 - 캄란만; 1966년 5월 16일 ~ 1972년 6월 29일
- ** 나뜨랑 지원사령부 - 나뜨랑; 1965년 11월 15일 ~ 1966년 7월 1일, 깜란만 지원사령부에 통합됨.
제54종합지원단 - 나뜨랑
- ** 다낭 지원사령부 - 다낭; 1968년 2월 25일 ~ 1972년 4월 15일
제26종합지원단 - 푸바이
제80종합지원단 - 다낭
- ** 붕따우 지원사령부 - 붕따우; 1965년 11월 15일 ~ 1966년 6월 1일, 사이공 지원사령부에 통합됨.; 1969년 4월 1일 ~ 1970년 2월 28일
제53종합지원단 - 붕따우
- ** 사이공 지원사령부 - 사이공; 1966년 4월 10일 ~ 1972년 6월 16일
제29종합지원단 - 롱빈
- ** 퀴논 지원사령부 - 퀴논; 1965년 11월 6일 ~ 1972년 4월 30일
제45종합지원단 - 쁠래이꾸
제593종합지원단 - 퀴논
- ** 제4수송사령부 - 사이공; 1965년 ~ 1972년
제127수송사령부 (터미널) - 캄란만
- ** 제5수송사령부 (터미널); 1966년 ~ 1972년
- ** 제15지원여단; 1966년 ~ 1967년
- * 제1통신여단 - 롱빈; 1966년 ~ 1972년
- ** 지역 교신단 (Reginoal Communications Group영어)
- ** 제2통신단 - 롱 빈; 1961년 6월 21일 ~ 1971년 10월 23일
- ** 제12통신단 - 다낭; 196?년 ~ 1972년
- ** 제21통신단 - 나뜨랑; 196?년 ~ 1972년
- ** 제29통신단 - 방콕 (주태 미국 육군 지원대); 196?년 ~ 1972년
- ** 제160통신단 - 롱 빈; 1967년 4월 20일 ~ 1972년 6월 3일
- * 제1항공여단 - 롱빈; 1966년 ~ 1973년
- ** 제12항공단
- ** 제13항공단
- ** 제15항공단
- ** 제16항공단
- ** 제17항공단
- ** 제164항공단
- ** 제165항공단
- * 제18헌병여단 - 롱빈; 1966년 ~ 1973년
- ** 제8헌병단 (범죄수사)
- ** 제16헌병단 - 제1, 2군단 전술구역
- ** 제89헌병단 - 제3, 4군단 전술지역
- * 제44의무여단 - 롱빈; 1966년 ~ 1970년, 주월 의무사령부로 개명.
- ** 제43의무단 - 제2군단 전술구역 지원
- ** 제55의무단 - 제2군단 전술구역 북부 지원
- ** 제67의무단 - 제24(XXIV)군단 지원
- ** 제68의무단 - 제2, 제3군단 전술구역 지원
- * 제34종합지원단 (항공) - 탄손냣; 1966년 1월 24일 ~ 1972년 11월 30일
- * 제525군사첩보단
- * 미국 육군 보안청 집단; 1961년 ~ 1973년
- * 주월 의무사령부; 1970년 ~ 1973년
- * 주월 공병사령부[1]; 1966년 ~ 1972년
- ** 제18공병여단: 나뜨랑 - 제1, 2군단 전술구역, 제1베트남야전부대 지원; 1965년 9월 ~ 1971년 9월 20일
제35공병단; 1965년 6월 ~ 1971년 11월
제45공병단; 1966년 6월 ~ 1972년 1월
제937공병단 (전투) - 퀴논; 1965년 8월 ~ 1971년 9월
제34공병단; 1967년 3월 ~ 1972년 3월
제79공병단; 1966년 7월 ~ 1970년 12월
제159공병단; 1865년 10월 ~ 1972년 5월
- 제1베트남야전부대 - 나뜨랑
- * 포병대, HHB
- ** 제41포병단
- ** 제52포병단
- 제2베트남야전부대 - 롱빈
- * 포병대, HHB
- ** 제23포병단
- ** 제54포병단
- 제24(XXIV)군단
- * TF 오리건/제23보병사단; 1967년 4월 20일 ~ 1971년 11월 30일
- ** 제11보병여단; 1967년 4월 20일 ~ 1971년 11월 30일
- ** 제196경보병여단; 1967년 9월 25일 ~ 1972년 6월
- ** 제198경보병여단; 1967년 ~ 1971년
- * 제108포병단; 1967년 10월 ~ 1971년 11월 22일
- 제1기병사단; 1965년 ~ 1972년
- * 제11항공단
- 제1보병사단
- 제4보병사단, 3여단; 1966년 ~ 1970년
- 제5보병사단, 1여단; 1968년 ~ 1971년 8월 22일
- 제9보병사단, 3여단; 1966년 ~ 1969년
- 제25보병사단, 3여단
- 제82공수사단, 3여단; 1968년 ~ 1969년
- 제101공수사단, 1여단; 1965년 ~ 1971년
- * 타이거 부대
- 제173공수여단; 1965년 ~ 1971년
- 제199경보병여단; 1966년 ~ 1970년
- 제11기갑기병연대; 1966년 ~ 1971년
; 해군
- 주월 미국 해군 (NAVFORV)
- 제7함대
- 제3해군건설여단 (3rd NCB)
- 주월 해군고문단 (Naval Advisory Group, Vietnam영어)
- 주월 군사해운근무청 (Military Sea Transportation Service Office, Vietnam영어)
- 주월 첩보연락청 (Naval Intelligence Liaison Offices영어)
- 사이공 해군지원활동처 (Naval Support Activity, Saigon (NSA Saigon)영어)
- 다낭 해군지원활동처 (Naval Support Activity, Saigon (NSA Danang)영어)
- 태스크포스 71 / 주월 순찰대 (Vietnam Patrol Force영어); 1965년 3월 24일 ~ 7월 30일, 해체
- 태스크포스 115 / 해안감시대 (Coastal Surveillance Force영어)
- 태스크포스 116 / 하천순찰대 (River Patrol Force영어)
- 태스크포스 117 / 강변강습대 (Riverine Assault Force영어)
- 태스크포스 클리어워터
- 기동강변부대
- 제3헬리콥터공격대대
- 주월 미국 해안경비대 활동처 (Commander Coast Guard Activities, Vietnam영어)
- * 제1해안경비전대 (Coast Guard Squadron One영어)
- * 제3해안경비전대 (Coast Guard Squadron Three영어)
; 공군
- 주월 미국 공군
- 전술공군사령부
- 군사항공보급사령부
- 제7/13공군
- * 제7공군 - 베트남 공화국, 딴손넛 공군기지
- ** 제8전술전투비행단
- ** 제483전술항공수송비행단
- ** 제504원정항공지원작전단
제21전술항공지원비행대대
제20특수작전비행대대
- ** 제600사진비행전대 - 딴손넛 공군기지; 1966년 ~ 1976년
- * 제13공군 - 필리핀, 클라크 공군기지
- ** 제14비행훈련단
- 제3전술전투비행단
- 제12전술전투비행단
- 제31전술전투비행단
- 제35전술전투비행단
- 제37전술전투비행단
- 제56특수작전비행단
- 제355전술전투비행단
- 제366전술비행단
- 제388전술전투비행단
- 제432전술정찰비행단
- 제553전술정찰비행단
- 제377항공기지단
- 제3항공우주구조및회수비행전대
- * 제37항공우주구조및회수비행대대 - 태국, 코랏트; 1966년 1월 ~ 1972년 11월
- * 제40항공우주구조및회수비행대대 - 태국; 1968년 ~ 1976년
- 제307폭격비행단 - 태국, 우타포 왕립해군 비행장; 1970년 1월 21일 ~ 1975년 9월 30일
; 해병대
- 제3(III)상륙원정군
- * 제1해병사단
- ** 제1해병연대
- ** 제5해병연대
- ** 제7해병연대
- ** 제11해병연대
- * 제3해병사단
- ** 제3해병연대
- ** 제4해병연대
- ** 제12해병연대
- ** 제3수색대대
- ** 전투강습대대
- * 제5해병사단
- * 제3해병원정여단
- * 제9해병원정여단
- * 키트 카슨 정찰대
- * 연합행동프로그램
주월한국군사령부는 미국의 요청에 따라 박정희 정부가 남베트남을 지원하기 위해 파병한 부대이다. 박정희 정부는 경제 발전을 위한 자원 확보와 한미동맹 강화라는 목표를 가지고 참전을 결정했다. 한국군의 참전은 베트남 전쟁의 전황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한국 경제 발전에도 기여했지만, 동시에 많은 인명 피해와 고엽제 피해 등 부정적인 결과도 초래했다.
수도사단 "맹호"
제9보병사단 "백마"
- 주월 오스트레일리아군 - 사이공
- * 주월 오스트레일리아 육군 (AAFV) - 사이공; 1965년 5월 ~ 1966년 5월
- * 베트남 육군 훈련단
- * 오스트레일리아 제1민사부대 (1 ACAU); 1967년 3월 ~ 1971년 11월
- 육군
- * 왕립연대
- * 제1임무대
- ** 제1군수지원단
제17건설전대
제104통신전대
- ** 제1야전전대
- ** 제21공병지원병대
- ** 제1기갑병력수송전대
- * 오스트레일리아 SAS연대, 예하 전대 순환배속
- 공군
- * 제2비행대대
- * 제9비행대대
- * 제35비행대대
뉴질랜드는 오스트레일리아와 함께 베트남 전쟁에 참전했다. 주요 부대는 다음과 같다.
- 뉴질랜드 왕립보병연대 W, V중대
- 뉴질랜드 왕립포병대, 161포대
- 뉴질랜드 SAS, 1개 병대
모두 오스트레일리아 제1임무대에 배속되었다.
태국은 동남아시아 지역의 공산주의 확산을 우려하여 베트남 전쟁에 참전했다.
필리핀은 미국의 동맹국으로서 베트남 전쟁에 민간 지원단을 파견했다.
- 필리핀 민간행동단/Philippine Civic Action Group (PHILCAG-V)영어; 1964년 ~ 1969년 12월 12일
2. 2. 1. 베트남 공화국 (남베트남)
베트남 공화국군은 미국의 전폭적인 군사적, 경제적 지원을 받으며 베트남 전쟁을 수행했다. 주요 부대는 다음과 같다.2. 2. 2. 미국
베트남 군사원조사령부(MACV)는 1962년부터 1973년까지 남베트남에 존재했던 미국의 통합 사령부였다. 베트남 전쟁에 가장 깊숙이 개입한 국가로서, 미국은 남베트남에 군사 고문단을 파견하고 대규모 전투 부대를 투입했다.[1]- 인도차이나 군사원조고문단 (MAAG-Indochina); 1950년 ~ 1955년
- 주월 군사원조고문단 (MAAG-Vietnam); 1955년 ~ 1964년
- 베트남 군사원조사령부 (MACV) - 사이공; 1962년 ~ 1973년
; 육군
- 주월 미국 육군 (USARV) - 롱빈; 1965년 ~ 1972년
- 제1베트남야전부대 (I FFV) - 나뜨랑; 1966년 ~ 1971년
- 제2베트남야전부대 (II FFV) - 롱빈; 1966년 ~ 1971년
- 제24(XXIV)군단 - 푸바이; 1968년 ~ 1972년
- 베트남 군사원조사령부 연구관찰단 (MACV-SOG)
- ** 제5특전단 - 나뜨랑; 1957년 ~ 1971년
- ** 핫쳇 부대
- ** 기동타격대 (MIKE Force)
- 수도군사원조사령부 (CMAC) - 사이공; 1968년 ~ 1972년
- 중앙정보부 특수활동부
- 주월 미국 육군 - 롱빈
- * 제1군수사령부 - 롱빈; 1965년 ~ 1970년
- ** 캄란만 지원사령부 - 캄란만; 1966년 5월 16일 ~ 1972년 6월 29일
- ** 나뜨랑 지원사령부 - 나뜨랑; 1965년 11월 15일 ~ 1966년 7월 1일, 깜란만 지원사령부에 통합됨.
제54종합지원단 - 나뜨랑
- ** 다낭 지원사령부 - 다낭; 1968년 2월 25일 ~ 1972년 4월 15일
제26종합지원단 - 푸바이
제80종합지원단 - 다낭
- ** 붕따우 지원사령부 - 붕따우; 1965년 11월 15일 ~ 1966년 6월 1일, 사이공 지원사령부에 통합됨.; 1969년 4월 1일 ~ 1970년 2월 28일
제53종합지원단 - 붕따우
- ** 사이공 지원사령부 - 사이공; 1966년 4월 10일 ~ 1972년 6월 16일
제29종합지원단 - 롱빈
- ** 퀴논 지원사령부 - 퀴논; 1965년 11월 6일 ~ 1972년 4월 30일
제45종합지원단 - 쁠래이꾸
제593종합지원단 - 퀴논
- ** 제4수송사령부 - 사이공; 1965년 ~ 1972년
제127수송사령부 (터미널) - 캄란만
- ** 제5수송사령부 (터미널); 1966년 ~ 1972년
- ** 제15지원여단; 1966년 ~ 1967년
- * 제1통신여단 - 롱빈; 1966년 ~ 1972년
- ** 지역 교신단 (Reginoal Communications Group영어)
- ** 제2통신단 - 롱 빈; 1961년 6월 21일 ~ 1971년 10월 23일
- ** 제12통신단 - 다낭; 196?년 ~ 1972년
- ** 제21통신단 - 나뜨랑; 196?년 ~ 1972년
- ** 제29통신단 - 방콕 (주태 미국 육군 지원대); 196?년 ~ 1972년
- ** 제160통신단 - 롱 빈; 1967년 4월 20일 ~ 1972년 6월 3일
- * 제1항공여단 - 롱빈; 1966년 ~ 1973년
- ** 제12항공단
- ** 제13항공단
- ** 제15항공단
- ** 제16항공단
- ** 제17항공단
- ** 제164항공단
- ** 제165항공단
- * 제18헌병여단 - 롱빈; 1966년 ~ 1973년
- ** 제8헌병단 (범죄수사)
- ** 제16헌병단 - 제1, 2군단 전술구역
- ** 제89헌병단 - 제3, 4군단 전술지역
- * 제44의무여단 - 롱빈; 1966년 ~ 1970년, 주월 의무사령부로 개명.
- ** 제43의무단 - 제2군단 전술구역 지원
- ** 제55의무단 - 제2군단 전술구역 북부 지원
- ** 제67의무단 - 제24(XXIV)군단 지원
- ** 제68의무단 - 제2, 제3군단 전술구역 지원
- * 제34종합지원단 (항공) - 탄손냣; 1966년 1월 24일 ~ 1972년 11월 30일
- * 제525군사첩보단
- * 미국 육군 보안청 집단; 1961년 ~ 1973년
- * 주월 의무사령부; 1970년 ~ 1973년
- * 주월 공병사령부[1]; 1966년 ~ 1972년
- ** 제18공병여단: 나뜨랑 - 제1, 2군단 전술구역, 제1베트남야전부대 지원; 1965년 9월 ~ 1971년 9월 20일
제35공병단; 1965년 6월 ~ 1971년 11월
제45공병단; 1966년 6월 ~ 1972년 1월
제937공병단 (전투) - 퀴논; 1965년 8월 ~ 1971년 9월
제34공병단; 1967년 3월 ~ 1972년 3월
제79공병단; 1966년 7월 ~ 1970년 12월
제159공병단; 1865년 10월 ~ 1972년 5월
- 제1베트남야전부대 - 나뜨랑
- * 포병대, HHB
- ** 제41포병단
- ** 제52포병단
- 제2베트남야전부대 - 롱빈
- * 포병대, HHB
- ** 제23포병단
- ** 제54포병단
- 제24(XXIV)군단
- * TF 오리건/제23보병사단; 1967년 4월 20일 ~ 1971년 11월 30일
- ** 제11보병여단; 1967년 4월 20일 ~ 1971년 11월 30일
- ** 제196경보병여단; 1967년 9월 25일 ~ 1972년 6월
- ** 제198경보병여단; 1967년 ~ 1971년
- * 제108포병단; 1967년 10월 ~ 1971년 11월 22일
- 제1기병사단; 1965년 ~ 1972년
- * 제11항공단
- 제1보병사단
- 제4보병사단, 3여단; 1966년 ~ 1970년
- 제5보병사단, 1여단; 1968년 ~ 1971년 8월 22일
- 제9보병사단, 3여단; 1966년 ~ 1969년
- 제25보병사단, 3여단
- 제82공수사단, 3여단; 1968년 ~ 1969년
- 제101공수사단, 1여단; 1965년 ~ 1971년
- * 타이거 부대
- 제173공수여단; 1965년 ~ 1971년
- 제199경보병여단; 1966년 ~ 1970년
- 제11기갑기병연대; 1966년 ~ 1971년
; 해군
- 주월 미국 해군 (NAVFORV)
- 제7함대
- 제3해군건설여단 (3rd NCB)
- 주월 해군고문단 (Naval Advisory Group, Vietnam영어)
- 주월 군사해운근무청 (Military Sea Transportation Service Office, Vietnam영어)
- 주월 첩보연락청 (Naval Intelligence Liaison Offices영어)
- 사이공 해군지원활동처 (Naval Support Activity, Saigon (NSA Saigon)영어)
- 다낭 해군지원활동처 (Naval Support Activity, Saigon (NSA Danang)영어)
- 태스크포스 71 / 주월 순찰대 (Vietnam Patrol Force영어); 1965년 3월 24일 ~ 7월 30일, 해체
- 태스크포스 115 / 해안감시대 (Coastal Surveillance Force영어)
- 태스크포스 116 / 하천순찰대 (River Patrol Force영어)
- 태스크포스 117 / 강변강습대 (Riverine Assault Force영어)
- 태스크포스 클리어워터
- 기동강변부대
- 제3헬리콥터공격대대
- 주월 미국 해안경비대 활동처 (Commander Coast Guard Activities, Vietnam영어)
- * 제1해안경비전대 (Coast Guard Squadron One영어)
- * 제3해안경비전대 (Coast Guard Squadron Three영어)
; 공군
- 주월 미국 공군
- 전술공군사령부
- 군사항공보급사령부
- 제7/13공군
- * 제7공군 - 베트남 공화국, 딴손넛 공군기지
- ** 제8전술전투비행단
- ** 제483전술항공수송비행단
- ** 제504원정항공지원작전단
제21전술항공지원비행대대
제20특수작전비행대대
- ** 제600사진비행전대 - 딴손넛 공군기지; 1966년 ~ 1976년
- * 제13공군 - 필리핀, 클라크 공군기지
- ** 제14비행훈련단
- 제3전술전투비행단
- 제12전술전투비행단
- 제31전술전투비행단
- 제35전술전투비행단
- 제37전술전투비행단
- 제56특수작전비행단
- 제355전술전투비행단
- 제366전술비행단
- 제388전술전투비행단
- 제432전술정찰비행단
- 제553전술정찰비행단
- 제377항공기지단
- 제3항공우주구조및회수비행전대
- * 제37항공우주구조및회수비행대대 - 태국, 코랏트; 1966년 1월 ~ 1972년 11월
- * 제40항공우주구조및회수비행대대 - 태국; 1968년 ~ 1976년
- 제307폭격비행단 - 태국, 우타포 왕립해군 비행장; 1970년 1월 21일 ~ 1975년 9월 30일
; 해병대
- 제3(III)상륙원정군
- * 제1해병사단
- ** 제1해병연대
- ** 제5해병연대
- ** 제7해병연대
- ** 제11해병연대
- * 제3해병사단
- ** 제3해병연대
- ** 제4해병연대
- ** 제12해병연대
- ** 제3수색대대
- ** 전투강습대대
- * 제5해병사단
- * 제3해병원정여단
- * 제9해병원정여단
- * 키트 카슨 정찰대
- * 연합행동프로그램
2. 2. 3. 대한민국
주월한국군사령부는 미국의 요청에 따라 박정희 정부가 남베트남을 지원하기 위해 파병한 부대이다. 박정희 정부는 경제 발전을 위한 자원 확보와 한미동맹 강화라는 목표를 가지고 참전을 결정했다. 한국군의 참전은 베트남 전쟁의 전황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한국 경제 발전에도 기여했지만, 동시에 많은 인명 피해와 고엽제 피해 등 부정적인 결과도 초래했다.수도사단 "맹호"
제9보병사단 "백마"
2. 2. 4. 오스트레일리아
- 주월 오스트레일리아군 - 사이공
- * 주월 오스트레일리아 육군 (AAFV) - 사이공; 1965년 5월 ~ 1966년 5월
- * 베트남 육군 훈련단
- * 오스트레일리아 제1민사부대 (1 ACAU); 1967년 3월 ~ 1971년 11월
- 육군
- * 왕립연대
- * 제1임무대
- ** 제1군수지원단
제17건설전대
제104통신전대
- ** 제1야전전대
- ** 제21공병지원병대
- ** 제1기갑병력수송전대
- * 오스트레일리아 SAS연대, 예하 전대 순환배속
- 공군
- * 제2비행대대
- * 제9비행대대
- * 제35비행대대
2. 2. 5. 뉴질랜드
뉴질랜드는 오스트레일리아와 함께 베트남 전쟁에 참전했다. 주요 부대는 다음과 같다.- 뉴질랜드 왕립보병연대 W, V중대
- 뉴질랜드 왕립포병대, 161포대
- 뉴질랜드 SAS, 1개 병대
모두 오스트레일리아 제1임무대에 배속되었다.
2. 2. 6. 태국
태국은 동남아시아 지역의 공산주의 확산을 우려하여 베트남 전쟁에 참전했다.2. 2. 7. 필리핀
필리핀은 미국의 동맹국으로서 베트남 전쟁에 민간 지원단을 파견했다.- 필리핀 민간행동단/Philippine Civic Action Group (PHILCAG-V)영어; 1964년 ~ 1969년 12월 12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