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려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변려문은 유종원의 '걸교문' 구절에서 유래한 중국 문체의 한 형태로, 대구를 사용하여 문장을 구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4자 또는 6자 구절을 주로 사용하며, 평측을 안배하여 운율을 맞춘다. 후한 말기에 시작되어 당나라 중기까지 유행했으며, 등왕각서가 대표적인 작품으로 꼽힌다. 당나라 중기의 고문 운동으로 쇠퇴했지만, 청나라 시대에 부흥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변려문 | |
---|---|
개요 | |
유형 | 고전 산문의 한 종류 |
특징 | 대구와 전고를 사용하여 화려하게 꾸밈 |
형식 | 사륙병려체 |
발전 시기 | 남북조 시대에 크게 발전 |
쇠퇴 시기 | 당나라 이후 |
역사 | |
기원 | 선진 시대의 산문 한나라의 사부(辭賦) |
남북조 시대 | 귀족 사회의 사치스러운 문풍을 반영하여 크게 유행 |
당나라 | 초당: 병려문이 여전히 중시됨 중당: 고문 운동의 영향으로 쇠퇴 |
송나라 | 간혹 과거 시험에서 사용됨 |
원나라, 명나라, 청나라 | 명맥을 유지하며 일부에서 창작 활동이 이어짐 |
특징 | |
형식미 | 대우(對偶): 구절의 짝을 맞춤 용운(用韻): 각운을 사용 사륙병려(四六騈儷): 네 글자와 여섯 글자로 이루어진 구절을 나란히 배열 |
내용 | 전고(典故): 고전의 내용이나 고사를 인용 사사로운 감정이나 생각을 담기보다는 객관적인 묘사에 치중 |
영향 | |
문학 | 후대 문학에 형식미와 수사법에 큰 영향을 줌 |
과거 제도 | 과거 시험의 문체로 사용되어 관리 선발에 영향 |
2. 명칭
변려문이라는 명칭은 당나라 송나라 시대의 문학가인 유종원(柳宗元)의 '걸교문(乞巧文)' 중 "변사려륙금심수구"라는 구절에서 유래한다.[1] '변(駢)'은 한 쌍의 말이 마차를 끄는 것을, '여(儷)'는 부부를 뜻한다.[1] 설문해자에 따르면, '변(駢)'은 원래 두 마리의 말이 나란히 달리는 마차를 가리킨다.[1] 이는 변려문의 대구가 서로 정렬되고 병행하는 방식과 유사하다.
변려문은 개념 및 문법적인 기능이 서로 대응하는 두 개의 구(句)로써 대구를 이루는 문장이다. 전편(全篇)이 4자구(四字句)를 주로 하고, 6자구(六字句)가 이에 따르도록 구성하기에 '사륙문'이라고도 불린다. 구말(句末) 및 구중(句中)에서 일정한 규칙에 따라 평측(平仄)을 안배(按排)하고 문장의 운율을 알맞게 다듬는다.[1] 고전(古典) 문장을 잘라서 쓰는, 이른바 단어를 교묘하게 활용하여 문장에 세련미를 갖게 한다.[1]
'변(駢)'은 두 마리의 말이 나란히 있는 것을 나타내며, 대구를 기본으로 하는 문체임을 의미한다.[1] '려(儷)' 또는 '려(麗)' 또한 부부가 '나란히 하다'라는 의미를 지닌다.[1] 4자구와 6자구를 주로 사용하기 때문에 '사륙문(四六文)'이라고도 불린다.[1] '사륙(四六)'이라는 말은 당나라 말기부터 사용되기 시작하여, 송나라에서 명나라에 걸쳐 사용되었다.[1] '변문(駢文)'이라는 이름은 청나라 시대에 사용되기 시작했다.[1] 이들을 합쳐 '사륙변려문(四六駢儷文)' 또는 '사륙변려체(四六駢儷體)'라고 부르기도 하고, '병사려륙(駢四儷六)'이라고도 한다.[1]
3. 특징
드문 단어와 문학적, 역사적 사건에 대한 암시의 사용도 변려문의 특징이다. 예를 들어 왕발의 등왕각서에는 다음과 같은 대구와 평측의 구조, 고사가 사용되었다.
"변(駢)"은 두 마리의 말이 나란히 있는 것을 나타내며, 대구를 기본으로 하는 문체임을 의미한다. "변려문(駢儷文)" 또는 "변려체(駢儷體)"라고도 하는데, "려(儷)" 또는 "려(麗)" 또한 부부가 "나란히 하다"라는 의미를 지닌다. 1구의 글자 수가 4자 구 또는 6자 구를 기조로 하기 때문에 "사륙문(四六文)"이라고도 불린다.[1] "사륙(四六)"이라는 말은 당나라 말기부터 사용되기 시작하여, 송나라에서 명나라에 걸쳐 사용되었다.[1] "변문(駢文)"이라는 이름은 청나라 시대에 사용되기 시작했다.[1] 이들을 합쳐 "사륙변려문(四六駢儷文)" 또는 "사륙변려체(四六駢儷體)"라고 부르기도 한다. 또한 "병사려륙(駢四儷六)"이라고도 한다.[1]
3. 1. 대구(對句)의 제약
중국 대련 형식은 영어보다 더 엄격하게 제한되는데, 다음과 같은 제약이 있다.
豫章故郡 (예장고군) | 옛 예장군(豫章故郡) 이었고, |
洪都新府 (홍도신부) | 지금은 홍도부(洪都新府) 이다. |
星分翼軫 (성분익진) | 별자리로는 익성(翼星)과 진성(軫星)이 나뉘고, |
地接衡廬 (지접형려) | 땅으로는 형산(衡山)과 여산(廬山)에 접해 있네... |
- '''성조''': 변려문이 널리 퍼지던 시기에 중국어 성조가 특징이 되면서, 대련에도 성조를 제한하는 규칙이 생겨났고, 당나라 시대에 이르러 더욱 복잡해졌다.
4. 역사
변려문은 후한(後漢) 말기에 나타나 위(魏) · 진(晋) · 남북조를 거쳐 당나라 중기까지 유행했다. 한나라 때 처음 등장했으며, 위–진 시대와 남북조 시대에 널리 퍼졌다. 남조 시대에는 궁정 문서를 변려문 형식으로 작성하도록 의무화하기도 했다.[3]
당나라 중기에 한유(韓愈)와 유종원 등은 고문 운동을 일으켜 변려문 형식에 맞서, 더 자유롭고 직접적인 산문으로 돌아갈 것을 주장했다. 이 운동은 송나라 중기에 구양수, 증공, 소식과 같은 작가들에 의해 다시 살아났고, 결국 변려문은 문학 형식으로서 쇠퇴하게 되었다.[3]
청나라 시대에 변려문은 다시 부흥기를 맞았으나, 구어체가 고전 중국어를 대체하면서 더는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4. 1. 주요 작품
왕발의 "등왕각서(滕王閣序)"에서는 다음과 같은 대구와 평측의 구조를 보이고 있다.[1]원문 | 해석 | 구조 |
---|---|---|
풍당(馮唐)은 늙기 쉽고 | 풍당은 늙기 쉽고 | 평평측측 명사(인명)+부사+동사 |
이광(李廣)은 봉해지기 어렵고 | 이광은 봉해지기 어렵고 | 측측평평 명사(인명)+부사+동사 |
굴원(屈原)을 장사(長沙)로 귀양 보내니 | 굴원을 장사로 귀양 보내니 | 측측측-평평평 동사+명사(인명)+전치사+명사(지명) |
성주(聖主)가 없는 것은 아니며 | 성주가 없는 것은 아니며 | 평평측측 부정부사+형용사(수량)+명사 |
양홍(梁鴻)을 해곡(海曲)으로 숨기니 | 양홍을 해곡으로 숨기니 | 측평평-평측측 동사+명사(인명)+전치사+명사(지명) |
어찌 밝은 때가 부족하리오 | 어찌 밝은 때가 부족하리오 | 측측평평 부정부사+형용사(수량)+명사 |
5. 비판
당송팔대가는 변려문 형식이 아닌 고문체에 능숙했다. 구어체의 특성상, 변려문에서 요구하는 엄격하게 대칭적인 대구를 쓰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3]
참조
[1]
웹사이트
"駢"字的解釋 {{!}} 漢典
https://www.zdic.net[...]
2020-11-11
[2]
웹사이트
http://www.zgpww.cn/[...]
[3]
웹사이트
http://www.zgpww.c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