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수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변수용은 대한민국의 교육사회학자이다. 김천중앙초등학교, 석천중학교, 김천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에서 교육학 학사, 교육사회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미네소타 주립대학교에서 교육정책행정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미시건 주립대학교, 노스캐롤라이나 주립대학교,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 등에서 연구원 및 교수로 재직했으며, 재미한인교육자협회 회장, 서울대학교 및 이화여자대학교 객원교수를 역임했다. 교육 불평등, 사교육, 학교 선택 등을 주제로 연구하며,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의 Associate Editor를 역임하고,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 교육정책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김천석천중학교 동문 - 송언석
송언석은 서울대학교 법학과 졸업 후 행정고시 합격, 기획재정부 제2차관을 역임하고 자유한국당에 입당하여 경북 김천시에서 제20대, 21대, 22대 국회의원을 지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김천석천중학교 동문 - 최민호 (유도 선수)
최민호는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와 올림픽에서 메달을 획득하며 한국 유도 간판 선수로 활약한 대한민국의 유도 선수이다. - 김천중앙초등학교 동문 - 송언석
송언석은 서울대학교 법학과 졸업 후 행정고시 합격, 기획재정부 제2차관을 역임하고 자유한국당에 입당하여 경북 김천시에서 제20대, 21대, 22대 국회의원을 지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김천중앙초등학교 동문 - 노행하
노행하는 2008년 영화 《고사: 피의 중간고사》로 데뷔하여 영화, 드라마, 뮤직비디오 등 다양한 작품에 출연한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김천고등학교 동문 - 정해창
정해창은 서울대학교 법학과 수석 졸업 후 검사로 임용되어 법무부 장관을 두 차례 역임한 법조인 및 정치인으로, 변호사 활동과 사회 활동을 통해 법조계에 기여했으며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하기도 했다. - 김천고등학교 동문 - 이목희
이목희는 서울대학교 출신의 정치인으로, 국제경제연구원 연구원, 한국노동연구소 소장 등을 역임하고 제17대와 제19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 변수용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이름 | 변수용 (Byun, Soo-yong) |
| 출생지 | 경상북도 김천시 |
| 출생일 | 1976년 12월 3일 |
| 거주지 | 펜실베니아주 |
| 직업 | 펜실베니아 주립대 교육정책학과 교수 |
| 언어 | 한국어, 영어 |
| 설명 | 변수용 펜실베니아 주립대 교수 |
| 웹사이트 | 변수용 개인 웹사이트 |
| 학력 | |
| 학력 | 미네소타 주립대 대학교 문학 박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교육사회학 석사 고려대학교 교육학 학사 |
| 연구 분야 | |
| 연구 분야 | 비교국제교육 교육사회학 교육정책분석 |
2. 학력
- 1983년 3월 ~ 1989년 2월 김천중앙초등학교
- 1989년 3월 ~ 1992년 2월 석천중학교
- 1992년 3월 ~ 1995년 2월 김천고등학교
- 1995년 3월 ~ 2001년 2월 고려대학교 교육학과 (영어교육 부전공)
- 2001년 3월 ~ 2003년 8월 고려대학교 대학원 교육사회학 전공, 문학석사 (학위논문명 : 학부모의 고교 평준화제도 선호 성향 결정요인)
- 2003년 8월 ~ 2007년 8월 미네소타 주립대학교 교육정책행정학과 (Educational Policy and Administration), 비교국제개발교육 전공 박사과정 졸업, 문학박사 (학위논문명 : Cultural Capital and Academic Success: The Case of South Korea)
2. 1. 초·중·고등학교
변수용은 1983년 3월부터 1989년 2월까지 김천중앙초등학교를 졸업했다. 1989년 3월부터 1992년 2월까지 석천중학교를 졸업했다. 1992년 3월부터 1995년 2월까지 김천고등학교를 졸업했다.2. 2. 대학교, 대학원
변수용은 1995년 3월부터 2001년 2월까지 고려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영어교육을 부전공하였다. 2001년 3월부터 2003년 8월까지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교육사회학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으며, 학위논문명은 "학부모의 고교 평준화제도 선호 성향 결정요인"이다. 2003년 8월부터 2007년 8월까지 미네소타 주립대학교 교육정책행정학과에서 비교국제개발교육 전공으로 박사 과정을 졸업하고, "Cultural Capital and Academic Success: The Case of South Korea"라는 논문으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3. 경력
변수용은 2007년 6월부터 2008년 8월까지 미시건 주립대학교 International Study Center에서 Research Associate 및 Survey/Psychometric Specialist로 근무했다. 2008년 8월부터 2011년 8월까지는 노스캐롤라이나 주립대학교 National Research Center on Rural Education Support에서 박사후 연구원(Postdoctoral Scholar)으로 재직했다. 2011년 9월부터 2012년 6월까지 펜실베니아 주립대학교 Social Dynamics and Special Populations Research Program의 Assistant Director를 역임했다.
2012년 7월부터 2015년 6월까지 펜실베니아 주립대학교 교육정책학과 교육이론 및 정책 프로그램(Educational Theory and Policy Program) 조교수로 재직했으며, 2015년 7월부터 2022년 6월까지는 같은 학과의 부교수(종신교수)로 승진했다. 2019년 9월부터 2024년 6월까지는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의 Associate Editor를 역임했다. 2020년 8월부터 2024년 11월까지 펜실베니아 주립대학교 국제비교교육 프로그램(Comparative and International Education Program)의 Professor-In-Charge를 맡았다. 2022년 7월부터 현재까지 펜실베니아 주립대학교 교육정책학과 교육이론 및 정책 프로그램 교수로 재직 중이며, 2024년 12월부터는 펜실베니아 주립대학교 교육이론정책 프로그램(Educational Theory and Policy Program)의 Professor-In-Charge를 맡고 있다.
변수용은 2017년 4월부터 2018년 4월까지 재미한인교육자협회 (Korean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ers Association) 회장을 역임했다. 2018년 9월부터 2019년 6월까지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방문교수를 지냈다. 2022년 9월부터 2024년 8월까지 이화여자대학교 교육학과 객원교수로 재직했다.
3. 1. 해외 경력
변수용은 2007년 6월부터 2008년 8월까지 미시건 주립대학교 International Study Center에서 Research Associate 및 Survey/Psychometric Specialist로 근무했다. 2008년 8월부터 2011년 8월까지는 노스캐롤라이나 주립대학교 National Research Center on Rural Education Support에서 박사후 연구원(Postdoctoral Scholar)으로 재직했다. 2011년 9월부터 2012년 6월까지 펜실베니아 주립대학교 Social Dynamics and Special Populations Research Program의 Assistant Director를 역임했다.2012년 7월부터 2015년 6월까지 펜실베니아 주립대학교 교육정책학과 교육이론 및 정책 프로그램(Educational Theory and Policy Program) 조교수로 재직했으며, 2015년 7월부터 2022년 6월까지는 같은 학과의 부교수(종신교수)로 승진했다. 2019년 9월부터 2024년 6월까지는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의 Associate Editor를 역임했다. 2020년 8월부터 2024년 11월까지 펜실베니아 주립대학교 국제비교교육 프로그램(Comparative and International Education Program)의 Professor-In-Charge를 맡았다. 2022년 7월부터 현재까지 펜실베니아 주립대학교 교육정책학과 교육이론 및 정책 프로그램 교수로 재직 중이며, 2024년 12월부터는 펜실베니아 주립대학교 교육이론정책 프로그램(Educational Theory and Policy Program)의 Professor-In-Charge를 맡고 있다.
3. 2. 국내 경력
변수용은 2017년 4월부터 2018년 4월까지 재미한인교육자협회 (Korean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ers Association) 회장을 역임했다. 2018년 9월부터 2019년 6월까지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방문교수를 지냈다. 2022년 9월부터 2024년 8월까지 이화여자대학교 교육학과 객원교수로 재직했다.4. 수상
변수용은 2021년 펜실베이니아 주립 대학교 교육대학에서 뛰어난 선임 연구자 상(Outstanding Senior Researcher Award)을 수상했다. 또한 2017년에는 미네소타 대학교 교육 및 인간 개발 대학에서 라이징 동문(Rising Alumni)으로 선정되었다.
5. 연구 업적
5. 1. 저서
- 김윤태·공주·권혁용·김영미·김창환·변수용·신광영·윤태호·윤홍식·이강국·장지연·전병유·정세은·정준호·한서빈·홍민기(2022).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61838311 한국의 불평등 : 현황, 이론, 대안]. 한울아카데미.
- 김윤태·김창환·변수용·정세은(2022). [https://digital.kyobobook.co.kr/digital/ebook/ebookDetail.ink?barcode=480D220422720 한국 사회의 불평등을 넘어: 사회정의를 찾아서]. 끌레마.
- 변수용·이성균(2021). [http://www.kyobobook.co.kr/product/detailViewKor.laf?ejkGb=KOR&mallGb=KOR&barcode=9791165191214&orderClick=LEa&Kc=&fbclid=IwAR1zIf_Q9HTQ2rU4s3mYvCivTPVNI3bBhOSMN_PZu1aEsyjRMWGbvTe6nAA#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자녀의 교육결과: 한국에서 교육불평등은 심화되었는가?]. 서울: 박영스토리.
- 김창환·변수용(2021). [http://www.kyobobook.co.kr/product/detailViewKor.laf?ejkGb=KOR&mallGb=KOR&barcode=9791165191207&orderClick=LEa&Kc= 교육 프리미엄: 한국에서 대학교육의 노동시장 가치는 하락했는가?]. 서울: 박영스토리.
- 변, S., 배, Y, & 정 H./Byun, S., Bai, Y, & Chung H.영어 (2020). 한국에서 교육적 동질혼이 자녀의 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Consequences of educational assortative marriage for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in South Korea영어. In H. Park & H. Woo (Eds.), ''Korean families yesterday and today'' (pp. 95-118). Ann Arbor, MI: University of Michigan Press.영어
- 변, S., & 박, H./Byun, S., & Park, H.영어 (2017). 어린 학생이 교사가 되고 싶어할 때: 15세 학생들의 교사 희망에 대한 국가 간 차이/When a young student wants to be a teacher: Cross-national differences in 15-year-old students’ expectations of becoming a teacher영어. In M. Akiba & G. LeTendre (Eds.), ''Routledge international handbook of teacher quality and policy'' (pp. 321-335). New York, NY: Routledge.영어
- 변, S./Byun, S.영어 (2014). 한국의 사교육과 학업 성공/Shadow education and academic success in Republic of Korea영어. In H. Park & K. Kim (Eds.), ''Korean education in changing economic and demographic contexts'' (pp. 39-58). Singapore: Springer.영어 doi:10.1007/978-981-4451-27-7_3
5. 2. 번역서
장덕호, 김혜림, 변수용, 전하람, 최승복. (2018). http://www.pybook.co.kr/mall/book/pysstory?goodsno=2820&ssort=&ppt=&page=&query=%EA%B5%90%EC%9C%A1%EC%9D%80%EC%96%B4%EB%96%BB%EA%B2%8C%EC%82%AC%ED%9A%8C%EB%A5%BC%EC%A7%80%EB%B0%B0%ED%95%98%EB%8A%94%EA%B0%80 교육은 어떻게 사회를 지배하는가. 서울: 박영스토리.5. 3. 논문
## 영문 논문- Byun, S., Jung, J., & Shin, T. (2023). Does shadow education discourage or encourage creative thinking? Evidence from South Korea. ''Journal for the Study of Education and Development'', ''46''(4), 774-808. doi:10.1080/02103702.2023.2230042
- Akiba, M., Byun, S., Xiaonan, Kim, K., & Moran, A. (2023). Do teachers feel valued in society? Occupational value of the teaching profession in OECD countries. ''AERA Open'', ''9'', 1-21. doi: 10.1177/23328584231179184
- Byun, S., Chung, H., & Ahn, J. (2021). Private elementary schooling and achievement gains in South Korea. ''KEDI Journal of Educational Policy'', ''18''(2)., 25-43. doi: 10.22804/kjep.2021.18.2.002
- Byun, S., Chung, H., & Baker, D. (2018). Global patterns of the use of shadow education: Student, family, and national influences. ''Research in the Sociology of Education'', ''20'', 71-105. doi:10.1108/S1479-353920180000020004.
- Byun, S., Meece, J., & Agger, C. (2017). Predictors of college attendance patterns of rural youth. ''Research in Higher Education'', ''58''(8), 817-842. doi:10.1007/s11162-017-9449-z
- Byun, S., & Park, H. (2017). When different types of education matter: Effectively maintained in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 in South Korea.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61''(1), 94-113. doi:10.1177/0002764216682810
- Irvin, M. J., Byun, S., Smiley, W. S., & Hutchins, B. C. (2017). Inequality in advanced math course taking for youth in rural schools. ''American Journal of Education'', ''123''(3), 475-510. doi: 10.1086/691231
- Byun, S., & Pong, S. (2016). Children’s highbrow cultural activities and academic achievement in Hong Kong. ''Research in the Sociology of Education'', ''19'', 123-148. doi:10.1108/S1479-53920150000019006
- Park, H., & Byun, S. (2015). Why some countries attract high-ability young students to teaching: Cross-national comparisons of students' expectation to become a teacher. ''Comparative Education Review'', ''59''(3), 523-549. https://www.jstor.org/stable/10.1086/681930
- Byun, S., Irvin, M. J., & Bell, B. A. (2015). Advanced math course taking: Effects on math achievement and college enrollment. J''ournal of Experimental Education'', ''83''(4), 439-468. doi:10.1080/00220973.2014.919570
- Byun, S., Henck, A., & Post, D. (2014). Cross-national variations in student employment and academic performance: The roles of national context and international law. ''Comparative Education Review'', ''85''(4), 621-652. https://www.jstor.org/stable/10.1086/677143
- Byun, S., Kim, K., & Park, H. (2012). School choice and educational inequality in South Korea. ''Journal of School Choice'', ''6''(2), 158-183. doi:10.1080/15582159.2012.673854
- Byun, S., Irvin, M. J., & Meece, J. L. (2012). Predictors of bachelor’s degree completion among rural youth at four-year institutions. ''Review of Higher Education'', ''35''(3), 463-484. doi:10.1353/rhe.2012.0023
- Byun, S., Schofer, E., & Kim, K. (2012). Revisiting the role of cultural capital in East Asian educational systems: The case of South Korea. ''Sociology of Education'', ''85''(3):219-239. doi:10.1177/0038040712447180
- Byun, S., & Park, H. (2012). The academic success of East Asian American youth: The role of shadow education. ''Sociology of Education'', ''85''(1), 40-60. doi:10.1177/0038040711417009 (equal contribution)
- Byun, S., Meece, J. L., & Irvin, M. J. (2012). Rural-nonrural disparities in postsecondary educational attainment revisited.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49''(3), 412-437. doi:10.3102/0002831211416344
- Byun, S., Meece, J. L., Irvin, M. J., & Hutchins, B. C. (2012). The role of social capital in educational aspirations of rural youth. ''Rural Sociology'', ''77''(3), 355-379. doi:10.1111/j.1549-0831.2012.00086.x P
- Park, H., Byun, S., & Kim, K. (2011). Parental involvement and students’ cognitive outcomes in Korea: Focusing on private tutoring. ''Sociology of Education'', ''84''(1), 3-22. doi:10.1177/0038040710392719
- Byun, S., & Kim, K. (2010). Educational inequality in South Korea: The widening socioeconomic gap in student achievement. ''Research in the Sociology of Education'', ''17'', 155-182. doi:10.1108/S1479-3539(2010)0000017008
## 국문 논문
- 변수용∙박수영∙정진리. (2024). “국제 비교 관점에서 본 한국 사회의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자녀의 기대 직업 지위 차이.” 『교육사회학연구』 34(2): 55-87.
- 변수용·정희진·김지혜. (2024).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자녀의 기대 직업 지위 차이 변화: 2000-2022.” 『교육사회학연구』 34(1): 29-65.
- 정희진·박수영·정진리·변수용. (2024). “사립초등학교 졸업이 대학 입시 결과에 미치는 영향.” 『교육사회학연구』 34(1): 197-236.
- 변수용·정희진·정진리. (2022). “사립초 졸업이 특목고/자사고 진학에 미치는 영향.” 『교육사회학연구』 32(1): 59-89.
- 김지혜·변수용·전재은. (2020). “누가 교직을 떠나려 하는가? 중학교 교사 교직 이탈 가능성 예측요인 분석.” 『교육사회학연구』 30(4): 89-112.
- 변수용·김지혜·우한솔. (2019). “교사를 희망하는 일반고 학생들의 특성 변화:학업성취를 중심으로.” 『교육사회학연구』 29(1): 27-51.
- 변수용·정희진·안지빈. (2018). “영어유치원과 부모의 자녀에 대한 상급 학교 진학 계획과의 관계.” 『교육사회학연구』 28(2): 127-55.
- 변수용·안지빈·정희진. (2017). “사립초등학교 졸업생들과 공립초등학교 졸업생들의 중학교 단계 학업성취 차이.” 『교육학연구』 55(4): 167-87.
- 변수용·정희진. (2016). “초등학교 자녀의 특성화중학교 진학을 원하는 부모의 특성에 관한 연구 – 국제중학교를 중심으로.” 『교육학연구』 54(4): 195-232.
- 변수용·주영효, (2012). “학교선택 결정요인과 효과 분석: 서울교육종단연구 데이터를 중심으로.” 『한국교육』 39(1): 5-33.
- 변수용·황여정·김경근. (2012). “위세 높은 대학 진학에서의 외고 효과.” 『교육사회학연구』 22(3): 133-62.
- 변수용·김경근. (2012). “전문계 고등학교 졸업자의 대학 진학 영향요인.” 『한국교육』, 39(2): 79-107.
- 변수용·황여정·김경근, (2011). “방과후학교 참여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교육사회학연구』 21(2): 57-85.
- 변수용·김경근. (2011). “사립학교의 효과성: 환상인가 현실인가.” 『교육사회학연구』, 21(1): 77-109.
- 변수용·김경근. (2010a). “중학생의 방과후학교 참여가 사교육 수요에 미치는 영향.” 『교육사회학연구』, 20(3): 51-81.
- 변수용·김경근. (2010b). “한국사회 고등교육 계층화의 영향요인 분석: 일반계 고등학교 졸업생을 중심으로.” 『교육사회학연구』, 20(1): 73-102.
- 변수용·김경근. (2008a). “한국 고등학생의 교육결과에 대한 문화자본의 영향.” 『교육사회학연구』 18(2): 53-82.
- 변수용·김경근. (2008b). “부모의 교육적 관여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가정배경의 영향을 중심으로.” 『교육사회학연구』 18(1): 39-66.
- 김경근·변수용. (2007). “한국사회에서의 학업성취에 대한 문화자본의 영향.” 『교육사회학연구』 17(1): 23-51.
- 김경근·변수용. (2006). “한국사회에서의 상급학교 진학 선택 결정요인.” 『교육사회학연구』 16(4): 1-27.
- 변수용·김경근. (2004). “평준화제도에 대한 학부모의 태도 결정요인 분석: 서울시 강남구과 강북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교육사회학연구』 14(2): 81-100.
- 김경근·변수용. (2003). “고교 평준화제도 존폐에 대한 학부모의 태도 결정요인.” 『교육사회학연구』 13(2): 21-45.
5. 3. 1. 영문 논문
- Byun, S., Jung, J., & Shin, T. (2023). Does shadow education discourage or encourage creative thinking? Evidence from South Korea. ''Journal for the Study of Education and Development'', ''46''(4), 774-808. doi:10.1080/02103702.2023.2230042
- Akiba, M., Byun, S., Xiaonan, Kim, K., & Moran, A. (2023). Do teachers feel valued in society? Occupational value of the teaching profession in OECD countries. ''AERA Open'', ''9'', 1-21. doi: 10.1177/23328584231179184
- Byun, S., Chung, H., & Ahn, J. (2021). Private elementary schooling and achievement gains in South Korea. ''KEDI Journal of Educational Policy'', ''18''(2)., 25-43. doi: 10.22804/kjep.2021.18.2.002
- Byun, S., Chung, H., & Baker, D. (2018). Global patterns of the use of shadow education: Student, family, and national influences. ''Research in the Sociology of Education'', ''20'', 71-105. doi:10.1108/S1479-353920180000020004.
- Byun, S., Meece, J., & Agger, C. (2017). Predictors of college attendance patterns of rural youth. ''Research in Higher Education'', ''58''(8), 817-842. doi:10.1007/s11162-017-9449-z
- Byun, S., & Park, H. (2017). When different types of education matter: Effectively maintained in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 in South Korea.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61''(1), 94-113. doi:10.1177/0002764216682810
- Irvin, M. J., Byun, S., Smiley, W. S., & Hutchins, B. C. (2017). Inequality in advanced math course taking for youth in rural schools. ''American Journal of Education'', ''123''(3), 475-510. doi: 10.1086/691231
- Byun, S., & Pong, S. (2016). Children’s highbrow cultural activities and academic achievement in Hong Kong. ''Research in the Sociology of Education'', ''19'', 123-148. doi:10.1108/S1479-53920150000019006
- Park, H., & Byun, S. (2015). Why some countries attract high-ability young students to teaching: Cross-national comparisons of students' expectation to become a teacher. ''Comparative Education Review'', ''59''(3), 523-549. https://www.jstor.org/stable/10.1086/681930
- Byun, S., Irvin, M. J., & Bell, B. A. (2015). Advanced math course taking: Effects on math achievement and college enrollment. J''ournal of Experimental Education'', ''83''(4), 439-468. doi:10.1080/00220973.2014.919570
- Byun, S., Henck, A., & Post, D. (2014). Cross-national variations in student employment and academic performance: The roles of national context and international law. ''Comparative Education Review'', ''85''(4), 621-652. https://www.jstor.org/stable/10.1086/677143
- Byun, S., Kim, K., & Park, H. (2012). School choice and educational inequality in South Korea. ''Journal of School Choice'', ''6''(2), 158-183. doi:10.1080/15582159.2012.673854
- Byun, S., Irvin, M. J., & Meece, J. L. (2012). Predictors of bachelor’s degree completion among rural youth at four-year institutions. ''Review of Higher Education'', ''35''(3), 463-484. doi:10.1353/rhe.2012.0023
- Byun, S., Schofer, E., & Kim, K. (2012). Revisiting the role of cultural capital in East Asian educational systems: The case of South Korea. ''Sociology of Education'', ''85''(3):219-239. doi:10.1177/0038040712447180
- Byun, S., & Park, H. (2012). The academic success of East Asian American youth: The role of shadow education. ''Sociology of Education'', ''85''(1), 40-60. doi:10.1177/0038040711417009 (equal contribution)
- Byun, S., Meece, J. L., & Irvin, M. J. (2012). Rural-nonrural disparities in postsecondary educational attainment revisited.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49''(3), 412-437. doi:10.3102/0002831211416344
- Byun, S., Meece, J. L., Irvin, M. J., & Hutchins, B. C. (2012). The role of social capital in educational aspirations of rural youth. ''Rural Sociology'', ''77''(3), 355-379. doi:10.1111/j.1549-0831.2012.00086.x P
- Park, H., Byun, S., & Kim, K. (2011). Parental involvement and students’ cognitive outcomes in Korea: Focusing on private tutoring. ''Sociology of Education'', ''84''(1), 3-22. doi:10.1177/0038040710392719
- Byun, S., & Kim, K. (2010). Educational inequality in South Korea: The widening socioeconomic gap in student achievement. ''Research in the Sociology of Education'', ''17'', 155-182. doi:10.1108/S1479-3539(2010)0000017008
5. 3. 2. 국문 논문
- 변수용∙박수영∙정진리. (2024). “국제 비교 관점에서 본 한국 사회의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자녀의 기대 직업 지위 차이.” 『교육사회학연구』 34(2): 55-87.
- 변수용·정희진·김지혜. (2024).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자녀의 기대 직업 지위 차이 변화: 2000-2022.” 『교육사회학연구』 34(1): 29-65.
- 정희진·박수영·정진리·변수용. (2024). “사립초등학교 졸업이 대학 입시 결과에 미치는 영향.” 『교육사회학연구』 34(1): 197-236.
- 변수용·정희진·정진리. (2022). “사립초 졸업이 특목고/자사고 진학에 미치는 영향.” 『교육사회학연구』 32(1): 59-89.
- 김지혜·변수용·전재은. (2020). “누가 교직을 떠나려 하는가? 중학교 교사 교직 이탈 가능성 예측요인 분석.” 『교육사회학연구』 30(4): 89-112.
- 변수용·김지혜·우한솔. (2019). “교사를 희망하는 일반고 학생들의 특성 변화:학업성취를 중심으로.” 『교육사회학연구』 29(1): 27-51.
- 변수용·정희진·안지빈. (2018). “영어유치원과 부모의 자녀에 대한 상급 학교 진학 계획과의 관계.” 『교육사회학연구』 28(2): 127-55.
- 변수용·안지빈·정희진. (2017). “사립초등학교 졸업생들과 공립초등학교 졸업생들의 중학교 단계 학업성취 차이.” 『교육학연구』 55(4): 167-87.
- 변수용·정희진. (2016). “초등학교 자녀의 특성화중학교 진학을 원하는 부모의 특성에 관한 연구 – 국제중학교를 중심으로.” 『교육학연구』 54(4): 195-232.
- 변수용·주영효, (2012). “학교선택 결정요인과 효과 분석: 서울교육종단연구 데이터를 중심으로.” 『한국교육』 39(1): 5-33.
- 변수용·황여정·김경근. (2012). “위세 높은 대학 진학에서의 외고 효과.” 『교육사회학연구』 22(3): 133-62.
- 변수용·김경근. (2012). “전문계 고등학교 졸업자의 대학 진학 영향요인.” 『한국교육』, 39(2): 79-107.
- 변수용·황여정·김경근, (2011). “방과후학교 참여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교육사회학연구』 21(2): 57-85.
- 변수용·김경근. (2011). “사립학교의 효과성: 환상인가 현실인가.” 『교육사회학연구』, 21(1): 77-109.
- 변수용·김경근. (2010a). “중학생의 방과후학교 참여가 사교육 수요에 미치는 영향.” 『교육사회학연구』, 20(3): 51-81.
- 변수용·김경근. (2010b). “한국사회 고등교육 계층화의 영향요인 분석: 일반계 고등학교 졸업생을 중심으로.” 『교육사회학연구』, 20(1): 73-102.
- 변수용·김경근. (2008a). “한국 고등학생의 교육결과에 대한 문화자본의 영향.” 『교육사회학연구』 18(2): 53-82.
- 변수용·김경근. (2008b). “부모의 교육적 관여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가정배경의 영향을 중심으로.” 『교육사회학연구』 18(1): 39-66.
- 김경근·변수용. (2007). “한국사회에서의 학업성취에 대한 문화자본의 영향.” 『교육사회학연구』 17(1): 23-51.
- 김경근·변수용. (2006). “한국사회에서의 상급학교 진학 선택 결정요인.” 『교육사회학연구』 16(4): 1-27.
- 변수용·김경근. (2004). “평준화제도에 대한 학부모의 태도 결정요인 분석: 서울시 강남구과 강북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교육사회학연구』 14(2): 81-100.
- 김경근·변수용. (2003). “고교 평준화제도 존폐에 대한 학부모의 태도 결정요인.” 『교육사회학연구』 13(2): 21-45.
5. 4. 기타
변수용은 2023년에 발표한 논문 "한국의 교사 파이프라인, 이대로 괜찮은가?"에서 한국 교사 양성 시스템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했다. 이 논문은 The HRD Review 26권 4호에 89-105쪽에 수록되어 있다.```tex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