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방과후학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방과후학교는 학교 수업 후 아동의 안전한 보호와 교육을 위해 운영되는 프로그램이다. 2차 세계 대전 이후 여성의 사회 진출 증가로 인해 방과후 학교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며, 현재는 다양한 국가에서 다양한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방과후 학교는 아동의 학업 능력 향상, 사회성 발달, 안전한 환경 제공 등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오지만, 과도한 프로그램 참여로 인한 스트레스 증가, 운영 주체의 재정적 어려움, 담당 교사의 업무 가중 등의 문제점도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점 개선을 위해 한국에서는 담당 교사의 업무 경감, 자발적 참여를 위한 환경 조성, 회계 처리 시스템 개선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교육 - 색동회
    색동회는 1923년 방정환을 중심으로 창립되어 어린이들에게 다채로운 꿈과 희망을 주고자 아동 문화 운동을 펼친 단체로, 잡지 발간, 어린이날 제정, 행사 개최 등을 통해 아동문학과 교육의 중요성을 알리고, 광복 후 활동을 재개하여 현재까지 이어지며 아동 교육에 공헌한 사람들을 시상하는 색동회상을 제정했다.
  • 대한민국의 교육 - 사법연수원
    사법연수원은 법원조직법에 따라 설립된 법조인 양성 기관으로, 사법시험 합격자를 대상으로 법률 이론 및 실무 교육을 실시하며, 경기도 고양시에 위치하고 2년간의 교육 과정을 통해 법조인으로서의 자질을 함양한다.
방과후학교
개요
유형교육 활동
목적아동 발달 지원, 학업 성취도 향상, 안전한 보호 제공
대상아동 및 청소년
제공 형태다양한 프로그램 (예: 과제 지원, 스포츠, 예술, 문화 활동)
필요성 및 효과
긍정적 효과학업 성취도 향상
사회성 발달
문제 행동 감소
출석률 향상
전반적인 아동 발달 증진
취약 계층 아동 지원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가정의 아동에게 특히 중요하며, 발달상의 불균형 해소에 기여
주요 내용
프로그램 유형과제 지원
스포츠 활동
예술 활동
문화 활동
특기 개발 프로그램
제공 장소학교, 지역 사회 센터, 민간 기관 등
관련 용어방과후 활동 (after-school activity)
방과후 프로그램 (after-school program)
방과후 돌봄 (after-school care)
학동 (초등학생)
학동 보육 (초등학생 보육)
대한민국
정의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학교 정규 교육 시간 외에 제공되는 교육 및 돌봄 서비스
관련 법률아동복지법
주요 사업방과후학교, 초등돌봄교실, 지역아동센터 등
시설 종류방과후 아카데미
다함께돌봄센터
청소년 방과후 아카데미
대상 아동초등학생 (주로 맞벌이 가정, 저소득층 가정 아동)
목적아동의 보호, 교육, 건전한 놀이 및 다양한 체험 활동 제공
운영 시간학기 중 (방과 후 ~ 오후 7시), 방학 중 (오전 ~ 오후 7시)
내용숙제 지도, 특별 활동 (미술, 음악, 체육 등), 생활 지도, 급식 또는 간식 제공
관련 기관/단체보건복지부, 지방자치단체, 교육청, 학교, 지역아동센터, 사회복지관 등
문제점시설 부족 및 대기 아동 발생
프로그램 질의 편차
교사 및 종사자 부족
재정 지원 부족
일본
명칭학동보육 (学童保育)
대상초등학생
목적방과 후 아동의 건전한 육성
법적 근거아동복지법
실시 주체시정촌 (市町村)
시설 유형아동관 (児童館)
방과후 아동 클럽 (放課後児童クラブ)
운영 시간방과 후 ~ 저녁 시간 (시설에 따라 다름)
내용놀이 지도, 숙제 지도, 간식 제공 등
과제대기 아동 문제, 시설 운영비 문제, 지도원 자질 향상 문제 등
국제적 관점
유엔 아동 권리 협약부모 노동 아동의 양육 권리 명시 (제18조 3항)
참고 문헌
관련 문서
관련 문서방과후 등 데이 서비스

2. 역사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에서는 한부모 가정이 증가했는데, 이는 여성들이 노동 시장에 참여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8] 여성 고용률은 1955년 38%에서 2004년 78%로 증가했고, 이는 전통적인 가족 역할과 구조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9] 많은 여성들이 장시간 근무를 하게 되면서 아이를 학교에서 제시간에 데려올 사람이 없어졌고, 이에 따라 방과후학교는 아이들이 방과후에 안전하게 어른의 감독을 받을 수 있는 중요한 장소가 되었다. 부모들은 자녀의 안전에 대한 걱정 없이 계속 일할 수 있었다.[10]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방과후학교는 아동 노동 감소를 위한 해결책이자 경제 활동에 참여하는 가족들에게 감독을 제공하는 역할을 했다. 전쟁이 끝난 후, 방과후 활동은 아이들이 가정에서 받지 못했을 수도 있는 상호 작용적인 보살핌을 받을 수 있는 기회로 재구성되었다. 아이들이 방과후에 일을 적게 하거나 전혀 하지 않게 되면서 교육과 학교 활동에 더 집중할 수 있었고, 이는 “어린 시절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낳았다.[8] 이러한 추가적인 보살핌을 받지 못하는 아이들이 사회적, 학업적 문제를 겪을 위험이 커진다는 우려가 제기되면서 방과후 활동의 지속과 확장에 크게 기여했다.[8][9]

2. 1. 한국

인도에서는 많은 수의 업체들이 방과후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지만, 인도의 방대한 인구와 인도 중산층 및 기타 계층에게 교육의 중요성을 고려할 때 그 수는 여전히 적다. 더 많은 업체들이 시장에 진입하여 대규모 학급과 전통적인 교육 방식을 가진 일반 학교가 제공하지 못하는 양질의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 기존 방과후 학습 제공 업체 중에서 가장 수요가 많은 곳은 K-12 학교 교육 과정을 보완하는 개별화된 학습 모듈을 갖춘 곳이다. Way2Success 학습 시스템은 학교 교육 과정을 보완하는 학문 중심의 개별화된 방과후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인도 최초의 영리 업체로, 뉴델리, 노이다, 구르가온, 파리다바드 지역에서 운영하고 있다. NutSpace Edtech Pvt. Ltd.는 자체 개발한 창의적 사고 방식을 사용하여 어린이의 21세기 역량을 구축하며, 아이들이 리더십 자질을 개발하고 의사 소통, 비판적 사고, 창의력, 협업과 같은 기술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현재 칸푸르와 러크나우에서 운영하고 있다.

2. 2. 일본

일본에서의 아동 복지법상 정식 명칭은 "'''방과후 아동 건전 육성 사업'''"이며, 주관 부처는 어린이 가정청[43] (2022년도까지는 후생노동성)과 문부과학성이다[44]. 병기되는 통칭, 성령이나 국장 통지 등에서는 "'''방과후 아동 클럽'''"이라는 용어가 사용된다. 사업을 실시하는 시설은 "방과후 아동 클럽", "학동 클럽", "학동 보육소" 등으로 불리지만, 자치 단체나 설치자에 따라 명칭이 다르다. 약칭은 "학동" 또는 "아동 클럽"이다.

방과후 아동 클럽 시설의 통일된 명칭은 없으며, 지역, 자치단체, 설치 주체에 따라 다양하다. 주요 명칭으로는 "방과후 아동 클럽", "방과후 어린이 교실", "방과후 놀이 광장", "학동 클럽", "학동 보육소", "부재 가정 아동회(실)", "아동 육성회(실)" 등이 있다. 약칭으로는 단순히 '''"학동"''' 또는 '''"아동 클럽"'''이라고 불린다. 도쿄도이타바시구의 "아이 키즈 사업"처럼, 방과후 아동 클럽과 전 아동 대책 사업(문부과학성 관할)을 포괄적으로 실시하는 사례에서는 방과후 아동 클럽과 전 아동 대책이 같은 명칭인 경우도 있다. 또한, 방과후 아동 클럽의 민간 참여가 진전된 지역에서는 사회 복지 법인이나 주식회사 등 운영 사업자가 독자적인 브랜드 명칭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문부과학성과 후생노동성이 공동으로 추진하는 "방과후 어린이 종합 계획"[45]에서는 "방과후 아동 건전 육성 사업"에 대해 "놀이의 장"과 "생활의 장"으로 규정하고 있다. 방과후 아동 클럽은 보호자의 보살핌을 받지 못하는 아동의 안전을 지키는 장소인 동시에, 학령기 아동이 자립하기 위한 성장 지원 및 건전 육성을 실천하는 장소이기도 하다. "일과 육아의 양립"이 국가적으로 과제가 되는 가운데[69], 특히 보육 시설을 이용했던 가정에게는 아이가 졸업하여 초등학교에 입학하더라도 보호자가 안심하고 취업·간병·병 치료 등을 지속하는 데 필수적인 제도이며, 또한 어머니 등이 초등학교 입학을 계기로 직장 복귀를 희망하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지역에 따라서는 신청이 쇄도하여 대기 아동이 발생할 정도로 수요가 높다. 대기자가 되거나 생활권에 방과후 아동 클럽 시설이 없어서 입소하지 못하면 보호자의 취업 등에 큰 불편이 생기기 때문에, "초등학교 1학년의 벽"이라고도 불리며 사회 문제화되고 있다.

과거에는 직업을 가진 부모가 자발적으로 부모회나 임의 단체를 결성하여 방과후 아동 클럽을 설립하거나, 자치 단체가 조례로 제도화하여 직영 방과후 아동 클럽을 실시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방과후 아동 클럽의 수요가 증가하고 내용도 다양화됨과 동시에 민간 참여가 활발해졌다.

연도내용
1904년 (메이지 37년)효고현 고베시 부인 봉사회가 시내 2곳에서 유아와 아동을 맡음
1928년 (쇼와 3년)오사카부 이시이 기념 애염원이 학동 보호부 설치. 주임은 토미타 쇼키치
1940년대일본 각지에서 방과후 아동 클럽 사업 시작.
1960년대각지의 방과후 아동 클럽 관계자들의 조직화와, 일본국 정부 및 지방 공공 단체에 대한 제도화 요구 활동 본격화.
1961년 (쇼와 36년)도쿄도 기타구에서 지역 운영 위원회에 대한 보조 시작.
1963년 (쇼와 38년)도쿄도 시부야구가 "시부야 학동관" 설치. 이것이 공설 공영 방과후 아동 클럽의 시작.
1966년 (쇼와 41년) 4월문부성 (현재의 문부과학성)이 결석 가정 아동회 육성 사업 보조 요강에 의한 아동회 육성 사업 시작.
1971년 (쇼와 46년)"결석 가정 아동회 보조 사업"은 1971년도에 중단되어 "교정 개방 사업"에 통합.
1974년 (쇼와 49년)총리부 부녀 문제 종합 조사 보고서에서 방과후 아동 클럽의 제도화를 제언.
1976년 (쇼와 51년) 4월후생성 (현재의 후생노동성)이 도시 아동 건전 육성 사업 실시 요강에 의해 "아동 육성 클럽" 설치 · 육성 사업 시작 (사실상의 방과후 아동 클럽에 대한 국고 보조의 시작).
1991년 (헤이세이 3년)도시 아동 건전 육성 사업 실시 요강은 폐지, 방과후 아동 대책 사업 실시 요강에 의한 방과후 아동 대책 사업으로 계승.
1993년 (헤이세이 5년)종합 연구 개발 기구 (NIRA)가 방과후 아동 클럽의 제도화를 제언 (여성의 사회 참여와 과제 제3회 "어머니의 취업과 아이"). 아이의 미래 21 플랜 연구회 보고 (후생성)는 방과후 아동 클럽의 법제화를 제언. 후생성이 방과후 아동 클럽의 법제화 검토 시작.
1997년 (헤이세이 9년) 6월 3일아동 복지법 등 일부 개정 법률 성립, 방과후 아동 클럽이 "방과후 아동 건전 육성 사업"으로 법제화.
1998년 (헤이세이 10년) 4월 1일방과후 아동 클럽은 아동 복지법과 사회 복지 사업법 (현재의 사회 복지법)에 근거한 제2종 사회 복지 사업으로 시행.
2007년 (헤이세이 19년) 10월 19일방과후 아동 클럽 가이드라인 제정, 방과후 아동 클럽 운영의 최저 기준 명시.
2015년 (헤이세이 27년) 3월 31일방과후 아동 클럽 운영 지침 제정, 표준적인 설비 및 운영 방침 명시. 운영의 최저 기준이 된 방과후 아동 클럽 가이드라인은 폐지.
2015년 (헤이세이 27년) 4월 1일방과후 아동 건전 육성 사업의 설비 및 운영에 관한 기준 (헤이세이 26년 후생노동성령 제63호) 시행, 방과후 아동 지원원 제도 시작. 5년간의 경과 조치 후, 방과후 아동 지원원 설치 필수화.
2020년 (레이와 2년) 4월 1일방과후 아동 지원원 설치 경과 조치 종료, 지원원 필수 의무화.


2. 3. 미국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에서는 한부모 가정이 늘어났는데, 이는 여성들이 일터로 나가기 시작했기 때문이다.[8] 1955년 38%였던 여성 고용률이 2004년에는 78%로 증가하면서, 전통적인 가족의 역할과 구조는 크게 변화했다.[9] 많은 여성들이 오랜 시간 일하는 직업을 가지면서, 아이를 학교에서 제시간에 데려올 사람이 없어졌다. 그래서 방과후학교는 아이들이 방과후에 안전하게 어른의 감독을 받을 수 있는 곳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고, 부모들은 자녀의 안전이나 행복에 대한 걱정 없이 계속 일할 수 있었다.[10]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방과후학교는 아동 노동 감소의 해결책으로 작용했고, 경제 활동에 참여하는 가족들에게 감독을 제공했다. 전쟁이 끝나면서 방과후 활동은 아이들의 건강과 행복을 증진하는 상호작용적인 보살핌을 받을 수 있는 기회로 바뀌었는데, 이는 가정에서 받지 못했을 수도 있는 것이었다. 아이들이 방과후에 적게 또는 전혀 일하지 않게 되면서, 교육에 더 집중하고 학교 활동에 참여할 수 있었고, 이는 전반적인 보살핌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어린 시절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낳았다.[8] 이러한 추가적인 보살핌을 받지 못하는 아이들이 스스로 거절당하기 전에 기회를 거절하는 학습된 행동을 하기 때문에 사회적, 학업적 문제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는 우려가 커지면서 방과후 활동의 지속과 확장에 크게 기여했다.[8][9]

2. 4. 영국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의 한부모 가정이 늘어난 것은 여성들이 노동 시장에 참여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8] 1955년 38%였던 여성 고용률이 2004년에는 78%로 증가하면서, 전통적인 가족 역할과 구조는 크게 변화했다.[9] 많은 여성들이 장시간 근무를 하면서 아이를 학교에서 제시간에 데려올 사람이 없어졌다. 이에 따라 방과후학교는 아이들이 방과후에 안전하게 어른의 감독을 받을 수 있는 장소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고, 부모들은 자녀의 안전에 대한 걱정 없이 계속 일할 수 있었다.[10]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방과후학교는 아동 노동 감소를 위한 해결책으로, 경제 활동에 참여하는 가족들에게 감독을 제공하였다. 전쟁이 끝난 후 방과후 활동은 아이들이 가정에서 받지 못했을 수도 있는 상호 작용적인 보살핌을 받을 수 있는 기회로 재구성되었다. 아이들이 방과후에 일을 적게 하거나 전혀 하지 않게 되면서 교육에 더 집중하고 학교 활동에 참여할 수 있게 되었고, 이는 “어린 시절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낳았다.[8] 이러한 추가적인 보살핌을 받지 못하는 아이들이 사회적, 학업적 문제를 겪을 위험이 커진다는 우려가 제기되면서 방과후 활동의 지속과 확장에 크게 기여했다.[8][9]

3. 추진 배경 및 목표

방과후학교는 각 학년별로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목표를 가지고 추진되었다.

학년목표
초등학교 1~3학년방과 후 보육 및 교육 욕구 해소
초등학교 4~6학년특기적성 및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학교 밖 교육을 학교 안으로 흡수
중학교 1~3학년수준별 교과 보충, 심화 학습, 특기적성 교육을 통한 사교육비 경감
고등학교 1~3학년수준별 교육, 스트레스 관리, 진로 지도를 통한 능력 개발


3. 1. 추진 배경


  • 사회 양극화 완화를 위한 획기적인 교육 격차 해소 방안이 필요하게 되었다.
  • 저출산, 고령화 등 사회 변화에 부응하는 교육 서비스 요구가 증대되었다.
  • 사교육비 경감을 위한 방과 후 교육 활동 개선 필요성이 증대되었다.
  • 학교의 지역사회화를 통한 평생교육 체제 구축이 필요하게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에서는 한부모 가정이 늘어났는데, 이는 여성들이 노동 시장에 진출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8] 1955년 38%였던 여성 고용률이 2004년에는 78%로 증가하는 등, 여성들이 주요 재정적 기여자로 활동하면서 전통적인 가족 역할과 구조는 크게 변화했다.[9] 많은 여성들이 장시간 근무하는 직업을 가졌고, 적절한 시간에 아이를 학교에서 데려올 사람이 없었다. 따라서 방과후학교는 아이들이 방과후에 안전하게 성인의 감독을 받을 수 있는 장소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고, 부모들은 자녀의 안전이나 복지에 대한 걱정 없이 계속 일할 수 있었다.[10]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방과후학교는 아동 노동 감소를 위한 해결책으로 작용했으며, 경제 활동에 참여하는 가족들에게 감독을 제공했다. 전쟁이 끝난 후, 방과후 활동은 가정에서 받지 못했을 수도 있는 상호작용적인 보살핌을 통해 아이들의 건강과 복지를 증진하는 기회로 재구성되었다. 아이들이 방과후에 적게 또는 전혀 일하지 않게 되면서, 교육에 더 집중하고 학교 활동에 참여할 수 있었고, 이는 전반적인 보살핌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어린 시절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낳았다.[8] 이러한 추가적인 보살핌을 받지 못하는 아이들이 스스로 거절당하기 전에 기회를 거절하는 학습된 행동을 하기 때문에 사회적, 학업적 문제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는 우려가 커지면서 방과후 활동의 지속과 확장에 크게 기여했다.[8][9]

3. 2. 단계별 목표 (한국)

학년목표
초등학교 1~3학년방과 후 보육 및 교육 욕구 해소
초등학교 4~6학년특기적성 및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학교 밖 교육을 학교 안으로 흡수
중학교 1~3학년수준별 교과 보충, 심화 학습, 특기적성 교육을 통한 사교육비 경감
고등학교 1~3학년수준별 교육, 스트레스 관리, 진로 지도를 통한 능력 개발


4. 주요 내용 및 기능

맞벌이 부모는 자녀가 방과 후 시간을 잘 관리받기를 원하며, 이는 학생들이 조직적인 방과 후 프로그램에 등록하는 주요 이유이다.[3] 일부 부모는 자녀가 감독 하에 안전하게 시간을 보내도록 방과 후 프로그램에 등록한다.[18] 방과 후 활동은 주로 학교 수업이 끝난 오후, 주말, 여름 방학에 이루어져 맞벌이 부모의 육아를 돕는다. 일부 프로그램은 어린 자녀를 위한 보육 시설 역할을 하며, 중·고등학생 대상 프로그램은 다양한 연령대에 맞는 기회를 제공한다.

2012년 5월 일리노이주 시카고 설리번 고등학교에서 컬럼비아 칼리지 시카고(Columbia College Chicago) 방과 후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생들.


감독 부재 시 아이들과 청소년은 난잡한 성행위, 약물 남용, 갱 관련 활동 등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19][20] 청소년은 어린 아이보다 범죄 행위에 가담할 위험이 커서, 건설적인 방과 후 프로그램이 더욱 필요하다.[21] 미국 연구에 따르면 청소년 체포율은 오후 2시에서 6시 사이에 최고조에 달하며, 이는 비행 예방을 위한 방과 후 프로그램 활용의 중요성을 보여준다.[22] 학교 관련 활동 참여는 범죄, 마약, 알코올 남용 가능성을 줄인다.[5] 방과 후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마약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약물 사용 감소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23]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은 아동과 청소년 모두에게 유익하며, 특히 학업 중심 프로그램은 학업 성취도 향상에 기여한다.[24] 프로그램 참여 학생들은 더 좋은 성적과 높은 시험 점수를 받을 가능성이 높았다.[24] 다른 연구에서도 학업적 향상 효과가 나타났다.[25] 학업 튜터링이나 숙제 도움은 성적 저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프로그램 참여 학생들은 학교 유대감과 교사의 긍정적 평가를 유지한 반면, 미참여 학생들은 감소를 보였다.

소수 민족, 저소득층, 도시 환경 등 부정적 낙인은 청소년 학업 성취를 저해하며,[23][1][26] 효과적인 방과 후 프로그램은 이러한 격차를 줄이고자 노력한다. 프로그램 참여는 학업 성취, 인격 발달, 문제 해결 능력, 예술적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27]

방과후학교의 행동 발달 영향은 엇갈린다.[6] 긍정적 연구에서는 정서적 안정, 사회 적응력 향상, 특히 새 학년/학교 적응에 도움이 된다고 보고한다.[24] 징계, 정학, 퇴학 횟수도 감소했다.[25][28] 반면, 일부 연구에서는 반항적 행동 증가를 보고하기도 했다.[29]

방과후 활동은 미국 내 백인과 유색인 학생 간 학업 성취도 격차 감소에 효과적이다.[7] 사회·정서적 건강과 학업 성취도에 긍정적 영향을 주며,[30] 과외 활동, 학업 지원, 여름 프로그램은 학업 성공과 성장에 기여한다.[30] 스포츠 코치, 교사 등 성인 멘토와의 관계 형성 기회를 제공하며, 이는 자존감, 학업 성취, 역경 극복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30][31] 돌보는 성인과의 친밀한 관계는 학업 격차 감소와 관련이 있다.[32]

4. 1. 프로그램 구성

방과후 학교는 어린이, 청소년, 성인 학습자를 위한 다양한 활동으로 구성된다. 방과후 학교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활동이나 문제에 초점을 맞출 수 있다.

활동 종류내용
독서독서, 독서 토론 클럽
스포츠축구, 야구, 킥보드 경주, 하키, 수영
공연 예술무용, 연극, 발레, 합창, 밴드
창의적 예술그림, 드로잉, 공예
영재 교육/보충 교육읽고 쓰기, 수학 등을 위한 공문
시험 준비Kaplan, 프린스턴 리뷰, Sylvan Learning
야외 교육걸스카우트, 걸 가이드, 소년단, 캠프파이어, 4-H, 사관후보생
금융 이해력Jumpstart, 주니어 어치브먼트
학교의 과외 활동DECA, 미래 기업 지도자 협회, 기독교 선수 연맹
지역 사회 봉사After-School All-Stars, Boys & Girls Clubs of America



연구에 따르면 방과후 학교 프로그램은 아동과 청소년 모두에게 유익하다. 구조화된 학업 중심의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은 또래에 비해 학업 성취도가 향상되었다.[24] 어떤 형태의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 집단과 공식적인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아동 집단을 비교한 결과, 구조화된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이 더 좋은 성적을 받고 수학 및 읽기 시험에서 더 높은 성적을 받을 가능성이 더 높았다.[24]

방과 후 학업 튜터링이나 숙제 도움은 학업 성취도를 향상시키지는 않지만, 오히려 많은 위험에 처한 청소년에게서 나타나는 성적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숙제 지원, 튜터링, 문화적 활동을 제공하는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학교 유대감과 교사의 학생 행동 평가에서 초기 수준을 유지한 반면,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학생들은 같은 기간 동안 이러한 지표에서 감소를 보였다.

소수 민족, 저소득층, 도시 환경, "위험에 처한" 등의 부정적인 낙인은 청소년의 학업 성취를 저해한다.[23][1][26] 효과적인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은 학업 성취도와 부정적인 낙인이 찍힌 학생 사이의 격차를 줄이려고 노력할 수 있다.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아동은 학업 성취도와 인격 발달 모두에서 향상을 보이며, 문제 해결 능력을 배우고 예술적 능력을 연마한다.[27]

방과후학교가 청소년의 행동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증거는 엇갈려 있다.[6]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정서적으로 더 안정적이었고 사회 적응의 징후를 더 많이 보였다. 특히, 방과후 활동에 참여한 학생들은 새로운 학년이나 새로운 학교로의 전환 시 더 나은 행동을 보였고 더 원활하게 적응했다.[24] 다른 연구에서는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생들이 평균적으로 징계 처분을 덜 받고, 정학을 덜 받으며, 퇴학당하는 횟수가 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또래보다 적다는 것을 보여주었다.[25][28]

4. 2. 기능 (일본 사례 중심)

일본에서 방과후 아동 클럽(정식 명칭은 '방과후 아동 건전 육성 사업')은 어린이 가정청과 문부과학성이 주관하며, 아동의 건강 관리, 안전 확보, 정서 안정을 돕고, 놀이 활동을 통해 자율성, 사회성, 창의성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한다.[43][44]

방과후 아동 클럽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 보호자가 올 때까지 아동의 건강 관리, 안전 확보 및 정서적 안정을 지원한다.
  • 놀이, 공작, 계절 행사, 생일 파티, 사육, 재배 등을 통해 아동의 자율성, 사회성, 창의성을 길러준다.
  • 간식을 제공한다.
  • 숙제 등 자율 학습을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 공립 방과후 아동 클럽에서는 학습 지도를 하지 않지만, 민간 사업자는 학원 강사나 영어 스태프가 지원을 하거나 진학 교실과 연계하기도 한다.
  • 아동의 활동 상황을 파악하고 가정과 연락한다. (연락장, 면담, 부모 참여 행사 등)
  • 아동 학대 등 복지 지원이 필요한 경우를 조기에 발견하고 관계 기관과 연계한다.


학교 수업이 없는 날에는 아침부터 방과후 학교를 이용할 수 있으며, 점심은 도시락을 지참해야 한다. 장기 방학에는 도시락 배달 서비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일상 행사로는 장기, 바둑, 켄다마, 종이접기 등 전통 놀이, 축구 대회, 집단 놀이, 공작·수예, 일러스트 대회 등이 있다. 계절 행사로는 물놀이, 할로윈, 크리스마스, 떡치기 등이 있으며, 캠프를 가기도 한다.

2015년부터 방과후 아동 클럽에는 '''방과후 아동 지원원'''을 의무적으로 배치해야 한다.[49] 방과후 아동 지원원이 되려면 도도부현지사가 실시하는 인정 자격 강습을 수료해야 한다. 방과후 아동 지원원 외에 '아동 클럽 선생님'은 통일된 명칭이나 국가 자격 제도는 없지만,[50] 보육사 자격증, 사회 복지사 자격증,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교사 자격증 등이 있으면 아동의 놀이를 지도하는 자의 임용 자격을 충족한다.

5. 운영 형태 및 주체

방과후학교는 설치 주체와 운영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 설치 주체
  • 공설: 공공 기관이 설치한다.
  • 민설: 민간 사업자가 설치한다.

  • 운영 형태
  • 공설공영: 자치단체가 직접 운영하거나 사회복지협의회 등 공공 단체가 운영한다. 2013년 5월 기준으로 전체의 약 50%를 차지하지만, 점차 감소하는 추세이다.
  • 공설민영: 자치단체가 시설을 설치하고 민간에 위탁하여 운영한다. 지역 운영 협의회, 부모회, 사회복지법인, NPO 법인, 주식회사 등이 운영 주체가 될 수 있다.
  • 민설민영: 민간 사업자가 설치하고 운영한다. 운영 위원회, 부모회, 임의 단체, 개인뿐만 아니라 사립 보육원, 보육 관련 주식회사, NPO 법인, 학원, 피트니스 클럽, 영어 회화 교실 등 다양한 주체가 참여한다.


최근에는 초등학생 수 감소로 인해 학교의 빈 교실을 방과후학교 시설로 활용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방과후학교는 일반적으로 연중 운영되며, 학교 수업이 있는 날(통상 이용일)과 학교 휴업일(여름 방학, 겨울 방학, 봄 방학 등) (하루 이용일)로 구분된다. 대부분의 시설이 토요일에는 운영하지만, 일요일과 공휴일에는 일부를 제외하고 휴관한다.

방과후 아동 지원원 외 아동 클럽 직원의 전문성을 증명하는 민간 자격은 다음과 같다.

자격 종류설명
일반 재단 법인 아동 건전 육성 추진 재단 - 인정 아동 후생원 자격 제도[58][59]아동 후생 2급 지도원, 아동 후생 1급 지도원, 아동 후생 1급 특별 지도원, 아동 건전 육성 지도사의 4가지 등급이 있다.
일반 사단 법인 키즈 코치 협회 - (3급 - 1급) 인정 키즈 코치[61][62] 및 (3급 - 1급) 키즈 코치 검정[63][64]3급 취득에는 특별한 기초 자격 요건이 없지만, 2급 이상을 취득하려면 직전 하위 급수를 취득해야 한다.
특정 비영리 활동 법인 일본 방과후 아동 지도원 협회 - 방과후 아동 지원사 자격·방과후 전문 아동 지원사 자격·방과후 고도 아동 지원사 자격[65]
일반 사단 법인 일본 학동 보육사 협회 - 학동 보육사 기초·학동 보육사[66]


5. 1. 운영 형태

방과후학교의 운영 형태는 국가별, 문화적 배경에 따라 다양하다. 많은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에서 방과후학교 활동을 운영하며, 일부는 지역 사회 센터나 청소년 센터에서 무료로 제공되기도 한다. 다른 활동은 회비를 받는 영리 기업에서 제공한다.

정부의 방과후 활동 역할은 공교육 및 아동 지원 전반에 걸친 역할과 관련이 있어 논쟁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정부의 자금 부족 또는 불충분한 자금 지원은 방과후 프로그램의 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12] 저소득층 지역 사회를 위한 프로그램은 기부자 및 가족 수수료의 민간 자금에 의존한다.[12]

영국에서는 방과 후 활동이 일반적으로 상업적으로 조직되며 부모가 비용을 지불한다. 많은 아이들이 일주일에 여러 개의 활동에 참여하며, 때로는 하루에 두 개 이상 참여하기도 한다.

미국에서는 방과후 학교 프로그램이 매우 흔하며, 40개의 가장 큰 전국 청소년 단체는 총 4천만 명의 청소년 회원을 보유하고 있다. 미국 보이스 & 걸스 클럽은 주로 긍정적인 청소년 발달에 초점을 맞추며, 직원들은 청소년들이 직면하는 광범위한 문제에 대한 정보, 지침 및 정서적 지원을 제공한다.[5] Afterschool Alliance와 같이 방과후 학교 프로그램에 대한 접근성을 옹호하는 전국적인 단체도 있지만, 미국의 많은 방과후 학교 프로그램은 주(state) 수준에서 운영된다.[15]

버지니아 주의 Beans and Rice Organization은 저소득 및 중간 소득 가정의 자산 구축과 역량 개발을 돕는 지역 사회 경제 개발 기관으로, 풀라스키와 래드퍼드에서 방과후 프로그램을 제공한다.[16]

텍사스 주에는 텍사스 ACE라는 주 차원의 방과후 학교 프로그램이 있으며, 텍사스 교육청의 일부이다. 미국의 자원 부족 학교에서 방과후 활동 프로그램을 후원하는 미국 교육부의 21세기 지역 사회 학습 센터 프로그램의 자금 지원을 받는다.[17]

캘리포니아 주에서는 중등 수준의 방과후 프로그램은 주로 [http://www.cde.ca.gov/ls/ba/cp/ 21세기 고등학교 ASSETS 프로그램] 보조금으로, 초등학교 방과후 프로그램은 [http://www.cde.ca.gov/ls/ba/as/ ASES 프로그램] 보조금으로 자금을 지원받는다. LAUSD 학생들에게 제공되는 학군 운영 및 관리 방과후 프로그램인 [https://web.archive.org/web/20100527171242/http://btb.lausd.net/home/ Beyond the Bell]이 있다. THINK Together는 로스앤젤레스, 오렌지, 리버사이드 및 샌버나디노 카운티 전역에 위치한 약 200개 학교에서 학업 중심의 방과후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관리한다.

연구에 따르면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은 아동과 청소년 모두에게 유익하다. 구조화된 학업 중심의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은 또래에 비해 학업 성취도가 향상되었다.[24]

방과 후 아동 클럽 시설은 설치 주체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 공설: 공공 기관이 설치
  • 민설: 민간 사업자가 설치


운영 형태에 따라서는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 공설공영: 자치단체가 직접 운영하는 형태로, 2013년 5월 현재 8,400개소(전체의 40%)이다. 사회복지협의회 등 공공 단체가 운영하는 것을 더하면 약 50%가 공설공영 형태이지만, 그 비율은 해마다 감소하고 있다.
  • 공설민영: 공설 시설의 운영을 민간에 위탁하는 형태이다. 지역 운영 협의회나 부모회가 운영하는 것과 사회복지법인·NPO 법인·주식회사 등이 지정 관리자가 되어 운영하는 것이 포함된다.
  • 민설민영: 운영 위원회·부모회·임의 단체 또는 개인이 설치·운영하는 시설이다.
  • 운영 위원회: 지역의 아동 복지 관계자, 보호자 대표, 지원원 등으로 구성되며, 자치단체의 지원을 받는 조건이 된다.
  • 부모회: 보호자가 직접 구성한 조직이다.
  • 기타: 사립 보육원·보육 관련 주식회사·NPO 법인, 학원, 피트니스 클럽, 영어 회화 교실 등이 운영하는 곳도 있다.


최근 초등학생 수 감소로 초등학교의 빈 교실을 방과 후 아동 클럽 시설로 전용하는 예가 늘고 있다.

방과후학교는 연중 운영되며, 운영 시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나뉜다.

공립, 사립 모두 토요일에 개소하는 시설이 많으며, 일요일과 공휴일에는 극히 일부를 제외하고 휴관한다.

지방자치단체의 재정난과 사업 모델의 불안정성으로 인해, 지원원 등의 급여는 일반적으로 낮다. 촉탁직, 파트타이머, 아르바이트 등 비정규직 고용도 많아 평균 근속 연수가 짧은 편이다.

5. 2. 운영 주체

많은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에서 방과후학교 활동을 운영한다. 일부는 지역 사회 센터와 청소년 센터에서 무료로 제공하며, 다른 일부는 회비를 받는 영리 기업에서 제공한다. 방과후학교 활동의 조직 및 관리는 국가별, 문화적 배경에 따라 다르다.

정부의 방과후 활동 역할은 공교육 및 아동 지원 전반에 걸친 역할과 관련이 있다. 이는 미국에서 뜨겁게 논쟁되는 주제이다. 많은 사람들은 최저 임금을 받는 사람들을 위해 정부가 가정에 추가적인 지원을 제공하지 못하며, 적절한 교육 및 아동 지원을 제공하지 못한다고 생각한다. 다른 사람들은 아동 양육을 국가의 책임이 아닌 가족이나 지역 사회의 책임으로 본다.[9][11]

정부의 자금 부족 또는 불충분한 자금 지원은 방과후 프로그램의 질을 저하시킨다.[12] 저소득층 지역 사회를 위한 프로그램은 기부자 및 가족 수수료의 민간 자금에 의존한다.[12]

영국에서 방과 후 활동은 일반적으로 상업적으로 조직되며 부모가 비용을 지불한다. 많은 아이들이 일주일에 여러 개의 활동에 참여하며, 때로는 하루에 두 개 이상 참여하기도 한다. 유사한 활동은 주말에도 이루어진다. 미국과 비교하여 기본적인 활동 선택 외에는 관리되는 "교양"에 대한 초점이 덜하다. 예를 들어 축구는 신체 활동적이며 팀워크를 개발한다.

방과후 학교 프로그램은 오늘날 미국에서 매우 흔하다. 오늘날 40개의 가장 큰 전국 청소년 단체는 총 4천만 명의 청소년 회원을 보유하고 있다. 미국 보이스 & 걸스 클럽(Boys & Girls Clubs of America)은 주로 긍정적인 청소년 발달에 초점을 맞춘다. 이들의 직원은 청소년들이 종종 위험이 높은 지역에서 직면하는 광범위한 문제에 대한 정보, 지침 및 정서적 지원을 제공한다.[5] Afterschool Alliance와 같이 방과후 학교 프로그램에 대한 접근성을 옹호하는 전국적인 단체뿐만 아니라 전국적인 방과후 학교 프로그램도 있지만, 미국의 많은 방과후 학교 프로그램은 주(state) 수준에서 운영된다.[15] 미국에서 가장 오래된 방과후 학교 프로그램인 니커보커 그레이스(Knickerbocker Greys)는 1881년에 설립되었으며 뉴욕시에 위치해 있다.

버지니아 주에서는 Beans and Rice Organization이 경제 및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저소득 및 중간 소득 가정의 자산을 구축하고 역량을 개발하는 지역 사회 경제 개발 기관이다. Beans and Rice는 버지니아 주 풀라스키와 래드퍼드에서 방과후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자원 봉사자들은 멘토, 튜터, 교사 역할을 한다. 모든 자원 봉사자는 Beans and Rice 직원과 숙련된 자원 봉사자로부터 교육과 긴밀한 감독을 받는다. Beans and Rice 방과후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초등학생에게는 간식, 튜터링, 활동적인 놀이 기회 및 긍정적인 역할 모델이 제공된다.[16]

텍사스 주에는 방과후 학교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한 주(state) 차원의 프로그램인 Texas Afterschool Centers on Education, 즉 Texas ACE가 있다. 텍사스 ACE는 텍사스 교육청의 일부이며, 미국의 자원 부족 학교에서 방과후 활동 프로그램을 후원하는 미국 교육부의 21세기 지역 사회 학습 센터 프로그램의 자금 지원을 받는다.[17]

캘리포니아 주에서는 중등 수준의 방과후 프로그램은 주로 [http://www.cde.ca.gov/ls/ba/cp/ 21세기 고등학교 ASSETS (청소년을 위한 방과후 안전 및 교육)] 프로그램 보조금으로 자금을 지원받는다. 이 보조금은 프로그램이 학업, 교육 및 건강 및 영양 구성 요소를 포함해야 한다고 규정한다. 캘리포니아의 초등학교 방과후 프로그램은 주로 유권자가 주 전체에서 승인한 법안 49 (2002)에 따라 의무화된 [http://www.cde.ca.gov/ls/ba/as/ ASES (방과후 교육 및 안전) 프로그램] 보조금으로 자금을 지원받는다. 이러한 보조금은 ASSETS 보조금이 중등 수준에서 제공하는 것의 대부분을 제공하지만, 가족 문해력 구성 요소가 추가로 포함된다. 남부 캘리포니아 전역에서 비영리 단체는 학군과 협력하여 k-12 학생들을 위한 방과후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학군은 지역 방과후 프로그램에 자금을 지원하기 위해 보조금을 신청한다. 그런 다음 학군은 해당 프로그램을 내부적으로 관리하거나 지역 사회 기반 조직(CBO), 비정부 기구(NGO) 또는 기타 지역 비영리 단체에 관리를 아웃소싱한다. LAUSD 학생들에게 제공되는 학군 운영 및 관리 방과후 프로그램인 [https://web.archive.org/web/20100527171242/http://btb.lausd.net/home/ Beyond the Bell]이 있다. 캘리포니아 최대의 비영리 단체인 THINK Together는 로스앤젤레스, 오렌지, 리버사이드 및 샌버나디노 카운티 전역에 위치한 약 200개 학교에서 학업 중심의 방과후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관리하기 위해 약 20개의 남부 캘리포니아 학군 파트너와 계약을 맺고 있다.

공적 자격인 방과후 아동 지원원 외에도, 아동 클럽 직원으로서의 전문성을 증명하기 위한 민간 자격이 존재한다. 비교적 대규모의 자격은 다음과 같다.

자격 종류설명
일반 재단 법인 아동 건전 육성 추진 재단 - 인정 아동 후생원 자격 제도[58][59]아동 후생 2급 지도원, 아동 후생 1급 지도원, 아동 후생 1급 특별 지도원, 아동 건전 육성 지도사의 4가지 등급이 있다. 1급 특별 지도원은 갱신 제도가 있어 3년간 유효하다. 현직 아동관 직원을 위한 자격 제도이지만, 현직 방과후 아동 클럽 직원의 경우 2015년 이후에는 방과후 아동 지원원 인정 강습 수료자여야 한다. (2019년까지 현직자에 준하는 경과 조치가 있었다.)[60]
일반 사단 법인 키즈 코치 협회 (모체는 도큐 그룹) - (3급 - 1급) 인정 키즈 코치[61][62] 및 (3급 - 1급) 키즈 코치 검정[63][64]3급 취득에는 특별한 기초 자격 요건이 없지만, 2급 이상을 취득하려면 직전 하위 급수를 취득해야 한다.
특정 비영리 활동 법인 일본 방과후 아동 지도원 협회 - 방과후 아동 지원사 자격·방과후 전문 아동 지원사 자격·방과후 고도 아동 지원사 자격[65]
일반 사단 법인 일본 학동 보육사 협회 - 학동 보육사 기초·학동 보육사[66]


6. 참여 현황 (일본)

일본에서 아동 복지법상 정식 명칭은 "'''방과후 아동 건전 육성 사업'''"이며, 어린이 가정청[43] (2022년까지는 후생노동성)과 문부과학성이 주관한다.[44] 통칭 '''방과후 아동 클럽'''이라는 용어가 사용되며, 시설은 "방과후 아동 클럽", "학동 클럽", "학동 보육소" 등으로 불리지만, 자치단체나 설치자에 따라 명칭이 다르다. 약칭은 "학동" 또는 "아동 클럽"이다.

방과후 아동 클럽 시설의 명칭은 통일되어 있지 않고 지역, 자치단체, 설치 주체에 따라 "방과후 아동 클럽", "방과후 어린이 교실", "방과후 놀이 광장", "학동 클럽", "학동 보육소" 등 다양하다. 약칭으로는 '''"학동"''' 또는 '''"아동 클럽"'''이라고 불린다. 도쿄도이타바시구의 "아이 키즈 사업"처럼, 방과후 아동 클럽과 전 아동 대책 사업(문부과학성 관할)을 포괄적으로 실시하는 사례에서는 같은 명칭을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사회 복지 법인이나 주식회사 등 운영 사업자가 독자적인 브랜드 명칭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문부과학성과 후생노동성이 공동으로 추진하는 "방과후 어린이 종합 계획"[45]에서는 "방과후 아동 건전 육성 사업"을 "놀이의 장"과 "생활의 장"으로 규정하고 있다.

연도설치 시설 수등록 아동 수대기 아동 수
2020년 7월 1일[39]26,625개소1,311,008명-
2023년 6월 1일[44]--16,276명
2024년 7월 19일[47]-1,515,205명18,462명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와 교육부는 2026년까지 152만 명을 목표로 증원을 추진하고 있다.[44]

7. 관련 법규 (일본)

일본에서의 방과후 아동 건전 육성 사업은 아동 복지법에 근거하며, 정식 명칭은 "'''방과후 아동 건전 육성 사업'''"이다.[43] 주관 부처는 어린이 가정청과 문부과학성이다.[44] 통칭 "'''방과후 아동 클럽'''"으로 불리며, 시설은 "방과후 아동 클럽", "학동 클럽", "학동 보육소" 등 자치 단체나 설치자에 따라 다르게 불린다. 약칭은 "학동" 또는 "아동 클럽"이다.

아동 복지법 제6조 3항의 2에 따르면, 방과후 아동 건전 육성 사업은 초등학생 중 보호자가 노동 등으로 낮 동안 집에 없는 아동에게 수업 종료 후 적절한 놀이 및 생활의 장을 제공하여 건전한 육성을 도모하는 사업이다.

방과후 아동 클럽은 제2차 세계 대전 이전부터 맞벌이 가정이나 한부모 가정의 자율적인 보육 활동으로 시작되었다.[69] 1998년 아동 복지법에 근거한 제2종 사회 복지 사업으로 법제화되었으며, 현재는 저출산 대책으로 성립된 차세대 육성 지원 대책 추진법에 근거한 아동 복지법 개정에 의한 육아 지원 사업 중 하나로 자리 잡고 있다.

과거에는 "대략 10세 미만의 아동"이라는 문구가 있었지만, 개정 법률에 의해 "아동"으로 표현이 변경되어 통상적으로 초등학교 6학년까지 이용이 가능하다. 장애가 있는 아동의 경우, 보조보조금을 통해 수용을 촉진하고 있다.

방과후 아동 클럽은 보호자의 보살핌을 받지 못하는 아동의 안전을 지키고, 학령기 아동의 자립과 건전한 육성을 지원하는 장소이다. "일과 육아의 양립"을 위한 필수적인 제도로,[69] 대기 아동 문제가 발생할 정도로 수요가 높다. 이는 "초등학교 1학년의 벽"이라고 불리며 사회 문제화되고 있다.
연혁:

연도사건
1904년 (메이지 37년)효고현에서 고베시 부인 봉사회가 시내 2곳에서 유아와 아동을 맡음
1928년 (쇼와 3년)오사카부에서 이시이 기념 애염원이 학동 보호부 설치
1940년대일본 각지에서 방과후 아동 클럽 사업 시작
1960년대각지의 방과후 아동 클럽 관계자들의 조직화와 제도화 요구 활동 본격화
1961년 (쇼와 36년)도쿄도 기타구에서 지역 운영 위원회에 대한 보조 시작
1963년 (쇼와 38년)도쿄도 시부야구 "시부야 학동관" 설치 (공설 공영 방과후 아동 클럽의 시작)
1966년 (쇼와 41년) 4월문부성 (현재의 문부과학성)이 결석 가정 아동회 육성 사업 보조 요강에 의한 아동회 육성 사업 시작
1971년 (쇼와 46년)"결석 가정 아동회 보조 사업" 중단, "교정 개방 사업"에 통합
1974년 (쇼와 49년)총리부 부녀 문제 종합 조사 보고서에서 방과후 아동 클럽 제도화 제언
1976년 (쇼와 51년) 4월후생노동성이 도시 아동 건전 육성 사업 실시 요강에 의해 "아동 육성 클럽" 설치 · 육성 사업 시작 (방과후 아동 클럽에 대한 국고 보조의 시작)
1991년 (헤이세이 3년)도시 아동 건전 육성 사업 실시 요강 폐지, 방과후 아동 대책 사업 실시 요강에 의한 방과후 아동 대책 사업으로 계승
1993년 (헤이세이 5년)종합 연구 개발 기구 (NIRA)가 방과후 아동 클럽 제도화 제언, 후생성이 방과후 아동 클럽 법제화 검토 시작
1997년 (헤이세이 9년) 6월 3일아동 복지법 등 일부 개정 법률 성립, 방과후 아동 클럽이 "방과후 아동 건전 육성 사업"으로 법제화
1998년 (헤이세이 10년) 4월 1일방과후 아동 클럽, 아동 복지법과 사회 복지법에 근거한 제2종 사회 복지 사업으로 시행
2007년 (헤이세이 19년) 10월 19일방과후 아동 클럽 가이드라인 제정, 운영 최저 기준 명시
2015년 (헤이세이 27년) 3월 31일방과후 아동 클럽 운영 지침 제정, 표준적인 설비 및 운영 방침 명시, 방과후 아동 클럽 가이드라인 폐지
2015년 (헤이세이 27년) 4월 1일방과후 아동 건전 육성 사업의 설비 및 운영에 관한 기준 시행, 방과후 아동 지원원 제도 시작 (5년간 경과 조치 후 필수화)
2020년 (레이와 2년) 4월 1일방과후 아동 지원원 설치 경과 조치 종료, 지원원 필수 의무화


8. 비판 및 문제점

방과후학교 활동은 아이의 삶에 지나치게 많은 틀을 부여한다는 비판을 받는다. 느린 육아 옹호자들은 아이들이 스스로 생각을 발전시킬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중요하다고 믿는다.[36] 이들은 아이들이 지루함을 느끼는 과정에서 다른 할 일을 생각해내고, 어른의 간섭이 거의 없는 환경에서 창의성을 발휘한다고 주장한다. 구조화된 방과후 학교 프로그램은 이러한 창의성과 자기표현을 저해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도교무위 개념 역시 일상생활에서의 자발성을 강조한다.[37]

또한, 방과후학교 활동 참여가 학생들의 스트레스와 불안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많은 방과후학교 활동에 참여하는 것은 과잉보호의 징후 중 하나로 여겨지기도 한다.[38]

8. 1. 한국

방과후학교 활동에 대한 비판으로는 담당 교사의 업무 가중, 자발적 참여의 어려움, 회계 처리 업무의 어려움 등이 제기된다. 또한, 이러한 활동에 참여하는 것이 학생들의 스트레스와 불안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점도 지적된다. 많은 방과후학교 활동에 참여하는 것은 과잉보호의 흔한 징후 중 하나로 여겨진다.[38] 과잉보호는 중산층 또는 상류층 가정에서 더 흔하게 나타나며, 부모는 자녀를 보호하거나 사회성, 학업 발달 또는 미래 전망을 개선하기 위해 자녀의 일정을 과도하게 관리하는 경향이 있다.[38] 이는 자녀에게 독립심과 대처 능력 부족, 낮은 자존감, 스트레스 및 불안 관련 장애와 같은 지속적인 심리적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38] 심리학자 매들린 레빈은 저서 ''특권의 대가''에서 과잉보호가 사회경제적으로 특권층인 자녀에게 미치는 심리적 영향, 특히 방과후학교 활동 참여의 영향을 조사했다. 그녀는 부유한 가정의 자녀가 불안과 우울증과 같은 심리적 장애를 겪을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것을 발견했다. 레빈이 연구한 아이들은 부모가 등록시킨 방과후학교 활동에 너무 많은 시간을 할애하여 심리적 내면의 힘과 학업 성취의 강력한 전조인 자기 관리를 제대로 발달시키지 못했다.[4]

8. 2. 일본

일본에서 아동 복지법상 정식 명칭은 '''방과후 아동 건전 육성 사업'''이며, 주관 부처는 어린이 가정청[43] (2022년까지는 후생노동성)과 문부과학성이다.[44] 성령이나 국장 통지 등에서는 '''방과후 아동 클럽'''이라는 용어가 사용된다. 사업을 실시하는 시설은 "방과후 아동 클럽", "학동 클럽", "학동 보육소" 등으로 불리지만, 자치 단체나 설치자에 따라 명칭이 다르다. 약칭은 "학동" 또는 "아동 클럽"이다.

방과후 아동 클럽 시설의 통일된 명칭은 없으며, 지역, 자치단체, 설치 주체에 따라 다양하다. "방과후 아동 클럽", "방과후 어린이 교실", "방과후 놀이 광장", "학동 클럽", "학동 보육소", "부재 가정 아동회(실)", "아동 육성회(실)" 등이 주요 명칭이다. 약칭으로는 '''"학동"''' 또는 '''"아동 클럽"'''이라고 불린다. 도쿄도이타바시구의 "아이 키즈 사업"처럼, 방과후 아동 클럽과 전 아동 대책 사업(문부과학성 관할)을 포괄적으로 실시하는 사례에서는 방과후 아동 클럽과 전 아동 대책이 같은 명칭인 경우도 있다. 또한, 방과후 아동 클럽의 민간 참여가 활발한 지역에서는 사회 복지 법인이나 주식회사 등 운영 사업자가 독자적인 브랜드 명칭을 사용하기도 한다.

문부과학성과 후생노동성이 공동으로 추진하는 "방과후 어린이 종합 계획"[45]에서는 "방과후 아동 건전 육성 사업"을 "놀이의 장"과 "생활의 장"으로 규정하고 있다.

8. 3. 미국

방과후 학교 활동에 대한 비판 중 하나는 아이의 삶에 너무 많은 경직성을 부여한다는 점이다. 느린 육아 옹호자들은 아이들이 스스로의 생각을 발전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믿는다.[36] 지루함을 느끼는 것은 다른 할 일을 생각해내는 과정의 일부이며, 어른의 간섭이 거의 또는 전혀 없는 환경은 아이들이 자신만의 창의성을 표현하도록 돕는다. 이러한 이론을 지지하는 사람들은 구조화된 방과후 학교 프로그램이 아이들 사이에서 그러한 창의성과 자기 표현의 길을 빼앗아갈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한다. 이와 유사하게, 도교무위 개념은 문자 그대로 "무위"로 번역되며, 일상생활에서의 자발성을 지지한다.[37] 따라서, 조직적인 방과후 학교 활동을 통해 감독을 받고 교훈주의적인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데서 이점을 얻는 아이들이 있을 수 있지만, 다른 아이들은 스스로 또는 최소한의 감독으로 더 많은 것을 성취할 수 있다.

참조

[1] 논문 The impact of after-school childcare arrangements on the developmental outcomes of low-income children 2017-02
[2] 논문 Elaine Clanton Harpine: After-School Prevention Programs for At-Risk Students: Promoting Engagement and Academic Success: Springer, New York, NY, 2013, 134 pp, 2015-07
[3] 서적 Organized activities as contexts of development: extracurricular activities, after-school and community programs https://books.google[...] Lawrence Erlbaum Associates
[4] 서적 The Price of Privilege: How Parental Pressure and Material Advantage Are Creating a Generation of Disconnected and Unhappy Kids https://archive.org/[...] HarperCollins
[5] 논문 Learning and Development in After-School Programs
[6] 논문 Effects of After-School Programs with At-Risk Youth on Attendance and Externalizing Behavior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5-03
[7] 논문 Closing the Achievement Gap
[8] 논문 AFTER-SCHOOL PROGRAMS: BENEFITS,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https://digitalcommo[...] 2018-01-01
[9] 논문 Afterschool Programs in America: Origins, Growth, Popularity, and Politics https://jyd.pitt.edu[...] 2009-09-01
[10] 논문 Developing and Improving After-School Programs to Enhance Youth's Personal Growth and Adjustment: A Special Issue of AJCP http://doi.wiley.com[...] 2010-06
[11] 논문 The Changing Nature of Private Engagement in Public Education: For-Profit and Nonprofit Organizations and Educational Reform http://www.tandfonli[...] 2011-07
[12] 간행물 America after 3PM Special Report: Afterschool in Communities of Concentrated Poverty https://files.eric.e[...] Afterschool Alliance 2016-08
[13] 논문 After-school time use in Taiwan: Effects on educational achievement and well-being
[14] 웹사이트 Afterschool.ae to Launch a Mobile Application for Android and iOS https://finance.yaho[...] 2015-06-08
[15] 웹사이트 Afterschool Alliance http://www.afterscho[...]
[16] 문서 Beans & Rice http://www.beansandr[...]
[17] 논문 2016-2017 Strategic Plan for Expanded Learning Opportunities
[18] 논문 Voluntary Participation and Parents' Reasons for Enrollment in After-School Programs: Contributions of Race/Ethnicity, Program Quality, and Program Policies 2010-12
[19] 서적 Juvenile Offenders and Victims: 1999 National Report http://www.ncjrs.gov[...] Office of Juvenile Justice and Delinquency Prevention
[20] 문서 After-school fact sheet https://web.archive.[...]
[21] 논문 School Crime Control and Prevention 2010-01
[22] 논문 Do After School Programs Reduce Delinquency? 2004-12
[23] 논문 Impact of a Positive Youth Development Program in Urban After-School Settings on the Prevention of Adolescent Substance Use 2007-09
[24] 논문 Low-Income Children's After-School Care: Are there Beneficial Effects of After-School Programs?
[25] 논문 A meta-analysis of after-school programs that seek to promote personal and social skill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26] 논문 Motivational Regulations Among At-Risk Students in an After School Activity Program 2017
[27] 논문 Learning and Development in After-School Programs 2011-02
[28] 논문 After-school programs for adolescents: A review of evaluative research
[29] 간행물 After-School Programs, Antisocial Behavior, and Positive Youth Development: An Explo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rogram Implementation and Changes in Youth Behavior 2003
[30] 논문 Fostering Educational Resilience and Achievement in Urban Schools Through School-Family Community Partnerships https://digitalcommo[...] 2005-02-01
[31] 논문 Caring relationships as a protective factor for at-risk youth: An ethnographic study.
[32] 논문 The Role of Protective Factors in Supporting the Academic Achievement of Poor African American Students During the Middle School Transition 2000-04
[33] 서적 Encyclopedia of Cross-cultural School Psychology
[34] 간행물 Summer Learning Loss: The Problem and Some Solutions 2003-05
[35] 논문 Addressing Summer Reading Setback Among Economically Disadvantaged Elementary Students 2010-10-06
[36] 서적 Under Pressure: Rescuing Our Children From The Culture Of TYPEr-Parenting Orion
[37] 논문 Wei-wu-wei: Nondual action
[38] 논문 Over-Parenting
[39] 웹사이트 放課後児童健全育成事業について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2021-12-22
[40] 사전 学童保育 小学館
[41] 뉴스 早朝も安心 子どもの居場所/校庭・学童開放 共働きのニーズ高まり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23-12-22
[42] 논문 子どもの放課後の未来-学童保育の現状と課題 https://warp.da.ndl.[...] 국민생활센터 2021-12-22
[43] 웹사이트 政策 > こども・子育て支援 > 放課後児童健全育成事業(放課後児童クラブ) https://www.cfa.go.j[...] こども家庭庁
[44] 뉴스 学童保育受け皿152万人分 26年度までに:待機児童解消へ新対策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23-12-26
[45] 웹사이트 「放課後子ども総合プラン」について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2014-08-13
[46] 문서 平成13年12月20日雇児育発第114号厚生労働省雇用均等・児童家庭局育成環境課長通知
[47] 웹사이트 学童待機児童、最多1万8462人:朝日新聞デジタル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24-07-20
[48] 간행물 学童保育はどこが運営しているのか https://www2s.biglob[...] 全国学童保育連絡協議会
[49] 웹사이트 2015年4月〜学童保育に新しい資格誕生!「放課後児童支援員」とは!? http://www.brush-up.[...] BrushUP学び
[50] 문서
[51] 법령 昭和二十三年十二月二十九日厚生省令第六十三号([[総務省]]e-gov)
[52] 문서
[53] 문서
[54] 문서
[55] 웹사이트 資料4 放課後児童支援員の基礎資格の拡大について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2018-09-02
[56] 문서
[57] 서적 放課後児童支援員都道府県認定資格研修教材 認定資格研修のポイントと講義概要 中央法規出版
[58] 웹사이트 認定児童厚生員資格制度 http://www.jidoukan.[...] 一般財団法人児童健全育成推進財団
[59] 문서
[60] 웹사이트 【別紙1】研修参加対象者.pdf http://www.jidoukan.[...] 一般財団法人児童健全育成推進財団
[61] 웹사이트 認定キッズコーチ http://www.kidscoach[...] 一般社団法人キッズコーチ協会
[62] 웹사이트 認定キッズコーチとは http://www.kidscoach[...] 一般社団法人キッズコーチ協会
[63] 웹사이트 キッズコーチ検定 http://www.kidscoach[...] 一般社団法人キッズコーチ協会
[64] 웹사이트 キッズコーチ検定とは http://www.kidscoach[...] 一般社団法人キッズコーチ協会
[65] 웹사이트 放課後児童指導員資格制度 http://www.ja-acc.jp[...] 日本放課後児童指導員協会
[66] 웹사이트 学童保育士協会 認証資格 http://www.gakuhoshi[...] 日本学童保育士協会
[67] 뉴스 「子どもの命預かる」学童保育担当者を“スキマバイトアプリ”で募集 履歴書提出や面接も無し…さいたま市の「放課後子ども居場所事業」 https://www.fnn.jp/a[...] FNNプライムオンライン 2024-09-13
[68] 웹사이트 学童待機児が1600人増 前年比、整備追い付かず https://news.yahoo.c[...] 共同通信 2023-12-22
[69] 간행물 仕事と家庭の両立支援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2011
[70] 웹사이트 애프터 스쿨 https://ko.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