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위안부는 일본군에 의해 강제로 성적 노예가 된 여성들을 지칭하며, 특히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 제국에 의해 조직적으로 운영된 '위안소'에서 성적 착취를 당한 여성들을 의미한다. 한국에서는 '일본군 '위안부''라는 용어가 공식적으로 사용되며, 이 제도는 일본군의 성병 예방, 군기 유지 등을 목적으로 설치되었다. 위안부 모집은 강제적인 형태로 이루어졌으며, 피해자들은 열악한 환경과 극심한 학대를 겪었다. 일본 정부는 위안부 문제에 대한 책임을 인정하고 사과했지만, 강제성을 부인하거나 역사 왜곡을 시도하며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국제 사회는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해 일본 정부의 사과와 보상을 촉구하고 있으며, 한국에서는 피해자 지원과 진상 규명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가 이루어졌으나, 피해자들의 의견 수렴 부족과 법적 책임의 불분명함으로 인해 논란이 발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여성사 - 내명부
조선시대 내명부는 왕을 보필하는 후궁과 궁녀들을 총칭하는 용어로, 왕비와 대비를 제외한 궁궐 여성들을 지칭하며 후궁인 내관과 궁녀인 궁관으로 구성되어 왕실 위계질서를 반영하고 여성의 역할과 지위를 보여준다. - 한국의 여성사 - 현모양처
현모양처는 훌륭한 어머니이자 어진 아내를 의미하는 단어로, 중국과 일본에서 유래되었으며, 시대와 문화에 따라 여성의 역할에 대한 다양한 해석을 담고 있다. - 중국의 여성사 - 철고랑
철고랑은 여성의 정치 참여 비판에서 시작되어 강인한 여성 정치인을 비유하는 긍정적 의미로도 쓰였으며, 중국에서는 "철의 소녀" 칭호와 함께 사회주의 선전의 일부로 활용되었으나, 페미니즘 및 노동 불평등 문제와 관련하여 비판도 받았다. - 중국의 여성사 - 중국의 4대 미인
중국의 4대 미인은 시대를 초월한 아름다움의 상징으로, 서시, 왕소군, 초선, 양귀비가 대표적이며, 빼어난 미모와 삶, 역사적 배경, 문화적 영향력 등을 기준으로 선정되었고, 이들의 아름다움을 묘사하는 "침어낙안, 폐월수화"라는 고사성어가 존재하며, 초선은 가상의 인물로 시대에 따라 4대 미인에 대한 설은 다르게 언급되기도 한다. - 강제 성매매 - 강간
- 강제 성매매 - 성노예
성노예는 한 인간에 대한 소유권 행사로서 강간, 성적 학대, 강제 성행위 등 지속적인 인권 침해 행위를 의미하며, 국제형사재판소 로마 규정은 성적 예속을 범죄로 규정하고 인신매매, 강제 결혼 등 다양한 형태를 포함하며, 역사적으로 전쟁, 빈곤 등과 연관되어 발생해왔고 국제사회가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위안부 | |
---|---|
위안부 | |
![]() | |
명칭 | |
일본어 | , 이안후 |
로마자 표기 | ianfu |
기타 명칭 | 종군 위안부 성노예 |
개요 | |
정의 | 과거 전쟁 중에 일본군 시설, 예를 들어 위안소 등으로 끌려가 장기간 군인들에게 성 서비스를 강요당한 여성들 |
시기 | |
기간 | 1932년–1945년 |
위치 | |
장소 | 아시아 |
관련 정보 | |
추정 인원 | 360,000명에서 410,000명 |
출신 지역 | 일본이 1945년 이전에 합병하거나 점령한 모든 지역 또는 국가 대부분 중국인 또는 한국인 |
관련 문서 | 위안부: 새로운 뮤지컬 예술 작품 속 위안부 |
관련 인물 | |
관련 인물 | 요시미 요시아키 하타 이쿠히코 프라모에디아 아난타 토에르 기시다 후미오 |
사건 관련 정보 | |
언론 보도 | 뉴욕타임스 |
기타 정보 | 국제 형사법 리뷰 국제 문제 저널 코넬 외교관 |
법적 문제 | |
관련 문서 | 2015 한일 위안부 합의 |
위안부 관련 시설 | |
관련 시설 | 위안소 |
일본의 입장 | |
일본 정부 | 무라야마 담화에서 '위안부' 문제에 대한 사죄와 반성을 표명 |
고노 담화 | 일본군이 위안소 설치와 관리에 관여했음을 인정하고 사죄 |
아베 담화 | 과거의 잘못에 대해 사죄하고 반성 |
2015년 한일 합의 | 일본 정부는 한국 정부와 위안부 문제에 대한 합의를 도출, 이에 따라 일본 정부는 재단 설립 및 출연금을 지급 |
기시다 후미오 | 한일 합의를 한국 정부가 이행해야 한다고 주장 |
2. 명칭
한국 내 정식 명칭은 "일본군 '위안부'"이다. '위안'이라는 단어가 일본군 입장에서 서술된 것이기 때문에 작은따옴표를 이용하여 "일본군 '위안부'"로 표기하는 것이 정확하다. '여자정신대'와 위안부는 다르다. 여자정신대는 일본 정부에 징용되어 일반적인 노동을 강요당한 여성을, 일본군 '위안부'는 성적인 행위를 강요당한 여성을 일컫는다. '정신대'의 '정신(挺身)'은 '솔선하여 앞장선다'는 뜻으로 적절한 용어가 아니다.
대한민국 관계 법령에서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라고 사용하고 있다. '위안부'라는 용어는 가해자인 일본군 중심의 용어라는 비판도 있으나, 당시의 공식 문서에서 사용되고 있어 일본군 또는 정부의 개입 사실을 보여주는 용어라는 의미도 있다. 피해 여성 입장에서 '성노예'로 부를 수 있으나, 강한 어감 때문에 피해 여성들은 '성노예'라는 명칭에 부정적이다.[587]
1998년 유엔 인권소위원회 특별 보고관의 보고서에서는 '일본군 성노예(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 문제의 본질을 드러내는 국제적인 용어로 많은 지지를 받고 있다.
1944년 10월 1일 미국 육군 전쟁 정보국(영어판, 약칭 OWI) 심리 작전반은 ''Japanese Prisoner of War Interrogation Report No.49.''(일본인 포로 심문 보고 제 49호)를 작성했다.[588] 이는 버마에서 포로로 잡힌 한국인 위안부 20명 및 일본 민간인 2명을 심문한 내용을 기록한 보고서이다.
일본 정부는 공식적으로 '종군위안부(從軍慰安婦)'라는 말을 사용하고 있으나, '종군'이라는 말에 내포된 자발적인 의미가 부적절하며 일본 극우 세력에서 쓰는 표현이기 때문에 옳지 못한 명칭이라는 지적이 있다.[589]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은 중일전쟁과 태평양전쟁을 치르는 동안 군대 위안소를 제도화하고, 식민지 및 점령지 출신의 여성들을 성노예로 삼았다. 김종필 전 국무총리는 일제강점기에 위안부로 끌려가던 조선의 누이들을 직접 보았다고 증언했다.[590] 일본군이 영내 위안소에 식민지 여성들을 끌고 가 병사들을 상대로 강제적인 성노리개로 삼은 것을 "위안부"라 불렀는데, 이는 완곡어법이며 실제로는 성노예였다.
정의기억연대 및 관련 단체들이 해외 언론에 사용하는 '성노예'라는 표현에 대해, 오랫동안 활동해 온 전(前) 위안부 피해자들은 부적절하다고 비판하고 있다.[429][430]
현재 한국에서는 일본과 마찬가지로 '''위안부'''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일본을 비난하는 한국 민간 단체는 2018년까지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정신대'는 '여자근로정신대'를 의미하며, 주로 공장 등에서 일하는 여성을 지칭하며 일본 내지에서 동원되었다.[431] 조선에서도 미혼 여성이 관리의 알선이나 모집을 통해 내지 공장으로 간 사례가 있어, 위안부 모집과 혼동되어 '젊은 여성 정신대는 위안부가 된다'는 소문이 퍼졌다.[432][433] 제2차 세계대전 후에도 한국에서는 유엔군 상대 위안부가 한국 경찰이나 공무원에 의해 '정신대'라고 불리기도 했다.[434] 1990년대 초, 위안부 문제가 사회 문제로 부각되었을 때도 일반 한국인들은 '정신대'를 '위안부'의 동의어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았다. 현재,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는 '일본군성노예제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정의연)로 명칭을 변경하고, 일본군 위안부를 '정신대'가 아닌 '''일본군 위안부'''라고 부르고 있다.[435]
한국에서는 '위안부'라는 단어가 1980년대까지 주로 미군·유엔군 위안부를 지칭했고, 일본군 위안부는 거의 문제가 되지 않았다. 그러나 1990년대에 일본과의 문제가 커지면서 '위안부'라는 단어가 일본군 위안부에게 사용되기 시작했고, 미군·유엔군 위안부에게는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436]
3. 일본군 '위안부' 제도의 성립 배경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 정부는 중일전쟁과 태평양전쟁을 치르는 동안 일본 군인들의 성욕구를 채워주기 위해 집단적 성행위 장소인 군대 위안소를 제도화하고, 식민지 및 점령지 출신의 여성들을 전선으로 수송하여 성노예 역할을 강요했다. 김종필 전 국무총리는 일제강점기에 위안부로 끌려가던 조선의 누이들을 직접 보았다고 증언했다.[590]
초기 위안부 모집은 공개 모집이나 광고 등을 통해 이루어졌지만, 전쟁이 확대되면서 일본 군부는 강제력을 동원하기 시작했다. 1941년 관동군 증강 계획의 일환으로 조선총독부에 조선 여성 2만 명이 요구되었고, 1만 명이 관동군으로 끌려갔다.[592] 타이완 총독부,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에서도 강제 차출이 계속되었다.
1938년 일본 군부는 통첩을 통해 위안부 모집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지적하고, 군의 위신 유지와 사회 문제 예방을 위해 관계 기관과의 협력을 강조했다.[593] 그러나 미국 의회조사국 보고서, 네덜란드 정부문서 등은 일본군의 위안부 강제 동원 증거를 제시하고 있다.[621]
일본군 사령부는 1938년 담화문을 발표하고 위안부 모집을 관리하기 시작했지만, 1993년 8월 일본 관방장관 담화에서 고노 관방장관은 "감언, 강압에 의거하는 등 본인들의 의사에 반하여 모집된 사례들도 많았으며, 관헌이 직접 이에 가담한 일도 있었다"고 인정했다.[593]
3. 1. 일본군의 성병 문제와 초기 위안소
1919년 일본군이 시베리아 출병을 했을 때, 7개 사단 중 1개 사단이 성병 환자로 인해 전투 불능 상태가 되었다. 이러한 손실을 막기 위해 1931년 9월 만주사변 당시에는 군용 공창가(公娼街)가 설치되어 일본군이 가는 곳마다 위안소가 생겨났다. 최전선 수비대를 위해서는 출장 위안부가 파견되기도 했다.[591] 이때부터 위안부를 본격적으로 조달하기 시작했다.
초기 위안부 모집은 공개 모집, 광고 등을 통해 이루어졌다. 1938년 1월 중일전쟁 당시에는 상하이 부근 공창가에 육군 위안소가 설치되었다.[592] 이곳에는 24명의 일본 여성과 80명의 조선 여성이 항상 대기하고 있었는데, 조선 여성들은 대부분 남선 출신이었다.[592]
이들 위안부는 군과 결탁한 매춘업자가 제공하거나 보급장교가 모집하기도 했다. 이때까지는 일본 여성이 아닌 조선 여성에게는 강제성이 크지 않았다. 그러나 전쟁이 확대되면서 위안부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자, 일본 군부는 위안부 차출에 강제력을 동원하기 시작했다. 1941년 7월 관동군 24만 명을 75만 명으로 증강시켜 대(對)소련 전략의 일환으로 삼았으며, 이때 관동군 보급담당 참모 하라는 조선총독부를 방문하여 조선 '도라지꽃' 2만 명을 요구, 1만 명을 관동군 쪽으로 끌어갔다.[592] 위안부 여성에 대한 강제 차출은 타이완 총독부,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에서도 계속되었다.
1932년 상하이 사건 이후 일본군의 중국 여성 대량 강간 사건에 대한 대응으로 상하이에 처음 위안소가 설립되었다.[27] 상하이 참모총장 오카무라 야스지는 추가적인 강간을 막기 위해 위안부 시설 건설을 명령했다.[27] 1937년 난징 대학살 당시 일본군이 많은 중국 여성을 강간한 후, 일본군은 일본이 점령한 중국 영토의 여러 곳에 위안소를 설립하는 정책을 채택했다.[27]
3. 2. 중일전쟁과 위안소 확대
1931년 9월 만주사변 당시 일본군이 가는 곳마다 위안소가 생겼고, 최전선 수비대를 위해 출장 위안부가 파견되기도 했다.[591] 이때부터 위안부 조달이 본격화되었다.
초기 위안부 모집은 공개 모집, 광고 등을 통했다. 1938년 1월 중일전쟁 때는 상하이 부근 공창가에 육군 위안소가 설치되었다.[592]
1937년 난징 대학살 이후, 일본군은 점령지 내 여러 곳에 위안소를 설립하는 정책을 채택했다.[387] 1937년 12월 21일, 상하이 주재 일본 총영사관 경찰서장은 “황군장병위안부녀도래니츠키편의공여방요청노건”을 통해 전선 위안소 설치를 보고했다.[384]
1942년 9월 3일, 육군성 쿠라모토 케이지로 은상과장은 화북 100개소, 화중 140개소, 화남 40개소, 남방 100개소, 남해 10개소, 사할린 10개소 등 총 400개소의 군 위안소 설치 결과를 보고했다.
일본군은 군위안소를 「위안소」라고 불렀다.
일본 정부 조사에 따르면, 일본군 위안소는 오키나와[471], 중국, 필리핀,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태국, 미얀마, 뉴기니, 홍콩, 마카오,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등지에 설치되었으며, 민간업자에 의해 운영되었다.[472]
3. 3. 강제 동원과 인권 유린
당시 일본 정부는 중일전쟁과 태평양전쟁을 치르는 동안 일본 군인들의 성욕구를 채워주기 위해 집단적 성행위 장소인 이른바 군대 위안소를 제도화하고, 식민지 및 점령지 출신의 여성들을 전선으로 수송하여 성노예 역할을 강요했다. 김종필 전 국무총리는 일제강점기에 위안부로 끌려가던 조선의 누이들을 두 눈으로 직접 보았었다고 증언하기도 했다.[590] 일본군이 영내에 설치된 위안소에 식민지 여성들을 끌고 가 병사들을 상대로 강제적인 성노리개로 삼았는데, 이를 자기들 용어로는 "위안부"라고 불렀다. 위안부란 말도 실제로는 완곡어법에 불과했으며 단도직입적으로 말하면 성노예였다. 특히 문제가 되는 부분은 여성들의 의사에 관계없이 강제로 끌고 가거나 혹은 "일자리를 소개시켜 준다", "공장에서 일하게 된다"라고 모집한 뒤 태평양 섬 등지의 외딴 곳에 성노예로 보냈다는 것이다. 그러나 설사 성매매를 시킨다고 고지한 후에 데려갔다고 하더라도 위안부 자체는 심각한 인권 유린이다.
당시 피해 여성들의 증언을 들어보면 구타, 가해는 일상다반사였고, 칼 등으로 몸을 긋거나 담뱃불로 지지는 등 가히 고문에 가까운 생활을 하고 있었다고 한다. 매일 수십 명의 남자들을 상대하기에 성병에 걸리거나 임신 후 강제로 중절수술을 받고 건강이 악화되어 죽는 경우도 많았으며, 배식량은 극도로 떨어져서 영양실조도 많았다고 한다.
1919년 일본군의 시베리아 출병 때 7개 사단 가운데 1개 사단이 성병 환자로 폐인이 되었다. 이 어처구니없는 소모를 막기 위하여 1931년 만주사변 당시에는 군용 공창가가 고정화되어 일본군이 가는 곳마다 위안소가 생겼다. 최전선 수비대를 위해서는 출장 위안부가 파견되기도 했다.[591] 이때부터 위안부를 본격 조달하기 시작하였다.
초기의 위안부 모집은 공개 모집, 광고 등을 통한 모집이었다. 일본군의 병사 위안이라는 전통은 1938년 중일전쟁 때는 상하이 부근 공창가에 육군 위안소를 열었다.[592] 24명의 일본 여자와 80명의 조선 여자가 항시 대기하고 있었는데 조선 여자들은 대부분 남선 출신이었다.[592]
이들 위안부는 군과 결탁한 매춘업자가 제공하거나 보급장교가 모집에 나서기도 하였다. 이때까지는 일본 처녀가 아닌 조선 처녀에게는 강제성은 띄지 않았다. 그러다가 전쟁의 확대로 그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나자 일본 군부는 마침내 위안부 차출에 강제력을 발동하기 시작했다. 1941년 관동군 24만 명을 75만 명으로 증강시켜 대소련 전략의 일환으로 삼았으며, 이때 관동군 보급담당 참모 하라가 조선총독부를 방문, 조선 '도라지꽃' 2만 명을 요구하여 1만 명을 관동군 쪽으로 끌어갔다.[592] 위안부 여성에 대한 강제 차출은 타이완 총독부와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에서도 계속되었다.
종군위안부의 동원 과정에서 강제 및 유괴 방법도 적용되었기 때문에 일본 군부는 1938년 작성된 한 통첩에서 "중일전쟁 지역에서의 위안소 설치를 위해 나지에서 종업부 등을 모집할 때 군부 양해 등의 명의를 이용하기 때문에 군의 위신을 손상하고 또 일반인의 오해를 살 우려가 있으며, 혹은 종군기자·위문자 등을 개입시켜 통제 없이 위안부를 모집함으로써 사회문제를 야기할 우려가 있다.[593]"고 지적했다. 1938년 무렵 일본군에서는 일부 위안부들을 강제로 혹은 위협, 속임수 등의 방법으로 조달한다는 것을 알고 대책을 수립하였다. 또 "모집을 담당한 자들의 인선이 적절하지 못함으로써 모집 방법이 유괴와 비슷하고, 이 때문에 경찰 당국에 검거되어 취조를 받는자가 있는 등 주의를 요할 점 적지 않다. 앞으로 위안부 모집에는 파견군의 통제하에 모집인 선정을 주도 적절하게 하고 그 실시에는 관계 지방의 헌병 및 경찰 당국과 밀접하게 연계하여 군의 위신 유지를 위해 또 사회 문제를 위해 유루 없이 배려하도록 통첩한다.[593]"고 했다.
위안부의 모집 방법은 신문과 언론을 통한 광고모집과 납치, 인신매매, 직업소개소의 알선 등 다양한 방법이 있었다. 그런데 일부는 여자 직공을 선발한다고 허위 광고로 데려간 여성들의 존재도 확인되었다. 미국 의회조사국(CRS) 보고서에 미군이 미얀마에서 발견한 20여 명의 한국인 출신 '위안부'의 증언과 호레이스 언더우드 박사가 미국 정부에 보고한 일본군의 한국인 위안부 강제동원 기록, 네덜란드 정부문서기록보관소에 보관된 일본군 위안부 강제동원 자료 등을 증거로 제시했다.[621]
한편 일부 일본군에서 조선인 부녀자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근거로 일부 위안부를 강제로 징집했음을 뒷받침해주는 판결[622] 이 내려지기도 했다.
위안부를 모집하는 과정에서 '모집을 담당한 자들의 인선이 적절하지 못함으로써 모집 방법이 유괴와 비슷'하게 되어 논란이 되기도 했다. 일부 위안부 징집 담당자는 경찰 당국에 검거[593] 되기도 했다. 1944년 버마에서 잡힌 어떤 조선인 군위안부의 경우 동네에 나타난 일본군속의 여군모집 캠페인을 보고 오게되었다고 한다.[631] 여군이 되려고 했던 이 여성은 업자들의 농간으로 위안부가 되고 말았다.
위안부의 모집과 조달 과정에서 말썽이 생기자 1938년에 가서 일본군 사령부는 담화문을 발표하고 관리하기 시작한다. 위안부의 모집은 일본군과 계약한 업체 또는 위탁으로 모집하였으므로 일본군은 문제 발생, 조달 등의 문제에 개입하게 된다. 1993년 8월의 일본 관방장관 공개 담화에서 고노 관방장관은 "위안부의 모집에 대해서는 군의 요청을 받은 업자가 주로 이를 담당했으나 그 경우도 감언, 강압에 의거하는 등 본인들의 의사에 반하여 모집된 사려들도 많았으며, 관헌이 직접 이에 가담한 일도 있었다[593]"고 하였다.
4. 위안부의 모집과 피해 규모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은 중일전쟁과 태평양전쟁을 치르면서 군인들의 성욕구를 해결하기 위해 군대 위안소를 제도화하고, 식민지와 점령지 출신의 여성들을 전선으로 수송하여 성노예 역할을 강요했다.[590] 김종필 전 국무총리는 일제강점기에 위안부로 끌려가던 조선의 누이들을 직접 보았다고 증언했다.[590]
일본군은 영내에 설치된 위안소에 식민지 여성들을 끌고 가 강제적인 성노예로 삼았는데, 이를 '위안부'라고 불렀다. 이는 완곡어법에 불과했으며, 사실상 성노예였다. 여성들은 "일자리를 소개시켜 준다"거나 "공장에서 일하게 된다"는 말에 속아 태평양 섬 등 외딴 곳으로 보내져 성노예가 되었다.
당시 피해 여성들의 증언에 따르면, 구타와 가해는 일상이었고, 칼로 몸을 긋거나 담뱃불로 지지는 등 고문에 가까운 생활을 했다. 매일 수십 명의 남자들을 상대하면서 성병에 걸리거나 임신 후 강제 중절수술을 받아 건강이 악화되어 죽는 경우도 많았고, 배식량 부족으로 영양실조도 심했다.
태평양전쟁 이후 일본의 전후보상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었지만, 위안부 여성들은 국내에서 오히려 "일본군과 놀다 온 더러운 여자들"이라는 오해와 편견에 시달렸다. 진실이 밝혀진 후에도 육체적, 정신적 피해로 평생 후유증에 시달렸고, 지금도 일본 정부에 피해배상을 요구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위안부 문제를 인정하지 않고 왜곡하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일본 측은 '위안부는 자발적으로 참가했다', '정당한 대가를 받았다', '문서상의 근거가 없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경성일보 등의 기사에 따르면 월 300원에서 최고 3천 원 이하의 수당을 준다는 보도가 있었다.
1919년 일본군의 시베리아 출병 때 7개 사단 중 1개 사단이 성병 환자로 폐인이 되었다. 이를 막기 위해 1931년 9월 만주사변 당시 군용 공창가가 생겼고, 일본군이 가는 곳마다 위안소가 설치되었다.[591] 1938년 1월 중일전쟁 때는 상하이 부근 공창가에 육군 위안소가 설치되어 24명의 일본 여성과 80명의 조선 여성이 대기하고 있었다.[592]
1941년 7월 관동군이 증강되면서 조선총독부에 '도라지꽃' 2만 명을 요구하여 1만 명을 관동군으로 끌고 갔다.[592] 타이완 총독부와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에서도 위안부 차출이 계속되었다.
1939년 위안부 경영 상인들이 거액의 융자를 받아 위안부를 소집하여 총독부의 어용선을 타고 전선으로 향했다.[595] 위안부 징발은 민간 업자들이 주로 담당했지만, 2001년 한국의 위안부 증언집 조사에 따르면, 한국인 징발업자에 의해 동원된 여성은 29.4%였고, 일본인 징발업자에 의해 동원된 한국 여성은 16.0%였다.[594]
1993년 일본의 내각관방장관 고노 요헤이는 관방장관 담화에서 "위안부 모집은 군의 요청을 받은 업자가 주로 담당했다"는 점과 "관헌이 직접 이에 가담한 일도 있었다"고 밝혔다.[598] 1944년 매일신보에는 경성부 종로에서 허(許)씨라는 조선 사람이 조선인 위안부 징발을 담당했다는 기록이 있다.
인도네시아에서는 독립운동가 수카르노가 일본군 협력과 인도네시아인 위안부 모집에 앞장섰다.[602]
1942년 5월 초, 일본은 동남아시아에서의 위안부 모집을 위해 일본인 주선인들을 한국에 파견했다. 이들은 '많은 돈, 가족의 부채 청산 기회, 쉬운 일' 등의 조건을 제시했고, 많은 여성들이 이에 현혹되어 해외 모집에 응했다.[603] 일부는 가족의 빚을 갚기 위해 돈을 미리 받거나, 상이군인 간호 등의 감언에 속아 버마 전선으로 끌려갔다.[603] 이들은 채무로 인해 성노예 처지에 놓였다.[603] 농촌 지역의 극심한 빈곤에 시달리던 소녀들도 있었다.[604]
1992년 일본 요시미 요시아키 교수가 발견한 위안부 관련 서류에는 일본군 참모가 위안소 설치를 명령하는 내용이 담겨 있었다.[605][606] 1956년 중국에서 진행된 일본인 전범 재판에서 스즈키 히라쿠 중장은 조선인과 중국인 여성을 유괴해 위안부로 만들었다는 자필 진술서를 작성했다.[607] 1942년 싱가포르에서 육군 헌병대 통역관으로 근무했던 나가세 다카시는 "조선 위안부들은 모두 군용선에 실려 왔다"고 증언하며, 이들이 "싱가포르의 일본군 식당에서 일하기로 돼 있었는데, 이곳에 도착하자 (일본군이) 위안부를 할 것을 강요했다"고 억울함을 호소했다고 전했다.[608]
1942년 5월부터 8월 20일까지 약 800명의 한국인 위안부가 모집되어 미얀마 랑군으로 상륙했다.[603] 일본군 위안부 총인원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주오 대학 요시미 요시아키 교수는 약 20만 명으로 추정하고 있다.
2001년 한국의 조사에 따르면, 군 위안부 동원에는 군인/군속(20.6%), 순사/경찰관(20.6%), 동네 이장/구장(7.8%) 등이 관여했다. 한국인 모집업자에 의해 동원된 여성은 29.4%였고, 일본인 모집업자에 의해 동원된 여성은 16.0%였다.[594] 위안부 피해자들의 증언에 따르면, 일본인이 직접 동원한 경우에도 반드시 한국인 조력자가 동반되었다.[594]
2000년 북조선의 위안부 218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638]에 따르면, 위안부 모집 및 연행은 일본 정부와 군부의 공권력을 배경으로 네 가지 형태로 진행되었다.
형태 | 인원 | 비율 |
---|---|---|
거주지 강제 연행 또는 여행 중 납치 | 96명 | 44% |
좋은 일자리 주선 명목으로 속여 위안소 억류 | 74명 | 34% |
빚에 팔려가거나 근로정신대 명목으로 모집 후 위안부 연행 | 48명 | 22% |
이들의 당시 나이는 16~19세가 92명(50.5%), 20~24세가 54명(29.7%), 12~15세가 34명(18.8%)였다.[639] 북한의 종군위안부 중 12~15세는 모두 미혼이었고, 16~19세 중 6명, 20~24세 중 53명은 기혼이었다.[640] 일본인 종군위안부들의 평균 연령은 조선인보다 10살 더 많았다.[639]
2007년 4월 17일, 요시미 요시아키와 하야시 히로후미는 도쿄 재판 기록 보관소에서 7개의 공식 문서를 발표했다. 이 문서들은 헌병대를 공격한 아버지를 둔 여성들을 강제로 중국, 인도차이나, 인도네시아의 전선 매춘부로 일하게 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41]
2014년 중국은 일본군이 제2차 세계 대전 전후로 아시아 여성들을 전선 매춘부로 강제 동원했다는 증거로 관동군 기록 보관소의 문서 약 90건을 공개했다.[45] 2014년 6월, 일본 정부 기록 보관소에서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와 인도네시아에서 일본 제국군이 저지른 성폭력과 여성들의 강제 성노예화를 보여주는 추가 공식 문서가 공개되었다.[46]
2015년 연구에서는 중국 정부가 전시 범죄 및 사건에 대한 어떠한 배상도 요구하지 않기로 합의한 1972년 중일 공동성명 때문에 이전에는 접근이 어려웠던 기록 자료를 조사했다. 중국에서 발견된 새로운 문서는 일본군 시설 내 위안부 시설과 한국인 위안부들의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일부 위안부 구입 자금이 일본군의 자금이었다는 것을 입증한다.
상해사범대학 수지량 교수는 중국 길림성 기록 보관소에 보관된 일본 관동군 기록을 조사했다.[47] 이 기록들은 중국과 자바 여러 지역의 "위안부 시설"을 감독했던 일본 헌병대의 활동에 대한 내용이었다.[47]
상하이에서 발견된 문서는 일본군이 점령지 상하이에 일본군을 위한 위안부 시설을 개설한 방법에 대한 세부 정보를 보여준다. 상하이와 난징의 시립 기록 보관소도 조사되었다. 연구 결과의 결론 중 하나는 한국의 관련 기록이 왜곡되었다는 것이다. 일본 제국 정부와 한국의 식민 정부가 위안부의 불법 동원을 기록하는 것을 피하려고 했다는 결론을 내렸다.[48]
수지량 교수는 1938년부터 1945년까지 7년 동안 일본이 점령한 지역의 위안부 수가 36만 명에서 41만 명에 달했으며, 그중 중국인이 약 20만 명으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했다고 결론짓는다.
대부분의 학계 연구자들과 언론은 요시미 요시아키의 추산치를 가장 가능성 있는 범위로 지적한다. 미국의 기념비에 새겨진 "20만 명 이상"이라는 위안부 수와 대조된다.[51]
BBC는 "20만 명에서 30만 명"을 인용하고, 국제법률가위원회는 "역사학자들의 추산치는 10만 명에서 20만 명"이라고 인용한다.[52]
대부분의 여성들은 한국, 중국, 필리핀 등 점령 국가 출신이었다.[53] 군의 "위안부" 시설에 동원된 여성들은 버마, 태국,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말레이아, 만주국, 타이완, 네덜란드령 동인도, 포르투갈령 동티모르,[54] 파푸아뉴기니[55] 등 일본이 점령한 다른 지역에서도 왔다.[41] 위안부 시설은 일본, 중국, 필리핀, 인도네시아, 말레이아, 태국, 버마, 뉴기니, 홍콩, 마카오,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 위치해 있었다.[57] 소수의 유럽계 여성들도 연루되었는데, 대부분 네덜란드[58]와 오스트레일리아 출신이었고, 추산에 따르면 네덜란드 여성만 200~400명이었다.[59]
버펄로 뉴욕주립대학교 노자키 요시코 교수와 다른 자료들에 따르면, 대부분의 여성들은 한국과 중국 출신이었다.[61][62] 바서대학교 치우페이페이에 따르면, 위안부들은 빠른 속도로 다른 여성들로 교체되었기 때문에, 20만~40만 명의 위안부에 대한 그녀의 추산은 타당하며, 대부분이 중국 여성이었다.[64][65] 니혼 대학 교수인 하타 이쿠히코는 허가된 유곽에서 일한 여성의 수는 2만 명 미만이며, 그중 40%가 일본인, 20%가 한국인, 10%가 중국인이고, 나머지 30%는 다른 국적이라고 추산했다.[66]
1940년 매독 치료를 위한 일본군 의료 기록을 추가로 분석한 요시미는, 치료받은 여성의 비율이 위안부 전체 구성을 반영한다면, 한국 여성이 51.8%, 중국 여성이 36%, 일본 여성이 12.2%를 차지한다고 결론지었다.[24]
브루스 커밍스는 일본이 위안부 프로그램을 공급하기 위해 강제 할당량을 부과했고 한국 남성들이 피해자 모집에 가담했다고 썼다. 10만 명에서 20만 명 사이의 한국 여성들이 모집되었다고 밝혔다.[69] 한국에서는 양반이나 관료의 딸들은 자신이나 가족이 독립 성향을 보이지 않는 한 "위안부"로 보내지는 것을 면했고, "위안부"로 끌려간 한국 여성들의 대다수는 가난한 계층 출신이었다.[70]
일본 점령기 필리핀에서는 약 1,000명의 필리핀 여성이 위안부로 만들어졌다.[71] 피해자들은 노예로 전락했을 당시 12세에 불과했다. 많은 생존자들의 회상에 따르면, 주둔지 또는 위안부 시설/매음굴은 필리핀 전역에 흩어져 있었다. 주둔지는 북쪽 카가얀 계곡 지역에서 남쪽 다바오 지역까지 위치해 있었다.[72]
네덜란드령 동인도 초기 침공 당시 일본군은 많은 인도네시아와 유럽 여성들을 강간했다. 헌병대는 이 문제를 통제하기 위해 위안부 프로그램을 설립했다. 헌병대는 수백 명의 유럽 여성을 포함하여 많은 수감 여성을 강제로 매춘부로 일하게 했다.[73]
J.F. 반 와그텐돈크와 네덜란드 방송 재단은 위안부가 되기 위해 수용소에서 데려온 네덜란드 여성의 총수를 400명으로 추산했다.[85][86]
네덜란드 여성 외에도, 인도네시아에서 많은 자바인 여성이 위안부로 동원되었는데, 약 1,000명의 동티모르 여성과 소녀들도 성 노예로 사용되었다.[87] 대부분은 어느 정도 교육을 마친 14~19세의 십대 소녀들이었고, 도쿄나 싱가포르에서의 고등 교육 약속으로 속았다. 전쟁 후, 생존한 많은 자바 위안부들은 자신들이 인신매매 당했던 곳에 머물며 현지 주민들과 통합되었다.[88]
뉴기니 출신 멜라네시아 여성들도 위안부로 사용되었다. 현지 여성들은 라바울에서 위안부로 모집되었고, 일본인 아버지와 파푸아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혼혈 일-파푸아인 여성들도 일정 수 모집되었다.[55]
1985년, 일본 위안부 생존자 시로타 스즈코(1921~1993)는 자신의 자서전을 발표하여 자신과 다른 여성들이 위안부로 겪은 고통을 상세히 설명했다.[90]
2,000명 이상의 타이완 여성이 일본군에 의해 성적 노예로 강제 동원되었고, 2020년 기준으로는 두 명만 생존해 있는 것으로 여겨졌다.[91] 요시미 요시아키는 타이완 위안부의 절반 이상이 미성년자였다고 지적했다.[92][93] 2023년 마지막 타이완 위안부 생존자가 사망했다.[94]
와세다 대학 나카하라 미치코는 말레이시아에서 일본군을 위해 강제로 봉사한 위안부에 대한 논문을 썼다. 일본이 점령 지역에서 단일 민족 집단이 아닌 모든 민족 집단에서 위안부 모집 대상으로 삼았다고 썼다. 한 말레이 여성 위안부는 일본군 병사들에게 위안부 시설에서 강간당하고 성 노예로 강제로 일했다. 말레이시아 여성 강간 피해자는 "나는 동물처럼 일했고, 그들은 마음대로 나를 대했다. 항복할 때까지 그들의 명령에 복종해야 했다"라고 말했다.[95]
일본은 말레이시아의 말레이계 무슬림 소녀들을 강제로 위안부로 만들어 일본군에게 강간당하게 했다. 이 말레이시아 소녀 중 한 명의 경험은 싱가포르에서 일본군에게 강간당했을 때 "하야티의 삶(하야트 하야티)"이라는 역사극으로 만들어졌다.[96]
인도네시아 원주민 무슬림 자바인 소녀들과 여성들은 일본군에게 위안부로 끌려가 강간당했다. 수카르노 마르토디하르조(인도네시아 대통령 수카르노와는 무관)라는 인도네시아 선원은 일본군이 인도네시아 무슬림 자바인 소녀들을 위안부로 인신매매하는 것을 목격했다. 인도네시아 작가 프라무디아 아난타 투르는 자바인 무슬림 인도네시아 소녀들이 일본군에게 성 노예로 끌려간 것과 그들이 상류층 저명한 가정 출신이었고, 일본이 그들에게 딸들이 일본에서 공부할 것이라고 거짓말을 해서 매춘에 보내도록 속였다는 사실을 썼다.[98][99] 인도네시아 초대 대통령 수카르노는 일본군과 협력하여 인도네시아 소녀들을 일본군을 위한 매춘부로 모집했다.[100][101]
4. 1. 모집 방법
1938년 일본군은 중일전쟁에서 점령지를 확대하면서 군 위안소 설치를 늘렸다. 초기의 위안부 모집은 공개 모집이나 광고를 통해 이루어졌다.[592] 당시 경성일보 등의 기사에 따르면, 월 300원에서 최고 3천 원 이하의 수당을 지급한다는 내용이 보도되었다.[592] 상하이 부근의 육군 위안소에는 24명의 일본 여성과 80명의 조선 여성이 대기하고 있었는데, 이들은 대부분 남쪽 출신이었다.[592]1941년 7월, 관동군이 24만 명에서 75만 명으로 증강되면서, 조선총독부에 '도라지꽃' 2만 명을 요구하여 1만 명을 관동군으로 끌고 갔다.[592] 이처럼 전쟁이 확대되면서 일본 군부는 위안부 차출에 강제력을 동원하기 시작했다. 타이완 총독부와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에서도 위안부 차출이 계속되었다.
1939년에는 위안부 경영 상인들이 거액의 융자를 받아 위안부를 소집하여 총독부의 어용선을 타고 전선으로 향했다.[595] 위안부 징발은 민간 업자들이 주로 담당했지만, 2001년 한국의 위안부 증언집 조사에 따르면, 한국인 징발업자에 의해 동원된 여성은 29.4%였고, 일본인 징발업자에 의해 동원된 한국 여성은 16.0%였다.[594]
1993년 일본의 내각관방장관 고노 요헤이는 관방장관 담화에서 "위안부 모집은 군의 요청을 받은 업자가 주로 담당했다"는 점과 "관헌이 직접 이에 가담한 일도 있었다"고 밝혔다.[598] 1944년 매일신보에는 경성부 종로에서 허(許)씨라는 조선 사람이 조선인 위안부 징발을 담당했다는 기록이 있다.
1942년 5월, 일본은 동남아시아에서의 위안 서비스를 위해 한인 위안부를 모집하면서 '많은 돈, 가족의 부채를 없애는 기회, 쉬운 일' 등의 조건을 제시했다.[603] 이에 많은 여성들이 해외 모집에 응했고, 몇백 원의 착수금을 받았다.[603] 가족의 빚을 갚기 위해 상이군인 간호 등의 감언에 속아 버마 전선에 끌려간 이들도 있었다.[603]
1938년 일본군 사령부는 위안부 모집 과정에서 유괴와 비슷한 방법이 사용되고 경찰 당국에 검거되는 사례가 발생하자, 다음과 같은 공식 성명을 발표했다. "모집을 담당한 자들의 인선이 적절하지 못함으로써 모집 방법이 유괴와 비슷하고, 이 때문에 경찰 당국에 검거되어 취조를 받는 자가 있는 등 주의를 요할 점이 적지 않다. 앞으로 위안부 모집에는 파견군의 통제하에 모집인 선정을 주도하고, 그 실시에는 관계 지방의 헌병 및 경찰 당국과 밀접하게 연계하여 군의 위신 유지를 위해 또 사회 문제를 위해 유루 없이 배려하도록 통첩한다."[593]
1992년 요시미 요시아키 교수가 발견한 위안부 관련 서류에는 중국 북부를 점령한 일본군 참모가 위안소 설치를 명령하는 내용이 담겨 있었다.[605][606] 1956년 중국에서 행해진 일본인 전범 재판에서 스즈키 히라쿠 중장의 자필진술서에는 조선인과 중국인 여성을 유괴해 위안부로 만들었다는 진술이 있었다.[607]
2001년 한국의 조사에 따르면, 군 위안부를 동원한 사람은 군인/군속 20.6%, 순사/경찰관 20.6%, 동네 이장/구장(구청장) 7.8%였다.[594] 또한 한국인 모집업자에 의해 동원된 여성은 29.4%, 일본인 모집업자에 의해 동원된 한국 여성은 16.0%였다.[594] 위안부 피해자들의 증언에 따르면, 모집업자나 군인이 직접 동원한 경우에도 반드시 한국인 조력자를 동반했다.[594]
인도네시아에서는 독립운동가들이 네덜란드, 미국 등으로부터의 독립을 위해 일본군을 붙잡아두고자 자국 여성을 위안부로 보내기도 했다.
1938년 일본 군부는 위안부 동원 과정에서 강제 및 유괴 방법이 사용되었음을 인지하고, 위에서 언급된 통첩을 작성했다.[593]
미국 의회조사국(CRS) 보고서는 미얀마에서 발견된 한국인 출신 '위안부' 증언, 호레이스 언더우드 박사가 미국 정부에 보고한 일본군의 한국인 위안부 강제동원 기록, 네덜란드 정부문서기록보관소의 일본군 위안부 강제동원 자료 등을 증거로 제시했다.[621]
2014년 아사히 신문은 요시다 세이지의 증언(일본군이 여성을 유괴한 것을 목격했다)을 증거로 일본군을 단죄했던 기사가 허위였음을 인정하고 기사를 철회했다.[623] 그러나 독자에게 사죄하지 않아 일본 내에서 비판을 받았다.[624][625][626][627] 2014년 9월 12일, 아사히 신문사 기무라 사장은 기자회견을 통해 독자에게 전면적으로 사과했다.[629]
세종대학교 박유하 교수는 "가해성에 대한 책임은 확실히 한국에도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630] 인터뷰한 한 한국인 위안부 피해 여성은 의붓 아버지에 의해 팔려갔고 일본군보다 아버지가 더 밉다고 말했다.[630]
경성부 방산초등학교에서는 도덕 점수가 뛰어난 12살 여학생만을 선발해 도쿄 구경을 시켜준다고 속여 6명을 정신대로 보냈고, 소학교 학생 정신대 모집을 학교별로 배정해 100명을 서울역에서 보냈다는 증언이 있다.[610]
1944년 버마에서 잡힌 어떤 조선인 군 위안부는 동네에 나타난 일본 군속의 여군 모집 캠페인을 보고 왔다고 한다.[631]
1993년 8월 일본 관방장관 공개 담화에서 고노 관방장관은 "위안부 모집은 군의 요청을 받은 업자가 주로 담당했으나, 감언, 강압 등에 의해 본인들의 의사에 반하여 모집된 사례도 많았으며, 관헌이 직접 이에 가담한 일도 있었다"고 밝혔다.[593]
안병직 서울대 명예교수는 "위안부를 일본 국가권력이 강제 동원했다는 자료는 현재 존재하지 않는다. 증언자가 있을 뿐인데, 이것은 참고자료에 불과하다"고 말했다.[632]
지만원은 '수요시위 참가하는 할머니들의 건강과 혈색이 너무 좋아보인다'며 '가짜 위안부가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했다.[634]
2007년 4월 17일, 요시미 요시아키와 하야시 히로후미는 도쿄 재판 기록 보관소에서 발견한 7개의 공식 문서를 발표했다. 이 문서들은 특별경찰대(토쿠케이타이)와 같은 일본 제국군이 헌병대를 공격한 아버지를 둔 여성들을 강제로 중국, 인도차이나, 인도네시아의 전선 매춘부로 일하게 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41]
2007년 5월 12일, 기자 가지무라 타이치로는 1944년 마겔랑에서 발생한 강제 집단 매춘 사건에 대한 증거로 도쿄 재판소에 제출된 30개의 네덜란드 정부 문서를 발견했다고 발표했다.[42]
2014년 중국은 이 문제에 대한 관동군 기록 보관소의 문서 약 90건을 공개했다.[45]
2014년 6월, 일본 정부 기록 보관소에서 추가 공식 문서가 공개되어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와 인도네시아에서 일본 제국군이 저지른 성폭력과 여성들의 강제 성노예화를 보여주는 내용이 담겨 있다.[46]
2015년 연구에서는 이전에는 접근이 어려웠던 기록 자료를 조사했다. 상해사범대학의 수지량 교수는 중국 동북부인 만주에 있는 중국 길림성 기록 보관소에 보관된 일본 관동군 기록을 조사했다.[47] 수 교수는 이 자료들이 위안부 시설이 일본 군 당국에 의해 명령, 지원, 관리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결론지었다.[47]
상하이에서 발견된 문서는 일본군이 점령지 상하이에 일본군을 위한 위안부 시설을 개설한 방법에 대한 세부 정보를 보여준다. 연구 결과의 결론 중 하나는 한국의 관련 기록이 왜곡되었다는 것이다. 일본 제국 정부와 한국의 식민 정부가 위안부의 불법 동원을 기록하는 것을 피하려고 했다는 결론을 내렸다.[48]
4. 2. 모집 지역과 피해 규모
일본군 위안부의 모집 지역은 일본 본토, 한반도, 중국 대륙, 만주, 타이완,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이었다.[599] 1939년 5월 일본에서 출항한 금령환 호의 탑승자 명단에는 일본 본토, 오키나와, 조선에서 온 여성들이 포함되어 있었다.[599] 일본군은 타이완 총독부와 조선에 위안부 추가 공급을 요구했다.[599]필리핀, 중국, 대만,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여성들[600] 외에도 네덜란드 여성들도 위안부로 동원되었다.[601] 인도네시아에서는 독립운동가 수카르노가 일본군 협력과 인도네시아인 위안부 모집에 앞장섰다.[602]
1942년 5월 초, 일본은 동남아시아에서의 위안부 모집을 위해 일본인 주선인들을 한국에 파견했다. 이들은 '많은 돈, 가족의 부채 청산 기회, 쉬운 일'[603] 등의 조건을 제시했고, 많은 여성들이 이에 현혹되어 해외 모집에 응했다.[603] 일부는 가족의 빚을 갚기 위해 돈을 미리 받거나, 상이군인 간호 등의 감언에 속아 버마 전선으로 끌려갔다.[603] 이들은 채무로 인해 성노예 처지에 놓였다.[603] 농촌 지역의 극심한 빈곤에 시달리던 소녀들도 있었다.[604]
1992년 일본 요시미 요시아키 교수가 발견한 위안부 관련 서류에는 일본군 참모가 위안소 설치를 명령하는 내용이 담겨 있었다.[605][606] 1956년 중국에서 진행된 일본인 전범 재판에서 스즈키 히라쿠 중장은 조선인과 중국인 여성을 유괴해 위안부로 만들었다는 자필 진술서를 작성했다.[607] 1942년 싱가포르에서 육군 헌병대 통역관으로 근무했던 나가세 다카시는 "조선 위안부들은 모두 군용선에 실려 왔다"고 증언하며, 이들이 "싱가포르의 일본군 식당에서 일하기로 돼 있었는데, 이곳에 도착하자 (일본군이) 위안부를 할 것을 강요했다"고 억울함을 호소했다고 전했다.[608]
1942년 5월부터 8월 20일까지 약 800명의 한국인 위안부가 모집되어 미얀마 랑군으로 상륙했다.[603] 일본군 위안부 총인원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주오 대학 요시미 요시아키 교수는 약 20만 명으로 추정하고 있다.
2001년 한국의 조사에 따르면, 군 위안부 동원에는 군인/군속(20.6%), 순사/경찰관(20.6%), 동네 이장/구장(7.8%) 등이 관여했다. 한국인 모집업자에 의해 동원된 여성은 29.4%였고, 일본인 모집업자에 의해 동원된 여성은 16.0%였다.[594] 위안부 피해자들의 증언에 따르면, 일본인이 직접 동원한 경우에도 반드시 한국인 조력자가 동반되었다.[594]
2000년 북조선의 위안부 218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638]에 따르면, 위안부 모집 및 연행은 일본 정부와 군부의 공권력을 배경으로 네 가지 형태로 진행되었다.
형태 | 인원 | 비율 |
---|---|---|
거주지 강제 연행 또는 여행 중 납치 | 96명 | 44% |
좋은 일자리 주선 명목으로 속여 위안소 억류 | 74명 | 34% |
빚에 팔려가거나 근로정신대 명목으로 모집 후 위안부 연행 | 48명 | 22% |
이들의 당시 나이는 16~19세가 92명(50.5%), 20~24세가 54명(29.7%), 12~15세가 34명(18.8%)였다.[639] 북한의 종군위안부 중 12~15세는 모두 미혼이었고, 16~19세 중 6명, 20~24세 중 53명은 기혼이었다.[640] 일본인 종군위안부들의 평균 연령은 조선인보다 10살 더 많았다.[639]
2007년 4월 17일, 요시미 요시아키와 하야시 히로후미는 도쿄 재판 기록 보관소에서 7개의 공식 문서를 발표했다. 이 문서들은 헌병대를 공격한 아버지를 둔 여성들을 강제로 중국, 인도차이나, 인도네시아의 전선 매춘부로 일하게 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41]
2014년 중국은 일본군이 제2차 세계 대전 전후로 아시아 여성들을 전선 매춘부로 강제 동원했다는 증거로 관동군 기록 보관소의 문서 약 90건을 공개했다.[45] 2014년 6월, 일본 정부 기록 보관소에서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와 인도네시아에서 일본 제국군이 저지른 성폭력과 여성들의 강제 성노예화를 보여주는 추가 공식 문서가 공개되었다.[46]
2015년 연구에서는 중국 정부가 전시 범죄 및 사건에 대한 어떠한 배상도 요구하지 않기로 합의한 1972년 중일 공동성명 때문에 이전에는 접근이 어려웠던 기록 자료를 조사했다. 중국에서 발견된 새로운 문서는 일본군 시설 내 위안부 시설과 한국인 위안부들의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일부 위안부 구입 자금이 일본군의 자금이었다는 것을 입증한다.
상해사범대학 수지량 교수는 중국 길림성 기록 보관소에 보관된 일본 관동군 기록을 조사했다.[47] 이 기록들은 중국과 자바 여러 지역의 "위안부 시설"을 감독했던 일본 헌병대의 활동에 대한 내용이었다.[47]
상하이에서 발견된 문서는 일본군이 점령지 상하이에 일본군을 위한 위안부 시설을 개설한 방법에 대한 세부 정보를 보여준다. 상하이와 난징의 시립 기록 보관소도 조사되었다. 연구 결과의 결론 중 하나는 한국의 관련 기록이 왜곡되었다는 것이다. 일본 제국 정부와 한국의 식민 정부가 위안부의 불법 동원을 기록하는 것을 피하려고 했다는 결론을 내렸다.[48]
수지량 교수는 1938년부터 1945년까지 7년 동안 일본이 점령한 지역의 위안부 수가 36만 명에서 41만 명에 달했으며, 그중 중국인이 약 20만 명으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했다고 결론짓는다.
대부분의 학계 연구자들과 언론은 요시미 요시아키의 추산치를 가장 가능성 있는 범위로 지적한다. 미국의 기념비에 새겨진 "20만 명 이상"이라는 위안부 수와 대조된다.[51]
BBC는 "20만 명에서 30만 명"을 인용하고, 국제법률가위원회는 "역사학자들의 추산치는 10만 명에서 20만 명"이라고 인용한다.[52]
대부분의 여성들은 한국, 중국, 필리핀 등 점령 국가 출신이었다.[53] 군의 "위안부" 시설에 동원된 여성들은 버마, 태국,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말레이아, 만주국, 타이완, 네덜란드령 동인도, 포르투갈령 동티모르,[54] 파푸아뉴기니[55] 등 일본이 점령한 다른 지역에서도 왔다.[41] 위안부 시설은 일본, 중국, 필리핀, 인도네시아, 말레이아, 태국, 버마, 뉴기니, 홍콩, 마카오,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 위치해 있었다.[57] 소수의 유럽계 여성들도 연루되었는데, 대부분 네덜란드[58]와 오스트레일리아 출신이었고, 추산에 따르면 네덜란드 여성만 200~400명이었다.[59]
버펄로 뉴욕주립대학교 노자키 요시코 교수와 다른 자료들에 따르면, 대부분의 여성들은 한국과 중국 출신이었다.[61][62] 바서대학교 치우페이페이에 따르면, 위안부들은 빠른 속도로 다른 여성들로 교체되었기 때문에, 20만~40만 명의 위안부에 대한 그녀의 추산은 타당하며, 대부분이 중국 여성이었다.[64][65] 니혼 대학 교수인 하타 이쿠히코는 허가된 유곽에서 일한 여성의 수는 2만 명 미만이며, 그중 40%가 일본인, 20%가 한국인, 10%가 중국인이고, 나머지 30%는 다른 국적이라고 추산했다.[66]
1940년 매독 치료를 위한 일본군 의료 기록을 추가로 분석한 요시미는, 치료받은 여성의 비율이 위안부 전체 구성을 반영한다면, 한국 여성이 51.8%, 중국 여성이 36%, 일본 여성이 12.2%를 차지한다고 결론지었다.[24]
브루스 커밍스는 일본이 위안부 프로그램을 공급하기 위해 강제 할당량을 부과했고 한국 남성들이 피해자 모집에 가담했다고 썼다. 10만 명에서 20만 명 사이의 한국 여성들이 모집되었다고 밝혔다.[69] 한국에서는 양반이나 관료의 딸들은 자신이나 가족이 독립 성향을 보이지 않는 한 "위안부"로 보내지는 것을 면했고, "위안부"로 끌려간 한국 여성들의 대다수는 가난한 계층 출신이었다.[70]
일본 점령기 필리핀에서는 약 1,000명의 필리핀 여성이 위안부로 만들어졌다.[71] 피해자들은 노예로 전락했을 당시 12세에 불과했다. 많은 생존자들의 회상에 따르면, 주둔지 또는 위안부 시설/매음굴은 필리핀 전역에 흩어져 있었다. 주둔지는 북쪽 카가얀 계곡 지역에서 남쪽 다바오 지역까지 위치해 있었다.[72]
네덜란드령 동인도 초기 침공 당시 일본군은 많은 인도네시아와 유럽 여성들을 강간했다. 헌병대는 이 문제를 통제하기 위해 위안부 프로그램을 설립했다. 헌병대는 수백 명의 유럽 여성을 포함하여 많은 수감 여성을 강제로 매춘부로 일하게 했다.[73]
J.F. 반 와그텐돈크와 네덜란드 방송 재단은 위안부가 되기 위해 수용소에서 데려온 네덜란드 여성의 총수를 400명으로 추산했다.[85][86]
네덜란드 여성 외에도, 인도네시아에서 많은 자바인 여성이 위안부로 동원되었는데, 약 1,000명의 동티모르 여성과 소녀들도 성 노예로 사용되었다.[87] 대부분은 어느 정도 교육을 마친 14~19세의 십대 소녀들이었고, 도쿄나 싱가포르에서의 고등 교육 약속으로 속았다. 전쟁 후, 생존한 많은 자바 위안부들은 자신들이 인신매매 당했던 곳에 머물며 현지 주민들과 통합되었다.[88]
뉴기니 출신 멜라네시아 여성들도 위안부로 사용되었다. 현지 여성들은 라바울에서 위안부로 모집되었고, 일본인 아버지와 파푸아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혼혈 일-파푸아인 여성들도 일정 수 모집되었다.[55]
1985년, 일본 위안부 생존자 시로타 스즈코(1921~1993)는 자신의 자서전을 발표하여 자신과 다른 여성들이 위안부로 겪은 고통을 상세히 설명했다.[90]
2,000명 이상의 타이완 여성이 일본군에 의해 성적 노예로 강제 동원되었고, 2020년 기준으로는 두 명만 생존해 있는 것으로 여겨졌다.[91] 요시미 요시아키는 타이완 위안부의 절반 이상이 미성년자였다고 지적했다.[92][93] 2023년 마지막 타이완 위안부 생존자가 사망했다.[94]
와세다 대학 나카하라 미치코는 말레이시아에서 일본군을 위해 강제로 봉사한 위안부에 대한 논문을 썼다. 일본이 점령 지역에서 단일 민족 집단이 아닌 모든 민족 집단에서 위안부 모집 대상으로 삼았다고 썼다. 한 말레이 여성 위안부는 일본군 병사들에게 위안부 시설에서 강간당하고 성 노예로 강제로 일했다. 말레이시아 여성 강간 피해자는 "나는 동물처럼 일했고, 그들은 마음대로 나를 대했다. 항복할 때까지 그들의 명령에 복종해야 했다"라고 말했다.[95]
일본은 말레이시아의 말레이계 무슬림 소녀들을 강제로 위안부로 만들어 일본군에게 강간당하게 했다. 이 말레이시아 소녀 중 한 명의 경험은 싱가포르에서 일본군에게 강간당했을 때 "하야티의 삶(하야트 하야티)"이라는 역사극으로 만들어졌다.[96]
인도네시아 원주민 무슬림 자바인 소녀들과 여성들은 일본군에게 위안부로 끌려가 강간당했다. 수카르노 마르토디하르조(인도네시아 대통령 수카르노와는 무관)라는 인도네시아 선원은 일본군이 인도네시아 무슬림 자바인 소녀들을 위안부로 인신매매하는 것을 목격했다. 인도네시아 작가 프라무디아 아난타 투르는 자바인 무슬림 인도네시아 소녀들이 일본군에게 성 노예로 끌려간 것과 그들이 상류층 저명한 가정 출신이었고, 일본이 그들에게 딸들이 일본에서 공부할 것이라고 거짓말을 해서 매춘에 보내도록 속였다는 사실을 썼다.[98][99] 인도네시아 초대 대통령 수카르노는 일본군과 협력하여 인도네시아 소녀들을 일본군을 위한 매춘부로 모집했다.[100][101]
5. 위안부의 생활과 피해 실태
김종필 전 국무총리는 일제강점기에 위안부로 끌려가던 조선의 누이들을 두 눈으로 직접 보았었다고 증언했다.[590]
일본군 위안부의 생활은 열악했으며, 이들은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위안부들은 일본군에 의해 강제로 징집되거나, 취업 사기 등의 방법으로 속아서 위안소로 끌려갔다. "일자리를 소개시켜 준다", "공장에서 일하게 된다"라는 말에 속아 위안부가 되기도 했다.[590]
위안부들은 일본군에 의해 성노예로 취급되었으며, 매일 수십 명의 군인들을 상대해야 했다. 제대로 된 급여를 받지 못했으며, 강제적인 성노예 활동을 해야 했다. 성병에 걸리거나 임신을 하는 경우도 많았으며, 강제로 낙태 수술을 받기도 했다. 또한, 영양실조에 시달렸으며, 건강이 악화되어 사망하는 경우도 있었다.[617]
위안부들은 일본 본토, 한반도, 중국 대륙, 만주, 타이완,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 다양한 지역에서 모집되었다.[599] 1939년 5월 일본에서 출항한 금령환 호의 탑승자 명단에서 위안부와 작부들의 흔적을 볼 수 있는데 일본 본토에서 온 사람도 있고, 오키나와와 조선에서 온 여자도 있었다.[599] 일본군은 타이완 총독부의 타이완 무관에게 위안부를 추가로 공급해줄 것을 요구하고, 조선에도 대량으로 위안부를 차출하기를 요구하였다.[599] 필리핀, 중국, 대만,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여성들[600] 외에도 네덜란드 여성들도 존재하였다.[601] 인도네시아에서는 독립운동가가 위안부 모집에 앞장서기도 했다. 수카르노는 일본군의 점령이 독립을 앞당기는 길이라 보고 일본군 협력과 일본군을 상대로 하는 인도네시아인 위안부 모집에 앞장섰다.[602]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위안소를 운영했던 일본인은 1943년 6월 2일 군 간부로부터 매춘업소를 개설하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인정했다.[609] 일본 국회도서관에 보관되어 있는 극동국제군사재판의 문서 중에는 일부 현지 여성을 강제로 '위안부'로 만든 사실이 진술되어 있다.
위안부의 참여 연령대는 모집 당시 기준 17세, 18세에서 30세였다. 일본이 군 공창제로서의 위안소를 설치하고 성노예를 일본인 창녀나 윤락녀만으로는 부족하여 그 식민지인 조선 등의 여성들로 충당하려 했을 경우, 종래 극소수밖에 없었던 조선인 매음녀만으로 충당하기에는 너무 부족했고 결국 일반 여성을 충당할 수밖에 없었다.[614]
위안부들은 백원 이상의 착수금을 받았고, 첫 계약 액수는 기백원 대였다.[603] 위안부들이 받는 매달 월급은 300원에서 최고 3천원 이하였다.[616] 위안부들은 매달 평균 1500엔을 벌었지만 수입의 최소 750엔을 식비, 화장품비 등으로 떼였다.[617] 또한 수당 외에 선불금 3천원을 받기도 했다.[597] 일부 위안부들은 계약 기간이 존재하는 계약직이었고, 계약 기간은 착수금의 많고 적음에 따라서 6개월 내지 1년[603] 이상이었다.
2000년 북조선의 위안부 21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638]
연행 방법 | 인원 | 비율 |
---|---|---|
거주지에서 강제 연행되거나 여행 중에 납치 | 96명 | 44% |
좋은 일자리를 주선해 준다고 속여 위안소에 억류 | 74명 | 34% |
일본군 지령으로 위안부 모집에 나선 민간업자에게 빚에 팔려가거나 근로정신대 명목으로 모집되었다가 나중에 위안부로 다시 연행된 경우 | 48명 | 22% |
이들의 당시 나이를 보면 16~19세가 92명(50.5%), 20~24세가 54명(29.7%), 12~15세가 34명(18.8%)였다.[639] 북한의 종군위안부 중 12~15세인 34명은 전부 미혼이었고, 16~19세 92명 중 6명은 기혼이었다. 20~24세 54명 중에는 1명만이 미혼이었고, 30세 이상 2명은 모두 기혼여성이었다.[640] 한편 일본인 종군위안부들의 연령은 조선인 종군위안부들보다 평균 10살이 더 많았다.[639] 일본인 위안부들의 평균 연령은 20대 초반에서 20대 중반이었다.
한국, 중국, 필리핀을 포함한 점령 국가 출신 여성들이 대부분이었다.[53] 군의 "위안부" 시설에 동원된 여성들은 버마, 태국,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말레이아, 만주국, 타이완(당시 일본의 속령), 네덜란드령 동인도, 포르투갈령 동티모르,[54] 파푸아뉴기니[55](일부 혼혈 일-파푸아인 포함)[56] 등 일본이 점령한 다른 지역에서도 왔다.[41] 위안부 시설은 일본, 중국, 필리핀, 인도네시아, 말레이아, 태국, 버마, 뉴기니, 홍콩, 마카오,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 있었다.[57] 소수의 유럽계 여성들도 연루되었는데, 대부분 네덜란드[58]와 오스트레일리아 출신이었고, 추산에 따르면 네덜란드 여성만 200~400명이었다.[59]
전쟁이 끝난 후에도 위안부들은 "일본군과 놀다 온 더러운 여자들"이라는 오해와 편견에 시달려야 했다. 이들은 육체적, 정신적 피해를 포함하여 평생 후유증에 시달렸으며, 현재도 일본 정부에 피해 배상을 요구하고 있다.
5. 1. 강제적인 성노예 생활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 정부는 중일전쟁과 태평양전쟁을 치르는 동안 일본 군인들의 성욕구를 채워주기 위해 집단적 성행위 장소인 이른바 군대 위안소를 제도화하고, 식민지 및 점령지 출신의 여성들을 전선으로 수송하여 성노예 역할을 강요했다.[590] 일본군은 영내에 설치된 위안소에 식민지 여성들을 끌고 가 병사들을 상대로 강제적인 성노리개로 삼았는데, 이를 자기들 용어로는 "위안부"라고 불렀다. 위안부란 말은 실제로는 완곡어법에 불과했으며 단도직입적으로 말하면 성노예였다. 특히 문제가 되는 부분은 여성들의 의사에 관계없이 강제로 끌고 가거나 혹은 "일자리를 소개시켜 준다", "공장에서 일하게 된다"라고 모집한 뒤 태평양 섬 등지의 외딴 곳에 성노예로 보냈다는 것이다. 그러나 설사 성매매를 시킨다고 고지한 후에 데려갔다고 하더라도 위안부 자체는 심각한 인권 유린이다.당시 피해 여성들의 증언을 들어보면 구타, 가해는 일상다반사였고, 칼 등으로 몸을 긋거나 담뱃불로 지지는 등 가히 고문에 가까운 생활을 하고 있었다고 한다. 매일 수십 명의 남자들을 상대하기에 성병에 걸리거나 임신 후 강제로 중절수술을 받고 건강이 악화되어 죽는 경우도 많았으며, 배식량은 극도로 떨어져서 영양실조도 많았다고 한다.
일본군 위안부가 보수를 받았다는 것을 보여주는 증거는 다음과 같다.
- 당시 신문인 『경성일보(京城日報)』1944년7월 26일의 위안부 모집 광고에는 “월수입 300엔 이상, 전대금 3000엔 가능”이라고 기재되어 있었다.[478]
- 일본인 전쟁 포로 심문 보고서 No.49에 따르면, 북 버마 미치나(미트키나) 위안소의 위안부들은 월평균 1500엔의 총수익을 올렸고, 750엔을 전대금 상환에 썼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수입은 월 1000\~2000엔, 계약 기간은 6개월\~1년이었고 일부는 귀환했으며, 위안부에게는 매달 밀가루 2포대, 그 가족에게는 매달 잡곡 30kg이 배급되었고, 위안부의 의식주, 의약품, 화장품은 군이 무료로 배급했으며, 병사의 월급은 15엔\~25엔이었다고 기록되어 있다.[480][481] 그러나 이 보고서에는 업자가 식량, 기타 물품의 대금을 위안부에게 요구했기 때문에 “그녀들은 생활고에 시달렸다”고도 적혀 있다.
- 중국 한구(漢口)의 약 33만 명과 전 병사의 금전 출납장을 조사해 보니, 3분의 1이 음식비, 3분의 1이 우편 저축, 3분의 1이 “위안소”에 대한 지출이었다고 한다. 위안소의 요금은 여성의 출신지에 따라 상중하로 등급이 매겨졌고, 병사는 계급이 높을수록 이용할 수 있는 시간이 길어지고 요금은 비싸졌다고 한다.[420]
- 기원에서 10년간 창녀를 했던 타카야스 야에는 라바울에서 위안부가 되었고 “1인당 5분으로 제한하여, 하룻밤에 200엔이나 300엔을 버는 것은 불가능했다”고 회상하고 있다.[485]
- 스마랑 사건(백마 사건)의 BC급 재판 판결문에 따르면, 몇몇 여성은 보수를 거절했지만, 받은 여성은 그 돈으로 자유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장교 클럽”에서는 하룻밤에 한 명의 남성을 상대하고, 남성이 요금으로 지불한 4길더 중 1길더 1센트를 받아 그 돈으로 음식과 위생 용품을 구입했다고 되어 있으며, “위안소 히노마루(日の丸)”에서는 1시간에 1길더 50센트의 요금 중 45센트를 받았다고 위안부 자신이 증언하고 있다.[486]
- 송신도(宋神道)는 빚이 없었지만 조선에서의 여비, 식비 등의 경비를 모두 빚으로 지게 되었다고 한다. 송의 몫은 4할이었지만 국방헌금 등 여러 명목으로 경비가 추가되어 갚는 데 7년 가까이 걸렸다고 증언하고 있다.[487]
- 『증언-강제 연행된 조선인 군 위안부들』에 따르면, 위안의 대가를 받은 것은 19명 중 3명에 불과했다.[488]
- 버마에서 위안부였던 문옥주(文玉珠)는 팁이 모여 어머니에게 여러 채의 집을 지을 만큼의 금액을 송금했다고 말하고 있다. 또한 “일주일에 한두 번, 허락을 받고 외출할 수 있었다. 인력거를 타고 쇼핑하러 가는 것이 즐거웠다”, “버마는 보석이 많이 나는 곳이므로, 루비나 비취가 쌌다. 나도 하나쯤 가지고 있는 것이 좋을 것 같아서, 과감하게 다이아몬드를 샀다”는 현지 생활 상황을 증언하고 있다.[489]
일본군 위안부가 보수를 받았다고는 하나, 지역, 위안소 경영자, 당시 상황에 따라 대우가 달랐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일본군 병사들의 휴일 위안이 다른 것이 없고, 상대적으로 위안부 수가 적었던 점 등을 고려할 때, 한 명의 위안부에게 하루에 적게는 10명, 많게는 수십 명의 병사들이 몰렸다.[515] 원 위안부들의 증언에 따르면, 그러한 경우에도 위안부에게 거부할 자유는 거의 주어지지 않았고, 몸 상태에 관계없이 병사들을 상대해야 했다.[516]
원 위안부 이영숙(李英淑)은 “저는 군인을 상대하면 여러 번 성기가 빵빵하게 붓곤 했습니다. 그러면 병원에 가는데 아랫배가 찢어질 듯이 아팠습니다. 저는 여러 번 성기가 부어서 1년에 3, 4번은 입원했습니다.”라고 회상하고 있다.[508][518]
원 위안부 김덕진(金德鎭)은 매일 성교 횟수가 수십 회에 달한 결과, “여자들 중에는 성기가 심하게 부어서 출혈하는 사람도 있었습니다.”라고 증언하고 있다.[518][519]
역사학자 요시미 요시아키(吉見義明)는 위안부의 상황을 “하루 수십 명 등 육체적으로 혹독한 조건 때문에 음부가 붓고 바늘도 들어가지 않게 된” 일이 자주(연간 수 회) 있었다고 하고 있다.[534] 또한, 위안부는 취업 사기 등 불법 행위에 의한 강제적인 징집, 더 엄격한 행동 제한, 자주 보이는 병사들에 의한 폭력 등 노골적인 노예 제도였다고 하고 있다.[522]
5. 2. 열악한 생활 환경
위안부 여성들은 가혹한 환경에서 생활해야 했다. 당시 피해 여성들의 증언에 따르면, 구타와 가해는 일상이었고, 칼로 몸을 긋거나 담뱃불로 지지는 등 고문에 가까운 생활을 했다고 한다. 매일 수십 명의 남자들을 상대해야 했기 때문에 성병에 걸리거나 임신 후 강제 낙태 수술을 받는 경우가 많았으며, 건강이 악화되어 사망하는 경우도 있었다. 배식량은 매우 적어 영양실조에 걸리는 경우도 많았다고 한다.[617]5. 3. 피해자들의 후유증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 정부는 중일전쟁과 태평양전쟁을 치르는 동안 일본 군인들의 성욕구를 채워주기 위해 집단적 성행위 장소인 이른바 군대 위안소를 제도화하고, 식민지 및 점령지 출신의 여성들을 전선으로 수송하여 성노예 역할을 강요했다.[590] 당시 피해 여성들의 증언에 따르면 구타, 가해는 일상다반사였고 칼 등으로 몸을 긋거나 담뱃불로 지지는 등 고문에 가까운 생활을 했다고 한다. 매일 수십 명의 남자들을 상대하면서 성병에 걸리거나 임신 후 강제로 중절수술을 받고 건강이 악화되어 죽는 경우도 많았으며, 배식량은 극도로 적어 영양실조도 많았다고 한다.성노예 여성들은 간신히 전쟁이 끝날 때까지 살아남았으나, 태평양전쟁 이후 패전국으로서 일본의 전후보상 문제가 관련 당사국들 사이에서 지속적으로 제기되어왔던 것에 비해, 위안부는 국내에선 오히려 "일본군과 놀다온 더러운 여자들"이란 잘못된 오해와 편견의 대상이 되며 질타를 받기도 하다가, 나중에나 진실이 밝혀지고 육체적 및 정신적 피해 등을 포함해서 평생 그 후유증에 시달려야 했기에 지금도 일본 정부에 피해 배상을 요구하고 있다.
6. 일본 정부의 책임과 대응
1990년대 들어 일본 정부 각료들이 사과 성명을 발표하기도 하였다. 1992년 미야자와 기이치 총리가 한국을 방문하여 "정신대 문제는 관계자들이 체험한 쓰라린 고통에 마음이 미어지는 심정"이라며 사죄하고, 진상 규명과 적절한 조치를 약속하였다.[641]
1993년 고노 요헤이 관방장관은 공개 언론에서 "위안소는 군 당국의 요청으로 설치됐고, 군이 위안소 설치 관리와 위안부 이송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했다"고 밝혔다. 같은 해 8월 군대위안부 관련 관방장관담화에서 일본군이 위안소 설치 및 운영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했고, 모집, 이송, 관리가 감언, 강압 등에 의해 총체적으로 본인들의 의사에 반해 이루어졌음을 인정하고[642] 사과문을 발표했다. 이를 고노 담화라 부른다.
일부 일본 시민단체들은 일본 정부에 사과와 함께 위안부 피해자 등에 대한 보상과 지원을 요구하였다. 그러나 일부 일본 우익 인사들은 위안부 존재 자체를 부정하였고, 이에 한국, 타이완, 필리핀 등의 위안부들은 일본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기도 했다. 일본 정부는 유엔에 일본군 위안부의 강제연행은 확인되지 않았다는 공식 입장을 제출했다.[643]
2000년에 도쿄에서 있었던 여성국제전범법정을 통해, 히로히토 천황과 일본 정부에 유죄를 선언했지만, 피고인이 부재했으며 강제력이 없는 민간 재판이었으므로 이 선언은 현재의 상황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유엔 인권위원회에서 2008년 10월 31일에 일본에 위안부 책임을 인정하는 첫 권고를 한 바 있다.[645]
일본 정부는 현재까지 배상 등에 소극적으로 대처하고 있어,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이 노령으로 사망할 때까지 시간을 끌어 연금을 지급하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2015년 12월 28일 윤병세 외교부 장관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외무상은 서울 외교부 청사에서 공동기자회견을 열어 20여 년을 끌어온 일본군'위안부' 피해자 문제가 "최종 해결됐다"고 선언했다.
2016년 12월 23일, 기부금은 한국 정부에 의해 설립된 '화해 · 치유 재단'에 의해 위안부로 현금 지급되었으며, 생존 위안부 46명 중 36명이 수령하였다. 사망한 위안부에 대해서는 35명의 유족이 인수를 표명하였다.[644]
위안부 피해자들은 한국 정부에 여러 차례 국제사법재판소에 사건을 제소해 줄 것을 요청했지만, 한국 정부는 아직 응답하지 않고 있다.[243]
2014년 8월, 일본 아사히 신문은 1982년부터 1997년까지 발행된 16개의 기사를 취소했다. 해당 기사들은 전직 일본군 장교 요시다 세이지가 한국 제주도 지역에서 한국 여성들을 강제로 일본군 위안부로 끌고 갔다는 주장과 관련된 것이었다.[236]
6. 1. 일본 정부의 책임 부인과 역사 왜곡
일본 정부는 공식적으로 '종군위안부(從軍慰安婦)'라는 말을 사용하고 있으나, '종군'이라는 말에 내포된 자발적인 의미가 부적절하며 일본 극우 세력에서 쓰는 표현이기 때문에 옳지 못한 명칭이라는 지적이 있다.[589]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 정부는 중일전쟁과 태평양전쟁을 치르는 동안 일본 군인들의 성욕구를 채워주기 위해 집단적 성행위 장소인 이른바 군대 위안소를 제도화하고, 식민지 및 점령지 출신의 여성들을 전선으로 수송하여 성노예 역할을 강요했다. 김종필 전 국무총리는 일제강점기에 위안부로 끌려가던 조선의 누이들을 두 눈으로 직접 보았었다고 증언하기도 했다.[590] 일본군이 영내에 설치된 위안소에 식민지 여성들을 끌고 가 병사들을 상대로 강제적인 성노리개로 삼았는데, 이를 자기들 용어로는 "위안부"라고 불렀다.
당시 피해 여성들의 증언을 들어보면 구타, 가해는 일상다반사였으며, 칼 등으로 몸을 긋거나 담뱃불로 지지는 등 고문에 가까운 생활을 하고 있었다고 한다. 매일 수십 명의 남자들을 상대하기에 성병에 걸리거나 임신 후 강제로 중절수술을 받고 건강이 악화되어 죽는 경우도 많았으며, 배식량은 극도로 떨어져서 영양실조도 많았다고 한다.
일본 정부는 이를 쉽사리 인정하지 않고 있으며 심지어는 심하게 왜곡해서 받아들이는 게 문제가 있다. 일본 측의 입장은 크게 '위안부는 자발적으로 참가했다', '정당한 대가를 받았다', '문서상의 근거가 없다'는 세 가지로 요약된다. 그러나 경성일보 등의 기사 보도에 의하면 월 300원에서 최고 3천원 이하의 수당을 준다고 보도돼 있다. 자발적 참여의 근거로는 여성들의 서명이 담긴 문서와 일본 여성 참여의 증거 등이 있는데, 일부 여성들은 취업 서류로 알고서 서명했다가 끌려간 경우도 존재한다. 대가론의 경우 당시 '지불됐다'라는 임금 자체도 여성들에게 직접 전달되지 않았을 뿐더러 강제성과 인권 모욕의 경우는 대가로 어떻게 해결될 문제가 아니란 점에서 논점이 이탈된다. 하지만 실제 당시 여러 기록이나 증언들을 보자면 위안부의 징집 절차에는 친일파 조선인이 다수 협력했다는 점에서 부끄러운 사실도 존재한다고 할 수 있다.
위안부 관계 조사결과 발표에 관한 고노 내각관방장관 담화에서 위안부 모집에 구 일본군이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이에 관여하였으며 강제연행을 인정하고 있으나, 일본 내의 우익 세력은 위안부의 강제 연행은 없었으며 단순한 매춘부로서, 인권침해는 없었다고 주장하면서 고노 담화의 수정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대해, 대한민국 국가인권위원회는 일본의 정치인과 민간인이 위안부 피해자 및 이들을 옹호하는 인권활동가에게 폭언과 폭력을 행사하고 있다면서, 일본 정부에 재발 방지를 촉구하였다.[620]
위안부 모집 과정은 '모집을 담당한 자들의 인선이 적절하지 못함으로써 모집 방법이 유괴와 비슷'하게 되어 논란이 되기도 했다. 일부 위안부 징집 담당자는 경찰 당국에 검거되기도 했다.[593] 1944년 버마에서 잡힌 어떤 조선인군위안부의 경우 동네에 나타난 일본군속의 여군모집 캠페인을 보고 오게되었다고 한다.[631] 여군이 되려고 했던 이 여성은 업자들의 농간으로 위안부가 되고 말았다.
위안부의 모집과 조달 과정에서 말썽이 생기자 1938년에 가서 일본군 사령부는 담화문을 발표하고 관리하기 시작한다. 위안부의 모집은 일본군과 계약한 업체 또는 위탁으로 모집하였으므로 일본군은 문제 발생, 조달 등의 문제에 개입하게 된다. 1993년 8월의 일본 관방장관 공개 담화에서 고노 관방장관은 "위안부의 모집에 대해서는 군의 요청을 받은 업자가 주로 이를 담당했으나 그 경우도 감언, 강압에 의거하는 등 본인들의 의사에 반하여 모집된 사려들도 많았으며, 관헌이 직접 이에 가담한 일도 있었다[593]"고 하였다.
안병직 서울대 경제학과 명예교수는 "위안부를 일본 국가권력이 강제 동원했다는 자료는 현재 존재하지 않는다. 증언자가 있을 뿐인데, 이것은 참고자료에 불과하다. 강제 동원 증거가 없다고 해서 자발적이라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632]
군사평론가 지만원은 '수요시위 참가하는 할머니들의 건강과 혈색이 너무 좋아보인다.'고 이유를 들면서 '가짜 위안부가 아니냐?'면서 의혹을 제기했다.[634]
일본 우익은 '유가증권' 개념인 '군표'(軍票)를 사용한 것을 들어 위안소 제도를 일종의 공창제와 같은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공창제와 비교해서 군 위안소는 전시라는 상황에서 군이 관리·운영함으로써 위안부 여성의 인권을 더 보장하기 힘든 면이 있었다는 반론도 있다.[635]
인도네시아에서는 독립운동가가 위안부 모집에 앞장서기도 했다. 수카르노는 일본군의 점령이 독립을 앞당기는 길이라 보고 일본군 협력과 일본군을 상대로 하는 인도네시아인 위안부 모집에 앞장섰다.[602]
위안부 피해자의 한 사람인 심미자(2008년 사망) 등은 '몇 명 안 되는 할머니들을 앵벌이로 삼아 국제 망신을 시키고 다닌다.'[636] 라며 비판하였다.
한국인 등을 중심으로 위안부였던 사람들이 일본 정부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지만, 한일기본조약으로 해결 완료 등을 이유로 패소했다. 현재 일본 사법부에서는 전쟁 전 국가간의 배상이 법에 명시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일본의 전쟁범죄에 대해 인정하지도, 책임지지도 않으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2000년에 도쿄에서 있었던 여성국제전범법정을 통해, 히로히토 천황과 일본 정부에 유죄를 선언했지만, 피고인이 부재했으며 강제력이 없는 민간 재판이었으므로 이 선언은 현재의 상황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유엔 인권위원회에서 2008년 10월 31일에 일본에 위안부 책임을 인정하는 첫 권고를 한 바 있다.[645]
일본 정부는 현재까지 배상 등에 소극적으로 대처하고 있어,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이 노령으로 사망할 때까지 시간을 끌어 연금을 지급하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2014년 8월, 일본 아사히 신문은 1982년부터 1997년까지 발행된 16개의 기사를 취소했다. 해당 기사들은 전직 일본군 장교 요시다 세이지가 한국 제주도 지역에서 한국 여성들을 강제로 일본군 위안부로 끌고 갔다는 주장과 관련된 것이었다. [236]
1996년, 무라야마 도미이치 수상의 주도로 정부와 국민의 협력을 통한 보상으로 아시아 여성 기금의 사죄 사업이 시작되었다. 그러나 한국 정부는 일본 정부의 국제법적 책임을 인정하는 것을 전제조건으로 내걸며 일본의 협력 요청을 거부했다.[572]
6. 2. 고노 담화와 아시아여성기금
1990년대 들어 일본 정부 각료들이 사과 성명을 발표하기도 하였다. 1992년 미야자와 기이치 총리가 한국을 방문하여 "정신대 문제는 관계자들이 체험한 쓰라린 고통에 마음이 미어지는 심정"이라며 사죄하고, 진상 규명과 적절한 조치를 약속하였다.[641]1993년 고노 관방장관은 "위안소는 군 당국의 요청으로 설치됐고, 군이 위안소 설치 관리와 위안부 이송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했다"고 밝혔다. 같은 해 8월 군대위안부 관련 관방장관담화에서 일본군이 위안소 설치 및 운영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했고, 모집, 이송, 관리가 감언, 강압 등에 의해 총체적으로 본인들의 의사에 반해 이루어졌음을 인정하고[642] 사과문을 발표했다. 이를 고노 담화라 부른다.
일부 일본 시민단체들은 일본 정부에 사과와 함께 위안부 피해자 등에 대한 보상과 지원을 요구하였다. 그러나 일부 일본 우익 인사들은 위안부 존재 자체를 부정하였고, 이에 한국, 타이완, 필리핀 등의 위안부들은 일본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기도 했다.
1994년 8월 31일, 무라야마 도미이치 일본 총리는 담화에서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해 정부와 국민이 협력할 것을 촉구했다. 1995년 7월 18일에는 "아시아여성기금"에 대한 기부를 호소했다. 그 결과, 정부는 4.8억엔, 민간 모금 5.65억엔에 기금 재산에서 500만엔을 더해 총 5.7억엔을 사죄금으로 지급하고, 향후 5년간 8.3억엔의 정부 자금으로 의료복지 지원 사업을 실시하였다.
하시모토 류타로, 고부치 에이조, 모리 요시로, 고이즈미 준이치로 역대 일본 총리들의 연명으로 작성된 "사과 편지"와 함께 1인당 200만엔을 "사죄금"으로 지급하였다. "의료복지 지원금"은 당시 물가 수준을 고려하여 한국과 대만의 경우 1인당 300만엔, 필리핀의 경우 120만엔을 지급하였고, 네덜란드에는 별도 방식으로 300만엔을 지급하였다. 인도네시아에서는 인도네시아 정부의 방침에 따라 정부 자금 3.7억엔으로 "고령자 사회복지 증진" 사업을 지원하였다.[563] 일본 정부는 아시아여성기금 설립부터 해산까지 약 48억엔의 자금을 지원하였다.[564]
1995년 7월에 발족한 일본의 재단법인 국민기금은 일본사회당(현 사회민주당) 소속 무라야마 도미이치 당시 총리 주도로 세워졌다.[647] 일본 극우 인사들은 국민기금 설립에 강력 반대했지만,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 식민지 국가의 위안부 여성들의 생계, 진료 지원 등을 추진하였다. 여기에는 일본 시민단체와 와다 하루키 등의 지식인들이 참여하였다.
국민기금 전무이사를 지낸 와다 하루키 도쿄대학 명예교수는 국민기금이 "1965년 협정을 전제로, 법적 책임론이 아니라 도의적 책임론에 기초한 국민적 보상의 길"이라고 밝혔다. 국민기금은 와다 하루키 교수를 비롯한 16명의 일본 민간인들이 민간으로부터 기금을 모아 필리핀, 대만, 한국인 위안부 피해자 284명에게 총 5.65억엔(약 82.92500000000001억원)을 지급했다. 1인당 200만엔(약 2900만원)가량을 지급한 셈이었다.[647]
하지만 국민기금이 순수하게 모금됐다는 데에는 여러 반론이 존재한다.[647] 1995년 당시 일본 정부는 관방장관을 통해 각 부서에 기금모금 ‘협조’를 지시했다. 건설장관이 하부기관에 공문을 보내 내부 모금활동을 한 뒤 보고를 올리도록 한 사실이 있어[647] 논란의 여지가 있다.
일본 시민단체 등이 만든 아시아 구호기금(국민기금) 지원을 받느냐 마느냐를 두고 논란이 있었다. 1995년 7월 위안부 피해자 운동에 앞장서온 정대협은 국민기금에 강하게 반발했다. 당시 정대협은 국민기금이 일본 정부 차원의 ‘보상’이 아니라 ‘위로금’으로 보았다. 일부 위안부 피해자들도 국민기금에 반대했다.[647] 안선미 정대협 팀장은 “1세대 할머니들도 병상에 누워서까지 반대하던 부분”이라고 주장했다.[647]
정대협은 1996년 10월부터 범국민 모금운동을 벌여 위안부 피해자들의 생계를 지원하려고 했다. 하지만 1997년 1월 일본 정부는 한국인 위안부 피해자 7명에게 의료 지원금을 포함, 1인당 500만엔(약 7250만원)의 위로금 전달을 강행했다.[647] 이 금액은 수령자와 미수령자가 존재한다. 이후 정대협은 1998년 5월부터 자신들의 모금액과 정부 예산을 합쳐 위안부 피해자 1인당 4300만원의 생활안정 지원금을 지급했다.[647]
1995년 7월 당시 일본 시민단체들이 모여 만든 국민기금을 받느냐, 거부하느냐 과정에서 당시 대한민국 정부는 위안부 피해자들에게 '국민기금을 수령하지 않겠다'는 각서를 받았다.[647] 그런데 국민기금을 받은 할머니들은 정부 지원에서 모두 제외됐다. 정대협의 안선미 팀장은 “이 문제로 일부 할머니들은 정대협이 기금을 막았다며 불신을 가지게 됐다. 또한 일본 정부가 한일협정에도 불구하고 나름 노력을 했다는 변명거리가 됐다”고 밝혔다.[647]
2000년대 들어 국민기금을 수령한 일부 할머니들과 위안부 피해자 심미자 할머니(2008년 사망)를 비롯한 33명이 ‘무궁화 할머니회’를 만들었다.[647] 이들은 2004년 성명서를 내고 “정대협은 형편이 어려운 7명의 위안부 피해자들이 아시아여성기금을 받았다는 이유로 공개적으로 매도했다”, “우리 33명을 제외한 나머지는 진짜 위안부가 아니다”라고 주장했다.[647] 당시 국민기금을 찬성했던 한 인사는 “할머니들이 모두 연로하신데 일본 국민들이 반성하고 모금하는 것을 받아들여야 한다고 생각했다. 지금 무궁화회 할머니들은 대부분 돌아가시지 않았나”라고 말하기도 했다.[647]
1996년 무라야마 도미이치 수상 주도로 정부와 국민의 협력을 통한 보상으로 아시아 여성 기금의 사죄 사업이 시작되었다. 그러나 한국 정부는 일본 정부의 국제법적 책임을 인정하는 것을 전제조건으로 내걸며 일본의 협력 요청을 거부했다.[572]
6. 3.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와 문제점
2015년 12월 28일 윤병세 외교부 장관과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외무상은 서울 외교부 청사에서 공동기자회견을 열어 20여 년을 끌어온 일본군'위안부' 피해자 문제가 "최종 해결됐다"고 선언했다.[644]2016년 12월 23일, 기부금은 한국 정부에 의해 설립된 '화해 · 치유 재단'에 의해 위안부로 현금 지급되었으며, 생존 위안부 46명 중 36명이 수령하였다. 사망한 위안부에 대해서는 35명의 유족이 인수를 표명하였다.[644]
하지만 2014년 8~9월 "(한국 내 단체가 군위안부 문제를) 한국에 뿌리깊게 내린 반일 문제로 방향을 틀었다"면서 "위안부 개인의 행복이나 그들이 놓인 처지에 관한 문제가 아니라 위안부 지원 단체의 정의 실현을 위한 것으로 바꿔치기 된 상황이 벌어졌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646]
2020년 5월, 위안부 피해 생존자이자 오랫동안 피해자들을 위해 활동해 온 이용수 할머니는 기자회견을 열고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와 전 회장 윤미향이 수십 년 동안 자신과 다른 생존자들을 정치적, 경제적으로 이용하여 시위를 통해 정부 지원금과 일반 기부금을 받으면서 피해자들을 돕는 데는 거의 돈을 쓰지 않았다고 비난했다.[238]
이에 따라 시민단체는 윤미향 당선자(당시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회장이자 정의기억연대 이사장)를 상대로 고소장을 제출했다. 서울서부지방검찰청의 수사 결과, 윤미향은 사기, 횡령, 배임 등 8가지 혐의로 기소되었다.[239][240]
기소된 혐의 중에는 92세 생존자 길원옥 할머니에 대한 사기죄도 포함되어 있다. 검찰은 길원옥 할머니가 치매를 앓고 있으며, 윤미향이 길원옥 할머니의 감소된 신체적, 정신적 능력을 이용하여 2017년 11월부터 2020년 1월까지 총 79200000KRW (67102USD)을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에 기부하도록 압력을 행사했다고 밝혔다.
또한 정부기관과 개인 기부자들로부터 거의 50만 달러에 달하는 금액을 사기 및 횡령하여 부동산을 구입하고 심지어 딸의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교 유학 자금으로 사용한 혐의도 받았다.
윤미향의 단체가 운영하는 위안부 피해자 쉼터에 대한 법정 감사 결과, 2015년 이후 모금된 7500000USD(약 90억원)의 막대한 예산 중 생존 위안부들의 생활 지원에 실제로 사용된 비율은 2.3%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많은 생존자들이 비좁고 열악한 환경에서 최소한의 편의시설 없이 생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39][240]
2020년 9월, 더불어민주당은 윤미향의 혐의를 이유로 당적을 정지시켰다.[241][242]
7. 국제사회의 인식과 노력
국제사회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해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해 왔다. 특히, 유엔을 비롯한 국제기구와 각국 의회는 일본 정부에 위안부 문제에 대한 책임 인정과 사죄, 피해자 보상 등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채택해왔다.
아사히 신문은 1991년부터 이듬해에 걸쳐 요시다 세이지의 증언(일본군이 여성을 유괴한 것을 목격했다)을 근거로 '종군 위안부' 문제를 다룬 캠페인 기사를 연재했으나, 2014년 8월 5일 자체 검증 결과 요시다 세이지의 증언이 허위임을 인정하고 관련 기사를 취소했다.[623] 아사히 신문은 기사 취소 과정에서 독자에게 사과하지 않았고, 기무라 다다카즈 사장 역시 사죄하지 않을 방침이라고 밝혀 일본 국내 언론으로부터 설명 책임을 다하지 않는다는 비판을 받았다.[624][625][626][627]
많은 일본인이 아사히 신문의 보도 행태에 분노했지만, 최근에는 단순한 사실 왜곡에 대한 분노를 넘어 한국인에 대한 일방적인 폄하로까지 이어지는 혐한 정서가 나타나 논란이 되고 있다.[628]
2014년 9월 12일, 아사히 신문사 기무라 사장은 도쿄 본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자신의 급여를 0으로 하고 주요 간부를 교체한다고 발표한 뒤 독자에게 전면적으로 사과했다. 기자회견 전반부에서는 2011년 3월 발생한 원자력 발전소 사고의 현장책임자였던 요시다 마사오 소장을 엄하게 질책하는 기사를 쓴 것에 대해 사죄했고, 후반부에서는 여성을 유괴해 위안부로 만들었다는 허위 증언을 한 요시다 세이지 관련 기사에 대해 사죄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요시다 조서는 아사히 신문이 독자적인 취재를 바탕으로 보도하지 않았다면 그 내용이 세상에 알려지지 않았을지도 모릅니다. 세상에 의문을 던진다는 것에 큰 의의가 있다고 느끼고 있었던 만큼 잘못된 내용을 보도하게 된 사실에 대해서 통한스럽기 그지없습니다.
>
> 현시점에서는 잘못된 판단과 기사에 대한 검토가 미흡했던 점 등이 겹친 것이 원인이라고 생각됩니다만, 새로운 편집담당을 중심으로 ‘신뢰회복과 재생을 위한 위원회’(가칭)를 조속히 설치해 모든 관점에서 취재‧보도선상에 떠오른 문제점을 끄집어내서 독자 여러분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지금 무엇이 필요한지, 제로부터 다시 출발하겠다는 결의로 검토해 가겠습니다.
>
> 동시에 잘못된 기사로 인한 영향 등에 대해 아사히 신문사의 제3자 기관인 ‘보도와 인권위원회(PRC)’에 심리를 요청했습니다. 신속한 심리를 요청했으며 그 결과는 신문지면을 통해 알리겠습니다.
>
> 다양한 비판과 지적을 받고 있는 위안부 보도에 대해서도 설명하겠습니다. 아사히 신문은 8월 5일 자 조간 특집 ‘위안부 문제를 생각한다’에서 제주도에서 위안부를 강제연행했다고 한 故 요시다 세이지(吉田淸治)씨의 증언에 근거한 기사에 대해, 증언을 허위라고 판단해 취소했습니다. 전쟁 시 여성의 존엄과 인권, 과거사 극복과 화해를 테마로 하는 위안부 문제를 직시하기 위해서는, 이 문제에 관한 과거 아사히 신문 보도의 과오를 인정하고 그런 위에 아시아 주변 각국과의 상호신뢰관계를 구축해가자는 저희의 원래 주장을 펴나가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입장에는 조금의 흔들림도 없습니다.
>
> 그러나 기사는 취소하면서 사죄의 말이 없었다는 점에 대해서 비판을 받았습니다. “(기사를) 뒷받침하는 취재가 불충분했던 점은 반성합니다”라고 했으나 사실에 근거한 보도를 원칙으로 하는 저널리즘으로서 더욱 겸허했어야 한다는 점을 통감하고 있습니다. 요시다 씨에 관한 잘못된 기사를 게재한 것, 그리고 정정이 지나치게 늦어졌다는 점에 대해 독자 여러분께 사죄드립니다.
>
> 위안부 보도에 대해서는 PRC와는 별도로 회사 외부의 변호사와 역사학자, 저널리스트 등의 전문가에게 의뢰해 제3자 위원회를 새로이 설치하고, 저희에 대한 의문의 목소리에 기초해 과거 기사 작성 및 정정에 이르기까지의 경위, 이번 특집기사 지면의 타당성, 그리고 아사히 신문의 위안부 보도가 일‧한 관계를 비롯해 국제사회에 미친 영향 등에 대해서 철저히 검증받도록 하겠습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도 신속한 검증을 요청해, 그 결과를 신문지면을 통해 알리겠습니다.
>
> 요시다 조서와 같은 조사 보도도 위안부 문제와 같은 과거사의 부정적인 부분을 파헤치는 보도도 모두 아사히 신문 기사에 대한 독자 여러분의 두터운 신뢰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입니다.
>
> 저희는 이번 사태를 큰 교훈으로 삼으면서 다양한 의견과 비판에 겸허히 귀 기울이겠습니다. 그리고 초심으로 돌아가 무엇보다 기사의 정확성을 중시하는 보도자세를 재구축해 가겠습니다. 이렇게 저희 회사가 앞으로 대처하는 모습을 엄중히 지켜봐 주시기를, 여러분께 부탁드립니다.[629]
피해 국가뿐만 아니라 여러 국가에서 위안부 문제에 대한 지지가 이어지고 있으며, 국제앰네스티와 같은 단체들은 이 문제에 대한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7. 1. 유엔 등 국제기구의 권고
유엔 인권이사회는 2008년 10월 30일 발표한 보고서를 통하여 일본이 위안부 동원에 대한 책임을 인정하고 사죄, 보상하여 피해자의 존엄성을 회복시켜야 하며, 이를 학생과 대중에게 알리고 부인하지 말 것을 촉구하였다.[658]2014년 프란치스코 교황은 대한민국에서 전 위안부 7명을 만났으며,[254][255] 같은 해 유엔 인종차별철폐위원회는 일본에 대해 "'위안부'의 권리 침해에 대한 조사를 마무리하고 책임자를 사법 처리하며 이 문제에 대한 포괄적이고 지속적인 해결책을 추구할 것"을 요구했다.[256] 유엔 인권최고대표 나비 팔레이도 여러 차례 위안부 문제에 대한 지지 발언을 하였다.[256]
1992년 2월 25일, 비정부기구(NGO) 국제교육개발(IED) 대표이자 변호사인 도츠카 에츠로가 유엔인권위원회에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다루도록 요청했고, 이것이 유엔에서의 최초의 위안부 문제 제기였다.[376]
7. 2. 미국 하원 결의안과 각국의 결의안 채택


일본 정부에 위안부 문제 인정과 책임을 요구하는 위안부 관련 결의안(House Resolution 121)은 2001년 미국 하원에 처음 소개되었고, 2006년 미 하원 국제관계 위원회에서 통과되었다. 일본계 하원의원을 포함, 공화당과 민주당 양당에서 50명이 넘는 의원들의 지지를 받은 이 결의안은 일본 정부의 강력한 로비에도 불구하고 하원에서 만장일치로 정식 통과되었다.[648] 일본 정부는 결의안 통과를 막기 위해 하원 의장과 주일 미국 대사를 지낸 민주당 거물 토머스 폴리를 로비스트로 고용한 것으로 알려졌다.[649]
- 1999년 미국 민주당 레인 에번스(Lane Evans) 의원이 일본군 위안부 강제 동원 사실을 미 의회 의사록에 기록으로 남기며 이 문제를 이슈화했다. 에번스 의원은 2000년부터 꾸준히 위안부 비난 법안을 미국 의회에 상정해왔다.[579]
- 2001년 - 1차 결의안 제출, 상정되지 못함
- 2005년 - 2차 결의안 제출, 상정되지 못함
- 2006년 9월 12일 - 3차 결의안 제출, 상정 및 심의 후 회기 만료로 폐기
- 2006년 말 - 에번스 의원, 파킨슨병으로 정계 은퇴
- 2007년 1월 31일 - 미국 민주당 마이크 혼다(Mike Honda) 의원, 4차 결의안 제출
- 2007년 2월 15일 - 하원 외교위원회 아태 환경소위원회에서 위안부 청문회 처음 개최
- 2007년 6월 26일 - 결의안, 외교위원회에서 찬성 39표, 반대 2표로 통과[650]
- 2007년 7월 30일 - 하원 본회의에서 만장일치로 결의안 채택[651][652] 마이클 혼다 의원은 이날 "이 결의안은 나의 스승이자 동료 의원이었던 에번스 전 의원의 끊임없는 노력 덕분"이라고 말했다.[653]
2007년 11월 8일, 네덜란드 하원은 일본군 위안부 강제 동원에 대해 일본 정부의 공식 사과와 보상을 요구하는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채택하였다.[654] 캐나다에서도 같은 해 11월 28일 일본군 위안부 강제동원에 대한 일본 정부의 공식적인 사과와 책임을 촉구하는 위안부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채택하였으며,[655] 12월 13일에는 유럽 의회가 위안부 결의안을 채택하였다.[656] 2008년 3월 11일에는 필리핀 하원이 위안부 결의안을 채택하였다.[657]
미국 하원 결의안 121호는 일본 정부가 위안부 동원에 대해 공식 사과하고 역사적 책임을 인정하며, 일본 총리의 공개 사과 및 관련 교육 실시를 요구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248] 2012년 7월, 당시 국무장관 힐러리 클린턴은 '위안부' 대신 '강제 성노예'라는 용어를 사용해야 한다고 비난했다.[249]
7. 3. 시민사회의 활동
1992년 2월 25일, 비정부기구(NGO) 국제교육개발(IED) 대표이자 변호사인 도츠카 에츠로(戸塚悦朗)가 유엔인권위원회에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다루도록 요청했고, 이것이 유엔에서의 최초의 위안부 문제 제기였다.[376]모든 박물관에서 위안부가 일본군에 의한 성적 노예적 대우를 받았다는 내용으로 되어 있으며, 그 인권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2005년 8월, NPO 법인 「여성들의 전쟁과 평화 인권기금」이 도쿄도 신주쿠구의 빌딩 한 층에 「여성들의 전쟁과 평화 자료관」을 개관했다. 주로 일본군 위안부와 전시 여성에 대한 폭력을 주제로 하고 있다.
2005년 6월, 상하이사범대학 “중국 위안부 문제 연구센터” 소장인 소지량(蘇智良)은 『상하이 일본군 위안소 실록』을 출판하고 중국 위안부 기념관 설립을 호소했다.[555] 이에 따라 2007년 7월 5일, 상하이사범대학 내에 “중국 종군 위안부 자료관”이 개관했다.[556] 2016년 10월 23일, 상하이사범대학 내에 “중국 ‘위안부’ 역사박물관”이 개관했다. 동시에 중국인과 한국인 위안부상이 설치되었다. 한국인 위안부상은 서울 일본대사관 앞의 것과 같은 의자에 앉은 소녀상이며, 중국인 위안부상 또한 마찬가지로 의자에 앉아 있다.[557]
2015년 12월 1일, 난징에 “난징 리제샹 위안소 옛터 전시관”이 개관했다. 2층 건물 8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광장에는 위안부 3인의 상이 세워져 있다.[558]
2012년 5월 5일, 한국의 민간단체인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는 서울 마포구에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전시하는 “전쟁과 여성 인권 박물관”[559]을 3억 엔(35억원)을 들여 건설하고[560] 개관하였다.[561] 일본에서도 일본 건설 위원회가 결성되어 많은 운동가·운동 단체와 연구자들이 호소인이 되었고,[562] 전국공무원노조, JR총련, NTT노동조합 오사카 지부 등이 기부하였다.
2016년 12월 10일, 대만 최초의 위안부 박물관인 「아마의 집 평화와 여성인권관」이 타이베이시에 개관했다.
일본군 위안부를 위한 태스크포스(TFFCW, 1992년 7월 발족)[565], 릴라 필리피나(Lila Pilipina, 1994년~ 가브리엘라의 하부 조직), 가브리엘라, 필리핀 여성 전국 연맹(GABRIELA, 1984년~[566], 가브리엘라 여성당(GWP)의 지지 기반)등의 시민단체가 활동하였다.
일본 시민단체의 지원으로 설립된 시설로 비정부기구(NGO)인 ‘릴라 필리피나’(필리핀 위안부 피해자 협회)가 운영한다. ‘로라’는 필리핀어로 ‘할머니’를 뜻하며, 이 시설은 필리핀 출신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과 그들을 지원하는 시민들의 활동 거점이다. 일본 여성단체의 로라즈하우스 기금을 통해 시설이 매입되었다.[567]
거주자들의 증언집 「Lolas'House」(Curbstone Books, 2017)의 저자인 필리핀계 미국인 마리아 에벨리나 갈랑(M. Evelina Galang)은 [http://labanforthelolas.blogspot.com/ FRIEND OF LOLAS]를 통해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을 지원하고 있다.
과거 일본군 위안부였다고 주장하는 한국인 여성들과 한국과 일본의 젊은이들을 중심으로 한 자원봉사자들이 함께 생활하는 민간 시설인 “나눔의 집”이 한국 경기도 광주시에 있다. 나눔은 한국어로 “나누어 갖기”, 나눔집은 “나누어 갖는 집”이라는 뜻이다. “피해의 역사를 승화시켜 세계적인 역사와 평화, 인권의 성지로 만들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577] 일본군 ‘위안부’ 역사관이 함께 있으며, 한국 측의 입장에 기반한 위안부 설명 외에도 일본의 조선반도 지배와 태평양 전쟁에 대해서도 한국 측의 역사관을 소개하고 있다.
8. 한국의 대응과 과제
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1980년대부터 일본, 대한민국, 미국, 국제연합 등에서 논의되어 온 복잡한 문제로, 다양한 인식 차이와 논점이 존재한다.[372] 당시 합법적인 공창이었고 민간 업체가 보수를 지급했으며, 알선업자가 신문 광고 등으로 광범위하게 모집했고 일본 여성도 위안부로 채용되었으므로 국가 책임이 없다는 주장이 있다. 반면, 일반 여성이 관헌이나 군대에 의해 강제로 연행되어 성노예가 된 사례가 있다는 주장도 있다.[372]
1990년대에 일본 정부는 국가의 도의적 책임을 인정하고[373] 사죄하며, 반관반민 기금(아시아 여성 기금)을 설립했다. 이 기금은 전 위안부에게 "사죄금[374]"을 전달하고 다양한 지원 사업을 펼쳤으며, 2007년에 해산했다.[375]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 정부는 중일전쟁과 태평양전쟁을 치르는 동안 일본 군인들의 성욕구를 채워주기 위해 집단적 성행위 장소인 군대 위안소를 제도화하고, 식민지 및 점령지 출신의 여성들을 전선으로 수송하여 성노예 역할을 강요했다. 김종필 전 국무총리는 일제강점기에 위안부로 끌려가던 조선의 누이들을 직접 보았다고 증언했다.[590] 일본군은 영내에 설치된 위안소에 식민지 여성들을 끌고 가 병사들을 상대로 강제적인 성노리개로 삼았는데, 이를 "위안부"라고 불렀다. 위안부란 말은 완곡어법에 불과했으며, 사실상 성노예였다. 특히 여성들의 의사에 관계없이 강제로 끌고 가거나 "일자리를 소개시켜 준다", "공장에서 일하게 된다"라고 모집한 뒤 태평양 섬 등지의 외딴 곳에 성노예로 보냈다는 점이 문제가 된다. 설사 성매매를 시킨다고 고지한 후에 데려갔다고 하더라도 위안부 자체는 심각한 인권 유린이다.
당시 피해 여성들의 증언에 따르면 구타, 가해는 일상이었고, 칼 등으로 몸을 긋거나 담뱃불로 지지는 등 고문에 가까운 생활을 했다고 한다. 매일 수십 명의 남자들을 상대하면서 성병에 걸리거나 임신 후 강제로 중절수술을 받고 건강이 악화되어 죽는 경우도 많았으며, 배식량은 극도로 적어 영양실조도 많았다고 한다.
성노예 여성들은 전쟁이 끝날 때까지 살아남았으나, 태평양전쟁 이후 패전국으로서 일본의 전후보상 문제가 관련 당사국들 사이에서 지속적으로 제기되어왔던 것에 비해, 위안부는 국내에선 오히려 "일본군과 놀다온 더러운 여자들"이란 잘못된 오해와 편견의 대상이 되며 질타를 받기도 했다. 나중에 진실이 밝혀지고 육체적 및 정신적 피해 등을 포함해서 평생 그 후유증에 시달려야 했기에 지금도 일본 정부에 피해배상을 요구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이를 쉽게 인정하지 않고 있으며 심지어는 심하게 왜곡해서 받아들이는 게 문제가 있다. 일본 측의 입장은 크게 '위안부는 자발적으로 참가했다', '정당한 대가를 받았다', '문서상의 근거가 없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경성일보 등의 기사 보도에 의하면 월 300원에서 최고 3천원 이하의 수당을 준다고 보도돼 있다.
자발적 참여의 근거로는 여성들의 서명이 담긴 문서와 일본 여성 참여의 증거 등이 있는데, 일부 여성들은 취업 서류로 알고서 서명했다가 끌려간 경우도 존재한다.
대가론의 경우 당시 '지불됐다'라는 임금 자체도 여성들에게 직접 전달되지 않았을 뿐더러 강제성과 인권 모욕의 경우는 대가로 해결될 문제가 아니라는 점에서 논점이 이탈된다. 하지만 실제 당시 여러 기록이나 증언들을 보자면 위안부의 징집 절차에는 친일파 조선인이 다수 협력했다는 점에서 부끄러운 사실도 존재한다.
참여 연령대는 모집 당시 기준 17세, 18세에서 30세였다. 이 중 조선인 위안부들의 경우에는 여러 가지 경로가 존재하였다. 일본이 군 공창제로서의 위안소를 설치하고 성노예를 일본인 창녀나 윤락녀만으로는 부족하여 그 식민지인 조선 등의 여성들로 충당하려 했을 경우, 종래 극소수밖에 없었던 조선인 매음녀만으로 충당하기에는 너무 부족했고 결국 일반 여성을 충당할 수밖에 없었다.[614]
첫째는 종래의 색주가, 사창가의 매음녀가 충당된 경우였으나 이는 극히 소수였다. 두 번째는, 일반 여성을 상대로 공공연하게 작부 모집을 한 경우도 있었으나 역시 많은 경우는 아니었다.[614] 셋째는, 가난한 집안의 소녀들을 상대로 일본 등지의 공장 여공으로 알선한다고 속여 선금을 주고 데려가 '성노예'로 충당하는 방법이 가장 널리 적용된 것이라 파악된다.[614] 근로정신대에 동원되었다가 중노동과 기아 등을 견디지 못해 탈출했다가 실패하여 강제로 위안부로 편입되었다는 진술도 있다.[614]
1942년 당시 중국 상하이의 위안부 중개업을 하던 조선인의 이름이 중국 상하이 시의 기록을 통해 일부 후대에 전해지게 되었다.
이름 | 일본식 이름 | 출신지 | 상하이 입국일 | 비고 |
---|---|---|---|---|
공돈 | 永田芳太郞 | 경상남도 김해군 명지면 중리 115번지 | 1940년 4월 4일 | 상하이 시 무창로 338번지 위안부 업소 운영[615] |
정기천 | 永川光星 | 함경북도 길주군 웅평면 | 1918년 5월 5일 | 상하이 시 보백로 자운별리 2호 위안업 경영[615] |
한차례 | 大原光江 | 경상남도 마산부 오동동 13번지 | 1937년 11월 | 두강지로 보덕리 60호 위안업 운영[615] |
매일신보에는 경성부 종로에서 위안부 중개업을 하던 허씨라는 조선인 여성이 기록에 나타나기도 했다.
한-일 관계 개선을 가로막는 가장 큰 외교적 현안은 위안부 문제이다. 대한민국 정부는 위안부 문제를 1951년부터 1965년 6월까지 이어진 한일회담 과정에서 다뤄지지 않은 최대 ‘미해결 문제’로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한일회담 과정에서 위안부 문제가 전혀 논의되지 않은 것은 아니다.[618]
위안부 문제가 한-일 관계를 뒤흔드는 중요한 쟁점으로 발전한 것은 직접적인 당사자가 세상을 떠나거나 고령이며 또한 한국 사회가 민주화를 이룬 뒤 4년 만인 1991년 8월 김학순(1924~1997)이 일본군 위안부였음을 밝히는 역사적인 증언을 내놓은 것이 계기이다.[618] 1991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였던 김학순의 증언 이후 위안부 문제는 한국과 일본 양국의 주요 현안이었다.[619]
한국인 여성 위안부를 데려가거나 공출해가는 데 한국인들의 협조도 존재하였다. 2001년의 한국의 한 조사에 따르면 군위안부를 동원한 사람은 군인/군속 20.6%, 순사/경찰관 20.6%, 동네 이장/구장(구청장) 7.8%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한국인 모집업자에 의해 동원된 여성은 29.4%인 데 반해, 일본인 모집업자에 의해 동원된 한국 여성은 16.0%로 나타나고 있다.[594]
위안부 피해자들의 증언집을 검토하면 모집업자건 군인이건 일본인이 직접 동원한 경우에도 반드시 한국인 조력자를 동반한 것으로 드러났다.[594] 한국인의 조력 없이 거의 20만에 이르는 군 위안부가 동원될 수 없었다는 점이다.[594]
인도네시아에서는 독립운동가들이 오히려 네덜란드, 미국 등으로부터의 독립을 위해 일본군을 붙잡아두느라 자국 여성을 위안부로 보냈다.
각 국의 위안부 조달에는 현지인들의 협력, 협조 또는 현지인에 의한 공출이 존재하였다. 한국 여성의 위안부 매매나 조달 등에 나선 한국인은 처벌받지도 않았고, 진술하지도 않았다.[594] 한국의 경우 '20만 명의 한국인 여성들의 인권이 짓밟힌 사건이었지만 단 한 명의 한국인도 처벌받은 사실이 없다[594]'는 점이 문제점으로 제기되었다. 일본인의 경우에는 양심선언이 나오고 있는데, 일본군위안부에 대한 강제 동원, 인신매매 등을 주도하였던 한국인 가운데서는 한 명도 과거의 잘못을 고백하지 않았다는 것이다.[594]
이에 대해 '한국 사회가 일본군 성노예에 대한 과거청산 문제에 있어서 얼마나 소극적으로 대처해 왔는가를 확인할 수 있게 해준다.[594]'는 비판이 있다. 또, 모든 진상을 규명하여 일본 정부의 책임을 엄격하게 묻는 것은 우리가 해야 할 우선적인 작업이다. 그러나 이 끔찍한 비도덕적 행위에 동조한 조선인의 책임을 묻는 것도 과거청산의 또 하나의 과제가 되어야 할 것이다[594] 라는 지적도 있다.
위안부 관계 조사결과 발표에 관한 고노 내각관방장관 담화에서 위안부 모집에 구 일본군이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이에 관여하였으며 강제연행을 인정하고 있으나, 일본 내의 우익 세력은 위안부의 강제 연행은 없었으며 단순한 매춘부로서, 인권침해는 없었다고 주장하면서 고노 담화의 수정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대해, 대한민국 국가인권위원회는 일본의 정치인과 민간인이 위안부 피해자 및 이들을 옹호하는 인권활동가에게 폭언과 폭력을 행사하고 있다면서, 일본 정부에 재발 방지를 촉구하였다.[620] 하지만 바우넷 재팬등의 일부 시민단체는 여전히 2005년 8월 1일 도쿄에 바우넷 재팬의 전 대표인 아츠 야오리의 유산으로 일본군 위안부 홍보관을 설립하는 등의 활동을 하고 있다.[579]
농촌 부녀자를 유괴
피해 여성 100명을 돌파한다
부산 형사 펑톈에 급행
동아 일보 1939년 8월 31일
종군위안부의 동원 과정에서 강제 및 유괴 방법도 적용되었기 때문에 일본 군부는 1938년 작성된 한 통첩에서 "중일전쟁 지역에서의 위안소 설치를 위해 나지에서 종업부 등을 모집할 때 군부 양해 등의 명의를 이용하기 때문에 군의 위신을 손상하고 또 일반인의 오해를 살 우려가 있으며, 혹은 종군기자·위문자 등을 개입시켜 통제 없이 위안부를 모집함으로써 사회문제를 야기할 우려가 있다.[593]"고 지적했다. 1938년 무렵 일본군에서는 일부 위안부들을 강제로 혹은 위협, 속임수 등의 방법으로 조달한다는 것을 알고 대책을 수립하였다. 또 "모집을 담당한 자들의 인선이 적절하지 못함으로써 모집 방법이 유괴와 비슷하고, 이 때문에 경찰 당국에 검거되어 취조를 받는자가 있는 등 주의를 요할 점 적지 않다. 앞으로 위안부 모집에는 파견군의 통제하에 모집인 선정을 주도 적절하게 하고 그 실시에는 관계 지방의 헌병 및 경찰 당국과 밀접하게 연계하여 군의 위신 유지를 위해 또 사회 문제를 위해 유루 없이 배려하도록 통첩한다.[593]"고 했다.
위안부의 모집 방법은 신문과 언론을 통한 광고모집과 납치, 인신매매, 직업소개소의 알선 등 다양한 방법이 있었다. 그런데 일부는 여자 직공을 선발한다고 허위 광고로 데려간 여성들의 존재도 확인되었다. 미국 의회조사국(CRS) 보고서에 미군이 미얀마에서 발견한 20여 명의 한국인 출신 '위안부'의 증언과 호레이스 언더우드 박사가 미국 정부에 보고한 일본군의 한국인 위안부 강제동원 기록, 네덜란드 정부문서기록보관소에 보관된 일본군 위안부 강제동원 자료 등을 증거로 제시했다.[621]
한편 일부 일본군에서 조선인 부녀자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근거로 일부 위안부를 강제로 징집했음을 뒷받침해주는 판결[622] 이 내려지기도 했다.
2014년 8월 5일, 아사히 신문은 자체 검증 결과, 요시다 세이지의 증언(일본군이 여성을 유괴한 것을 목격했다)을 증거로 당시 일본군을 단죄한 기사들을 허위로 판단하여 취소했다.[623] 아사히 신문은 해당 기사를 취소하면서 독자에게 사죄하지 않았고, 사장 기무라 다다카즈(木村伊量)도 독자에게 사죄하지 않을 방침이라고 진술했다. 이 때문에 일본 국내 매스컴에서 미디어로서의 설명 책임을 수행하지 않고 있다는 비판이 일어났다.[624][625][626][627]
많은 일본인이 분노한 것은 아사히 신문사에 대한 것이었으며 한국인에 대한 분노는 아니었다. 그러나 최근의 혐한 정서는 단순한 '사실 왜곡'에 대한 분노를 넘어선 한국인에 대한 일방적인 폄하로까지 발전하고 있어 논란이 있다.
많은(온건한) 일본인의 의견은, 마이니치 신문사가 2014년 8월 7일 발표한 사설로 대표된다.[628]
2014년 9월 12일, 아사히 신문사 도쿄(東京) 본사에서 기자회견이 열려, 아사히 신문사 기무라 사장은 자신의 급여를 0으로 하고 주요 간부도 교체한다고 발표한 뒤, 독자에게 전면적으로 사과했다.
기자회견 전반의 요시다는 2011년 3월에 발생한 원자력 발전소 사고의 현장책임자였던 요시다 마사오(吉田昌郞) 소장에 대해 엄하게 책하는 기사를 쓴 것을 사죄하고 있다. 기자회견 후반의 요시다는 「여성을 유괴해서 위안부로 되게 했다」라고 하는 허위의 증언을 한 요시다 세이지에 관한 기사에 관한 사죄다.
회견 기록은 아래와 같다(원문은 일본어뿐만 아니라 영어, 한국어로도 Web 위에 게재되었다).
:요시다 조서는 아사히 신문이 독자적인 취재를 바탕으로 보도하지 않았다면 그 내용이 세상에 알려지지 않았을지도 모릅니다. 세상에 의문을 던진다는 것에 큰 의의가 있다고 느끼고 있었던 만큼 잘못된 내용을 보도하게 된 사실에 대해서 통한스럽기 그지없습니다.
:현시점에서는 잘못된 판단과 기사에 대한 검토가 미흡했던 점 등이 겹친 것이 원인이라고 생각됩니다만, 새로운 편집담당을 중심으로 ‘신뢰회복과 재생을 위한 위원회’(가칭)를 조속히 설치해 모든 관점에서 취재‧보도선상에 떠오른 문제점을 끄집어내서 독자 여러분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지금 무엇이 필요한지, 제로부터 다시 출발하겠다는 결의로 검토해 가겠습니다.
:동시에 잘못된 기사로 인한 영향 등에 대해 아사히 신문사의 제3자 기관인 ‘보도와 인권위원회(PRC)’에 심리를 요청했습니다. 신속한 심리를 요청했으며 그 결과는 신문지면을 통해 알리겠습니다.
:다양한 비판과 지적을 받고 있는 위안부 보도에 대해서도 설명하겠습니다. 아사히 신문은 8월 5일 자 조간 특집 ‘위안부 문제를 생각한다’에서 제주도에서 위안부를 강제연행했다고 한 故 요시다 세이지(吉田淸治)씨의 증언에 근거한 기사에 대해, 증언을 허위라고 판단해 취소했습니다. 전쟁 시 여성의 존엄과 인권, 과거사 극복과 화해를 테마로 하는 위안부 문제를 직시하기 위해서는, 이 문제에 관한 과거 아사히 신문 보도의 과오를 인정하고 그런 위에 아시아 주변 각국과의 상호신뢰관계를 구축해가자는 저희의 원래 주장을 펴나가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입장에는 조금의 흔들림도 없습니다.
:그러나 기사는 취소하면서 사죄의 말이 없었다는 점에 대해서 비판을 받았습니다. “(기사를) 뒷받침하는 취재가 불충분했던 점은 반성합니다”라고 했으나 사실에 근거한 보도를 원칙으로 하는 저널리즘으로서 더욱 겸허했어야 한다는 점을 통감하고 있습니다. 요시다 씨에 관한 잘못된 기사를 게재한 것, 그리고 정정이 지나치게 늦어졌다는 점에 대해 독자 여러분께 사죄드립니다.
:위안부 보도에 대해서는 PRC와는 별도로 회사 외부의 변호사와 역사학자, 저널리스트 등의 전문가에게 의뢰해 제3자 위원회를 새로이 설치하고, 저희에 대한 의문의 목소리에 기초해 과거 기사 작성 및 정정에 이르기까지의 경위, 이번 특집기사 지면의 타당성, 그리고 아사히 신문의 위안부 보도가 일‧한 관계를 비롯해 국제사회에 미친 영향 등에 대해서 철저히 검증받도록 하겠습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도 신속한 검증을 요청해, 그 결과를 신문지면을 통해 알리겠습니다.
:요시다 조서와 같은 조사 보도도 위안부 문제와 같은 과거사의 부정적인 부분을 파헤치는 보도도 모두 아사히 신문 기사에 대한 독자 여러분의 두터운 신뢰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입니다.
:저희는 이번 사태를 큰 교훈으로 삼으면서 다양한 의견과 비판에 겸허히 귀 기울이겠습니다. 그리고 초심으로 돌아가 무엇보다 기사의 정확성을 중시하는 보도자세를 재구축해 가겠습니다. 이렇게 저희 회사가 앞으로 대처하는 모습을 엄중히 지켜봐 주시기를, 여러분께 부탁드립니다.[629]
:
일부 한국인들에 의해 인신매매당하거나 속임수에 끌려간 위안부 여성도 존재했다. 동원 과정에서 한국인도 관여한 사실이 있다. 세종대학교의 박유하 교수는 "가해성에 대한 책임은 확실히 한국에도 있다고 생각한다.[630]"고 밝혔다. 그가 인터뷰한 한 한국인 위안부 피해 여성은 당시 의붓 아버지에 의해 팔려갔고 일본군보다 아버지가 더 밉다고 말했다고 소개하기도 했다.[630]
한편 박유하 교수는 한국에서 친일적인 발언과 명예 훼손 혐의 등으로 많은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간혹 자신의 가족이나 다른 한국인에 의해 위안부로 끌려가는 여성들도 존재했다.
그러나 당시는 일본의 식민지 치하였으며, 많은 전쟁으로 일본이 '국가 총동원법'을 제정해 징병, 징용, 공출 등 한국에 많은 압박을 가하던 시기라는 것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조선인에 의해 강제로 보내진 사례들도 존재한다. 경성부 방산초등학교에서는 도덕 점수가 뛰어난 12살 여학생만을 선발 도쿄를 구경시켜준다고 속여 6명을 정신대로 보냈고 소학교 학생 정신대 모집을 학교별로 배정 100명을 서울역에서 보냈다고 하며, 어린 여학생에게 정신대 가면 배고픈 일도 없고 1주일에 한 번씩 영화도 볼 수 있고 학교도 다닐 수 있다. 그리고 군수산업 공장 같은 데서 일을 하면 돈도 벌 수 있다고 속여 데려갔다고 한다.[610]
위안부를 모집하는 '모집을 담당한 자들의 인선이 적절하지 못함으로써 모집 방법이 유괴와 비슷'하게 되어 논란이 되기도 했다. 일부 위안부 징집 담당자는 경찰 당국에 검거[593] 되기도 했다. 1944년 버마에서 잡힌 어떤 조선인군위안부의 경우 동네에 나타난 일본군속의 여군모집 캠페인을 보고 오게되었다고 한다.[631] 여군이 되려고 했던 이 여성은 업자들의 농간으로 위안부가 되고 말았다.
위안부의 모집과 조달 과정에서 말썽이 생기자 1938년에 가서 일본군 사령부는 담화문을 발표하고 관리하기 시작한다. 위안부의 모집은 일본군과 계약한 업체 또는 위탁으로 모집하였으므로 일본군은 문제 발생, 조달 등의 문제에 개입하게 된다. 1993년 8월의 일본 관방장관 공개 담화에서 고노 관방장관은 "위안부의 모집에 대해서는 군의 요청을 받은 업자가 주로 이를 담당했으나 그 경우도 감언, 강압에 의거하는 등 본인들의 의사에 반하여 모집된 사려들도 많았으며, 관헌이 직접 이에 가담한 일도 있었다[593]"고 하였다.
안병직 서울대 경제학과 명예교수는 "위안부를 일본 국가권력이 강제 동원했다는 자료는 현재 존재하지 않는다. 증언자가 있을 뿐인데, 이것은 참고자료에 불과하다. 강제 동원 증거가 없다고 해서 자발적이라는 것은 아니다. 강제와 자발 사이에 있는 엄청나게 많은 중간항이 있다. 한국에는 아직도 수많은 위안부가 존재하는데, 이들이 강제동원된 것이 아니라고 해서 자발적이라 말할 수 있나. 그들에게는 수많은 불가피한 사정이 있는 것이 아닌가?" 라고 말했다.[632]
박유하 세종대학교 일문학 교수는 일본의 한 강연에서 했던 발언이 지난 6일 몇몇 언론을 통해 "위안부 문제, 한국도 책임 있다"는 제목으로 알려지면서 누리꾼의 맹비난을 받게 된 것이다. 누리꾼은 박 교수뿐만 아니라 세종대 홈페이지를 찾아가 항의성 글을 올리기도 했다.[633]
군사평론가 지만원은 '수요시위 참가하는 할머니들의 건강과 혈색이 너무 좋아보인다.'고 이유를 들면서 '가짜 위안부가 아니냐?'면서 의혹을 제기했다. 그는 위안부를 '일본군 위안부'와 '종군 위안부', '정신대'로 구분한 뒤 "진짜 피해를 본 '일본군 위안부'는 전체 20% 정도이며 어려운 형편에 스스로 성을 판 종군 위안부가 80%쯤 된다더라"고 주장하였다.[634] 그 근거로 각 신문에 보도된 위안부 모집 기사를 들기도 했다. 지만원은 또 '위안부'라는 개념에 대해 그는 "일본군에게 강제로 끌려가 성을 빼앗겼거나, 스스로 성을 팔았던 어린 여성들"로 정의하고 "성을 강제로 빼앗긴 여성들은 주로 미처 시집을 가지 않고 있다가 끌려간 여성들이고, 성을 판 여성들은 글자 그대로 ‘왜 색시’였다"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일본 우익은 '유가증권' 개념인 '군표'(軍票)를 사용한 것을 들어 위안소 제도를 일종의 공창제와 같은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공창제와 비교해서 군 위안소는 전시라는 상황에서 군이 관리·운영함으로써 위안부 여성의 인권을 더 보장하기 힘든 면이 있었다는 반론도 있다.[635]
인도네시아에서는 독립운동가가 위안부 모집에 앞장서기도 했다. 수카르노는 일본군의 점령이 독립을 앞당기는 길이라 보고 일본군 협력과 일본군을 상대로 하는 인도네시아인 위안부 모집에 앞장섰다.[602] 그는 서구와 싸우는 일본이 인도네시아를 점령하는 것이 인도네시아 독립에 유리하리라 믿었다. 그래서 그는 일본군의 군수물자 확보와 지원병, 종군위안부 모집을 돕는 여러 활동을 벌였고, 1943년 11월 10일 도쿄에서 일본 왕 히로히토로부터 훈장까지 받았다.[602]
위안부 피해자의 한 사람인 심미자(2008년 사망) 등은 '몇 명 안 되는 할머니들을 앵벌이로 삼아 국제 망신을 시키고 다닌다. 우리는 돈을 바라지 않는다. 우리가 바라는 것은 명예다. 우리를 이용하여 국제 모금을 하는 것은 우리를 두 번 모욕 주는 행위다.'[636] 라며 비판하였다.
이러한 취지에서 심미자 등은 6명의 변호인들로 구성된 변호인단을 통해 2004년 3월, 위 두 기구(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대한불교조계종 ‘나눔의 집’)를 상대로 “모금행위 및 시위동원 금지 가처분신청”을 냈다고 한다.[636] 또 우리 정부와 시민단체 등이 툭하면 위안부 피해자들을 내세워 일본을 비판하고 일본에게 배상할 것을 요구하고 있으나 정작 정부와 시민단체 등이 위안부할머니에게 해준 일이 별로 없다고 지적하고 오히려 일본인들이 위안부 피해자들의 건강과 소송문제, 또 장례식 등까지 세세한 부분에 대해 지속적인 관심과 보살핌을 펴왔다고 주장하였다.[636]
한편 한승조 자유시민연대 공동대표(전 고려대학교 명예교수)는 일본의 월간 <正論>(정론) 2005년 4월호에 기고한 '공산주의·좌파사상에 기인한 친일파단죄의 어리석음 : 한일병합을 재평가하자' 제목의 글에서 "수준 이하의 좌파적인 심성 표출의 하나에 종군위안부 문제가 있다"고 전제하고 "공산주의 사회에서는 성(性)도 혁명의 무기로서 활용하자는 말이 있다"면서 "전쟁 중에 군인들이 여성을 성적인 위안물로서 이용하는 것은 일본만의 것이 아니며 일본이 한국여성을 전쟁 중에 그렇게 이용한 것도 전쟁중의 일시적인 것이지 예외의 현상이었다"고 일본군위안부 문제를 예외적인 현상으로 주장해 파문을 불러일으켰다. 한씨는 기고문에서 특히 "그러나 그렇게 많은 것은 아니었는데도 굴욕을 당했다는 노파를 내세워 과장된 사실을 내세워 몇 번이나 보상금을 요구한다"면서 "이런 것이 고상한 민족의 행동이라고 할 수 있는가"라고 반문했다.[637]
8. 1. 수요시위와 평화의 소녀상
수요시위는 대한민국 출신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이 매주 수요일마다 대한민국 주재 일본 대사관 앞에서 벌이는 항의 시위이다. 1992년 1월 8일 10여 명으로 시작된 이래 현재까지 시위 참여 인원은 3만여 명, 발표 문건은 600여 건에 달하며, 대한민국에서 가장 오래 지속된 집회로 기록되고 있다.[579]
평화의 소녀상(평화비)은 1992년 1월 8일 첫 수요시위가 시작된 지 20년이 흐른 2011년 12월 14일에 세워졌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요구하며 일본대사관 앞에서 거리의 투쟁을 이어온 위안부 피해자들의 명예와 인권 회복을 염원하기 위해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가 계획하였다. 2011년 12월 14일 수요집회 1000회째를 맞아 서울 종로구 일본대사관 앞에 공식적으로 설치되었다.
'평화비'는 김운성, 김서경 부부 작가가 공동으로 작업한 작품으로, 높이 130cm이다. 치마저고리를 입고 짧은 단발머리를 한 소녀가 의자에 앉아 일본대사관을 응시하는 모습을 하고 있다. 평화비 옆에는 작은 의자가 놓여 있어 소녀와 함께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되새기는 체험 공간을 제공한다. '평화비' 표지석에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인 길원옥 할머니가 직접 쓴 '평화비' 문구와 함께 1992년 1월 8일부터 2011년 12월 14일 천 번째 수요시위까지의 숭고한 정신과 역사를 잇고자 평화비를 세운다는 내용이 적혀있다.[659]
2013년 3월 8일에는 미국 뉴저지주 해켄색에 있는 카운티 법원 앞 '메모리얼 아일랜드'에 일본군 위안부를 추모하는 기림비가 세워졌다. 이 기림비는 뉴저지주 버겐카운티 정부가 직접 만들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동판에는 "2차대전 당시 일본 제국주의 군대에 의해 '성노예'(sexual slavery)로 강요당한 한국과 중국, 대만, 필리핀, 네덜란드, 인도네시아 출신의 수십만 여성과 소녀들을 추모하며"라는 글이 새겨져 있다.[660]
2018년 8월 14일, 타이난시에는 대만 최초의 위안부 소녀상이 세워졌다.[270] 이 소녀상은 일본군의 전시 성폭력 피해 여성들을 상징하며, 제작자에 따르면 청동상은 하늘로 두 손을 들고 억압에 대한 무력한 저항과 침묵의 항의를 표현하고 있다.[271] 2018년 9월에는 일본 극우 활동가 후지이 미쓰히코(藤井実彦)가 소녀상을 발로 차는 행위로 대만 사회의 공분을 샀고, 대만 정부는 그의 행동을 용납할 수 없다고 규탄했다.[272][273][274]
8. 2. 피해자 지원과 진상 규명 노력
한국인을 비롯한 위안부 피해자들은 일본 정부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지만, 한일기본조약으로 해결이 완료되었다는 등의 이유로 패소했다. 현재 일본 사법부는 전쟁 전 국가 간 배상이 법에 명시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일본의 전쟁범죄를 인정하거나 책임지려 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일부 법조인과 국회의원들은 송신도 할머니의 재판을 변호하거나, 배상의 걸림돌인 전후보상법 개정을 시도하는 등 위안부 피해자들을 돕고 있다.[579]
2000년 도쿄에서 열린 여성국제전범법정은 히로히토 천황과 일본 정부에 유죄를 선고했지만, 피고인이 부재했고 강제력이 없는 민간 재판이었기 때문에 큰 영향을 주지 못했다.
2008년 10월 31일, 유엔 인권위원회는 일본에 위안부 책임을 인정하라는 첫 권고를 했다.[645]
일본 정부는 현재까지 배상에 소극적으로 대처하고 있어, 위안부 피해자들이 노령으로 사망할 때까지 시간을 끌어 연금을 지급하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1995년 7월, 위안부 피해자 운동을 주도해온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는 일본 시민단체 등이 만든 아시아 구호기금(국민기금)에 강하게 반발했다. 정대협은 국민기금이 일본 정부 차원의 ‘보상’이 아닌 ‘위로금’이라고 보았다. 일부 위안부 피해자들도 반대했다.[647] 정대협은 1996년 10월부터 범국민 모금운동을 벌여 위안부 피해자들의 생계를 지원하려 했다. 그러나 1997년 1월, 일본 정부는 한국인 위안부 피해자 7명에게 의료 지원금을 포함, 1인당 500만엔(약 7250만원)의 위로금을 전달했다.[647] 이후 정대협은 1998년 5월부터 모금액과 정부 예산을 합쳐 위안부 피해자 1인당 4300만원의 생활안정 지원금을 지급했다.[647]
2000년대 들어 국민기금을 수령한 일부 할머니들과 심미자 할머니(2008년 사망)를 비롯한 33명은 ‘무궁화 할머니회’를 만들었다.[647] 이들은 2004년 성명서를 내고 “정대협이 형편이 어려운 7명의 위안부 피해자들이 아시아여성기금을 받았다는 이유로 공개적으로 매도했다”, “우리 33명을 제외한 나머지는 진짜 위안부가 아니다”라고 주장했다.[647]

1990년대부터 대만 생존자들은 위안부 문제를 알리고 여성 인권 운동가와 시민 단체의 지지를 얻었다. 타이베이 여성 구조 재단(TWRF)은 법률 및 심리적 지원, 증언 기록 및 학술 연구를 도왔다. 2016년 12월, 타이베이에 위안부 피해자 기념관이 문을 열었다.[269]
경기도 광주시에는 일본군 위안부였다고 주장하는 한국인 여성들과 자원봉사자들이 함께 생활하는 민간 시설인 “나눔의 집”이 있다. ‘나눔’은 한국어로 “나누어 갖기”를 뜻하며, “피해의 역사를 승화시켜 세계적인 역사와 평화, 인권의 성지로 만들 것”을 목표로 한다.[577] 일본군 ‘위안부’ 역사관이 함께 있다.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는 서울 마포구에 “전쟁과 여성 인권 박물관”[559]을 30억엔(35억원)을 들여 건설하고[560] 2012년 5월 5일 개관하였다.[561]
2015년 12월 1일, 난징에 중국 위안부를 위한 최초의 기념관이 문을 열었다. 이 기념관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군이 운영하던 위안부 시설 부지에 세워졌다.[261] 2016년 6월, 상하이사범대학에 중국 위안부 연구센터가 설립되었다.[262]
필리핀에는 일본 시민단체의 지원으로 설립된 '로라즈 하우스'가 있다. 비정부기구(NGO)인 ‘릴라 필리피나’(필리핀 위안부 피해자 협회)가 운영하며, ‘로라’는 필리핀어로 ‘할머니’를 뜻한다. 이곳은 필리핀 출신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과 지원 시민들의 활동 거점이며, 일본 여성단체의 기금으로 매입되었다.[567]
8. 3. 일본과의 갈등 해결 과제
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1980년대부터 일본, 대한민국, 미국, 국제연합 등에서 논의되어 온 복잡한 문제로, 다양한 인식 차이와 논점이 존재한다.[372] 당시 합법적인 공창이었고 민간 업체가 보수를 지급했으며, 알선업자가 신문 광고 등으로 광범위하게 모집했고 일본 여성도 위안부로 채용되었으므로 국가 책임이 없다는 주장이 있다. 반면, 일반 여성이 관헌이나 군대에 의해 강제로 연행되어 성노예가 된 사례가 있다는 주장도 있다.[372]1990년대에 일본 정부는 국가의 도의적 책임을 인정하고[373] 사죄하며, 반관반민 기금(아시아 여성 기금)을 설립했다. 이 기금은 전 위안부에게 "사죄금[374]"을 전달하고 다양한 지원 사업을 펼쳤으며, 2007년에 해산했다.[375]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 정부는 중일전쟁과 태평양전쟁을 치르는 동안 일본 군인들의 성욕구를 채워주기 위해 집단적 성행위 장소인 군대 위안소를 제도화하고, 식민지 및 점령지 출신의 여성들을 전선으로 수송하여 성노예 역할을 강요했다. 김종필 전 국무총리는 일제강점기에 위안부로 끌려가던 조선의 누이들을 직접 보았다고 증언했다.[590] 일본군은 영내에 설치된 위안소에 식민지 여성들을 끌고 가 병사들을 상대로 강제적인 성노리개로 삼았는데, 이를 "위안부"라고 불렀다. 위안부란 말은 완곡어법에 불과했으며, 사실상 성노예였다. 특히 여성들의 의사에 관계없이 강제로 끌고 가거나 "일자리를 소개시켜 준다", "공장에서 일하게 된다"라고 모집한 뒤 태평양 섬 등지의 외딴 곳에 성노예로 보냈다는 점이 문제가 된다. 설사 성매매를 시킨다고 고지한 후에 데려갔다고 하더라도 위안부 자체는 심각한 인권 유린이다.
당시 피해 여성들의 증언에 따르면 구타, 가해는 일상이었고, 칼 등으로 몸을 긋거나 담뱃불로 지지는 등 고문에 가까운 생활을 했다고 한다. 매일 수십 명의 남자들을 상대하면서 성병에 걸리거나 임신 후 강제로 중절수술을 받고 건강이 악화되어 죽는 경우도 많았으며, 배식량은 극도로 적어 영양실조도 많았다고 한다.
성노예 여성들은 전쟁이 끝날 때까지 살아남았으나, 태평양전쟁 이후 패전국으로서 일본의 전후보상 문제가 관련 당사국들 사이에서 지속적으로 제기되어왔던 것에 비해, 위안부는 국내에선 오히려 "일본군과 놀다온 더러운 여자들"이란 잘못된 오해와 편견의 대상이 되며 질타를 받기도 했다. 나중에 진실이 밝혀지고 육체적 및 정신적 피해 등을 포함해서 평생 그 후유증에 시달려야 했기에 지금도 일본 정부에 피해배상을 요구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이를 쉽게 인정하지 않고 있으며 심지어는 심하게 왜곡해서 받아들이는 게 문제가 있다. 일본 측의 입장은 크게 '위안부는 자발적으로 참가했다', '정당한 대가를 받았다', '문서상의 근거가 없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경성일보 등의 기사 보도에 의하면 월 300원에서 최고 3천원 이하의 수당을 준다고 보도돼 있다.
자발적 참여의 근거로는 여성들의 서명이 담긴 문서와 일본 여성 참여의 증거 등이 있는데, 일부 여성들은 취업 서류로 알고서 서명했다가 끌려간 경우도 존재한다.
대가론의 경우 당시 '지불됐다'라는 임금 자체도 여성들에게 직접 전달되지 않았을 뿐더러 강제성과 인권 모욕의 경우는 대가로 해결될 문제가 아니라는 점에서 논점이 이탈된다. 하지만 실제 당시 여러 기록이나 증언들을 보자면 위안부의 징집 절차에는 친일파 조선인이 다수 협력했다는 점에서 부끄러운 사실도 존재한다.
참여 연령대는 모집 당시 기준 17세, 18세에서 30세였다. 이 중 조선인 위안부들의 경우에는 여러 가지 경로가 존재하였다. 일본이 군 공창제로서의 위안소를 설치하고 성노예를 일본인 창녀나 윤락녀만으로는 부족하여 그 식민지인 조선 등의 여성들로 충당하려 했을 경우, 종래 극소수밖에 없었던 조선인 매음녀만으로 충당하기에는 너무 부족했고 결국 일반 여성을 충당할 수밖에 없었다.[614]
첫째는 종래의 색주가, 사창가의 매음녀가 충당된 경우였으나 이는 극히 소수였다. 두 번째는, 일반 여성을 상대로 공공연하게 작부 모집을 한 경우도 있었으나 역시 많은 경우는 아니었다.[614] 셋째는, 가난한 집안의 소녀들을 상대로 일본 등지의 공장 여공으로 알선한다고 속여 선금을 주고 데려가 '성노예'로 충당하는 방법이 가장 널리 적용된 것이라 파악된다.[614] 근로정신대에 동원되었다가 중노동과 기아 등을 견디지 못해 탈출했다가 실패하여 강제로 위안부로 편입되었다는 진술도 있다.[614]
1942년 당시 중국 상하이의 위안부 중개업을 하던 조선인의 이름이 중국 상하이 시의 기록을 통해 일부 후대에 전해지게 되었다. 상하이 시 무창로 338번지의 위안부 업소 운영자는 조선인 공돈(일본 이름 永田芳太郞)으로, 경상남도 김해군 명지면 중리 115번지 출신이며 1940년 4월 4일에 상하이로 건너왔다.[615] 상하이 시 보백로 자운별리 2호에서 위안업을 경영하던 정기천(일본 이름 永川光星)은 함경북도 길주군 웅평면 출신으로 1918년 5월 5일에 중국으로 입국했고, 두강지로 보덕리 60호에서 위안업을 운영하던 한차례(일본 이름 大原光江)는 경상남도 마산부 오동동 13번지 출신으로 1937년 11월에 입국하였다.[615] 매일신보에는 경성부 종로에서 위안부 중개업을 하던 허씨라는 조선인 여성이 기록에 나타나기도 했다.
한-일 관계 개선을 가로막는 가장 큰 외교적 현안은 위안부 문제이다. 대한민국 정부는 위안부 문제를 1951년부터 1965년 6월까지 이어진 한일회담 과정에서 다뤄지지 않은 최대 ‘미해결 문제’로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한일회담 과정에서 위안부 문제가 전혀 논의되지 않은 것은 아니다.[618]
위안부 문제가 한-일 관계를 뒤흔드는 중요한 쟁점으로 발전한 것은 직접적인 당사자가 세상을 떠나거나 고령이며 또한 한국 사회가 민주화를 이룬 뒤 4년 만인 1991년 8월 김학순(1924~1997)이 일본군 위안부였음을 밝히는 역사적인 증언을 내놓은 것이 계기이다.[618] 1991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였던 김학순의 증언 이후 위안부 문제는 한국과 일본 양국의 주요 현안이었다.[619]
한국인 여성 위안부를 데려가거나 공출해가는 데 한국인들의 협조도 존재하였다. 2001년의 한국의 한 조사에 따르면 군위안부를 동원한 사람은 군인/군속 20.6%, 순사/경찰관 20.6%, 동네 이장/구장(구청장) 7.8%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한국인 모집업자에 의해 동원된 여성은 29.4%인 데 반해, 일본인 모집업자에 의해 동원된 한국 여성은 16.0%로 나타나고 있다.[594]
위안부 피해자들의 증언집을 검토하면 모집업자건 군인이건 일본인이 직접 동원한 경우에도 반드시 한국인 조력자를 동반한 것으로 드러났다.[594] 한국인의 조력 없이 거의 20만에 이르는 군 위안부가 동원될 수 없었다는 점이다.[594]
인도네시아에서는 독립운동가들이 오히려 네덜란드, 미국 등으로부터의 독립을 위해 일본군을 붙잡아두느라 자국 여성을 위안부로 보냈다.
각 국의 위안부 조달에는 현지인들의 협력, 협조 또는 현지인에 의한 공출이 존재하였다. 한국 여성의 위안부 매매나 조달 등에 나선 한국인은 처벌받지도 않았고, 진술하지도 않았다.[594] 한국의 경우 '20만 명의 한국인 여성들의 인권이 짓밟힌 사건이었지만 단 한 명의 한국인도 처벌받은 사실이 없다[594]'는 점이 문제점으로 제기되었다. 일본인의 경우에는 양심선언이 나오고 있는데, 일본군위안부에 대한 강제 동원, 인신매매 등을 주도하였던 한국인 가운데서는 한 명도 과거의 잘못을 고백하지 않았다는 것이다.[594]
이에 대해 '한국 사회가 일본군 성노예에 대한 과거청산 문제에 있어서 얼마나 소극적으로 대처해 왔는가를 확인할 수 있게 해준다.[594]'는 비판이 있다. 또, 모든 진상을 규명하여 일본 정부의 책임을 엄격하게 묻는 것은 우리가 해야 할 우선적인 작업이다. 그러나 이 끔찍한 비도덕적 행위에 동조한 조선인의 책임을 묻는 것도 과거청산의 또 하나의 과제가 되어야 할 것이다[594] 라는 지적도 있다.
위안부 관계 조사결과 발표에 관한 고노 내각관방장관 담화에서 위안부 모집에 구 일본군이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이에 관여하였으며 강제연행을 인정하고 있으나, 일본 내의 우익 세력은 위안부의 강제 연행은 없었으며 단순한 매춘부로서, 인권침해는 없었다고 주장하면서 고노 담화의 수정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대해, 대한민국 국가인권위원회는 일본의 정치인과 민간인이 위안부 피해자 및 이들을 옹호하는 인권활동가에게 폭언과 폭력을 행사하고 있다면서, 일본 정부에 재발 방지를 촉구하였다.[620] 하지만 바우넷 재팬등의 일부 시민단체는 여전히 2005년 8월 1일 도쿄에 바우넷 재팬의 전 대표인 아츠 야오리의 유산으로 일본군 위안부 홍보관을 설립하는 등의 활동을 하고 있다.[579]

농촌 부녀자를 유괴
피해 여성 100명을 돌파한다
부산 형사 펑톈에 급행
동아 일보 1939년 8월 31일
종군위안부의 동원 과정에서 강제 및 유괴 방법도 적용되었기 때문에 일본 군부는 1938년 작성된 한 통첩에서 "중일전쟁 지역에서의 위안소 설치를 위해 나지에서 종업부 등을 모집할 때 군부 양해 등의 명의를 이용하기 때문에 군의 위신을 손상하고 또 일반인의 오해를 살 우려가 있으며, 혹은 종군기자·위문자 등을 개입시켜 통제 없이 위안부를 모집함으로써 사회문제를 야기할 우려가 있다.[593]"고 지적했다. 1938년 무렵 일본군에서는 일부 위안부들을 강제로 혹은 위협, 속임수 등의 방법으로 조달한다는 것을 알고 대책을 수립하였다. 또 "모집을 담당한 자들의 인선이 적절하지 못함으로써 모집 방법이 유괴와 비슷하고, 이 때문에 경찰 당국에 검거되어 취조를 받는자가 있는 등 주의를 요할 점 적지 않다. 앞으로 위안부 모집에는 파견군의 통제하에 모집인 선정을 주도 적절하게 하고 그 실시에는 관계 지방의 헌병 및 경찰 당국과 밀접하게 연계하여 군의 위신 유지를 위해 또 사회 문제를 위해 유루 없이 배려하도록 통첩한다.[593]"고 했다.
위안부의 모집 방법은 신문과 언론을 통한 광고모집과 납치, 인신매매, 직업소개소의 알선 등 다양한 방법이 있었다. 그런데 일부는 여자 직공을 선발한다고 허위 광고로 데려간 여성들의 존재도 확인되었다. 미국 의회조사국(CRS) 보고서에 미군이 미얀마에서 발견한 20여 명의 한국인 출신 '위안부'의 증언과 호레이스 언더우드 박사가 미국 정부에 보고한 일본군의 한국인 위안부 강제동원 기록, 네덜란드 정부문서기록보관소에 보관된 일본군 위안부 강제동원 자료 등을 증거로 제시했다.[621]
한편 일부 일본군에서 조선인 부녀자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근거로 일부 위안부를 강제로 징집했음을 뒷받침해주는 판결[622] 이 내려지기도 했다.
2014년 8월 5일, 아사히 신문은 자체 검증 결과, 요시다 세이지의 증언(일본군이 여성을 유괴한 것을 목격했다)을 증거로 당시 일본군을 단죄한 기사들을 허위로 판단하여 취소했다.[623] 아사히 신문은 해당 기사를 취소하면서 독자에게 사죄하지 않았고, 사장 기무라 다다카즈(木村伊量)도 독자에게 사죄하지 않을 방침이라고 진술했다. 이 때문에 일본 국내 매스컴에서 미디어로서의 설명 책임을 수행하지 않고 있다는 비판이 일어났다.[624][625][626][627]
많은 일본인이 분노한 것은 아사히 신문사에 대한 것이었으며 한국인에 대한 분노는 아니었다. 그러나 최근의 혐한 정서는 단순한 '사실 왜곡'에 대한 분노를 넘어선 한국인에 대한 일방적인 폄하로까지 발전하고 있어 논란이 있다.
많은(온건한) 일본인의 의견은, 마이니치 신문사가 2014년 8월 7일 발표한 사설로 대표된다.[628]
2014년 9월 12일, 아사히 신문사 도쿄(東京) 본사에서 기자회견이 열려, 아사히 신문사 기무라 사장은 자신의 급여를 0으로 하고 주요 간부도 교체한다고 발표한 뒤, 독자에게 전면적으로 사과했다.
기자회견 전반의 요시다는 2011년 3월에 발생한 원자력 발전소 사고의 현장책임자였던 요시다 마사오(吉田昌郞) 소장에 대해 엄하게 책하는 기사를 쓴 것을 사죄하고 있다. 기자회견 후반의 요시다는 「여성을 유괴해서 위안부로 되게 했다」라고 하는 허위의 증언을 한 요시다 세이지에 관한 기사에 관한 사죄다.
회견 기록은 아래와 같다(원문은 일본어뿐만 아니라 영어, 한국어로도 Web 위에 게재되었다).
:요시다 조서는 아사히 신문이 독자적인 취재를 바탕으로 보도하지 않았다면 그 내용이 세상에 알려지지 않았을지도 모릅니다. 세상에 의문을 던진다는 것에 큰 의의가 있다고 느끼고 있었던 만큼 잘못된 내용을 보도하게 된 사실에 대해서 통한스럽기 그지없습니다.
:현시점에서는 잘못된 판단과 기사에 대한 검토가 미흡했던 점 등이 겹친 것이 원인이라고 생각됩니다만, 새로운 편집담당을 중심으로 ‘신뢰회복과 재생을 위한 위원회’(가칭)를 조속히 설치해 모든 관점에서 취재‧보도선상에 떠오른 문제점을 끄집어내서 독자 여러분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지금 무엇이 필요한지, 제로부터 다시 출발하겠다는 결의로 검토해 가겠습니다.
:동시에 잘못된 기사로 인한 영향 등에 대해 아사히 신문사의 제3자 기관인 ‘보도와 인권위원회(PRC)’에 심리를 요청했습니다. 신속한 심리를 요청했으며 그 결과는 신문지면을 통해 알리겠습니다.
:다양한 비판과 지적을 받고 있는 위안부 보도에 대해서도 설명하겠습니다. 아사히 신문은 8월 5일 자 조간 특집 ‘위안부 문제를 생각한다’에서 제주도에서 위안부를 강제연행했다고 한 故 요시다 세이지(吉田淸治)씨의 증언에 근거한 기사에 대해, 증언을 허위라고 판단해 취소했습니다. 전쟁 시 여성의 존엄과 인권, 과거사 극복과 화해를 테마로 하는 위안부 문제를 직시하기 위해서는, 이 문제에 관한 과거 아사히 신문 보도의 과오를 인정하고 그런 위에 아시아 주변 각국과의 상호신뢰관계를 구축해가자는 저희의 원래 주장을 펴나가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입장에는 조금의 흔들림도 없습니다.
:그러나 기사는 취소하면서 사죄의 말이 없었다는 점에 대해서 비판을 받았습니다. “(기사를) 뒷받침하는 취재가 불충분했던 점은 반성합니다”라고 했으나 사실에 근거한 보도를 원칙으로 하는 저널리즘으로서 더욱 겸허했어야 한다는 점을 통감하고 있습니다. 요시다 씨에 관한 잘못된 기사를 게재한 것, 그리고 정정이 지나치게 늦어졌다는 점에 대해 독자 여러분께 사죄드립니다.
:위안부 보도에 대해서는 PRC와는 별도로 회사 외부의 변호사와 역사학자, 저널리스트 등의 전문가에게 의뢰해 제3자 위원회를 새로이 설치하고, 저희에 대한 의문의 목소리에 기초해 과거 기사 작성 및 정정에 이르기까지의 경위, 이번 특집기사 지면의 타당성, 그리고 아사히 신문의 위안부 보도가 일‧한 관계를 비롯해 국제사회에 미친 영향 등에 대해서 철저히 검증받도록 하겠습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도 신속한 검증을 요청해, 그 결과를 신문지면을 통해 알리겠습니다.
:요시다 조서와 같은 조사 보도도 위안부 문제와 같은 과거사의 부정적인 부분을 파헤치는 보도도 모두 아사히 신문 기사에 대한 독자 여러분의 두터운 신뢰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입니다.
:저희는 이번 사태를 큰 교훈으로 삼으면서 다양한 의견과 비판에 겸허히 귀 기울이겠습니다. 그리고 초심으로 돌아가 무엇보다 기사의 정확성을 중시하는 보도자세를 재구축해 가겠습니다. 이렇게 저희 회사가 앞으로 대처하는 모습을 엄중히 지켜봐 주시기를, 여러분께 부탁드립니다.[629]
:
일부 한국인들에 의해 인신매매당하거나 속임수에 끌려간 위안부 여성도 존재했다. 동원 과정에서 한국인도 관여한 사실이 있다. 세종대학교의 박유하 교수는 "가해성에 대한 책임은 확실히 한국에도 있다고 생각한다.[630]"고 밝혔다. 그가 인터뷰한 한 한국인 위안부 피해 여성은 당시 의붓 아버지에 의해 팔려갔고 일본군보다 아버지가 더 밉다고 말했다고 소개하기도 했다.[630]
한편 박유하 교수는 한국에서 친일적인 발언과 명예 훼손 혐의 등으로 많은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간혹 자신의 가족이나 다른 한국인에 의해 위안부로 끌려가는 여성들도 존재했다.
그러나 당시는 일본의 식민지 치하였으며, 많은 전쟁으로 일본이 '국가 총동원법'을 제정해 징병, 징용, 공출 등 한국에 많은 압박을 가하던 시기라는 것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조선인에 의해 강제로 보내진 사례들도 존재한다. 경성부 방산초등학교에서는 도덕 점수가 뛰어난 12살 여학생만을 선발 도쿄를 구경시켜준다고 속여 6명을 정신대로 보냈고 소학교 학생 정신대 모집을 학교별로 배정 100명을 서울역에서 보냈다고 하며, 어린 여학생에게 정신대 가면 배고픈 일도 없고 1주일에 한 번씩 영화도 볼 수 있고 학교도 다닐 수 있다. 그리고 군수산업 공장 같은 데서 일을 하면 돈도 벌 수 있다고 속여 데려갔다고 한다.[610]
위안부를 모집하는 '모집을 담당한 자들의 인선이 적절하지 못함으로써 모집 방법이 유괴와 비슷'하게 되어 논란이 되기도 했다. 일부 위안부 징집 담당자는 경찰 당국에 검거[593] 되기도 했다. 1944년 버마에서 잡힌 어떤 조선인군위안부의 경우 동네에 나타난 일본군속의 여군모집 캠페인을 보고 오게되었다고 한다.[631] 여군이 되려고 했던 이 여성은 업자들의 농간으로 위안부가 되고 말았다.
위안부의 모집과 조달 과정에서 말썽이 생기자 1938년에 가서 일본군 사령부는 담화문을 발표하고 관리하기 시작한다. 위안부의 모집은 일본군과 계약한 업체 또는 위탁으로 모집하였으므로 일본군은 문제 발생, 조달 등의 문제에 개입하게 된다. 1993년 8월의 일본 관방장관 공개 담화에서 고노 관방장관은 "위안부의 모집에 대해서는 군의 요청을 받은 업자가 주로 이를 담당했으나 그 경우도 감언, 강압에 의거하는 등 본인들의 의사에 반하여 모집된 사려들도 많았으며, 관헌이 직접 이에 가담한 일도 있었다[593]"고 하였다.
안병직 서울대 경제학과 명예교수는 "위안부를 일본 국가권력이 강제 동원했다는 자료는 현재 존재하지 않는다. 증언자가 있을 뿐인데, 이것은 참고자료에 불과하다. 강제 동원 증거가 없다고 해서 자발적이라는 것은 아니다. 강제와 자발 사이에 있는 엄청나게 많은 중간항이 있다. 한국에는 아직도 수많은 위안부가 존재하는데, 이들이 강제동원된 것이 아니라고 해서 자발적이라 말할 수 있나. 그들에게는 수많은 불가피한 사정이 있는 것이 아닌가?" 라고 말했다.[632]
박유하 세종대학교 일문학 교수는 일본의 한 강연에서 했던 발언이 지난 6일 몇몇 언론을 통해 "위안부 문제, 한국도 책임 있다"는 제목으로 알려지면서 누리꾼의 맹비난을 받게 된 것이다. 누리꾼은 박 교수뿐만 아니라 세종대 홈페이지를 찾아가 항의성 글을 올리기도 했다.[633]
군사평론가 지만원은 '수요시위 참가하는 할머니들의 건강과 혈색이 너무 좋아보인다.'고 이유를 들면서 '가짜 위안부가 아니냐?'면서 의혹을 제기했다. 그는 위안부를 '일본군 위안부'와 '종군 위안부', '정신대'로 구분한 뒤 "진짜 피해를 본 '일본군 위안부'는 전체 20% 정도이며 어려운 형편에 스스로 성을 판 종군 위안부가 80%쯤 된다더라"고 주장하였다.[634] 그 근거로 각 신문에 보도된 위안부 모집 기사를 들기도 했다. 지만원은 또 '위안부'라는 개념에 대해 그는 "일본군에게 강제로 끌려가 성을 빼앗겼거나, 스스로 성을 팔았던 어린 여성들"로 정의하고 "성을 강제로 빼앗긴 여성들은 주로 미처 시집을 가지 않고 있다가 끌려간 여성들이고, 성을 판 여성들은 글자 그대로 ‘왜 색시’였다"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일본 우익은 '유가증권' 개념인 '군표'(軍票)를 사용한 것을 들어 위안소 제도를 일종의 공창제와 같은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공창제와 비교해서 군 위안소는 전시라는 상황에서 군이 관리·운영함으로써 위안부 여성의 인권을 더 보장하기 힘든 면이 있었다는 반론도 있다.[635]
인도네시아에서는 독립운동가가 위안부 모집에 앞장서기도 했다. 수카르노는 일본군의 점령이 독립을 앞당기는 길이라 보고 일본군 협력과 일본군을 상대로 하는 인도네시아인 위안부 모집에 앞장섰다.[602] 그는 서구와 싸우는 일본이 인도네시아를 점령하는 것이 인도네시아 독립에 유리하리라 믿었다. 그래서 그는 일본군의 군수물자 확보와 지원병, 종군위안부 모집을 돕는 여러 활동을 벌였고, 1943년 11월 10일 도쿄에서 일본 왕 히로히토로부터 훈장까지 받았다.[602]
위안부 피해자의 한 사람인 심미자(2008년 사망) 등은 '몇 명 안 되는 할머니들을 앵벌이로 삼아 국제 망신을 시키고 다닌다. 우리는 돈을 바라지 않는다. 우리가 바라는 것은 명예다. 우리를 이용하여 국제 모금을 하는 것은 우리를 두 번 모욕 주는 행위다.'[636] 라며 비판하였다.
이러한 취지에서 심미자 등은 6명의 변호인들로 구성된 변호인단을 통해 2004년 3월, 위 두 기구(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대한불교조계종 ‘나눔의 집’)를 상대로 “모금행위 및 시위동원 금지 가처분신청”을 냈다고 한다.[636] 또 우리 정부와 시민단체 등이 툭하면 위안부 피해자들을 내세워 일본을 비판하고 일본에게 배상할 것을 요구하고 있으나 정작 정부와 시민단체 등이 위안부할머니에게 해준 일이 별로 없다고 지적하고 오히려 일본인들이 위안부 피해자들의 건강과 소송문제, 또 장례식 등까지 세세한 부분에 대해 지속적인 관심과 보살핌을 펴왔다고 주장하였다.[636]
한편 한승조 자유시민연대 공동대표(전 고려대학교 명예교수)는 일본의 월간 <正論>(정론) 2005년 4월호에 기고한 '공산주의·좌파사상에 기인한 친일파단죄의 어리석음 : 한일병합을 재평가하자' 제목의 글에서 "수준 이하의 좌파적인 심성 표출의 하나에 종군위안부 문제가 있다"고 전제하고 "공산주의 사회에서는 성(性)도 혁명의 무기로서 활용하자는 말이 있다"면서 "전쟁 중에 군인들이 여성을 성적인 위안물로서 이용하는 것은 일본만의 것이 아니며 일본이 한국여성을 전쟁 중에 그렇게 이용한 것도 전쟁중의 일시적인 것이지 예외의 현상이었다"고 일본군위안부 문제를 예외적인 현상으로 주장해 파문을 불러일으켰다. 한씨는 기고문에서 특히 "그러나 그렇게 많은 것은 아니었는데도 굴욕을 당했다는 노파를 내세워 과장된 사실을 내세워 몇 번이나 보상금을 요구한다"면서 "이런 것이 고상한 민족의 행동이라고 할 수 있는가"라고 반문했다.[637]
참조
[1]
보고서
Japanese Prisoner of War Interrogation Report No. 49
http://www.exordio.c[...]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1944-10-01
[2]
웹사이트
Who were the Comfort Women?-The Establishment of Comfort Stations
http://www.awf.or.jp[...]
The Asian Women's Fund
[3]
웹사이트
Hall I: Japanese Military and Comfort Women
http://awf.or.jp/e1/[...]
The Asian Women's Fund
[4]
논문
[5]
웹사이트
Special Issue: The 'Comfort Women' as Public History (Table of Contents)
https://apjjf.org/20[...]
2021-03
[6]
논문
[7]
웹사이트
The Origins and Implementation of the Comfort Women System
https://www.e-ir.inf[...]
2018-12-14
[8]
논문
The 2015 South Korean–Japanese Agreement on 'Comfort Women': A Critical Analysis
https://brill.com/vi[...]
2022-02
[9]
논문
The Burden of History: The Issue of "Comfort Women" and What Japan Must do to Move Forward
https://www.jstor.or[...]
2013
[10]
웹사이트
Apology Politics: Japan and South Korea's Dispute over Comfort Women
https://journals.lib[...]
2019-05-04
[11]
논문
[12]
논문
[13]
논문
[14]
논문
[15]
논문
Explaining wartime rape
https://pubmed.ncbi.[...]
2004-05
[16]
논문
[17]
웹사이트
Press Conference: Latest research on Japan's military sexual slavery ("comfort women")
https://apjjf.org/da[...]
2007-04-17
[18]
논문
[19]
논문
[20]
논문
[21]
논문
[22]
서적
The Rape of Nanking: The Forgotten Holocaust of World War II
Basic Books
1997
[23]
논문
[24]
논문
[25]
뉴스
Opinion | the Comfort Women and Japan's War on Truth
https://www.nytimes.[...]
2014-11-14
[26]
서적
Japan's Comfort Wome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7]
웹사이트
War, Rape and Patriarchy: The Japanese experience
https://apjjf.org/20[...]
2019-12-31
[28]
서적
The Japanese Comfort Women and Sexual Slavery during the China and Pacific Wars (War, Culture and Society)
Bloomsbury Academic
2015
[29]
서적
The Rape of Nanking: The Forgotten Holocaust of World War II
https://books.google[...]
Basic Books
2014-03-11
[30]
논문
[31]
논문
[32]
논문
[33]
논문
[34]
논문
[35]
논문
[36]
논문
The Chinese Islamic "Goodwill Mission to the Middle East" During the Anti-Japanese War
https://www.academia[...]
2014-06-19
[37]
서적
A World at Arms: A Global History of World War II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1-12-08
[38]
Harvnb
[39]
Harvnb
[40]
Harvnb
[41]
Harvnb
2007-04-18
[42]
Harvnb
2007-05-12
[43]
Harvnb
2007-09-17
[44]
웹사이트
宋秉畯ら第2期親日反民族行為者202人を選定
http://japanese.join[...]
JoongAng Ilbo
2007-09-17
[45]
뉴스
Papers prove Japan forced women into second world war brothels, says China
https://www.theguard[...]
2014-04-28
[46]
뉴스
Stance on 'comfort women' undermines fight to end wartime sexual violence
http://www.japantime[...]
Japan Times
2014-03-05
[47]
논문
The study of "comfort women": Revealing a hidden past—introduction
2019-12-31
[48]
논문
Comfort women: a focus on recent findings from Korea and China
2015-01-01
[49]
기타
Burning of Confidential Documents by Japanese Government
International Prosecution Section
[50]
Harvnb
2007-03-20
[51]
웹사이트
The Origins and Implementation of the Comfort Women System
https://www.e-ir.inf[...]
2018-12-14
[52]
기타
2001-03-29
[53]
웹사이트
Women and World War II – Comfort Women
http://womenshistory[...]
Womenshistory.about.com
[54]
뉴스
Japan's Wartime Sex Slave Exhibition Exposes Darkness in East Timor
http://www.japanfocu[...]
2006-12-23
[55]
뉴스
"Japanese Troops Took Locals as Comfort Women": International
http://www.pireport.[...]
1999-09-21
[56]
웹사이트
The Consolation Unit: Comfort Women at Rabaul
http://rspas.anu.edu[...]
The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Research School of Pacific and Asian Studies
[57]
Harvnb
2007-03-05
[58]
뉴스
Documents detail how Imperial military forced Dutch females to be 'comfort women'
http://www.japantime[...]
2013-10-07
[59]
웹사이트
"Comfort Woman" Ellen van der Ploeg passed away
http://www.janbannin[...]
[60]
웹사이트
The Allied Reoccupation of the Andaman Islands, 1945
http://www.iwm.org.u[...]
Imperial War Museums
[61]
Harvnb
[62]
기타
2000-12-08
[63]
Harvnb
[64]
웹사이트
Cold Comfort: Peipei Qiu Bears Witness
https://vq.vassar.ed[...]
Vassar, the Alumnae/i Quarterly
2013-06-17
[65]
서적
The Japanese Comfort Women and Sexual Slavery during the China and Pacific Wars (War, Culture and Society)
Bloomsbury Academic
2015
[66]
Harvnb
[67]
Harvnb
[68]
Harvnb
2007-03-03
[69]
서적
Korea's Place in the Sun: A Modern History
https://archive.org/[...]
W.W. Norton & Company
1997
[70]
Harvnb
[71]
웹사이트
Behind the Story: The Legacy of Comfort Women
https://pulitzercent[...]
2021-05-14
[72]
웹사이트
Women made to be Comfort Women – Philippines
https://www.awf.or.j[...]
[73]
서적
Japan's Gestapo: Murder, Mayhem and Torture in Wartime Asia
Pen & Sword Military
2009
[74]
서적
The Romance of K'tut Tantri and Indonesia
Equinox Publishing
2008
[75]
간행물
1994
[76]
웹사이트
Digital Museum: The Comfort Women Issue and the Asian Women's Fund
http://www.awf.or.jp[...]
[77]
웹사이트
Japan's 'Comfort Women'
http://www.iias.nl/i[...]
International Institute for Asian Studies
[78]
간행물
2009
[79]
웹사이트
Women made to become comfort women – Netherlands
http://www.awf.or.jp[...]
Asian Women's Fund
[80]
간행물
Gedwongen prostitutie van Nederlandse vrouwen in voormalig Nederlands-Indië
Sdu Uitgeverij Plantijnstraat
1993
[81]
웹사이트
Report of a study of Dutch government documents on the forced prostitution of Dutch women in the Dutch East Indie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http://www.awf.or.jp[...]
[82]
서적
Comfort Women: A History of Japanese Forced Prostitution During the Second
[83]
뉴스
Japans geld voor 'troostmeisjes'
https://www.nrc.nl/n[...]
1997-11-19
[84]
서적
The Real Tenko: Extraordinary True Stories of Women Prisoners of the Japanese
Pen & Sword Military
[85]
웹사이트
Interview: Dutch foundation urges Japan to pay honorary debts
http://news.xinhuane[...]
[86]
웹사이트
Taiwan seeking redress over 'comfort women' from Japan
https://www.upi.com/[...]
[87]
웹사이트
Timor's Haunted Women
http://www.etan.org/[...]
2001-11-03
[88]
간행물
2001
[89]
서적
Comfort Women and Sex in the Battle Zone
https://books.google[...]
2018
[90]
학술지
The study of "comfort women": Revealing a hidden past—introduction
2020
[91]
웹사이트
Group urges update to textbooks' WWII terminology
https://www.taipeiti[...]
2020-08-16
[92]
학술지
The Comfort Women Controversy – Lessons from Taiwan
https://apjjf.org/-T[...]
2018-04
[93]
서적
Comfort Women: Sexual Slavery in the Japanese Military During World War II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94]
웹사이트
Taiwan's last 'comfort woman' survivor dies at age 92
https://www.taiwanne[...]
Taiwan News
2023-05-23
[95]
뉴스
Researcher details shattered lives of local comfort women
https://www.malaysia[...]
2001-08-11
[96]
뉴스
Stirring look at comfort women in Singapore
https://www.straitst[...]
2017-01-23
[97]
학술지
"Comfort Women" in Malaysia
https://www.tandfonl[...]
2010-10-21
[98]
서적
Legacies of the Comfort Women of World War II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
[99]
서적
Japan's Comfort Women: Sexual Slavery and Prostitution During World War II and the US Occupation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02
[100]
서적
The Life and Times of Sukarno
https://books.google[...]
Sidgwick & Jackson
1974
[101]
서적
The New Encyclopaedia Britannica, Volume 11
https://books.google[...]
Encyclopaedia Britannica
1998
[102]
서적
Supranational Criminal Prosecution of Sexual Violence
https://books.google[...]
Intersentia
[103]
학술지
The 2015 South Korean–Japanese Agreement on 'Comfort Women': A Critical Analysis
https://brill.com/vi[...]
2022
[104]
간행물
1996
[105]
간행물
1996
[106]
논문
[107]
논문
[108]
논문
[109]
Youtube
Filipino comfort women fight to seek justice {{!}} Iba 'Yan
https://www.youtube.[...]
2021-03-28
[110]
Youtube
Fedencia narrates her hardships as a comfort woman {{!}} Iba 'Yan
https://www.youtube.[...]
2021-03-28
[111]
웹사이트
Photos: Why These World War II Sex Slaves Are Still Demanding Justice
https://www.npr.org/[...]
2020-12-04
[112]
웹사이트
S Congress, House of Representatives, Subcommittee on Asia, the Pacific, and the Global Environment Committee on Foreign Affairs, Hearing on Protecting the Human Rights of "Comfort Women," Statement by Jan Ruff O'Herne AO Friends of "Comfort Women" in Australia
https://www.govinfo.[...]
[113]
논문
[114]
논문
[115]
웹사이트
Allies in adversity, Australia and the Dutch in the Pacific War: Comfort women
https://www.awm.gov.[...]
Australian War Memorial
[116]
논문
2007-03-08
[117]
논문
[118]
웹사이트
"Talking Heads"
http://www.abc.net.a[...]
[119]
뉴스
Australian sex slave seeks apology
https://www.smh.com.[...]
The Sydney Morning Herald
2007-02-13
[120]
서적
The Japanese Comfort Women and Sexual Slavery during the China and Pacific Wars (War, Culture and Society)
Bloomsbury Academic
2015
[121]
뉴스
Bangka Island: The WW2 massacre and a 'truth too awful to speak'
https://www.bbc.com/[...]
2019-04-18
[122]
웹사이트
ja:日本占領下インドネシアにおける慰安婦
https://web.archive.[...]
[123]
논문
2007-04-28
[124]
논문
2006-12-23
[125]
웹사이트
일본군 위안부 세계가 껴안다-1년간의 기록
http://www.kbs.co.kr[...]
2006-02-25
[126]
논문
[127]
서적
Nationalism and Construction of Gender in Korea
Routledge
[128]
논문
[129]
서적
Reproductive realities in modern China : birth control and abortion, 1911-2021
https://www.worldca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3
[130]
간행물
The Dose of Salvarsan
1914-09
[131]
뉴스
Children of 'comfort women'
https://www.koreatim[...]
The Korea Times
2018-02-27
[132]
논문
[133]
서적
The Affective Turn: Theorizing the Social
https://books.google[...]
Duke University Press
[134]
논문
[135]
논문
[136]
학술지
The Politics of an Apology: Japan and Resolving the "Comfort Women" Issue
https://www.jstor.or[...]
2009
[137]
웹사이트
우리가 잊은 할머니들...국내 첫 커밍아웃 이남님, 타이에서 가족 찾은 노수복
https://www.hani.co.[...]
2015-08-07
[138]
웹사이트
'Comfort Women' Denial and the Japanese Right
https://apjjf.org/20[...]
2015
[139]
서적
The Comfort Women: Sexual Violence and Postcolonial Memory in Korea and Japan
https://www.worldcat[...]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8
[140]
서적
Legacies of the comfort women of World War II
https://www.worldcat[...]
M.E. Sharpe
2001
[141]
서적
証言・強制連行された朝鮮人軍慰安婦たち
明石書店
1993
[142]
논문
[143]
논문
[144]
웹사이트
KMDb
http://www.kmdb.or.k[...]
2007-05-19
[145]
논문
Disputes in Japan over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System and Its Perception in History
https://www.jstor.or[...]
2008-00-00
[146]
뉴스
勇気ある告発者か詐話師か?吉田清治を再考する (A brave whistleblower or a swindler? Reconsidering Yoshida Seiji)
http://www.nikkanber[...]
2007-03-06
[147]
서적
近現代史の必須知識: 日本人として最低限知っておきたい (Essential consciousness of modern history: The minimum that Japanese people should know)
https://books.google[...]
PHP研究所 [PHP Kenkyūsho]
[148]
뉴스
고노 담화 (The Kono talks)
http://article.joins[...]
2007-03-04
[149]
웹사이트
Thinking about the comfort women issueに関するトピックス: 朝日新聞デジタル
http://www.asahi.com[...]
[150]
웹사이트
Testimony about 'forcible taking away of women on Jeju Island': Judged to be fabrication because supporting evidence not found
http://www.asahi.com[...]
2014-08-22
[151]
웹사이트
Asahi Shimbun admits errors in past 'comfort women' stories
http://www.japantime[...]
Japan Times
2014-08-05
[152]
뉴스
Rewriting the War, Japanese Right Attacks a Newspaper
https://www.nytimes.[...]
2014-12-02
[153]
웹사이트
元朝日記者の敗訴確定 慰安婦報道訴訟―最高裁
https://web.archive.[...]
時事ドットコムニュース
2021-03-12
[154]
논문
The Burden of History: The Issue of "Comfort Women" and What Japan Must do to Move Forward
https://www.jstor.or[...]
2013-00-00
[155]
논문
[156]
웹사이트
衆議院議員辻元清美君提出安倍首相の「慰安婦」問題への認識に関する質問に対する答弁書 (Answer to the question by the House of Representatives member Kiyomi Tsujimoto regarding the prime minister Abe's recognition of Comfort women issue)
https://web.archive.[...]
House of Representatives
2007-03-16
[157]
뉴스
軍の強制連行の証拠ない 河野談話で政府答弁書 (No evidence of the forced seizures. A cabinet decision on Kono statement.)
https://web.archive.[...]
47News
2007-03-16
[158]
뉴스
Japan to review lead-up to WW2 comfort women statement
https://www.bbc.com/[...]
The BBC
2014-02-28
[159]
웹사이트
Japan, S Korea coordinated on wording of Kono statement
https://web.archive.[...]
Nikkei Inc
2014-06-20
[160]
뉴스
Papers prove Japan forced women into second world war brothels, says China
https://www.theguard[...]
2014-04-28
[161]
웹사이트
Diplomatic Bluebook 2019 / The Issue of Comfort Women
https://www.mofa.go.[...]
2019-00-00
[162]
뉴스
Seoul Demanded $364 Million for Japan's Victims Updated
https://web.archive.[...]
The Chosun Ilbo
2005-01-17
[163]
웹사이트
Korea-Japan ties burdened by baggage
https://web.archive.[...]
2013-11-23
[164]
웹사이트
Establishment of the AW Fund, and the basic nature of its projects
http://www.awf.or.jp[...]
[165]
웹사이트
The "Comfort Women" Issue and the Asian Women's Fund
https://www.awf.or.j[...]
[166]
간행물
[167]
뉴스
Atonement money for Comfort women: 30% lower Koreans accepted
https://web.archive.[...]
The Mainichi Newspapers
2014-02-27
[168]
웹사이트
Historical currency exchange rates
http://www.oanda.com[...]
Oanda.com
[169]
웹사이트
Details of Exchanges Between Japan and the Republic of Korea (ROK) Regarding the Comfort Women Issue
http://www.mofa.go.j[...]
Ministry of Foreign Affairs
[170]
웹사이트
Atonement Project of the Asian Women's Fund, Projects by country or region-South Korea
http://www.awf.or.jp[...]
Asian Women's Fund
[171]
뉴스
Japan's divisive 'comfort women' fund
http://news.bbc.co.u[...]
2007-04-10
[172]
웹사이트
Closing of the Asian Women's Fund
http://www.awf.or.jp[...]
Asian Women's Fund Online Museum
[173]
논문
Reconstructing the History of the 'Comfort Women' System: The Fruits of 28 years of Investigation into the 'Comfort Women' Issue in China
https://apjjf.org/20[...]
[174]
뉴스
Japan Admits Army Forced Koreans to Work in Brothels
https://www.nytimes.[...]
1992-01-14
[175]
뉴스
Japan Apologizes for Prostitution of Koreans in WWII
https://www.latimes.[...]
1992-01-14
[176]
뉴스
Japan makes apology to comfort women
https://news.google.[...]
2012-01-27
[177]
뉴스
Japanese Premier Begins Seoul Visit
https://www.nytimes.[...]
2012-01-27
[178]
뉴스
Japan Apologizes on Korea Sex Issue
https://www.nytimes.[...]
2012-01-27
[179]
뉴스
Japan Court Backs 3 Brothel Victims
https://www.nytimes.[...]
2012-01-27
[180]
뉴스
Top 10 National Apologies: Japanese Sex Slavery
https://web.archive.[...]
2010-06-17
[181]
뉴스
Japan may review probe on WWII sex slavery
https://web.archive.[...]
2014-02-20
[182]
뉴스
Abe says won't alter 1993 apology on 'comfort women'
https://web.archive.[...]
2014-03-14
[183]
웹사이트
Japan-ROK summit telephone call
https://www.mofa.go.[...]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Japan
2015-12-28
[184]
웹사이트
Announcement by Foreign Ministers of Japan and the Republic of Korea at the Joint Press Occasion
https://www.mofa.go.[...]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Japan
2015-12-28
[185]
웹사이트
한·일 외교장관회담 결과(일본군위안부 피해자 문제 관련 합의 내용)
http://www.mofa.go.k[...]
Ministry of Foreign Affairs (South Korea)
2015-12-28
[186]
웹사이트
日韓合意のポイント – 日本経済新聞
https://www.nikkei.c[...]
2015-12-29
[187]
간행물
Japan–ROK comfort women agreement a key step to reconciliation
https://www.eastasia[...]
2016-01-05
[188]
뉴스
South Korea and Japan 'finally and irreversibly' reconcile on World War II sex slaves
https://www.latimes.[...]
2015-12-28
[189]
뉴스
Japan and South Korea agree WW2 'comfort women' deal
https://www.bbc.com/[...]
BBC
2015-12-28
[190]
웹사이트
[Editorial] No final resolution without legal responsibility on comfort women issue
http://english.hani.[...]
2015-12-29
[191]
웹사이트
South Korea and Japan fail to reach breakthrough on comfort women issue
http://english.hani.[...]
2015-12-15
[192]
잡지
South Korea: Watch 'Comfort' Woman Yell At Foreign Minister
https://time.com/416[...]
[193]
웹사이트
25 years of progress on comfort women issue 'wiped out' by new agreement
http://english.hani.[...]
2015-12-30
[194]
웹사이트
Diverse interests paved the way for historic comfort women agreement
http://english.hani.[...]
2015-12-29
[195]
웹사이트
Convention on the Elimination of All Forms of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http://www.mofa.go.j[...]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Japan
[196]
웹사이트
Summary of remarks by Mr. Shinsuke Sugiyama, Deputy Minister for Foreign Affairs in the Question and Answer session
http://www.mofa.go.j[...]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Japan
[197]
웹사이트
Court dismisses comfort women's suit against government for signing 2015 agreement with Japan
http://english.hani.[...]
2018-06-17
[198]
웹사이트
New apology from Japan needed over "comfort women": S. Korea's Moon
https://english.kyod[...]
[199]
웹사이트
Press Conference by the Chief Cabinet Secretary
https://japan.kantei[...]
Prime Minister's Official Residence (Japan)
2018-03-01
[200]
웹사이트
Press Conference by the Chief Cabinet Secretary
https://japan.kantei[...]
Prime Minister's Official Residence (Japan)
2018-05-18
[201]
웹사이트
South Korean court orders Japan to pay "comfort women," WWII sex slaves, reparations
https://www.cbsnews.[...]
2021-01-08
[202]
웹사이트
Press Conference by the Prime Minister on the court case brought by a group of former comfort women
https://japan.kantei[...]
Prime Minister's Official Residence (Japan)
2021-01-08
[203]
웹사이트
Extraordinary Press Conference by Foreign Minister MOTEGI Toshimitsu, Friday, January 8, 2021, 8:43 p.m. Brazil
https://www.mofa.go.[...]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Japan
2021-01-08
[204]
뉴스
South Korea court dismisses 'comfort women' case against Japan
https://www.straitst[...]
2021-04-21
[205]
뉴스
Suga upholds Japan's apologies for wartime aggression, comfort women
https://web.archive.[...]
2021-06-26
[206]
웹사이트
PM Suga upholds Japan's apologies for wartime aggression, comfort women
https://english.kyod[...]
[207]
웹사이트
South Korea court overturns Japan's immunity from 'comfort women' suit
https://asia.nikkei.[...]
[208]
간행물
Themes of the "comfort women" and "we" in K. Min's Herstory
https://doi.org/10.1[...]
2022-01-02
[209]
웹사이트
The Politics of Apology for Japan's 'Comfort Women'
https://archive.nyti[...]
2007-03-05
[210]
간행물
The Burden of History: The Issue of "Comfort Women" and What Japan Must do to Move Forward
https://www.jstor.or[...]
2013
[211]
논문
The Burden of History: The Issue of "Comfort Women" and What Japan Must do to Move Forward
https://www.jstor.or[...]
2013
[212]
논문
The Burden of History: The Issue of "Comfort Women" and What Japan Must do to Move Forward
https://www.jstor.or[...]
2013
[213]
Harvnb
Landler 2001-03-02
[214]
웹사이트
Japanese Religions and the Issue of 'Comfort Women' – The University of Chicago Divinity School
https://divinity.uch[...]
2024-06-20
[215]
Harvnb
Yoneyama 2002
[216]
뉴스
Nationalistic Remarks From Japan Lead to Warnings of Chill With U.S.
http://mobile.nytime[...]
2014-02-20
[217]
Harvnb
Hata undated
[218]
서적
The Comfort Women: Sexual Violence and Postcolonial Memory in Korea and Japa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19]
웹사이트
Japan's paradoxical shift to the right • Inside Story
http://inside.org.au[...]
2012-12-06
[220]
뉴스
Japan's new drift: Neo-conservative or neo-imperialist?
https://web.archive.[...]
2013-05-31
[221]
뉴스
No evidence sex slaves were taken by military: Hashimoto
http://www.japantime[...]
2012-08-23
[222]
웹사이트
Hashimoto says 'comfort women' were a necessary part of war
https://web.archive.[...]
2013-05-13
[223]
뉴스
Comfort women and Japan's war on truth
https://www.nytimes.[...]
2014-11-15
[224]
뉴스
U.S. academics condemn Japanese efforts to revise history of 'comfort women'
https://www.washingt[...]
2015-02-09
[225]
뉴스
Comfort women: anger as Japan paper alters description of WWII terms
https://www.theguard[...]
2018-11-30
[226]
뉴스
Japan must do more for WWII 'comfort women': UN
https://www.sbs.com.[...]
2018-08-17
[227]
웹사이트
The "Comfort Women" Issue and the Asian Women's Fund
https://www.awf.or.j[...]
[228]
뉴스
In New Jersey, Memorial for 'Comfort Women' Deepens Old Animosity
https://www.nytimes.[...]
2012-05-04
[229]
뉴스
Osaka drops San Francisco as sister city over 'comfort women' statue
https://www.theguard[...]
2018-10-04
[230]
뉴스
'It Is Not Coming Down': San Francisco Defends 'Comfort Women' Statue as Japan Protests
https://www.nytimes.[...]
2018-10-04
[231]
뉴스
South Koreans Welcome Decision to Maintain 'Comfort Women' Statue in Berlin
https://thediplomat.[...]
2020-12-07
[232]
웹사이트
Philippines failed to redress continuous discrimination and suffering of sexual slavery victims perpetrated by Imperial Japanese Army, UN committee finds
https://www.ohchr.or[...]
2023-03-09
[233]
뉴스
PH failed to aid World War II 'comfort women' – UN body
https://newsinfo.inq[...]
2023-03-09
[234]
간행물
Compensation for Japan's World War II War-Rape Victims
https://repository.u[...]
Hastings Int'l & Comp. L. Rev.
[235]
웹사이트
Number of Comfort Stations and Comfort Women
https://www.awf.or.j[...]
[236]
간행물
The Asahi Shimbun Co. Third-Party Committee report (abridged)
https://www.asahi.co[...]
2014-12-22
[237]
웹사이트
House of Sharing faces whistleblower complaints
https://koreajoongan[...]
2020-05-19
[238]
뉴스
Victims absent from South Korea's 'comfort women' rally amid graft allegations over ex-leader
https://www.reuters.[...]
2020-05-20
[239]
웹사이트
Korea's 'Comfort Women' Movement Enriches the Activists but Ignores the Victims
https://intpolicydig[...]
2020-11-04
[240]
웹사이트
Civic group raided over 'comfort women' scandal
https://koreajoongan[...]
2020-05-21
[241]
웹사이트
Yoon Mee-hyang suspended from Democratic Party
https://koreajoongan[...]
2020-09-16
[242]
뉴스
South Korea charges former 'comfort women' activist with fraud, embezzlement
https://www.reuters.[...]
2020-09-14
[243]
웹사이트
Survivor of wartime sexual slavery calls on S. Korean government to pursue UN action
https://english.hani[...]
[244]
웹사이트
菲律宾"慰安妇"受害者家属游行示威敦促日本道歉赔偿
https://www.chinanew[...]
2024-08-14
[245]
웹사이트
ICD – Vinuya v. Philippines – Asser Institute
https://www.internat[...]
[246]
웹사이트
Justice for comfort women – our achievements
https://www.amnesty.[...]
[247]
웹사이트
"Stop violence against women: "Comfort Women"
https://www.amnesty.[...]
[248]
웹사이트
H.Res.121 – A resolution expressing the sense of the House of Representatives that the Government of Japan should formally acknowledge, apologize, and accept historical responsibility in a clear and unequivocal manner for its Imperial Armed Forces' coercion of young women into sexual slavery, known to the world as comfort women, during its colonial and wartime occupation of Asia and the Pacific Islands from the 1930s through the duration of World War II.
https://www.congress[...]
2007-07-30
[249]
웹사이트
Clinton says 'comfort women' should be referred to as 'enforced sex slaves'
https://japantoday.c[...]
2012-07-11
[250]
웹사이트
White House: Japan should do more to address 'comfort women' issue
http://thecable.fore[...]
[251]
웹사이트
House of Commons passes motion recognizing Japanese 'comfort women'
https://www.cbc.ca/n[...]
2007-11-29
[252]
웹사이트
Call for Apology Netherlands Adopts Resolution on 'Comfort Women'
https://www.koreatim[...]
2007-11-11
[253]
웹사이트
European Parliament resolution of 13 December 2007 on Justice for the 'Comfort Women' (sex slaves in Asia before and during World War II)
http://www.europarl.[...]
[254]
웹사이트
Pope Francis Meets Korean 'Comfort Women'
https://thediplomat.[...]
[255]
웹사이트
The Pope's Verdict on Japan's Comfort Women
http://nationalinter[...]
2014-08-31
[256]
웹사이트
U.N. issues fresh call to Japan over World War II 'comfort women'
http://www.japantime[...]
2013-05-10
[257]
논문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of Former Comfort Women for Japanese Army during World War II.
2004-11
[258]
논문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former 'comfort women'.
[259]
웹사이트
Shanghai Opens Comfort Women Archives – china.org.cn
http://www.china.org[...]
[260]
서적
Hearts of Pine: Songs in the Lives of Three Korean Survivors of the Japanese "Comfort Wome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8-02-27
[261]
뉴스
Memorial hall for 'comfort women' opens to public in Nanjing
http://www.china.org[...]
2015-12-02
[262]
뉴스
'Comfort women' museum opens in Shanghai
http://www.chinadail[...]
2016-10-22
[263]
서적
Places of Pain and Shame: Dealing with 'Difficult Heritag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64]
웹사이트
New exhibition on Taiwanese 'comfort women' to open in Taipei
http://www.wantchina[...]
[265]
웹사이트
Taiwanese 'comfort woman' speaks out in Tokyo exhibition to raise WWII awareness
http://japandailypre[...]
[266]
웹사이트
Taiwan demands Japan's apology over comfort women issue
http://focustaiwan.t[...]
2015-01-10
[267]
웹사이트
Taiwan urges Japan to apologize over comfort women issue
http://focustaiwan.t[...]
2015-04-30
[268]
웹사이트
Film on Taiwanese comfort women wins Gold Panda award
http://www.wantchina[...]
[269]
뉴스
Museum on comfort women opens in Taipei
2016-12-13
[270]
잡지
Taiwan Unveils Its First Statue Honoring 'Comfort Women'
https://www.smithson[...]
2018-08-17
[271]
웹사이트
1st 'comfort women' statue installed in Taiwan
https://japantoday.c[...]
2018-08-14
[272]
웹사이트
日本人が台湾の慰安婦像を蹴る、安倍首相のフェイスブックに謝罪要求コメント殺到―台湾紙
https://www.recordch[...]
[273]
웹사이트
Taipei says activist kicking 'comfort woman' memorial was unacceptable
https://www.scmp.com[...]
2018-09-11
[274]
웹사이트
KMT caucus criticizes 'inaction' over statue case
http://www.taipeitim[...]
2018-09-12
[275]
웹사이트
Japanese nationalist group apologises for member who kicked Taiwan comfort woman statue
https://sg.news.yaho[...]
[276]
웹사이트
Taiwan's 'comfort women' memorial taken to warehouse as land sold at auction
https://www.scmp.com[...]
2024-09-20
[277]
뉴스
'Comfort women' statue installed near Japanese consulate in Busan
https://www.japantim[...]
2016-12-30
[278]
뉴스
Why this statue of a young girl caused a diplomatic incident
https://www.cnn.com/[...]
CNN
2017-02-06
[279]
뉴스
South Korea's new president questions Japan 'comfort women' deal
http://www.cnn.com/2[...]
CNN
2017-05-11
[280]
웹사이트
부산 소녀상 보호, 법적 근거 마련됐다
http://www.hankookil[...]
2017-06-30
[281]
뉴스
S. Korea unveils 'comfort women' monument on national memorial day
https://mainichi.jp/[...]
2018-08-14
[282]
잡지
South Korea Shuts Japanese-Funded 'Comfort Women' Foundation
http://time.com/5460[...]
2018-11-21
[283]
웹사이트
South Korea Signals End to 'Final' Deal With Japan Over Wartime Sex Slaves
https://www.nytimes.[...]
2018-11-21
[284]
웹사이트
Welcom Nanum House!
http://nanum.org/eng[...]
[285]
웹사이트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http://www.womenandw[...]
2014-03-29
[286]
웹사이트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https://www.womenand[...]
2016-01-03
[287]
웹사이트
Lila-Pilipina Brochure
https://worldhistory[...]
[288]
웹사이트
Filipino comfort women stage protest outside Japanese embassy
http://www.globalpos[...]
Kyodo News International
[289]
뉴스
'Comfort Women' Are Old Now, But Still Fighting
http://womensenews.o[...]
2013-06-15
[290]
웹사이트
Commentary on a Victgory for "Comfort Women": Japan's Judicial Recognition of Military Sexual Slavery
https://digital.law.[...]
[291]
웹사이트
Lawyer to take case of Filipino 'comfort women' to UN
http://archive.sunst[...]
[292]
웹사이트
Philippines' Former Comfort Women Push For Compnsation
http://www.gettyimag[...]
[293]
웹사이트
Filipino Comfort Women
http://chnm.gmu.edu/[...]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294]
뉴스
The house where the Philippines' forgotten 'comfort women' were held
https://www.bbc.com/[...]
2016-06-17
[295]
뉴스
'Comfort woman' statue not an insult vs Japan
https://newsinfo.inq[...]
2017-12-26
[296]
웹사이트
Flowers for Lolas: Accurate historical inclusion while the comfort women's voices can still be heard
https://cebudailynew[...]
2023-03-21
[297]
웹사이트
'Comfort woman' statue removed in Philippines
https://www.koreatim[...]
2019-01-04
[298]
뉴스
In New Jersey, Memorial for 'Comfort Women' Deepens Old Animosity
https://www.nytimes.[...]
2012-05-18
[299]
웹사이트
Bergen County marks International Women's Day with Korean 'comfort women' memorial
https://www.nj.com/b[...]
2013-03-09
[300]
뉴스
Glendale unveils 'comfort women' statue, honors 'innocent victims'
https://www.latimes.[...]
2013-07-30
[301]
뉴스
Lawsuit seeks removal of Glendale 'comfort women' statue
https://www.latimes.[...]
2014-02-22
[302]
웹사이트
A California statue stirs passions in South Korea and ire in Japan
http://www.pri.org/s[...]
2014-01-29
[303]
웹사이트
Glendale wins legal battle over monument to WW II 'comfort women'
http://www.scpr.org/[...]
2014-08-11
[304]
뉴스
Federal judge upholds 'comfort women' statue in Glendale park
https://www.latimes.[...]
2014-08-11
[305]
웹사이트
Comfort Women Memorial Peace Garden Unveiled in Northern Virginia
http://kore.am/comfo[...]
2014-06-02
[306]
웹사이트
Michigan latest to install comfort woman statue
http://www.koreatime[...]
[307]
뉴스
comfort women statue unveiled in Michigan
http://www.arirang.c[...]
[308]
웹사이트
Korea Times: Michigan City Installs Comfort Women Memorial
https://asamnews.com[...]
2014-08-21
[309]
웹사이트
Brookhaven To Unveil 'Comfort Women' Statue, Despite Japanese Opposition
https://www.wabe.org[...]
2017-06-28
[310]
웹사이트
SF Chinese American-led comfort women memorial to undergo vote
http://www.koreatime[...]
[311]
뉴스
'Comfort Women' Statue in San Francisco Leads a Japanese City to Cut Ties
https://www.nytimes.[...]
2017-11-25
[312]
웹사이트
Plans for SF 'comfort women' memorial move closer to reality – The San Francisco Examiner
http://www.sfexamine[...]
2015-09-18
[313]
웹사이트
Supervisors' support of a 'comfort women' memorial in San Francisco sparks debate – The San Francisco Examiner
http://www.sfexamine[...]
2015-09-15
[314]
뉴스
Memorialize wartime sex slaves known as 'comfort women,' or just move on?
http://www.sfchronic[...]
2017-09-12
[315]
뉴스
Osaka drops San Francisco as sister city over 'comfort women' statue
https://www.theguard[...]
2018-10-04
[316]
뉴스
Fort Lee to revisit 'comfort women' memorial
https://www.usatoday[...]
2017-11-27
[317]
웹사이트
Fort Lee students give voice to 'comfort women' abused during World War II
https://www.northjer[...]
2019-03-16
[318]
뉴스
First 'comfort women' statue in Europe is unveiled in Germany
https://www.scmp.com[...]
SCMP
2019-09-13
[319]
뉴스
Hidden Toronto: the Comfort Woman Statue
https://nowtoronto.c[...]
2021-04-25
[320]
뉴스
The big row over a small Australian statue
https://www.bbc.com/[...]
BBC
[321]
뉴스
'Comfort woman' who was repeatedly raped by Japanese troops dies at 96
https://www.theage.c[...]
2019-08-21
[322]
웹사이트
'Comfort Woman' Ellen van der Ploeg passed away
http://www.janbannin[...]
[323]
뉴스
Former 'Comfort Women' Hold 1,000th Protest at Japanese Embassy
http://english.chosu[...]
[324]
웹사이트
House Approves 'Comfort Women' Measure
https://www.vday.org[...]
2007-08-02
[325]
뉴스
WWII 'comfort woman' demands apology from Japan
http://www.washingto[...]
[326]
뉴스
Comfort Woman Film Touches Japan
https://web.archive.[...]
2009-03-18
[327]
뉴스
Number of surviving Korean sex slavery victims falls to 40
https://en.yna.co.kr[...]
2016-07-10
[328]
뉴스
Former Korean 'comfort woman' prepares lawsuit against Japan
http://www.koreatime[...]
[329]
Youtube
Life As A "Comfort Woman": Story of Kim Bok-Dong Asian Boss
https://www.youtube.[...]
2018-10-27
[330]
웹사이트
The hidden battle of Leyte : the picture diary of a girl taken by the Japanese military / Remedios Felias
https://web.archive.[...]
Filipinas Heritage Library
[331]
웹사이트
Filipino 'comfort woman' leading her group's quest for justice dies
https://news.abs-cbn[...]
2021-11-24
[332]
뉴스
Profile: Taiwanese former 'comfort woman' dies before apology
http://www.taipeitim[...]
2011-09-06
[333]
웹사이트
Red Angel (1966, Yasuzo Masumura)
http://deeperintomov[...]
2008-04-04
[334]
웹사이트
'Comfort women' film reels given to film institute
https://www.taipeiti[...]
2019-12-11
[335]
웹사이트
Snowy Road
https://www.imdb.com[...]
2017-03
[336]
뉴스
Film depicting horrors faced by 'comfort women' for Japan army tops Korea box office.
https://www.japantim[...]
2016-03-04
[337]
웹사이트
The Apology
https://www.imdb.com[...]
[338]
웹사이트
'I Can Speak': Film Review
https://www.hollywoo[...]
2018-01-25
[339]
웹사이트
Herstory
https://www.imdb.com[...]
[340]
웹사이트
How We Disappeared: An Interview with Jing-Jing Lee
https://historicalno[...]
2019-08
[341]
웹사이트
"How We Disappeared" by Jing-Jing Lee
https://asianreviewo[...]
2019-08-29
[342]
웹사이트
'Tomorrow' Episode 13: SF9 Rowoon Part of a Comfort Women's Survival
https://www.kdramast[...]
2022-05-13
[343]
웹사이트
[이번주 개봉영화] 일본은 위안부 역사를 어떻게 왜곡했나...다큐 '코코순이'
http://www.kgnews.co[...]
2022-08-26
[344]
뉴스
‘Pulang Araw’ praised for giving voice to forgotten comfort women
https://www.philstar[...]
2024-10-27
[345]
뉴스
Bergen Recognizes Comfort Women With Memorial
https://patch.com/ne[...]
2013
[346]
웹사이트
In New Jersey, Memorial for ‘Comfort Women’ Deepens Old Animosity
https://web.archive.[...]
2012
[347]
서적
WWII “Korean Women Not Sex-Enslaved”: A Myth-Bust!
https://books.google[...]
Xlibris
2018
[348]
뉴스
'Comfort Women' Memorial Set Up in New York State
http://english.chosu[...]
2012
[349]
뉴스
2nd memorial stone honoring 'comfort women' erected in NY
http://www.donga.com[...]
2012
[350]
뉴스
NY State Senate unanimously passes resolution on comfort women
http://www.hani.co.k[...]
2013
[351]
뉴스
Bergen County marks International Women's Day with Korean 'comfort women' memorial
https://www.nj.com/b[...]
2013-00-00
[352]
뉴스
Memorial honoring Korean 'comfort women' vandalized with unknown substance in Glendale park.
https://abc7.com/kor[...]
2019-00-00
[353]
뉴스
Comfort Women Monument Unveiled in Glendale
https://web.archive.[...]
2013-00-00
[354]
뉴스
Glendale approves controversial ‘comfort women’ memorial
https://www.dailynew[...]
2013-07-09
[355]
뉴스
Comfort Women Memorial Peace Garden opens in US
http://www.chinadail[...]
2014-06-01
[356]
뉴스
‘Comfort Women’ monument unveiled in Union City
https://hudsoncounty[...]
2014-00-00
[357]
뉴스
Former comfort women have first official meeting at the White House
http://english.hani.[...]
2014-00-00
[358]
뉴스
Michigan latest to install comfort woman statue
http://www.koreatime[...]
2014-00-00
[359]
뉴스
Brookhaven 'Comfort Women' statue to be moved
https://www.ajc.com/[...]
2020-03-11
[360]
뉴스
Osaka Severs Ties With San Francisco Over 'Comfort Women' Memorial
https://web.archive.[...]
2018-00-00
[361]
뉴스
Feature: "Comfort women" memorial unveiled in San Francisco
http://www.xinhuanet[...]
2017-00-00
[362]
뉴스
New York City's first 'comfort women' statue remembers sex victims
https://qns.com/stor[...]
2020-03-11
[363]
뉴스
Fort Lee students give voice to 'comfort women' abused during World War II
https://web.archive.[...]
2018-00-00
[364]
뉴스
Euwan Kim’s Comfort Women Memorial
https://record.horac[...]
2019-00-00
[365]
뉴스
Comfort Women Statue Unveiled near Washington
https://www.nippon.c[...]
2020-03-11
[366]
서적
慰安婦と医療の係わりについて
梓書院
2010-02-24
[367]
논문
1999-00-00
[368]
웹사이트
いわゆる従軍慰安婦問題について
https://www.mofa.go.[...]
外務省
2022-11-27
[369]
뉴스
当時外相の岸田文雄氏インタビュー「世界が証人、韓国は履行を」
https://www.sankei.c[...]
2020-12-26
[370]
서적
「慰安婦問題」の問いかけているもの
石風社
2001-07-00
[371]
서적
性の歴史学 公娼制度・堕胎罪体制から売春防止法・優生保護法体制へ
1997-00-00
[372]
논문
Report on the mission to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the Republic of Korea and Japan on the issue of military sexual slavery in wartime.
http://www.awf.or.jp[...]
国際連合経済社会理事会人権委員会
1996-01-04
[373]
웹사이트
アジア女性基金の誕生と事業の基本性格
https://www.awf.or.j[...]
アジア女性基金
2007-03-00
[374]
뉴스
アジア女性基金とは 国民の募金から「償い金」
https://www.nikkei.c[...]
2015-11-06
[375]
웹사이트
アジア女性基金の解散とその後
https://www.awf.or.j[...]
アジア女性基金
2007-00-00
[376]
서적
2007-00-00
[377]
웹사이트
慰安所と慰安婦の数
https://www.awf.or.j[...]
アジア女性基金
[378]
서적
性の歴史学
[379]
뉴스
Fearing G.I. Occupiers, Japan Urgesd Women Into Brothels
https://www.nytimes.[...]
1995-10-27
[380]
논문
1999-00-00
[381]
간행물
第40回国会 衆議院 社会労働委員会 第27号
https://kokkai.ndl.g[...]
1962-04-11
[382]
간행물
第21号 昭和43年4月26日 第058回国会 社会労働委員会
https://kokkai.ndl.g[...]
1968-04-26
[383]
서적
軍隊ニオケル花柳病予防法
明石書店
1995-04-00
[384]
논문
陸軍慰安所の創設と慰安婦募集に関する一考察
http://nagaikazu.la.[...]
2000-00-00
[385]
서적
南京事件の日々
http://www.library.y[...]
大月書店
1999-00-00
[386]
서적
南京事件の日々
[387]
논문
[388]
논문
[389]
논문
[390]
서적
南京戦史資料集
南京戦史編集委員会
[391]
논문
[392]
논문
[393]
서적
戦場心理の研究 総論
十五年戦争極秘資料集 補巻
[394]
웹사이트
慰安婦資料
http://www.awf.or.jp[...]
[395]
서적
戦場心理の研究 第2
十五年戦争極秘資料集 補巻
[396]
웹사이트
慰安婦資料
http://www.awf.or.jp[...]
[397]
서적
南京戦史資料集I
偕行社
[398]
서적
南京戦史資料集II
偕行社
[399]
웹사이트
政府発表文書にみる「慰安所」と「慰安婦」-『政府調査「従軍慰安婦関係」資料集成』を読む
http://www.awf.or.jp[...]
女性のためのアジア平和国民基金
[400]
서적
ある軍法務官の日記
みすず書房
[401]
서적
従軍慰安婦資料集
http://www.kanpusaib[...]
関釜裁判ニュース
[402]
웹사이트
支那渡航婦女に関する件伺
http://www.awf.or.jp[...]
(財)女性のためのアジア平和国民基金
[403]
웹사이트
国立公文書館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https://www.jacar.go[...]
[404]
간행물
警保局警発甲第136号
1938-11-08
[405]
웹사이트
南支方面渡航婦女の取り扱いに関する件
http://www.awf.or.jp[...]
(財)女性のためのアジア平和国民基金
[406]
서적
政府調査「従軍慰安婦」関係資料集成2
竜渓書舎
[407]
간행물
アジア資料センター 支那事変ノ経験ヨリ観タル軍紀振作対策
[408]
서적
初級作戦給養百題
靖国偕行文庫
[409]
영화
主戦場
[410]
서적
Perawan Remaja Dalam Cengkeraman Militer
[411]
간행물
陸密電第63号
[412]
서적
朝鮮人女性がみた慰安婦問題
三一新書
[413]
사전
デジタル大辞泉
[414]
사전
大辞林 第三版
[415]
법률
昭和10年5月15日 社会局保険部長発各健康保険組合理事長宛 通知第339号「保健施設ニ関スル件」
1935-05-15
[416]
논문
[417]
간행물
皇軍将兵慰安婦女渡来ニツキ便宜供与方依頼ノ件
1937-12-21
[418]
이미지
陸支密受第二一九七号
[419]
서적
大韓民国の物語
文藝春秋
[420]
잡지
私が見た『従軍慰安婦』の正体
正論
[421]
간행물
女性国際戦犯法廷
2000-12
[422]
문서
兵備四機密第一三七号
海軍省軍務局長・兵備局長
1942-05-30
[423]
회의록
日本の戦後処理問題に関するピョンヤン国際討論会
1993-11-07
[424]
웹사이트
いわゆる従軍慰安婦問題に対する日本政府の施策
http://www.mofa.go.j[...]
外務省
2000-11
[425]
간행물
日本軍性奴隷制を裁く2000年女性国際戦犯法廷
2000
[426]
웹사이트
アジア女性基金 慰安婦関連歴史資料
https://www.awf.or.j[...]
[427]
웹사이트
「韓国が大嫌いな日本人」を、世界はどのように見ているのか
https://president.jp[...]
プレジデントオンライン
2021-06-12
[428]
뉴스
実体のない「従軍」冠した罪重い 国学院大学名誉教授・大原康男
http://sankei.jp.msn[...]
産経新聞
2014-08-20
[429]
인터뷰
[430]
웹사이트
慰安婦被害者の李容洙さん「尹美香は良心もない、ありのままに話すべき」(2)(中央日報日本語版)
https://headlines.ya[...]
2020-05-14
[431]
서적
1999
[432]
논문
日本軍「慰安婦」と米軍基地村の「洋公主」 ―植民地の遺産と脱植民地の現在性―
https://doi.org/10.3[...]
2011-10
[433]
뉴스
朝鮮日報
1992-01-15
[434]
웹사이트
皆さんはドルを稼いでくれる愛国者です 証言を通じて “基地村の隠された真実” 続々と明らかに
http://www.ildaro.co[...]
2008-12-15
[435]
뉴스
朝鮮日報
2004-10-22
[436]
서적
韓国人が書いた韓国が「反日国家」である本当の理由
彩図社
2012-10
[437]
서적
The Comfort Women (性の奴隷 従軍慰安婦)
三一書房
1995
[438]
보고서
http://www.awf.or.jp[...]
UNITED STATES OFFICE OF WAR INFORMATION
1942
[439]
잡지
1945-06-11
[440]
잡지
1945-08-13
[441]
웹사이트
朝鮮半島出身者のいわゆる従軍慰安婦問題に関する加藤内閣官房長官発表
https://www.mofa.go.[...]
1992-07-06
[442]
웹사이트
政府調査「従軍慰安婦」関係資料集成
http://www.awf.or.jp[...]
女性のためのアジア平和国民基金
1997-03-20
[443]
서적
共同研究 日本軍慰安婦
大月書店
1995
[444]
논문
Contracting for sex in the Pacific War
https://www.scienced[...]
エルゼビア
2021
[445]
서적
1999
[446]
문서
支那渡航婦女の取扱に関する件(庁府県)
内務省警保局警保局長
1938-02-18
[447]
논문
陸軍慰安所の創設と慰安婦募集に関する一考察
http://www.bun.kyoto[...]
[448]
웹사이트
慰安婦関連歴史資料
http://www.awf.or.jp[...]
アジア女性基金
[449]
서적
1999
[450]
서적
1999
[451]
잡지
私が見た「従軍慰安婦」の正体
産業経済新聞社
2005-01
[452]
서적
共同研究 日本軍慰安婦
大月書店
1995
[453]
서적
1995
[454]
서적
1995
[455]
서적
1999
[456]
논문
[457]
회의록
参議院予算委員会
https://kokkai.ndl.g[...]
1990-06-06
[458]
논문
[459]
뉴스
朝日新聞
2014-08-05
[460]
웹사이트
記事を訂正、おわびしご説明します 朝日新聞社
https://www.asahi.co[...]
2024-10-25
[461]
뉴스
「慰安婦」強制使役が本質 吉見中大教授 橋下市長暴言を批判
http://www.jcp.or.jp[...]
2012-10-25
[462]
논문
[463]
논문
[464]
서적
在日・強制連行の神話
文春新書
2004-06
[465]
Youtube
慰安婦論争-(2)それでも「強制動員」なのか(日本語字幕版)
https://www.youtube.[...]
이승만TV
2024-01-17
[466]
회의록
参議院予算会議
https://kokkai.ndl.g[...]
1990-06-06
[467]
논문
[468]
논문
[469]
웹사이트
「吉田清治証言」の再検証―史実との相違、語りの背景、失敗の教訓
http://www.sumquick.[...]
2018-08-20
[470]
서적
潜水艦隊
学習研究社
2001-06
[471]
서적
沖縄のハルモニ
晩聲社
1979
[472]
논문
[473]
서적
反日種族主義 日韓危機の根源
文藝春秋
2019-11-14
[474]
웹사이트
米軍もさんざ日本じゃ慰安させ――朝日川柳――
http://www.ianfu.net[...]
ワック・マガジンズ
2010-05-31
[475]
서적
ビルマ戦線楯師団の『慰安婦』だった私
梨の木舎
1996
[476]
간행물
京大東アジアセンターニュースレター 第558号
https://hdl.handle.n[...]
京都大学経済学研究科東アジア経済研究センター
2015-02
[477]
논문
[478]
논문
[479]
서적
日本軍慰安婦制度とは何か
岩波ブックレット
[480]
서적
昭和史の謎を追う 下
文藝春秋社
1999-12
[481]
논문
[482]
서적
日本軍慰安婦制度とは何か
岩波ブックレット
[483]
서적
日本軍慰安婦制度とは何か
岩波ブックレット
[484]
서적
私は慰安婦ではない
東方出版
[485]
서적
戦中派の遺言〈続〉
櫂書房
1979
[486]
간행물
日本占領下インドネシアにおける慰安婦---オランダ公文書館調査報告
http://www.awf.or.jp[...]
[487]
논문
[488]
논문
[489]
서적
ビルマ戦線 楯師団の『慰安婦』だった私
梨の木舎
[490]
서적
サンダカン八番娼館
文藝春秋
1975-01
[491]
서적
ナショナリズムとジェンダー
青土社
1998-03
[492]
논문
(제목 없음)
2007
[493]
서적
ビルマ戦線 楯師団の「慰安婦」だった私
梨の木舎
1996
[494]
서적
闇に挑む!
徳間文庫
1998-09
[495]
논문
(제목 없음)
2009
[496]
논문
(제목 없음)
1999
[497]
웹사이트
アジア太平洋戦争韓国人犠牲者補償請求事件 訴状
http://www.awf.or.jp[...]
2016-01-14
[498]
간행물
大東亜戦争陸軍給与令
1943-07-28
[499]
웹사이트
過去の貨幣価値を調べる
https://rnavi.ndl.go[...]
[500]
기타
[501]
논문
(제목 없음)
2009
[502]
웹사이트
円の歴史、PPP
http://www.e.u-tokyo[...]
2017-01 # 링크 끊김
[503]
서적
日本金融史資料 昭和編
大蔵省印刷局
1971
[504]
논문
(제목 없음)
1995
[505]
서적
昭和史の謎を追う 下巻
文芸春秋
1999-12-10
[506]
논문
(제목 없음)
1999
[507]
서적
従軍慰安婦
[508]
서적
証言強制連行された朝鮮人軍慰安婦たち
明石書店
1993-11
[509]
서적
慰安婦たちの太平洋戦争
光人社
[510]
서적
共同研究日本軍慰安婦
大月書店
1995-08
[511]
잡지
私が見た従軍慰安婦の正体
2004-01
[512]
서적
証言・強制連行された朝鮮人軍慰安婦たち
明石書店
1993
[513]
서적
漢口慰安所
図書出版社
1983
[514]
서적
ドキュメント「慰安婦」問題と教科書攻撃
高文研
1997
[515]
서적
証言未来への記憶
証書店
2006
[516]
서적
アジアの声(第11集)私は「慰安婦」ではない
東方出版
1997-08
[517]
서적
政府調査「従軍慰安婦」関係資料集成
http://www.awf.or.jp[...]
龍溪書舎
1997-03-20
[518]
논문
(제목 없음)
1995
[519]
논문
(제목 없음)
1993
[520]
서적
南海のあけぼの
叢文社
1983-01
[521]
서적
慰安婦たちの太平洋戦争―闇に葬られた女たちの戦記〈沖縄篇〉
光人社
1992-06-01
[522]
잡지
(제목 없음)
2007-05
[523]
논문
(제목 없음)
1999
[524]
서적
慰安婦たちの太平洋戦争 続
光人社
1992-03-07
[525]
서적
戦場の「慰安婦」 拉孟全滅戦を生き延びた朴永心の軌跡
明石書店
2003-12-01
[526]
보고서
UNITED STATES OFFICE OF WAR INFORMATION Psychological Warfare Team Attached to U.S.Army Forces
米国戦争情報局心理作戦班
1944
[527]
기타
マレー軍 慰安所規定
1943
[528]
서적
「従軍慰安婦」関係資料集成
[529]
논문
国際金融
http://www.e.u-tokyo[...]
[530]
뉴스
軍票
https://web.archive.[...]
中国情報局 「時事用語ニュース」
[531]
서적
軍隊慰安婦―戦争と人間の記録
徳間書店
1992-02
[532]
뉴스
<사람들> `위안소 정벌' 부친 일기 기증한 일본인(<人々>'慰安所征伐'父親日記寄贈した日本人)
http://www.yonhapnew[...]
聯合ニュース
2013-09-30
[533]
서적
ビルマ戦線従軍記
共栄書房
1980-11-25
[534]
서적
従軍慰安婦
岩波新書
1995-04
[535]
서적
「従軍慰安婦」をめぐる30のウソと真実
大月書店
1997-07
[536]
서적
帝国陸海軍事典
同成社
1984
[537]
서적
昭和の迷走:「第二満州国」に憑かれて
筑摩書房
2014-12-11
[538]
영화
主戦場
2019
[539]
웹사이트
軍事郵便貯金拂戻に関する件
https://www.jacar.ar[...]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2023-12-15
[540]
잡지
封印されていた占領下の米兵「日本人婦女子凌辱事件」ファイル
SAPIO(小学館)
2007-04-11
[541]
보고서
進駐軍ノ不法行為
内務省警保局外事課
[542]
뉴스
戦後日本における米軍向け慰安婦の悲惨な生活(1)
http://japanese.chin[...]
中国網
2013-06-12
[543]
서적
占領秘史
毎日新聞社
1952
[544]
서적
性の歴史学
[545]
뉴스
朝日新聞
1955-08-15
[546]
서적
Modern-Day Comfort Women:The U.S. Military, Transnational Crime, and the Trafficking of Women
http://www.uri.edu/a[...]
ロードアイランド大学
2007
[547]
서적
Haunting the Korean Diaspora: Shame, Secrecy, and the Forgotten War
https://books.google[...]
ミネソタ大学出版
2008
[548]
서적
駐韓米軍
二月社
1978
[549]
서적
性の歴史学
[550]
회의록
衆議院本会議
https://teikokugikai[...]
1945-11-29
[551]
회의록
貴族院本会議
https://teikokugikai[...]
1945-12-14
[552]
서적
赤い夕陽 満州電々追憶記集
「赤い夕陽」刊行会事務局
1965-08
[553]
서적
図説 満州帝国
河出書房新社
1996
[554]
논문
帝国日本の戦時性暴力
京都大学グローバルCOE
[555]
뉴스
上海に始まる日本軍慰安所 上海師範大教授が調査
http://j.peopledaily[...]
人民網
2005-06-17
[556]
뉴스
https://www.recordch[...]
Record China
2007-07-06
[557]
뉴스
http://japanese.cri.[...]
CRI
2016-10-23
[558]
뉴스
南京利済巷慰安所旧址陳列館開館
http://j.people.com.[...]
人民網
2015-12-03
[559]
웹사이트
戦争と女性の人権博物館
http://www.womenandw[...]
[560]
웹사이트
公式サイト建設計画
https://megalodon.jp[...]
[561]
뉴스
慰安婦問題、敗北主義に陥るな 外務省「韓国は確信犯的にやっている」
https://megalodon.jp[...]
産経新聞
2012-06-09
[562]
웹사이트
公式サイトより
https://megalodon.jp[...]
[563]
웹사이트
日本政府の対応とアジア女性基金の設立
https://www.awf.or.j[...]
アジア女性基金
2021-06-10
[564]
웹사이트
慰安婦問題に対する日本政府のこれまでの施策
https://www.mofa.go.[...]
日本外務省
2021-06-10
[565]
웹사이트
or More Than Half a Century, Justice Remains Elusive to Filipino Comfort Women
https://www.bulatlat[...]
www.bulatlat.com
2021-06-11
[566]
웹사이트
GABRIELAについて
https://www.onebilli[...]
www.onebillionrising.org
2021-06-11
[567]
웹사이트
ロラズハウス基金
https://lolas.exblog[...]
2021-06-11
[568]
웹사이트
「挺対協」”嫌韓”を作った組織の30年 #1
https://bunshun.jp/a[...]
文春オンライン
2021-06-10
[569]
웹사이트
정신대문제 보상요구 안해
https://news.kbs.co.[...]
KBSニュース
2021-06-10
[570]
웹사이트
정신대 피해자 생활비 지급 외
https://news.kbs.co.[...]
KBSニュース
2021-06-10
[571]
웹사이트
정부 종군위안부 피해 신고자 지원금 지원
https://news.kbs.co.[...]
KBSニュース
2021-06-10
[572]
웹사이트
일본민간단체, 종군위안부에 위로금 지급강행 물의
https://news.kbs.co.[...]
KBSニュース
2021-06-10
[573]
웹사이트
49억지원 확정; 군대위안부 피해자지원금지급안확정 의결하는 국무회의
https://news.kbs.co.[...]
KBSニュース
2021-06-10
[574]
웹사이트
日帝下日本軍慰安婦被害者に対する生活安定支援及び記念事業に関する法律
http://www.nichibenr[...]
2015-08-14
[575]
웹사이트
일제하 일본군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생활안정지원 및 기념사업 등에 관한 법률
http://www.law.go.kr[...]
2015-08-14
[576]
웹사이트
생활안정支援 大韓民国 女性家族部
http://www.hermuseum[...]
2015-08-14
[577]
뉴스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09-11-01
[578]
뉴스
위안부는 성노예"…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신청자료 공개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6-08-19
[579]
비디오
일본군 위안부 세계가 껴안다 - 1년간의 기록
http://www.kbs.co.kr[...]
2006-02-25
[580]
웹인용
위안부 할머니의 분노 "우리를 앵벌이 삼아 국제망신 그만시켜라"
https://web.archive.[...]
2013-05-28
[581]
웹사이트
内閣総理大臣の談話 平成六年八月三十一日
http://www.kantei.go[...]
首相官邸
1996-08-31
[582]
웹사이트
Statement by Prime Minister Tomiichi Murayama on the "Peace, Friendship, and Exchange Initiative" (August 31, 1994)
http://www.mofa.go.j[...]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Japan
1994-08-31
[583]
뉴스
아베 “위안부 사죄마음 변함없다”
http://news.kukinews[...]
국민일보
[584]
웹사이트
アジア女性基金事業実施に際しての総理の手紙
http://www.kantei.go[...]
首相官邸
1996-08-19
[585]
웹사이트
http://www.nytimes.c[...]
[586]
웹사이트
http://www.ohmynews.[...]
[587]
웹인용
제3차 아시아연대회의 결의문
http://www.hermuseum[...]
일본군위안부 피해자 e-역사관
2006-12-16
[588]
웹사이트
Prisoner of War Interrogation Report No. 49
http://www.kananet.c[...]
[589]
웹사이트
위안부란 용어해설
http://www.hermuseum[...]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e역사관
[590]
뉴스
“위안부 속여서 끌고가는 것 직접 봤는데 꾸며낸 일이라고?” … “사설 쓴 논설위원들 다 불러라” … JP, 와타나베 사장 호통쳤다
http://joongang.join[...]
중앙일보
2015-05-06
[591]
서적
불충신민
한누리미디어
2004
[592]
서적
불충신민
한누리미디어
2004
[593]
서적
한국민족운동사론
서해문집
2008
[594]
서적
민족과 페미니즘
도서출판 당대
2003
[595]
서적
동아시아와 근대의 폭력 1
도서출판 삼인
2001
[596]
서적
21세기사의 서론을 어떻게 쓸 것인가
도서출판 삼인
1999
[597]
서적
유곽의 역사
페이퍼로드
2012
[598]
웹사이트
Statement by the Chief Cabinet Secretary Yohei Kono on the result of the study on the issue of "comfort women" (August 4, 1993)
http://www.mofa.go.j[...]
1993-08-04
[599]
서적
동아시아와 근대의 폭력 1
도서출판 삼인
2001
[600]
서적
여성과 평화 2호
도서출판 당대
2008
[601]
서적
여성과 평화 2호
도서출판 당대
2008
[602]
서적
천 가지 얼굴의 이슬람 그리고 나의 이슬람
아시아네트워크
2009
[603]
서적
한국민족운동사론
서해문집
2008
[604]
서적
한국민족운동사론
서해문집
2008
[605]
뉴스
요시미 교수 “日 정부는 위안부 진실을 외면”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07-03-12
[606]
뉴스
'위안부 문제' 외길 20년, 日 요시미 교수를 만나다
https://news.naver.c[...]
머니투데이
[607]
웹인용
스즈키 히라쿠 중장의 자필진술서
http://dokdo.naezip.[...]
2007-09-01
[608]
뉴스
日軍 통역관 “위안부 군용선으로 강제연행”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07-07-09
[609]
뉴스
"일본군 위안소 설치 지시 판결문 발견"<교도>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7-04-11
[610]
서적
불충신민
한누리미디어
2004
[611]
뉴스
아사히신문, 아베에 반격… "위안부 문제 직시를"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14-08-06
[612]
뉴스
"위안부 되돌아봐야 미래로 간다" 아사히, 우익에 반격
http://joongang.join[...]
중앙일보
2014-08-06
[613]
뉴스
"내가 진짜 ´일본군위안부´다"
https://web.archive.[...]
독립신문
2005-04-16
[614]
서적
21세기사의 서론을 어떻게 쓸 것인가
도서출판 삼인
1999
[615]
서적
해방 전후사의 재인식 1
책세상
2006
[616]
뉴스
위안부지급대모집
경성일보
1944-07-26
[617]
뉴스
낮엔 병사, 밤엔 장교 상대… 위안부 소녀들의 생활너무 많은 군인들이 몰리자 부대별로 요일을 지정해 이용
http://www.epochtime[...]
대기원시보
2014-03-17
[618]
뉴스
50년 전 미봉한 위안부 문제…한·일 두 나라를 흔들어
http://www.hani.co.k[...]
한겨레
2015-06-02
[619]
뉴스
1992년 인정한 '위안부' 피해, 1965년 배상 끝났다?
http://www.pressian.[...]
프레시안
2014-07-09
[620]
뉴스
인권위, 日정부에 위안부 공식사과와 배상 촉구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621]
뉴스
美의회보고서, 아베총리 위안부발언 공개반박
http://www.womenandw[...]
연합뉴스
2007-04-09
[622]
웹인용
판결문
http://dokdo.naezip.[...]
2007-09-01
[623]
웹사이트
(한글 변환)How Asahi Shimbun assessed its coverage of 'comfort women' issue
http://www.microsoft[...]
[624]
웹사이트
(한글 변환)Asahi Shimbun's stance questioned after withdrawal of 'comfort women' articles,August 06, 2014(Mainichi Japan)
http://www.microsoft[...]
[625]
웹사이트
(한글 변환)Asahi Shimbun must apologize for erroneous 'comfort women' reports, August 30, 2014(Mainichi Japan)
http://www.microsoft[...]
[626]
웹사이트
(한글 변환)Thinking_about_the_comfort_women_issue
http://www.microsoft[...]
[627]
웹사이트
(한글 변환)SPECIAL_REVIEW of The_Asahi Shimbun’s “Comfort_Women” Reporting / The_paper slow to correct its errors
http://www.microsoft[...]
[628]
웹사이트
(한글 변환)Editorial: Asahi Shimbun should explain coverage of 'comfort women' issue, August 07, 2014(Mainichi Japan)
http://www.microsoft[...]
[629]
웹인용
“여러분들께 깊이 사죄 드립니다” 기무라 다다카즈 아사히신문사 사장, September 12, 2014(Asahi Shimbun -Asahi Asia Antenna (KOREAN))
http://asahikorean.c[...]
2014-09-22
[630]
뉴스
위안부 가해성 책임 한국에도 있다
http://www.ytn.co.kr[...]
YTN
2007-04-06
[631]
간행물
역사비평:1998년 겨울호
역사비평사
1998
[632]
뉴스
'보수는 이렇게 말한다' 안병직 시대정신 이사장
https://news.naver.c[...]
네이버 뉴스
[633]
뉴스
위안부 문제, '일본 때리기'만이 능사인가
https://news.naver.c[...]
프레시안
2007-04-13
[634]
뉴스
지만원씨 '가짜 위안부' 의혹 제기 파문
https://news.naver.c[...]
네이버 뉴스
[635]
뉴스
‘공창제’는 진정한 대안인가
https://news.naver.c[...]
한겨레21
2004-10-13
[636]
뉴스
위안부 할머니의 분노 "우리를 앵벌이 삼아 국제망신 그만시켜라"
https://web.archive.[...]
독립신문
null # 날짜 정보 없음. 링크 손상으로 인해 추출 불가
[637]
뉴스
김당, 한승조 '일 식민지배는 축복' 기고 파문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638]
간행물
여성과 평화 2호
도서출판 당대
2002
[639]
간행물
여성과 평화 2호
도서출판 당대
2002
[640]
간행물
여성과 평화 2호
도서출판 당대
2002
[641]
서적
일본 지식인과 한국
도서출판 오름
2000
[642]
서적
현대 한일관계사
국학자료원
2002
[643]
웹사이트
null # 제목 정보 없음
http://news.khan.co.[...]
[644]
뉴스
위안부 34명이 현금 지급 받아 한국 정부의 재단 발표
http://www.asahi.com[...]
아사히 신문
null #웨이백머신의 날짜는 아카이브 날짜임. 기사 발행일자는 알 수 없음.
[645]
뉴스
유엔 인권위, 일본에 위안부 책임 인정 첫 권고
https://news.naver.c[...]
네이버 뉴스
[646]
뉴스
日아시아여성기금 前이사 ‘위안부 한국 태세에 절망’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4-08-31
[647]
뉴스
시위 할머니들의 ‘아픈 기억들’
http://newsmaker.kha[...]
주간경향
[648]
뉴스
Congress backs off wartime Japan rebuke
http://www.boston.co[...]
Boston.com
2006-10-15
[649]
뉴스
日정치인, 지지율 떨어지면 한국에 도발?
http://www.cbs.co.kr[...]
노컷뉴스
2007-03-07
[650]
뉴스
미 하원, 위안부결의안 ‘39:2’ 압도적 다수로 채택
http://www.hani.co.k[...]
한겨레신문
2007-06-27
[651]
뉴스
美하원, 35분 만에 위안부결의안 만장일치 통과
http://news.mk.co.kr[...]
매일경제
2007-07-31
[652]
뉴스
美하원 위안부 결의안 일지
http://news.kbs.co.k[...]
KBS뉴스
2007-07-31
[653]
뉴스
99년부터 3차례 발의… 이슈화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07-08-01
[654]
뉴스
네덜란드 의회, 위안부 결의안 만장일치 채택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07-11-11
[655]
뉴스
캐나다도 日에 사죄요구
http://yp.koreatimes[...]
캐나다 한국일보 케이티타운
2007-11-30 # 연도만 표시된 정보를 추정하여 입력
[656]
뉴스
(단신) 유럽의회, '위안부 결의안' 채택
http://imnews.imbc.c[...]
MBC뉴스
2007-12-14
[657]
뉴스
필리핀 하원, 일본군 위안부 결의안 채택
http://news.chosun.c[...]
연합뉴스
2008-03-12
[658]
뉴스
유엔 "日, 위안부 동원 즉각 사죄.보상해야"
http://news.mk.co.kr[...]
매일경제
2008-10-31
[659]
뉴스
일본 대사관 앞 ‘작은 소녀’평화비 세운다
http://www.hani.co.k[...]
한겨레뉴스
2011-12-14
[660]
뉴스
미국이 직접 만든 `위안부 기림비' 뉴저지서 제막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3-03-09
[661]
뉴스
Former Korean 'comfort women' for U.S. troops sue own government
http://www.reuters.c[...]
Reuters
2014-07-11
[662]
뉴스
“조국 경제 발전에 기여한 소녀들의 충정은…”
http://www.hani.co.k[...]
한겨레신문
null # 날짜 정보 없음
[663]
뉴스
Former ‘Comfort Women’ Sue South Korean Government
http://www.ibtimes.c[...]
International Business Times
2014-07-11
[664]
뉴스
'기지촌 여성' 국가 상대 집단 손배소송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4-06-25
[665]
뉴스
北 ‘미군 기지촌 성매매’ 비난…“인권유린국은 미국”
http://www.fnnews.co[...]
파이낸셜뉴스
2014-07-31
[666]
뉴스
북한 ‘주한미군 기지촌 성매매’ 비난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4-07-31
[667]
뉴스
北 '미군 기지촌 성매매' 비난…"인권유린국은 미국"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4-07-31
[668]
뉴스
北 여맹, '미군 위안부'에 韓·美 사죄와 책임 촉구
http://www.tongilnew[...]
통일뉴스
2014-08-08
[669]
서적
세상을 뒤바꾼 책사들의 이야기:일본편
일송북
2002
[670]
서적
세상을 뒤바꾼 책사들의 이야기:일본편
일송북
2002
[671]
웹사이트
(제목 정보 없음)
http://news.khan.co.[...]
[672]
웹사이트
(제목 정보 없음)
http://www.obsnews.c[...]
[673]
웹사이트
(제목 정보 없음)
http://www.yonhapnew[...]
[674]
웹사이트
(제목 정보 없음)
http://www.yeongnam.[...]
[675]
뉴스
위안부는 식민지 지배 책임의 문제… 日 우익에 말려들어선 안돼
https://news.naver.c[...]
한국일보
2015-03-15
[676]
웹인용
누구를 위한 화해인가 출판기념회(부분편집본) 2016.7.1.
http://www.infinitel[...]
2016-07-09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케데헌이 알린 일본의 만행…"잔혹" 뭐길래
폐지 위기 넘어… 여가부→‘성평등가족부’ 발돋움
[Column] Who we fail when we oversimplify the ‘comfort women’ issue
원민경 ‘성평등’ 강조…국힘 “성소수자 인정” 궤변
원민경 후보자 청문회…'피해 호소인' 표현 공방
‘윤미향 사면, 입 다물 거냐’ 묻는 국힘 의원들…원민경 대답은?
[Correspondent’s column] A report card for the Lee-Ishiba summit
‘위안부’ 문제의 복잡성과 남겨진 사람들 [권김현영의 사건 이후]
다자이 오사무의 손녀가 아닌, 쓰시마 유코의 딸로서 [.txt]
한-일 정상회담 성적표와 남은 숙제 [특파원 칼럼]
[금주의 B컷]잘못된 ‘한·일 위안부 합의’, “뒤집지 않을 것”이라는 정부…소녀상이 보고 있다
[뉴스직격] 한미정상회담 "매우 성공적" vs "경제안보 언급 왜 없나"
이 땅에 다시는 ‘정치적 밤’은 없을 것입니다
‘Big progress’ with North Korea possible if South Korea works with US, Trump says
“트럼프도 한·일 관계에 관심”…일 언론, 한·미 정상회담 주목
사라지는 기억을 붙드는 사람들···역사의 빛을 켜다 [광복80주년 기획]
“위안부 합의 무효라더니…이 대통령, 소신 저버려”
이 대통령 "첫술에 배부를 수 있나"…과거사-협력 '투트랙' 재확인
Leaders of South Korea, Japan forgo past for focus on futur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