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보림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림사는 신라 시대에 창건된 사찰로, 전라남도 장흥군에 위치해 있다. 원표대사가 가지산에서 용과 관련된 전설에 따라 사찰을 건립했다는 창건 설화가 전해진다. 860년 신라 헌안왕은 승려 체징에게 보림사 건립을 권했고, 이후 여러 시대에 걸쳐 중건과 확장을 거쳤다. 고려 시대에는 선불교 재건 노력이 있었으며, 조선 시대에는 불교 탄압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한국 전쟁 중에는 소실된 부분이 있었으나 복원되었으며, 현재 국보 2점과 다수의 보물, 전라남도 시도유형문화재를 소장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라남도의 절 - 백련사 (전남 강진군)
    백련사는 전라남도 강진군에 위치하며 신라 시대에 창건되어 고려 시대에 크게 번성했으나 왜구의 침략으로 황폐화되었다가 조선 시대에 복원된 사찰이다.
  • 전라남도의 절 - 화엄사
    화엄사는 신라 진흥왕 때 연기조사가 창건하고 《화엄경》에서 이름을 따왔으며, 신라, 고려, 조선 시대를 거치며 여러 차례 중수되었고, 국보와 보물을 보유한 선교 양종의 대가람으로 현재 템플스테이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 대한불교조계종의 절 - 불국사
    불국사는 김대성이 부모의 극락왕생을 기원하며 중창을 시작하여 신라시대에 완공된 경주시 토함산의 대표적인 사찰로, 석가탑과 다보탑 등 국보급 문화재를 보유하고 있으며 임진왜란 이후 복원을 거쳐 현재에 이르러 신라 불교 건축의 정수이자 한국 문화유산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대한불교조계종의 절 - 해동용궁사
    해동용궁사는 부산 기장군에 위치한 바닷가 사찰로, 사찰 측은 1376년 창건 및 임진왜란 소실 후 1930년대 재건, 1974년 개칭을 주장하나 지역 사회는 1970년대 신축 사찰 의혹을 제기하며, 2021년 화엄사의 말사로 등록되었다.
보림사
기본 정보
보림사 적조루
보림사 적조루
위치대한민국 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봉덕리
종파대한불교조계종
창건 시기신라 헌안왕 원년 (857년)
창건자보조선사 체징
문화재 지정번호대한민국 국보 제44호 (보림사 남북 삼층석탑 및 석등)
역사
창건신라 헌안왕 원년 (857년) 보조선사 체징에 의해 창건
중건고려시대 중창
조선시대조선 숙종 때 화재로 소실
이후 중건
근대1950년 한국전쟁 때 대부분의 건물이 소실
복원이후 일부 건물 복원
주요 문화재
국보보림사 남북 삼층석탑 및 석등 (제44호)
보림사 동 부도 (제157호)
보물보림사 목조 사천왕상 (제1254호)
장흥 보림사 대적광전 (제1858호)
장흥 보림사 영전 (제2131호)
장흥 보림사 서 부도 (제2132호)
천연기념물장흥 보림사 비자나무 숲 (제176호)
문화재 정보
보림사 남북 삼층석탑 및 석등지정 종류: 국보
지정 번호: 제44호
지정 일자: 1962년 12월 20일
보림사 동 부도지정 종류: 국보
지정 번호: 제157호
지정 일자: 1974년 01월 26일
장흥 보림사 비자나무 숲지정 종류: 천연기념물
지정 번호: 제176호
지정 일자: 1966년 01월 13일
보림사 목조 사천왕상지정 종류: 보물
지정 번호: 제1254호
지정 일자: 1996년 07월 02일
장흥 보림사 대적광전지정 종류: 보물
지정 번호: 제1858호
지정 일자: 2015년 07월 08일
장흥 보림사 영전지정 종류: 보물
지정 번호: 제2131호
지정 일자: 2022년 06월 28일
장흥 보림사 서 부도지정 종류: 보물
지정 번호: 제2132호
지정 일자: 2022년 06월 28일
주지
현재 주지탄문

2. 창건 설화

인도중국의 보림사에서 유학하던 원표대사가 신라로 돌아와 장흥 가지산에서 선녀의 도움으로 아홉 마리 용을 물리치고 연못을 얻어 절을 지었다는 설화가 전해진다. 이 설화와 관련하여 지역 지명에는 용과 관련된 요소가 많다.[1]

2. 1. 원표대사 설화

원표대사(元表大師)는 인도와 중국의 보림사에서 유학하던 중 한반도의 좋은 기후를 그리워하여 신라로 돌아와 사찰을 지을 장소를 찾았다. 어느 날 그는 현재의 장흥에 있는 가지산을 방문했다. 갑자기 선녀가 나타나 자신이 살고 있던 연못 주변에서 아홉 마리의 용이 난동을 부리고 있다고 말했다. 스님은 연못에 부적을 던져 흰 용을 제외한 모든 용을 내쫓았다. 결국 흰 용도 떠났지만 근처 숲에서 꼬리를 잃었다. 그곳은 용문소(龍門沼)가 되었는데, 이는 용의 꼬리에 의해 연못이 파였다는 의미이다. 원표대사는 이 장소를 사찰 건립을 위한 곳으로 지정했다. 이 전설에 따라, 지역 지명에는 용과 관련된 많은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1]

3. 역사



통일 신라 시대, 이 지역 산속 9개 사찰은 중요한 불교 사찰로 여겨졌고, 삼국유사의 저자 일연도 보림사에 속했다. 860년 신라 헌안왕이 승려 체징에게 절을 짓도록 권장, 인도와 중국의 같은 이름 절을 따서 이름을 지었다.[2] 고려 시대에는 일연이 보림사에 속했으며, 14세기 고려 공민왕 치세 동안 승려 보우가 선불교 재건을 위해 노력했다. 조선 건국 이후 절의 여러 부속 건물들이 재건되고 확장되었으나, 조선의 불교 탄압으로 어려운 시기였다.[3] 조선 시대에 승려 보우는 불교 선종 재건을 위해 노력했고, 조선 건국 이후 보림사 건물들이 재건, 확장되었으나 불교 탄압으로 어려운 시기를 겪었다.[3] 근현대에는 조선 건국 이후 건물들이 재건, 확장되었으나 불교 탄압으로 어려운 시기를 겪었고,[3] 한국 전쟁 당시 빨치산 은신처로 의심받아 건물이 불탔고, 이후 복원되어 현재 여러 국보를 소장하고 있다.

3. 1. 통일신라 시대

통일신라 시대에 이 지역 산속에 있는 9개의 사찰이 중요한 불교 사찰로 여겨졌다. 한국 역사에 관한 가장 저명한 역사서 중 하나인 삼국유사의 저자 일연도 보림사에 속해 있었다. 860년, 신라 헌안왕은 위대한 승려 체징에게 이 절을 짓도록 권장했고, 이후 인도와 중국에 있는 같은 이름의 절을 따서 이름을 지었다.[2]

3. 2. 고려 시대

삼국유사의 저자 일연은 보림사에 속해 있었다.[2]

14세기 고려 공민왕 치세 동안, 승려 보우는 한국에서 선불교를 재건하기 위해 다양한 종파를 조화시키는 노력을 했다. 1392년에 조선 왕조가 건국된 이후, 절의 여러 부속 건물들이 재건되고 크게 확장되었으나, 조선의 불교 탄압으로 인해 어려운 시기였다.[3]

3. 3. 조선 시대

14세기 고려 공민왕 때, 승려 보우는 한국 불교의 선종을 재건하기 위해 여러 종파를 통합하려 노력했다.[3] 1392년 조선 건국 이후, 보림사의 여러 부속 건물들이 다시 지어지고 크게 확장되었으나, 조선의 불교 탄압 정책으로 인해 어려운 시기를 겪었다.[3]

3. 4. 근현대

1392년 조선 건국 이후, 보림사의 여러 부속 건물들이 재건되고 크게 확장되었다. 그러나 조선시대에는 불교 탄압으로 인해 어려운 시기를 겪었다.[3]

한국 전쟁 당시, 보림사는 빨치산 은신처로 의심받아 지휘관들이 보낸 징벌적 원정으로 인해 두 개의 문을 제외한 20개의 부속 건물이 불탔다. 전쟁 이후, 여러 차례 복원되었고 현재 여러 국보를 소장하고 있다.

4. 소장 문화재

보림사에는 국보 2점, 보물 8점, 전라남도 시도유형문화재 12점 등 여러 문화재가 소장되어 있다.

국보로는 장흥 보림사 남·북 삼층석탑 및 석등(국보 제44호)과 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국보 제117호)이 있다.

보물로는 장흥 보림사 동 승탑(보물 제155호), 장흥 보림사 서 승탑(보물 제156호),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보물 제157호),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보물 제158호),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권9~10(보물 제1252호), 장흥 보림사 목조사천왕상(보물 제1254호) 등이 있다.

전라남도 시도유형문화재로는 보림사 사천왕상 복장 계초심학인문(전라남도 시도유형문화재 제194호), 보림사 사천왕상 복장 고봉화상선요(전라남도 시도유형문화재 제195호) 등 보림사 사천왕상 복장 불서들과 관련된 문화재가 있다.

4. 1. 국보

4. 2. 보물


4. 3. 전라남도 시도유형문화재

문화재명지정 번호
보림사 사천왕상 복장 계초심학인문전라남도 시도유형문화재 제194호
보림사 사천왕상 복장 고봉화상선요전라남도 시도유형문화재 제195호
보림사 사천왕상 복장 금강반야론전라남도 시도유형문화재 제196호
보림사 사천왕상 복장 대방광원각수다라료의경전라남도 시도유형문화재 제197호
보림사 사천왕상 복장 대전화상주심경전라남도 시도유형문화재 제198호
보림사 사천왕상 복장 몽산화상육도보설전라남도 시도유형문화재 제199호
보림사 사천왕상 복장 불설사십이장경전라남도 시도유형문화재 제200호
보림사 사천왕상 복장 육경합부전라남도 시도유형문화재 제201호
보림사 사천왕상 복장 언해판화관계불서전라남도 시도유형문화재 제202호
보림사 사천왕상 복장 진언·의식관계불서전라남도 시도유형문화재 제203호
보림사 사천왕상 복장 선종불서전라남도 시도유형문화재 제204호
보림사 사천왕상 복장 경전불서전라남도 시도유형문화재 제205호


참조

[1] 웹사이트 Korea be Inspired! http://korean.visitk[...]
[2] 웹사이트 Koreasan.com https://web.archive.[...]
[3] 웹사이트 Jangheung county - village web site https://archive.tod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