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병의 본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병의 본령〉은 일본 제국 육군의 군가로, 1899년 나가이 겐시가 작곡한 〈쇼난코〉를 원곡으로 하며, 구제일고등학교의 요가(寮歌)인 〈아무르강의 유혈〉을 차용했다는 설도 있다. 가사는 시대에 따라 여러 차례 변경되었으며, 금장을 벚꽃에 비유하는 등 일본 제국 육군의 상징을 담고 있다. 이 곡은 군가로서의 위상, 대중적 인기, 전후 상황 등 다양한 측면에서 영향을 미쳤으며, 오바 사카에 부대의 일화와 미얀마 군가, 한국의 관점 등에서도 언급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11년 노래 - 건지섬의 국가
건지섬의 국가는 "Sarnia Cherie"라는 곡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점령 시기 건지섬 사람들의 정체성과 저항 정신을 상징하는 애국가로 사용되었으며, 영어 및 건지어 가사 버전과 영국의 국가를 개작한 형태도 존재한다. - 일본의 군가 - 아아 가미카제 특별공격대 (군가)
1944년 레이테 만 해전 이후 가미카제 특별공격대의 전과를 기리기 위해 만들어진 일본 군가인 아아 가미카제 특별공격대는 노무라 토시오 작사, 오세키 유우지 작곡으로 같은 해 11월 라디오 보도 가요로 방송되었으며 2000년 CD 앨범에 수록되기도 하였다. - 일본의 군가 - 눈의 진군
눈의 진군은 나가이 켄시가 청일전쟁 경험을 바탕으로 작곡한 일본 군가로, 눈 덮인 전장에서 고난을 겪는 병사들의 모습과 전쟁에 대한 불만을 언문일치체 가사로 담아 메이지 시대 병사들 사이에서 확산되었으며, 쇼와 시대 가사 일부 개정과 태평양 전쟁 시기 가창 금지를 거쳐 대중문화 속에서 다양하게 변주되었다.
보병의 본령 |
---|
2. 원곡
〈보병의 본령〉의 원곡은 1901년(메이지 34년)에 제작된 구제제일고등학교의 요가(寮歌) 〈아무르강의 유혈이여〉(アムール川の流血や)로 알려졌다. 그러나 실제 원곡은 나가이 겐시가 1899년(메이지 32년)에 출판한 《고적나팔군가 실용신보》(鼓笛喇叭軍歌 実用新譜)에 발표된 〈쇼난코〉(湘南港)라는 사실이 2009년(헤이세이 21년) 아이카와 유미에 의해 밝혀졌다.[1]
이는 1944년(쇼와 19년) 호리우치 게이조가 《일본의 군가》에서 언급한 내용, 1992년(헤이세이 4년) 《고료》(向陵)에 기재된 내용과도 일치한다. 하지만 《일본의 창가(하)》에서는 나가이 겐시가 작곡자라는 것이 잘못 알려졌다고 기술되어 있으나, 그 근거는 제시되지 않았다.
2. 1. 나가이 겐시의 〈쇼난코〉
〈보병의 본령〉의 원곡은 1901년(메이지 34년)에 제작된 구제제일고등학교의 요가(寮歌) 〈아무르강의 유혈이여〉(アムール川の流血や)로 알려져 있었으나, 실제 원곡은 나가이 겐시가 1899년(메이지 32년)에 출판한 《고적나팔군가 실용신보》(鼓笛喇叭軍歌 実用新譜)에 발표된 〈쇼난코〉(湘南港)이다. 이 사실은 2009년(헤이세이 21년) 성악가 겸 연구가 아이카와 유미가 발견하였다.[1]2. 2. 구제일고의 〈아무르강의 유혈〉
1901년(메이지 34년) 구제제일고등학교의 요가(寮歌) 〈아무르 강의 유혈(アムール川の流血や)은 나가이 겐시가 1899년(메이지 32년)에 발표한 〈쇼난코〉(湘南江)를 차용했다는 주장이 있다. 이는 2009년(헤이세이 21년) 성악가 겸 연구가 아이카와 유미가 발견한 사실이다.[1]이러한 주장은 1944년(쇼와 19년) 《일본의 군가》에서 호리우치 게이조가 "〈아무르 강의 유혈〉의 곡이 나가이 겐시의 작곡인 것은 동 악장이 내게 보낸 서간에서 처음 알게 되었다"라고 기술한 것과, 1992년(헤이세이 4년) 《고료》(向陵)에 "(〈아무르 강의 유혈〉의) 작곡자 구리바야시 우이치 씨는 군가 따위의 이삼 편의 기성곡을 조합하여 만들었다고 말씀하신다"라고 기재된 내용과 일치한다.
구제일고 출신(중퇴) 구리바야시 우이치가 1901년 제11회 기념제 요가에서 발표한 〈아무르 강의 유혈〉은 1899년에 발표된 군가 〈쇼난코〉를 차용했다는 근거가 될 수 있지만, 《일본의 창가(하)》(긴다이치 하루히코, 안자이 아이코 편, 고단샤)에서는 "이 곡의 작곡자는 이전 육군 군악대 대장 나가이 겐시로 와전되어 있었다"라고 기술되어 있으나, 그 근거는 제시되지 않았다.
1922년(다이쇼 11년)에는 〈메이데이가(들어라 만국의 노동자)라는 노동가가 〈아무르 강의 유혈〉과 원곡을 공유하는 곡으로 제작되었다.
2. 3. 〈메이데이가〉
〈보병의 본령〉과 원곡을 공유하는 곡으로 1922년(다이쇼 11년)에 노동가로 제작(개사)된 〈메이데이가〉(들어라 만국의 노동자)가 있다.[1]3. 가사
〈보병의 본령〉은 여러 차례 가사가 변경되었다. 1절의 "만개한 벚꽃인가 옷깃의 색"에서 '옷깃의 색'은 병과색을 의미하며, 보병과의 비색을 벚꽃에 비유한 것이다. 3절의 "군기"는 욱일기를 의장화한 보병 연대에 하사된 제국 육군의 군기를 뜻한다.[2]
가사는 다음과 같다.
일본어 | 일본어 발음 | 해석 |
---|---|---|
万朶の桜か襟の色 | 방다노 사쿠라카 에리노 이로 | 옷깃의 색깔은 만개한 벚꽃 |
花は吉野にあらし吹く | 하나와 요시노니 아라시 후쿠 | 요시노의 꽃에 폭풍은 분다 |
大和男子と生まれては | 야마토 오토코토 우마레나바 | 야마토의 남자로 태어났거든 |
散兵線(さんぺいせん)の花と散れ | 산페이센노 하나토 치레 | 산병선의 꽃으로 지거라 |
尺余の銃は武器ならず | 샤쿠요노 츠츠와 부키나라즈 | 한 자 남짓한 총이 어찌 무기요 |
寸余のつるぎ何かせん | 승요노 츠루기 나니카센 | 한 치 남짓한 칼은 또 어디에 쓰랴 |
知らずやここに二千年 | 시라즈야 코코니 니센넨 | 모르는가 여기에 2천년 |
きたえ鍛えし大和魂(やまとだま) | 키타에 키타에시 야마토 다마 | 갈고 닦아온 야마토 정신 |
軍旗まもる武士は | 군키 마모루 모노노후와 | 군기를 지키는 무사는 |
すべてその数二十万 | 스베테 소노 카즈 니쥬우만 | 그 숫자 모두 합쳐 20만 |
八十余か所にたむろして | 하치 쥬욧카쇼니 타무로시테 | 80여곳에 주둔하며 |
武装は解かじ夢にだも | 부소우와 토카지 유메니다모 | 꿈에서조차 무장은 풀지 않는다 |
千里東西波こえて | 센리토우자이 나미코에테 | 천리동서 파도 넘어서 |
われに仇なす国あらば | 와레니 아다나스 쿠니아라바 | 우리를 위협하는 나라 있거든 |
港を出でん輸送船 | 미나토오 이뎅 유소우센 | 항구를 떠나는 수송선 |
暫し守れや海の人 | 시바시 마모레야 우미노 히토 | 잠시 지켜다오 바다의 사람아 |
適地に一歩われ踏めば | 테키지니 잇포 와레후메바 | 적지에 한걸음 내딛으면 |
軍の主兵はここにあり | 군노 슈헤이와 코코니 아리 | 군의 주병은 여기에 있다 |
最後の決はわが任務 | 사이고노 케쯔와 와가 닌무 | 최후의 결전은 우리의 임무 |
騎兵砲兵協同せよ | 키헤이 호우헤이 치카라세요 | 기병·포병 협동하라 |
アルプス山を踏破せし | 아루푸스야마오 토우하세시 | 알프스산을 답파한 |
歴史はふるく雪しろし | 레키시와 후루쿠 유키시로시 | 역사는 오래요 눈은 하얗다 |
奉天戦の活動は | 호우텐센노 카츠도우와 | 봉천 전투의 활약은 |
日本歩兵のと知れ | 닛폰 호헤이노 스이토 시레 | 일본 보병의 정수로 알라 |
携帯口糧あるならば | 케이타이코우료우 아루나라바 | 휴대식량만 있다면 |
遠く離れて三日四日 | 토오쿠 하나레테 밋카요카 | 멀리 떠나서 사흘 나흘 |
曠野千里にわたるとも | 코우야센리니 와타루토모 | 광야가 천리에 이르더라도 |
散兵線に秩序あり | 산페이센니 치츠죠아리 | 산병선에 질서는 있다 |
退くことは我知らず | 시리죠쿠 센쥬쯔 와레시라즈 | 물러나는 전술 따위 알까 보냐 |
みよや歩兵の操典を | 미요야 호헤이노 소우텐오 | 보아라 보병의 교범을 |
前進前進また前進 | 젠신젠신 마다 젠신 | 전진 전진 또 전진 |
肉弾とどく所まで | 니쿠단 토도쿠 토코로마데 | 육탄이 닿는 곳까지 |
我が一軍の勝敗は | 와가 이치군노 쇼우하이와 | 우리 일군의 승패는 |
突喊最後の数分時 | 톳칸 사이고노 스우훈지 | 돌격 최후의 수분에 달렸다 |
歩兵の威力はここなるぞ | 호헤이노 이료쿠와 코코나루조 | 보병의 위력을 예서 보여라 |
花散れ勇め時は今 | 하나치레 이사메 토키와 이마 | 꽃 지듯 용감할 때 지금일지니 |
歩兵の本領ここにあり | 호헤이노혼료우 코코니아리 | 보병의 본령은 여기에 있다 |
ああ勇ましの我が兵科 | 아아 이사마시노 와가 헤이카 | 아아 용감도 해라 나의 병과 |
会心の友よさらばいざ | 켓신노 토모요 사라바이자 | 회심의 벗이여 작별이다 |
ともに励まんわが任務 | 토모니 하게만 와가닌무 | 더불어 힘쓰자 우리의 임무 |
시간이 지나면서 가사는 여러 차례 변경되었고, 부르는 사람에 따라서도 조금씩 차이가 있었다.
3. 1. 가사의 의미와 상징
1절의 "만朶(만타)의 벚꽃인가 옷깃의 색"과 10절 원시의 "술잔에 옷깃의 색이 비친다"에서 "옷깃의 색"은 병과별 병과색을 배색한 메이지 38년 전시 복제 및 메이지 39년 제식에서 제정된 금장을 의미한다. 보병과의 정색(定色)인 비색을 벚꽃에 비유한 것이다.
3절의 "군기"는 욱일기를 의장화한 "보병 연대에 하사된 제국 육군의 군기"를, "이십만"은 당시 보병 장병의 수를, "팔십여 곳"은 당시 보병 연대의 수를, "주둔하며"는 그 위수지를 각각 의미한다.
3. 2. 가사 변천사
〈보병의 본령〉은 발표 후 가사가 여러 차례 변경되었다. 원본 가사와 비교하여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가사는 1, 2, 3, 4, 7, 10번 하단에 해당한다. 10번의 경우 원본 가사가 불리는 경우도 많다.
당시 군가에서는 노래하는 사람에 따라 단어나 읽는 법, 가사 자체가 바뀌는 경우가 흔했다. 예를 들어 6번의 "아얼백사 산을 밟아 넘어갔다"는 "아얼백사 산을 돌파했다"로, 8번의 "물러나는 것"은 "물러나는 전술"로, 8번의 "전진 전진 또 전진 육탄이 닿는 곳까지"는 "보병의 싸움은 사격으로 적을 위협하고 그 틈에" 등으로 변경되었다.
1번의 "만개한 벚꽃인가 옷깃의 색"과 10번 원문의 "술잔에 옷깃의 색이 비치다"에서 "옷깃의 색"은 병과·각 부의 정색(병과색)을 의미한다. 메이지 38년 전시 복제 및 메이지 39년 제식에서 제정된 옷깃에 보병과의 정색인 비색을 벚꽃에 비유한 것이다.[2] 3번의 "군기"는 욱일기를 의장화한 "보병 연대에 하사된 제국 육군의 군기"를, "이십만"은 당시 보병 장병의 수, "팔십여 곳"은 당시 보병 연대의 수, "주둔하여"는 그 위수지를 가리킨다. 4번의 "바다의 사람"은 해군을, 5번의 "기병 포병 협동하라"는 보병·기병·포병의 삼병 전술을, 6번의 "아얼백사 산을 밟아 넘어갔다"는 한니발의 알프스 횡단을, "봉천전"은 러일 전쟁의 결전인 봉천 회전을 각각 의미한다.
다음은 원본 가사와 변경된 가사, 그리고 쇼와 7년(1932년)에 발행된 군가집에 게재된 가사를 비교한 표이다.
절 | 원본 가사 | 변경된 가사 | 쇼와 7년 가사 |
---|---|---|---|
1 | 만개의 벚꽃인가 옷깃의 색 꽃은 스미다에 폭풍이 분다 야마토 남자로 태어났다면 산병선의 꽃으로 흩날려라 | 만개한 벚꽃인가 옷깃의 색 꽃은 요시노에 폭풍이 분다 야마토 남자라고 태어났다면 산병선의 꽃으로 흩날려라 | 만개한 벚꽃인가 옷깃의 색 꽃은 요시노에 폭풍이 분다 야마토 남자로 태어났다면 산병선의 꽃으로 흩날려라 |
2 | 자 길이의 총은 무기가 아니다 치수 길이의 칼은 무엇을 하랴 알지 못하는가 이곳에 이천 년 벼리고 벼린 무사의 혼 | 자 길이의 총은 무기가 아니다 치수 길이의 칼은 무엇을 하랴 알지 못하는가 이곳에 이천 년 벼리고 벼린 야마토다마 | 자 길이의 총은 무기가 아니다 치수 길이의 칼은 무엇을 하랴 알지 못하는가 이곳에 이천 년 벼리고 벼린 야마토혼 |
3 | 군기를 지키는 연대는 모두 그 수가 이십만 팔십여 곳에 주둔하여 무장은 풀지 않으리 꿈에서도 | 군기를 지키는 사무라이는 모두 그 수가 이십만 팔십여 곳에 주둔하여 무장은 풀지 않으리 꿈에서도 | 군기를 지키는 무사는 모두 그 수 이십만 팔십여 곳에 주둔하여 무장은 풀지 않으리 꿈에서도 |
4 | 천 리 동서 파도를 넘어 나에게 원수를 맺는 나라가 있다면 요코스카에서 나가리라 수송선 잠시 지켜라 바다의 사람 | 천 리 동서 파도를 넘어 나에게 원수를 맺는 나라가 있다면 항구를 나가리라 수송선 잠시 지켜라 바다의 사람 | 천 리 동서 파도를 넘어 나에게 원수를 맺는 나라가 있다면 항구를 나가리라 수송선 잠시 지켜라 바다의 사람 |
5 | 적지에 한 걸음 내가 밟으면 군대의 주력 부대는 여기에 있다 마지막 결정은 나의 임무 기병 포병 힘하라 | (변경 없음) | 적지에 한 걸음 내가 밟으면 싸움의 주력 부대는 여기에 있다 마지막 결정은 나의 임무 기병 포병 협동하라 |
6 | 아얼백사 산을 밟아 넘어갔다 역사는 오래되어 눈이 하얗다 봉천전의 활동은 일본 보병의 스이라고 알아라 | (변경 없음) | 아얼백사 산을 밟아 넘어갔다 역사는 오래되어 눈이 하얗다 봉천전의 활동은 일본 보병의 화려함이라고 알아라 |
7 | 휴대 식량이 있다면 멀리 떨어져 가는 일로 황야 천리에 걸쳐도 산병선에 질서가 있다 | 휴대 식량이 있다면 멀리 떨어져 3일, 4일 황야 천리에 걸쳐도 산병선에 질서가 있다 | 휴대 식량이 있다면 멀리 떨어져 3일, 4일 황야 천리에 걸쳐도 산병선에 질서가 있다 |
8 | 물러나는 것은 나 알지 못한다 보아라 보병의 조전을 전진 전진 또 전진 육탄이 닿는 곳까지 | (변경 없음) | 물러나는 말은 나 알지 못한다 보아라 보병의 조전을 보병의 싸움은 사격으로 적을 위협하고 그 틈에 |
9 | 우리 한 군의 승패는 돌함 마지막 수 분의 시간 보병의 위력은 여기에 있다 꽃이 흩날려라 용감하게 지금이다 | (변경 없음) | 전진 전진 또 전진 육탄이 닿는 곳까지 우리 한 군의 승패는 돌격 마지막 수 분의 시간 |
10 | 아아 용맹한 나의 병과 에신의 벗이여 오라 함께 이야기하자 백일제 주배에 옷깃의 색이 비치다 | 보병의 본령은 여기에 있다 아아 용맹한 나의 병과 회심의 벗이여 그렇다면 함께 힘내자 우리의 임무 | 보병의 본령은 여기에 있다 아아 용맹한 나의 병과 회심의 벗이여 그렇다면 함께 힘내자 우리의 임무 |
4. 영향
〈보병의 본령〉은 메이지 시대 육군 중앙 유년학교에서 발표된 후 제국 육군의 대표적인 군가로 자리 잡았다. 레코드로 발매되어 여러 레이블에서 판매될 정도로 인기를 얻었다.
제2차 세계 대전 패전 후 GHQ에 의해 연주와 방송이 금지되었으나, 구제 중학교, 구제 고등학교 등에서는 교가나 응원가로 사용되었다. 육상자위대에서도 곡명과 가사 일부를 변경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전후 음반도 다수 제작되었다.
사이판 전투에서 전멸한 일본군 수비대와 달리, 오바 사카에 육군 대위와 병사들은 패전 후에도 미군에 저항하다 투항식에서 이 곡을 불렀다. 미얀마 군가는 〈보병의 본령〉의 곡을 활용하고 있다.
4. 1. 군가로서의 위상
메이지 시대 당시 육군 중앙 유년학교(후의 육군 예과 사관학교) 제10기생이었던 가토 아키카츠가 작사하였고, 나가이 겐시의 군가 『'''쇼난코'''』를 작곡(원곡)에 활용하였다. 가토는 재학 중에 이 곡을 제작하여 1911년에 중앙 유년학교의 백일제에서 발표하였다. 이 곡은 수작이었기 때문에 후에 동교뿐만 아니라 제국 육군 전체로 퍼져나가 일본을 대표하는 군가 중 하나로 널리 애창되었으며, 레코드로도 발매되어 다양한 레이블에서 판매되었다. 원시는 총 10절로 구성된다.이 곡은 평판이 좋았기 때문에, 1911년에 오츠코츠 사부로가 이시하라 와사부로의 작사를 바탕으로 보다 어린 연령층을 위한 동요로 심상 소학 창가에 『우라시마 타로』를 오마주하여 게재하였다.
제2차 세계 대전 패전 후 연합군 점령 하에서는 GHQ에 의해 연주, 방송 등이 금지되었지만, 구제 중학교 · 구제 고등학교 등의 흐름을 잇는 학교에서는 현재도 교가나 응원가 등의 멜로디로 계속 사용되는 예가 적지 않다. 예를 들어, 개성에서는 "결기"라는 제목의 개사곡이 운동회에서 불리고 있다.
육상자위대에서도 보병과에 해당하는 보통과에서 "'''보병의 본령'''"으로 곡명이나 가사의 일부를 바꿔 부르고 있다. 또한, 다수의 전후 음원도 제작 · 발매되고 있다.
사이판 전투에서 일본군 수비 부대의 대부분이 전멸(옥쇄)한 후에도, 오바 사카에 육군 대위가 지휘하는 병사들은 정글 지대에 틀어박혀 마지막까지 미군 부대에 저항을 계속했다. 패전으로부터 약 3개월 반 후인 1945년 12월 1일에 정식으로 투항할 당시, 오바 대위를 포함하여 47명의 병사들은 탓포초 산을 내려와 투항식전 회장이 된 미군 기지까지 행진하면서 이 곡을 전원이 불렀다.
미얀마군의 군가 "မြန်မာပြည်ကာကွယ်မည်"(미얀마가 지켜진다)는 "보병의 본령"의 곡을 활용하고 있다.
4. 2. 대중적 인기
작사는 당시 육군 중앙 유년학교(후의 육군 예과 사관학교) 제10기생이었던 가토 아키카츠가, 작곡(원곡)은 나가이 겐시의 군가 『'''쇼난코'''』를 유용하였다(후술). 가토가 재학 중에 제작하여 1911년에 중앙 유년학교의 백일제에서 발표되었다. 수작이었기 때문에 후에 동교뿐만 아니라 제국 육군 전체로 파급되어, 일본을 대표하는 군가 중 하나로 널리 애창되었으며, 레코드화도 되어 다양한 레이블에서 발매되었다. 원시는 총 10절로 구성된다.이 곡은 평판이 좋았기 때문에, 보다 유년층을 위한 동요로서 같은 해 1911년에 오츠코츠 사부로에 의해 이시하라 와사부로의 작사를 바탕으로, 심상 소학 창가에 『우라시마 타로』가 오마주되어 게재되었다.
4. 3. 전후 상황
제2차 세계 대전 패전 후 연합군 점령 하에서는 GHQ에 의해 연주 및 방송이 금지되었다. 그러나 구제 중학교 · 구제 고등학교 등의 흐름을 잇는 학교에서는 교가나 응원가 등의 멜로디로 계속 사용되는 예도 적지 않다. 예를 들어 개성에서는 "결기"라는 제목의 개사곡이 운동회에서 불리기도 했다. 육상자위대에서도 보병과에 상당하는 보통과에서 "'''보병의 본령'''"으로 곡명이나 가사의 일부를 바꿔 부르고 있으며, 전후 음반도 다수 제작 · 발매되고 있다.4. 3. 1. 오바 사카에 부대의 일화
사이판 전투에서 일본군 수비 부대가 전멸(옥쇄)한 후에도, 오바 사카에 육군 대위가 지휘하는 부대는 정글 지대에 은거하며 미군에 저항했다. 1945년 12월 1일, 패전 후 약 3개월 반이 지난 시점에 오바 대위와 47명의 병사들은 정식으로 투항했다. 이들은 탓포초 산을 내려와 미군 기지에서 열린 투항식에 참석하면서, "보병의 본령"을 부르며 행진했다.4. 4. 미얀마 군가
미얀마 군가 မြန်မာပြည်ကာကွယ်မည်|미얀마가 지켜진다my는 "보병의 본령"의 곡을 사용하고 있다.참조
[1]
뉴스
文化往来
日本経済新聞
2009-10-02
[2]
문서
장래의 사관후보생을 양성하는 제국육군의 예과사관학교에서는 세계전사의 강의가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