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보스토크 기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스토크 기지는 1957년 소련에 의해 설립된 남극 연구 기지이다. 동남극 대륙 중앙에 위치하며, 현재는 러시아, 미국, 프랑스 과학자들이 공동으로 운영한다. 1996년에는 기지 아래에 세계 최대의 빙저호인 보스토크 호를 발견했다. 극심한 추위와 고립된 환경으로 인해, 1983년에는 지구상 최저 기온인 -89.2°C를 기록하기도 했다. 기후 연구와 빙핵 시추를 통한 과거 기후 변화 연구가 주요 연구 분야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와 남극 - 프로그레스 기지
    프로그레스 기지는 남극에 위치하여 극지방 기후의 특성을 가지며, 연중 기온 변화가 크고 강수량은 비교적 적으며 습도는 일정하게 유지되지만 일조 시간은 계절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인다.
  • 러시아와 남극 - 보스토크호
    보스토크호는 남극 보스토크 기지 부근 빙상 아래 4km 지점에 있는 빙저호로, 국제 공동 연구를 통해 탐사 및 물 샘플 분석이 진행 중이며, 높은 압력으로 액체 상태를 유지하는 독특한 환경으로 주목받고 있다.
  • 남극 기지 - 아문센-스콧 기지
    아문센-스콧 기지는 남극점에 위치한 미국의 과학 연구 기지로서, 1956년 건설 이후 여러 차례 개축을 거쳐 현재의 고층 기지 형태를 갖추었으며, 극심한 추위 속에서 다양한 과학 연구를 수행하고 국제 남극 연구의 중요한 거점 역할을 한다.
  • 남극 기지 - 돔 후지 기지
    일본이 퀸모드랜드 동부 돔 후지에 1995년 1월 설립한 남극 관측 기지인 돔 후지 기지는 해발 약 3,700m 고지에 위치해 남극에서 가장 추운 지역 중 하나로 꼽히며, 빙하 코어 시추를 통해 과거 기후 변동을 연구하고 최대 72만 년 전의 빙하 코어를 채취하여 영화 《남극의 쉐프》의 배경이 되기도 했다.
  • 1957년 설립 - 유럽 경제 공동체
    유럽 경제 공동체는 1957년 로마 조약으로 프랑스, 서독 등 6개국이 설립한 국제기구로, 관세 동맹을 통해 경제 통합을 추구하고 공동 정책을 수립하는 것을 목표로 했으며, 유럽 연합의 기반이 되었다.
  • 1957년 설립 - 막사이사이상
    필리핀 대통령 라몬 막사이사이를 기리기 위해 록펠러 형제 재단의 지원으로 1957년 설립된 막사이사이상은 아시아 지역 사회 발전에 기여한 개인 및 단체에게 수여되는 상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수상자를 선정해왔으나 2009년부터 특정 부문 없이 시상하며 '아시아의 노벨상'으로도 불리지만 공정성 및 정치적 편향성 논란도 있다.
보스토크 기지 - [지명]에 관한 문서

2. 역사

보스토크 기지 뒤편의 일부와 함께 보스토크의 얼음 코어


1957년 12월 16일, 소련 남극관측대가 국제 지구물리 관측년 기간 동안 보스토크 기지를 설립했다. 이 기지는 1962년 1월부터 1963년 1월까지,[7] 1994년 2월부터 11월까지,[6] 그리고 2003년 겨울에 일시적으로 폐쇄되었으며,[8] 37년 이상 연중 운영되었다.

1959년, 보스토크 기지에서 체스 게임 중 두 과학자 간 싸움이 벌어졌다. 한 명이 게임에 지자 격분하여 얼음 도끼로 상대를 공격했다.[9][10][11] 살인 사건이었다는 자료도 있지만,[9][10][11] 공격이 치명적이지 않았다는 자료도 있다.[12] 이후 소련과 러시아 남극 기지에서는 체스 게임이 금지되었다.[9][11]

1974년, 영국 과학자들은 공중 얼음 관통 레이더 조사를 통해 얼음 아래 담수호 존재 가능성을 시사하는 이상 신호를 감지했다.[13] 1991년, 런던 대학교 멀라드 우주 과학 연구소의 제프 리들리는 ERS-1 위성을 통해 1974년의 발견을 확인했지만,[14] 1993년에야 ''Journal of Glaciology''에 게재되었다.

1996년 러시아와 영국 과학자들은 다양한 데이터를 통합하여 보스토크 호의 경계를 설정했다.[15] 보스토크 호는 남극 중앙 빙상 표면 아래 약 4000m에 위치하며 면적은 14000km2이다. 현재 보스토크 기지는 러시아, 미국, 프랑스 과학자들이 공동으로 운영하고 있다.

2019년, 러시아 정부는 노후 시설을 대체할 새로운 기지 건설을 시작했으나, 지속적인 지연으로 완공이 2023년보다 늦어졌다.[16] 2024년 1월 28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화상 연결을 통해 기지 시운전 행사에 참여했고,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벨라루스 대통령도 참석했다.[17]

2. 1. 역사적 기념물

AT-T 11 트랙터와 1957년 기지 개소를 기념하는 기념 명판은 러시아가 남극 조약 협의 당사국 회의에 제안하여 남극의 역사 유적 및 기념물 (HSM 11)로 지정되었다.[18] 이 트랙터는 최초의 남자기극 탐사에 참여한 대형 트랙터이다.

보리스 쿠드랴쇼프 교수의 지휘 아래 고대 빙하 코어 샘플이 채취된 드릴링 단지 건물은 해발 3488m의 보스토크 기지 근처에 있으며, 1983-1984년 하계에 건설되었다. 이 건물은 러시아가 남극 조약 협의 당사국 회의에 제안하여 역사 유적 또는 기념물 (HSM 88)로 지정되었다.[19]

3. 지리적 특징

보스토크 기지는 남극점으로부터 약 1730km 떨어진 동 남극 대륙 중앙에 위치한다. 지리 남극점에서 약 1301km 떨어져 있다. 남극 도달불능극과 남자기극 근처에 위치하여 지구의 자기권 변화를 관측하기에 최적의 장소 중 하나이다. 다른 연구로는 광선 계측, 지구물리학, 의학, 그리고 기후학 등이 있다.

기지는 해발 고도 3488m에 위치해 있으며, 남극 대륙에서 가장 고립된 연구 기지 중 하나이다.[4] 이 기지는 남극 해안에 위치한 미르니 기지에서 물품을 공급받았다.[5] 보통 여름에는 30명의 과학자와 기술자가 이 기지에 머물며, 겨울에는 그 수가 15명으로 줄어든다.[1]

더 남쪽에 위치한 유일한 상설 연구 기지는 지리적인 남극점에 위치한 미국이 운영하는 아문센-스콧 남극 기지이다. 중국의 쿤룬 기지는 보스토크 기지보다 더 남쪽에 위치해 있지만, 여름에만 운영된다.

4. 기후

보스토크 기지는 빙모 기후(EF)를 나타내며, 연중 영하의 기온을 보인다. 1983년 7월 21일에는 지구상 최저 기온인 -89.2°C를 기록했다.[30][31] 연간 강수량은 약 22mm에 불과하며, 지구상에서 가장 건조한 지역 중 하나이다.[20]

300px


보스토크 기지는 지구에서 가장 추운 지역 중 하나로, 추운 계절(4월~9월)의 평균 기온은 약 -66°C, 따뜻한 계절(10월~3월)의 평균 기온은 약 -44°C이다.[4] 5월과 8월 사이에는 햇빛이 전혀 없지만, 남아프리카 공화국, 오스트레일리아, 아라비아 반도와 같이 햇빛이 가장 많은 지역보다 연간 일조 시간이 더 많으며, 북아프리카사하라 사막과 비슷한 수준이다.[21] 12월의 평균 일조 시간은 708.8시간(하루 평균 22.9시간)으로 지구상 어떤 달보다 일조량이 가장 높다. 반면 극야 기간에는 한 달 동안 일조 시간이 0시간으로 가장 적다.[22]

1958년부터 2010년까지의 기상 관측 자료는 다음과 같다.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최고 기온 (°C)-12.2-21.0-17.7-33.0-38.0-33.0-34.1-34.9-34.3-33.6-24.3-14.1-12.2
평균 최고 기온 (°C)-27.0-38.7-52.9-61.1-62.0-60.6-62.4-63.9-61.6-51.5-37.2-27.1-50.4
평균 기온 (°C)-32.0-44.3-57.9-64.8-65.8-65.3-66.7-67.9-66.0-57.1-42.6-31.8-55.2
평균 최저 기온 (°C)-37.5-50.0-61.8-67.8-69.1-68.9-70.4-71.5-70.2-63.1-49.8-38.0-59.9
최저 기온 (°C)-56.4-64.0-75.0-86.0-81.2-83.8-89.2-88.3-85.9-76.1-63.9-50.1-89.2
강수량 (mm)1.00.72.02.42.82.52.22.32.41.91.10.720.8



보스토크는 극심한 추위 외에도 공기 중의 습도 부족, 평균 (최대 )의 강한 바람, 고도로 인한 산소 부족, 높은 공기 이온화 등 인간이 거주하기 매우 어려운 환경을 가지고 있다.

4. 1. 기후 적응

보스토크 기지의 혹독한 환경에 적응하는 데는 최소 1주에서 최대 2개월이 소요될 수 있다. 이 기간 동안 두통, 눈 경련, 귀 통증, 코피, 급격한 혈압 상승, 수면 부족, 식욕 감퇴, 구토, 근육통, 류마티스 관절염, 그리고 3kg (때로는 12kg)의 체중 감소 등 다양한 신체적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45] 이러한 증상들은 극도로 낮은 기온, 습도 부족, 높은 고도로 인한 산소 부족, 높은 공기 이온화, 극야 등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5. 과학 연구

보스토크 기지는 남극 접근 불가능점과 남자기극 근처에 있어 지구의 자기권 변화를 관측하기에 가장 좋은 장소 중 하나이다. 광선 계측, 지구물리학, 의학, 기후학 등의 연구도 함께 진행된다.[1]

기지는 해발 고도 3488m에 위치해 있으며, 남극 대륙에서 가장 고립된 연구 기지 중 하나이다.[4] 여름에는 보통 30명의 과학자와 기술자가, 겨울에는 15명이 기지에 머문다.[1] 기지는 남극 해안에 있는 미르니 기지에서 물품을 공급받는다.[5]

5. 1. 빙핵 시추

1970년대 소련은 500m에서 952m 깊이의 빙핵을 시추했다. 이 빙핵은 얼음의 산소 동위원소 조성을 연구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마지막 빙하기의 얼음이 약 400m 깊이 아래에 존재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 후 3개의 구멍이 더 뚫렸다. 1984년 3G 구멍은 2202m, 1990년 4G 구멍은 2546m, 1993년 5G 구멍은 2755m 깊이에 도달했다. 1995년 겨울에 시추가 재개되었으나, 1996년 남극 연구 과학 위원회가 보스토크 호의 오염 가능성을 우려하여 3,623m 깊이에서 시추가 중단되었다.[46]

이 빙핵은 프랑스와 공동으로 시추되었으며, 과거 42만 년 동안의 환경 조건 기록을 보여주며 과거 4회의 빙하기에 걸쳐 생성된 것이다. 오랫동안 여러 빙하기를 다루는 유일한 빙핵이었지만, 2004년 더 얕지만 더 긴 시간 범위를 다루는 EPICA 빙핵에 의해 기록이 갱신되었다.[47] 2003년에는 보스토크 호수에서 불과 130m 떨어진 거리까지 시추가 허용되었지만 중단되었다.

보스토크 빙핵은 3,623m 깊이에 도달했지만, 유용한 기후 정보는 더 나오지 않았다. 빙핵의 하부가 보스토크 호수의 물이 얼어 생성된 것이었기 때문으로, 기후 정보를 보유하고 있지 않았다. 보통 3310m 깊이 또는 414,000년까지 기후 정보를 얻을 수 있다.[48] 이보다 아래에는 얼음 변형의 증거가 있다. 보스토크 기록은 기록의 일부를 반전시켜 더 흥미로운 MIS11 기간을 더 많이 포함하기 위해 3345m 또는 436,000년까지 확장될 수 있다고 제안되었다.[49]

참조

[1] 보고서 Antarctic Station Catalogue https://www.comnap.a[...] Council of Managers of National Antarctic Programs 2023-01-16
[2] 웹사이트 Vostok Skiway https://airportnavfi[...] 2018-10-17
[3] 웹사이트 Global Measured Extremes of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http://www.ncdc.noaa[...] 2007-06-21
[4] 서적 Extreme Earth Collins
[5] 웹사이트 Mirny Observatory https://web.archive.[...] 2018-07-14
[6] 웹사이트 Deep drilling at Vostok station, Antarctica: history and recent events http://www.igsoc.org[...]
[7] 서적 Scientific Stations in Antarctica, 1882-1963 https://www.southpol[...] Indian National Scientific Documentation Centre, New Delhi. (English translation 1971) 2021-02-02
[8] 뉴스 Russia abandons Ice Station Vostok http://news.bbc.co.u[...] 2003-03-04
[9] 잡지 How Antarctic isolation affects the mind http://www.canadiang[...] 2019-01-19
[10] 서적 The Antarctic Legal Regime https://books.google[...] Martinus Nijhoff Publishers 1988-07-28
[11] 서적 Extreme: Why some people thrive at the limits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014-10-23
[12] 뉴스 Weathering the Winter http://antarcticsun.[...] 2019-01-19
[13] 학술지 Lakes beneath the Antarctic Ice Sheet
[14] 잡지 Ice Station Vostok https://www.wired.co[...] 2011-01-31
[15] 서적 Antarctica: contributions to global earth sciences : proceedings of the IX International Symposium of Antarctic Earth Sciences Potsdam, 2003 https://books.google[...] Birkhäuser 2010-07-30
[16] 웹사이트 A New Vostok! https://www.southpol[...] 2022-01-18
[17] 웹사이트 Путин дал старт вводу в эксплуатацию зимовочного комплекса станции "Восток" https://ria.ru/20240[...] 2024-01-28
[18] 웹사이트 List of Historic Sites and Monuments approved by the ATCM (2012) http://www.ats.aq/do[...] Antarctic Treaty Secretariat 2013-10-26
[19] 웹사이트 List of Historic Sites and Monuments approved by the ATCM (2013) http://www.ats.aq/do[...] Antarctic Treaty Secretariat 2014-01-09
[20] 웹사이트 Vostok Station http://www.aari.aq/s[...] Antarctic Research and Investigation 2015-06-16
[21] 웹사이트 Where are the World's Sunniest Destinations? http://www.ibtimes.c[...] 2011-06-24
[22] 웹사이트 Vostok station (89606) https://web.archive.[...] 2016-00-00
[23] 웹사이트 Discovering historic Plateau Station http://traverse.npol[...] Norwegian-U.S. Scientific Traverse of East Antarctica 2007-12-30
[24] 웹사이트 Vostok (Antarctica) https://www.ogimet.c[...] Ogimet 2021-10-22
[25] 웹사이트 Monthly values of meteorological parameters, Vostok station (89606) https://web.archive.[...] Antarctic Research and Investigation 2015-06-12
[26] 웹사이트 Weather at Vostok http://www.pogodaikl[...] 2010-08-08
[27] 웹사이트 Vostok (Antarctica) https://www.ogimet.c[...] Ogimet 2020-03-23
[28] 웹사이트 World: Lowest Temperature http://wmo.asu.edu/w[...] Arizona State University 2015-06-16
[29] 뉴스 It’s 70 degrees warmer than normal in eastern Antarctica. Scientists are flabbergasted. https://www.washingt[...] 2022-03-18
[30] 학술지 New absolute minimum of air temperature http://www.aari.aq/p[...] Gidrometeoizdat
[31] 학술지 New absolute minimum of air temperature (English Version) http://www.aari.aq/p[...] Gidrometeoizdat
[32] 웹사이트 Coldest Temperature on Earth http://hypertextbook[...] 2007-09-02
[33] 웹사이트 Sunrise and sunset times in Vostok Station, May 2015 http://www.timeandda[...]
[34] 학술지 Bubbly-ice densification in ice sheets: 11. Applications http://www.igsoc.org[...]
[35] 웹사이트 Vostok Ice Core Data http://www.ncdc.noaa[...] 2005-12-22
[36] 논문 Palaeoclimatology: The record for marine isotopic stage 11
[37] 웹사이트 NASA-USGS Landsat 8 Satellite Pinpoints Coldest Spots on Earth http://www.nasa.gov/[...] 2013-12-10
[38] 뉴스 남극에서 영하 93.2도 기록, 10년 만에 관측, 역대 최저 기온 하회 https://www.nikkei.c[...] 2013-12-10
[39] 서적 Extreme Earth Collins
[40] 웹사이트 http://www.aari.nw.r[...]
[41] 웹사이트 Monthly values of meteorological parameters, Vostok station (89606) http://www.aari.aq/d[...] Antarctic Research and Investigation 2012-01
[42] 웹사이트 Погода и Климат - Климатический монитор: погода в Востоке http://pogoda.ru.net[...] pogoda.ru.net 2010-08
[43] 웹사이트 Vostok temperature data http://www.nerc-bas.[...]
[44] 웹사이트 Coldest Temperature On Earth http://hypertextbook[...] 2007-09-02
[45] 웹사이트 http://www.srrb.noaa[...]
[46] 웹사이트 The Scientific Committee on Antarctic Research http://www.scar.org/
[47] 간행물 Deciphering Mysteries of Past Climate From Antarctic Ice Cores http://www.agu.org/s[...] American Geophysical Union 2007-03-27
[48] 웹사이트 Vostok Ice Core Data http://www.ncdc.noaa[...] 2007-03-27
[49] 논문 Palaeoclimatology: The record for marine isotopic stage 11
[50] 웹인용 Monthly values of meteorological parameters, Vostok station (89606) http://www.aari.aq/d[...] Antarctic Research and Investigation 2012-01
[51] 웹사이트 Weather at Vostok http://pogoda.ru.net[...] 2010-08-08
[52] 웹인용 Vostok temperature data http://www.nerc-bas.[...] 2013-02-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