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달불능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달불능극은 육지나 해양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지점을 의미하며, 계산 방법, 해안선 정의의 어려움, 역사적 배경 등을 포함한다. 도달불능극은 특정 해안선 데이터 세트를 기준으로 계산되며, 거리 함수와 최적화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위치를 결정한다. 주요 도달불능극으로는 북극, 남극, 유라시아, 아프리카,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오스트레일리아, 태평양 해양 도달불능극(포인트 니모) 등이 있으며, 각 지점은 지리적 특성과 탐험 역사를 갖는다. 또한, 과학적 연구와 환경 문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극의 지리 - 영구동토
영구동토는 북반구 고위도와 고산지대에 주로 분포하며 2년 이상 0℃ 이하의 온도를 유지하는 토양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해 해빙될 경우 온실가스 배출 증가 및 지반 불안정 등의 심각한 문제를 야기한다. - 북극의 지리 - 유빙
유빙은 추운 지방에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시베리아, 알래스카, 북대서양, 남극 등에서 발생하며, 한반도, 특히 겨울철 서해안과 동해안에서도 관찰된다. - 극지 - 진북
- 극지 - 항공로
항공로는 항공기가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운항하도록 설정된 경로로, 시각적 방법에서 무선 항법 시스템을 거쳐 발전해 왔으며, 안전 운항을 위해 최저 경로 고도 등을 고려하여 각국이 운영하고 미래에는 더욱 발전할 것으로 전망된다. - 남극의 지리 - 남극권
남극권은 남반구에서 태양이 24시간 동안 지평선 위에 머무를 수 있는 가장 북쪽 위도이며, 백야와 극야 현상이 나타나고, 대기 굴절로 인해 백야가 남극권 북쪽 90km까지 보이기도 한다. - 남극의 지리 - 환태평양 조산대
환태평양 조산대는 태평양 주변에서 지진과 화산 활동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지역으로, 여러 지각판의 상호 작용으로 섭입대와 해구가 존재하며 화산의 분포가 뚜렷하다.
도달불능극 | |
---|---|
지리적 위치 정보 | |
남극 대륙의 도달 불능극 | |
위치 | 남극 대륙 |
좌표 | 남위 82°50′ 서경 55°00′ |
발견일 | 1958년 12월 14일 |
발견자 | 소련 남극 탐험대 |
거리 | 남극점에서 약 878 km (546 마일) 보스토크 기지에서 약 600 km (370 마일) |
북극해의 도달 불능극 | |
위치 | 북극해 |
좌표 | 북위 85°05′ 동경 176°09′ |
가장 가까운 육지 | 엘즈미어 섬, 카프 모리스 제섭 또는 코틀니 섬 |
거리 | 해안에서 661 km (411 마일) |
탐험 | 처음으로 레이니어 해군 대장이 이끄는 미국 탐험대가 1968년에 도달 |
유라시아의 도달 불능극 | |
위치 | 중국 북서부, 신장 위구르 자치구 |
좌표 | 북위 46°17′ 동경 86°40′ |
거리 | 가장 가까운 해안선에서 2,645 km (1,644 마일) |
설명 | 굴반퉁구트 사막 내에 위치 |
남태평양의 도달 불능극 | |
위치 | 남태평양 |
좌표 | 남위 48°52.6′ 서경 123°23.6′ |
별칭 | 포인트 니모 |
설명 | 가장 외딴 해양 지점으로, 어떤 육지보다 우주 정거장에 더 가까움 |
북아메리카의 도달 불능극 | |
위치 | 미국 |
좌표 | 북위 43°21′36″ 서경 101°59′24″ |
거리 | 가장 가까운 해안선에서 1,650 km (1,030 마일) |
설명 | 사우스다코타 주의 카일과 앨런 사이 |
2. 역사적 배경
(내용 없음)
도달불능극의 위치는 컴퓨터 모델링을 사용하여 계산된다. 이 계산 과정에는 여러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데, 주로 어떤 해안선 데이터를 사용하는지, 해안선까지의 거리를 어떻게 계산하는지(거리 함수), 그리고 해안선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지점을 찾는 최적화 알고리즘이 무엇인지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
3. 도달불능극의 정의 및 계산 방법
구체적으로 어떤 해안선 데이터 세트(GSHHG, OpenStreetMap 등)를 기준으로 삼는지, 해안선과 특정 지점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기 위해 어떤 거리 함수와 계산 방식(타원체 계산 등)을 사용하는지, 그리고 가장 먼 지점을 효율적으로 찾기 위해 어떤 최적화 알고리즘(적응형 그리드 방법, B9-Hillclimbing 등)을 적용하는지에 따라 도달불능극의 위치는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계산 방법론의 차이와 발전 과정, 그리고 그에 따른 연구 결과의 변화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3. 1. 해안선 정의의 어려움
도달불능극의 정확한 위치 계산은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지며, 특히 사용하는 해안선 데이터와 거리 계산 방법이 중요하다.
극점 계산의 기준이 되는 해안선 데이터 세트로는 주로 GSHHG(Global Self-consistent, Hierarchical, High-resolution Geography Database) 와 OpenStreetMap(OSM) 플래닛 덤프가 사용된다. GSHHG는 식별 가능한 해안 특징의 90%에 대해 500m의 정밀도를 가진다고 주장한다. 반면, 자원봉사자들에 의해 구축되는 OSM은 공식적인 정밀도 보장은 없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확성을 시사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어떤 데이터 세트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해안선의 정의가 달라질 수 있으며, 이는 최종적인 극점 위치 계산에 영향을 미친다.
해안선과 잠재적 극점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기 위해 거리 함수를 결정하는 방식 또한 결과에 영향을 준다. 과거 연구에서는 데이터를 평면에 투영하거나 구면 계산을 수행하는 경향이 있었다. 하지만 더 최근의 연구들은 고성능 컴퓨팅을 활용하여 다른 알고리즘과 타원체 계산을 사용한다.
마지막으로, 해안선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지점을 찾는 최적화 알고리즘의 선택도 중요하다. Garcia-Castellanos와 Lombardo가 2007년에 제시한 적응형 그리드 방법은 여러 연구에서 사용되어 왔다. 이 방법은 예를 들어 21×21개의 점으로 구성된 직사각형 격자를 생성하고, 각 점과 해안선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여 해안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점을 식별한다. 그런 다음 격자는 이 점을 중심으로 재배치되고 특정 비율로 축소된다. 이 과정은 격자가 매우 작아질 때까지(예: 100m 정밀도) 반복된다. 일부 연구자들은 이 방법이 국소 최솟값에 빠질 수 있다고 지적한다. 2019년 Barnes가 제안한 더 최근의 방법인 B9-Hillclimbing은 다면체를 사용하여 3차원 공간에서 100km 간격으로 균등하게 배치된 초기 점들을 찾는다. 그런 다음 이 점들을 그룹화하고, 더 "고유한" 점들에 대해 수치적 최적화 기법(언덕 오르기, 시뮬레이티드 어닐링)을 적용하여 가장 먼 거리를 찾으며, 이 과정은 3D 데카르트 점 구름을 통해 가속화된다. Rees의 2021년 연구에 따르면, 두 방법은 미터 수준에서 서로 일치하는 결과를 보인다.
현재까지 다양한 연구 방법론과 데이터 세트를 종합적으로 비교한 메타 연구는 없었지만, 후속 연구들은 이전 계산과 자신들의 결과를 비교하며 개선점을 주장해왔다. 예를 들어, 2007년 Garcia-Castellanos와 Lombardo의 연구는 이전의 "전통적인" 유라시아 도달불능극 계산 결과와 수백 킬로미터의 차이를 발견했다. Rees는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북극 도달불능극 위치를 200km 이상 업데이트했다. Barnes는 사용된 방법과 데이터 세트를 개선하여 Garcia-Castellanos와 Lombardo의 남아메리카 도달불능극 계산 결과를 50km 개선했으며, 이 과정에서 잘못된 해안선 데이터가 보고된 극점-해안선 거리에서 57km의 오차를 발생시켰음을 보여주었다. 이는 어떤 해안선 데이터를 사용하고 어떤 계산 방법을 적용하는지에 따라 도달불능극의 위치가 크게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3. 2. 계산 방법의 발전
도달불능극(Pole of Inaccessibility, PIA) 계산은 컴퓨터 모델링을 사용하며, 여러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계산의 기준이 되는 것은 특정 해안선 데이터 세트이다. 현재 주로 사용되는 데이터 세트로는 GSHHG(Global Self-consistent, Hierarchical, High-resolution Geography Database)와 OpenStreetMap(OSM) 플래닛 덤프가 있다. GSHHG는 식별 가능한 해안 특징의 90%에 대해 500m의 정밀도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면, 자원봉사자들에 의해 구축되는 OSM은 공식적인 정밀도 보장은 없지만, "정확성을 시사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고 평가받는다.
다음으로 해안선과 잠재적 극점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기 위한 거리 함수를 정의해야 한다. 초기 연구에서는 데이터를 평면에 투영하거나 구면 좌표계를 이용한 계산을 수행하는 경향이 있었다. 하지만 최근 연구들은 더 정교한 알고리즘과 타원체 계산 방식을 사용하여 고성능 컴퓨팅을 활용한다.
마지막으로, 최적의 지점을 찾기 위한 최적화 알고리즘이 필요하다. 여러 연구에서 Garcia-Castellanos와 Lombardo가 2007년에 제안한 적응형 그리드(adaptive grid) 방법을 사용했다. 이 방법은 예를 들어 21×21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격자를 생성하고, 각 점에서 가장 가까운 해안선까지의 거리를 계산하여 해안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점을 식별한다. 이후 이 점을 중심으로 격자를 재설정하고 일정 비율로 축소하는 과정을 격자가 매우 작아질 때까지(예: 100m 정밀도) 반복한다. 그러나 일부 연구자들은 이 방법이 국소 최솟값(local minimum)에 빠질 수 있다고 지적한다. 2019년에 Barnes가 제안한 B9-Hillclimbing 방법은 다면체를 사용하여 3차원 공간에 100km 간격으로 균등하게 배치된 초기 점들을 찾는다. 이 점들을 그룹화한 뒤, 더 "고유한" 점들에 대해 수치적 최적화 기법(언덕 오르기, 시뮬레이티드 어닐링)을 적용하여 가장 먼 지점을 찾는다. 이 과정은 3차원 데카르트 점 구름(3D Cartesian point cloud)을 이용해 가속화된다. Rees는 2021년 연구에서 두 방법이 미터 단위 수준에서 서로 일치하는 결과를 보인다고 밝혔다.
현재까지 다양한 연구에서 사용된 알고리즘과 데이터 세트를 종합적으로 비교 분석한 메타 연구는 없다. 그러나 후속 연구들은 이전 계산 결과와 자신들의 결과를 비교하며 개선점을 제시해왔다. 예를 들어, 2007년 Garcia-Castellanos와 Lombardo 연구는 1987년 Crane & Crane이 계산한 "전통적인" 유라시아 PIA에서 수백 km의 오차를 발견했다. Rees는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북극 PIA를 200km 이상 업데이트했다. Barnes는 개선된 방법과 데이터 세트를 사용하여 Garcia-Castellanos와 Lombardo의 남아메리카 PIA 계산 결과를 50km 개선했으며, 부정확한 해안선 데이터가 보고된 PIA-해안선 거리에서 57km의 오차를 유발했음을 보여주었다.
4. 주요 도달불능극
도달불능극은 특정 지역(대륙 또는 해양) 내에서 해안선 또는 육지 경계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지점을 의미한다. 여러 연구자에 의해 다양한 기준과 데이터셋, 계산 방법을 사용하여 위치가 결정되었으며, 이로 인해 약간의 차이가 존재할 수 있다. 주요 대륙 및 해양별 도달불능극은 다음과 같다.
- '''유라시아 도달불능극''':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 내에 위치하며, 지구상 육지 중 바다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지점이다. 계산 방식에 따라 여러 후보지가 제시되었다. 우루무치 시 남서쪽에는 1992년 "아시아 대륙의 지리적 중심지"로 지정된 기념물이 세워져 있으나, 이는 도달불능극과는 다른 개념이다.[33][34]
- '''남극 도달불능극''': 남극 대륙에서 남극해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지점이다. 해안선을 어디로 정의하는지, 빙상의 이동 등 여러 요인으로 인해 정확한 위치 정의에 어려움이 있다. 일반적으로 1958년 소련 탐험대가 건설한 연구 기지가 위치했던 부근을 가리키며[35][36], 이곳에는 블라디미르 레닌의 흉상이 남아있다.
- '''북아메리카 도달불능극''': 미국 사우스다코타주 남서부 파인 리지 보호구역 내에 위치한다.
- '''남아메리카 도달불능극''': 브라질 마투그로수주 아레나폴리스 부근에 위치한다.
- '''아프리카 도달불능극''': 중앙 아프리카 공화국, 남수단, 콩고 민주 공화국의 국경이 만나는 지점 부근에 위치한다.
- '''오스트레일리아 도달불능극''': 노던 준주의 앨리스 스프링스 북서쪽 부근에 위치한다.
- '''북극 도달불능극''': 북극해의 유빙 위에 위치하며, 가장 가까운 육지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지점이다. 유빙 위에 있기 때문에 고정된 지점은 아니다.
- '''해양 도달불능극 (포인트 네모)''': 남태평양에 위치하며, 지구상에서 가장 가까운 육지까지의 거리가 가장 먼 해양 지점이다.[32] 이 지점은 '포인트 네모'라고도 불리며, 인공위성 등의 우주 쓰레기를 폐기하는 우주선 묘지로 활용된다.[43]
4. 1. 북극 도달불능극

북극 도달불능극은 어떤 육지에서도 가장 멀리 떨어진 북극해 유빙 위에 위치한 지점을 말하며, 때때로 북극점과 혼동되기도 한다.
과거에는 이 지점이 북위 84° 3′, 서경 174° 51′에 있다고 알려졌으나, 이는 정확하지 않은 정보였다. 이 지점을 처음 누가 정의했는지는 불분명하지만, 1927년 항공기로 북극해 횡단을 시도했던 휴버트 윌킨스 경일 가능성이 있으며, 그는 1928년에 횡단에 성공했다. 이후 1958년에는 소련의 쇄빙선이, 1968년에는 월리 허버트 경이 개썰매를 이용하여 당시 알려진 위치 근처까지 도달했으나, 그의 저서 "세상의 꼭대기를 가로질러(Across the Top of the World)"에 따르면 해빙의 이동으로 인해 정확한 지점에는 도달하지 못했다.[1] 1986년에는 드미트리 슈파로가 이끄는 소련 극지 과학자 원정대가 극야 기간 동안 도보로 과거 위치에 도달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2005년, 탐험가 짐 맥닐은 국립 설빙 데이터 센터와 스코트 극지 연구소의 과학자들에게 현대적인 GPS 및 위성 기술을 이용해 북극 도달불능극의 위치를 다시 계산해 줄 것을 요청했다. 이 연구 결과는 2013년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의 ''극지 기록(Polar Record)''에 논문으로 게재되었다. 맥닐은 2006년 미국 항공 우주국을 위해 해빙의 깊이를 측정하며 새롭게 계산된 위치에 도달하려 했으나 실패했고,[2] 2010년에도 그와 그의 아이스 워리어 팀은 해빙 상태가 좋지 않아 다시 한번 도달에 실패했다.[3]
새롭게 계산된 북극 도달불능극의 정확한 위치는 북위 85° 48′, 서경 176° 9′이다. 이 지점은 가장 가까운 세 육지, 즉 데롱 제도의 헨리에타 섬, 세베르나야 제믈랴의 북극 곶, 그리고 엘스미어 섬으로부터 각각 1008km 떨어져 있다. 이는 기존에 알려졌던 위치(북위 84° 3′, 서경 174° 51′ - 엘스미어 섬과 프란츠 요제프 제도에서 각각 1094km, 북극점에서는 661km 떨어진 지점)에서 200km 이상 떨어진 곳이다.[4]
북극 도달불능극은 계속해서 움직이는 유빙 위에 있기 때문에 영구적인 구조물을 세울 수는 없다. 2024년 9월 12일, 프랑스의 쇄빙 유람선 ''르 코망당 샤르코''가 북극 도달불능극에 도달한 최초의 선박이 되었다.[5]
4. 2. 남극 도달불능극

남극 도달불능극은 남극 대륙에서 남극해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지점을 의미한다. 이 지점의 정확한 좌표에 대해서는 여러 의견이 존재하는데, 이는 해안선을 빙붕의 가장자리로 볼 것인지, 아니면 땅과 맞닿는 부분(접지선)으로 볼 것인지의 문제, 고체 상태의 해안선 위치를 특정하기 어려운 점, 빙상의 지속적인 이동, 그리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측량 기술이 발전하고 데이터가 갱신되는 과정에서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남극 도달불능극이라 하면 1958년 소련 탐험대가 건설한 연구 기지가 위치한 남위 82° 06′, 동경 54° 58′ 지점을 가리킨다.[6] 일부 자료에서는 남위 83° 06′, 동경 54° 58′로 제시하기도 한다.[7] 이 지점은 남극점에서 약 1301km 떨어져 있으며, 고도는 3718m이다. 한편, 스코트 극지 연구소는 다른 기준을 적용하여 남위 85° 50′, 동경 65° 47′를 도달불능극으로 정의했다.[8]
최신 데이터와 분석 기법을 활용한 2021년 리스(Rees) 등의 연구에서는 남극의 도달불능극을 두 가지로 구분했다. 바다와 만나는 부빙의 가장자리를 기준으로 한 '외부 극'은 바다에서 1590.4km 떨어진 남위 83.904°, 동경 64.890°에 위치하며, 빙상이 육지와 만나는 접지선을 기준으로 한 '내부 극'은 접지선에서 1179.4km 떨어진 남위 83.610°, 동경 53.720°에 위치한다고 밝혔다.
남극 도달불능극은 지리적 남극점보다 훨씬 접근하기 어려운 곳이다. 1958년 12월 14일, 국제 지구 물리학의 해 연구의 일환으로 예브게니 톨스치코프가 이끈 제3차 소련 남극 탐험대는 남위 82° 06′, 동경 54° 58′ 지점에 임시 도달불능극 기지( полюс недоступности|폴류스 네도스투프노스티ru )를 건설했다. 이 기지는 1967년 다른 소련 팀이 다시 방문했으며, 현재는 모스크바 방향을 바라보는 블라디미르 레닌의 흉상이 있는 건물이 남아 역사적 유적으로 보호받고 있다.
여러 탐험대가 남극 도달불능극 도달에 도전했다.
- 스페인 트란스안타르크티카 탐험대 (2005년): 라몬 에르난도 데 라라멘디, 후안 마누엘 비우, 이그나시오 오피시알데구이는 2005년 12월 11일, 당시 영국 남극 조사가 갱신한 좌표인 남위 82° 53′ 14″, 동경 55° 04′ 30″에 처음으로 도달했다. 이들은 여정을 계속하여 12월 14일에는 빙붕까지 고려한 두 번째 도달불능극 좌표인 남위 83° 50′ 37″, 동경 65° 43′ 30″에도 최초로 도달했다. 이 업적은 노보라자레프스카야 기지에서 시작해 프로그레스 기지까지 이어지는 4500km 이상의 동부 남극 고원 횡단 과정에서 이루어졌으며, 연(kite)을 동력으로 사용하여 기계적 도움 없이 하루 평균 약 90km, 최대 311km를 이동하는 빠른 속도를 기록했다.[9][10][11][12]
- 팀 N2i (2006-2007년): 헨리 쿡슨, 루퍼트 롱스던, 로리 스위트, 폴 랜드리로 구성된 영국 팀 N2i는 2006년 12월 4일 원정을 시작하여, 전통적인 인력 운반과 카이트 스키를 결합하는 방식으로 기계적 도움 없이 역사적인 소련 기지 위치의 도달불능극에 도달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이들은 2007년 1월 19일 옛 소련 기지에 도착하여, 48년 전 소련 탐험대가 남겨둔 레닌 흉상을 재발견했다.[13] 당시 건물은 대부분 눈에 묻혀 흉상 부분만 보였다.[14] 이들은 보스토크 기지에서 비행기로 구조되어 프로그레스 기지로 이동한 뒤, 러시아 극지 연구선 ''아카데믹 표도르프''호를 타고 케이프타운으로 귀환했다.[14] 기네스 세계 기록은 팀 N2i의 원정에 대해 이 지점을 남극 도달불능극으로 인정하기도 했다.[16][39]
- 세바스찬 코플랜드와 에릭 맥네어-런드리 (2011년): 2011년 12월 27일, 세바스찬 코플랜드와 파트너 에릭 맥네어-런드리는 노보라자레프스카야 기지에서 출발하여 남극점으로 향하는 도중 남위 82° 06′, 동경 54° 58′의 도달불능극에 도착했다. 이들은 보급이나 기계적 지원 없이 4000km 이상을 이동하며 남극 대륙 동/서 횡단을 최초로 완료했다.[15]
기술 발전과 남극 해안선 정의에 대한 논쟁으로 인해 도달불능극의 정확한 위치는 계속 변동될 수 있다. 남극 대륙의 빙상은 계속 움직이므로, 빙상 위에 건설된 소련 기지 역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원래의 정확한 도달불능극 지점에서 벗어나 있을 수 있다. 그러나 탐험의 편의성을 위해 고정된 지점이 필요한 경우가 있으며, 이러한 목적으로 옛 소련 기지 위치가 사용되어 왔다.
4. 3. 유라시아 도달불능극

유라시아 도달불능극(Eurasian Pole of Inaccessibility, EPIA)은 유라시아 대륙에서 바다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지점을 의미한다. 유라시아는 지구상에서 가장 큰 대륙이므로, 이 지점은 육지에서 바다까지 가장 먼 곳이기도 하다. 이 극점은 중국 북서부의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 있으며, 카자흐스탄 국경과 가깝다.
과거 계산에 따르면, 유라시아 도달불능극은 가장 가까운 해안선에서 2645km 떨어진 북위 46° 17′ 동경 86° 40′ 지점으로 알려져 왔다. 이 위치는 신장 위구르 자치구 우루무치 시에서 북쪽으로 약 320km 떨어진 구얼반퉁구터 사막 안에 있다. 1986년 6월 27일, 니콜라스 크레인과 리처드 크레인이 이 지점에 도달한 바 있다. 이 지점에서 가장 가까운 정착지로는 북서쪽 약 50km 거리에 있는 호토거이 진(북위 46° 34′ 동경 85° 58′), 서쪽 약 20km 거리에 있는 하즈가트 향( 夏孜盖乡|샤쯔가이 샹중국어, 북위 46° 20′ 동경 86° 22′), 동쪽 약 10km 거리에 있는 술루크(북위 46° 15′ 동경 86° 50′)가 있다.
그러나 이 계산은 카라해의 일부인 오비만을 강 어귀로 간주하여 육지의 일부로 취급했기 때문에 논란이 있었다. 오비만을 해양의 일부로 포함하여 다시 계산한 2007년 연구에서는 오차 범위 내에 있는 두 개의 다른 지점, 즉 EPIA1(북위 44.29° 동경 82.19°)과 EPIA2(북위 45.28° 동경 88.14°)를 유라시아 도달불능극으로 제안했다. EPIA1은 바다에서 약 2510km, EPIA2는 약 2514km 떨어져 있다. 이 두 지점은 모두 신장 위구르 자치구 내에 위치하며, 동서 간의 중요한 통로였던 준가리아 게이트 주변에 삼각형 형태로 가까이 모여 있다. EPIA1은 카자흐스탄 및 키르기스스탄과의 국경에 가까운 산악 지역(:w:Kokirqin Shan)으로 해발 고도 2000m가 넘는 곳에 위치하며, 기존에 알려진 극점과는 약 435km 떨어져 있다. EPIA2는 부얼진 현 카라마이 향에 있는 'K̂as K̂îr Su'라는 정착지 근처에 있으며, 현지에서는 'K̂îzîlk̂um'(قىزىلقۇم)으로 불린다. 이 지점은 기존 극점에서 약 156km 떨어져 있다.[32]
한편, 이 도달불능극과는 별개로 우루무치 시 남서쪽 30km 지점(북위 43° 40′ 52″ 동경 87° 19′ 52″)에는 1992년 현지 지리학자들이 "아시아 대륙의 지리적 중심지"로 지정한 곳이 있다. 중국 과학원의 측량에 기반하여 이곳에 '아시아 대륙 지리 중심'(亚洲大陆地理中心|야저우다루디리중신중국어)이라는 기념탑이 세워졌으며, 아시아 49개국의 국기와 문화를 상징하는 조형물로 둘러싸인 광장은 지역 관광 명소가 되었다.[26][33][34]
우연히도, 대륙 도달불능극(EPIA1, EPIA2)과 해양 도달불능극의 반지름(가장 가까운 육지/바다까지의 거리)은 비슷한데, 유라시아 극점들은 해양 극점이 육지에서 떨어진 거리보다 약 178km 더 가깝다.
4. 4. 아프리카 도달불능극
아프리카의 도달불능극은 북위 5.65°, 동경 26.17° 지점에 위치하며, 해안에서 1814km 떨어져 있다.[32] 이곳은 중앙 아프리카 공화국, 남수단, 콩고 민주 공화국의 삼국 국경 부근이자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의 오보 마을 근처이다.[32]4. 5. 북아메리카 도달불능극

북아메리카 대륙의 도달불능극은 미국 사우스다코타주 남서부에 위치한 파인 리지 보호구역 안에 있다. 이곳은 앨런 마을에서 북쪽으로 약 11km 떨어져 있으며, 좌표는 북위 43.36도, 서경 101.97도(43°21′36″N, 101°58′12″W)이다. 가장 가까운 해안선으로부터의 거리는 1650km이다.
이 극점은 라코타족에게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곳으로, 2021년에는 라코타족의 7가지 가치와 전통적인 의학 바퀴(Medicine Wheel)의 네 가지 색상을 나타내는 표지가 세워졌다.[27] 이는 해당 지역이 라코타족의 역사와 문화에 깊이 연관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4. 6. 남아메리카 도달불능극
남아메리카 대륙의 도달 불능극은 브라질 마투그로수 주 아레나폴리스 근처(남위 14.05도, 서경 56.85도)에 위치한다. 이곳은 가장 가까운 해안선에서 약 1504km 떨어져 있으며, 다른 자료에서는 해양에서 1517km 떨어져 있다고도 한다. 2017년, 터너 쌍둥이는 칠레 해안에서 남아메리카 도달 불능극까지 도보로 이동하여, 가장 가까운 해안선에서 극점까지 걸어서 이동한 최초의 탐험가가 되었다.[28] 2019년에는 북쪽에 두 번째 남아메리카 도달 불능극이 발견되었는데, 이 위치는 사용된 두 해안선 데이터 세트 간에 큰 차이를 보였다.4. 7. 오스트레일리아 도달불능극

오스트레일리아의 도달불능극은 남위 23.17°, 동경 132.27° 지점으로, 가장 가까운 해안선에서 920km 떨어져 있다. 이 지점은 앨리스 스프링스에서 북서쪽으로 약 161km 거리에 위치한다. 가장 가까운 마을은 남서쪽으로 약 30km 떨어진 노던 준주의 파푸냐이다.
4. 8. 해양 도달불능극 (태평양)

해양 도달불능극, 일명 '''포인트 니모'''(Point Nemo|포인트 니모eng)는 육지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세계의 대양 지점을 말한다.[32] 이곳은 남태평양의 남위 48° 52.6′, 서경 123° 23.6′ 부근[17] 또는 남위 48.89°, 서경 123.45° 부근[32]에 위치하며, 가장 가까운 세 개의 육지 지점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인 약 2688km 떨어져 있다.[17][32] 이 세 지점은 북쪽의 듀시 섬(핏케언 제도), 북동쪽의 모투 누이(이스터 섬 부속 섬), 남쪽의 마허 섬(남극 마리 버드 랜드 해안 근처)이다.[17][32] 포인트 니모의 정확한 좌표는 이 세 섬의 정확한 좌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18]
이 지점의 이름은 1870년 소설가 쥘 베른의 작품에 등장하는 네모 선장에서 유래했다.[20][17] 크로아티아의 측량 기술자 흐르보예 루카텔라(Hrvoje Lukatela)가 1992년 컴퓨터 지리 정보 시스템을 이용하여 처음 이 지점을 계산했으며, 어린 시절 좋아했던 소설 속 인물의 이름을 따 명명했다.[19][17][22] 그는 2022년 오픈스트리트맵과 구글 지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좌표를 재계산하기도 했다.[18] 흥미롭게도 이 지역은 H. P. 러브크래프트가 1928년에 발표한 단편 소설 "크툴루의 부름"에 등장하는 가상의 도시 르뤼에의 위치와 거의 일치한다.[20]
포인트 니모는 지리적으로 매우 외딴 곳에 위치하여, 400km 이내에는 정기적인 해상 또는 항공 교통로가 없다. 때로는 가장 가까운 인간이 상공을 지나는 국제 우주 정거장(ISS)의 우주 비행사일 정도이다.[20][19] 또한 이곳은 남태평양 환류 내에 위치하여 해류가 영양분을 운반해 오는 것을 막고, 육지에서도 매우 멀리 떨어져 있어 영양분 유입이 거의 없다. 이 때문에 포인트 니모 주변 해역은 비교적 생명체가 적은 곳으로 알려져 있다.[20]
이러한 외딴 특성 때문에 포인트 니모 주변 지역은 통제된 대기권 재진입을 통해 폐기되는 인공위성이나 우주선의 우주선 묘지로 활용된다.[43] 수명이 다한 우주 구조물을 이곳에 추락시켜 지상의 인명이나 재산 피해 위험, 그리고 항로 방해 가능성을 최소화하는 것이다.[23] 지금까지 수백 개의 위성, 우주 정거장 등이 이곳에 폐기되었으며, 국제 우주 정거장(ISS) 역시 2031년 임무 종료 후 이곳에 추락할 예정이다.[24][25]
5. 일본의 도달불능극
나가노현 사쿠시(구 미나미사쿠군 우스다마치)에는 일본 열도에서 가장 바다에서 멀리 떨어진 지점, 즉 일본의 도달불능극이 있다. 바다에서 약 115km 떨어져 있다[41][42].
6. 도달불능극의 의의 및 활용
(내용 없음)
참조
[1]
서적
Across the Top of the World: The Last Great Journey on Earth
https://archive.org/[...]
G. P. Putnam
2024-08-19
[2]
뉴스
Explorer set for historic Arctic adventure
http://news.bbc.co.u[...]
BBC
2010-11-10
[3]
웹사이트
North Pole 2010: Expedition to the Pole of Inaccessibility Is Postponed
https://adventureblo[...]
The Adventure Blog
2016-11-10
[4]
간행물
A New Race to Earth's End
2013-10-15
[5]
웹사이트
World’s Only Luxury Icebreaker Becomes First Ship To Reach North Pole Of Inaccessibility
https://www.marinein[...]
2024-09-24
[6]
웹사이트
Catalogue of Russian Antarctic Meteorological data 1994
http://www.wmo.int/p[...]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16-11-10
[7]
웹사이트
Historic Sites & Monuments in Antarctica
http://www.polarheri[...]
International Polar Heritage Committee
2016-11-10
[8]
웹사이트
Polar Information Sheets
http://www.spri.cam.[...]
Scott Polar Research Institute, University of Cambridge
2016-11-10
[9]
웹사이트
Spaniards reach the 'second' South Pole of Inaccessibility – still no trace of Lenin
http://www.explorers[...]
ExplorersWeb
2016-11-10
[10]
웹사이트
Spaniards reach South Pole of Inaccessibility – but where is Lenin?
http://www.thepoles.[...]
ExplorersWeb
2016-11-10
[11]
웹사이트
Alcanzado el Polo Sur de la Inaccesibilidad
http://www.barrabes.[...]
2016-11-10
[12]
웹사이트
Ramón Larramendi
http://www.tierraspo[...]
2016-11-10
[13]
웹사이트
Team N2i successfully conquer the Pole of Inaccessibility by foot and kite on 19th Jan '07
http://www.teamn2i.c[...]
2011-08-16
[14]
웹사이트
UK team makes polar trek history
http://news.bbc.co.u[...]
2016-11-10
[15]
웹사이트
ExWeb interview Sebastian Copeland and Eric McNair-Landry (part 1/2): The battle of body and gear across 2 South Poles
http://www.explorers[...]
2016-11-10
[16]
웹사이트
Image: guinness_book_records_team_n2i_antarctic_ec1.jpg, (539 × 791 px)
http://www.teamn2i.c[...]
Team n2i
2016-11-10
[17]
웹사이트
Where is Point Nemo?
https://oceanservice[...]
2023-01-01
[18]
웹사이트
Point Nemo, revisited
http://www.lukatela.[...]
2022-09
[19]
뉴스
Point Nemo is the most remote oceanic spot – yet it's still awash with plastic
https://www.theguard[...]
2018-05-18
[20]
뉴스
The Place Furthest from Land is Known as Point Nemo
http://www.bbc.com/e[...]
BBC
2019-07-24
[21]
웹사이트
Determining the Areas and Geographical Centers of Pacific Ocean and its Northern and Southern Halves
https://www.ripublic[...]
Research India Publications
2022-07-18
[22]
웹사이트
Point Nemo
https://www.lukatela[...]
2022
[23]
잡지
This Is Where the International Space Station Will Go to Die
http://www.popsci.co[...]
2016-11-10
[24]
뉴스
International Space Station to crash down to Earth in January 2031
https://www.bbc.com/[...]
BBC News
2022-02-03
[25]
웹사이트
FAQ: The International Space Station 2022 Transition Plan
https://www.nasa.gov[...]
2022-02-11
[26]
웹사이트
43° 40' 52"N 87° 19' 52" E Geographic Center of Asia – The Heart of Asia (亚洲之心) – Xinjiang (新疆), China
http://www.confluenc[...]
Confluence
2016-11-10
[27]
웹사이트
Marking the North American Pole of Inaccessibility
https://loving-the-w[...]
2021-07-13
[28]
웹사이트
The Turner Twins on trekking to the Green Pole, avoiding disaster and 'fields of plastic stretching for miles'
2017-10-30
[29]
웹사이트
Centre of Australia, States and Territories
http://www.ga.gov.au[...]
Geoscience Australia
2016-11-10
[30]
서적
白い大陸への挑戦 日本南極観測隊の60年
現代書館
[31]
문서
たとえば[[アクセシビリティ]]が「利用しやすさ」の意味になるように、このinaccessibilityは「到達しにくさ」の意味で、「不能」は[[誤訳]]である。
[32]
간행물
Poles of Inaccessibility: A Calculation Algorithm for the Remotest Places on Earth
http://cuba.ija.csic[...]
[33]
웹사이트
43° 40' 52"N 87° 19' 52" E Geographic Center of Asia – The Heart of Asia (亚洲之心) – Xinjiang (新疆), China
http://www.confluenc[...]
Confluence
2019-03-04
[34]
웹사이트
世界上距离海最远的地方,亚洲大陆地理中心——乌鲁木齐亚洲之心!
https://item.btime.c[...]
捜狐
2018-04-18
[35]
웹사이트
Catalogue of Russian Antarctic Meteorological data 1994
http://www.wmo.int/p[...]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07-06
[36]
웹사이트
Historic Sites & Monuments in Antarctica
http://www.polarheri[...]
[37]
웹사이트
「到達不能極」にたどり着いた南極遠征隊が見たシュールな光景 - オーストラリア
http://www.afpbb.com[...]
2011-09-30
[38]
웹사이트
team n2i Antarctica Expedition
http://www.teamn2i.c[...]
2011-09-30
[39]
웹사이트
ギネスブックの認定書
http://www.teamn2i.c[...]
2011-09-30
[40]
웹사이트
Furthest point from the coastline: Centre of Australia, States and Territories
http://www.ga.gov.au[...]
2011-09-28
[41]
웹사이트
日本で海から一番遠い地点
https://www.city.sak[...]
2015-08-12
[42]
웹사이트
【地図を旅する】(5)日本で一番海から遠い地点
http://puchitabi.jp/[...]
2011-09-28
[43]
뉴스
中国の宇宙ステーションが「もうすぐ地球に落ちてくる」──科学者たちが予測した被害の中身
https://wired.jp/201[...]
WIRED
2017-11-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