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문센-스콧 기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문센-스콧 기지는 남극점에 위치한 미국의 연구 기지이다. 1956년에 건설이 시작되어 여러 번의 개조를 거쳤으며, 현재는 모듈식 건물과 지오데식 돔 형태의 건물이 함께 사용되고 있다. 이 기지는 빙하학, 지구물리학, 기상학, 천문학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를 수행하며, 특히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 관측 및 중성미자 검출 실험으로 유명하다. 1999년에는 1억 5천만 달러를 들여 새로운 기지를 건설했으며, 2008년에 완공되었다. 기지는 뉴질랜드 시간을 사용하며, 록히드 LC-130 허큘리스 항공기를 통해 맥머도 기지에서 물자를 보급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과 남극 - 맥머도 기지
맥머도 기지는 남극 로스 섬에 위치한 미국 남극 프로그램의 주요 기지이며, 과학 연구, 물류, 운영을 지원하고, 1956년에 건설되어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있다. - 남극 기지 - 돔 후지 기지
일본이 퀸모드랜드 동부 돔 후지에 1995년 1월 설립한 남극 관측 기지인 돔 후지 기지는 해발 약 3,700m 고지에 위치해 남극에서 가장 추운 지역 중 하나로 꼽히며, 빙하 코어 시추를 통해 과거 기후 변동을 연구하고 최대 72만 년 전의 빙하 코어를 채취하여 영화 《남극의 쉐프》의 배경이 되기도 했다. - 남극 기지 - 돔 A
- 1956년 설립 - 일본 기상청
일본 기상청은 일본 국토교통성 외청으로 기상 관측, 예보, 지진 및 쓰나미 경보, 화산 감시 등을 담당하며, 1872년 설립 이후 1956년 현재 명칭으로 개칭, 2001년 국토교통성 외청으로 소속 변경, 2020년 본부 이전 후 전국 관측망과 첨단 기술을 활용하여 관련 정보 제공 및 국민 안전과 사회 경제 활동에 기여한다. - 1956년 설립 - 아리마 기념
아리마 기념은 팬 투표로 출전마를 선정하는 일본 중앙경마의 최고 권위 경주 중 하나로, 나카야마 경마장에서 개최되며 국제 경주로 지정되어 있고 일본 경마 부흥에 큰 영향을 미쳤다.
아문센-스콧 기지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공식 명칭 | 아문센-스콧 남극 기지 |
위치 | 남극, 남극 고원, 지리적 남극 |
좌표 | 위도 90° S, 경도 0° E |
관리 주체 | 미국 국립 과학 재단의 미국 남극 프로그램 |
설립일 | 1956년 11월 |
명칭 유래 | 로알 아문센, 로버트 팰컨 스콧 |
해발 고도 | 2,835m |
시간대 | 뉴질랜드 표준시(NZST) |
UTC 오프셋 | +12 |
서머타임 | 뉴질랜드 서머타임(NZDT) |
UTC 오프셋 (서머타임) | +13 |
종류 | 연중 운영 |
기간 | 연간 |
상태 | 운영 중 |
UN/LOCODE | AQ AMS |
웹사이트 | 아문센-스콧 남극 기지 |
인구 | |
여름 | 150명 |
겨울 | 49명 |
기후 | |
평균 기온 | -73°C |
연구 활동 | |
분야 | 빙하학 지구물리학 지진학 천체물리학 천문학 생물학 |
시설 | |
주요 시설 | 잭 F. 파울루스 스키 활주로 숙박 시설 대기 연구 관측소 마틴 A. 포머란츠 천체물리학 관측소 연구 및 통신용 컴퓨터 시스템 남극에서 가장 긴 연속 기상 데이터 수집 천문학 및 천체물리학 소규모 생물 의학 연구 시설 수경 재배 온실 기타 빙하학, 지구물리학, 지진학, 해양 및 기후 시스템, 천체물리학, 천문학, 생물학 분야 |
2. 역사
노르웨이의 로알 아문센과 영국의 로버트 스콧의 남극점 최초 도달 경쟁에서 두 사람에게 경의를 표하여 "아문센-스콧 기지"로 명명되었다.
기지는 두께 약 2,800미터의 얼음 위에 위치해 있다. 1990년대부터 남극의 유리한 대기 조건을 활용한 천체물리학 연구가 중요해졌다. 파이썬, 바이퍼, DASI 망원경, 10m 남극점 망원경 등의 실험이 진행되었다. AMANDA / 아이스큐브 실험은 지구를 통과한 중성미자를 감지하기 위해 3km 두께의 얼음 층을 사용한다.[9]
1956년 11월 미 해군 건설 부대(Seabees)에 의해 건설이 시작되어, 1957년부터 2010년까지 운영된 '구 기지'와 1975년 버크민스터 풀러의 지오데식 돔 형태의 새로운 기지가 건설되어 2010년까지 운영되었다.
이후, 기지에서 인구가 증가하는 것에 대응하고, 눈에 파묻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현대적인 디자인과 기능을 갖춘 고층 기지가 신설되었고 2003년에 완공되었다. 해당 건물은 이전에 건물별로 분리하여 운용했던 기능을 하나로 정리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실내는 적정 온도로 유지하고 있고, 식당 및 세탁소, 매점 등을 갖추고 있다.
이 근방 지역에서는 매년 눈이 20cm 이상 쌓이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건물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기온은 -13.6°C에서 -82.8°C까지 관측되었다.
2. 1. 최초 기지 (1957–2010)
미국 해군 소속 시비(Seabee)들이 소위(LTJG) 리처드 바우어스(Richard Bowers)의 지휘 아래 1956년 11월 20일 건설하였다. 8명의 선발대는 VX-6 비행대대의 두 대의 R4D 항공기로 수송되었고, 대부분의 장비와 건축 자재는 미국 제18공군의 C-124 글로브마스터 II가 공수했다.[4] 건물은 조립식 4x8피트 모듈식 패널로 건설되었으며, 마포와 철망으로 덮인 터널 시스템으로 연결되었다.[4]1957년 1월 4일, 마지막 건설팀이 떠났다. 최초의 월동 파티는 폴 시플이 이끄는 8명의 IGY 과학자들과 소위 존 턱이 이끄는 8명의 해군 지원 병력으로 구성되었다.[4]
1958년 1월 3일, 영연방 남극 탐험대 소속 뉴질랜드 출신 에드먼드 힐러리 경 팀이 스콧 기지에서 육로로 기지에 도착했고, 곧이어 비비안 푹스 경의 영국 과학팀이 뒤따랐다.[5]
남극의 개방된 지역에 눈이 쌓이는 속도는 연간 약 약 20.32cm이지만, 바람에 날리는 눈은 솟아 있는 구조물 근처에서 훨씬 더 빠르게 쌓인다. 1960년, 기지 건설 3년 후에는 이미 6feet의 눈에 묻혔다.[6]
이 기지는 1975년에 폐쇄되어 깊이 묻혔고, 압력으로 인해 대부분 목재로 된 지붕이 무너졌다. 2010년 12월, 장비 작업자가 미국 국립 과학 재단(NSF)을 위한 눈 안정성 테스트를 하던 중 구조물 아래로 떨어지면서 철거되었다.[7][8]
2. 2. 돔 기지 (1975–2010)
버크민스터 풀러의 지오데식 돔 형태의 새로운 기지가 1975년에 건설되었다. 돔의 너비는 50m, 높이는 16m였으며, 14x 크기의 강철 아치형 구조물로 둘러싸여 있었다. 이 구조물 중 하나는 돔으로 들어가는 입구였고, 다른 구조물에는 유지 보수 시설, 연료 주머니, 발전소, 제설기, 장비 및 차량을 위한 모듈형 건물이 있었다. 돔 내부에는 기숙사, 식당, 레크리에이션 센터, 우체국, 실험실 등 다양한 시설이 있었다. 또한 돔보다 약간 높은 상자 모양의 타워인 스카이랩이 있었는데, 터널로 돔과 연결되어 대기 센서 장비 보관 및 음악실로 사용되었다.1970-1974년 여름, 돔 건설에 참여한 시비(Seabees)들은 한국 전쟁 시대의 제임스웨이 오두막에서 생활했다. 이 오두막은 나무 프레임과 캔버스 방수포로 만들어졌으며, 난방 시설이 있었지만 겨울에는 사용할 수 없었다. 1976-1977년 여름, 오두막 여러 채가 불에 탄 후 건설 캠프는 버려졌다. 1981-1982년 시즌에는 추가 인력이 "여름 캠프"라는 제임스웨이 그룹에서 생활했다. 처음에는 두 채의 오두막으로 시작했지만, 나중에는 11채의 오두막과 욕실, 체육관 시설을 갖춘 두 채의 레크리에이션 오두막으로 확장되었다. 1990년대에는 천문학과 천체물리학 연구를 위한 구조물들이 추가되었다.
1990년대부터 남극의 유리한 대기 조건을 활용한 천체물리학 연구가 중요해졌다. 파이썬, 바이퍼, DASI 망원경, 10m 남극점 망원경 등의 실험이 진행되었다. DASI 망원경은 이후 폐기되었고 마운트는 Keck Array에 사용되었다.[9] AMANDA / 아이스큐브 실험은 지구를 통과한 중성미자를 감지하기 위해 3km 두께의 얼음 층을 사용한다. 마틴 A. 포머란츠 관측소(MAPO) 건물은 1995년에 헌정되었다. 이러한 과학 프로젝트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과학 화물 및 인력의 지위가 높아졌다.
1988년 겨울, 돔에서 큰 균열 소리가 들렸고, 조사 결과 기초 베이스 링 빔이 파손된 것으로 밝혀졌다.[10] 1998-1999년 여름 시즌은 록히드 LC-130을 갖춘 VXE-6가 미국 남극 프로그램에 마지막으로 서비스를 제공한 해였다. 1999-2000년부터 뉴욕 주 방위군 제109 수송 비행대대가 맥머도 기지와 남극 사이의 항공편을 책임지게 되었다.
돔은 2009년 말에 해체되어[11] 상자에 담겨 포트 후에네메에 보관되었다. 중앙 눈구멍은 시비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2. 3. 고층 기지 (2008–현재)
1992년, 7400m2 규모의 2층 건물로 총 1억 5천만 달러가 소요되는 새로운 기지 설계가 시작되었다.[12] 건설은 1999년 돔 옆에서 시작되었다. 이 시설은 2008년 1월 12일, 낡은 돔 기지의 폐쇄를 포함한 기념식과 함께 공식적으로 완공되었다.[13] 이 기념식에는 국립 과학 재단 국장 아든 베먼트, 과학자 수잔 솔로몬 및 기타 정부 관계자 등 당일을 위해 특별히 파견된 많은 고위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새로운 남극 기지 건설을 위한 모든 건축 자재는 LC-130 허큘리스 항공기와 뉴욕 스코티아의 제139 수송 비행대 스트라톤 공군 주 방위군 기지를 통해 맥머도 기지에서 운송되었다. 각 비행기는 비행마다 약 11793.39kg의 화물을 수송했으며, 건축 자재의 총 무게는 약 10886208.00kg에 달했다.[14]새로운 기지는 인구 증가를 수용하기 위한 모듈식 설계와 눈에 파묻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절 가능한 고도를 포함했다. 매년 약 20cm의 눈이 녹지 않고 쌓이므로,[15][16] 건물 설계자들은 눈 덮임을 줄이기 위해 구조물 주변에 둥근 모서리와 가장자리를 포함시켰다. 건물은 바람을 향해 있으며 벽의 하단 부분이 경사져 있다. 경사진 벽은 건물 아래로 흐르는 바람의 속도를 증가시키고 눈 덮개 위를 지나가도록 하여 눈이 쓸려 나가도록 한다. 이것은 건물이 빠르게 묻히는 것을 방지한다. 풍동 시험 결과 눈의 높이가 2층에 도달할 때까지 스코어링(눈이 쓸려나가는 현상)이 계속될 것이다.
눈이 자체 무게로 인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적으로 가라앉기 때문에 건물의 기초는 한쪽 날개, 한쪽 라인 또는 한쪽 기둥에서 상당한 차등 침강을 수용하도록 설계되었다. 차등 침강이 계속되면 지지 구조물을 들어 올려 수평을 맞춰야 한다. 이 시설은 건물의 전체 층을 들어 올릴 수 있도록 외부 벽 외부에 주요 지지 기둥이 있도록 설계되었다. 이 과정에서 기존 기둥 위에 새로운 기둥 섹션이 추가된 다음 잭이 건물을 더 높은 고도로 끌어올린다.
3. 기지 건물
1999년부터 건설이 시작되어 2003년에 완공된 현재의 고층 기지는 모듈식 설계를 채택하여 기지 인구 증가에 대응하고 눈에 파묻히는 것을 방지한다. 건물은 이전에 건물별로 분리하여 운용했던 기능을 하나로 통합하였다.[82] 실내는 적정 온도로 유지되며, 식당, 세탁소, 매점 등 다양한 편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83]
건물은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을 향해 있으며, 경사진 벽은 바람의 속도를 높여 건물 아래를 지나가게 하여 눈이 쌓이는 것을 막는다. 풍동 실험 결과 눈의 높이가 2층에 도달할 때까지 눈이 계속 쓸려나가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 지역에서는 매년 약 20cm의 눈이 쌓이므로,[15][16] 필요에 따라 건물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4. 연구 활동
기지에서의 연구에는 빙하학, 지구물리학, 기상학, 상층 대기 물리학, 천문학, 천체물리학, 생명 의학 연구가 포함된다.[17] 대부분의 과학자들은 아이스큐브 중성미자 관측소 또는 남극 망원경 및 BICEP2와 같은 저주파 천문학 실험을 위해 일한다.[17] 극지 대기의 낮은 온도와 낮은 수분 함량은 2743m 이상의 고도와 결합되어 다른 곳보다 특정 주파수에서 공기를 훨씬 더 투명하게 만들며, 몇 달 동안의 어둠은 민감한 장비가 끊임없이 작동할 수 있게 해준다.[17]
망원경 | 운영 기간 | 설명 |
---|---|---|
파이썬 망원경(Python Telescope) | 1992–1997 |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CMB)의 온도 비등방성을 관측.[21] |
바이퍼 망원경 | 1997–2000 | CMB의 온도 비등방성을 관측.[20] 2000년부터 2008년까지 아크미닛 우주론 볼로미터 배열 수신기(ACBAR) 볼로미터로 재장착.[22] |
각도 척도 간섭계(DASI) | 1999–2000 | CMB의 온도와 전력 스펙트럼을 측정.[23] |
QUaD | 2004–2009 | DASI 마운트를 사용하여 CMB 편광에 대한 상세한 관측을 수행.[24][25] |
BICEP1 (2006–2008) 및 BICEP2 (2010–2012) | 2006-2012 | CMB의 편광 비등방성을 관측. BICEP3는 2015년에 설치.[26] |
남극 망원경(South Pole Telescope) | 2007–현재 | 멀리 떨어진 은하단을 찾기 위해 CMB를 조사.[27] |
켁 배열(Keck Array) | 2010–현재 | DASI 마운트를 사용하여,[9] CMB의 편광 비등방성에 대한 작업을 계속. |
실험명 | 운영 기간 | 설명 |
---|---|---|
남극 뮤온 및 중성미자 검출기 배열(AMANDA) | 1997–2009 | 중성미자를 감지.[28] |
아이스큐브 중성미자 관측소(IceCube) | 2010–현재 | 중성미자를 감지.[29] |
전파 얼음 체렌코프 실험(RICE) | 1999–2012 | 초고에너지(UHE) 중성미자를 감지. |
중성미자 배열 전파 보정(NARC) | 2008–2012 | RICE 실험의 업그레이드. |
아스카리안 전파 배열(ARA) | 2011–현재 | RICE의 후속 실험으로, 현재(2022년 기준) 건설 중. |
5. 기후
아문센-스콧 기지는 내륙 남극의 전형적인 빙설 기후(EF)를 경험한다.[30] 12월부터 2월 중순까지는 여름으로, 해가 지지 않는 백야 현상이 나타난다. 3월부터 9월까지는 겨울로, 해가 뜨지 않는 극야 현상이 나타난다.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평균 최고 기온 (°C) | -25.9 | -37.4 | -49.2 | -52.6 | -52.8 | -53.1 | -55.2 | -54.6 | -54.1 | -47.3 | -34.9 | -25.6 | -45.8 |
평균 기온 (°C) | -28.1 | -40.7 | -53.6 | -57.4 | -57.7 | -58.1 | -60.2 | -59.7 | -58.9 | -50.9 | -37.2 | -27.3 | -49.5 |
평균 최저 기온 (°C) | -29.5 | -42.6 | -56.4 | -60.6 | -61.1 | -61.5 | -63.7 | -63.0 | -62.2 | -53.3 | -38.8 | -28.4 | -52.2 |
역대 최저 기온 (°C) | -41.1 | -58.9 | -71.1 | -75.0 | -78.3 | -82.8 | -80.6 | -79.3 | -79.4 | -72.0 | -55.0 | -41.1 | -82.8 |
강수량 (mm) | 0.3 | 0.6 | 0.2 | 0.1 | 0.2 | 0.1 | 0.0 | 0.0 | 0.1 | 0.1 | 0.1 | 0.3 | 2.3 |
강설량 (cm) | 0.3 | 0.5 | 0.3 | trace | 0.3 | 1.3 | |||||||
평균 강수일수 (≥ 0.1 mm) | 0.2 | 0.3 | 0.2 | 0.0 | 0.2 | 0.1 | 0.0 | 0.0 | 0.1 | 0.1 | 0.1 | 0.3 | 1.6 |
평균 강설일수 | 22.0 | 19.6 | 13.6 | 11.4 | 17.2 | 17.3 | 18.2 | 17.5 | 11.7 | 16.7 | 16.9 | 20.6 | 203.0 |
일조 시간 | 406.1 | 497.2 | 195.3 | 0.0 | 0.0 | 0.0 | 0.0 | 0.0 | 34.1 | 390.6 | 558.0 | 616.9 | 2698.2 |
6. 교통
아문센-스콧 기지에는 잭 F. 파울루스 활주로(NZSP)가 있으며, 활주로 길이는 3658m이다.[14] 10월부터 2월까지 뉴욕 주 방위군 소속의 스키 장착 록히드 LC-130 허큘리스 항공기가 맥머도 기지를 경유하여 기지에 물자를 보급한다. 이 작전은 오퍼레이션 딥 프리즈라고 불린다.[14]
맥머도 기지에서 아문센-스콧 기지까지는 1601km 길이의 눈길인 맥머도-사우스 폴 고속도로가 연결되어 있다.
7. 통신
아문센-스콧 기지의 데이터 통신은 NASA의 TDRS-4(작동 중단), 5, 6 위성(90°에 무선 링크 없음), 국방부의 DSCS-3 위성, 상업용 이리듐 위성 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18][19] 2007~2008 시즌에는 TDRS 중계(사우스폴 TDRSS 중계 또는 SPTR)가 초당 50 메가비트(50 Mbit/s)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지원하도록 업그레이드되었으며, 이는 데이터 전송 능력의 90% 이상을 차지한다. TDRS-1 위성은 이전에 기지에 서비스를 제공했지만 2009년 10월에 고장나면서 폐기되었다. 마리샛과 LES9도 이전에 사용되었다. 2016년 7월, GOES-3 위성은 추진제 공급이 거의 소진되어 폐기되었고, 군사 통신 위성인 DSCS-3 위성으로 대체되었다. DSCS-3는 GOES-3의 초당 1.5 메가바이트(1.5 MB/s)에 비해 초당 30 메가바이트(30 MB/s)의 데이터 속도를 제공할 수 있다. DSCS-3과 TDRS-4, 5, 6은 기지의 주요 통신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함께 사용된다. 이 위성들은 기지의 과학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업링크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광대역 인터넷 및 통신 접근을 제공한다. 주요 위성 이벤트가 있는 동안에만 기지 전화 시스템에서 전화를 걸 수 있다. 상업용 이리듐 위성은 TDRS 및 DSCS 위성이 모두 통신 범위 밖에 있을 때, 해당 기간 동안 기지에 제한적인 통신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해당 기간 동안에는 기지가 소유한 여러 대의 이리듐 위성 전화 세트를 통해서만 전화를 걸 수 있다. 기지의 IT 시스템은 또한 이리듐 네트워크를 통한 제한적인 데이터 업링크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100KB 미만의 이메일을 항상 송수신할 수 있고, 작은 중요 데이터 파일을 전송할 수 있다. 이 업링크는 12개의 음성 채널을 통해 데이터 스트림을 결합하여 작동한다. 오늘날 비상업적 및 비군사적 통신은 주로 HF SSB 링크를 사용하는 아마추어 햄 무선 통신을 통해 제공되었지만, 모스 부호 및 기타 모드가 일부 실험과 주로 사기 진작 및 취미 유형의 용도로 사용되었다. 미국 구역은 KC4 및 AT의 아마추어 무선 호출 부호 접두사를 사용하고, 소련/러시아 기지는 4K1 등을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50~80년대에 이 취미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남극 햄 무선 기지와 전 세계의 열정적인 햄 무선 통신사 간에 많은 교환이 이루어졌다. 수년에 걸쳐 햄 무선 통신은 극지 기지 인력에 필요한 비상 통신뿐만 아니라 레크리에이션 용도로도 사용되었다.
8. 시간대
아문센-스콧 기지는 뉴질랜드 시간 (UTC+12, 일광 절약 시간제 동안에는 UTC+13)을 사용하는데, 이는 맥머도 기지로 가는 모든 항공편이 크라이스트처치에서 출발하므로, 남극점에서 출발하는 모든 공식적인 여정이 뉴질랜드를 경유하기 때문이다.[76][77][78]
IANA 시간대 데이터베이스에서 이 지역의 시간대 식별자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Antarctica/South_Pole였으나, 현재는 Pacific/Auckland 시간대를 사용한다.
9. 사건 및 사고
1999년, 기지에서 겨울을 나던 의사 제리 닐슨이 유방암에 걸렸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녀는 7월에 위험한 화물 투하를 통해 얻은 물품으로 스스로 화학 요법을 시행해야 했고, 이후 10월 중순의 위험한 착륙을 통해 구조되었다.[43]
2000년 5월 11일, 천체 물리학자 로드니 마크스가 원격 관측소와 기지 사이를 걷다가 병에 걸렸다. 그는 36시간 동안 점점 더 아파졌고, 세 번이나 기지 의사에게 진찰을 받았다. 위성을 통해 조언을 구했지만, 마크스는 2000년 5월 12일에 진단되지 않은 상태로 사망했다.[40][41] 국립 과학 재단은 로드니 마크스가 "자연적인 원인으로 사망한 것으로 보이지만, 사망의 구체적인 원인은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는 성명을 발표했다.[42] 마크스의 정확한 사인은 그의 시신이 아문센-스콧 기지에서 부검을 위해 남극 밖으로 이송될 때까지 결정될 수 없었다.[43] 마크스의 죽음은 메탄올 중독으로 인한 것이었고, 이 사건은 마크스가 다른 사람의 행위로 인해 사망했다는 증거는 없지만[45][46] "최초의 남극 살인"으로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44]
2001년 4월 26일, 켄 보렉 항공은 드 해빌랜드 캐나다 DHC-6 트윈 오터 항공기를 사용하여 로널드 셰멘스키 박사를 아문센-스콧 기지에서 구조했다.[47][48][49][50] 이것은 극지 겨울 동안 남극에서 최초의 구조였다.[51]
2007년 1월, 니콜라이 파트루셰프와 블라디미르 프로니체프를 포함한 고위 러시아 관리 그룹이 기지를 방문했다. 아르투르 칠링가로프 극지 탐험가가 이끈 이 원정대는 칠레에서 두 대의 밀 Mi-8 헬리콥터를 타고 시작하여 남극에 착륙했다.[52][53]
2007년 크리스마스에, 기지의 두 직원이 싸움을 벌여 대피해야 했다.[56]
2011년 7월 11일, 겨울 생존 통신 기술자가 병에 걸려 충수염 진단을 받았다. 기지 의사들은 여러 겨울 생존자들의 지원을 받아 응급 개복 충수 절제술을 시행했다.
2011년 겨울 생존 시즌 동안, 기지 관리자 르네-니콜 도서르는 8월 27일에 뇌졸중을 겪어 시력과 인지 기능이 상실되었다. 아문센-스콧 기지에는 MRI나 CT 스캔 기계와 같은 진단 의료 장비가 없기 때문에 기지 의사들은 뇌졸중으로 인한 손상과 재발 가능성을 완전히 평가할 수 없었다. 현장의 의사들은 가능한 한 빨리 도서르에 대한 응급 후송 비행을 권고했지만, 레이시온 극지 서비스(기지 운영 계약 회사)와 국립 과학 재단이 고용한 외부 의사들은 상황의 심각성에 동의하지 않았다. 모든 비행에 대한 최종 권한을 갖고 비행에 대한 모든 재정적 책임을 지는 국립 과학 재단은 날씨가 여전히 너무 위험하다고 말하며 응급 후송 요청을 거부했다.[57] 도서르와 그녀의 조카는 도서르의 상태가 심각하다고 믿고 더 빠른 응급 후송 비행이 가능하다고 믿고 지안 섀힌 상원 의원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NSF는 도서르의 상태가 응급 후송 시도에 적합하지 않으며 기지의 상황이 더 빠른 비행을 허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계속 밝혔고, 도서르와 그녀의 지지자들은 이 상황을 미디어에 알렸다.[58][59] 도서르는 10월 17일 화물 비행에서 의사 및 에스코트와 함께 대피했다. 이것은 10월 16일에 기상 조건이 열리면서 이용 가능한 첫 번째 비행이었다.[60][61] 대피는 성공적으로 이루어졌고 도서르는 오후 10시 55분에 크라이스트처치, 뉴질랜드에 도착했다.[62] 그녀는 결국 완전히 회복했다.[63]
2016년 6월 20일, 중간 겨울날에 켄 보렉 항공과 DHC-6 트윈 오터 항공기를 사용하여 두 명의 직원에 대한 또 다른 의료 대피가 있었다.[66][67][68]
2016년 12월, 버즈 올드린은 관광객 그룹의 일원으로 남극 아문센-스콧 기지를 방문하던 중 병에 걸려 대피했다. 그는 먼저 맥머도 기지로 이송된 후 크라이스트처치, 뉴질랜드로 이송되었으며, 그곳에서 안정적인 상태로 보고되었다. 86세의 올드린의 방문은 그를 남극에 도달한 가장 나이 많은 사람으로 만들었다.
10. 미디어
1991년, 마이클 페일린은 BBC 텔레비전 다큐멘터리 ''극에서 극으로'' 촬영을 위해 기지를 방문했다.[36][37]
1995년 1월 10일, 미국 항공 우주국(NASA), 미국 공영 방송(PBS), 국립 과학 재단(NSF)은 "우주선 남극"이라는 남극 최초의 생방송 텔레비전 방송을 위해 협력했다.[38]
1999년, CBS 뉴스 특파원 제리 보웬은 ''CBS This Morning''에서 현장 보도를 했다.
2007년 9월 6일, 내셔널 지오그래픽 (미국 TV 채널)의 텔레비전 쇼 ''Man Made''는 새로운 기지 건설에 대한 에피소드를 방영했다.[54]
2007년 11월 9일, NBC의 ''투데이 (미국 TV 프로그램)''에서 앤 커리가 남극에서 생방송 위성 전화 통화를 했다.[55]
2011년, BBC TV 프로그램 ''프로즌 플래닛''은 "최후의 프론티어" 에피소드에서 기지를 소개했다.
2016-17년 여름, 앤서니 보데인은 그의 텔레비전 쇼 ''앤서니 보데인: 파츠 언노운''의 에피소드 일부를 기지에서 촬영했다.[69]
11. 대중 문화
- 킴 스탠리 로빈슨의 소설 ''남극''은 가까운 미래를 배경으로 아문센-스콧 기지와 맥머도 기지의 문화를 허구적으로 묘사하고 있다.[70][71][72][73]
- 1998년 영화 ''엑스파일: 미래와의 전쟁''에서 중요한 배경으로 등장한다.
- 2009년 영화 ''화이트아웃''은 아문센-스콧 기지를 배경으로 하지만, 건물 배치는 완전히 다르다.
- 턴제 전략 게임 ''문명 VI''는 확장팩 ''흥망성쇠''에서 아문센-스콧 남극 기지를 불가사의로 포함시켰다.
- 애니메이션 OVA ''기동전사 건담 디 오리진''은 지온이 통제하는 인간 우주 식민지와 지구 연방 간의 주요 평화 회담 장소로, 1975년 돔과 유사한 지오데식 돔 아래의 스콧 시라는 남극의 대도시를 배경으로 한다.
- 2017년 애슐리 셸비의 소설 [https://www.npr.org/2017/07/04/534768605/south-pole-station-takes-a-cool-look-at-a-hot-topic South Pole Station]은 새로운 시설이 개장하기 전인 2002-2003년의 아문센-스콧 남극 기지를 배경으로 한다.
- 2019년 영화 ''어디 갔어, 버나뎃''은 이 기지를 주요 배경으로 하며, 엔딩 크레딧에 기지 건설 장면을 포함하고 있지만, 영화에 묘사된 실제 기지는 핼리 연구 기지이다.
참조
[1]
보고서
Antarctic Station Catalogue
https://www.comnap.a[...]
Council of Managers of National Antarctic Programs
2017-08-00
[2]
웹사이트
Amundsen-Scott South Pole Station
https://www.nsf.gov/[...]
National Science Foundation
2016-07-11
[3]
웹사이트
Amundsen-Scott South Pole Station Hydroponic Greenhouse
https://nsf.gov/news[...]
National Science Foundation
2022-05-31
[4]
서적
90° South
https://archive.org/[...]
G.P. Putnam's Sons
1959-00-00
[5]
웹사이트
Edmund Hillary in Antarctica
http://www.nzhistory[...]
New Zealand Ministry for Culture and Heritage
2016-03-31
[6]
보고서
Remediation of Old South Pole Station, Phase I: Ground-Penetrating-Radar Surveys
http://acwc.sdp.sirs[...]
U.S. Army Engineer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2015-07-00
[7]
웹사이트
South Pole's first building blown up after 53 years
http://www.mnn.com/e[...]
2011-03-31
[8]
웹사이트
South Pole's First Building Blown Up After 53 Years
https://www.livescie[...]
2011-00-00
[9]
웹사이트
Keck Array Overview
http://www.cfa.harva[...]
National Science Foundation
2014-07-28
[10]
웹사이트
News about Antarctica - Deconstruction of the Dome (page 2)
http://antarcticsun.[...]
United States Antarctic Program
2017-08-03
[11]
웹사이트
News about Antarctica - Deconstruction of the Dome (page 1)
https://antarcticsun[...]
United States Antarctic Program
2017-08-03
[12]
웹사이트
FY 2008 NSF Budget Request to Congress
https://www.nsf.gov/[...]
2009-11-08
[13]
웹사이트
A New Era
http://antarcticsun.[...]
United States Antarctic Program
2009-05-01
[14]
웹사이트
National Science Foundation
https://www.nsf.gov/[...]
2021-09-12
[15]
에피소드
Sub-Zero Tech
2005-02-23
[16]
웹사이트
Initial Environmental Evaluation Development of Blue-Ice and Compacted-Snow Runways in support of the U.S. Antarctic Program
https://www.nsf.gov/[...]
1993-04-09
[17]
웹사이트
South Pole enters winter with crew of 44 people
http://antarcticsun.[...]
United States Antarctic Program
2013-03-08
[18]
웹사이트
South Pole - News
http://www.southpole[...]
2009-11-08
[19]
학술지
South Pole TDRSS Relay (SPTR)
http://msp.gsfc.nasa[...]
2000-09-01
[20]
웹사이트
CARA Science: Overview
http://astro.uchicag[...]
[21]
학술지
Anisotropy in the Cosmic Microwave Background at Degree Angular Scales: Python V Results
1999-07-01
[22]
웹사이트
Arcminute Cosmology Bolometer Array Receiver: Instrument Description
http://cosmology.ber[...]
[23]
학술지
Measurement of polarization with the Degree Angular Scale Interferometer
2002-12-00
[24]
학술지
First Season QUaD CMB Temperature and Polarization Power Spectra
2008-02-10
[25]
학술지
Improved Measurements of the Temperature and Polarization of the Cosmic Microwave Background From QUaD
2009-11-01
[26]
학술지
Dusting for the fingerprint of inflation with BICEP3
http://www.symmetrym[...]
Fermilab/SLAC
2016-05-16
[27]
서적
Millimeter and Submillimeter Detectors for Astronomy II
2004-10-00
[28]
웹사이트
Amanda's First Six Years
http://phys.org/news[...]
[29]
웹사이트
IceCube South Pole Neutrino Observatory
http://icecube.wisc.[...]
[30]
웹사이트
South Pole, Antarctica
http://www.weatherba[...]
[31]
웹사이트
Weather and Climate – The Climate of Amundsen–Scott
http://www.pogodaikl[...]
[32]
웹사이트
Météo Climat
http://meteo-climat-[...]
[33]
웹사이트
Météo Climat
http://meteo-climat-[...]
[34]
웹사이트
Klimatafel von Amundsen-Scott / Südpol-Station (USA) / Antarktis
http://www.dwd.de/DW[...]
Deutscher Wetterdienst
[35]
웹사이트
Amundsen–Scott Climate Normals 1961−1990
ftp://ftp.atdd.noaa.[...]
[36]
웹사이트
Day 141: To the South Pole
http://palinstravels[...]
2017-08-03
[37]
웹사이트
Michael Palin reaches the South Pole
https://www.youtube.[...]
2007-09-20
[38]
웹사이트
Live From Antarctica
http://passporttokno[...]
2010-10-04
[39]
웹사이트
Tech Crew at the South Pole Interactive TV Broadcast
http://www.falxa.net[...]
Falxa.net
2009-11-08
[40]
논문
In Memoriam
http://cfa-www.harva[...]
Harvard-Smithsonian Center for Astrophysics
2000-07-00
[41]
웹사이트
Memorial
http://www.southpole[...]
2006-12-19
[42]
보도자료
Antarctic Researcher Dies
https://www.nsf.gov/[...]
National Science Foundation Office of Legislative and Public Affairs
2000-05-12
[43]
웹사이트
Australian scientist dies during Pole winter
http://antarcticsun.[...]
United States Antarctic Program
2000-10-22
[44]
뉴스
New Zealand Probes What May Be First South Pole Murder
https://www.telegrap[...]
2006-12-14
[45]
뉴스
Death of Australian astrophysicist an Antarctic whodunnit
http://news.monsters[...]
2006-12-14
[46]
잡지
A Mysterious Death at the South Pole
http://www.mensjourn[...]
2009-12-00
[47]
뉴스
Bad weather hampers search for 3 Canadians on plane missing in Antarctica
https://globalnews.c[...]
2013-01-23
[48]
뉴스
Kenn Borek plane carrying three Canadians missing in Antarctica
http://calgary.ctvne[...]
2013-01-23
[49]
웹사이트
The Rescue of Dr. Ron Shemenski from the South Pole
http://www.stargate4[...]
2001-04-00
[50]
뉴스
Doctor rescued from Antarctica safely in Chile
http://www.nzherald.[...]
2001-04-27
[51]
뉴스
Plane With Dr. Shemenski Arrives in Chile
http://edition.cnn.c[...]
2001-04-26
[52]
웹사이트
Patrushev lands at South Pole during Antarctic expedition
http://www.interfax.[...]
[53]
웹사이트
Two Russian helicopters land at the South Pole
http://www.timesruss[...]
2007-01-09
[54]
웹사이트
Man-Made: The South Pole Project
http://channel.natio[...]
[55]
웹사이트
Today's world traveler ready to come back
https://www.today.co[...]
2007-11-09
[56]
뉴스
Antarctic base staff evacuated after Christmas brawl
https://www.theguard[...]
2007-12-27
[57]
뉴스
Pilot describes Antarctica wx challenges
http://www.weather.c[...]
[58]
뉴스
Worker at South Pole Station Pushes for a Rescue After a Stroke
https://www.nytimes.[...]
2011-10-07
[59]
뉴스
Evacuation is denied for South Pole stroke victim
http://www.msnbc.msn[...]
2011-10-07
[60]
뉴스
Raytheon worker stuck in South Pole is coming home
http://news.bostonhe[...]
[61]
뉴스
South Pole: Stroke Victim Waits for Plane Flight
https://abcnews.go.c[...]
2011-10-11
[62]
웹사이트
Sick American engineer flies out of South Pole
https://www.nbcnews.[...]
2011-10-17
[63]
뉴스
South Pole stroke victim recovering at Johns Hopkins
https://www.baltimor[...]
2011-10-28
[64]
뉴스
Detection of Waves in Space Buttresses Landmark Theory of Big Bang
https://www.nytimes.[...]
2014-03-17
[65]
웹사이트
The Nature of Reality: The B-Mode Story You Haven't Heard
https://www.pbs.org/[...]
2015-10-28
[66]
보도자료
Antarctic medical evacuation planes reach British station at Rothera
https://www.nsf.gov/[...]
National Science Foundation
2016-06-20
[67]
뉴스
News
http://www.southpole[...]
2016-07-00
[68]
뉴스
Rescue Flight Lands at South Pole to Evacuate Sick Worker
https://www.nytimes.[...]
2016-06-22
[69]
웹사이트
Summer's Almost Gone
https://antarcticsun[...]
United States Antarctic Program
2017-02-23
[70]
서적
One Day, One Night: Portraits of the South Pole.
Createspace.
2017
[71]
웹사이트
2016 NEW YORK BOOK FESTIVAL WINNERS
https://web.archive.[...]
2018-03-04
[72]
웹사이트
Winners and Finalists 2017
https://web.archive.[...]
2018-03-04
[73]
뉴스
Explore Life at the South Pole in One Day, One Night: Portraits of the South Pole
https://parade.com/6[...]
2018-01-24
[74]
뉴스
Here They Are, Science's 10 Most Beautiful Experiments
https://www.nytimes.[...]
2002-09-24
[75]
서적
Seven Tales of the Pendulum
Oxford University Press
[76]
웹사이트
What time zone is used in Antarctica?
https://antarctica.c[...]
2023-01-14
[77]
웹사이트
Time Zones Currently Being Used in Antarctica
https://www.timeandd[...]
[78]
웹사이트
Which Country Has the Most Time Zones?
https://www.geograph[...]
2023-03-29
[79]
웹사이트
Weather and Climate – The Climate of Amundsen–Scott
http://www.pogodaikl[...]
2017-04-05
[80]
웹사이트
Klimatafel von Amundsen-Scott / Südpol-Station (USA) / Antarktis
http://www.dwd.de/DW[...]
Deutscher Wetterdienst
2017-04-05
[81]
웹사이트
Amundsen–Scott Climate Normals 1961−1990
ftp://ftp.atdd.noaa.[...]
2017-04-05
[82]
간행물
極地研NEWS №166
http://www.nipr.ac.j[...]
国立極地研究所
2003-05
[83]
간행물
STEL Newsletter №49 / 南極点への旅
http://www.stelab.na[...]
名古屋大学 太陽地球環境研究所
2008-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