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영운수 (경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영운수는 1980년 부강교통으로 설립되어 1999년 신보영이 경영을 맡으면서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된 경기도의 버스 운송 업체이다. 1990년대 군포영업소 개설 이후 직행좌석버스 운행을 시작했으나 경영난으로 삼영운수에 경영권이 양도되기도 했다. 현재 창박골, 충훈부, 군포공영차고지, 부곡버스공영차고지, 광명시에 영업소를 두고 있으며, 도시형버스, 직행좌석버스, 경기도 공공버스 등 다양한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 2024년 8월에는 일부 노선의 변경 및 연장이 예정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삼영운수 계열사 - 덕장운수
덕장운수는 삼영운수 계열사로 안양, 의왕, 군포 지역에서 11번, 12번, 13번, 14번 시내버스 노선을 운영하며 지역 주민의 교통 편의를 제공하는 운수업체이다. - 삼영운수 계열사 - 편안운수
편안운수는 2007년 삼영운수에서 분사되어 설립된 안양시 마을버스 회사로, 현재 6개의 노선을 운영하며 자일대우 NEW BS090, 현대 뉴 카운티, 현대 그린시티, BYD eBus-9 차량을 보유하고 있다. - 만안구 - 경인교육대학교
경인교육대학교는 1946년 개성사범학교로 설립되어 초등교원 양성을 목적으로 14개의 세분화된 전공을 운영하며, 교육전문대학원을 통해 석사 및 박사 과정을 제공하고 부설 기관 및 국제 교류를 활발히 진행한다. - 만안구 - 안양대학교
안양대학교는 1948년 설립된 기독교 정신의 사립 종합대학교로, 안양시 이전 후 종합대학으로 발전하여 현재 다양한 학부 및 대학원 과정과 국제 교류를 운영하며 인성교육과 창의융합 인재 양성에 힘쓰고, 정부 재정지원 제한 이후 자율개선대학으로 선정되어 재도약하고 있다. - 1980년 설립된 교통 기업 - 한국공항공사
한국공항공사는 대한민국의 공항 시설을 관리·운영하는 공기업으로, 인천국제공항공사가 관리하는 인천국제공항을 제외한 대한민국의 모든 공항을 관리 및 운영한다. - 1980년 설립된 교통 기업 - 함양지리산고속
함양지리산고속은 경상남도 함양군을 중심으로 농어촌버스와 시외버스를 운행하는 운수 업체로, 1980년 함양교통으로 설립되어 2001년 현재의 상호로 변경되었으며, 2018년 기준 28개의 시외버스 노선을 운행하고 있고, 백무동에서 출발하여 동서울, 서울남부 등으로 향하는 노선이 주요 노선이다.
보영운수 (경기)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보영운수 주식회사 |
원어 | Boyoung Trans. Co. |
산업 | 운수업 |
창립 | 1980년 1월 9일 |
국가 | 대한민국 |
장소 |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일직로 119 (석수동) |
사업 지역 | 석수영업소: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석수로 220 (석수동) 안양영업소 및 본점: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창박로 46 (안양동) 군포영업소: 경기도 군포시 번영로 179-46 (군포동) 부곡영업소: 경기도 군포시 송부로 153 (부곡동) |
대표 이사 | 신보영 |
재무 정보 | |
자본금 (2020.12) | 1,938,000,000원 |
매출액 (2020) | 30,004,451,511원 |
영업 이익 (2020) | -9,533,725,107원 |
순이익 (2020) | -5,504,277,892원 |
자산 총액 (2020.12) | 12,170,027,554원 |
주주 정보 | |
주주 | 신보영: 24.00% 신헌석: 11.50% 김재문: 10.25% 김동재: 10.00% 신민수: 8.00% 기타: 36.25% |
기타 정보 | |
모기업 | 해당 사항 없음 |
계열사 | 삼영운수 편안운수 덕장운수 |
종업원 (2020.12) | 511명 |
웹사이트 | 삼영보영운수 |
제품 | 시내버스 |
2. 역사
1980년 1월 9일 삼영운수로부터 10번 단위 노선[2]의 노선권과 차량을 양수받아 '''부강교통'''(富剛交通)으로 설립되었다. 1994년에는 군포시 수리동 1152번지에 군포영업소를 개설하였다.
1999년 직행좌석버스 1917번을 신설하였으나, 경영난으로 인해 모회사였던 삼영운수에 경영권을 양도하였다. 당시 삼영운수 대표였던 신관선의 아들 신보영이 경영을 맡으면서, 자신의 이름을 딴 보영운수(寶永運輸)로 사명을 변경하였다.[3]
2000년 하반기, 직행좌석버스 1917번의 경로를 국도 제47호선 ↔ 과천우면산도시고속화도로 ↔ 양재역 경유로 변경하였다. 2001년 7월에는 도시형버스 15-5번 (박달동 - 산본 4단지)을 신설하였으나 곧 폐선하였다. 2002년 1월, 군포영업소를 군포시 수리동 1152번지[4]에서 부곡동 752번지 군포공영차고지로 이전하였고, 같은 해 9월에는 서울특별시 소속의 대원여객과 공동으로 직행좌석버스 3030번을 신설하여 운행하였다.
2004년 2월, 3030번과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직행좌석버스 1917번을 도시형버스 917번으로 형간 전환하고 노선을 과천우면산도시고속화도로 경유에서 과천시내 경유로 재변경하였다. 2006년 2월에는 적자 노선 정리 명분으로 도시형버스 11-6번과 16-1번 노선을 폐선하였다.
2009년 5월, 도시형버스 11-7번을 신설하였고, 10월에는 도시형버스 87번을, 11월에는 도시형버스 15-1번을 개통하였다. 2012년 11월 1일에는 계열사인 삼영운수로부터 도시형버스 22번을 양도받았다. 2015년 3월 1일, 11-7번 노선 일부 구간을 변경함과 동시에 노선번호를 17번으로 변경하였고, 5월 2일에는 11-1번 버스의 노선 일부(연현마을~비산사거리 이마트)가 (충훈부 - 안양대교 - 관악역 - 비산사거리 이마트) 로 변경되었고, 이전 부분은 도시형버스 80번과 부분 교환하였다. 같은 해 6월 20일, 도시형버스 17번 버스의 노선번호를 서초마을버스 17번과의 중복현상 방지를 위해 도시형버스 19번으로 변경하였다. 같은 해 7월, 군포영업소 소속 도시형버스 22번을 군포부곡공영차고지로 이관하면서 군포부곡영업소를 개설하였다.
2018년 5월 3일, 도시형버스 55번을 개통하였고,[5] 2019년 1월 24일 직행좌석버스 3030번 노선 일부를 변경하였다. 같은 해 7월 1일, 도시형버스 11-1번 노선을 폐선하였다. 2020년 11월 2일 경기도 공공버스 G9633번 (광명역 - 서초구청 - 양재역)을 개통하고, 12월 31일 계열사인 삼영운수로부터 광역급행버스 M5333번 출신차량 1대를 인수받아 경기도 공공버스 G9633번에 증차시켰다.
2021년 1월, 계열사인 삼영운수로부터 광역급행버스 M5333번 출신차량 8대를 추가 인수받아 직행좌석버스 3030번에 투입하였고, 12월 창박골영업소에 전기버스 충전소를 설치하였다. 2022년 8월 9일, 계열사인 삼영운수로부터 도시형버스 83번을 인수하였다. 2024년 8월에는 55번, 917번 노선이 변경 및 연장될 예정이다.
2. 1. 설립 초기 (1980년대 ~ 1990년대)
1980년 1월 9일 삼영운수로부터 10번 단위 노선의 노선권과 차량을 양수받아 '''부강교통'''(富剛交通)으로 설립되었다.[2] 1994년에는 군포시 수리동 1152번지에 군포영업소를 개설하였다.1999년 직행좌석버스 1917번을 신설하였으나, 경영난으로 인해 모회사였던 삼영운수에 경영권을 양도하였다. 당시 삼영운수 대표였던 신관선의 아들 신보영이 경영을 맡으면서, 자신의 이름을 딴 보영운수(寶永運輸)로 사명을 변경하였다.[3]
2. 2. 성장 및 변화 (2000년대 ~ 현재)
1999년 경영난으로 모회사였던 삼영운수에 경영권이 넘어가면서, 신관선 대표의 아들 신보영이 경영을 맡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하였다.[3]2000년 하반기, 직행좌석버스 1917번의 경로를 변경하였다. 2001년 7월에는 도시형버스 15-5번을 신설하였으나 곧 폐선하였다. 2002년 1월, 군포영업소를 부곡동 752번지 군포공영차고지로 이전하였고, 9월에는 대원여객과 공동으로 직행좌석버스 3030번을 신설하여 운행하였다.
2004년 2월, 3030번과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직행좌석버스 1917번을 도시형버스 917번으로 형간 전환하고 노선을 변경하였다. 2006년 2월에는 적자 노선 정리로 11-6번과 16-1번 노선을 폐선하였다.
2009년 5월, 도시형버스 11-7번을 신설하였고, 10월에는 도시형버스 87번을, 11월에는 도시형버스 15-1번을 개통하였다. 2012년 11월 1일에는 삼영운수로부터 도시형버스 22번을 양도받았다.[2] 2015년 3월 1일, 11-7번 노선을 변경하며 번호를 17번으로 변경하였고, 5월 2일에는 11-1번 노선을 변경하며 80번과 일부 구간을 교환하였다. 6월 20일, 17번 버스 노선번호를 19번으로 변경하였다. 7월, 군포영업소 소속 22번을 군포부곡공영차고지로 이관하며 군포부곡영업소를 개설하였다.
2018년 5월 3일, 도시형버스 55번을 개통하였고,[5] 2019년 1월 24일 직행좌석버스 3030번 노선을 변경하였다. 같은 해 7월 1일, 도시형버스 11-1번 노선을 폐선하였다. 2020년 11월 2일 경기도 공공버스 G9633번을 개통하고, 12월 31일 광역급행버스 M5333번 출신 차량 1대를 인수받아 증차하였다.
2021년 1월, M5333번 출신 차량 8대를 추가 인수하여 3030번에 투입하였고, 12월 창박골영업소에 전기버스 충전소를 설치하였다. 2022년 8월 9일, 삼영운수로부터 도시형버스 83번을 인수하였다. 2024년 8월에는 55번, 917번 노선이 변경 및 연장될 예정이다.
3. 운행 노선
3. 1. 창박골영업소
- 10번: 창박골 - 안양중앙시장 - 래미안 메가트리아 - 범계역 - 호계사거리 - 의왕시청 (2020년 11월 7일 노선 변경)
- 11-3번: 창박골 - 안양중앙시장 - 관양동 - 인덕원역 - 정부과천청사역 - 선바위역 - 서초아파트 - 양재시민의숲역 - 양재역 - 매봉역 - 도곡역 - 대치역 - 삼성역 - 종합운동장역
- 15번: 창박골 - 새마을 - 안양중앙시장 - 만안구청 - 명학역 - 금정역 - 군포문화예술회관 - 산본8단지[7]
- 15-1번: 효성아파트 - 율목사회복지관 - 새마을 - 성원A - 안양1번가 - 안양역
- 15-2번: 창박골 - 새마을 - 안양중앙시장 - 만안구청 - 명학역 - 금정역 - 산본역 - 한세대학교 - 롯데케미칼 - 의왕시청[7]
- 52번: 창박골 - 프라자아파트- 삼덕공원 - 안양역 - 안양1번가 - 비산사거리 - 삼호아파트 - 부림중학교 - 평촌역 - 평촌학원가 - 평촌공업고등학교 - 가구단지 - 시티병원 - 고천.의왕시청 - 의왕보건소.의왕경찰서 (2009년 4월 22일 신설, 2024년 4월 16일 삼영운수에서 이관)
3. 2. 충훈부영업소
삼영운수에서 양도받은 83번 버스는 숲속마을3.5단지를 출발하여 인덕원역, 동일테크노타운, 평촌역, 안양시청, 동안구청, 비산사거리.이마트, 안양1번가.안양고용센터, 안양역, 박달사거리.박달1동행정복지센터, 박달초교.안양고교, 충훈2교, 충훈고교, 석수시장을 거쳐 관악역과 석수역까지 운행한다.3. 3. 군포공영차고지
보영운수는 군포공영차고지에 있으며, 군포공영차고지 이전에는 수리동 1152번지(현 군포중앙도서관)에 영업소가 있었다.- 11-2번: 군포공영차고지 - 수리산역 - 산본역 - 금정역 - 만안구청 - 서안양우체국 - 비산사거리 - 인덕원역 - 정부과천청사역 - 사당역 - 이수역 - 경문고등학교 - 갯마을앞
- 11-5번: 군포공영차고지 - 수리산역 - 군포문화예술회관 - 금정역 - 호계사거리 - 범계역 - 관양중학교 - 인덕원역 - 정부과천청사 - 사당역 - 이수역 - 경문고등학교 - 갯마을앞
- 917번: 군포공영차고지 - 수리산역 - 군포문화예술회관 - 금정역 - 호계도서관 - 범계역 - 관양중학교 - 인덕원역 - 정부과천청사역 - 선바위역 - 식유촌우면성당 - 양재시민의숲역 - 양재역 - 뱅뱅사거리 - 강남역 - 신논현역 - 논현역 - 신사역 (2024년 8월 22일부로 노선 구간 변경)
- 3030번(직행좌석버스): 군포공영차고지- 수리산역 - 군포시청 - 금정역 - 범계역 - 인덕원역 - 정부과천청사역 - 선바위역 - 양재시민의숲역 - 양재역 - 강남역 - 신논현역 - 논현역 - 신사역 (2019년 1월 24일 노선 변경, 2021년 8월 1일 경기도 공공버스로 전환되며 군포시 면허로 변경됨)
3. 4. 부곡버스공영차고지
2015년 7월 부곡동버스공영차고지의 개장으로 22번이 군포버스공영차고지를 떠나 부곡동 차고지를 이용하게 되었다.- 22번: 금강1단지 - 부곡공영차고지 - 부곡지구 - 삼성마을(당동2지구) - 용호고등학교 - 한세대학교 - 경기외국어고등학교 - 호계사거리 - 향촌마을 - 평촌역 - 인덕원역 - 덕장초등학교 <이 노선은 삼영운수에서 양도받은 노선이다.>
- 55번: 금강1단지 - 부곡공영차고지 - 부곡지구 - 군포공영차고지 - 군포국민체육센터 - 용호고교 - 군포역 - 금정역 - 명학초교 - 명학대교 - 범계역 (2020년 7월 1일 노선 단축, 2024년 8월 23일 노선 구간 변경 및 연장)
3. 5. 본사 (광명시)
보영운수 G9633번(직행좌석)은 광명시 면허의 경기도 공공버스로, 2020년 11월 2일에 개통되었다. 이 노선은 석수동버스공영차고지에서 출발하여 광명역, 서초구청을 거쳐 양재역까지 운행한다.4. 폐선 노선
- 10-3번 (창박골영업소): 창박골 - 명학역 - 평촌단지를 운행하였다.
- 10-6번 (창박골영업소): 창박골 - 덕천마을 - 평촌단지를 운행하였다.
- 11번: 연현마을 - 안양일번가 - 인덕원 - 과천 - 양재역 - 종합운동장역을 운행하였으며 1997년 8월에 폐선되었다.
- 11-1번: 충훈부 - 석수 I park - 관악역 - 안양1번가 - 비산사거리 - 안양종합운동장 - 인덕원역 - 정부과천청사역 - 사당역 - 이수역 - 경문고등학교 - 갯마을앞을 운행하였으며 2019년 7월 1일에 폐선되었다.
- 11-4번: 평촌 - 인덕원역 - 과천 - 송동마을입구 - 양재역 - 삼성역 - 종합운동장역을 운행하였다.
- 11-6번 (군포영업소): 군포공영차고지 - 산본1·2단지 - 흥안대로 - 인덕원역 - 과천 - 송동마을입구 - 양재역 - 삼성역 - 종합운동장역을 운행하였으며 2006년 2월 21일에 폐선되었다.[8]
- 11-7번 (군포영업소): 과천 환경사업소 - 선바위역 - 경마공원 후문 - 주암동 - 양재동화물터미널 - 양재시민의숲역 - 양재역을 운행하였다. 안양시 구간은 영업운행 하지 않았으며, 2015년 3월 1일 일부구간 변경과 동시에 17번으로 노선번호가 변경되었다.
- 12번: 연현마을 - 안양일번가 - 호계동 - 인덕원 - 청계를 운행하였으며 1997년 8월에 폐선되었다.
- 12-1번 (창박골영업소): 창박골 - 안양일번가 - 비산사거리 - 인덕원 - 청계를 운행하였다.
- 13번 (창박골영업소): 창박골 - 안양일번가 - 성결대 - 호계도서관 - 인덕원 - 청계를 운행하였다.
- 구 15-1번: 관악역 - 안양유원지입구 - 안양일번가 - 금정역 - 시민회관 - 산본8단지를 운행하였다.
- 15-5번: 박달동 - 안양일번가 - 군포문예회관 - 군포공영차고지를 운행하였다.
- 16번: 호계사거리 - 성결대 - 안양일번가 - 연현마을을 운행하였다.
- 16-1번 (1990년대): 1997년 8월에 폐선되었다.
- 16-1번 (본사영업소): 연현마을 - 안양일번가 - 비산대교 - 비산사거리 - 동안구청 - 범계역 - 백영고 - 농수산물시장 - 갈뫼지구를 운행하였으며 2006년 2월 20일에 폐지되었다.
- 구 17번 (군포영업소): 산본 8단지 - 10단지 - 군포시청 - 군포중 - 금정동주민센터 - 11단지 - 시청 - 산본역 - 산본 1,2,3단지를 운행하였다. 훗날 17번과는 별개 노선이다.[9]
- 17번 (군포영업소): 과천시 환경사업소 - 양재역을 운행하였다. 19번과 노선이 동일하며, 2015년 6월 20일 19번으로 번호가 변경되었다. 구 11-7번이며, 안양시 구간은 영업운행 하지 않았다.
- 구 19번 (본사영업소): 연현마을 - 성결대 - 호계동 - 인덕원 - 연현마을을 반시계방향으로 운행하였다.
- 19번: 과천시 환경사업소 - 선바위역 - 우면2지구 - 양재역(서초구청)을 운행하였다. 구 11-7번, 17번이며, 안양시 구간은 운행하지 않았다. 2018년 11월 27일에 폐선되었다.
- 19-1번 (본사영업소): 연현마을 - 인덕원 - 호계동 - 성결대 - 연현마을을 시계방향으로 운행하였다.
- 20번: 삼막사입구 - 농수산물도매시장을 1997년 8월부터 1998년 4월까지 운행하였다.[10][11]
- 21번: 관악역 - 고천을 1997년 8월부터 1998년 4월까지 운행하였다.[10][11]
- 22번: 충훈부 - 만안구청 - 범계역 - 안양시청 - 농수산물도매시장을 1997년 8월에 신설하였다.[10]
- 23번: 창박골 - 만안구청 - 범계역 - 안양농수산물도매시장을 1997년 8월에 신설하였다.[10]
- 111번 (창박골영업소): 창박골 - 안양일번가 - 명학역 - 평촌을 운행하였다.
- 115번 (창박골영업소): 창박골 - 안양일번가 - 시흥 - 독산동 - 신대방역을 운행하였다.
- 303번 (본사영업소): 안양역 ↔ 오리역을 운행하였다.[12]
- 913번 (창박골영업소): 창박골 - 종합운동장역을 운행하였다.[13]
- 914번 (본사영업소): 안양역 ↔ 수서역을 운행하였다.
- 916번 (군포영업소): 산본 - 경문고등학교를 운행하였다. 초창기에는 평촌단지 - 경문고를 운행하였다.
- 1917번 (군포영업소): 군포공영차고지 - 종합운동장역을 운행하였다.[14]
5. 특이사항
직행좌석버스 3030번의 막차가 새벽 1시 00분에 군포공영차고지에서 출발한다.
6. 보유 차종
보영운수는 자일대우 BS090 뉴 로얄미디, 현대 카운티, 현대 그린시티,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현대 블루시티, 현대 일렉시티, 현대 유니시티, 현대 유니버스 스페이스 엘레강스, 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스페이스 럭셔리, 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프라임, BLK 일레누스 등의 차종을 보유하고 있다.
참조
[1]
문서
상법 상 본점 주소
[2]
문서
당시 10번, 11번, 15번, 16번 계열 운행
[3]
문서
서울특별시 소속의 서울 보영운수는 한자로 '寶榮運輸'라 표기하며, 이 회사와는 전혀 별개다.
[4]
문서
해당부지는 군포영업소가 군포공영차고지로 이전된 이후 한 때 자전거 운전면허시험장이 있었으나 2005년 1월 28일 군포중앙도서관 착공으로 용전사 근처로 이전하였다. 그리고 군포영업소 옛 차고지는 2008년 4월 29일 군포중앙도서관이 개관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5]
뉴스
55번 버스 운행(송정지구 및 부곡지구) 개시 안내
http://www.gunpo.go.[...]
군포시청 대중교통과
2018-05-03
[6]
간행물
버스 등록 현황
https://www.gg.go.kr[...]
경기도청
2022-03-22
[7]
문서
실질적인 관리는 군포공영차고지에서 한다.
[8]
뉴스
보영운수 11-6번 시내버스 폐선 안내
http://www.gunpo.go.[...]
군포시청 교통행정과
[9]
뉴스
산본 교통難 해소 전망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94-05-26
[10]
뉴스
안양 버스노선 개편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97-08-10
[11]
뉴스
안양~신도시 노선 대폭 확충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98-04-08
[12]
문서
이 노선은 구 경기교통, 계열사인 삼영운수 등과 공동 배차를 했다. 훗날 대원버스(현재 경기고속에서 운행 중)만 운행하며 도시형버스로 형간 전환한 노선이다.
[13]
문서
도시형버스 11-3번과 유사한 노선
[14]
문서
우면산로 경유, 이후 도시형버스 917번으로 형간 전환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