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바위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선바위역은 1994년 과천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한 역으로, 서울특별시 서초구와 과천시 경계에 위치한 지하철역이다. 역명은 인근 양재천의 큰 바위를 순우리말로 풀이한 '선바위'에서 유래했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출구는 6개이다. 2008년 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으며, 2014년 무배치간이역이 되었다. 인근에 과천동행정복지센터, 서울경마공원 등이 위치하며, 다양한 버스 노선과 환승이 가능하다. 선바위역과 남태령역 사이에는 입체 교차 터널과 교류-직류 절연 구간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과천시의 전철역 - 과천역
과천역은 1994년 과천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 상대식 승강장과 7개의 출구를 갖춘 지하철역으로 과천시 주거 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대공원역과 정부과천청사역과 인접해 있다. - 과천시의 전철역 - 대공원역 (과천)
대공원역은 1994년 과천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과 6개의 출구를 갖추고 서울대공원, 서울랜드, 국립현대미술관, 국립과천과학관 등의 시설이 인접해 있다. - 수도권 전철 4호선의 역 - 삼각지역
삼각지역은 서울 지하철 4호선과 6호선이 환승하는 지하철역이며, 1985년 4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2000년 6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역명은 삼각지 고가도로에서 유래하고 "베호 만남의 광장"이 있으며, 국방부, 전쟁기념관 등 주요 국가기관과 시설들이 위치해 있다. - 수도권 전철 4호선의 역 - 신용산역
신용산역은 1985년 4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용산역 인근에 위치한 지하철역이다. - 1994년 개업한 철도역 - 과천역
과천역은 1994년 과천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 상대식 승강장과 7개의 출구를 갖춘 지하철역으로 과천시 주거 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대공원역과 정부과천청사역과 인접해 있다. - 1994년 개업한 철도역 - 도원역
도원역은 인천광역시 동구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 지상역으로, 1994년 개통되었으며, 주변에 교육, 체육 시설과 편의시설이 위치해 있고, 완행 열차는 모든 승강장에, 급행 및 특급 열차는 일부 승강장에 정차한다.
선바위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역 정보 | |
![]() | |
주소 | 경기도 과천시 과천동 351-7 |
좌표 | 좌표 정보 없음 (Google Maps 사용)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 |
노선 | 과천선 |
승강장 | 2면 2선 |
구조 | 지하역 |
개업일 | 1994년 4월 1일 |
역 번호 | 435 |
한국어 역명 | |
로마자 표기 | Seonbawi-yeok |
한자 표기 | 선바위驛 |
인접한 역 | |
과천선 | 이전 역: 남태령역 다음 역: 경마공원역 |
상세 정보 | |
역 등급 | 3급 |
노선 거리 | 금정역 기점: 12.4 km 당고개역 기점: 33.1 km |
승차 인원 (2018년) | 9,357명 |
![]() |
2. 역사
1994년 4월 1일 과천선 개통과 함께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고,[4] 2004년 12월 10일 철도승차권 단말기가 철거되었다.[4] 이후 배치간이역을 거쳐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다.
2. 1. 연혁
3. 역명 유래
선바위는 인근 하천(양재천)에 있는 큰 바위가 우람하게 서 있다는 '선암'이라는 지명을 순우리말로 풀이한 것이다. 원래 선암역(仙岩驛)으로 개통할 예정이었으나, 울산광역시에 있는 한국철도공사 관할의 동해선 선암역(현 개운포역)이 이미 존재했기 때문에 선바위역으로 개통되었다.[1]
4. 역 구조
선바위역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출구는 6개이고, 반대편 승강장으로 횡단할 수 없다.
층 | 구조 | |
---|---|---|
G | 지상층 | 출구 |
L1 | 대합실 | 로비, 고객 서비스, 상점, 자동판매기,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 |
L2 | 승강장 | 상대식 승강장, 왼쪽 문이 열림 |
과천선의 전압은 교류 25kV이고, 서울 지하철 4호선은 직류 1500V이므로, 남태령역과의 사이에 데드 섹션이 있다.
4. 1. 승강장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을 갖춘 지하역이다.선바위역과 남태령역 사이에서 입체 교차로 좌우가 바뀌어 좌측통행이지만, 과천선의 전압은 교류 25kV이고, 서울 지하철 4호선은 직류 1500V이므로, 남태령역과의 사이에 데드 섹션이 있다.
5. 역 주변
과천동행정복지센터, 선암치안센터, 화훼집하장, 렛츠런파크서울, 선바위미술관, 서울대공원, 천지식물원, 과천동 주민센터, 과천등기소, 선암검문소, 선바위공원, 하수처리장, 자연사랑 어린이집이 주변에 있다. 우면산 남쪽에 위치하며, 개발이 많이 진행되지 않아 주택은 적다. 서울특별시와 과천시를 잇는 간선도로를 따라 음식점들이 늘어서 있다. 향후 역 서쪽에서 개발이 예정되어 있어 이용객이 증가할 전망이다.[1]
6. 환승 정보
출구 | 방향 | 구분 | 노선 |
---|---|---|---|
1번 출구 | 양재방향 | 일반 | 6, 8-1(주말), 11-3, 19, 917 |
마을 | 7-2, 서초 18 | ||
직행 | 3000, 3003, 3030, 6501, 7900 | ||
간선 | 441, 541, 542 | ||
지선 | 4435 | ||
광역 | 9100, 9200, 9201, 9300, M6405, M6410 | ||
2번 출구 | 과천방향 | 일반 | 6, 8-1(주말), 11-3, 19, 917 |
마을 | 7-2, 서초 18 | ||
직행 | 3000, 3003, 3030, 6501, 7900 | ||
간선 | 441, 541, 542 | ||
지선 | 4435 | ||
광역 | 9100, 9200, 9201, 9300, M6405, M6410 |
7. 승차량 변동
2008년 이후 광역버스와의 환승 할인이 가능해지면서 이용객이 급격히 늘어났다. 2012년에는 우면지구가 입주하여 승하차량이 계속 급증하고 있다.
역 노선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주석 |
---|---|---|---|---|---|---|---|---|---|---|---|---|---|---|---|---|---|---|---|---|---|---|---|---|
4호선 | 2424 | 2821 | 2954 | 3215 | 2646 | 2774 | 2859 | 3212 | 3718 | 4201 | 4822 | 5915 | 6738 | 7663 | 9199 | 14411 | 9022 | 8959 | 9357 | 9358 | 6883 | 6692 | 7215 | [5] |
8. 남태령역 방면 선로의 특이 사항
이 역과 남태령역 사이에는 입체 교차 터널과 교류-직류 절연 구간이 있다. 이는 남태령역이 서울 지하철 4호선과 직접 연결되어 있어 통행 방식과 전력 공급 방식을 변경해야 하기 때문이다.[1]
선바위역은 좌측통행이지만, 이 역과 남태령역 사이에서 입체 교차로 좌우 통행 방향이 바뀐다. 또한, 과천선의 전압은 교류 25kV이고, 서울교통공사 4호선은 직류 1500V이므로, 남태령역과의 사이에 데드 섹션이 있다.[1]
9. 사진
참조
[1]
웹사이트
선바위역
http://terms.naver.c[...]
Doopedia
2017-07-20
[2]
웹사이트
Seonbawi
http://dmzap1.seoulm[...]
Seoul Metro
2017-07-18
[3]
웹사이트
정보공개 공개자료실
http://info.korail.c[...]
[4]
문서
선바위역
[5]
웹인용
통계자료 - 한국철도공사
https://info.korail.[...]
2022-01-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