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보이보디나의 문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이보디나의 문장은 보이보디나 지역의 역사적 문장들을 포함하며, 1848년 세르비아 보이보디나의 문장과 현대의 문장으로 구분된다. 1699년 레오폴트 1세가 부여한 바치카의 문장, 1718년부터 1779년까지 존재했던 바나트의 문장, 1747년 마리아 테레지아가 부여한 스렘의 문장이 역사적으로 사용되었다. 1848년 세르비아 보이보디나의 문장은 세르비아 십자를 중심으로 4개의 역사적 지역 문장과 성 스테판 왕관을 포함했다. 현재 보이보디나의 문장은 바치카, 바나트, 스렘의 문장을 담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보이보디나 - 초카
    초카는 세르비아 북부 보이보디나 자치주에 위치한 도시이자 지방 자치체의 중심지로, 다양한 민족의 역사를 거쳐 현재는 헝가리인이 다수를 차지하며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 보이보디나 - 수보티차
    수보티차는 세르비아 북부에 위치한 도시로, 신석기 시대부터 다양한 문화가 번성했으며, 헝가리, 오스만 제국, 합스부르크 왕가의 지배를 거쳐 현재는 세르비아의 중요한 산업, 교통, 문화 중심지이다.
  • 사슴 문장 - 북아일랜드의 국장
    북아일랜드의 국장은 1924년에 승인되었으며, 은색 바탕에 붉은 십자가, 6각 별과 왕관, 붉은 오른손을 특징으로 하고, 현재는 역사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 사슴 문장 - 올란드 제도의 문장
    올란드 제도의 문장은 1560년 외일란드에 하사된 문장에서 비롯되었으나, 혼동을 겪어 올란드 제도만의 고유한 정체성을 확립하고자 1944년 붉은 목걸이와 뿔을 추가하여 확정되었다.
  • 미승인 국가의 국장 - 압하지야의 국장
    압하지야의 국장은 1992년 독립 선언 후 제정되었으며, 은색과 녹색 방패 안에 신화 속 말 아라쉬를 탄 기마상이 별을 향해 화살을 쏘는 모습으로 묘사되어 있다.
  • 미승인 국가의 국장 - 남오세티야의 국장
    남오세티야의 국장은 붉은색 원 안의 하얀 산봉우리와 금색 곡물 다발로 용기와 독립, 코카서스 산맥, 농업과 번영을 상징하며, 1995년에는 눈표범, 고산, 붉은 하늘을 특징으로 하는 새로운 디자인이 채택되었다.
보이보디나의 문장
문장 정보
보이보디나의 문장
보이보디나의 전통적인 문장
출처
참고 자료"Uz grb Vojvodine i trobojka srpska - Radio Free Europe, Norbert Šinković, 2016년 9월 15일"
"Pokrajinska skupštinska odluka o izgledu i korišćenju simbola i tradicionalnih simbola Autonomne pokrajine Vojvodine - Službeni liist AP Vojvodine, 51호, 2016년 9월 15일"

2. 역사

보이보디나의 문장은 18세기에 부여된 세 지역의 역사적인 문장에서 유래했다.

지역문장설명
바치카--1699년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레오폴트 1세가 부여했다. 푸른색 바탕에 녹색 풀밭 위에 성 바울이 파란 셔츠와 갈색 토가를 입고 서 있으며, 오른손에는 금색 손잡이가 달린 아래쪽을 향한 은색 칼을, 왼손에는 검은 책(성경)을 들고 있다.[6]
바나트--오스트리아의 왕관 땅이었던 테메슈바르 바나트(세르비아어: 타미슈키 바나트)의 문장에서 유래했다. 붉은색 바탕에 사브르를 든 금색 사자가 새겨져 있다.[8]
스렘--1747년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테레지아 황후가 부여했다. 파란색 바탕에 세 개의 흰색 줄무늬는 보수트 강, 사바 강, 다뉴브 강을 나타낸다.[9] 녹색 포플러나무 근처에는 사슴 한 마리가 서 있다.[9]


2. 1. 바치카

1699년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레오폴트 1세바치카의 문장을 부여했다. 푸른 바탕에 녹색 풀밭 위에 성 바울이 파란 셔츠와 갈색 토가를 입고 서 있는데, 금색 후광을 띄고 있으며 오른손에는 금색 손잡이가 달린 아래쪽을 향한 은색 칼을, 왼손에는 검은 책(성경)을 들고 있다.[6]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바치-보드로그 현은 유고슬라비아헝가리로 분할되었으며, 헝가리의 바치-키스쿤 주에서도 성 바울이 있는 문장을 사용한다.

2. 2. 바나트

테메슈바르 바나트(세르비아어: 타미슈키 바나트)의 문장에서 유래했다.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이 지역을 넘겨받은 1718년부터 1779년까지 오스트리아의 왕령으로 존재했으며, 총독은 황제에게 직접 보고했다.[7] 붉은색 바탕에 사브르를 든 금색 사자가 새겨져 있다.[8] 이 문장은 오늘날 보이보디나바나트 지역에서만 사용된다. 루마니아의 바나트 지역 문장도 부분적으로 이를 기반으로 하는데, 푸른 물결 위에 붉은색, 두 개의 아치형 구멍이 있는 다리가 있고, 여기서 오른 앞발에 사브르를 든 반사자 형태의 금색 사자가 튀어나오는 모양이다. 사자의 절반은 루마니아의 티미슈 주 문장에도 나타난다.

2. 3. 스렘

1747년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테레지아가 스렘의 문장을 부여했다.[9] 파란색 바탕에 세 개의 흰색 줄무늬는 보수트 강, 사바 강, 다뉴브 강을 나타낸다.[9] 녹색 포플러나무(토폴라) 근처에는 사슴 한 마리가 서 있다.[9] 이 나무는 역사적으로 변화했는데, 원래는 편백나무였다.[9] 현대 크로아티아 부코바르스리젬 주도 같은 문장을 사용한다.[9] 크로아티아에서는 이 지역에 풍부하고 국가적 상징이기도 한 참나무를 선호했다.[9] 세르비아에서는 포플러가 토폴라라는 지명의 유래가 될 정도로 관련이 깊다.[9]

3. 1848년 세르비아 보이보디나의 문장

1848년에 채택된 세르비아 보이보디나의 역사적인 문장은 중앙에 세르비아 십자(세르비아 국장)가 있는 형태였다.

문장의 왼쪽 위에는 스렘, 오른쪽 위에는 바나트, 왼쪽 아래에는 바치카, 오른쪽 아래에는 바라냐 등 세르비아 보이보디나의 네 역사적 지역을 상징하는 작은 문장들이 배치되었다.

처음에는 문장 꼭대기에 성 스테판 왕관(성 이슈트반 왕관)이 있었는데, 이는 세르비아인들이 헝가리 왕국 내 자치 지역인 세르비아 보이보디나를 만들고자 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세르비아인과 헝가리인 사이에 전쟁이 시작되면서 세르비아 보이보디나가 헝가리 왕국에서 완전히 분리되어 에 직접 종속되어야 한다는 쪽으로 의도가 바뀌면서 왕관은 제거되었다.

3. 1. 현대의 보이보디나 문장

2015년 3월 17일, 보이보디나 의회는 1848년의 역사적인 문장과 깃발을 병행하여 사용하는 법안에 대한 3분의 2 찬성을 얻지 못했다.[10][3] 요약에 따르면, 현재 사용되는 문장은 18세기에 부여된 세 지역(바치카, 바나트, 스렘)의 문장을 조합한 형태이다.

참조

[1] 웹사이트 Uz grb Vojvodine i trobojka srpska http://www.slobodnae[...] Radio Free Europe 2016-09-15
[2] 간행물 Покрајинска скупштинска одлука о изгледу и коришћењу симбола и традиционалних симбола Аутономне покрајине Војводине http://www.skupstina[...] 2016-09-15
[3] 웹사이트 Demokrate pogazile reč i GRB http://www.novosti.r[...]
[4] 웹인용 Uz grb Vojvodine i trobojka srpska http://www.slobodnae[...] Radio Free Europe 2016-09-15
[5] 웹인용 POKRAJINSKA SKUPŠTINSKA ODLUKA O IZGLEDU I KORIŠĆENJU SIMBOLA I TRADICIONALNIH SIMBOLA AUTONOMNE POKRAJINE VOJVODINE http://www.skupstina[...] 2016-09-15
[6] 문서 왼쪽에는 [[성경]]과 칼을 들고 있는 [[수도사]], 오른쪽에는 칼을 든 [[사자]]가 그려져 있으며 맨 아래쪽에는 세 개의 [[강]]과 [[포플러나무]], [[사슴]]이 그려져 있는 의미를 말함.
[7] 문서 사자는 왕관을 쓰지 않고 오직 사자만 소유하며, 색깔은 뒤바뀌고 아쥐레는 제외되거나 그 자리에 있다
[8] 문서 사브르는 사자 발에 있다.
[9] 문서 왕실은 토폴라라는 이름의 곳에서 유래한다.
[10] 뉴스 Demokrate-pogazile-rec-i-grb http://www.novosti.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