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음사가 요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복음사가 요한은 기독교 전통에서 사도 요한으로 여겨지며, 요한 복음서, 요한 1서, 요한 2서, 요한 3서, 요한 계시록의 저자로 추정된다. 그러나 학계에서는 이들의 저자 문제에 대해 논쟁이 있으며, 사도 요한이 아닌 다른 인물, 또는 여러 명의 저자에 의해 쓰여졌을 가능성을 제기한다. 복음사가 요한은 12월 27일에 축일로 기념되며, 예술 작품에서는 노인 또는 젊은이, 중성적이거나 여성적인 모습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2. 정체성
복음사가 요한의 정확한 정체성과 그가 사도 요한, 밧모의 요한, 장로 요한과 동일 인물인지에 대한 역사적 연관성은 기독교 전통과 학자들 사이에서 논쟁의 대상이다.[2]
2. 1. 사도 요한과의 동일시
요한 복음서는 "예수께서 사랑하신 제자"를 언급하며, 그가 복음서의 메시지를 "증언하고 기록했다"고 말한다.[3] 요한 복음서의 저자는 자신의 정체를 익명으로 유지하려는 의도를 보였지만, 공관 복음서의 관점에서 복음서를 해석하고 저자가 베드로의 이름을 언급하고 있다는 점(따라서 자신이 베드로라고 주장하지 않음)과 야고보가 기원후 44년경에 순교했다는 점을 고려할 때,[4] 기독교 전통에서는 저자가 사도 요한이라고 널리 믿고 있다. 그러나 현대 학자들은 이 작품이 위경이라고 믿고 있다.[5]
기독교 전통에 따르면 복음사가 요한은 사도 요한이었다. 요한은 베드로, 야고보와 함께 예수의 죽음 이후 예루살렘 교회의 ''세 기둥''이었다.[6] 그는 원래 열두 사도 중 한 명이었으며, 순교를 면한 유일한 사람으로 여겨진다. 그는 기원후 95년경 에게 해의 밧모 섬으로 추방되어 그곳에서 요한 계시록을 썼다고 믿어져 왔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계시록의 저자를 장로 요한이라는 다른 사람이나, 기원후 1세기 말의 다른 저자들에게 귀속시킨다.[7] 보컴은 초기 기독교인들이 복음사가 요한을 장로 요한과 동일시했다고 주장한다.[8]
2. 2. 다른 인물과의 동일시 논쟁
요한의 정확한 정체성과 그가 사도 요한, 밧모의 요한, 장로 요한과 동일 인물인지에 대한 역사적 연관성은 기독교 전통과 학자들 사이에서 논쟁의 대상이다.[2]
요한 복음서는 "예수께서 사랑하신 제자"를 언급하며, 그가 복음서의 메시지를 "증언하고 기록했다"고 말한다.[3] 요한 복음서의 저자는 자신의 정체를 내부적으로 익명으로 유지하려는 의도를 보였지만, 공관 복음서의 관점에서 복음서를 해석하고 저자가 베드로의 이름을 언급하고 있다는 점(따라서 자신이 베드로라고 주장하지 않음)과 야고보가 기원후 44년경에 순교했다는 점을 고려할 때,[4] 기독교 전통에서는 저자가 사도 요한이라고 널리 믿고 있지만, 현대 학자들은 이 작품이 위경이라고 믿고 있다.[5]
기독교 전통에 따르면 복음사가 요한은 사도 요한이었다. 요한은 베드로, 야고보와 함께 예수의 죽음 이후 예루살렘 교회의 ''세 기둥''이었다.[6] 그는 원래 열두 사도 중 한 명이었으며, 순교를 면한 유일한 사람으로 여겨진다. 그는 (기원후 95년경) 에게 해의 밧모 섬으로 추방되어 그곳에서 요한 계시록을 썼다고 믿어져 왔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계시록의 저자를 장로 요한이라는 다른 사람이나, 기원후 1세기 말의 다른 저자들에게 귀속시킨다.[7] 보컴은 초기 기독교인들이 복음사가 요한을 장로 요한과 동일시했다고 주장한다.[8]
2. 3. 현대 학계의 비판적 견해
요한 복음서는 "예수께서 사랑하신 제자"가 복음서의 메시지를 "증언하고 기록했다"고 언급한다.[3] 요한 복음서의 저자는 자신의 정체를 내부적으로 익명으로 유지하려는 의도를 보였지만, 공관 복음서의 관점에서 복음서를 해석하고 저자가 베드로의 이름을 언급하고 있다는 점(따라서 자신이 베드로라고 주장하지 않음)과 야고보가 기원후 44년경에 순교했다는 점을 고려할 때,[4] 기독교 전통에서는 저자가 사도 요한이라고 널리 믿고 있다. 그러나 현대 학자들은 이 작품이 위경이라고 믿고 있다.[5]
3. 요한계 저작물의 저자 문제
적어도 서기 2세기부터 학자들은 요한계 저작의 저자에 대해 논쟁해 왔는데, 그것들이 한 명의 저자에 의해 쓰여졌는지, 여러 명의 저자에 의해 쓰여졌는지, 그리고 그 저자들 중 누구라도 사도 요한과 동일시될 수 있는지에 대한 것이다.[9]
요한계시록은 일반적으로 밧모섬의 요한이 년에 쓴 것으로 여겨지며, 일부 부분은 60년대 초 네로 통치 시대에 쓰여졌을 가능성이 있다.[21][22][23][11][16][17][24]
3. 1. 단일 저자설과 다중 저자설
적어도 서기 2세기부터 학자들은 요한계 저작의 저자에 대해 논쟁해 왔는데, 그것들이 한 명의 저자에 의해 쓰여졌는지 여러 명의 저자에 의해 쓰여졌는지, 그리고 그 저자들 중 누구라도 사도 요한과 동일시될 수 있는지에 대한 것이다.[9]
전통적으로 그리고 설득력 있게, 복음서와 서신들은 90-110년경 에페소스에서 유래했다고 여겨지지만, 일부 학자들은 시리아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한다.[10] 동방 정교회 전통은 모든 요한계 책을 사도 요한에게 귀속시킨다.[11] 오늘날 일부 학자들은 복음서와 서신이 사도인지 여부에 관계없이 단일 저자에 의해 쓰여졌을 수 있다는 데 동의한다.
다른 학자들은 서신의 저자가 복음서의 저자와 다르다고 결론 내렸지만, 네 작품 모두 동일한 공동체에서 유래했다.[12] 6세기, Decretum Gelasianum|젤라시우스 칙령la은 요한 2서와 요한 3서가 "사제 요한"으로 알려진 별도의 저자를 가지고 있다고 주장한다.
역사 비평가인 H.P.V. Nunn,[13] 레자 아슬란[14] 및 바트 어만,[15]은 대부분의 현대 학자들과 마찬가지로 사도 요한이 이 작품들 중 어느 것도 쓰지 않았다고 믿는다.[16][17] 그러나 존 로빈슨, F. F. 브루스, 레온 모리스, 및 마틴 헹겔,[18]과 같은 일부 학자들은 사도가 적어도 문제의 일부 작품, 특히 복음서의 배후에 있다고 여전히 주장한다.[19][20]
오늘날 요한계시록은 일반적으로 밧모섬의 요한이 95년경에 쓴 것으로 여겨지며, 일부 부분은 60년대 초 네로 통치 시대에 쓰여졌을 가능성이 있다.[21][22][23][11][16][17][24]
3. 2. 역사 비평과 현대 학자들의 견해
적어도 서기 2세기부터 학자들은 요한계 저작의 저자에 대해 논쟁해 왔다. 그것들이 한 명의 저자에 의해 쓰여졌는지, 여러 명의 저자에 의해 쓰여졌는지, 그리고 그 저자들 중 누구라도 사도 요한과 동일시될 수 있는지에 대한 것이다.[9]
전통적으로 그리고 설득력 있게, 복음서와 서신들은 90-110년경 에페소스에서 유래했다고 여겨지지만, 일부 학자들은 시리아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한다.[10] 동방 정교회 전통은 모든 요한계 책을 사도 요한에게 귀속시킨다.[11] 오늘날 일부 학자들은 복음서와 서신이 사도인지 여부에 관계없이 단일 저자에 의해 쓰여졌을 수 있다는 데 동의한다.
다른 학자들은 서신의 저자가 복음서의 저자와 다르다고 결론 내렸지만, 네 작품 모두 동일한 공동체에서 유래했다.[12] 6세기, Decretum Gelasianum|젤라시우스 칙령la은 요한 2서와 요한 3서가 "사제 요한"으로 알려진 별도의 저자를 가지고 있다고 주장한다.
역사 비평가인 H.P.V. Nunn,[13] 레자 아슬란[14] 및 바트 어만,[15]은 대부분의 현대 학자들과 마찬가지로 사도 요한이 이 작품들 중 어느 것도 쓰지 않았다고 믿는다.[16][17] 그러나 존 로빈슨, F. F. 브루스, 레온 모리스, 및 마틴 헹겔,[18]과 같은 일부 학자들은 사도가 적어도 문제의 일부 작품, 특히 복음서의 배후에 있다고 여전히 주장한다.[19][20]
오늘날 요한계시록은 일반적으로 밧모섬의 요한이 95년경에 쓴 것으로 여겨지며, 일부 부분은 60년대 초 네로 통치 시대에 쓰여졌을 가능성이 있다.[21][22][23][11][16][17][24]
3. 3. 요한 계시록의 저작 시기
오늘날 요한계시록은 일반적으로 밧모섬의 요한이 95년경에 쓴 것으로 여겨지며, 일부 부분은 60년대 초 네로 통치 시대에 쓰여졌을 가능성이 있다.[21][22][23][11][16][17][24]
4. 축일
로마 가톨릭교회, 성공회, 루터교 달력에서 성 요한의 축일은 크리스마스 기간의 셋째 날이다.[25] 트리덴틴 전례력에서는 12월 27일 축일의 옥타바인 1월 3일까지 매일 기념했으나, 교황 비오 12세에 의해 1955년에 폐지되었다.[26] 전통적인 전례 색상은 흰색이다.
프리메이슨들은 18세기부터 이 축일을 기념해 왔으며, 당시 그랜드 마스터 임명에 사용되었다.[27]
5. 예술에서의 묘사
요한 행전의 전설은 중세 도상학에 많은 영향을 미쳤으며, 요한이 젊은 나이에 사도가 되었다는 생각의 근원이기도 하다.[29] 요한의 친숙한 속성 중 하나는 종종 뱀이 솟아나는 성배이다.[37] 요한 행전의 한 전설에 따르면,[38] 요한은 자신의 믿음의 힘을 증명하기 위해 독이 든 잔을 마시라는 도전을 받았고, 하나님의 도움으로 독은 무해하게 되었다.[37][39] 성배는 최후의 만찬 또는 그리스도가 요한과 야고보에게 한 말인 "내 잔은 과연 너희가 마시게 될 것이다."와 관련하여 해석될 수도 있다.[40][41] 1910년 ''가톨릭 백과사전''에 따르면, 일부 학자들은 이 상징이 13세기에 와서야 채택되었다고 믿는다.[41] 또한 요한이 어떤 시점에는 기름에 삶아졌지만 기적적으로 보존되었다는 전설도 있었다.[42] 또 다른 흔한 속성은 그의 저술과 관련하여 책이나 두루마리이다.[37] 복음사가 요한은 독수리로 상징적으로 표현되는데, 이는 에제키엘서(1:10)와[43] 요한계시록(4:7)에 묘사된 생물 중 하나이다.[44][41]
5. 1. 노인과 젊은이 묘사
요한은 전통적으로 두 가지 뚜렷한 방식으로 묘사된다. 흰색 또는 회색 수염을 가진 노인이거나, 수염 없는 젊은이로 묘사되는 것이다.[28][29] 요한을 노인으로 묘사하는 방식은 비잔틴 미술에서 더 흔했는데, 이는 소크라테스의 고대 묘사에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다.[30] 반면, 수염 없는 젊은이로 묘사하는 방식은 중세 서유럽 미술에서 더 흔했으며, 4세기 로마까지 거슬러 올라간다.[29]중세 회화, 조각, 문학 작품에서 성 요한은 종종 중성적이거나 여성적인 모습으로 묘사된다.[31] 역사가들은 이러한 묘사가 그것을 바라보는 신자들의 상황과 관련이 있다고 설명한다.[32] 예를 들어, 요한의 여성적인 특징은 그를 여성들에게 더 공감할 수 있도록 돕는 데 기여했다고 주장된다.[33] 마찬가지로, 사라 맥네이머는 요한의 중성적인 특성 때문에, 그가 '세 번째 성 또는 혼합된 성의 이미지'로서 기능할 수 있다고 주장하며,[34] 감성적 경건이라는 태도를 기르려는 남성 신자들이 '동일시해야 할 핵심 인물'로 작용한다고 말한다.[36] 감성적 경건은 중세 후기 문화에서 남성성과 양립하기 어렵다고 여겨졌던 매우 감정적인 헌신의 형태였다.
5. 2. 중성적/여성적 묘사
중세 회화, 조각, 문학 작품에서 성 요한은 종종 중성적이거나 여성적인 모습으로 묘사된다.[31] 역사가들은 이러한 묘사가 그것을 바라보는 신자들의 상황과 관련이 있다고 설명한다.[32] 예를 들어, 요한의 여성적인 특징은 그를 여성들에게 더 공감할 수 있도록 돕는 데 기여했다고 주장된다.[33] 마찬가지로, 사라 맥네이머는 요한의 중성적인 특성 때문에, 그가 '세 번째 성 또는 혼합된 성의 이미지'로서 기능할 수 있다고 주장하며, 감성적 경건이라는 태도를 기르려는 남성 신자들이 '동일시해야 할 핵심 인물'로 작용한다고 설명한다. 감성적 경건은 중세 후기 문화에서 남성성과 양립하기 어렵다고 여겨졌던 매우 감정적인 헌신의 형태였다.[34][36]5. 3. 상징과 도상
요한은 전통적으로 두 가지 뚜렷한 방식으로 묘사된다. 흰색 또는 회색 수염을 가진 노인이거나, 수염 없는 젊은이로 묘사되는 것이다.[28][29] 요한을 노인으로 묘사하는 방식은 비잔틴 미술에서 더 흔했는데, 이는 소크라테스의 고대 묘사에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다.[30] 반면, 수염 없는 젊은이로 묘사하는 방식은 중세 서유럽 미술에서 더 흔했으며, 4세기 로마까지 거슬러 올라간다.[29]중세 회화, 조각, 문학 작품에서 성 요한은 종종 중성적이거나 여성적인 모습으로 묘사된다.[31] 역사가들은 이러한 묘사가 그것을 바라보는 신자들의 상황과 관련이 있다고 설명한다.[32] 예를 들어, 요한의 여성적인 특징은 그를 여성들에게 더 공감할 수 있도록 돕는 데 기여했다고 주장된다.[33] 마찬가지로, 사라 맥네이머는 요한의 중성적인 특성 때문에, 그가 '세 번째 성 또는 혼합된 성의 이미지'로서 기능할 수 있다고 주장하며,[34] 감성적 경건이라는 태도를 기르려는 남성 신자들이 '동일시해야 할 핵심 인물'로 작용한다고 말한다.[36] 감성적 경건은 중세 후기 문화에서 남성성과 양립하기 어렵다고 여겨졌던 매우 감정적인 헌신의 형태였다.
"요한 행전"의 전설은 중세의 도상학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요한이 젊은 나이에 사도가 되었다는 생각의 근원이기도 하다.[29] 요한의 친숙한 속성 중 하나는 종종 뱀이 솟아나는 성배이다.[37] 요한 행전의 한 전설에 따르면,[38] 요한은 자신의 믿음의 힘을 증명하기 위해 독이 든 잔을 마시라는 도전을 받았고, 하나님의 도움으로 독은 무해하게 되었다.[37][39] 성배는 최후의 만찬 또는 그리스도가 요한과 야고보에게 한 말, "내 잔은 과연 너희가 마시게 될 것이다."와 관련하여 해석될 수도 있다.[40][41] 1910년 ''가톨릭 백과사전''에 따르면, 일부 학자들은 이 상징이 13세기에 와서야 채택되었다고 믿는다.[41] 또한 요한이 어떤 시점에는 기름에 삶아졌지만 기적적으로 보존되었다는 전설도 있었다.[42] 또 다른 흔한 속성은 그의 저술과 관련하여 책이나 두루마리이다.[37] 복음사가 요한은 독수리로 상징적으로 표현되는데, 이는 에제키엘서(1:10)와[43] 요한계시록(4:7)에 묘사된 생물 중 하나이다.[44][41]
6. 갤러리
참조
[1]
서적
The Explanation of the Holy Gospel According to John
Chrysostom Press
[2]
웹사이트
Evangelist Johannes
https://lib.ugent.be[...]
2020-10-02
[3]
서적
The historical Jesus: a comprehensive guide
Fortress Press
[4]
성경
Acts 12:2
[5]
서적
The historical Jesus: a comprehensive guide
Fortress Press
[6]
서적
Understanding the Bible
Mayfield
[7]
서적
In Encyclopaedia Britannica, Britannica concise encyclopedia
Britannica Digital Learning
2017
[8]
서적
The Testimony of the Beloved Disciple
https://books.google[...]
[9]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Oxford University Press
[10]
서적
Introduction to the New Testament
https://archive.org/[...]
Anchor Bible
[11]
서적
Understanding the Bible
Mayfield
[12]
문서
Ehrman, pp. 178–9.
[13]
서적
The Fourth Gospel: An Outline of the Problem and Evidence
https://biblicalstud[...]
London The Tyndale Press
1946-01-01
[14]
서적
ZEALOT: The Life and Times of Jesus of Nazareth
Random House; Illustrated Edition, New York Times Press
2013-07-16
[15]
서적
Jesus: Apocalyptic Prophet of the Millennium
http://www.bartdehrm[...]
Oxford University Press Press
2001-05
[16]
서적
Although ancient traditions attributed to the Apostle John the Fourth Gospel, the Book of Revelation, and the three Epistles of John, modern scholars believe that he wrote none of them.
Mayfield
[17]
서적
History and Heresy: How Historical Forces Can Create Doctrinal Conflicts
https://books.google[...]
Liturgical Press
2012-10-01
[18]
서적
Four Gospels and the One Gospel of Jesus Christ, 1st edition
Trinity Press International
[19]
문서
Morris, Leon (1995) The Gospel According to John
[20]
문서
Dr. Craig Blomberg, cited in Lee Strobel The Case for Christ, 1998, Chapter 2.
[21]
서적
The New Testament: A Translation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24-01-01
[22]
서적
Literary Study of the Bible: An Introduction
Wiley
2024-01-01
[23]
서적
Reading Revelation as Pastiche: Imitating the Past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24-01-01
[24]
서적
The New Testament: A Historical Introduction to the Early Christian Writings
Oxford
[25]
서적
Crossing Confessional Boundaries : The Patronage of Italian Sacred Music in Seventeenth-Century Dresden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06-04-04
[26]
문서
General Roman Calendar of Pope Pius XII
[27]
웹사이트
Today in Masonic History – Feast of St. John the Evangelist
https://www.masonryt[...]
2019-12-28
[28]
문서
Sources:
[29]
백과사전
Saint John the Apostle
https://www.britanni[...]
2017-08-04
[30]
문서
Jadranka Prolović, "Socrates and St. John the Apostle: the interchangеable similarity of their portraits"
[31]
문서
Sources:
[32]
문서
Sources:
[33]
문서
Sources:
[34]
문서
Sarah McNamer, Affective Meditation and the Invention of Medieval Compassion, (Philadelphi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10), 142.
[35]
문서
Sarah McNamer, Affective Meditation and the Invention of Medieval Compassion, (Philadelphi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10), 145.
[36]
서적
Affective Meditation and the Invention of Medieval Compassion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10
[37]
서적
John the Evangelist
Harper & Row
1979
[38]
서적
A Collection of Apocryphal Christian Literature in an English Translation Based on M.R. James
Oxford University Press
1993/2005
[39]
간행물
Graphic Versions: Did non-biblical stories about Jesus and the saints originate more in art than text?
2018-12-14
[40]
성경
[41]
웹사이트
St. John the Evangelist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1910
[42]
간행물
Graphic Versions: Did non-biblical stories about Jesus and the saints originate more in art than text?
2018-12-14
[43]
성경
[44]
성경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