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부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교는 강이나 운하를 가로지르기 위해 연결된 부유체 위에 통행로를 설치한 구조물이다. 부력의 원리를 이용하여 물에 뜨며, 임시적 또는 영구적인 설치가 가능하다. 역사적으로는 고대 페르시아, 그리스, 로마 등에서 사용되었으며, 한국에서는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에 임진강, 한강 등에 설치된 기록이 있다. 근대 이후 군사 기술의 발달과 함께 군용 부교가 개발되어 궤도차량의 이동에 기여했으며, 현재는 민간용 영구 교량으로도 활용된다. 하지만 강풍, 홍수 등 외부 요인에 의해 파손될 위험이 있으며, 과거 사고 사례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교 (교량) - 베키오 다리 (바사노델그라파)
    베키오 다리 (바사노델그라파)는 브렌타 강을 가로지르는 이탈리아 바사노 델 그라파의 다리로, 1209년 폰테베키오라는 목조 다리로 처음 건설된 후 파괴와 재건을 반복하며 안드레아 팔라디오의 설계로 재건, 전쟁과 홍수, 국가 기념물 지정 등을 거쳤다.
  • 구조 형식별 교량 - 형교
    형교는 상부 구조와 하부 구조로 구성되어 교량의 하중을 지지하고 지면으로 전달하며, 거더교는 사용 재료와 구조 형식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 구조 형식별 교량 - 라멘교
    라멘교는 주 거더와 교각을 강결하여 일체로 만든 교량 형식으로, 지진에 강하고 건설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콘크리트 교량에 주로 사용되며, 한국에서는 내진 설계 기준 강화로 경제성이 높아 문형, T형, 연속 라멘교 등 다양한 종류가 있고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를 활용한 내진 성능 강화 연구가 진행 중이다.
부교
일반 정보
유형떠다니는 다리
용도보행자, 자동차, 트럭
경간 길이짧음 ~ 김
재료강철, 콘크리트, 보트, 배럴, 플라스틱 부유물, 적절한 데크 재료
이동 가능 여부일반적으로 불가, 선박 통과를 위해 이동 가능한 부분 있을 수 있음
디자인낮음
가설 구조물없음
설명
부교부유 구조물 위에 건설된 교량
특징임시 교량으로 건설 가능
신속한 설치 및 해체가 가능
군사 작전, 재해 복구, 건설 현장 등에서 활용
군사적 용도
역할병력과 장비의 신속한 이동 지원
적의 공격에 취약할 수 있음
공병 부대가 설치 및 관리

2. 정의

폰툰교는 강이나 운하를 가로지르기 위해 서로 연결된 특수한 저흘수선(shallow draft) 보트 또는 부유체(Float)들의 집합체로, 상단에는 통행로 또는 데크가 부착되어 있다. 물의 부력(buoyancy)이 보트를 지탱하며, 최대 하중은 폰툰이나 보트의 총 부력 및 지점 부력으로 제한된다.[2] 지지용 보트 또는 부유체는 개방형 또는 폐쇄형일 수 있으며, 설치 방식은 임시적이거나 영구적일 수 있으며 고무, 금속, 목재 또는 콘크리트로 만들어진다. 데크는 임시적이거나 영구적일 수 있으며, 목재, 모듈식 금속 또는 금속 프레임 위의 아스팔트 또는 콘크리트로 건설된다.

2. 1. 어원

영어에서 "ponton"이라는 철자가 사용된 것은 적어도 1870년부터이다.[3] 이 용법은 1890년대 미국 특허에서도 발견된다.[4][32][5] 이러한 철자는 제2차 세계 대전까지도 계속 사용되었는데,[6] 당시 임시 부교가 유럽 전역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다. 미군 전투 공병들은 "pontoon"이 아닌 "ponton"으로 발음하는 것이 일반적이었고, 미군 교범에서는 'o'를 하나만 사용하는 철자를 사용했다.[7] 미군은 부교 자체("ponton")와 부력을 제공하는 부유체("pontoon")를 구분했다.[8] 원래 이 단어는 고대 프랑스어 ''ponton''에서 유래했으며, 라틴어 ''ponto''("나룻배")에서, 다시 ''pons''("다리")에서 유래했다.[9]

3. 구조



콘크리트 부유체를 사용하는 베르쇠순드교


부교는 부력의 원리를 이용하여 물 위에 뜨는 구조물이다. 부유체와 상판으로 구성된다. 부유체는 배, 폰툰, 통나무 등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지며, 상판은 나무, 금속, 콘크리트 등으로 제작된다.

부교를 설계할 때, 토목기술자는 아르키메데스의 원리를 고려해야 한다. 각 부유체는 그것이 배수시키는 물의 질량과 같은 하중을 지탱할 수 있다. 이러한 하중에는 교량과 부유체 자체의 질량이 포함된다. 교량 구간의 최대 하중을 초과하면 하나 이상의 부유체가 잠기게 된다. 유연한 연결부는 교량의 한 구간이 다른 부분보다 더 무겁게 하중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부유체 위의 도로는 부유체의 적재 능력을 제한하지 않도록 비교적 가벼워야 한다.[11]

교량을 해안에 연결하려면 경사가 너무 가파르지 않고, 침식으로부터 제방을 보호하며, 수위 변화(조수) 동안 교량의 움직임을 고려한 접근로를 설계해야 한다.[12]

역사적으로 부교는 목재를 사용하여 건설되었다. 부유체는 여러 개의 통나무를 묶거나, 목재 뗏목을 만들거나, 배를 사용하여 간단하게 만들었다. 각 교량 구간은 하나 이상의 부유체로 구성되었으며, 이 부유체는 제자리에 배치된 다음 수중이나 육지에 고정되었다. 부유체는 '발크(balks)'라고 하는 목재 스트링거를 사용하여 연결되었다. 발크는 도로 표면을 형성하기 위해 '체스(chesses)'라고 하는 일련의 가로판으로 덮였고,[13] 체스는 측면 가드레일로 고정되었다.

부교는 해안의 고정 지점에서 시작하여 여러 구간으로 건설할 수 있다. 현대의 부교는 일반적으로 조립식 부유 구조물을 사용한다.[14]

대부분의 부교는 임시 사용을 위해 설계되었지만, 수위가 일정한 수역을 가로지르는 교량은 훨씬 더 오랫동안 제자리에 남아 있을 수 있다. 1943년 타스마니아주 호바트에 건설된 긴 부교인 호바트 교는 21년 후에야 교체되었다.[15] 터키 이스탄불의 골든혼을 가로지르는 네 번째 갈라타 다리는 1912년에 건설되어 80년 동안 운영되었다.

임시적이고 가벼운 부교는 손상되기 쉽다. 교량의 하중 한계를 초과하면 교량이 이탈하거나 물에 잠길 수 있다. 폭풍, 홍수 또는 빠르게 이동하는 하중으로 인해 교량이 위험한 방식으로 흔들리거나 진동할 수 있다. 얼음이나 부유물(부유물(flotsam))이 부유체에 쌓여 하천 흐름의 저항을 증가시키고 교량을 손상시킬 수 있다.

3. 1. 설계



부교를 설계할 때, 토목기술자는 아르키메데스의 원리를 고려해야 한다. 각 부유체는 그것이 배수시키는 물의 질량과 같은 하중을 지탱할 수 있다. 이러한 하중에는 교량과 부유체 자체의 질량이 포함된다. 교량 구간의 최대 하중을 초과하면 하나 이상의 부유체가 잠기게 된다. 유연한 연결부는 교량의 한 구간이 다른 부분보다 더 무겁게 하중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부유체 위의 도로는 부유체의 적재 능력을 제한하지 않도록 비교적 가벼워야 한다.[11]

교량을 해안에 연결하려면 경사가 너무 가파르지 않고, 침식으로부터 제방을 보호하며, 수위 변화(조수) 동안 교량의 움직임을 고려한 접근로를 설계해야 한다.[12]

역사적으로 부교는 목재를 사용하여 건설되었다. 부유체는 여러 개의 통나무를 묶거나, 목재 뗏목을 만들거나, 배를 사용하여 간단하게 만들었다. 각 교량 구간은 하나 이상의 부유체로 구성되었으며, 이 부유체는 제자리에 배치된 다음 수중이나 육지에 고정되었다. 부유체는 ''발크(balks)''라고 하는 목재 스트링거를 사용하여 연결되었다. 발크는 도로 표면을 형성하기 위해 ''체스(chesses)''라고 하는 일련의 가로판으로 덮였고,[13] 체스는 측면 가드레일로 고정되었다.

부교는 해안의 고정 지점에서 시작하여 여러 구간으로 건설할 수 있다. 현대의 부교는 일반적으로 조립식 부유 구조물을 사용한다.[14]

대부분의 부교는 임시 사용을 위해 설계되었지만, 수위가 일정한 수역을 가로지르는 교량은 훨씬 더 오랫동안 제자리에 남아 있을 수 있다. 1943년 타스마니아주 호바트에 건설된 긴 부교인 호바트 교(Hobart Bridge)는 21년 후에야 교체되었다.[15] 터키 이스탄불의 골든혼을 가로지르는 네 번째 갈라타 다리(Galata Bridge)는 1912년에 건설되어 80년 동안 운영되었다.

임시적이고 가벼운 부교는 손상되기 쉽다. 교량의 하중 한계를 초과하면 교량이 이탈하거나 물에 잠길 수 있다. 폭풍, 홍수 또는 빠르게 이동하는 하중으로 인해 교량이 위험한 방식으로 흔들리거나 진동할 수 있다. 얼음이나 부유물(

4. 역사

최초의 부교는 고대 페르시아, 그리스, 로마 등에서 세워졌다. 한국에서는 고려 시대 정종이 1045년(정종 11년) 임진강에 부교를 설치하였던 적이 있으며, 조선 시대 연산군청계산에 수렵을 가기 위해 민선 800척을 동원해서 한강에 부교를 놓은 적이 있었다.[63] 또한 정조가 아버지인 사도세자의 능인 수원의 융릉에 행차할 때 주교를 설치했다는 기록이 있다.

무굴 황제 악바르 대제가 사나운 코끼리 하와이에 올라타 다른 코끼리를 쫓는 모습(왼쪽). 바사완과 체타르 뭄티가 그린 "악바르와 코끼리 하와이의 모험" (1561년 작)

4. 1. 고대

고대 페르시아, 그리스, 로마 등에서 부교 설치 기록이 발견된다.[63] 한국에서는 고려 시대 정종이 1045년(정종 11년)이 임진강에 부교를 설치 하였던 적이 있으며, 조선 시대 연산군청계산에 수렵을 가기 위해 민선 800척을 동원해서 한강에 부교를 놓은 적이 있었다.[63]

고대 중국에서 주나라 시대의 시경(詩經, Book of Odes)에는 주문왕(King Wen of Zhou)이 기원전 11세기에 최초로 부교를 만들었다고 기록되어 있다.[16] 그러나 역사가 조지프 니덤(Joseph Needham)은 여러 상황을 고려해 볼 때, 부교는 기원전 9세기 또는 8세기에 발명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16] 중국에서 안전하고 영구적인 부교(철사슬로 연결)가 처음 등장한 것은 진나라(221–207 BC) 시대였다.[16]

키초리우스가 그린 로마의 배로 만든 다리의 부조


로마 군단병들이 부교를 이용해 다뉴브 강을 건너는 모습, 로마 황제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재위 161~180년)의 기둥의 부조에 묘사됨(이탈리아 로마)


그리스의 역사가 헤로도토스는 그의 저서 ''역사''에서 여러 부교에 대해 기록하고 있다.[19] 페르시아(기원전 522~485년)의 다리우스 1세를 위해 그리스인 사모스의 만드로클레스는 보스포루스 해협에 부교를 건설하여 아시아와 유럽을 연결했다.[19] 칼리굴라 황제는 기원후 37년 바이아이에 3.2km에 달하는 부교를 건설했다.[19]

4. 2. 중세 및 근세

중세 시대 동안, 폰툰(부교)은 전투 중 강을 건너거나 영구적인 다리를 건설할 자원이 없는 지역 사회를 연결하기 위해 일반적인 배와 함께 사용되었다.[22] 훈족(Hun)의 아틸라(Attila) 군대는 442년 나이수스(Naissus) 공성전 중 니샤바 강(Nišava)에 다리를 건설했다. 사산 왕조(Sassanid) 군대는 542년 칼리니코스(Kallinikos)/라카(Raqqa) 공성전 중에 폰툰 다리를 이용하여 유프라테스 강(Euphrates)을 건넜다. 동고트 왕국(Ostrogothic Kingdom)은 545년 로마 약탈(546년)(Sack of Rome (546))]/로마 공성전(siege of Rome) 중에 티베르 강(Tiber)에 요새화된 다리를 건설했다. 아바르 카간국(Avar Khaganate)은 580년 시르미움(Sirmium) 공성전 중에 사바 강(Sava)에 폰툰 다리 두 개를 건설하도록 강요했다.

헤라클리우스 황제(Heraclius)는 638년에 큰 폰툰 다리를 타고 보스포루스 해협을 건넜다. 우마이야 칼리파국(Umayyad Caliphate)의 군대는 717년 콘스탄티노플 공방전 (717-718년)(siege of Constantinople (717–718)) 중에 보스포루스 해협에 폰툰 다리를 건설했다. 카롤링거 왕조(Carolingian)의 샤를마뉴(Charlemagne) 군대는 790년대 아바르 카간국에 대한 전투 중에 다뉴브 강을 건넜다. 샤를마뉴의 군대는 789년 벨레티(Veleti)에 대한 전투 중에 엘베 강(Elbe)에 요새화된 폰툰 다리 두 개를 건설했다. 오토 대제(Otto the Great)의 독일 군대는 955년 라크사 전투(Battle on the Raxa)에서 렉니츠 강(Recknitz)을 건너 오보트리테(Obotrites)을 물리쳤다. 10세기 독일 오토 왕조(Ottonian)의 칙령(capitularies)은 왕실 재정 영지가 전쟁 목적으로 방수가 되고 강을 건널 수 있는 마차를 유지해야 한다고 규정했다.

카누트 대왕(Cnut the Great)의 덴마크 군대는 1026년 헬게오 전투(Battle of Helgeå) 중에 헬게 강(Helge River)에 폰툰 다리를 완성했다. 십자군은 1097년 12월 안티오크 공성전(siege of Antioch) 중에 오론테스 강(Orontes)에 폰툰 다리를 건설했다. 드니프르 강(Dnieper)을 가로지르는 가장 초기의 부교는 1115년에 건설되었다. 보헤미아 공국(Duchy of Bohemia)의 군대는 1157년 아디제 강(Adige)을 건넜다.

필립 2세(Philip II of France) 왕의 프랑스 왕립군은 1203년 샤토 기야르 공성전(siege of Château Gaillard)에서 센 강(Seine)에 폰툰 다리를 건설했다. 제5차 십자군(Fifth Crusade) 기간 동안, 십자군(Crusaders)은 다미에타 공성전 (1218-1219년)(siege of Damietta (1218–1219))에서 나일 강(Nile)에 두 개의 폰툰 다리를 건설했다. 1234년 5월 27일, 십자군은 스테딩겐(Stedingen)에 대한 전투 중에 독일에서 폰툰 다리를 이용하여 옥툼 강(Ochtum)을 건넜다. 몽골 제국(Mongol Empire)의 군대는 1241년 모히 전투(Battle of Mohi)에서 폰툰 다리를 건설했다. 루이 9세(Louis IX of France) 왕의 프랑스 군대는 1242년 7월 21일 탈르부르 전투(Battle of Taillebourg) 중에 여러 폰툰 다리를 이용하여 샤랑트 강(Charente (river))을 건넜다. 루이 9세는 1250년 3월 초 제7차 십자군(Seventh Crusade) 중에 나일 강에 폰툰 다리를 건설했다.

피렌체 공화국(Republic of Florence) 군대는 1406년 피사(Pisa) 공성전 중에 아르노 강(Arno)에 폰툰 다리를 설치했다. 슈루즈버리 백작 존 탈보트(John Talbot, 1st Earl of Shrewsbury)의 영국군은 1441년 오아즈 강(Oise (river))을 건넜다. 오스만 제국(Ottoman Empire) 기술자들은 콘스탄티노플 함락(1453년)(siege of Constantinople (1453)) 중에 골든혼(Golden Horn)에 폰툰 다리를 건설했다. 오스만 군대는 로드스 공성전(1480년)(siege of Rhodes (1480)) 중에 폰툰 다리를 건설했다. 베네치아 공화국(Republic of Venice) 개척자들은 칼리아노 전투(1487년)(Battle of Calliano (1487))에서 아디제 강에 부교를 건설했다.

1584년 배로 건설된 쉘트 강 위의 파르마의 다리. 1616년 삽화


1651년 8월 30일, 워스터 전투 전에 올리버 크롬웰은 세번 강과 팀 강위에 부교를 건설했다.

1654년 리오 부에노 전투에서 스페인 군대는 부교를 건설했다. 그러나 다리가 무너지면서 현지 마푸체-휘이리체 부족 세력에 의해 스페인군은 완패를 당했다.[23][24]

4. 3. 한국

한국에서는 고려 시대 정종이 1045년(정종 11년)에 임진강에 부교를 설치하였고, 조선 시대 연산군청계산에 수렵을 가기 위해 민선 800척을 동원해서 한강에 부교를 놓은 적이 있었다.[63] 정조는 아버지인 사도세자의 능인 수원의 융릉에 행차할 때 주교를 설치했다.[63]

일본에서 뗏목다리에 관한 최초의 기록은 나라 시대에 확인된다.[57] 에도 시대에는 정이대장군과 조선통신사가 건널 때 키소 삼강의 4개 하천에 주교를 가설했다. 그중 키소가와에 걸린 "오키의 주교"는 일본에서 가장 긴 주교로, 길이는 약 860m, 너비는 약 3m였다. 큰 배 44척과 작은 배 230척이 사용되었고, 배 위에 깔 나무판은 3036장에 달했다.[63] 아이치현이치노미야시기후현하시마시를 잇는 위치에 가설되었고, 이치노미야시 오니시 역사민속자료관에는 오키의 주교 모형이 전시되어 있다.

조선통신사는 세토내해를 거쳐 대판에 상륙하여, 조선인 가도를 지나 미노로를 통해 나고야성 아래에 들어왔다. 오키의 주교 외에도, 미노국오와리국의 경계에 있는 사도가와・묵마타가와・코구마가와를 건널 때에도 주교를 이용했고, 에도 막부는 덴류가와, 후지가와, 사카와가와, 마고메가와(사가미가와) 등에도 주교를 설치했다.[63]

도야마현도야마시의 진쓰가와에 걸린 "진쓰가와의 주교"는 상설 주교였으며, 1639년(관영 16년) 도야마번 성립 이후에 가교되었다. 최장 430m에 달하는 강폭 양안에 기둥을 세워 쇠사슬을 연결하고, 64척의 배를 연결하여 배 위에 판자를 깔았다.

4. 4. 근대 및 현대

근대와 현대에 들어, 군사 기술의 발달과 함께 부교는 더욱 발전하였다. 특히 전차와 같은 중장비의 이동을 위해 다양한 종류의 군용 부교가 개발되었다.

1862년, 앰브로스 번사이드 소장이 지휘하는 북군은 부교 열차의 도착 지연으로 인해 프레더릭스버그 전투에서 래퍼해녹 강의 잘못된 쪽에 갇혀 심각한 손실을 입었다.[32]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강둑과 부교를 연결하는 "말뚝"에 대한 개발이 이루어졌으며, 일부 보병교는 휘발유통과 같은 이용 가능한 모든 재료를 부력 장치로 사용했다.[26] 영국군은 1924년에도 여전히 원형을 반으로 자른 영국군 Blood Pontoon MkII 부교를 사용하고 있었다.[26] 또한 영국군을 위해 카폭 돌격교(Kapok Assault Bridge)가 개발되었는데, 이는 카폭 섬유로 채워진 캔버스 부력체와 목재 보행로를 사용하는 방식이었다. 미국도 자체 버전을 만들었다.[26]

접이식 보트 장비(Folding Boat Equipment)는 1928년에 개발되어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베일리 부교(Bailey Pontoon)를 보완하기 위해 여러 버전을 거쳤다. 이는 연속 캔버스 경첩이 있어 보관 및 운반을 위해 평평하게 접을 수 있었고, 조립하면 15명을 수용할 수 있었다.[26] 제2차 세계 대전 중 추가 업그레이드를 통해 9등급 다리로 발전했다.[26]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특히 유럽 전구에서 폰툰교가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다. 미국과 영국이 주요 사용국이었다. 미 육군 공병대는 M1938 보병용 보행교, M1938 폰툰 교량, M1940 트레드웨이 교량 등 세 가지 유형의 부교를 건설했으며, 각각 여러 가지 세부 변형이 있었다.[32] 이들은 팽창식 공기 폰툰 또는 고체 알루미늄 합금 폰툰 교량을 사용했다.[32] 두 가지 유형의 교량 모두 네모난 중공 알루미늄 빔인 발크로 제작된 데크가 장착된 폰툰으로 지지되었다.[33]

미 육군 공병대는 자체적으로 교량 운송 및 설치 시스템을 설계했다. 브록웨이 B666 6x6 트럭 섀시는 교량의 강철 및 고무 부품을 운송하는 데 사용되었다.[37] 이 트럭에는 유압식 크레인, 특수 제작된 이중 붐 암, 대형 에어 브레이크 탱크 등이 장착되어 부교 설치를 도왔다.[38] 공기 부력체는 고무화된 직물로 만들어졌으며, 여러 개의 기밀 구획으로 분리되어 공기로 팽창되었다.[39] 고체 알루미늄 합금 폰툰은 더 무거운 교량과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었다.[33]

도널드 베일리가 발명한 베일리 브리지는 모듈식 조립식 강철 트러스로 구성되어, 부유체로 지지할 수 있었다.[44] 베일리 부유 교량은 제방에서 교량 수준까지 단일 경간을 사용하여 교량 받침대가 필요 없다는 특징이 있었다.[26]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노르망디 상륙 작전을 위해 멀베리 항이 사용되었다. 앨런 베켓이 설계한 "연(Kite)" 앵커는 높은 지지력을 가지고 있어 부유체를 고정하는 데 사용되었다.[46]

1930년대 벨기에 셰네(Chênée)의 쉬르 강(Ourthe)에 프랑스 제3 공병연대가 부교를 건설하고 있다.


오마하 해변으로 이어지는 멀베리 A의 스퍼드 부두로 향하는 부유 교량

5. 군용 부교

군용 부교는 군대의 신속한 이동을 위해 교량이 끊어졌거나 없는 하천 등에 설치하며 주로 궤도차량에 싣고 다닌다.

M4T6 부교, 1983


2003년 파리에서 프랑스군 이동식 부교


부교는 20세기 후반 내내 군대와 민간인 모두에게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다.

전후 시대부터 1980년대 초까지 미국 육군과 NATO 및 기타 동맹국들은 세 가지 주요 유형의 부교/뗏목을 사용했다. M4 부교는 강성 알루미늄 선체 부교에 의해 지지되는 경량 알루미늄 발크 데크를 특징으로 했다. M4T6 부교는 M4와 동일한 알루미늄 발크 데크를 사용했지만, 대신 팽창식 고무 부교에 의해 지지되었다. 60톤급 부교는 팽창식 고무 부교에 의해 지지되는 더욱 견고한 강철 거더 및 그리드 데크로 구성되었다. 세 가지 부교 유형 모두 운송과 배치가 번거롭고 조립이 느렸기 때문에 운송, 배치 및 조립이 더 용이한 부유교의 개발을 촉진했다.

EWK-Gillois 수륙양용 교량 전개 장비


2015년 독일 M3 수륙양용 교량 전개 장비


1980년 이동식 수륙양용 돌격교량-여객선


여러 대안들은 자체 추진식 수륙양용 통합 수송 장비, 부유식 폰툰, 교량 상판 부분을 특징으로 했는데, 이는 자체 동력으로 물속에서 전달 및 조립되어 간격을 연결하거나 뗏목 여객선을 형성하기 위해 필요한 만큼 많은 장치를 연결할 수 있었다.

초기 예시로는 1955년 프랑스 장군 장 질루아(Jean Gillois)가 고안한 EFA(전방 교량 전개 장비)(EFA (mobile bridge)) 수륙양용 전방 도하 장비가 있다. 이 시스템은 팽창식 외장 부력 스폰슨과 회전식 차량 교량 상판 부분을 갖춘 바퀴 달린 수륙양용 트럭으로 구성되었다. 이 시스템은 서독 회사인 아이젠베르케-카이저슬라우테른(Eisenwerke-Kaiserslauter, EWK)에 의해 개발되었고 프랑스-독일 합작 회사인 폰테사(Pontesa)에 의해 생산되었다. EFA 시스템은 1965년 프랑스군에 의해 처음으로 배치되었고, 그 후 서독 italic=no/Bundeswehrde, 영국군, 그리고 매우 제한적으로 미국 육군에 의해 배치되었는데, 여기서는 수륙양용 강 도하 장비(ARCE)라고 불렸다. 생산은 1973년에 종료되었다. EFA는 이스라엘 방위군(IDF)에 의해 전투에서 사용되었는데, 이들은 미국의 옛 장비를 사용했다. 이집트 육군은 1973년 욤 키푸르 전쟁 중 이스라엘군을 공격할 때 수에즈 운하를 건너는 데 이 장비를 사용했다.

2020년 최신 러시아 리본 교량 시스템 PP-2005의 자동 전개를 보여주는 배치 장면.


EWK는 접이식 알루미늄 부력 폰툰을 장착한 M2 "앨리게이터" 수륙양용 교량 전개 장비로 EFA 시스템을 더욱 개발했는데, 이는 1967년부터 1970년까지 생산되어 서독, 영국, 싱가포르 군대에 판매되었다. M2는 개정된 M3 버전으로 이어졌으며, 1996년 독일, 영국, 대만, 싱가포르에서 사용되기 시작했다. M3는 이라크 전쟁 중 영국군에 의해 전투에서 사용되었다. 최근 터키는 FNSS 사무르 바퀴 달린 수륙양용 돌격교량에서 유사한 시스템을 개발했고, 러시아의 PMM-2와 중국의 GZM003 장갑 수륙양용 돌격교량은 트랙으로 이동한다.

유사한 수륙양용 시스템인 이동식 수륙양용 돌격교량-여객선(MFAB-F)은 1959년부터 1962년까지 미국 크라이슬러에서 개발되었다. 프랑스 EFA와 마찬가지로 MFAB-F는 회전식 교량 상판 부분을 가진 수륙양용 트럭으로 구성되었지만, 외장 부력 스폰슨은 없었다. MFAB-F는 1964년 미국 육군에 의해 처음으로 배치되었고, 나중에 벨기에에서도 배치되었다. 개선된 버전은 1970년부터 1976년까지 FMC에 의해 생산되었다. MFAB-F는 더 간단한 연속 폰툰 또는 "리본 교량" 시스템으로 대체되기 전인 1980년대 초까지 운용되었다.

PMP 접이식 부교 1996


초기 냉전 시대에 소련군은 단시간에 운반 및 설치가 가능하고, 물 위에서 자동으로 펼쳐지며, 가변 길이의 부교로 신속하게 조립할 수 있는 짧은 접이식 구간 또는 베이로 구성된 새로운 종류의 연속 부교 개발을 시작했다. PMP 접이식 부교로 알려진 이 부교는 1962년에 처음 배치되었으며, 이후 바르샤바 조약 기구 국가들과 소련 군사 장비를 사용하는 다른 국가들에 의해 채택되었다. PMP는 1973년 이집트군이 수에즈 운하를 건너는 데 사용되면서 전투에서 그 실용성을 증명했다. 바드르 작전은 이집트와 이스라엘 간의 욤 키푸르 전쟁을 시작했으며, 운하를 건너기 위해 최소 10개 이상의 부교를 설치하는 것을 포함했다.[47]

표준 리본 부교 2004


1969년부터 미국 육군 기동장비 연구개발 사령부(MERADCOM)는 러시아 PMP 설계를 역설계하여 개량된 부교(IFB), 후에 표준 리본 부교(SRB)로 알려진 것을 개발했다. IFB/SRB는 1972년에 유형 분류되었고 1976년에 처음으로 실전 배치되었다. PMP와 매우 유사했지만, 더 무거운 강철 대신 가벼운 알루미늄으로 제작되었다.

1977년 서독 italic=no/Bundeswehrde은 일부 수정 및 개선을 거친 SRB를 채택하여 1979년에 접이식 부교(FSB, Faltschwimmbrücke)로서 운용을 시작했다. 1990년대에 독일 FSB의 기능을 통합한 미국 SRB의 개량 버전 설계 작업이 시작되어 2000년대 초 미국 육군에 개량형 리본 부교(IRB)로 처음 배치되었다.

미국과 독일 외에도 IFB/SRB/FSB/IRB는 호주, 브라질, 캐나다, 네덜란드, 포르투갈, 대한민국, 스웨덴 등 여러 국가의 군대에서 채택했다.

  • 92식 부교
  • PMP 부교 - 제2차 세계 대전 중, 소련이 개발한 부교 설치 차량

5. 1. 현대 군사적 이용

현대에도 부교는 군사 작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48][49][50][51][52] 1990년대 유고슬라비아 전쟁 당시 마슬레니차 다리가 파괴되자 1993년 7월 크로아티아는 마슬레니차 마을의 좁은 해협에 임시 부교를 건설하여 달마티아와 크로아티아 및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지역으로 연결되는 육로로 활용했다.[48]

2018년 6월 11일, 드라우스코 포모르스키 훈련장에서 제341공병종합지원연대가 건설한 개량형 부교


이란-이라크 전쟁에서 이란과 이라크는 국경을 따라 여러 강과 습지를 건너기 위해 부교를 건설했다. 특히 나스르 작전 중 카르케 강 위에 건설된 부교와 던 8 작전 중 특정 습지를 건너는 데 사용된 부교가 주목할 만하다.

2003년 이라크 침공 당시, 미 육군 제299다목적교량중대는 유프라테스 강에 185미터 길이의 부교를 설치하여 후퇴 작전을 지원했다.[49][50] 이는 전투 중에 건설된 최초의 부유교 사례로 기록되었다.[50]

2022년 5월, 우크라이나 전쟁의 동부 우크라이나 공세 중 루한스크주 세베로도네츠크 서쪽에서 돈예츠 강을 건너려는 러시아군의 시도를 우크라이나군이 격퇴하면서 부교와 함께 러시아 대대급 전투단 1개 이상이 파괴되었다는 보고가 있었다.[52]

92식 부교

6. 민간용 부교

세계에서 가장 긴 영구 부유교인 애버그린 포인트 부유교는 시애틀 동쪽의 워싱턴 호를 가로지른다.


이러한 교량 설계는 고속도로 교통, 보행자 통행 및 자전거 통행을 위해 설계된 영구 교량에도 사용되며, 배가 통과할 수 있는 수로 구간이 포함된다.[53] 미국의 시애틀과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의 켈로나에는 영구 부교가 있는데, 브리티시컬럼비아주에는 윌리엄 R. 베넷 교가 있고, 시애틀에는 레이시 V. 머로우 기념교, 애버그린 포인트 부유교, 호머 M. 해들리 기념교 등 세 개가 있다. 그중 후자는 2호선의 최종 단계가 2025년에 개통되면 최초의 운영되는 부유식 철도교가 될 것이다. 수에즈 운하에는 5개의 부교가 있다. 노르드호르란드 교는 노르웨이의 케이블-스테이 교량과 부교가 결합된 도로 교량이다.

; ABC 제도

ABC 제도의 빌렘스타트 시가지 오트로반다 지역과 푼다 지역을 잇는 퀸 에마 다리(Queen Emma Bridge)는 “흔들리는 노파(Swing Old Lady)”라고 불리는 유명한 부교이다.[61] 퀸 에마 다리는 15개의 부표를 교각으로 한 목조 다리이다.[61] 1888년 미국의 상인 스미스(Leonard B. Smith)가 건설하고, 1939년에 개수되었다.[61] 페리 통과 시 다리가 회전하여 항로를 확보한다.[61]

6. 1. 영구 부교



일부 지역에서는 부교가 고속도로 교통, 보행자 통행 및 자전거 통행을 위해 설계된 영구 교량으로 사용되며, 배가 통과할 수 있는 수로 구간을 포함한다.[53] 미국의 시애틀과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의 켈로나에는 영구 부교가 있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에는 윌리엄 R. 베넷 교가 있고, 시애틀에는 레이시 V. 머로우 기념교, 애버그린 포인트 부유교, 호머 M. 해들리 기념교 등 세 개가 있다.[53] 수에즈 운하에는 5개의 부교가 있다. 노르드호르란드 교는 노르웨이의 케이블-스테이 교량과 부교가 결합된 도로 교량이다.

미국의 에버그린 포인트 부교(2016)는 세계에서 가장 긴 (2,350m) 부교이자, 중앙부 너비가 가장 넓은(35m) 부교이다.[59]

7. 사고 및 재난

부교는 강풍, 홍수, 과적 등 외부 요인에 의해 파손될 위험이 있다.

이삭 성당 다리는 네바 강을 가로지르는 상트페테르부르크의 다리로, 1733년 폭풍우와 1916년 화재라는 두 번의 재난을 겪었다.[54]

부교는 특히 강풍과 같은 악천후에 취약할 수 있다. 워싱턴주는 세계에서 가장 긴 영구 부교 중 일부가 있는 곳이며, 이 중 두 개는 강풍으로 인해 일부가 파손되었다.[54]

1979년, 가장 긴 해수 부교인 후드 운하 다리는 시속 129km의 바람과 최대 시속 193km의 돌풍, 그리고 3~4.5m 높이의 파도로 인해 서쪽 약 1.2km 구간이 가라앉았다.[55] 이후 재건되었다.

1990년, 1940년에 건설된 레이시 V. 머로우 기념 다리는 보수 공사로 폐쇄되었다. 미국주간고속도로 시스템의 기준에 맞춰 차선을 넓히기 위해 보도가 제거되고 있었다. 기술자들은 보도를 제거하기 위해 망치를 사용하면 다리 전체의 구조적 안전성이 위험해질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따라서 고압의 물줄기를 사용하여 콘크리트를 조금씩 제거하는 수중 해체(hydrodemolition)라는 독특한 공정이 사용되었다. 이 공정에 사용된 물은 호수를 오염시키지 않기 위해 다리의 부교 내부 빈 공간에 일시적으로 저장되었다. 일주일 동안 비와 강풍이 불면서 방수문이 닫히지 않아 부교는 수중 해체 작업에서 나온 물과 폭풍우로 인한 물로 가득 찼다. 물에 잠긴 다리는 부서져 가라앉았다.[55] 이 다리는 1993년에 재건되었다.

부교의 여러 구간을 연결하는 닻이나 연결부가 고장나면 사소한 재난이 발생할 수 있다. 과적, 극심한 기상 조건 또는 홍수로 인해 이러한 일이 발생할 수 있다. 다리가 해체되고 일부가 떠내려가기 시작한다. 많은 사례가 알려져 있다. 레이시 V. 머로우 기념 다리가 가라앉으면서 평행하게 놓인 다리의 닻줄이 끊어졌다. 강력한 예인선이 이후 폭풍우 동안 바람을 거슬러 그 다리를 잡아당겨 추가적인 피해를 막았다.[56]

7. 1. 주요 사고 사례

이삭 성당 다리는 네바 강을 가로지르는 상트페테르부르크의 다리로, 1733년 폭풍우와 1916년 화재라는 두 번의 재난을 겪었다.[54]

부교는 특히 강풍과 같은 악천후에 취약할 수 있다. 워싱턴주는 세계에서 가장 긴 영구 부교 중 일부가 있는 곳이며, 이 중 두 개는 강풍으로 인해 일부가 파손되었다.[54]

1979년, 가장 긴 해수 부교인 후드 운하 다리는 강풍으로 인해 서쪽 3/4마일 구간이 가라앉았다.[55] 1990년에는 레이시 V. 머로우 기념 다리가 보수 공사 중 폭풍우로 인해 침수되어 파손되었다.[55]

부교의 여러 구간을 연결하는 닻이나 연결부가 고장나면 과적, 극심한 기상 조건 또는 홍수로 인해 다리가 해체되고 일부가 떠내려가는 사소한 재난이 발생할 수 있다. 레이시 V. 머로우 기념 다리가 가라앉으면서 평행하게 놓인 다리의 닻줄이 끊어졌으나, 강력한 예인선이 폭풍우 동안 바람을 거슬러 그 다리를 잡아당겨 추가적인 피해를 막았다.[56]

참조

[1] 서적 The Corps of Engineers: The War Against Germany http://www.history.a[...] Center of Military History (U.S. Army) 1985
[2] 웹사이트 UK Military Bridging – Floating Equipment http://www.thinkdefe[...] 2011-12-11
[3] 서적 Organization of the Bridge Equipage of the United States Army: With Directions for the Construction of Military Bridges https://archive.org/[...]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4] 특허 Ponton-bridge
[5] 특허 Ponton-bridge
[6] 저널 The Military Engineer https://books.google[...] Society of American Military Engineers
[7] 웹사이트 Pneumatic Ponton Bridge M3 https://digital.libr[...] United States War Department 1943-04-19
[8] 서적 Operation Crossroads, the Official Pictorial Record https://archive.org/[...] W.H. Wise & Co., Inc. 1946
[9] 웹사이트 pontoon (n.) http://www.etymonlin[...]
[10] 웹사이트 The longest pontoon bridge in the world, spanning Russellville and Dardanelle, Arkansas. https://catalog.arch[...] U.S.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11] 웹사이트 Archimedes' Principle http://physics.weber[...]
[12] 웹사이트 Making the Critical Connections http://science.howst[...] 2011-09-13
[13] 서적 American Artillerist's Companion: Or Elements of Artillery. Treating of All ...
[14] 웹사이트 Floating Trail Bridges and Docks http://www.fs.fed.us[...]
[15] 웹사이트 Historic Hobart floating bridge declared National Engineering Heritage Landmark http://www.abc.net.a[...] 2015-05-05
[16] 서적 Needham, Volume 4, Part 3
[17] 서적 Graff
[18] 서적 Brook
[19] 웹사이트 The history of Herodotus — Volume 2 by Herodotus - Project Gutenberg https://www.gutenber[...] Gutenberg.org 2001-01-01
[20] 서적 Lords of the sea : the epic story of the Athenian navy and the birth of democracy Viking Penguin
[21] 웹사이트 Digital | Attic - Warfare : De Re Militari Book III: Dispositions for Action https://web.archive.[...] Pvv.ntnu.no
[22] 웹사이트 The Medieval Fleet http://www.dsm.museu[...]
[23] 서적 Historia general de Chile Biblioteca Virtual Miguel de Cervantes
[24] 서적 Historia militar de Chile Biblioteca Militar
[25] 서적 History of the Corps of Royal Engineers Vol I The Institution of Royal Engineers
[26] 웹사이트 UK Military Bridging – Floating Equipment http://www.thinkdefe[...] thinkdefence.co.uk 2011-12-11
[27] 뉴스 CW Pasley & T Blanshard article
[28] 뉴스 CW Pasley letter dated 28 June 1836
[29] 서적 History of the Corps of Royal Engineers Vol II The Institution of Royal Engineers
[30] 웹사이트 Civil War Pontoon Bridges http://www.wadehampt[...]
[31] 저널 The Bridge That Floats 1952-01
[32] 웹사이트 U.S. Army in World War II Engineers and Logistics http://www.militaryh[...]
[33] 간행물 M4T6 Floating Bridges And Rafts https://web.archive.[...] 1988-12-27
[34] 웹사이트 Engineer Field Manual FM 5-5 http://www.ibiblio.o[...]
[35] 서적 The Corps of Engineers-The Technical Services: The War Against Germany (United States Army in World War II) Center for Military History 1985-12-31
[36] 웹사이트 General O. P Smith Interview http://www.chosinres[...] 2015-04-05
[37] 논문 Combat Engineers Take a River in Their Stride https://books.google[...] 2014-12-18
[38] 웹사이트 The Right Way, a History of Brockway Trucks http://www.coachbuil[...] 2014-12-08
[39] 서적 U.S. Army Explosives and Demolitions Handbook https://books.google[...] Department of the Army
[40] 서적 Battle Bridges: Combat River Crossings: World War II https://books.google[...] Trafford 2014-12-08
[41] 서적 Bridge Floating M4 https://books.google[...] United States Army 2014-12-07
[42] 웹사이트 treadway bridge http://www.merriam-w[...] 2014-12-06
[43] 웹사이트 What They Did: Building Bridges and Roads http://www.300thcomb[...] 2014-12-06
[44] 웹사이트 Battlefront WWII Some Facts about Bridging operations http://www.fireandfu[...] 2015-03-28
[45] 웹사이트 Treadway Bridge http://xbradtc.com/2[...] 2014-12-07
[46] 웹사이트 Development of the Kite Anchor for Mulberry Harbour https://web.archive.[...]
[47] 웹사이트 Combined Arms in battle since 1939: ''Combat Engineering'' https://web.archive.[...] U.S. Army Command and General Staff College 2009-04-11
[48] 웹사이트 Article on the 16th anniversary of Operation Maslenica https://web.archive.[...] Hrvatski-vojnik.hr 2014-08-17
[49] 웹사이트 On Point - The United States Army in Operation Iraqi Freedom http://www.globalsec[...] 2015-09-10
[50] 웹사이트 OBJECTIVE PEACH NARRATIVE CPT Steven J. Thompson, Commander, 299th Engineer Company (MRB) http://299th.luddite[...] 2012-09-18
[51] 뉴스 American Fury: The Truth About the Russian Deaths in Syria http://www.spiegel.d[...] 2018-03-02
[52] 뉴스 Ukrainian forces prevented attempted Russian river crossing in the Donbas, Britain says https://www.reuters.[...] 2022-05-13
[53] 뉴스 The Lake Washington Floating Bridge Connects Seattle's History to the Road Ahead http://www.seattlebu[...] 2019-06-01
[54] 뉴스 Washington: Floating bridge capitol of the world http://www.seattlepi[...] 2012-02-29
[55] 웹사이트 Pontoon Bridges http://www.imua.org/[...] Inland Marine Underwriters Association 1993-01-01
[56] 뉴스 Tug Fleet Continues to Keep Seattle Bridge in Place http://www.joc.com/m[...] 1990-12-03
[57] 문서 『類従三代格』、『万葉歌』
[58] 웹사이트 舟橋蒔絵硯箱 https://emuseum.nich[...] 국립문화재기구
[59] 뉴스 New 520 bridge to open in April; walkers, bicyclists get to try it first http://www.seattleti[...] 2016-01-12
[60] 웹사이트 SR 520 – Floating Bridge Facts http://www.wsdot.wa.[...] Washington State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61] 서적 旅行マスターMr.タンの南米探究紀行
[62] 웹인용 두산백과, 부교 https://terms.naver.[...] 2015-10-01
[63] 웹인용 배다리 https://terms.naver.[...] 2015-07-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