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부모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모화는 아이가 부모의 역할을 대신 수행하는 현상을 의미하며, 1960년대에 '부모화'라는 용어가 처음 사용되었다. 이는 아이가 가족을 위해 육체적, 정서적, 또는 자기애적인 책임을 지는 다양한 유형으로 나타난다. 부모화는 아이의 성장 과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유년기를 잃게 하고, 심리적 문제, 낮은 자존감, 대인관계 어려움 등을 야기할 수 있다. 하지만, 적응적인 부모화의 경우, 아이의 공감 능력과 책임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긍정적인 측면도 존재한다. 부모화는 가족 내 성별 및 출생 순서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문학 작품에서도 부모화된 인물들을 찾아볼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동 학대 - 흔들린 아이 증후군
    흔들린 아이 증후군(SBS)은 심한 흔들림으로 5세 미만 영유아의 두개골 또는 뇌 내용물이 손상되는 아동 학대의 한 형태이며, 학대성 뇌 손상(AHT)이라는 포괄적인 용어로도 사용되지만, 진단과 관련된 과학적 근거에 대한 논쟁과 법적, 윤리적 쟁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 아동 학대 - 역기능가정
    역기능 가정은 구성원 간 소통 부재로 정상적인 기능을 못 하는 가정을 뜻하며, 이는 자녀의 정서적 문제와 사회 부적응을 야기할 수 있어 사회적 인식 개선과 정책적 지원이 요구된다.
  • 심리적 학대 - 위협
    위협은 공포심이나 불안감을 유발해 특정 행동을 강요하거나 억제하는 행위로서 개인의 자유와 사회 질서를 위협하며, 직접적인 폭행·협박부터 간접적인 사이버 폭력·혐오 발언, 동물의 의례적 행동까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 법적 규제와 사회적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
  • 심리적 학대 - 가스라이팅
    가스라이팅은 상대방의 현실 인식을 조작하여 자존감을 훼손하고 의존하게 만드는 심리적 조종 행위로, 다양한 관계에서 발생하는 정신적 학대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지만 용어 남용에 대한 우려와 사회적 문제로의 인식도 존재한다.
  • 학대 - 노예제
    노예제는 한 사람이 타인에게 소유되어 재산처럼 취급받으며 의지에 반해 노동을 강요당하고 보수 없이 사회적 이동이 제한되는 제도로, 고대부터 널리 존재했으나 18세기 이후 폐지 운동으로 대부분 국가에서 금지되었지만 현대에도 다양한 형태로 남아있다.
  • 학대 - 가정폭력
    가정폭력은 가족 구성원이나 친밀한 관계에서 발생하는 신체적, 성적, 정신적, 경제적 폭력과 지배 행위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가해자의 권력 및 통제 욕구, 세대 간 악순환, 사회적 불평등 등 복합적인 원인으로 발생하며 피해자에게 심각한 피해를 야기하므로 예방과 보호를 위한 사회적 인식 변화와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
부모화
부모화
유형도구적 부모화
정서적 부모화
관련 용어역할 역전

2. 개념 탄생 이전의 이론적 배경들

부모화 개념은 20세기 중반부터 여러 학자들에 의해 연구되기 시작했다. 멜리타 슈미데베르크는 정서 박탈이 부모로 하여금 자녀를 대리 부모로 대하게 할 수 있다고 보았고, 살바도르 미누친은 배우자화와 부모아이 개념을 통해 이와 유사한 현상을 설명했다.[4][6] 에릭 번은 부모와 자녀 간의 대칭적 관계 형성의 위험성을 지적했으며, 버지니아 사티어는 역할 기능 불일치 개념을 통해 가족 내 역할 전도 현상을 설명했다.[7][8] 대상관계이론에서는 아이가 어려서 부모를 돌봐야 할 때 거짓자아가 생겨난다고 보았고, 존 보울비는 불안 애착 유형에서 보이는 강박적인 양육이 부모가 아이에게 자신의 애착 대상이 되라고 압박하는 것이라고 보았다.[9][10] 이러한 이론들을 바탕으로 부모화 연구가 진행되었다.

2. 1. 초기 연구

멜리타 슈미데베르크는 1948년 연구에서 정서 박탈이 부모로 하여금 자녀를 대리 부모로 대하게 할 수 있다고 언급하였다.[4] 살바도르 미누친의 배우자화와 부모아이 개념은 부모화와 유사한 현상을 설명한다.[6] 에릭 번은 부모와 자녀 간의 대칭적 관계 형성의 위험성을 지적했다.[7] 버지니아 사티어는 역할 기능 불일치 개념을 통해 가족 내 역할 전도 현상을 설명했다.[8]

2. 2. 심리학 이론과의 연관성

대상관계이론에서는 아이가 어려서 나이에 걸맞지 않게 부모적 대상을 돌봐야 할 때 아이의 거짓자아가 생겨나는 것에 대하여 조명하였다.[9] 존 보울비는 불안 애착 유형들에게서 보이는 강박적인 양육은 부모가 정상적인 관계를 전복시키고 아이에게 자신의 애착 대상이 되라고 압박하는 것이라고 보았다.[10]

3. 부모화의 유형

부모화는 크게 도구적 부모화와 정서적 부모화로 나눌 수 있다.[2]

이 아버지와 어린 아들이 함께 가족을 위해 먹을 것을 찾고 있다. 아이에게 유용한 생활 기술을 가르치는 것은 부모화가 아니다.

  • '''도구적 부모화'''는 아이가 식사 준비나 집 청소와 같은 가족을 위한 육체적 업무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2]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 "도구적 부모화" 참조)
  • '''정서적 부모화'''는 아이가 발달적으로 부적절한 정서적 지원 역할을 강요받을 때 발생한다.[2][3]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 "정서적 부모화" 참조)
  • '''적응적 부모화'''는 아이에게 상당한 도구적 책임이 주어지지만, 가족에 대한 기여에 대한 정서적 지원과 인정을 함께 받을 때 발생한다.[21] 이는 일시적인 상황에서 적응적일 가능성이 가장 높다.[21]
  • '''파괴적 부모화'''는 특히 정서적 지원 없이 발생하는 해로운 형태의 부모화이다.
  • '''배우자화'''는 부모가 아이를 배우자처럼 대하는 경우이다.[19] 예를 들어, 미혼모가 아들을 성인처럼 대하고 남편에게 기대하는 실제적 또는 정서적 책임을 그가 지기를 기대할 수 있다.
  • '''자기애적 부모화'''는 아이가 부모의 이상화된 심리적 투사를 떠맡도록 강요받는 경우를 말한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 "자기애성 부모화" 참조)

3. 1. 도구적 부모화 (Instrumental Parentification)

도구적 부모화는 자녀가 식사 준비나 집 청소와 같은 가족을 위한 실질적인 가사 노동을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2] 아이나 청소년에게 필요한 기술을 가르치거나, 가계 유지에 생산적으로 기여하도록 요구하는 것 자체는 부모화가 아니다. 도구적 부모화를 좋은 양육과 구별하는 것은 업무의 양과 유형이 아이의 발달적 요구에 적합한지 여부이다.[2]

예를 들어, 좋은 부모는 아이와 청소년에게 요리, 청소, 다른 사람을 돌보는 것과 같은 생활 기술을 연습할 기회를 제공하여, 성인이 되었을 때 이러한 필수 기술을 갖추도록 한다. 그러나 가사 노동의 양이 아이가 충분한 휴식을 취하거나 학교에 가는 것을 방해한다면, 이는 과도한 부담이 된다. 마찬가지로, 대부분의 아이들은 식사 준비를 돕는 것이 가능하지만, 면밀한 감독 없이 안전하게 요리하는 데 필요한 주의력, 운동 능력 또는 집행 기능이 없을 수 있다.

boy squats next to an extinguished cooking fire
어린 아이들은 요리하는 불을 다룰 발달 단계가 아니므로, 스스로 요리하도록 기대하는 것은 부모화의 한 예시이다.

3. 2. 정서적 부모화 (Emotional Parentification)

정서적 부모화는 자녀가 부모의 정서적 지지, 위로, 상담자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2] 예를 들어, 부모가 자녀에게 자신의 연애 문제에 대한 조언을 구하거나, 자녀가 부모의 감정을 지원하고 관리하기를 기대하거나, 자녀를 가족 내 중재자 및 평화 유지자 역할로 밀어 넣는 경우가 있다.[2] 정서적 부모화는 도구적 부모화보다 더 해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다.[2]

3. 3. 자기애성 부모화 (Narcissistic Parentification)

자기애성 부모화는 아이가 부모의 이상화된 심리적 투사를 떠맡도록 강요받는 경우 발생하며, 이는 아이의 자연스러운 발달을 희생시키면서 강박적인 완벽주의 (심리학)를 조장한다.[22] 일종의 가짜 동일시에서, 아이는 부모의 자아 이상의 특징을 가지도록 어떤 수단으로든 유도된다.[23] 이는 호메로스아킬레우스의 성격을 묘사한 이후 서구 문화에서 감지된 패턴이다.[24]

4. 부모화되는 아이

실질적인 이유에서 자녀 중 나이가 많은 아이, 대부분 첫째 아이가 부모 역할로 선택된다. 그러나 첫째가 아니더라도 나이가 많은 자녀가 선택되기도 하는데, 이는 부모 중 한쪽이 부재하는 경우 성별에 맞춰 대응시키려는 이유 때문이다.

4. 1. 성별 및 출생 순서의 영향

일반적으로 가족 내에서 맏이, 특히 맏딸이 부모화될 가능성이 높다. 이를 '맏딸 증후군'이라고 부르기도 한다.[12] 첫째 아이는 가족 내에서 부모 역할을 하도록 선택되는 경우가 많은데,[13][14][15] 이는 맏이가 어린 형제자매보다 가족에게 더 많은 지원을 제공할 수 있는 발달적 능력을 갖추고 있기 때문일 수 있다.[12]

부모의 부재 시, 자녀의 성별에 따라 역할이 분담되는 경향이 있다. 특히 대가족에서 사는 여자아이들은 남자아이들보다 발달적으로 부적절한 양과 유형의 돌봄을 강요받을 가능성이 더 높다.[16][17] 가족 내에 돌봐야 할 장애 아동이 있는 경우, 맏이, 특히 여자아이들이 부모화의 가장 큰 위험에 처하게 된다.[18] 홀아버지는 딸에게 배우자 역할을, 홀어머니는 아들에게 가장 역할을 맡기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배우자화"라고 한다.[19] 어머니와 아들 간의 배우자화는 아버지와 딸 간의 배우자화보다 더 흔하며,[19] 어머니와 딸 간의 부모화 또한 아버지와 딸 간의 부모화보다 더 흔하다.[20] 딸은 아들보다 정서적 안식처가 될 가능성이 더 높기 때문이다.[20]

4. 2. 기타 요인

가족 내에 장애 아동이 있으면, 손위 형제자매, 특히 여자아이들이 부모화될 위험이 크다.[18] 아버지 부재 시에는 큰아들이 아버지 책임을 맡게 되지만, 성인이 가지는 자율성은 얻지 못한다. 홀아비는 딸에게 죽은 아내를 대신하는 사회적, 감정적 역할을 맡기는 '배우자화'를 보이기도 한다. 엄마는 딸에게 돌봄 역할을 강요하기도 하는데, 이는 아이들이 정상적으로 사랑과 돌봄을 받아야 하는 것과는 반대되는 상황이다.[19][21] 이혼, 사별 등으로 인한 한부모 가정에서 부모화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19]

5. 부모화의 영향

부모화는 아이에게 부정적인 영향과 긍정적인 영향을 모두 줄 수 있다. 부정적 영향으로는 유년기의 상실, 정체성 혼란, 정서적 문제 등이 거론되며,[27] [13] [29] [30] 긍정적 영향으로는 공감 능력, 이타심, 책임감 향상 등이 있을 수 있다.[21]

5. 1. 부정적 영향

부모화의 불가피한 결과는 유년기를 잃는 것이다. 파괴적인 부모화로 인해 아이는 가족에 대한 과도한 책임을 떠맡지만, 아이의 역할에 대해 다른 사람은 알거나 지지해주지 않는다. 아이는 부모같은 양육자 역할을 맡으면서 가족 내에서 있어야 할 진정한 자리를 잃어버리고 외롭고 불확실한 상태로 남겨진다. 극단적인 경우 아이는 육체이탈(disembodiment)이라는 개인의 기본적 자아 정체성을 위협하는 자기애성 상처를 입는다.[29]

이후의 삶에서, 부모화된 아이는 유기공포와 상실에 대한 불안을 경험한다.[30] 또한 대인관계에서 거절과 실망을 다루기 힘들어하는 모습도 보인다.[30]

부모화의 모든 결과는 부정적이다. 긍정적인 결과는 없다. 성숙도와 감정회복탄력성은 가족 역동 저변에 깔려있는 불안과 감정 전이로 연결된다.

1920년대 일본의 일부 소녀들은 친구들과 놀면서 어린 동생들을 정기적으로 돌봤다. 이러한 행동이 부적응적인 부모화로 이어지는지는 얼마나 많은 일을 했는지, 어떤 종류의 지원(예: 문제가 생길 경우 도움을 줄 수 있는 근처의 성인)을 받았는지와 같은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


부모화는 불공정하고, 발달적으로 부적절하며, 아이에게 상당한 부담을 줄 때 해롭다.[2][21] 이는 적응적이거나 부적응적일 수 있으므로,[5] 항상 병리학적인 것은 아니지만, 파괴적인 형태(''파괴적 부모화''라고 함)는 부적응적인 양육, 아동 부적응, 신체적 학대, 성적 학대, 행동 문제, 감소된 감성, 그리고 낮은 사회적 능력과 관련이 있다.[3][21][25] 부모화된 아동은 또한 우울증, 자살 충동, 불안, 낮은 자존감의 위험이 더 높다.[21][25]

부모화는 특히 부녀 관계에서 섭식 장애가 있는 젊은 여성과 관련이 있다.[21] 딸이 둘 이상일 경우, 장녀가 성적 활동을 위해 유인되고 부모화될 가능성이 더 높다. 그녀의 여동생 중 한 명 이상이 나중에 아버지에 의해 성적 활동의 대상이 될 수 있다.[26] 부자간의 정서적 부모화는 아들들의 우울증과 외현화를 초래할 수 있다.[21]

부모화의 중요한 부산물은 발달적으로 적절한 어린 시절의 상실이다.[27] 아이는 또한 부모 역할을 맡기 위해 학교를 자퇴할 수도 있다.[14] 파괴적인 부모화에서, 해당 아동은 다른 사람들의 적절한 지원 없이 가족 내에서 과도한 책임을 맡는다.[28] 부모의 보호자 역할을 하면서, 아이는 가족 구성원으로서의 자연스러운 자리를 잃게 된다.[13]

5. 2. 긍정적 영향

일부 연구에서는 부모화가 아동의 공감, 이타심, 책임감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주장한다.[21] 이러한 긍정적인 영향은 부모화가 일시적이고 적당하며, 부모가 자녀의 노력을 인정하고 감사할 때 나타날 수 있다. 이를 적응적 부모화라고 한다.[21]

적응적 부모화는 부모가 자녀의 발달에 필수적이고, 자녀가 부모 역할을 맡는 것에 대한 인식과 감사를 표현할 때 나타날 수 있다.[3][31] 정서적 보살핌이 아닌 도구적 보살핌을 제공하고, 일시적이고 무거운 부담이 없으며, 아이가 부모로부터 공정하게 대우받고 지원을 받을 때, 역할 반전은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정신 병리학의 한 측면이 아니라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 메커니즘으로 볼 수 있다.[17]

6. 사례 연구


  • 카를 융은 자서전에서 어머니가 자신을 항상 어른으로 대했으며, 남편에게 말할 수 없는 것을 자신에게 털어놓았다고 기록했다.[32] 로렌스 반 데어 포스트는 융의 성장 배경에 대해 언급하며, 융 내면의 '노인' 역할이 활성화된 것은 부모가 서로에게 제 역할을 하지 못한 결과라고 보았다.[33]
  • 패트릭 케이스먼트는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면 어머니가 괴로워하는 Mr. T라는 환자에 대해 보고했다. Mr. T는 자신의 감정을 어머니로부터 숨기고, 오히려 어머니를 돌보게 되었다.[34]

7. 문학 작품 속 부모화

찰스 디킨스의 소설 『데이비드 코퍼필드』의 아그네스 윅필드는 부모화된 자녀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준다.[36] 아그네스는 알코올 중독자인 아버지의 부모 역할을 강제로 떠맡았으며(성인아이), 출산 중 돌아가신 어머니의 이상적 자아상에 완벽히 부합하기 위하여 노력한다. 이 때문에 아그네스는 늦게 결혼하고, 대인관계와 친밀감에 문제가 있었으며, 자멸적인 태도를 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아그네스는 회복력이 있고, 지략이 풍부하며 책임감도 있고 자기 학교를 세우는 등 자신의 일에도 열정을 보인다. 소설 말미에는 주인공 데이비드 코퍼필드와 결혼하여 10년 동안 아이들과 함께 행복하게 잘 산다.

겐지모노가타리(源氏物語)』에서 카오루의 어머니 온나산노미야는 아들의 방문이 가장 큰 기쁨이었으며, 때로는 아들이 아니라 아버지처럼 느껴졌다. 카오루는 이를 알고서 매우 슬퍼했다.[35]

트와일라잇』 시리즈의 주인공 벨라 스완도 부모화된 캐릭터로 볼 수 있다.[37]

참조

[1] 논문 Maternal history of parentification, maternal warm responsiveness, and children's externalizing behavior. 2012
[2] 서적 Encyclopedia of Adolescenc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1
[3] 서적 Diversity in Unity: Perspectives from Psychology and Behavioral Sciences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17
[4] 문서 Jurkovic
[5] 서적 Art Therapy Practices for Resilient Youth: A Strengths-Based Approach to At-Promise Children and Adolescent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9
[6] 문서 Jurkovic, in L'Abate ed.
[7] 서적 Sex in Human Loving Penguin 1970
[8] 서적 Peoplemaking 1983
[9] 서적 On Kissing, Tickling and Being Bored 1994
[10] 서적 The Making and Breaking of Affectional Bonds London 1979
[11] 문서 Karpel, quoted by Jurkovic, in L'Abate ed.
[12] 뉴스 Why Your Big Sister Resents You: "Eldest daughter syndrome" assumes that birth order shapes who we are and how we interact. Does it? https://www.nytimes.[...] 2024-04-15
[13] 문서 Satir
[14] 서적 Family Matters: Interfaces between Child and Adult Mental Health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5
[15] 서적 Working with Adolescent Violence and Abuse Towards Parents: Approaches and Contexts for Interven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
[16] 서적 Lost Childhoods: The Plight Of The Parentified Child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
[17] 서적 Intergenerational Cycles of Trauma and Violence: An Attachment and Family Systems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W. W. Norton & Company 2014
[18] 서적 What About Me?: Growing Up With A Developmentally Disabled Sibling https://books.google[...] Hachette Books 2007
[19] 서적 Raising Parents: Attachment, Representation, and Treatment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7
[20] 서적 Father-Daughter Relationships: Contemporary Research and Issu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9
[21] 서적 Implications of Parent-Child Boundary Dissolution for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Who Is the Parent and Who Is the Child?"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
[22] 문서 Jurkovic, in L'Abate, ed.
[23] 서적 The Psychoanalytic Theory of the Neuroses London 1946
[24] 서적 Becoming Achilles: Child-Sacrifice, War, and Misrule in the Iliad and Beyond Lexington Books 2012
[25] 서적 Understanding and Managing Parental Alienation: A Guide to Assessment and Interven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9
[26] 서적 Confronting Child and Adolescent Sexual Abuse https://books.google[...] Sage Publications 2014
[27] 문서 Siegal
[28] 문서 Jurkovic
[29] 문서 Burdened Children 1999
[30] 논문 A retrospective study of daughters' emotional role reversal with parents, attachment anxiety, excessive reassurance seeking, and depressive symptoms. 2009
[31] 서적 Parenting: Contemporary Clinical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6
[32] 서적 Memories, Dreams, Reflections London 1983
[33] 서적 Jung and the Story of Our Times Penguin 1978
[34] 서적 Further Learning from the Patient 1990
[35] 서적 The Tale of Genji London 1992
[36] 블로그 Unwilling Angels: Charles Dickens, Agnes Wickfield, and the Effects of Parentification http://dickensblog.t[...]
[37] 서적 The Psychology of Twilight 2011
[38] 서적 Twilight and History 2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